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아킨토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아킨토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다양한 설에 따르면 클리오와 피에루스의 아들, 스파르타 왕 오이발로스의 아들, 또는 아미클라스의 아들로 묘사된다. 그는 뛰어난 미모를 지녔으며, 태양신 아폴론의 연인이었다. 아폴론과 원반 던지기 놀이를 하던 중 사고로 죽음을 맞이하거나, 서풍의 신 제피로스의 질투로 인해 죽음을 맞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히아킨토스의 죽음 이후 아폴론은 그의 피에서 히아신스 꽃을 피어나게 했으며, 스파르타에서는 히아킨토스를 기리는 히아킨티아 축제가 열렸다. 히아킨토스는 자연의 죽음과 부활을 상징하는 인물로 해석되며, 고대 그리스 문화, 예술 작품, 그리고 현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폴론 - 아드메토스
    아드메토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테살리아 페라이의 왕으로, 아폴론의 은혜로 아내 알케스티스의 희생을 통해 죽음을 면한 이야기와 아르고나우트 원정대 및 칼리돈 멧돼지 사냥 참여로 유명하며, 그의 이야기는 여러 예술 작품과 현대 문화에도 영향을 주었다.
  • 아폴론 - 키파리소스
    키파리소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아폴론 또는 실바누스와 관련된 사랑 이야기와 사이프러스 나무로 변신한 설화로 유명한 인물이며, 도시 창시자나 식물 속을 지칭하는 용어로도 쓰인다.
  • 라코니아 신화 - 헬레네
    헬레네는 그리스 신화 속 제우스와 레다의 딸이자 스파르타의 왕비로, 빼어난 미모로 인해 트로이 전쟁의 원인이 되었으며 다양한 이야기와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라코니아 신화 - 헬레네 (비극)
    헬레네는 에우리피데스가 기원전 412년에 쓴 비극으로, 트로이 전쟁의 원인으로 알려진 헬레네가 실제로는 이집트에 머물렀고 파리스와 함께 간 것은 헬레네의 환영이었다는 설정을 통해 진실과 허상, 여성의 주체성, 전쟁의 무의미함 등을 다룬다.
  • 아폴론의 남자 애인 - 아드메토스
    아드메토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테살리아 페라이의 왕으로, 아폴론의 은혜로 아내 알케스티스의 희생을 통해 죽음을 면한 이야기와 아르고나우트 원정대 및 칼리돈 멧돼지 사냥 참여로 유명하며, 그의 이야기는 여러 예술 작품과 현대 문화에도 영향을 주었다.
  • 아폴론의 남자 애인 - 헬레노스
    헬레노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트로이의 왕자이며, 트로이 전쟁에서 오디세우스에게 트로이 공략법을 알려주고, 전쟁 후에는 예언의 공로로 용서받아 헤카베와 함께 켈소네소스로 건너가거나, 안드로마케를 아내로 맞아 에페이로스를 다스리기도 했다.
히아킨토스
신화 정보
히아킨토스의 죽음
"히아킨토스의 죽음(1801), 장 브로크 그림. 히아킨토스를 죽인 원반이 그의 발치에 보인다. 무제 생트-크루아, 푸아티에, 프랑스."
신화 속 역할스파르타의 신성한 영웅
거주지스파르타, 올림포스산
배우자아폴론, 제퓌로스, 보레아스, 타미리스의 사랑을 받음
부모아미클라스디오메데
오에발루스
클리오와 피에로스
형제자매아르갈로스, 키노르타스, 라오다메이아, 하르팔로스, 헤게산드라, 폴리보이아
아미클라스의 이복 자매: 다프네
라구스
다른 이름휘아킨토스, 히아킨토스, 아미클리데스
인물 정보
그리스어 표기Ὑάκινθος (Huákinthos)
라틴어 표기Hyacinthus
영어 표기Hyacinth
설명
설명휘아킨토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스파르타의 왕 아미클라스의 아들이거나 피에로스와 클리오의 아들이다. 주로 아폴론과의 사랑 이야기로 알려져 있다.

2. 가계 및 출신

히아킨토스는 스파르타의 왕 아미클라스의 아들이라는 설이 일반적이지만, 클리오와 피에루스의 아들이나 스파르타의 왕 오이발로스의 아들이라는 설도 있었다.[2][3][4]

2. 1. 부모

히아킨토스는 지역에 따라 클리오와 피에루스의 아들,[2] 혹은 스파르타의 왕 오이발로스의 아들,[3] 또는 스파르타의 왕 아미클라스의 아들로 묘사되기도 했다.[4] 아미클라스는 스파르타 주변에 거주하는 아미클라이 사람들의 시조였다.

아미클라스와 라피테스의 딸 디오메데의 막내이자 가장 아름다운 아들로서, 히아킨토스는 키노르토스,[5] 아르갈루스,[6] 폴리보이아,[7] 라오다미아,[8] (혹은 레아니라,[9]) 하르팔루스,[10] 헤게산드라[11]의 형제였으며, 다른 버전에서는 다프네의 형제였다.[12] 만약 그가 클리오와 피에루스의 아들이라면, 히아킨토스의 형제는 라구스가 된다.

