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능격-절대격 정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능격-절대격 정렬은 언어의 격 표지 방식 중 하나로,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를 동일하게 취급하고(절대격), 타동사의 주어를 다르게 취급하는(능격) 문법 체계를 말한다. 바스크어, 질발어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주격-대격 정렬을 보이는 한국어, 영어 등과는 대조적인 특징을 보인다. 능격성은 형태론적, 통사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분열 능격성, 선택적 능격성과 같은 다양한 변이를 보인다. 능격 언어는 세계 특정 지역에 분포하며, 아메리카, 코카서스, 오스트레일리아 등에 주로 분포한다. 영어는 '-ee' 접미사를 활용한 파생 형태론에서 능격성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며, 절 명사화 시에도 능격적인 특징이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유형론 - 관계절
    관계절은 주절 내 명사를 수식하는 절로, 제한적/계속적 관계절, 종속/자유 관계절 등으로 나뉘며 언어별 구성 방식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된다.
  • 언어유형론 - 주격-대격 정렬
    주격-대격 정렬은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주어를 동일하게, 타동사의 목적어를 다르게 취급하는 통사적 정렬 방식으로, 언어 유형론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이며 형태론적 격 표시, 어순, 동사 일치 등의 코딩 속성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널리 관찰된다.
능격-절대격 정렬
개요
정의능격-절대격 정렬은 일부 언어에서 동사의 주어와 목적어를 표시하는 방법이다.
설명자동사의 유일한 논항 (S)과 타동사의 목적어 (O)는 동일한 방식으로 취급되며, 자동사와 타동사의 주어 (A)와는 다른 방식으로 취급된다.
이는 능격 언어에서 명사가 취하는 격 표시에 반영된다.
상세 내용
능격-절대격 정렬 언어의 예시바스크어
힌디어
쿠르드어
티베트어
마야어
이누이트어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북서캅카스어
와카시어
특징능격 언어는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를 나타내는 데 '절대격'이라는 격을 사용한다.
타동사의 주어는 '능격'이라는 다른 격으로 표시된다.
대조능격-절대격 정렬은 주어와 목적어를 다르게 취급하는 대격 정렬과는 대조된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대격 정렬 언어이다.
동사와의 관계능동태에서 '능격'은 행위자, 즉 동작을 수행하는 주체를 나타낸다.
수동태에서 '절대격'은 동작의 대상, 즉 영향을 받는 주체를 나타낸다.
오해 방지능격-절대격 언어는 주어가 없는 언어가 아니다.
유형
형태론적 능격성격 표지가 명사구에 나타난다.
구문론적 능격성격 표지가 명사구에 나타나지 않는다.
분열 능격성언어에 따라 능격-절대격 정렬과 대격 정렬을 모두 나타낸다.
참고 자료
관련 서적Bernard Comrie, Language Universals and Linguistic Typology, 2nd e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9)
능격성(ergativity)

2. 격 표지의 분류

언어는 격 표지 방식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된다. 주격-대격 언어는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주어를 동일하게 취급하고(주격), 타동사의 목적어를 다르게 취급한다(대격). 한국어, 튀르키예어, 독일어, 일본어 등이 이에 속한다. 능격-절대격 언어는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를 동일하게 취급하고(절대격), 타동사의 주어를 다르게 취급한다(능격). 바스크어, Dyirbal language|질발어영어 등이 이에 속한다.

3분법 언어는 자동사의 주어, 타동사의 주어, 타동사의 목적어를 모두 다르게 취급한다. 이 외에도 동작성-정태성 체계, 직접-역류 체계, 분열 능격 체계 등 다양한 격 표지 체계가 존재한다. 영어, 인도네시아어 등은 형태론적 격을 거의 표지하지 않고 어순이나 전치사에 의존하는 중립 체계로 분류되기도 한다.[42]

능격-절대격주격-대격
A (타동사의 행위자)능격주격
O (타동사의 목적어)절대격대격
S (자동사의 주어)절대격주격


  • '''A''' = 타동사의 행위자
  • '''O''' = 타동사의 목적어 (피해자(P)로 기호화되기도 함)
  • '''S''' = 자동사의 핵심 논항 (주어)

2. 1. 주격-대격 언어와 능격-절대격 언어의 비교

주격-대격 언어능격-절대격 언어는 자동사와 타동사의 주어/목적어를 다르게 취급한다. 능격-절대격 언어는 타동사의 목적어와 자동사의 주어를 동일하게 취급하고, 타동사의 주어를 다르게 취급한다. 반면 주격-대격 언어는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주어를 동일하게 취급하고, 타동사의 목적어를 다르게 취급한다.

