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3대 국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13대 국회는 1988년 5월 30일부터 1992년 5월 29일까지 4년간 존속했다. 개원 당시 국회의장은 김재순이었으며, 1990년 박준규가 의장직을 수행했다. 13대 국회는 민주정의당, 평화민주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의 4당 체제로 시작했으나, 1990년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출범하면서 정치 지형이 크게 변화했다. 이후 잦은 정당 간 합당, 분당, 의원들의 탈당 및 입당으로 정당별 의석 변동이 심했으며, 1991년 평화민주당과 신민주연합당의 합당으로 민주당이 창당되었다. 국회는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누어 상임위원회를 운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 - 3당 합당
1990년 노태우 정부 주도로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이 합당하여 민주자유당을 창당한 3당 합당은 안정적인 국정 운영 도모, 각 당 총재들의 정치적 이해관계, 내각제 개헌 조건 등의 배경 속에서 거대 여당 탄생 및 정국 주도권 확보를 가져왔으나, 지역주의 심화 및 민주 진영 분열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 후반기 의장단 선거
대한민국 제13대 국회 후반기 의장단 선거는 1990년 9월과 10월에 걸쳐 국회의장과 국회부의장을 선출한 선거로, 국회의장에 민주자유당 박준규 의원, 국회부의장에 민주자유당 김재광 의원과 평화민주당 조윤형 의원이 당선되었으며, 여당인 민주자유당은 후보를 내정하는 과정에서 내부 경쟁과 갈등을 겪었다. - 대한민국의 선거에 관한 -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7월 30일과 10월 29일에 국회의원 및 기초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으며, 7월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했고, 10월 선거는 새누리당의 승리로 끝나 야당이 분열되는 결과를 낳았다. - 대한민국의 선거에 관한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는 2012년 4월 11일에 실시되었으며, 새누리당이 152석을 얻어 과반 의석을 확보했고, 야권연대, 선거구 조정, 투표율 54.3% 등의 특징을 보였다. - 대한민국의 정부 기관에 관한 - 정진석 (정치인)
정진석은 1960년 충청남도 공주 출생으로 한국일보 기자 출신이며, 16, 17, 18, 20, 21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이명박 정부에서 대통령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냈으며, 20대 국회에서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국회 부의장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정부 기관에 관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대한민국 제13대 국회 - [의회]에 관한 문서 | |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 | |
![]() | |
의회 체제 | 단원제 |
의장 칭호 | 의장 |
의장 | 김재순 |
의장 정당 | 민주정의당 |
부의장 칭호 | 부의장 |
정원 | 299석 |
의원 임기 | 4년 |
![]() | |
![]() | |
정당 구성 (1988년 4월 기준) | |
여당 | (125) ' 민주정의당 (125)' |
야당 | (174) ' 평화민주당 (70)' ' 통일민주당 (59)' ' 신민주공화당 (35)' ' 한겨레민주당 (1)' ' 무소속 (9)' |
위원회 | |
합동 위원회 | |
선거 제도 | |
이전 선거 | |
이전 선거 | 1988년 4월 26일 |
의사당 | |
![]() | |
의사당 위치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1(여의도동) |
2. 임기
1988년 5월 30일부터 1992년 5월 29일까지 4년이다.
대한민국 제13대 국회는 1988년 5월 30일에 개원했다. 초기에는 민주정의당, 평화민주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의 4당 체제였으나, 1990년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출범하면서 정치 지형이 크게 변화했다.
3. 국회의 구성
3. 1. 의장단 및 정당별 구성
13대 국회는 개원 당시 민주정의당, 평화민주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의 4당 체제였으나, 1990년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출범하면서 정치 지형이 크게 변화했다.