다른 설에 따르면 히아킨토스는 스파르타의 아미클라이 출신으로, 아미클라스[48][49]와 라피테스의 딸 디오메데의 아들이며,[48] 키노르테스,[48][49] 알가로스, 오이발로스와 형제이다.[49] 혹은 오이발로스의 아들이라고도 한다.[50][51]

또 다른 설에서는 펠라스 왕 피에로스 (다른 왕이라는 설도 있음)와 역사의 무사인 클레이오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이 설에 따르면 클레이오는 아프로디테가 미소년 아도니스를 사랑하는 것을 꾸짖었기 때문에, 아프로디테의 노여움을 사서 피에로스와 사랑에 빠지도록 유도되었다고 한다.[52]

2. 2. 형제자매

히아킨토스는 클리오와 피에루스의 아들,[2] 혹은 스파르타의 왕 오이발로스의 아들,[3] 혹은 스파르타의 왕 아미클라스의 아들로 묘사되기도 했다.[4] 아미클라스는 스파르타 주변에 거주하는 아미클라이 사람들의 시조였다. 아미클라스와 라피테스의 딸 디오메데의 막내이자 가장 아름다운 아들로서, 히아킨토스는 키노르토스,[5] 아르갈루스,[6] 폴리보이아,[7] 라오다미아,[8] (혹은 레아니라)[9] 하르팔루스,[10] 헤게산드라[11]의 형제였으며, 다른 버전에서는 다프네의 형제였다.[12]

다른 설에 따르면, 히아킨토스는 스파르타의 아미클라이 시 출신으로, 아미클라스[48][49]와 라피테스의 딸 디오메데의 아들이며,[48] 키노르테스,[48][49] 알가로스, 오이발로스와 형제이거나,[49] 혹은 오이발로스의 아들이라고도 한다.[50][51]

또 다른 설에서는 펠라스 왕 피에로스 (다른 왕이라는 설도 있음)와 역사의 무사인 클레이오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이 설에 따르면 클레이오는 아프로디테가 미소년 아도니스를 사랑하는 것을 꾸짖었기 때문에, 아프로디테의 노여움을 사서 피에로스와 사랑에 빠지도록 유도되었다고 한다.[52] 만약 그가 클리오와 피에루스의 아들이라면, 히아킨토스의 형제는 라구스가 된다.

3. 신화

그리스 신화에서 히아킨토스는 스파르타의 아름다운 왕자였다. 아폴론델포이의 신전을 떠나 유로타스 강가에서 히아킨토스와 함께 시간을 보낼 정도로 그를 총애했다.[14]

어느 날, 아폴론과 히아킨토스는 원반 던지기[15] 또는 공 던지기[16] 놀이를 했다. 아폴론이 던진 원반은 하늘의 구름을 가를 정도로 강력했다. 히아킨토스는 원반을 잡으려다 땅에 튀어 오른 원반에 머리를 맞아 죽었다.[2][17] 서풍의 신 제피로스가 질투심에 바람을 불어 원반 방향을 바꿔 히아킨토스를 죽게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3][18][19]

아폴론은 죽어가는 히아킨토스를 안고 슬퍼하며 암브로시아 등으로 치료하려 했지만, 운명의 여신들의 뜻을 거스를 수는 없었다.[20] 아폴론은 노래와 리라 연주로 히아킨토스를 영원히 기억하겠다고 약속하며, 그의 피에서 히아신스 꽃을 피워 꽃잎에 "AI AI"(아, 슬프다)라는 탄식을 새겼다.[17]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히아킨토스는 아폴론이 실수로 던진 원반에 맞아 죽었다.[48]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서는 스파르타인들이 히아킨티아 축제를 열어 히아킨토스를 기렸다고 한다.[53]

3. 1. 아폴론과의 사랑

그리스 신화에서 히아킨토스는 아름다운 스파르타의 왕자이자 아폴론의 연인이었다.[13] 서풍의 신 제피로스, 북풍의 신 보레아스, 타미리스도 히아킨토스를 사랑했지만, 히아킨토스는 아폴론을 선택했다. 아폴론은 히아킨토스를 너무나 사랑하여 델포이를 떠나 유로타스 강가에서 함께 시간을 보냈고, 활과 리라 사용법, 예언, 운동 등을 가르쳤다.[14]

어느 날, 아폴론과 히아킨토스는 원반 던지기[15] 또는 공 던지기[16] 게임을 했다. 아폴론이 던진 원반이 하늘을 가를 정도로 강력했는데, 히아킨토스가 원반을 잡으려다 땅에 튀어 오른 원반에 맞아 치명상을 입었다.[2][17] 다른 버전에서는 제피로스가 질투심에 아폴론의 원반을 바람으로 날려 히아킨토스를 죽였다고 한다.[3][18][19]