능격-절대격주격-대격
A (타동사의 주어)능격주격
O (타동사의 목적어)절대격대격
S (자동사의 주어)절대격주격


  • '''A''' = 타동사의 주어
  • '''O''' = 타동사의 목적어
  • '''S''' = 자동사의 주어


일본어는 주격-대격 언어의 예시이다. 일본어에서는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주어에 조사 "가"가 붙고, 타동사의 목적어에는 "를"이 붙는다.[42]

일본어의 예
명사+조사동사
a."타로"왔다"
b."하나코"왔다"
c."타로"하나코봤다"
d."하나코"타로봤다"



바스크어는 능격-절대격 언어의 예시이다. 바스크어에서는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는 절대격으로 아무런 접사가 붙지 않고, 타동사의 주어는 능격 접사가 붙는다.[42]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어인 Dyirbal language|질발어영어의 경우,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에는 아무것도 붙지 않고, 타동사의 주어에만 ''ŋgu''라는 표지가 붙는다.

질발어의 예[36]
명사동사
a.ŋuma
(아버지+절대격)
banaga-nyu
(오다-비미래)
「아버지가 왔다」
b.yabu
(어머니+절대격)
banaga-nyu
(오다-비미래)
「어머니가 왔다」
c.ŋuma
(아버지+절대격)
yabu-ŋgu
(어머니-능격)
bura-n
(보다-비미래)
「어머니가 아버지를 봤다」
d.yabu
(어머니+절대격)
ŋuma-ŋgu
(아버지-능격)
bura-n
(보다-비미래)
「아버지가 어머니를 봤다」



영어와 같은 주격-대격 언어에서는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주어를 동일하게 취급한다.

영어의 동일 명사구 삭제
a.아버지가 돌아왔고어머니를 봤다.
「아버지가 돌아왔고 (아버지가) 어머니를 봤다」
b.*아버지가 돌아왔고어머니가 봤다.[37]
「아버지가 돌아왔고 어머니가 (아버지를) 봤다」



반면 질발어에서는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를 동일하게 취급한다.

질발어의 동일 명사구 삭제[38]
a.ŋuma
(아버지+절대격)
banaga-nyu
(오다-비미래)
yabu-ŋgu
(어머니-능격)
bura-n
(보다-비미래)
「아버지가 돌아왔고 어머니가 (아버지를) 봤다」
b.*ŋuma
(아버지+절대격)
banaga-nyu
(오다-비미래)
yabu
(어머니+절대격)
bura-n
(보다-비미래)
「아버지가 돌아왔고 (아버지가) 어머니를 봤다」


3. 능격성의 실현

능격성은 형태론 및 통사론에서 나타날 수 있다.[5] 능격 언어는 타동사의 목적어와 자동사의 단일 핵심 논항에 대해 동일한 통사론적 또는 형태론적 동등성(예: 동일한 단어 순서 또는 격)을 유지하는 반면, 타동사의 행위자는 다르게 취급한다.

주격-대격 언어에서는 자동사의 단일 논항과 타동사의 행위자를 동일하게 취급하고 타동사의 목적어와 구별한다.

능격-절대격주격-대격
A능격주격
O절대격대격
S절대격주격


  • '''A''' = 타동사의 행위자
  • '''O''' = 타동사의 목적어 (또한 "피해자"를 의미하는 '''P'''로 기호화됨)
  • '''S''' = 자동사의 핵심 논항(즉, 주어)


힌디어 등 일부 언어에서는 주격-대격 대립능격-절대격 대립이 함께 존재하기도 한다.

3. 1. 형태론적 능격성

바스크어와 같이 능격-절대격 정렬을 가진 언어에서는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가 모두 절대격으로 표시되며, 타동사의 주어는 능격으로 표시된다.[3] 예를 들어 바스크어에서는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에는 아무런 접사가 붙지 않지만, 타동사의 주어에는 능격 접사가 붙는다.[3]

능격 언어 (바스크어)
문장:Martin etorri da.Martinek Diego ikusi du.
단어:Martinetorri daMartin-ekDiegoikusi du
뜻:Martin-ABS도착했다Martin-ERGDiego-ABS보았다
기능:S동사자동AO동사타동
번역:"마틴이 도착했다.""마틴이 디에고를 보았다."