1988년 5월 30일 ~ 1990년 5월 29일 | 1990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
---|---|---|---|---|
국회의장 | 김재순 | 박준규 | ||
국회부의장 | 노승환 (평화민주당) | 김재광 (통일민주당) | 김재광 (민주자유당) | 조윤형 (평화민주당) |
교섭단체명 | 정당명 | 1988년 총선 당시 | 1992년 총선 당시 | ||||
---|---|---|---|---|---|---|---|
지역구 | 전국구 | 합계 | |||||
민주자유당 | 민주자유당 |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흡수 통합 | 139석 | 54석 | 193석 | ||
민주정의당 | 민주정의당 | 87석 | 38석 | 125석 | 민주자유당으로 신설합당 | ||
민주당 | 민주당 | 신민주연합당과 통합 | 50석 | 14석 | 64석 | ||
평화민주당 | 평화민주당 | 54석 | 16석 | 70석 | 민주당으로 신설합당 | ||
통일민주당 | 통일민주당 | 46석 | 13석 | 59석 | 민주자유당으로 신설합당 | ||
신민주공화당 | 신민주공화당 | 27석 | 8석 | 35석 | 민주자유당으로 신설합당 | ||
비교섭단체 | |||||||
통일국민당 | 신생정당 | 8석 | 8석 | ||||
신정치개혁당 | 신생정당 | 4석 | 1석 | 5석 | |||
한겨레민주당 | 1석 | 1석 | 등록취소 (평화민주당와 합당) | ||||
무소속 | 9석 | 9석 | 20석 | 6석 | 26석 | ||
계 | 224석 | 75석 | 299석 | 221석 | 75석 | 296석 |
3. 2. 정당별 의석 변동
13대 국회는 잦은 합당, 분당, 탈당, 입당 등으로 인해 정당별 의석 변동이 매우 심했다.교섭단체명 | 정당명 | 1988년 총선 당시 | 1992년 총선 당시 | ||||
---|---|---|---|---|---|---|---|
지역구 | 전국구 | 합계 | |||||
민주자유당 | 민주자유당 |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흡수 통합 | 139석 | 54석 | 193석 | ||
민주정의당 | 민주정의당 | 87석 | 38석 | 125석 | 민주자유당으로 신설합당 | ||
민주당 | 민주당 | 신민주연합당과 통합 | 50석 | 14석 | 64석 | ||
평화민주당 | 평화민주당 | 54석 | 16석 | 70석 | 민주당으로 신설합당 | ||
통일민주당 | 통일민주당 | 46석 | 13석 | 59석 | 민주자유당으로 신설합당 | ||
신민주공화당 | 신민주공화당 | 27석 | 8석 | 35석 | 민주자유당으로 신설합당 | ||
비교섭단체 | |||||||
통일국민당 | 신생정당 | 8석 | 8석 | ||||
신정치개혁당 | 신생정당 | 4석 | 1석 | 5석 | |||
한겨레민주당 | 1석 | 1석 | 등록취소 (평화민주당와 합당) | ||||
무소속 | 9석 | 9석 | 20석 | 6석 | 26석 | ||
계 | 224석 | 75석 | 299석 | 221석 | 75석 | 296석 |
1990년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의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창당되면서 여소야대 정국이 해소되었다.[1] 1991년에는 평화민주당과 신민주연합당이 합당하여 민주당이 창당되었다.[1]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0%;"
! 날짜 !! 이름 !! 소속정당 !! 선거구 !! 사유 !! 정당별