아폴론과 히아킨토스 (1603-1604) by 도메니키노


아폴론은 죽어가는 연인을 안고 슬퍼하며[17] 암브로시아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치료하려 했지만, 운명의 여신들이 정한 운명을 거스를 수는 없었다.[20] 아폴론은 자신의 노래와 리라 연주로 히아킨토스를 영원히 기억하겠다고 약속했고, 그의 피에서 히아신스 꽃을 피워 꽃잎에 "AI AI"(아, 슬프다)라는 탄식을 새겼다.[17] 그러나 고대 기록에 따르면 이 꽃은 현대의 히아신스가 아닌 아이리스, 제비고깔, 또는 팬지로 추정된다.[21]

''비블리오테카''에 따르면 타미리스는 최초로 남자를 사랑한 남자였다.[2] 아폴로도로스는 히아킨토스가 아폴론의 원반에 맞아 죽었다고 기록했고,[48]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서는 히아킨토스가 원반을 잡으려다 변을 당했다고 묘사했다. 아폴론은 히아킨토스를 꽃으로 만들었고, 스파르타인들은 히아킨티아 축제를 열어 그를 기렸는데, 이 축제에서는 아폴론보다 히아킨토스가 먼저 숭배되었다.[53][54]

제퓌로스가 히아킨토스를 사랑했지만 거절당했고, 질투심에 아폴론의 원반을 바람으로 조종해 히아킨토스를 죽였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50]

3. 2. 원반 던지기 사고와 죽음

어느 날 아폴론과 히아킨토스는 원반 던지기[15] 놀이를 하고 있었다. 둘은 원반을 번갈아 던지며 즐겁게 경쟁했다. 아폴론이 던진 원반은 힘이 너무 강해서 하늘의 구름을 가를 정도였다. 히아킨토스는 원반을 받으려고 달려갔지만, 땅에 떨어진 후 튀어 오른 원반에 머리를 맞아 치명적인 부상을 입고 쓰러져 죽었다.[2][17]

다른 이야기에서는 서풍의 신 제피로스가 히아킨토스의 죽음에 책임이 있다고 한다. 히아킨토스가 아폴론을 더 좋아하는 것에 질투심을 느낀 제피로스가 바람을 불어 원반의 방향을 바꾸어 히아킨토스를 죽게 했다는 것이다.[3][18][19]

아폴론은 죽어가는 연인을 품에 안고 슬픔에 잠겼다.[17] 그는 약초와 암브로시아를 써서 히아킨토스를 살리려 했지만, 운명의 여신들이 내린 상처는 치료할 수 없었다.[20] 아폴론은 자신의 노래와 리라를 통해 히아킨토스를 영원히 기억하겠다고 약속하며, 그의 피에서 히아신스 꽃을 피워냈다. 그리고 꽃잎에 "AI AI"(아, 슬프다)라는 비탄의 글자를 새겨 넣었다.[17]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따르면, 스파르타 사람들은 히아킨토스의 죽음을 기리기 위해 히아킨티아 축제를 만들었다고 한다.[53]

3. 3. 히아신스 꽃의 탄생

그리스 신화에서 히아킨토스는 놀라운 아름다움을 가진 스파르타의 왕자이자 태양신 아폴론의 연인이었다.[13] 아폴론은 히아킨토스를 너무나 사랑한 나머지, 그와 유로타스 강가에서 시간을 보내기 위해 델포이에 있는 자신의 신전을 떠날 정도였다. 아폴론은 히아킨토스에게 활과 리라를 사용하는 법, 예언의 기술, 체육관에서 운동하는 법을 가르쳤다.[14]

어느 날, 아폴론은 히아킨토스에게 원반 던지기[15] 또는 공 던지기[16] 게임을 가르치고 있었다. 그들은 원반을 번갈아 던지며 친선 경쟁을 했다. 아폴론이 먼저 던졌는데, 그 힘이 너무 강해서 원반이 하늘의 구름을 갈랐다. 히아킨토스는 원반을 되찾기 위해 달려갔으나, 원반이 땅에 닿자 튀어 올라 그의 머리를 맞혀 치명적인 부상을 입혔다.[2][17]

다른 버전의 신화에서는 제피로스가 히아킨토스의 죽음에 책임이 있다고 한다. 히아킨토스가 빛나는 아폴론을 더 선호하는 것에 질투심을 느낀 제피로스가 아폴론의 원반에 바람을 불어넣어 히아킨토스를 죽게 했다는 것이다.[3][18][19]

