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 국민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 국민주의는 한국 민족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강조하는 사상으로, 역사적으로 신라 시대부터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외세에 저항하며 민족 정체성을 지키는 수단으로 강조되었으며, 독립 운동의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해방 이후 남북 분단과 냉전, 그리고 현대 사회의 변화 속에서 한국 국민주의는 다양한 쟁점과 비판에 직면해 있다. 주요 쟁점으로는 민족 정체성과 순혈주의, 반일 감정과 역사 인식, 남북 관계와 통일 문제 등이 있으며, 배타적이고 국수주의적인 성향, 역사 왜곡 시도, 주변 민족에 대한 우월주의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민족주의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대한민국의 보수주의는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법치주의, 강력한 한미 동맹을 기반으로 반공주의와 민족주의를 중시하며, 경제 개입주의를 옹호하는 경향과 소득 재분배에 대한 제한적인 입장을 취하고, LGBT 권리와 페미니즘에 반대하는 경향이 있으며, 역사적으로 권위주의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을 받아왔으나 1987년 민주화 이후 신자유주의적 가치를 강조하며 변화를 거듭해왔다.
  • 대한민국의 민족주의 - 안중근
    안중근은 1879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고 동양 평화를 주장하며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이다.
  • 한민족 - 조선족
    조선족은 중국 국적을 가진 한민족으로, 만주 지역 이주민의 후손이며, 한국어와 고유 문화를 유지하며, 1990년대 이후 한국으로의 이주가 증가하여 한국 내 최대 외국인 집단을 이룬다.
  • 한민족 - 마한
    마한은 기원전 3세기부터 5세기까지 한반도 서남부에 존재했던 소국 연맹으로, 농업 기반의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키다 백제에 병합되었다.
  • 한국 국민주의 - 한국의 민족주의
    한국의 민족주의는 순혈주의에 기반한 방어적 민족주의 성격을 띠며, 역사적 배경과 이념 대립 속에서 형성되었으나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며 비판적 논의와 차별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 한국 국민주의 - 주체사상파
    주체사상파(주사파)는 주체사상을 지도 이념으로 삼는 세력으로, 1980년대 대한민국 학생운동권에서 헤게모니를 장악하며 반미, 민족주의적 성향을 보였으나, 종북 논란과 함께 제도권 정당으로 진출하거나 뉴라이트 운동에 가담하기도 했으며, 진보적 사상을 가진 사람이나 단체를 싸잡아 부르는 용어 오용 문제도 존재한다.
한국 국민주의
개요
유형정치 이념
정의민족주의: 한국 민족을 중심으로 한 민족주의.
국민주의: 대한민국을 중심으로 한 국가주의.
특징
주요 관점한민족의 혈통적, 문화적 동질성 강조
대한민국 중심의 정치적, 사회적 통합 추구
긍정적 기능국민 통합
애국심 고취
민족 문화 발전
부정적 기능배타성
역사 왜곡
소수자 차별
역사
기원대한제국 시기 애국계몽운동
발전일제강점기 독립운동
현대남북 분단 상황 속 반공주의 와 결합
경제 성장 과정에서 국가주의 강화
사상적 기반
단군 신화민족의 기원에 대한 신화적 이야기
홍익인간한국의 교육 이념
실학 사상실사구시의 개혁주의
주요 내용
민족 공동체 의식한민족은 단일 민족이라는 믿음
역사, 문화, 언어 공유
국가 발전경제 성장, 국방력 강화 등 국가 역량 강화
선진국 진입 목표
문화적 자긍심한국 문화의 우수성 강조
전통 문화 보존 및 발전
주요 주장
민족의 자주성과 독립 강조외부 세력의 간섭 배제
민족 통일남북 관계 개선 및 평화 통일 추구
국가 정체성 확립국민 의식 고취 및 애국심 함양
쟁점
다문화 사회이민자 증가에 따른 민족 정체성 변화 논쟁
세계화국가 주권 약화 및 문화적 다양성 증진 논쟁
역사 문제과거사 청산 및 역사 교육 논쟁
비판
배타적 민족주의타 문화에 대한 차별 및 혐오 조장
국수주의로 변질될 위험
역사 왜곡민족 중심적 역사관에 따른 객관성 결여
과거사 미화 및 책임 회피
획일주의개인의 자유 및 다양성 억압
비판적 사고 저해
관련 항목
사상 및 운동애국심
민족주의
반일 감정
반공주의
국수주의
역사적 사건3.1 운동
6.25 전쟁
IMF 외환 위기
2002년 FIFA 월드컵
관련 인물김구
박정희
이승만
같이 보기
관련 주제국가주의
애국주의
민족
민족주의
한민족
대한민국
한국의 민족주의
한국의 반일 감정
대동단결선언

2. 역사

한국 민족주의는 역사적으로 외세의 침략과 간섭에 대한 저항 과정에서 형성되고 발전했다. 1871년 교조 신원 운동에서 이어진 1894년 동학 농민 운동은 외세에 저항한 한국 독립운동의 뿌리로 평가된다. 이후 의병 운동, 문화적, 사회적인 독립운동이 일어났으며, 광복 이후에는 통일 운동으로 이어졌으나 실패하고, 분단 이후에는 남북한 양측의 권위주의 정권이 각 체제의 우월성을 전제로 한 통일을 지향하는 내셔널리즘을 형성했다. 남한의 재야 세력들은 북한을 존중하며 대화와 평화통일을 추구하는 내셔널리즘을 형성했고, 대한민국 민주화 이후에는 통일 운동으로 이어졌다.[6]

2. 1. 고대 ~ 조선 시대

신라는 삼한을 통일했다고 주장했으며, 고려는 국호에서 고구려 계승 의식을 드러냈다. 조선고조선에서 국호를 따왔다.[6] 그러나 조선 시대에는 중국 역대 왕조에 조공을 바치고 책봉을 받는 등 사대주의[112]와 스스로를 중국 문명 (대중화)에 이은 "소중화 사상"이 있었다. 일본이나 만주를 문화적으로 열등한 오랑캐로 여기는 경향도 있었다. 1871년 교조 신원 운동에서 이어진 1894년 동학 농민 운동은 외세에 저항한 한국 독립운동의 뿌리로 평가된다.

2. 2. 일제강점기

19세기 후반, 한국의 민족주의는 여러 저항 운동으로 대표되었다. 19세기 후반에 제국주의의 확장에 따라 외세가 침입해오자 한국인들은 외국에 대해 저항하면서 동시에 자신들만의 민족 정체성을 구축하기 시작했다.[7]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한국의 민족주의 운동의 뿌리는 외부 영향에 대한 저항에 있었다.