위 표에서 ''-Ø''는 바스크어에서 고유 명사의 절대격이 무표이기 때문에 영형태소를 나타낸다. 능격 형태는 모음 뒤에 ''-k'', 자음 뒤에 ''-ek''이다.[7]

사카풀텍 마야어와 같이 동사 일치를 통해 능격성이 표시되는 경우도 있다. 사카풀텍 마야어에서는 1인칭 복수의 경우, 자동사의 주어(S)와 타동사의 목적어(P)는 접두사 ''ax-''로 표시되지만, 타동사의 주어(A)는 ''qa-''로 표시되어 능격형 정렬을 보인다.

압하스어와 대부분의 마야어족 언어는 형태론적 능격 격은 없지만, 능격성을 띠는 동사 일치 구조를 가지고 있다.[6]

3. 2. 통사적 능격성

형태론뿐만 아니라 통사론(문장의 구성)에도 대격적인 것과 능격적인 것이 있다. 예를 들어, 문장을 등위 접속사로 연결할 때 동일한 명사구를 생략하는 것(동일 명사구 삭제)은 다양한 언어에서 가능하다. 영어에서는 자동사의 주어 또는 타동사의 주어를 생략할 수 있다.

형태적 능격성을 나타내는 언어에서도 통사론은 대격적인 경우가 많다. 디르발어는 주요한 통사적 조작(관계절, 보문, 등위 접속)에서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를 동일하게 취급하는 드문 예이다.[39]

주어에 보편적인 몇 가지 특징을 제외하면, 형태론과 통사론이 모두 완벽하게 대격적인 언어는 존재하지만, 반대로 완벽한 능격 언어는 발견되지 않았다.[40]

3. 2. 1. 통사적 능격성의 예시 (디르발어)

디르발어는 등위 접속 시 자동사의 주어(S)와 타동사의 목적어(O)를 동일하게 취급하는 통사적 능격성을 보인다. 이는 영어와 대조적인 특징이다.

영어 (SVO 어순)에서는 타동사의 목적어를 생략할 수 없지만, 디르발어(OSV 어순)에서는 타동사의 주어를 생략할 수 없다.

  • 영어 예시:
  • 아버지(i)가 돌아왔고 ____(i)가 어머니를 보았다. (가능)
  • * 아버지(i)가 돌아왔고 어머니가 ____(i)를 보았다. (불가능)

  • 디르발어 예시:
  • * Ŋuma(i) banaganyu, yabu ____(i) buṛan. (불가능)
  • Ŋuma(i) banaganyu, ____(i) yabuŋgu buṛan. (가능)


즉, 디르발어에서는 S/A 피벗(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주어를 동일시하는 방식)을 가지는 문장은 비문법적이며, S/O 피벗(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를 동일시하는 방식)을 가지는 문장이 문법적이다. 반면 영어에서는 S/O 피벗을 가지는 문장이 비문법적이다.[39]

3. 3. 분열 능격성

많은 능격 언어는 분열 능격성을 보이는데, 이는 능격 패턴이 특정 조건(인칭, 시제/상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힌두스탄어(힌디어우르두어)에서 능격 격은 타동사와 이중 타동사의 완료상에서 행위자에게 표시되며 (또한 자동사가 의지적일 때에도 적용됨),[10] 다른 상황에서는 행위자가 주격으로 나타난다.

북부 쿠르드어에서 능격 격은 과거 시제에서 타동사의 행위자와 동사에 표시되는데, 이는 실제로 과거에 일어난 사건을 나타낸다. 현재, 미래, 그리고 "과거의 미래" 시제는 행위자와 동사 모두에서 능격 표시를 보이지 않는다.

디르발어에서 대명사는 행위자가 1인칭 또는 2인칭일 때는 형태론적으로 주격-대격이지만, 행위자가 3인칭일 때는 능격이다.