아폴론은 죽어가는 연인을 품에 안고 얼굴이 창백해졌다.[17] 그는 모든 종류의 약초를 사용하고 심지어 암브로시아를 주어 히아킨토스의 상처를 치료하려 했지만, 운명의 여신들이 내린 상처를 치유할 수 없었다.[20] 아폴론은 히아킨토스의 죽음에 슬퍼하며 스파르타 소년과 함께하기 위해 필멸자가 되고 싶다고 말했지만, 불멸성 때문에 불가능했다.[17] 그래서 아폴론은 자신의 노래와 리라의 음악을 통해 항상 히아킨토스를 기억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히아킨토스의 흘린 피에서 히아신스 꽃을 만들어냈고, 그 꽃잎에 비탄의 단어인 "AI AI" – "아, 슬프다"를 새겨넣었다.[17]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서는, 아폴론과 원반 던지기 놀이를 하던 중, 히아킨토스가 아폴론이 던진 원반을 잡으려 달려갔지만, 땅에 맞고 튀어 오른 원반에 머리를 맞아 죽었다고 한다. 아폴론은 죽음을 슬퍼하며 히아킨토스를 꽃으로 만들었고, 스파르타 사람들은 히아킨토스의 죽음을 기려 히아킨티아 축제를 창시했다고 기술되어 있다.[53]

일설에 따르면, 서풍의 신 제퓌로스 또한 히아킨토스를 사랑했지만, 히아킨토스는 이를 거절했다. 어느 날, 아폴론과 히아킨토스가 다정하게 원반 던지기 놀이를 하는 모습을 본 제퓌로스는 질투심에 눈이 멀어, 아폴론이 던진 원반이 히아킨토스에게 맞도록 바람을 조종하여 그를 죽게 했다고 한다.[50]

3. 4. 타미리스와의 관계

그리스 신화에서 히아킨토스는 아름다운 스파르타의 왕자였으며, 아폴론뿐만 아니라 서풍의 신 제피로스, 북풍의 신 보레아스, 그리고 타미리스라는 필멸의 남자에게도 사랑받았다.[13] ''비블리오테카''에 따르면, 타미리스는 히아킨토스에게 구애한 최초의 남자였다.[2]

4. 부활과 히아킨티아 축제

아폴론은 히아킨토스를 부활시켜 불멸을 주었다.[22] 파우사니아스는 스파르타의 아폴론 신전에 수염을 기른 히아킨토스가 폴리보이아와 함께 아프로디테, 아테나, 아르테미스에 의해 천국으로 인도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고 기록했다.[23]

4. 1. 히아킨티아 축제

알렉산드르 이바노프의 아폴론, 히아킨토스와 키파리소스가 노래를 부르고 연주하는 모습, 1831–1834


히아킨토스는 스파르타의 주요 축제 중 하나인 히아킨티아의 수호신이었다. 이 축제는 스파르타 달력의 히아킨티아(초여름)에 열렸다. 축제는 3일 동안 진행되었는데, 첫날은 히아킨토스의 죽음을 애도하고, 나머지 이틀은 그의 부활을 기념했다. 하지만 이 기념일의 구분은 학문적인 논쟁의 대상이다.[24]

첫날에는 아폴론의 다른 축제들과 달리, 사람들은 가능한 한 적게 먹고 노래를 부르지 않음으로써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둘째 날에는 소년과 젊은 남성들로 구성된 합창단이 국가 가요를 부르고 춤을 추었다. 소녀들은 장식된 버드나무 바구니에 실려 가거나, 두 마리의 말이 끄는 전차를 타고 행진하며 경주를 벌였다. 시민들은 친구들, 심지어 하인들까지 즐겁게 했다.[25] 매년 라코니아 여성들은 아폴론을 위해 키톤을 짜서 바쳤는데, 이는 파나테나이아 축제 때 아테네에서 아테나에게 바쳐진 페플로스와 유사한 전통이었다.[26] 셋째 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으며, 아마도 비의가 행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날은 "즐거운 한밤중 축제"로 묘사된다.[27]

이 축제는 매우 중요해서, 아미클라이인들은 적을 상대로 출전했을 때조차 히아킨티아 축제 시즌이 다가오면 항상 집으로 돌아왔다.[28][29] 라케다이몬인들은 에이라시와 40일간의 휴전을 맺고 고향으로 돌아와 국가 축제를 기념하기도 했다.[30] 기원전 421년 스파르타와 조약을 맺은 후, 아테네인들은 스파르타에 대한 호의를 보여주기 위해 매년 히아킨티아 축제에 참석할 것을 약속했다.[31]

5. 숭배와 상징

히아킨토스는 아미클라이에서 숭배되었던 그리스 선주민족의 식물신이었다고 전해진다.[55][56]

5. 1. 숭배

조반니 바티스타 티에폴로의 "히아킨토스의 죽음"(1752–1753). 티센-보르네미사 미술관, 마드리드.