1910년부터 시작된 일본에 의한 점령기 내내 한국의 민족주의 운동가들은 한국, 중국, 특히 만주와 중국 본토, 극동 러시아 영토에서 일제에 대항하며 독립을 위한 투쟁을 지속했다. 특히 1919년 일어난 3.1 운동은 일반 민중에게 민족감정을 고취시키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성립의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본격적인 독립운동의 효시로 평가받는다. 이후 임시정부를 비롯한 여러 독립운동가 및 단체들은 무력적, 비폭력적, 문화적,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저항을 실시했다.[6]

중국 상하이 황푸 구 루이진 제2로 50번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발상지


식민지 시대에 일본 제국의 동화 정책은 한국인과 일본인이 같은 기원을 가졌지만, 한국인은 항상 열등하다고 주장했다. 순수 혈통 이론은 식민주의 정책을 정당화하고 한국 문화 전통을 일본 문화로 대체하여 모든 차별을 없애고 한국인과 일본인 간의 평등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었다.[20] 이전에 아이누와 류큐인에게 했던 것처럼, 일본의 광범위한 문화 말살 정책에는 창씨개명, 일본어 전용, 일본 "윤리 체계" 학교 교육, 신토 숭배 등이 포함되었다.[20] 이 정책은 한국어, 문화, 역사를 억압하는 강제 동화 시도였다.[21]

이에 맞서, 현대 한국 민족주의 사학의 창시자이자 한국 독립 운동 운동가인 신채호 (1880–1936)는 1924년부터 1922년까지 재구성된 역사서인 ''조선상고사''를 출판했다. 그는 한국인이 만주의 부여와 융합하여 고구려를 형성한 한국 민족의 전설적인 조상인 단군의 후손이라고 선언했다.[24] 3·1 운동에서 대한 독립 선언서는 선언일을 단군기원|단군기원한국어으로 표시했으며, 한국 ''민족''의 정체성과 독립의 주체는 '단군의 후손'으로 설정되었다.[26]

천지단군의 아버지인 환웅이 하늘에서 내려왔다고 전해지는 곳으로, 한국에서 혈통 순수성에 대한 전설의 근간을 이룬다.


정안기(고려대)는, "민족 의식이 황민화 정책에 의해서, 그렇게 쉽게 말살될 수 있는 것인가, 에 대해서도 의문입니다. 사실 민족이란, 20세기 초엽에 조선인이 일본의 통치를 받게 되면서 발견된, 상상의 정치적 공동체입니다. "[133] 라고 말하고 있다.

2. 3. 해방 이후 ~ 현대



광복 이후, 1945년에 미군소련군이 남북을 38선에서 분단하였고, 통일 국가를 재건하는데 실패하여 분단은 상반된 정치 체제와 이념, 적대 관계, 세계 정치의 영향으로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7] 그러면서 역사, 정치 제도, 시스템, 문화 부분에서 이질성이 심해졌다.

이렇듯 새로운 국가 체제의 발생으로 인해 대한민국 내에서의 민족주의 또한 정치적 사상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진보계는 주로 한반도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민족주의와 내셔널리즘을 주도하며 민족국가 형성을 위한 남북통일에 중점을 두고, 보수계가 이끄는 내셔널리즘은 대한민국의 체제에 내셔널리즘을 한정하는 경향을 보인다. 다만 보수계에서도 일단은 대한민국 체제가 우월하다는 전제 하에서 이 체제로 북한을 흡수하고자 하는 내셔널리즘이 주류이며, '남한 국민주의'는 소수 의견이다.

한국은 1945년 연합국에 의해 일본 제국의 무장 해제의 일환으로 북위 38선을 기준으로 남북으로 분단되었으며, 이 분단은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분단은 상반된 정권, 대립하는 이념, 그리고 세계 정치에 의해 지속되고 있으며, 국경 양쪽의 한국인들이 경험한 독특한 역사, 정치 체제, 계급 제도, 그리고 성 역할에서 파생된 상이한 민족 정체성으로 인해 더욱 심화되었다. 그 결과, 20세기 후반의 한국 민족주의는 남북 분단에 의해 침투되었다. 각 정권은 서로 다른 형태의 민족주의를 표방하며, 이는 상대방의 민족주의와는 다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범위 내에서 전체 한반도를 포괄하려 한다.

한국 민족주의와 관련하여, 남북한의 통일은 매우 밀접한 문제이다. 한국 사회에 만연한 민족주의는 통일 과정에서, 만약 통일이 이루어진다면,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 신기욱이 주장하듯이, "민족 의식은 통일 추진을 정당화할 뿐만 아니라, 특히 통일 과정의 초기 단계에서 두 체제의 원활한 통합을 용이하게 하는 데 필요한 공통 기반이 될 수 있다."[8]

한반도 통일(남북통일|labels=no한국어)은 단일 정부 하에 북한남한이 미래에 통일될 가능성을 가리킨다. 남한은 1990년대에 두 나라가 언젠가는 재통일될 것이라는 희망에 기반하여 북한에 대한 햇볕 정책을 채택했다. 이 과정은 2000년 8월의 역사적인 6.15 남북 공동선언으로 시작되었으며, 양국은 미래의 평화적 통일을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두 나라 간의 큰 정치적, 경제적 차이와 중국, 러시아, 미국과 같은 다른 국가 행위자들로 인해 이 과정에는 많은 장애물이 존재한다. 북한에서 남한으로 이주할 많은 수의 난민과 초기 경제적, 정치적 불안정과 같은 단기적 문제들을 극복해야 할 것이다.

범(汎)한민족주의와 달리, '''국가주의'''(國家主義, , state-aligned nationalism영어), '''국가 민족주의''', '''국가주의''' 또는 '''애국주의'''(愛國主義)는 '국가'를 기반으로 하는 국가 건설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대한민국" 정체성을 강조하는 대한민국(ROC) 국가주의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체성을 강조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DPRK) 국가주의로 나타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 태극기와 무궁화와 같은 인종적 역사적 상징을 배제함으로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단순히 인종이 아닌 국가 기반의 애국적 민족주의를 육성하려 시도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민족주의는 국가가 후원하는 주체사상의 일부로 통합되어 있다. 주체사상은 "인간이 모든 것의 주인이며 모든 것을 결정한다"고 가르치며,[39] 인간 집단에서 중심 역할은 ''수령'' 즉 "중앙 지도자"이다. 주체사상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체제의 구성 요소이다. 문자 그대로 "주체" 또는 "주인"을 의미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자료에서는 "자립적 입장"과 "자력갱생 정신"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주체사상은 다른 민족보다 한국 민족을 전통적으로, 역사적으로, 문화적으로 우월하다고 위치시키지만, ''수령''의 역할 없이는 무용지물이라고 주장한다.[40] 또한 한국 민족이 가장 우월한 이유는 김정일이 여러 연설에서 조선민족제일주의(朝鮮民族第一主義)라는 개념을 강조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41][42]

주체사상은 1960년대에 체계적인 이념적 교리로 점차 등장했다. 김일성주체사상의 세 가지 기본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정치적 자주" (자주, 自主, 자주|labels=no한국어).

