맨위로가기

호수평원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수평원어족은 파푸아뉴기니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어족으로, 다양한 연구자들에 의해 분류가 시도되었으나, 분류 체계에 대한 이견이 존재한다. 스티븐 부름은 트랜스뉴기니어족에 포함시켰으며, 클루스는 겔빈크만어족과 연결시켰다. 맬컴 로스는 독립된 어족으로 분류하며, 폴리는 스코어족과의 연관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호수평원어족은 능격-절대격 정렬을 보이며, 음운론적으로 적은 수의 음소와 성조를 특징으로 한다. 형태론적으로는 성이나 굴절이 없는 분석어이며, 기초 어휘는 언어별로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푸아 제어 - 아리어
    아리어는 자음(무성/유성 파열음, 전비음화된 파열음, 비음, 마찰음, 설측음, 유음)과 모음(전설, 중설, 후설모음) 음소로 구성된 음운 체계를 가진 언어이다.
  • 파푸아 제어 - 세픽라무어족
    세픽-라무어족은 여러 학자들이 세픽어군, 라무어군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하며, 어휘 비교 연구를 통해 내부 관계를 밝히는 어족이다.
  • 성조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성조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호수평원어족
언어 정보
이름호수평원어족
영어 이름Lakes Plain languages
지역뉴기니섬 호수평원
어족세계의 주요 어족 중 하나
글롯토코드lake1255
하위 어족

2. 분류

스티븐 부름은 트랜스뉴기니어족 분류에서 호수평원어족을 토르어족과 하나로 묶었다. 그러나 Clouse (1997)는 토르어족과의 연결을 부정하고 호수평원어족을 겔빈크만어족과 묶었다. 맬컴 로스는 호수평원어족을 독립된 어족으로 분류했으며 티모시 어셔도 여기에 동의한다.

윌리엄 A. 폴리는 스코어족과 호수평원어족이 겉보기에 음운적으로 유사하고 ‘’ 따위의 기초 어휘가 비슷함을 근거로 두 집단이 먼 친척 관계일지도 모른다고 추측한다. 그러나 그러한 증거 부족 때문에 두 어족 사이의 관계가 정식으로 주장된 적은 없다.[11] 또한 폴리에 따르면, 몇 가지 음운적·어휘적 유사성에 비추어 볼 때 현재 미분류 상태인 케우어도 호수평원어족과 먼 친척 관계일 수 있다고 한다.

겔빈크만어족, 트랜스뉴기니어족, 남부건빌어족과 마찬가지로 호수평원어족은 능격-절대격 격표시 체계를 사용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파푸아뉴기니 북부의 언어들은 대체로 주격-대격 체계이다.[8]

2. 1. Clouse (1997)

Clouse (1997)는 호수평원어족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9]

  • '''호수평원어족'''
  • * '''라사와어족'''
  • ** 라사와·사포니: 라사와어, 사포니어
  • ** 아웨라어
  • * '''타리쿠어족'''
  • ** '''타우세어군''': 타우세어, 웨이라테어, 데이라테어
  • ** '''서부 타리쿠어군'''

파유: 파유어, 세후다테어
키리키리: 키리키리어, 파이아어

  • ** '''중부 타리쿠어군'''

에도피어
투루: 이아우어, 포이어, 투루어

  • ** '''동부 타리쿠어군''': 도우타이어, 와리타이어, 카테어, 비리타이어, 오보쿠이타이어, 에리타이어, 시카리타이어, 퀘리사어, 파파세나어
  • ** '''두블레어'''
  • ** '''동부 호수평원어족''': 포아우어, 타워르타어, 다브라어


Clouse는 겔빈크만어족이 호수평원어족과 가장 가깝다고 보았다.[9]

2. 2. Usher (2018)

어셔는 호수평원어족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10]

어족하위분류
와포가강아웨라어, 케우어(케우어), 롬박강: 라사와어, 사포니어
타리쿠강타우세어, 에도피-이아우-포이-투루어 방언연속체, 파유어, 키리키리어
중부시카리타이어, 에리타이어, 파파세나어
두블레-동부두블레어, 동부 호수평원어파: 포아우어(아바위리어), 타워르타어



위의 분류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카이어, 퀘리사어, 도우타이어, 와리타이어도 중부 호수평원어파일 것으로 생각된다. 오보쿠이타이어와 비리타이어도 마찬가지이다. Clouse는 두 언어를 각각 파파세나어와 에리타이어와 가장 가까운 것으로 분류하며, 이들 언어와 방언연속체를 이룰 가능성이 있다.