에트루리아 문명의 오이노코에(기원전 370년경)에 등장하는 히아킨토스가 아폴론(미등장)을 백조가 끄는 비가에서 만나는 모습


히아킨토스는 아미클레이에 사당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아폴론과 공유하게 되었다.[32] 다양한 학자들은 히아킨토스가 헬레니즘 이전의 자연신이었다는 데 동의하며, 그의 숭배의 일부 측면은 그가 아폴론과 숭배가 병합된 지하의 식물 신이었음을 시사한다. 닐슨은 히아킨토스가 크레타어이며, 접미사 -nth로 그 헬레니즘 이전 기원을 나타낸다고 말한다.[32] 히아킨토스는 여름의 더위에 의해 죽임을 당하는 봄의 싹트는 식물을 의인화한다.[33] 히아킨토스의 신격화는 신성을 얻은 후 그가 쇠퇴와 갱신의 자연스러운 순환을 나타냈음을 나타낸다.[34]

타렌툼에서 폴리비우스가 히아킨토스 무덤을 "아폴론 히아킨토스"(히아킨토스가 아님)의 것으로 돌린 사실은 몇몇 사람들이 그 개체들이 하나이며, 영웅은 단순히 신으로부터의 발현이라고 생각하게 했다. 이는 라코니아에서 사용되었다고 헤시히우스가 주장하고, 아폴론-히아킨토스의 복합적인 모습을 묘사한다고 여겨지는 아폴론의 호칭 τετράχειρ에서 확인을 구한다. 이 이론에 반대하는 것은 두 인물의 본질적인 차이이다. 히아킨토스는 숭배자들이 고통받고 슬퍼하는 지하의 식물 신이다. 식물에 관심이 있지만, 아폴론의 죽음은 어떤 의식에서도 기념되지 않으며, 그의 숭배는 기쁘고 승리하며, 마지막으로, 아미클레이의 아폴론은 특히 전쟁과 노래의 신이다. 파우사니아스는 아미클라이의 기념물을 히아킨토스의 무덤을 형성하는 제단 모양의 기단 위에 서 있는 아폴론의 조잡한 형상으로 묘사한다. 후자 안으로 영웅을 위한 제물이 놓여졌고, 신에게 선물을 바치기 전에 행해졌다.[35][36][37]

히아킨토스는 아폴론으로부터 백조 전차를 선물받았고, 아폴론을 만나거나 제피로스의 접근을 피하기 위해 그것을 타고 고대 예술에 등장했다.[38] 백조는 영원한 봄과 불멸의 신비로운 땅인 히페르보레아의 새라고 여겨졌으며, 아폴론 자신도 매년 겨울 백조가 끄는 전차를 타고 그곳으로 여행을 갔다.[39][40] 히아킨토스와 백조의 이러한 연관성은 그를 히페르보레아의 아폴론과 봄과 밀접하게 연결한다. 히아킨토스는 겨울 동안 지하 세계, 또는 더 적절하게는 히페르보레아에서 지내다가 히아신스 꽃이 피는 봄에 지구로 돌아왔을 것으로 추정된다.[41]

고전적인 해석에 따르면, 그의 신화는 자연의 죽음과 부활의 은유이다. 히아킨티아 축제에는 입문 의식, 즉 청소년의 성인으로의 입문이 포함되었다.

5. 2. 상징

히아킨토스는 아미클레이에 사당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아폴론과 공유했다. 여러 학자들은 히아킨토스가 헬레니즘 이전의 자연신이었다는 데 동의하며, 그의 숭배 일부는 그가 아폴론과 숭배가 병합된 지하의 식물 신이었음을 시사한다. 닐슨은 히아킨토스가 크레타어이며, 접미사 -nth로 그 헬레니즘 이전 기원을 나타낸다고 말한다.[32] 히아킨토스는 여름 더위에 의해 죽임을 당하는 봄의 싹트는 식물을 의인화한다.[33] 히아킨토스의 신격화는 신성을 얻은 후 그가 쇠퇴와 갱신의 자연스러운 순환을 나타냈음을 보여준다.[34]

타렌툼에서 폴리비우스가 히아킨토스 무덤을 "아폴론 히아킨토스"(히아킨토스가 아님)의 것으로 돌린 사실은 몇몇 사람들이 그 개체들이 하나이며, 영웅은 단순히 신으로부터의 발현이라고 생각하게 했다. 이는 라코니아에서 사용되었다고 헤시히우스가 주장하고, 아폴론-히아킨토스의 복합적인 모습을 묘사한다고 여겨지는 아폴론의 호칭 τετράχειρ에서 확인을 구한다. 이 이론에 반대하는 것은 두 인물의 본질적인 차이이다. 히아킨토스는 숭배자들이 고통받고 슬퍼하는 지하의 식물 신이다. 식물에 관심이 있지만, 아폴론의 죽음은 어떤 의식에서도 기념되지 않으며, 그의 숭배는 기쁘고 승리하며, 아미클레이의 아폴론은 특히 전쟁과 노래의 신이다. 파우사니아스는 아미클라이의 기념물을 히아킨토스의 무덤을 형성하는 제단 모양의 기단 위에 서 있는 아폴론의 조잡한 형상으로 묘사한다. 후자 안으로 영웅을 위한 제물이 놓여졌고, 신에게 선물을 바치기 전에 행해졌다.[35][36][37]