# "경제적 자립" (자립, 自立, 자립|labels=no한국어).

# "국방에서의 자위" (자위, 自衛, 자위|labels=no한국어)

브라이언 마이어스는 대한민국 국민과 달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민들은 일반적으로 선전의 영향으로 자신들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와 "한국 민족"(민족|minjok영어)이 유사하다고 믿는다는 점을 관찰했다. 따라서 대한민국처럼 서로를 훼손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강화한다.[77][43]

그러한 민족주의적 선전 효과 중 하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의 기원에 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람들의 인식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가 이 문제에 대해 언급한 것과는 달리, 고려인 출신으로 소련 25군 통역관으로 일했던 박일은 임시인민위원회의 부위원장이었던 김두봉이 레베데프 장군에게 소환되어 가운데 도교 상징과 네 모서리의 네 가지 표시의 의미를 설명했을 때, 레베데프가 "이 상징들은 동아시아 봉건주의를 나타냅니다."라고 응답하며 이를 일축했고, "오늘이 바로 태극기를 폐지하기로 결정된 날로 보인다"고 회상했다. 박일은 또한 몇 달 후 모스크바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 디자인에 대한 설명이 러시아어로 전달되었고, 이를 한국어로 번역했던 일을 회상했다. 더 나아가, 태극기는 1948년 7월 10일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되었다.[44][45] 마이어스는 또한 비록 자국의 지도자들을 특별히 존경하지 않을지라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민들은 여전히 자국에 대해 애국심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46]

대한민국 국기; 대한민국에서의 국가 기반 민족주의는 더 두드러지는 인종 기반 민족주의에 비해 약하다. 결과적으로, 대한민국에서 대한민국 국기는 대한민국보다는 "한민족"을 먼저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대한민국에서의 국가 기반 민족주의(국가주의|labels=no한국어)는 더 두드러지는 인종 기반 민족주의(민족주의|labels=no한국어)에 비해 약하다.[77][43] 결과적으로 일부 평론가들은 한국인들의 눈에 비친 대한민국을 "사랑받지 못하는 공화국"으로 묘사했다.[59][47] 북한에서는 대부분의 시민들이 자신들의 국가와 민족을 동일하게 여기는 반면,[77][43]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북한에 경쟁 국가가 존재하기 때문에 "한민족"과 자신들의 (대한민국) 국가를 별개의 존재로 보는 경향이 있다. 동서대학교의 교수인 한국학자 브라이언 레이놀즈 마이어스에 따르면, 북한의 인종 기반 민족주의가 국가에 대한 애국심을 강화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인 반면,[59] 대한민국에서는 이를 약화시킨다.

20세기 동안 인종 민족주의에 대한 전통적인 국가 지원 때문에, 한국인들은 긍정적인 성과를 고유한 인종적 특성의 결과로 여기게 되었고, 부정적인 사건은 대한민국의 무능함과 악의로 돌리게 되었다:[43][59][49]

20세기 동안 대한민국 정부가 국가 민족주의보다 인종 기반 민족주의를 찬양하기로 결정한 이유 중 하나는 당시 권위주의적인 군사 정권으로서,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공화주의 원칙을 찬양하고 싶어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59]

20세기에 대한민국 우익 독재는 반공산주의적 민족주의 정책을 시행하는 동시에 반제국주의적 민족주의를 억압했으며, 반대 세력은 반제국주의적 민족주의를 옹호했다. 한국 좌파는 과거 우익 군사 독재를 "민족주의"(ethnic-ism)로 인정하지 않고 "국가주의"(state-ism)로 지칭한다.[50][51] 오늘날, 국가 민족주의는 보수 세력, 예를 들어 뉴라이트 운동을 포함하여 일부 세력에 의해 옹호되고 있으며,[43] 좌파 성향의 세력은 반제국주의적 민족주의에 더 기울어져 있다.[52][53][54]

한국인들의 국가 기반 민족주의(또는 애국심) 부족은 한국 사회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국가 자체를 기념하는 국경일이 없으며 많은 한국인들은 자국의 정확한 건국일을 알지 못한다.[59] 가장 유사한 기념일인 제헌절은 2008년에 국경일에서 제외되었다.[43] 매년 8월에 기념되는 광복절은 대한민국의 건국일과 날짜를 같이 한다. 그러나 광복절 기념 행사에서는 대한민국의 국가 또는 건국을 기념하는 것을 자제하고 다른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찬양한다.[59] 결과적으로, 많은 한국인들은 북한 주민들과는 달리, 자신들의 국가가 정확히 언제 건국되었는지 알지 못한다.[59][43] 반면에, 서기전 2333년 "한민족"의 신화적 형성을 기념하는 기념일은 매년 10월 대한민국에서 국경일로 기념된다.[59]

헬조선 현상과 많은 한국인들이 이민을 원하는 것은 한국인들의 국가에 대한 일반적인 애국심 부족의 한 예로도 언급되었다.[47] 국가 기반 민족주의의 부족은 외교에서도 나타난다. 2010년 북한의 공격(예: 천안함 침몰 사건과 연평도 포격)에 대한 한국의 강력하고 단호한 대응 부족은 이러한 공격이 단순히 국가에 대한 모욕으로 간주되면서, 국가와 관련된 민족주의적 정서의 부족으로 기인한다.[55][56][46] 반면에, 한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영토에 대한 일본의 주장은 한민족에 대한 모욕으로 여겨져, 한국인들로부터 더 강력한 반응을 얻는다.[56]

애국가, 국장, 국기와 같은 겉으로는 국가적인 국가 상징조차도 공화주의적 또는 국가적 상징 대신 인종 민족주의적 언급(예: 무궁화)을 담고 있다.[59] 따라서 대한민국 국기는 종종 한국인들에게 단순히 대한민국 자체가 아닌 "한민족"을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57][58] 결과적으로, 대다수의 한국인들은 다른 국가의 시민들이 정치적 발언이나 항의의 의미로 자국의 국기를 훼손하는 것과는 달리, 거의 항상 자국의 국기를 존경하고 존중한다.[59] 이러한 약한 국가 기반 민족주의는 2011년 이전의 한국 군인 선서와 2007년 이전의 충성 맹세에서 반영되었으며, 두 경우 모두 국가보다 "한민족"에 충성을 맹세했다.[60][14][9][43]