사포니어, 케우어, 타우세어의 포함 여부에 관해서는 다소 의문이 있다.

3. 대명사

로스는 타리쿠조어의 대명사를 다음과 같이 재구했다.

*a/*i우리*a/*ai
*de너희*da
그/그녀*au그들?



이에 해당하는 1인칭과 2인칭 단수 대명사는 동부호수평원조어의 *a, *do, 아웨라어의 yai, nai(후자는 *dai에서 왔다), 라사와어의 e-, de-이다.[11] 사포니어는 호수평원어족과 대명사를 전혀 공유하지 않으며, 1인칭 mamire와 2인칭 단수 ba는 동봄베라이조어 1인칭 복수 *meme "와 2인칭 단수 *ba를 연상시킨다. 그러나 사포니어는 라사와어와 기본 어휘의 절반을 공유하며 로스는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하나 일단은 호수평원어족에 속하는 것으로 남겨 두었다. 타우세어도 이전에는 호수평원어족의 타리쿠어군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으나 로스는 대명사의 유사성에 기반해 동봄베라이어족으로 옮겼다.[5]

Foley (2018)가 제시한 일부 호수평원어족 언어들의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동부평원어족 대명사
아웨라어키리키리어이아우어두블레어오보쿠이타이어다브라어
1인칭 단수yaiaaæi
2인칭 단수daidedidodidaː
1인칭 복수eeeaai


4. 음운론

호수평원어족 언어들은 아주 적은 음소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는 폴리네시아어군 언어와 견줄 만하다. 호수평원어족은 파푸아 제어에서 성조를 사용하는 드문 예시 중 하나이다. 클라우스와 클라우스(1993)는 호수평원조어에 고조(H)와 저조(L)의 두 가지 성조가 있었다고 재구한다.[11][5]

4. 1. 자음

Clouse and Clouse (1993)는 많은 호수평원어족 언어들이 여러 특이한 음운론적 특징을 공유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일반적으로 파푸아 제어는 적어도 두 개의 비음 음소를 가지고 있는데, 호수평원어족은 그렇지 않다. 대부분의 호수평원어족 언어에 음성적으로 비음이 존재하긴 하지만, 대응하는 유성 파열음과 대립하지 않는다. 도우타이어, 시카리타이어, 오보쿠이타이어, 포아우어에는 음성적 비음조차 없다. 또한, 호수평원어족 언어에는 유음 음소가 없다. Clouse (1997)는 호수평원조어의 자음 목록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는데, 단 다섯 개의 파열음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호수평원어족 언어들의 음소들은 기능적 부담이 크다. 즉 발음이 거의 비슷한 단어들이 많다.

4. 2. 모음

많은 호수평원어족 언어들이 혀의 위치가 매우 높은 마찰음화된 모음을 가지고 있다. 도우타이어와 키리키리어에서는 이 모음들이 /i/, /u/와 별개의 음소이다. 마찰음화된 모음은 뒤따르는 자음의 탈락으로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Clouse (1997)는 호수평원조어가 일본어스페인어와 같은 5모음 체계를 가졌다고 재구한다.

전설후설
고모음*i*u
중모음*e*o
저모음*a


4. 3. 성조

호수평원어족 언어는 모두 성조를 지녔다. 이는 스코어족, 카이난투고로카어파 등과 함께 파푸아 제어에서 성조를 사용하는 드문 예이다.[11][5] 클라우스와 클라우스(1993)는 호수평원조어에 고조(H)와 저조(L)의 두 가지 성조가 있었다고 재구한다.[11][5]

두블레어와 시카리타이어에는 고조와 저조의 두 가지 성조만 있지만 다른 언어들에는 그보다 많은 성조가 있다. 서부 타리쿠어군 언어들에는 모두 상승조와 하강조도 있다.[9][2]