증감 !! 의석 수
|-
|1988년 4월 28일 || 박형오 ||한겨레민주당 → 평화민주당 ||전남 신안군 ||당적변경 ||±1 ||민주정의당 125석
평화민주당 71석
통일민주당 59석
신민주공화당 35석
무소속 9석
|-
|1988년 5월 6일 || 류승규 || 무소속 → 통일민주당 ||강원 태백시 || 민주당 입당 ||±1 ||민주정의당 125석
평화민주당 71석
통일민주당 60석
신민주공화당 35석
무소속 8석
|-
| 1988년 12월 19일 || 강영훈
최창윤
→ 심기섭
안찬희
| 민주정의당 || 전국구 || 강영훈 총리 지명, 최창윤 정무수석 임명으로 사퇴, 심기섭, 안찬희 승계
|-
|rowspan=4 |1989년 1월 12일 || 이해구
홍희표
고세진
이기빈 ||rowspan=4 |무소속 → 민주정의당 ||경기 안성군
강원 동해시
제주시
북제주군 ||rowspan=4 | 민정당 입당 ||rowspan=4 |±4 ||민주정의당 129석
평화민주당 71석
통일민주당 60석
신민주공화당 35석
무소속 4석
|-
|rowspan=2 |1989년 3월 14일
1989년 4월 14일 ||rowspan=2 | 홍희표 ||rowspan=3 |민주정의당 ||rowspan=2| 강원 동해시 || 당선무효
재선거 당선 || -1
+1 ||민주정의당 129석
평화민주당 71석
통일민주당 60석
신민주공화당 35석
무소속 4석
|-
|1989년 5월 26일 ||김명섭 ||서울 영등포구 을 || 당선무효 || -1 ||민주정의당 128석
평화민주당 71석
통일민주당 60석
신민주공화당 35석
무소속 4석
|-
|1989년 6월 28일 || 서경원 ||평화민주당 → 무소속 ||전남 함평군·영광군 || 밀입북사건으로 인해 평민당에서 제명 || ±1 ||민주정의당 128석
평화민주당 70석
통일민주당 60석
신민주공화당 35석
무소속 5석
|-
|1989년 7월 1일 || 서석재 ||통일민주당 → 무소속 ||부산 사하구 || 민주당 탈당 || ±1 ||민주정의당 128석
평화민주당 70석
통일민주당 59석
신민주공화당 35석
무소속 6석
|-
|1989년 8월 18일 || 나웅배 ||민주정의당||서울 영등포구 을 ||재선거 당선|| +1 ||민주정의당 129석
평화민주당 70석
통일민주당 59석
신민주공화당 35석
무소속 6석
|-
|1990년 1월 5일 || 정호용 ||민주정의당||대구 서구 갑 || 사퇴 || -1 ||민주정의당 128석
평화민주당 70석
통일민주당 59석
신민주공화당 35석
무소속 6석
|-
|1990년 1월 13일 || 김완태 ||민주정의당||충북 진천군·음성군||사망|| -1 ||민주정의당 127석
평화민주당 70석
통일민주당 59석
신민주공화당 35석
무소속 6석
|-
|rowspan=5 |1990년 2월 15일 || 장석화
김광일
노무현
김정길
이기택 ||rowspan=5 |통일민주당 → 무소속 ||서울 영등포구 갑
부산 중구
부산 동구
부산 영도구
부산 해운대구 ||rowspan=5 | 민주당 탈당 ||rowspan=5 | ±5 ||rowspan=9 |민주자유당 215석
평화민주당 70석
무소속 12석
|-
| ||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 → 민주자유당|| || 삼당합당, 민주자유당 원내 과반수 확보, 원내교섭단체 양당체제 재편
|-
|1990년 2월 16일
1990년 3월 5일 || 유한열
정몽준 ||rowspan=2 |무소속 → 민주자유당||충남 금산군
경남 울산시 동구 ||rowspan=2 | 민자당 입당 || ±1
±1 ||민주자유당 217석
평화민주당 70석
무소속 10석
|-
| 1990년 3월 21일 || 이희일
→ 권오석