한국인들이 대한민국에 대한 지지나 애착이 부족한 이유 중 하나는 북한만이 식민지 시대의 친일 협력자들을 숙청했고, 대한민국은 그렇지 않았다는 대중적인 오해에 기인한다는 것이다. 실제로는 북한도 그렇게 하지 않았다.[77][43][61][46] 또 다른 이유는 한국인들이 국가와의 상호 작용을 부정적인 맥락, 예를 들어 의무적인 병역 의무를 이행하거나 벌금을 납부해야 할 때와 같은 부정적인 맥락에서 보기 때문이다.[59] 다른 요인으로는 한국에서 국가주의라는 용어가 부정적인 맥락, 예를 들어 일본의 쇼와 시대 국가주의와 박정희의 권위주의 정치와 같은 부정적인 맥락으로 간주되는 반면,[62] 민족주의라는 용어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1980년대 반미/반독재 민주화 운동과 같은 긍정적인 맥락으로 간주된다는 점이 있다.[63]

대한민국의 민족주의는 세계 유일의 단일 민족임을 자처하며, 조선 민족과 조선 문화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교육에 기초한 세계 인식에 크게 기인하며, 최근에는 한강의 기적으로 시작된 경제 성장의 성공으로 대한민국의 국제적 지위가 일본보다 높아져야 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반일 감정은 소중화 사상과 위와 같은 의식에 의해 뒷받침된 우월감, 자존심, 존엄성이 훼손되는 현상(정치적 문제)이 발생하면서 현현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타민족의 선정보다 동족의 악정"이라는 민족주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양 한반도 국가에 대해 영국 통치 시대를 아는 홍콩 사람들은 동족의 악정인 북한이나 조선 시대를 일본 통치 시대보다 높게 평가하는 것은 태평양 전쟁 이전의 일본 통치 시대를 부정하는 편향된 교육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109][110]

미야와키 아쓰코는 "처음 한반도 사람들에게 민족 의식이 싹튼 것은, 그들이 인정하고 싶지 않겠지만, 1910년의 한일 병합 이후입니다. 일본 문화가 급격하게 유입되면서 일본인과의 차이를 알게 되었고, 자신들의 정체성이 생겨났습니다. 그전까지 그들은 줄곧 중국을 우러러보는 사대주의, 소중화주의 속에서 아무런 의심 없이 중국 문명의 범주 아래서 살아왔습니다. 이질적인 존재인 일본이라는 거울을 얻고서야 비로소 '조선 민족'이 태어났습니다. 쓰쿠바 대학 대학원 교수 후루타 히로시는, 더욱이 한국이 '섬화'되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한일 병합으로 중국으로부터 떨어져 나가 갑자기 근대로 던져졌고, 일본의 패전 후 38도선으로 분단되어 섬이 되었습니다. 그 섬에서는 중국의 속국이었다는 기억이 퇴색되고 민족주의가 대두되지만, 원래 중국과 일체화되어 있던 지역이 갑자기 국민 국가가 되려고 한다면 역사를 개찬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원래 자율성이 있고 자신들만의 문화에 정통성이 있다는 등의 거짓말을 만들어낼 수밖에 없다고 말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지금 한국은 사극이라는 수단을 통해 새로운 건국 신화를 만들어내고 있는 중이라고 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라고 지적하고 있다.[111]

대한민국 건국 이후, 처음부터 민족주의는 "반일주의" 일변도로 "일제에 대한 투쟁"을 내세워 민족의 유대감을 형성해 나갔다.[134]

초대부터 3대까지의 대통령이 된 이승만일제강점기를 용인하는 사상을 가진 자나 발언한 자에 대해 철저한 투옥·고문·처형을 가했다. 대한민국 성립 후 2년 만에 정치범으로 투옥된 자의 총수는 일제강점기 약 30년 동안의 투옥자 수를 넘어섰다.

또한 이승만이 실각한 3년 후 대통령에 취임하여 역시 독재 체제를 구축한 박정희는, 한국사에서의 사대주의속국성을 자각하며, 자서전 『국가·민족·나』에서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135]

또한, 자서전 『韓民族의 나아갈 길』에서, 조선에 대해 다음의 말을 남겼다.[136]

더욱이, 자서전 『韓民族의 나아갈 길』에서, 한국인의 "자율 정신의 결여", "민족애의 결여", "개척 정신의 결여", "퇴폐한 국민 도덕"을 비판하며, "민족의 나쁜 유산"으로서 다음의 문제를 들고 있다.[137]

박정희는 이러한 문제를 불식하기 위해, 독재 체제 (유신 체제)를 확립하고 "'''국적 있는 교육'''"을 내걸었으며, 역사 교육의 목적으로 "민족 중흥의 사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체적인 민족사관"이 제창되었다.

이영훈은 조선의 민족주의를 다음과 같이 비판하고 있다.[187]

이선복(이선복|labels=no한국어, Yi Seon-bok영어, 서울대)은 민족사관을 다음과 같이 비판하고 있다.[188][189]

한홍구는 조선의 민족주의를 다음과 같이 비판하고 있다.[190]

3. 주요 쟁점

대한민국의 민족주의는 세계에서 유일한 단일 민족이라는 믿음과 조선 민족 및 문화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교육에 기반을 두고 있다. 한강의 기적으로 인한 경제 성장과 국제적 지위 상승에 대한 열망은 반일 감정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감정은 소중화 사상과 우월감, 자존심, 존엄성이 훼손되는 정치적 문제와 연결되어 나타난다.[109][110]

미야와키 아쓰코는 한반도 사람들이 민족 의식을 갖게 된 것은 1910년 한일 병합 이후라고 지적한다. 일본 문화 유입으로 일본인과의 차이를 인식하고 정체성이 형성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 이전에는 중국을 우러르는 사대주의와 소중화 사상 속에서 중국 문명의 범주 아래 살아왔다. 후루타 히로시는 한일 병합으로 중국에서 분리되고 38도선으로 분단되면서 한국이 '섬화'되었고, 중국 속국이었다는 기억이 퇴색되며 민족주의가 대두되었다고 분석한다. 그는 갑작스러운 국민 국가 형성을 위해 역사를 개찬하고, 자율성과 고유 문화에 대한 정통성을 주장하는 거짓말을 만들어낼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 한국은 사극을 통해 새로운 건국 신화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111]

3. 1. 민족 정체성과 순혈주의

한국의 국민주의는 한민족에 관한 민족적 국민주의와 밀접하다. 2016년 BBC 설문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23%가 국민 정체성의 근본을 민족이나 문화에 두었다.[191] 어떤 사람들은 인종적 국민주의 성향을 가지고 인종이 다르다고 여겨지는 사람 등을 차별하는 경우도 있다.