이아우어는 호수평원어족에서 가장 복잡한 성조를 지닌 언어이다. 다른 호수평원어족 언어들이 2음절이나 3음절 단어를 많이 가진 데 비해, 이아우어 단어는 대부분 1음절이다. 이아우어는 8개의 음운론적 성조를 지녔는데, Bateman의 표기법에 따르면 고조(44), 중조(33), 고상승조(45), 저상승조(23), 고저하강조(42), 고중하강조(43), 중저하강조(32), 하강상승조(423)처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숫자는 음높이를 나타내며 1이 가장 낮은 소리, 5가 가장 높은 소리를 나타낸다.)[11][5] 이아우어의 8가지 성조 중 4가지는 단모음에 나타나고, 나머지 4가지는 장모음에 나타나는데 후자는 다른 호수평원어족의 2음절 단어에 대응하는 경우가 많다.[9][2]

5. 형태론

대부분의 동부 파푸아 제어와 달리, 호수평원어족 언어에는 이나 굴절이 없다. 호수평원어족 사용 지역의 동북쪽에 있는 동겔빈크만어족 언어인 바우지어도 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즉 호수평원어족 언어들은 복잡한 형태론이 없는 분석어이다.

바우지어는 호수평원어족의 북서쪽에 위치한 동겔빈크 만 언어로, 성이 존재하지 않는다.[5] 대부분의 호수평원어족 언어는 주로 분석적이고 고립적이며, 형태론이 거의 발달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어족 내에는 약간의 차이가 존재한다. 이아우어는 거의 전적으로 분석적이고 고립적인 반면,[6] 아바위리어는 광범위한 동사 형태론을 가지고 있다.[7]

6. 기초 어휘

Foley (2018)는 호수평원어족 언어들의 기초 어휘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11] Clouse (1997)는 호수평원조어와 하위 계통군의 조어를 재구하였다.[9]

Foley (2018)의 기초 어휘 비교표는 다음과 같다.

호수평원어족 기초 어휘
라사와어키리키리어이아우어두블레어오보쿠이타이어타워르타어
beβodudusifuraduduː
uːyokluoesæiresaigai die
weβikiʼkæ-ri-a-baigbutːu
가슴tututuidotoubtow
u-rakeeovei-kweiebre
먹다ki-βaβosasadɪada-beya
uβadutebiævisaakoko
ɔraklaɸægari-uruːg
tayokwɛbebokwɛdo
주다parotubaɛboubehigbei
가다uɣuβekiaida/doudo-dug
giɸlaapɪahrafaː
u-khata-kruʼiʼ-sutærihoigteri
듣다puaβobeikabi-baebou/bæiɪkwɛriatega
다리u-ruɸataifria-higaigwa
이(벌레)piyeɸlii(bo)prihrifi(god)
남자duβuteteoirɛtagutːi
bariyabaiʼdakivrisasofere
이름uβakwaɔsuoiɛasukwafaya
하나kri-βisuo-webisi-besoɣo-ɛkore-kekaigkwaka
wekwariioɣoiakuɛieigre
보다paβoɸua/ɸoridɔɛfei/foubadubfǝkta
paɸaiɸekipæxikwiggwid
kuribaiʼvæirsogwadi
isɔːkɔablaaezæri-rijairi
이빨ɔuribiʼæbidi-brigadːi
나무ukuiduuurakubgru
wɔriɔro-wetɛʔɛtiotai
de(ye)daedæ/dɛ-rigdye
여자kurukosioruæitubro



Clouse (1997)의 호수평원어족 및 하위 계통군 재구는 다음과 같다.