히아킨토스는 아폴론으로부터 백조 전차를 선물받았고, 아폴론을 만나거나 제피로스의 접근을 피하기 위해 그것을 타고 고대 예술에 등장했다.[38] 백조는 영원한 봄과 불멸의 신비로운 땅인 히페르보레아의 새라고 여겨졌으며, 아폴론 자신도 매년 겨울 백조가 끄는 전차를 타고 그곳으로 여행을 갔다.[39][40] 히아킨토스와 백조의 이러한 연관성은 그를 히페르보레아의 아폴론과 봄과 밀접하게 연결한다. 히아킨토스는 겨울 동안 지하 세계, 또는 히페르보레아에서 지내다가 히아신스 꽃이 피는 봄에 지구로 돌아왔을 것으로 추정된다.[41]

고전적인 해석에 따르면, 그의 신화는 자연의 죽음과 부활의 은유이다. 히아킨티아 축제에는 입문 의식, 즉 청소년의 성인으로의 입문이 포함되었다. 히아킨토스의 피에서 솟아난 히아신스 꽃은 짙은 푸른색이나 보라색을 띠었으며, 꽃잎에는 슬픔의 상징인 "AI"라는 글자 모양의 표식이 새겨져 있었다고 한다.[42] 그러나 이 꽃은 오늘날 우리가 히아신스라고 부르는 꽃이 아니라, 제비고깔, 붓꽃, 또는 글라디올러스 이탈리쿠스와 동일시되기도 한다.[43] 젊은 시절에 꽃처럼 죽음을 맞이하고 식물로 변신한 다른 신성한 식물 숭배 신으로는 나르키소스, 키파리소스, 메콘, 아도니스 등이 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아폴론과 관련하여 히아신스라고 불리는 짙은 푸른색 또는 보라색의 보석을 연관시켰다. 그 색깔이 히아신스 꽃과 닮았기 때문에 그렇게 불렸다. 이 보석은 신화적 연결고리로 인해 아폴론에게 신성하게 여겨졌다. 아폴론 신전을 방문하는 사람들, 그의 사제들, 그리고 여사제인 퓌티아는 이 보석을 착용해야 했다.[44]

'히아신스 같은 머리카락'이라는 용어는 히아킨토스의 곱슬머리를 지칭하며, 이는 히아신스 꽃의 곱슬거리는 꽃잎과 닮았다. 이는 종종 시적으로 사용된다. 이 용어는 머리카락의 색, 즉 어둡거나 짙은 보라색을 묘사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서 아테나는 오디세우스에게 히아신스 같은 머리카락을 주어 그를 더욱 아름답게 보이게 한다. 에드거 앨런 포는 시 "헬렌에게"에서 헬렌의 머리카락을 아름답게 표현하기 위해 같은 용어를 사용했다.[45][46]

6. 해석 및 영향

그리스 신화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의 소재가 되었으며, 18세기 오스트리아에서 빈 고전파의 3대 거장 중 한 명으로 활약한 작곡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에 의해 오페라 『아폴로와 히아킨토스』의 원작이 되었다.[2]

6. 1. 고대 그리스 문화

히아킨토스는 원래 아미클라이에서 숭배되었던 그리스 선주민족의 식물신이었다고 전해진다.[55][56]

6. 2. 자연의 순환

어느 날 히아킨토스와 아폴론은 원반 던지기 놀이를 했다. 제피로스가 질투하여 원반의 방향을 바꾸었고, 히아킨토스는 튀어오른 원반에 머리를 맞아 죽었다. 그때 흘린 피에서 히아신스가 피어났다.[22] 히아킨토스는 아폴론에 의해 부활하여 불멸을 얻었다.[22] 파우사니아스는 스파르타의 아폴론 신전에 수염을 기른 히아킨토스가 폴리보이아와 함께 아프로디테, 아테나, 아르테미스에 의해 천국으로 인도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고 기록했다.[23]

히아킨토스는 스파르타의 주요 축제인 히아킨티아의 수호신이었다. 축제는 스파르타 달력의 히아킨티아(초여름)에 3일 동안 열렸는데, 첫날은 히아킨토스의 죽음을 애도하고, 나머지 이틀은 그의 부활을 기념했다.[24] 첫날에는 아폴론의 다른 축제들과 달리, 사람들은 가능한 한 적게 먹고 노래를 부르지 않음으로써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둘째 날에는 소년과 젊은 남성들로 구성된 합창단이 국가 가요를 부르고 춤을 추었다. 소녀들은 장식된 버드나무 바구니에 실려 가거나, 두 마리의 말이 끄는 전차를 타고 행진하며 경주를 벌였다. 시민들은 친구들과 하인들까지 즐겁게 했다.[25] 매년 라코니아 여성들은 아폴론을 위해 키톤을 짜서 바쳤는데, 이는 파나테나이아 축제 때 아테네에서 아테나에게 바쳐진 페플로스와 유사한 전통이었다.[26] 셋째 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으며, 아마도 비의가 행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날은 "즐거운 한밤중 축제"로 묘사된다.[27]