2016년 여러 국가를 대상으로 한 BBC의 여론조사로, 자기 정체성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질문했다. 대한민국은 "인종 또는 문화"에 대한 비율이 23%로 가장 높았다.


'''한국 민족주의'''는 한국 정체성의 핵심 요소로 혈통을 강조한다. 대한민국 국적법은 혈통주의를 기반으로 하며,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귀화한 한국 시민과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외국인보다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인과 한국계 외국인에게 더 강한 애착을 가지고 있다.[20]

한국 사회는 단일 민족이라는 인식이 강하지만, 실제로는 소수 민족도 있고, 한국인은 일본인 이상으로 혼혈인 민족이라는 연구 결과도 나오고 있다.[174]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단일민족주의 의식이 있으며, 현재에도 순혈, 혼혈이라는 개념이 뿌리 깊게 존재하고[175], "한국인은 순혈"이라는 의식을 가지고 있다. 그것이 인종 차별의 온상이 되고 있다고 여겨져, 국제 연합의 인종 차별 철폐 위원회(CERD)로부터 여러 차례 권고를 받고 있다.[176] 또한, "혼혈아"나 "코시안(한국인과 한국 이외의 아시아 출신자 사이에 태어난 아이)"이라는 호칭도 존재하며, 국제 결혼 부부의 아이 중 11.5%가 학교 폭력을 두려워하여 학교에 가지 못한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177]

한국 방송국 SBS가 한국인의 외국인 기피증과 순혈주의를 집중 취재한 'SBS 스페셜... 단일 민족의 나라, 당신들의 대한민국' 제작자의 조사 결과, 응답자의 65.2%가 "우리 민족은 단일 민족"이라고 믿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2. 반일 감정과 역사 인식

역사적 이유로 인해 반일 감정은 한국의 민족주의와 연관된다. 일제강점기에 대한 역사적 평가를 둘러싼 논쟁이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독도 분쟁은 1950년대 초부터 한국이 실효 지배하고 있는 독도에 대한 분쟁으로, 영해 문제뿐만 아니라 식민지 과거로 소급되는 민족 감정을 내포하고 있어 현재 교착 상태에 있다.[90]

최근 한국 민족주의는 반일 감정을 핵심 요소로 포함하고 있으며,[80] 일부 학자들은 이를 대한민국 시민 종교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묘사하기도 한다.[81]

부산대학교의 로버트 E. 켈리 교수에 따르면, 대한민국 내 반일 감정은 일제강점기 일본의 만행뿐만 아니라 한반도의 분단에서도 기인한다.[9] 켈리는 대한민국 국민들이 분단에서 비롯되었든 다른 이유에서 비롯되었든 분노를 일본에 쏟는다고 말한다.[9] 한국 민족주의의 인종적 특성상, 대한민국 국민들이 북한에 지나치게 적대적인 것은 세련되지 못한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82][77][43] 이러한 견해는 동서대학교의 브라이언 레이놀즈 마이어스 교수도 지지한다.[77][43]

한국의 식민지 시대로 인해, 독도를 지키는 것은 국민 국가와 그 국가 정체성을 지키는 것과 동일하게 되었다. 영토의 가치와 중요성은 물리적 차원에만 국한되지 않고, 주권과 정체성의 원천으로서 갖는 심리적 가치에도 있다.[89] 불의와 굴욕에 대한 인식과 강한 감정에 의해 촉발된 한국의 민족주의적 감정이 분쟁에 개입되었다. 섬 자체가 한국의 국가 정체성과 자부심을 상징하게 되었고, 이는 문제를 더욱 해결하기 어렵게 만들었다.[90] 독도에 대한 대한민국의 주장은 물질적 중요성을 넘어선 감정적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 섬 문제에 대해 일본에 양보하는 것은 한반도 전체의 주권을 훼손하는 것으로 여겨질 것이다.

대한민국 정부 또한 이 분쟁에서 민족주의를 부추기는 역할을 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2006년 4월 한일 관계에 대한 연설을 시작하면서 "독도는 우리 땅"이고 "한국인에게 독도는 완전한 주권 회복의 상징"이라고 말했다.[91]

독도 분쟁은 한국과 일본의 상호 인식을 변화시켰다. 2008년 갤럽 코리아와 일본 리서치 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20%가 일본에 대해 우호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었고, 일본인의 36%가 한국에 대해 같은 감정을 가지고 있었다. 반감을 느끼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대부분의 한국인은 이 섬에 대한 영토 분쟁을 언급했고, 일본인은 한국 내 반일 감정을 언급했다. 이는 2002년 2002년 FIFA 월드컵 이후 조선일보마이니치 신문이 실시한 조사와 대조적인 결과로, 당시 한국인의 35%와 일본인의 69%가 상대국에 대해 우호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95]

미야와키 아쓰코는 "한반도 사람들에게 민족 의식이 싹튼 것은, 그들이 인정하고 싶지 않겠지만, 1910년의 한일 병합 이후입니다. 일본 문화가 급격하게 유입되면서 일본인과의 차이를 알게 되었고, 자신들의 정체성이 생겨났습니다."라고 지적하고 있다.[111]

이영훈은, 조선에 민족이라는 관념이 처음 도입된 것은 일제강점기의 일이며, 일본에 의한 억압과 차별 속에서 태어난 새로운 공동체 의식이 조선의 민족주의라고 했다.