  • 힌디어(인도아리아어)에서 능격 정렬은 동사가 완료상이고 타동사일 때만 발생한다(자동사에도 적용되지만, 의지 동사일 경우에만 해당).
  • 파슈토어에서는 능격 정렬이 과거 시제에서만 발생한다.
  • 조지아어에서 능격성은 완료상에서만 나타난다.
  • 일반적으로 4개 그룹으로 분류되는 신아람어에서 분리 능격은 동북 신아람어와 Ṭuroyo 그룹에서만 나타나며, 이는 완료상에서만 형성되고, 미완료상은 주격-대격이다. 일부 방언은 비자타동사의 주어만을 능격으로 표시한다.

3. 4. 선택적 능격성

힌디어 등 일부 언어에서는 주격-대격 대립능격-절대격 대립이 함께 존재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일부 곡용에 한하여 능격성이 나타나는 방식이다. 능격-절대격 정렬을 사용하는 많은 언어는 모든 상황에서 능격 표지가 항상 표현되는 것은 아닌, 소위 선택적 능격성을 보인다. McGregor (2010)는 선택적 능격성이 자주 나타나는 다양한 상황을 제시하며, 이러한 선택이 진정으로 선택적인 것이 아니라 의미론화용론의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한다. 정기적으로 발생하지만 제한된 위치에서 나타나는 분리 능격성과는 달리, 선택적 능격성은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규칙적이거나 일관된 방식으로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 능격성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11]

  • 주어의 유정성: 더 유정적인 주어가 능격으로 표시될 가능성이 높다.
  • 동사의 의미론: 더 능동적이거나 타동적인 동사가 능격으로 표시될 가능성이 높다.
  • 문법 구조 또는 시제-상-법


호주, 뉴기니, 티베트의 언어에서 선택적 능격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언어설명
힌디어 (인도아리아어군)능격 정렬은 동사가 완료상이고 타동사일 때만 발생한다(자동사에도 적용되지만, 의지 동사일 경우에만 해당).
파슈토어능격 정렬이 과거 시제에서만 발생한다.
조지아어능격성은 완료상에서만 나타난다.
필리핀어군 (예: 타갈로그어)때때로 능격으로 간주된다(Schachter 1976, 1977; Kroeger 1993). 그러나 이 언어군은 고유한 형태통사적 정렬을 가진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대칭적 화용론을 참조하라.
신아람어일반적으로 4개 그룹으로 분류되며, 분리 능격은 동북 신아람어와 Ṭuroyo 그룹에서만 나타난다. 이는 완료상에서만 형성되고, 미완료상은 주격-대격이다. 일부 방언은 비자타동사의 주어만을 능격으로 표시한다. 특히 아시리아 신아람어는 완료 과거 동사 어기에 능격형 구조를 가지며, 여기서 이전의 행위는 피동 구문으로 동사화되어 환자가 능동 구문이 아닌 문법적 주어로 부여된다 (예: baxta qtile ("그녀는 그에 의해 살해되었다")). 능격형의 굴절은 행위자 구문과 함께 유추에 의해 자동사로 확장되었다 (예: qim-le ("그는 일어났다")).[30] 아람어는 역사적으로 주격-대격 언어였다.[31]


4. 능격 언어의 분포

능격-절대격 언어는 세계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메소포타미아(쿠르드어 및 일부 사멸 언어), 코카서스, 아메리카 대륙, 티베트 고원, 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 일부 지역이 이에 해당한다.

4. 1. 능격 언어의 예시


5. 영어에서의 능격성 근사

영어는 파생 형태론에서 능격성과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 자동사의 경우 동사에 '-ee' 접미사를 추가하면 행동을 수행하는 사람을 나타낸다.


  • "존은 은퇴했다" → "존은 은퇴자(retiree영어)이다"
  • "존은 탈출했다" → "존은 탈출자(escapee영어)이다"


그러나 타동사의 경우 '-ee'는 행동을 받는 사람을 나타낸다.

  • "수지는 마이크를 고용한다" → "마이크는 직원(employee영어)이다"
  • "마이크는 수지를 임명했다" → "수지는 임명자(appointee영어)이다"


'-ee'영어가 타동사의 목적어를 나타내는 의미는 프랑스어 과거 분사 '-é'에서 유래했으며, 영국 영어에서 여전히 우세하다. 자동사 용법은 19세기 미국신조어이며,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서는 "escapee"를 제외하고 "주로 미국"으로 표시되어 있다.