| 민주자유당 || 전국구 || 이희일 동력자원부 장관 임명으로 사퇴, 권오석 승계
|-
|rowspan=2 |1990년 4월 3일 || 문희갑
허탁 ||민주자유당
무소속|| 대구 서구 갑
충북 진천군·음성군||rowspan=2 |보궐선거 당선|| +1
+1 ||민주자유당 218석
평화민주당 70석
무소속 11석
|-
|rowspan=8 |1990년 6월 18일 || 이철
장석화
박찬종
김광일
노무현
김정길
이기택
허탁 ||rowspan=8 | 무소속 → 민주당 ||서울 성북구 갑
서울 영등포구 갑
서울 서초구 갑
부산 중구
부산 동구
부산 영도구
부산 해운대구
충북 진천군·음성군||rowspan=8 |민주당 창당 ||rowspan=8 | ±8 ||민주자유당 218석
평화민주당 70석
민주당 8석
무소속 3석
|-
|1990년 8월 24일
1990년 11월 9일 || 서경원
이수인 ||무소속
평화민주당 ||rowspan=2 |전남 함평군·영광군 || 밀입북사건으로 의원직 상실
보궐선거 당선|| -1
+1 ||민주자유당 218석
평화민주당 71석
민주당 8석
무소속 2석
|-
| 1990년 12월 28일 || 손주환
→ 최상진
| 민주자유당 || 전국구 || 손주환 청와대 정무수석 임명으로 사퇴, 최상진 승계
|-
|1991년 1월 26일 || 박진구 ||민주자유당 → 무소속||경남 울주군|| 민자당 탈당|| ±1 ||민주자유당 217석
평화민주당 71석
민주당 8석
무소속 3석
|-
|1991년 2월 14일 || 이원배 ||평화민주당 → 무소속||서울 강서구 갑|| 평민당 탈당|| ±1 ||민주자유당 217석
평화민주당 70석
민주당 8석
무소속 4석
|-
|1991년 2월 19일 || 김인곤 ||민주자유당 → 무소속||전국구|| 민자당 탈당|| ±1 ||민주자유당 216석
평화민주당 70석
민주당 8석
무소속 5석
|-
|1991년 4월 8일 || 이교성 ||평화민주당 → 무소속||전국구|| 평민당 탈당|| ±1 ||민주자유당 216석
평화민주당 69석
민주당 8석
무소속 6석
|-
|1991년 4월 15일 || || 평화민주당 → 신민주연합당 || || 당명변경 || ||민주자유당 216석
신민주연합당 69석
민주당 8석
무소속 6석
|-
|1991년 4월 16일 || 이교성 ||무소속 → 민주당||전국구(평화민주당)|| 민주당 입당|| ±1 ||민주자유당 216석
신민주연합당 69석
민주당 9석
무소속 5석
|-
|1991년 5월 3일 || 김인곤 ||무소속 → 신민주연합당||전국구(신민주공화당)|| 신민주연합당 입당|| ±1 ||민주자유당 216석
신민주연합당 70석
민주당 9석
무소속 4석
|-
|rowspan=2 |1991년 5월 29일
1991년 5월 30일
1991년 5월 31일 || 유기준
이철용
김길곤
이해찬 ||민주자유당 → 무소속
rowspan=3 |신민주연합당 → 무소속||경기 광주군
서울 도봉구 을
전남 담양군·장성군
서울 관악구 을|| 민자당 탈당
rowspan=3 | 신민주연합당 탈당|| ±1
±1
±1
±1 ||민주자유당 215석
신민주연합당 67석
민주당 9석
무소속 8석
|-
|1991년 7월 24일 || 김현 ||무소속 → 민주당||대전시 동구 갑|| 민주당 입당|| ±1 ||민주자유당 215석
신민주연합당 67석
민주당 10석
무소속 7석
|-
|1991년 8월 19일 || 김동영 ||민주자유당||경남 거창군||사망|| -1 ||민주자유당 214석
신민주연합당 67석
민주당 10석
무소속 7석
|-
|rowspan=2 |1991년 9월 16일 || 박찬종
김광일
||rowspan=2 |민주당 → 무소속 ||서울 서초구 갑
부산 중구 ||rowspan=2 | 민주당 탈당 ||rowspan=2 | ±2 ||rowspan=4 |민주자유당 214석