대한민국 건국 이후, 처음부터 민족주의는 "반일주의" 일변도로 "일제에 대한 투쟁"을 내세워 민족의 유대감을 형성해 나갔다.[134]

3. 3. 반미 감정

한국과 미국의 초기 접촉에서부터 시작된 한국의 반미 감정은 한반도 분단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한국 전쟁 이후, 북한과 대한민국 모두에서 반미주의는 주한 미군의 주둔과 그들의 행동, 특히 미군 병사들의 사고나 강간, 폭행 등의 범죄에 집중되었다.[96]

2002년 양주 고속도로 미군 장갑차 사망 사고는 반미 감정을 크게 촉발시켰다.[96] 일제강점기 일본 제국 육군이 사용했던 서울 용산 기지에 대한 미국의 군사 주둔은 여전히 논쟁거리이다. 이러한 항의는 종종 더 깊은 역사적 반감을 반영한다. 윌슨 센터 아시아 프로그램 책임자인 로버트 해서웨이는 "일본과 한국 모두에서 반미 감정의 증가는 단순히 미국의 정책과 행동에 대한 반응이 아니라, 이들 아시아 국가 내의 더 깊은 국내적 경향과 발전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97]

전후 한국의 반미주의는 주한 미군의 주둔, 박정희의 권위주의 통치에 대한 미국의 지원, 그리고 광주 학살에서 사용된 잔혹한 전술에 대한 미국의 지지로 인식되는 것에 의해 더욱 심화되었다.[98] 해서웨이는 윌슨 센터에서 캐서린 문의 말을 인용하며 "반미주의는 또한 여러 경우에 수십 년 동안 숨겨져 왔던 누적된 불만의 집단적 분출을 나타낸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미국에 대한 공개적인 분노 시위에도 불구하고 [...] 모든 연령대의 대다수 한국인이 미국의 동맹 유지를 지지한다"고 덧붙였다.[99]

3. 4. 남북 관계와 통일 문제

광복 이후, 1945년에 미군과 소련군이 남북을 38선에서 분단하였고, 통일 국가를 재건하는데 실패하여 분단은 상반된 정치 체제와 이념, 적대 관계, 세계 정치의 영향으로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6] 그러면서 역사, 정치 제도, 시스템, 문화 부분에서 이질성이 심해졌다.

이렇듯 새로운 국가 체제의 발생으로 인해 대한민국 내에서의 내셔널리즘 또한 정치적 사상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진보계는 주로 한반도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민족주의와 내셔널리즘을 주도하며 민족국가 형성을 위한 남북통일에 중점을 두고, 보수계가 이끄는 내셔널리즘은 대한민국의 체제에 내셔널리즘을 한정하는 경향을 보인다. 다만 보수계에서도 일단은 대한민국 체제가 우월하다는 전제 하에서 이 체제로 북한을 흡수하고자 하는 내셔널리즘이 주류이며, '남한 국민주의'는 소수 의견이다.

한국 민족주의와 관련하여, 남북한의 통일은 매우 밀접한 문제이다. 한국 사회에 만연한 민족주의는 통일 과정에서, 만약 통일이 이루어진다면,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 신기욱은 "민족 의식은 통일 추진을 정당화할 뿐만 아니라, 특히 통일 과정의 초기 단계에서 두 체제의 원활한 통합을 용이하게 하는 데 필요한 공통 기반이 될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8]

한반도 통일(남북통일|한국어)은 단일 정부 하에 북한남한이 미래에 통일될 가능성을 가리킨다. 남한은 1990년대에 두 나라가 언젠가는 재통일될 것이라는 희망에 기반하여 북한에 대한 햇볕 정책을 채택했다. 이 과정은 2000년 8월의 역사적인 6.15 남북 공동선언으로 시작되었으며, 양국은 미래의 평화적 통일을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두 나라 간의 큰 정치적, 경제적 차이와 중국, 러시아, 미국과 같은 다른 국가 행위자들로 인해 이 과정에는 많은 장애물이 존재한다. 북한에서 남한으로 이주할 많은 수의 난민과 초기 경제적, 정치적 불안정과 같은 단기적 문제들을 극복해야 할 것이다.

3. 5. 기타 쟁점

조선 후기부터 만주에 대한 역사적 주장이 제기되었다. 당시 북방에 대한 향수를 표현하며 "고구려 옛 땅"을 언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20세기 초, 신채호를 비롯한 민족주의 역사학자들은 단군의 옛 땅을 회복하기 위해 한반도와 만주의 완전한 통일을 주장했다.[100]

오늘날, 일부 영토 회복주의 성향의 한국 민족주의 역사학자들은 만주(현재 중국 동북 지방) , 특히 간도 (중국에서는 젠다오)가 고대 고조선, 고구려, 발해가 해당 지역을 지배했다는 근거로 한국의 영토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01][102] 민족주의 저술에서 사용되는 "대한국"이라는 용어는 대개 해당 지역을 포함한다.[103][102] 간도에 대한 주장은 고구려 멸망 후 발해가 간도에 존재했고, 현재 해당 지역 인구의 1/3이 한민족이며,[104] 1909년 간도 협약으로 인해 해당 지역이 중국의 통제 하에 놓이게 되었다는 점 때문에 만주 전체에 대한 주장보다 더 강력하다고 여겨진다.[105]

만주에 대한 주장은 대한민국에서 공식적인 관심을 받지 못했지만, 간도에 대한 주장은 2004년 중국이 발해와 고구려를 중국 내 "소수 민족 국가"로 주장하면서 논란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법안의 대상이 되었다.[106] 한국 국회의원 59명이 발의한 이 법안은 일제강점기에 체결된 간도 협약을 "무효"로 선언하려 했다.[107] 그해 말, 양국은 역사 논쟁에 더 이상 정부가 관여하지 않기로 합의했다.[108]

이외에도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었다.

인물 및 단체주장 내용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허경영 경제공화당(구 민주공화당) 총재[156]중국 여러 나라와 연방을 맺어 아시아 연방을 만들고 잃어버린 고구려 영토를 되찾고 싶다.
한국방송공사(KBS)의 프로그램 만주 대탐사[157]만주는 본래 한민족의 땅이며, 을 건국한 애신각라씨도 조상이 한국인이다.
대전대학교 철학과 임균택 교수[158]나라 시대에 고구려, 신라, 백제가 중국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원광대학교 교수[159]광시 좡족 자치구의 백제향은 과거 백제의 식민지였다.
역사학자 오재성[160]고구려·백제가 내몽골 자치구, 산둥성, 푸젠성 등에 이르렀다.
이화여자대학교 역사서[161]한민족은 만주 대륙을 지배하며 중국의 동진을 막았다.
임지현[162]김원웅은 국회에서 만주 회복을 연설했으며, 육군사관학교 교장실에는 만주를 한국 영토로 도해한 지도가 걸려 있었다.
김진경 국학 박사[163]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등이 현재 중국의 베이징 황하를 넘어 장강 남쪽 지역까지 영토로 했다.
동양대학교 김은혜 교수[164]금과 의 역사서가 자신들의 시조를 신라 출신의 함보라고 밝히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김두규 우석대학교 교수[165][166]금의 시조 함보가 고려 출신이라는 것은 『금사』가 밝히고 있다.
고구려발해학회 소속 학자들[167]금·고려를 남북조로 분류할 수 있다.
한국방송공사(KBS)[157]금과 황제의 성씨가 모두 김씨이며, 만주의 역사는 우리 민족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이기백 서강대학교[169]금을 건국한 아골타는 신라 김씨의 후예라는 기록이 있다.
이도학 한국전통문화대학교[170]청나라 이전 여진의 역사는 중국의 역사가 아니라 조선의 역사이다.