호수평원조어극서호수평원조어타리쿠조어서부타리쿠조어중부타리쿠조어동부타리쿠조어
*kukro*roko*kokro*kokrV*kro
*kukadi/u*koru*kuari*kuari*ba*kua
이빨*bri*biri*bri*bri*biri*bri
*kudatiCV*ura*kurati*kurati*kuratiC
*boru*boru*boru
*kru/i*kru/i*kru*kru/i
손톱*pV*bV*pV*ɸV*ɸo*pe
피부*ɸidi*bi*ɸiri*ɸire*iri*bari
고기*tV*tV*tV*tV*ta*tV
*be*kai*kai*i*ai
가슴*touCV*tou*touC*tou^*touC*touC
*kuria*wia*kuria*kuri*kuia
다리*tu*Ca*Ca*ta*a
*to*to*to
*deida*deire*dida*dida*ida*wadi
*kudaide*tairo*kure*kue*be*kure
형용사 접미사*-we/-die*-we/-de*-we/-die*-we*-be*-die
*kuipade*pare*kuiɸae*kuiɸae*kuiɸa*kuip
하나*kri*keiki*keiki
*didi*dri*Cidi*Cido*tidi
*pra/i*pri*pra*ɸra*pra
*kuadi*arV*kuari*kuari*ba*kuai
넓은*wara
*kurire*kuie*kuri*kuri*bi
무딘*baCu*paupe*baCu*baCu*ba
*tio*tio*tio*so*so
*bari
바나나*kriCV*kiri*kriC*kri^*kiri*kriC
나무*kuCV*ku*kuC*u*u*kuC
가르다*pekeka
가시*kude*pore*kure*kure*be*kure
*weto*kaba*ɸe*aCi
검은*kVCa*kuara*kVC*kaCa*kiC
*du*du*du*du*du
날개*auCo*uko*auCu*auro*apu*akau
화식조*diadi*kiri*diari*diari*diari
파리*kubadi*poiti*kubari*kuari*bari*kuari
모기*tide*tre*tire*tire*tire*tire
*tabi*kaCo*tabi*tiabi*dabi*dabi
꼬리*tiCa*tiCa*tiCa*tia*tiC
물고기*tie*te*tie*tie*te
거머리*kibV*kiba*kibi*ki*ki*kibi
이(벌레)*pri*piri*pri*ɸri*pri
*pobi*kure*kure*be*kuri
*kuadV*aru*kuarV*kua*urV*kuari
가까운*paipai*paia*aiɸai*aiɸai
사람*tau*du*tai*te*te*tai
나쁜*kaibe*ɸVra*ɸe*ɸura
아이*tau-bri*tu-ri*tau-bri*tau-bri*tau-*tau-bi
2인칭 단수*de*de*de*de*di*de
1인칭 복수*ai*e*ai*ai*e*ai
3인칭 단수*kibV*be*o*de
가다/걷다*kidia*dao*kidia*kidia*dia
듣다-상태성*kuedi-kuda*beri-kura*kueri-kua*beri-kua*beri-wa*kueri-kua
찾다*paka
빨다*tau*tu*tau*taua*betu
토하다*kadudu*aru*karudu*ku*u*krudu
긁다*kiCi*kibie*kiri*kiri*iri*bekiri
앉다*ɸuɸu*kua*ɸuɸu*ɸoko*bau*buhu
서다*dia-dau*tarau*dia-da*dia-da
잡다*tiadado*suarau*araro*araro*da*do
불다*pudV*purV*purV*ɸura*ɸoi*bu-ɸuru
기침하다*takadV*takari*takurV*takuro*taurai*takura
땔나무*bodi*bori*bo*bori
*pade*pare*ɸa*ɸa*pare
오줌*tiCi*tiCi*ti^*tii*tiCi
음경*tiuCV*tiuC*tiu^*tiu*tuC
음낭*kudiCV*kuriC*kui^*kuiC
*kuaukadi*kuaukari*kuaukai*baukai*kuaukari
개미*keCV*keC*ke*e*kiC
화살*poka*poka*ɸoka*ɸoka*poka


참조

[1]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the New Guinea Area: A Comprehensive Guide De Gruyter Mouton 2018
[2] 서적 Papers in Papuan linguistics no. 2 https://openresearch[...] Pacific Linguistics
[3] 웹사이트 New Guinea World - Lakes Plains https://newguineawor[...]
[4] 간행물 The Abawiri tone system in typological perspective https://doi.org/10.1[...] 2018
[5]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the New Guinea Area: A Comprehensive Guide De Gruyter Mouton 2018
[6] 간행물 Iau verb morphology 1986
[7] 논문 A grammar of Abawiri, a Lakes Plain language of Papua, Indonesia https://escholarship[...]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2020
[8]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the New Guinea Area: A Comprehensive Guide De Gruyter Mouton 2018
[9] 서적 Papers in Papuan linguistics no. 2 https://openresearch[...] Pacific Linguistics
[10] 웹인용 New Guinea World - Lakes Plains https://sites.google[...] 2020-11-21
[11]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the New Guinea Area: A Comprehensive Guide De Gruyter Mouton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