민주당 75석
무소속 9석
|-
| || 신민주연합당
민주당 → 민주당|| || 신민주연합당과 민주당 합당
|-
|1992년 1월 7일
1992년 1월 24일|| 정몽준
김동주 ||rowspan=2 |민주자유당 → 무소속||경남 울산시 동구
경남 양산군 ||rowspan=2 | 민자당 탈당 || ±1
±1 ||민주자유당 212석
민주당 75석
무소속 11석
|-
|1992년 1월 28일
1992년 1월 29일 || 이찬구
김득수 ||rowspan=2 |민주당 → 무소속||경기 성남시 을
전북 익산군 ||rowspan=2 | 민주당 탈당 || ±1
±1 ||민주자유당 212석
민주당 73석
무소속 13석
|-
|1992년 1월 31일 || 최이호 ||민주자유당 → 무소속||전국구|| 민자당 탈당 || ±1 ||민주자유당 211석
민주당 73석
무소속 14석
|-
|rowspan=2 |1992년 2월 7일 || 이해찬
오한구 ||무소속 → 민주당
rowspan=3 |민주자유당 → 무소속||서울 관악구 을
경북 영양군·봉화군|| 민주당 복당
rowspan=3 | 민자당 탈당 || ±1
±1 ||민주자유당 210석
민주당 74석
무소속 14석
|-
|rowspan=2 |1992년 2월 8일 || 심기섭
연제원 ||rowspan=2 |전국구 ||rowspan=2 | ||rowspan=2 | ±2 ||민주자유당 208석
민주당 74석
무소속 16석
|-
|rowspan=4 |1992년 2월 10일 || 김광일
이찬구
정몽준
박진구 ||rowspan=4 | 무소속 → 통일국민당 ||부산 중구
경기 성남시 을
경남 울산시 동구
경남 울주군||rowspan=4 |통일국민당 창당 ||rowspan=4 | ±4 ||rowspan=7 |민주자유당 207석
민주당 68석
통일국민당 4석
무소속 12석
|-
| 조윤형
정웅
손주항
박형오
이형배
조희철 ||rowspan=6 | 민주당 → 무소속 ||서울 성북구 을
광주 북구
전북 전주시 을
전남 신안군
전국구
전국구 ||rowspan=6 |민주당 탈당 ||rowspan=6 | ±6
|-
|1992년 2월 11일 || 황성균
이재연||rowspan=2 |민주자유당 → 무소속||경남 삼천포시·사천군
경북 경산군·청도군||rowspan=2 | 민자당 탈당 || ±1
±1 ||민주자유당 206석
민주당 68석
통일국민당 4석
무소속 13석
|-
|rowspan=2 |1992년 2월 13일 || 노승환
이덕호
박지원 ||민주당 → 무소속
rowspan=2 |민주자유당 → 무소속||서울 마포구 갑
경기 동두천시·양주군
경기 화성군|| 민주당 탈당
rowspan=2 | 민자당 탈당 || ±1
rowspan=2 | ±2 ||민주자유당 204석
민주당 67석
통일국민당 4석
무소속 16석
|-
|rowspan=2 |1992년 2월 14일
1992년 2월 15일 || 박종태
이학봉
정창화 ||민주당 → 무소속
rowspan=3 |민주자유당 → 무소속||광주 서구 을
경남 김해시·김해군
경북 의성군 || 민주당 탈당
rowspan=3 | 민자당 탈당 || ±1
±1
±1 ||민주자유당 201석
민주당 67석
통일국민당 4석
무소속 19석
|-
|rowspan=2 |1992년 2월 17일 || 김길홍
조윤형 ||전국구
무소속 → 통일국민당||
서울 성북구 을||
통일국민당 입당 || ±1
±1 ||민주자유당 200석
민주당 67석
통일국민당 5석
무소속 19석
|-
|1992년 2월 19일
1992년 2월 21일 || 정상구
김종식||rowspan=2 |민주자유당 → 무소속||부산 남구 을
충남 천원군||rowspan=2 | 민자당 탈당 || ±1
±1 ||민주자유당 198석
민주당 67석
통일국민당 5석
무소속 21석