4. 비판과 논란

한국의 국민주의는 한민족에 관한 민족적 국민주의와 밀접하며, 때때로 배타적이고 국수주의적인 성향을 보인다는 비판을 받는다.[191] 이러한 성향은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32][31]

일부에서는 한국 민족주의가 '우리나라'이즘(한민족 우월주의)으로 변질되어 주변 민족보다 우수하다고 주장하거나, 한국 기원설 등을 통해 역사를 왜곡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138]

과거사 문제에 대한 과도한 집착은 미래 지향적인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132] 특히, 반일 종족주의는 1960년대부터 서서히 성숙하여 1980년대에 폭발했으며, 한국 역사학계가 수많은 거짓말을 만들어내는 데 일조했다는 비판을 받는다.[132]

이승만박정희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민족주의가 반공주의와 결합되었을 때, 민족주의가 한국 정부가 이념적 혼란에 휩싸인 자국민을 순종적이고 통치하기 쉽게 만드는 유용한 도구 역할을 했다는 주장도 있다.[28]

헬조선 현상과 많은 한국인들이 이민을 원하는 것은 한국인들의 국가에 대한 일반적인 애국심 부족의 한 예로 언급되기도 한다.[47]

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인종·언어·영토, '''민족''' 구성 요건 아니다: 에르네스트 르낭 《'''민족'''이란 무엇인가》 https://www.hankyung[...] 2024-08-15
[2] 웹사이트 '시민'''민족주의''''가 답이다 https://www.joongang[...] 2024-08-15
[3] 웹사이트 민족주의 (民族主義) https://encykorea.ak[...] 2024-08-15
[4] 웹사이트 민족주의 (民族主義) https://krdict.korea[...] 2024-08-15
[5] 논문 Musical Representation of Nationalism in Contemporary South Korea 2007
[6] 웹사이트 천자국 체제의 밑그림; 일통 의식(一統 意識) http://contents.hist[...]
[7] 문서 Ryu Tongshik (1999)
[8] 서적 Ethnic Nationalism in Korea Stanfo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Why South Korea is So Obsessed with Japan http://www.realclear[...] 2015-06-04
[10] 웹사이트 How Korea got cool: The continued rise of a country named Hanguk https://www.the-tls.[...] 2019-06-24
[11] 서적 The Cleanest Race: How North Koreans See Themselves and Why It Matters https://archive.org/[...] Melville House 2010
[12] 웹사이트 민족 (民族) https://krdict.korea[...] 2024-02-14
[13] 웹사이트 민족주의 (民族主義) https://krdict.korea[...] 2024-08-15
[14] Thesis Being Amerasian in South Korea: Purebloodness, Multiculturalism, and Living Alongside the U.S. Military Empire The Ohio State University 2012-06
[15] 서적 North Korean Prison Camps https://books.google[...] Radio Free Asia 2016-03-03
[16] 서적 The Great Enterprise: Sovereignty and Historiography in Modern Korea, Part 2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2013
[17] 서적 A Postcolonial Self: Korean Immigrant Theology and Church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5
[18] 문서 Gi-wook Shin, Ethnic Nationalism in Korea: Genealogy, Politics, and Legacy (2006), pp. 1–3.
[19] 문서 Gi-wook Shin, Ethnic Nationalism in Korea: Genealogy, Politics, and Legacy, chapter 10: "Ethnic Identity and National Unification" (pp. 185–203).
[20] 웹사이트 Korea's ethnic nationalism is a source of both pride and prejudice http://aparc.fsi.sta[...] 2024-01-16
[21] 웹사이트 Korea – Korea under Japanese rule https://www.britanni[...] 2022-04-27
[22] 논문 The white-clad people: The white hanbok and Korean nationalism http://journals.sage[...] 2022-11
[23] 웹사이트 백의민족 (白衣民族) https://encykorea.ak[...] 2023-09-29
[24] 웹사이트 The Koguryo Controversy,National Identity, and Sino-Korean Relations Today http://www.ou.edu/us[...] Institute for US-China Issues, The University of Oklahoma 2017-08-09
[25] 논문 '단군민족주의'의 前史 https://www.dbpia.co[...] 2024-10-06
[26] 웹사이트 단군민족주의 (檀君民族主義) https://encykorea.ak[...] 2023-09-29
[27] 뉴스 제4부 두 개의 분단정부(5) – 중도파 민족주의세력의 동향(2): 임영태의 '다시 보는 해방 전후사 이야기'(65) https://www.tongilne[...] 2024-08-05
[28] 뉴스 Kim Sok-soo, professor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ited in Park Chung-a, "Myth of Pure-Blood Nationalism Blocks Multi-Ethnic Society", The Korea Times, 14 August 2006.
[29] 문서 Cockrell (2010). But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Japanese annexed Korea and launched a campaign to persuade the peninsula's people that they were of the same pure racial stock as the Japanese themselves, said Myers. Then, when Japan left Korea at the end of WWII, pro-Japanese collaborators Koreanized the notion of a pure blood line, promoting pride in a morally superior Korean race.
[30] 웹사이트 They left South Korea for the American Dream. Now their children are moving back https://www.cnn.com/[...] 2023-12-04
[31] 웹사이트 Myth of Pure-Blood Nationalism Blocks Multi-Ethnic Society http://www.dhseol.or[...] 2011-07-25
[32] 서적 Imperial citizens: Koreans and race from Seoul to L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33] 논문 The end of ethnic nationalism? Changing conceptions of national identity and belonging among young South Koreans 2015-06-22
[34] 논문 Rethinking Belongingness in Korea: Transnational Migration, 'Migrant Marriages,' and the Politics of Multiculturalism https://www.academia[...]
[35] 웹사이트 In South Korea, Reunification Call Misses the Jackpot https://blogs.wsj.co[...] 2019-07-31
[36] 웹사이트 As Olympics open door to reunification, young Koreans are tuning out https://www.cbc.ca/n[...]
[37] 뉴스 Reunification with North Korea unappealing for young South Koreans {{!}} The Star https://www.thestar.[...] 2018-01-28
[38] 웹사이트 What Do Younger South Koreans Think of North Korea? https://thediplomat.[...] 2019-07-29
[39] 서적 The successor theory of North Korea http://www.kinu.or.k[...] Korean Institute for National Reunification
[40] 웹사이트 https://nk.chosun.co[...] 2013-10-30