이 축제는 매우 중요해서, 아미클라이인들은 적을 상대로 출전했을 때조차 히아킨티아 축제 시즌이 다가오면 항상 집으로 돌아왔다.[28][29] 라케다이몬인들은 한 번은 에이라시와 40일간의 휴전을 맺고 고향으로 돌아와 국가 축제를 기념할 수 있게 했다.[30] 기원전 421년 스파르타와 조약을 맺은 후, 아테네인들은 스파르타에 대한 호의를 보여주기 위해 매년 히아킨티아 축제에 참석할 것을 약속했다.[31]

히아킨토스는 아미클레이에 사당을 가지고 있었으며, 아폴론과 공유했다. 다양한 학자들은 히아킨토스가 헬레니즘 이전의 자연신이었다는 데 동의하며, 그의 숭배의 일부 측면은 그가 아폴론과 숭배가 병합된 지하의 식물 신이었음을 시사한다. 닐슨은 히아킨토스가 크레타어이며, 접미사 -nth로 그 헬레니즘 이전 기원을 나타낸다고 말한다.[32] 히아킨토스는 여름의 더위에 의해 죽임을 당하는 봄의 싹트는 식물을 의인화한다.[33] 히아킨토스의 신격화는 신성을 얻은 후 그가 쇠퇴와 갱신의 자연스러운 순환을 나타냈음을 나타낸다.[34]

타렌툼에서 폴리비우스가 히아킨토스 무덤을 "아폴론 히아킨토스"(히아킨토스가 아님)의 것으로 돌린 사실은 몇몇 사람들이 그 개체들이 하나이며, 영웅은 단순히 신으로부터의 발현이라고 생각하게 했다. 이는 라코니아에서 사용되었다고 헤시히우스가 주장하고, 아폴론-히아킨토스의 복합적인 모습을 묘사한다고 여겨지는 아폴론의 호칭 τετράχειρ에서 확인을 구한다. 이 이론에 반대하는 것은 두 인물의 본질적인 차이이다. 히아킨토스는 숭배자들이 고통받고 슬퍼하는 지하의 식물 신이다. 식물에 관심이 있지만, 아폴론의 죽음은 어떤 의식에서도 기념되지 않으며, 그의 숭배는 기쁘고 승리하며, 마지막으로, 아미클레이의 아폴론은 특히 전쟁과 노래의 신이다. 게다가, 파우사니아스는 아미클라이의 기념물을 히아킨토스의 무덤을 형성하는 제단 모양의 기단 위에 서 있는 아폴론의 조잡한 형상으로 묘사한다. 후자 안으로 영웅을 위한 제물이 놓여졌고, 신에게 선물을 바치기 전에 행해졌다.[35][36][37]

히아킨토스는 아폴론으로부터 백조 전차를 선물받았고, 아폴론을 만나거나 제피로스의 접근을 피하기 위해 그것을 타고 고대 예술에 등장했다.[38] 백조는 영원한 봄과 불멸의 신비로운 땅인 히페르보레아의 새라고 여겨졌으며, 아폴론 자신도 매년 겨울 백조가 끄는 전차를 타고 그곳으로 여행을 갔다.[39][40] 히아킨토스와 백조의 이러한 연관성은 그를 히페르보레아의 아폴론과 봄과 밀접하게 연결한다. 히아킨토스는 겨울 동안 지하 세계, 또는 더 적절하게는 히페르보레아에서 지내다가 히아신스 꽃이 피는 봄에 지구로 돌아왔을 것으로 추정된다.[41]

고전적인 해석에 따르면, 그의 신화는 자연의 죽음과 부활의 은유이다. 히아킨티아 축제에는 입문 의식, 즉 청소년의 성인으로의 입문이 포함되었다. 히아킨토스는 원래 아미클라이에서 숭배되었던 그리스 선주민족의 식물신이었다고 전해진다.[55][56]

6. 3. 예술 작품

그리스 신화에서 히아킨토스는 스파르타의 아름다운 왕자이자 아폴론의 연인이었다.[13] 그는 제피로스, 보레아스, 타미리스에게도 구애를 받았으나, 아폴론을 선택했다. 아폴론은 히아킨토스에게 활과 리라, 예언, 운동 등을 가르쳤다.[14]

어느 날, 아폴론과 히아킨토스는 원반 던지기[15] 또는 공 던지기[16] 게임을 했다. 아폴론이 던진 원반이 땅에 튀어 올라 히아킨토스의 머리를 쳐서 그는 죽게 되었다.[2][17] 다른 버전에서는 제피로스가 질투심에 바람을 불어 히아킨토스를 죽였다고 한다.[3][18][19]

아폴론은 히아킨토스의 죽음을 슬퍼하며, 그의 피에서 히아신스 꽃을 만들고 꽃잎에 "AI AI"(아, 슬프다)라는 글자를 새겼다.[17] ''비블리오테카''는 타미리스가 히아킨토스를 사랑한 최초의 남자라고 기록했다.[2]

이 신화는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의 소재가 되었고,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오페라 『아폴로와 히아킨토스』의 원작이 되었다.