영어에는 능격 동사가 존재하여, 타동사일 때의 목적어가 자동사일 때의 주어와 동일하다.

영어가 절을 명사화할 때,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는 소유격 또는 전치사 "of"로 표시되고, 타동사의 주어는 "by"로 표시된다.

  • "(치과의사)가 이를 뽑는다" → "치과의사의 발치"
  • "(나/편집자)는 에세이를 수정했다" → "(나의/편집자의) 에세이 수정"
  • "(나는) 물이 끓는 것에 놀랐다" → "물의 비등에 (나는) 놀랐다"
  • "나는 정시에 출발했다 (그래서 비행기를 탈 수 있었다)" → "나의 정시 출발 (덕분에 비행기를 탈 수 있었다)"

참조

[1] 서적 p. 110ff. 1989
[2] 서적 1994
[3] 문서 Some Syntactic and Morphological Features of Suleimaniye Kurdish UCLA 1985
[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9-10-29
[5] 문서 For a kind of "phonological" ergativity, see Rude (1983), also Vydrin (2011) for a detailed critique.
[6] 서적 Semantic alignment systems: what's what, and what's not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7] 서적 The Basque Language: A Practical Introduction. University of Nevada Press
[8] 논문 Nhanda: An Aboriginal Language of Western Australia 2003-06
[9] 간행물 The syntax and morphology of Basque https://iker.cnrs.fr[...] 2015-12-05
[10] 문서 Typological Variation in Grammatical Relations University of Leipzig 2011
[11] 논문 Optional ergative case marking systems in a typological-semiotic perspective. 2010
[12] 학위논문 A Reassessment of the Genetic Classification of Miluk Coos University of Oregon
[13] 서적 Ergativity 1994
[14] 서적 Language Policy in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6-04-11
[15] 서적 A Grammar of Sawu Badan Penyelenggara Seri Nusa, Universitas Atma Jaya
[16] 논문 Sumerian as an Ergative Language I
[17] 서적 Differential Subject Marking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7-12-04
[1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2-11-14
[19] 웹사이트 http://roa.rutgers.e[...]
[20] 서적 Differential Subject Marking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7-12-04
[21] 웹사이트 A Derivational Account for Sorani Kurdish Passives https://www.research[...] 2011-01-01
[22] 웹사이트 What Sorani Kurdish Absolute Prepositions Tell Us about Cliticization - Kurdish Academy of Language http://www.kurdishac[...]
[23] 논문 Fitting into morphological structure: accounting for Sorani Kurdish endoclitics https://pasithee.lib[...] 2012
[24] 웹사이트 Ergativität im Sorani-Kurdischen? https://linguistlist[...] 2007-09-17
[25] 간행물 Chapter 5. Split ergativity https://web.archive.[...] 2012-11-14
[26] 웹사이트 Chapter 5. Split ergativity https://web.archive.[...] 2012-11-14
[27] 학위논문 The acquisition of split-ergativity in Kurmanji Kurdish http://repositories.[...]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09
[28] 웹사이트 Abstract. Laura J. Mahalingappa -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http://www.ling.upen[...] upenn.edu
[29] 논문 Proto-Indo-European Ergativity... Still To Be Discussed
[30] 간행물 Neo-Aramaic and the So-called Decay of Ergativity in Kurdish Dipartamento di Linguistica Università di Firenze 2005
[31] 서적 A Grammar of Neo-Aramaic: The Dialect of the Jews of Arbel. Brill 1999
[32] 문서 Cross-Linguistic Typology of Argument Encoding in Sign Language Verbal Morphology. 2009
[33] 논문 Semantic Phonology. 1991
[34] 서적 "6f." 1994
[35] 논문 ウルドゥー語とパシュトー語の比較研究 : 能格構造を中心として http://id.nii.ac.jp/[...] 文教大学大学院言語文化研究科付属言語文化研究所 2000-03-01
[36] 서적 Dixon 1994
[37] 문서
[38] 서적 Dixon 1994
[39] 서적 Dixon 1994
[40] 서적 Dixon 1994
[41] 서적 문법역과 문법관계 도서출판 역락 2000
[42] 서적 언어와 의미 도서출판 동인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