|-
|1992년 2월 26일 || 김동주 ||무소속||경남 양산시|| 의원직 사퇴 || ±1 ||민주자유당 198석
민주당 67석
통일국민당 5석
무소속 20석
|-
|rowspan=4 |1992년 2월 28일 || 이원배
이태섭
오용운
이상옥 ||무소속
rowspan=2 |민주자유당
민주당 → 무소속||서울 강서구 갑
서울 강남구 을
충북 청주시 을
진안군·무주군·장수군|| 의원직 상실
rowspan=2 |
민주당 탈당 || ±1
±2
±1 ||민주자유당 196석
민주당 66석
통일국민당 5석
무소속 20석
|-
|1992년 3월 1일 || 박병선 ||민주자유당 → 통일국민당||충남 예산군||당적변경|| ±1 ||민주자유당 195석
민주당 66석
통일국민당 6석
무소속 20석
|-
|rowspan=2 |1992년 3월 3일 || 이돈만
이상옥 ||민주당 → 통일국민당
무소속 → 통일국민당||전남 광양군
진안군·무주군·장수군||당적변경
입당|| ±1
±1 ||민주자유당 195석
민주당 65석
통일국민당 8석
무소속 19석
|-
|rowspan=5 |1992년 3월 4일 || 박찬종
정웅
김봉욱
김득수
송현섭||rowspan=4 | 무소속 → 신정치개혁당
민주당 → 신정치개혁당 ||서울 서초구 갑
광주 북구
3. 3. 상임위원회
13대 국회는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누어 상임위원회를 운영하였다. 각 위원회의 위원장은 여야 간 협상을 통해 선출되었다.[1]위원회 | 이름 | 소속정당 |
---|---|---|
국회운영위원회 | 김윤환 | 민주정의당 |
이한동 | 민주정의당 | |
김동영 | 통일민주당 | |
법제사법위원회 | 이치호 | 민주정의당 |
외무통일위원회 | 김현욱 | 민주정의당 |
행정위원회 | 박용만 | 통일민주당 |
내무위원회 | 정동성 | 민주정의당 |
오한구 | 민주정의당 | |
재무위원회 | 정순덕 | 민주정의당 |
경제과학위원회 | 유준상 | 평화민주당 |
국방위원회 | 유학성 | 민주정의당 |
문교공보위원회 | 정대철 | 평화민주당 |
농수산위원회 | 김종기 | 민주정의당 |
상공위원회 | 허경만 | 평화민주당 |
동력자원위원회 | 황낙주 | 통일민주당 |
보건사회위원회 | 신상우 | 통일민주당 |
노동위원회 | 김영배 | 평화민주당 |
한광옥 | 평화민주당 | |
교통체신위원회 | 이대엽 | 신민주공화당 |
건설위원회 | 오용운 | 신민주공화당 |
위원회 | 이름 | 소속정당 |
---|---|---|
국회운영위원회 | 김동영 | 민주자유당 |
김윤환 | 민주자유당 | |
김종호 | 민주자유당 | |
이자헌 | 민주자유당 | |
법제사법위원회 | 김중권 | 민주자유당 |
외무통일위원회 | 박정수 | 민주자유당 |
행정위원회 | 정상구 | 민주자유당 |
내무위원회 | 오한구 | 민주자유당 |
재무위원회 | 김영구 | 민주자유당 |
경제과학위원회 | 김봉호 | 평화민주당 |
신순범 | 평화민주당 | |
국방위원회 | 김영선 | 민주자유당 |
문교공보위원회 | 김원기 | 평화민주당 |
농림수산위원회 | 정창화 | 민주자유당 |
상공위원회 | 이재근 | 평화민주당 |
박종태 | 평화민주당 | |
동력자원위원회 | 최형우 | 민주자유당 |
유한열 | 민주자유당 | |
보건사회위원회 | 황명수 | 민주자유당 |
노동위원회 | 한광옥 | 평화민주당 |
교통체신위원회 | 이대엽 | 민주자유당 |
건설위원회 | 오용운 | 민주자유당 |
김용채 | 민주자유당 |
4. 주요 사건 및 활동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하겠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