참조

[1] 문서 There have been finds of sub-Mycenaean votive figures and of votive figures from the Geometric Period, but with a gap in continuity between them at this site: "it is clear that a radical reinterpretation has taken place," Walter Burkert has observed, instancing many examples of this break in cult during the "Greek Dark Ages", including Amykles (Burkert, 'Greek Religion', 1985, p 49); before the post-war archaeology, Machteld J. Mellink, ('Hyakinthos', Utrecht, 1943) had argued for continuity with Minoan origins.
[2] 웹사이트 Apollodorus https://www.perseus.[...]
[3] 웹사이트 Lucian, 'Dialogues of the Gods http://lucianofsamos[...]
[4] 웹사이트 Apollodorus https://www.perseus.[...]
[5] 문서 Apollodorus, 1.9.5 & 3.10.3; Pausanias, 3.13.1
[6] 웹사이트 Pausanias https://www.perseus.[...]
[7] 웹사이트 Pausanias https://www.perseus.[...]
[8] 웹사이트 Pausanias https://www.perseus.[...]
[9] 웹사이트 Apollodorus https://www.perseus.[...]
[10] 웹사이트 Pausanias, 7.18.5 (Achaica) https://books.google[...]
[11] 문서 Scholia on Homer, 'Odyssey' 4.10; Pherecydes, fr. 132
[12] 문서 Parthenius, 'Erotica Pathemata' 15
[13] 웹사이트 Plutarch, 'Numa' https://topostext.or[...]
[14] 문서 Philostratus the younger, Imagines
[15] 웹사이트 HYACINTHUS (Hyakinthos) - Spartan Prince of Greek Mythology https://www.theoi.co[...] 2024-05-21
[16] 웹사이트 Hyacinth Plant: The Legend http://www.plant-car[...] 2024-05-21
[17] 웹사이트 Ovid, 'Metamorphoses http://www.perseus.t[...]
[18] 문서 Maurus Servius Honoratus, commentary on Virgil 'Eclogue' 3. 63
[19] 문서 Philostratus of Lemnos, 'Imagines' 1.24
[20] 문서 Bion, Poems 11 (trans. Edmonds)
[21] 서적 Plants and Plant Lore in Ancient Greece Leopard Head Press 2000
[22] 웹사이트 Nonnus, 'Dionysiaca' https://topostext.or[...]
[23] 웹사이트 Pausanias https://www.perseus.[...]
[24] 문서 As Colin Edmonson points out, Edmonson, "A Graffito from Amykla", 'Hesperia' '28'.2 (April – June 1959:162–164) p. 164, giving bibliography note 9.
[25] 문서 Athenaeus, 'Deipnosophistae' 4.139
[26] 웹사이트 Pausanias https://www.perseus.[...]
[27] 문서 Euripides, 'Helen'
[28] 문서 Xenophon, 'Hellenics' IV.5 § 11
[29] 웹사이트 Pausanias https://www.perseus.[...]
[30] 웹사이트 Pausanias https://www.perseus.[...]
[31] 문서 Thucydides, 5.23
[32] 서적 The Origins of Greek Religion
[33] 문서 Schömann, Alterth. 2.404
[34] 서적 Immortal Yearnings: Mystical Imaginings and Primordial Affirmations of the Afterlife
[35] 서적 Cults of the Greek States 1907
[36] 서적 Adonis, Attis, Osiris 1906
[37] 간행물 Hyakinthos Roscher, Lexikon d. griech. u. röm. Myth.
[38] 서적 Cults of Apollo at Sparta: the hyakinthia, the gymnopaidai and the karneia
[39] 논문 Amber, Avallon, and Apollo's Singing Swan
[40] 시 Hymn to Apollo
[41] 논문 Amber, Avallon, and Apollo's Singing Swan
[42] 서적 Ovid. Metamorphoses http://worldcat.org/[...] W. Heinemann 1958–60
[43] 서적 Roots and Routes: Poetics at New College of California https://books.google[...] Vernon Press 2020-10-06
[44] 서적 Precious Stones and Their Stories
[45] 논문 Odysseus' "Hyacinthine Hair" in "Odyssey" 6.231
[46] 웹사이트 To Helen: Stanza 2 Summary Shmoop University, Inc. 2008-11-11
[47] 서적 名画の謎 中野京子と読み解く ギリシャ神話篇 文藝春秋
[48] 문서 아포로도로스、3巻10・3。
[49] 문서 파우사니아스、1巻1・3。
[50] 문서 ルキアノス『神々の対話』。
[51] 문서 ヒュギーヌス、271話。
[52] 문서 アポロドーロス、1巻3・2。
[53] 문서 『変身物語』10巻。
[54] 문서 パウサニアス、3巻19・3。
[55] 서적 ギリシア神話(上)
[56]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