[41] 웹사이트 https://nkinfo.uniko[...]
[42] 웹사이트 https://repo.kinu.or[...] 2001-11
[43] 웹사이트 South Korea: The Unloved Republic? http://asiasociety.o[...] 2013-05-19
[44] 웹사이트 https://www.dailynk.[...] 2014-06-17
[45] 웹사이트 https://world.kbs.co[...] 2020-07-02
[46] 웹사이트 B.R. Myers Interview, Part II: Focus on North Korea's Ideology & Propaganda, Not Personalities | NKnet: Network for North Korean Democracy and Human Rights http://en.nknet.org/[...] 2012-04-23
[47] 웹사이트 Still the Unloved Republic http://sthelepress.c[...] 2019-06-26
[48] 웹사이트 On Experts and Exegetes https://sthelepress.[...] 2017-09-06
[49] 웹사이트 Pride of the People: South Korea and Korean Nationalism http://www.isis.org.[...] 2013
[50] 웹사이트 North Korea's state-loyalty advantage. https://www.thefreel[...] 2018-05-20
[51] 웹사이트 "[Column] Distorting nation" https://english.hani[...] 2008-04-02
[52] 문서 Cloudy forecast for Moon's 'Sunshine Policy 2.0' https://www.eastasia[...]
[53] 뉴스 https://www.khan.co.[...] 2024-09-07
[54] 뉴스 https://www.newswatc[...] 2024-09-07
[55] Youtube BR Myers - Current Issues https://www.youtube.[...] 2014-02-24
[56] 웹사이트 Taking North Korea at its Word | NK News - North Korea News https://www.nknews.o[...] 2016-02-13
[57] 웹사이트 BR Myers - Current Issues https://www.youtube.[...] "[[YouTube]]" 2017-09-11
[58] 웹사이트 How Korea got cool: The continued rise of a country named Hanguk https://www.the-tls.[...] 2019-06-24
[59] 웹사이트 North Korea's state-loyalty advantage. https://www.thefreel[...] 2019-06-26
[60] 웹사이트 New Pledge of Allegiance to Reflect Growing Multiculturalism http://english.chosu[...] 2011-04-20
[61] 웹사이트 On that March First Speech http://sthelepress.c[...] 2019-06-26
[62] 간행물 Post-War Korean Conservatism, Japanese Statism, and the Legacy of President Park Chung-hee in South Korea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2018-04
[63] 서적 A Representation of Nationhood in the Museum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0-01-20
[64] 웹사이트 U.N. Committee Hits Korea's Discrimination http://english.kbs.c[...]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07-08-19
[65] 뉴스 Koreans Reassess Concept of Blood Purity https://www.koreatim[...] 2007-09-02
[66] 웹사이트 Korean Laws in English – Act on the Treatment of Foreigners in Korea http://www.moleg.go.[...] 2014-10-07
[67] 웹사이트 Minority Rights Group International : South Korea : South Korea Overview http://www.minorityr[...] 2015-05-10
[68] 웹사이트 South Korea;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Act Enacted – ヒューライツ大阪 http://www.hurights.[...] 2014-10-07
[69] 웹사이트 Report of the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http://www.refworld.[...] 2023-06-27
[70] 웹사이트 Race https://www.nytimes.[...] 2009-11-02
[71] 웹사이트 Korean Laws in English –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ACT http://www.moleg.go.[...] 2014-10-07
[72] 웹사이트 Gov't extends defini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http://www.korea.net[...] 2014-10-07
[73] 웹사이트 ko:2009년 다문화가족 통계현황 (09년 4월현재):네이버 전문정보 http://academic.nave[...] 2014-10-07
[74] 웹사이트 Number of foreign residents in S. Korea triples over ten years http://english.hani.[...] 2016-07-13
[75] 웹사이트 ko:다문화가정 위한 올바른 정책방향 http://www.kyeongin.[...] 2014-10-07
[76] 웹사이트 South Korea as (Sub)Empire: Workers, Immigration, and Racialized Hierarchy https://sinonk.com/2[...] 2019-07-29
[77] 웹사이트 South Korea's Collective Shrug https://www.nytimes.[...] 2015-04-19
[78] 웹사이트 (Yonhap Feature) Brian Myers: Korea's most dangerous writer? http://english.yonha[...] 2011-08-10
[79] 웹사이트 Propaganda in the age of Kim Jong Un: A discussion with Professor B.R. Myers http://freekorea.us/[...] 2017-08
[80] 서적 Peaceful Korea http://www.npolicy.o[...] 2019-06-24
[81] 웹사이트 What North Korea Wants https://soundcloud.c[...] SoundCloud 2017-04
[82] 웹사이트 Sympathy for North Korea: Why South Koreans might just be willing to align with Kim Jong-un https://slate.com/ne[...] 2019-06-25
[83] 간행물 Perpetual ontological crisis: national division, enduring anxieties and South Korea's discursive relationship with Japan 2023
[84] 문서 Min Gyo Koo
[85] 문서 Berger (2005 paper)
[86] 웹사이트 Anti-Japanese Sentiment among Graduates of South Korean Public Schools https://digitalcolle[...] 2017-12
[87] 문서 Larsen, Kirk (2006 talk)
[88] 웹사이트 Psychology of Korean Han https://www.koreatim[...] 2009-03-22
[89] 문서 Wang (2003)
[90] 문서 Min Gyo Koo
[91] 문서 Speech by Roh Moo-hyun
[92] 문서 Speech by Roh Moo-hyun
[93] 문서 Speech by Roh Moo-hyun
[94] 웹사이트 The Nationalism Project - Ernest Renan Defining the Nation http://www.nationali[...] 2010-10-17
[95] 뉴스 Friendliness Between Japan and Korea Withering. http://english.chosu[...] 2007-05-17
[96] 문서 Don Kirk (2002)
[97] 문서 Wilson Center
[98] 문서 Kristof (1987)
[99] 문서 Wilson Center
[100] 문서 Korea Between Empires, 1895-1919
[101] 문서 Lankov, Andrei (2006)
[102] 웹사이트 "China's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and China-Korea Border Politics {{!}} The Asia-Pacific Journal: Japan Focus" https://apjjf.org/an[...] The Asia Pacific Journal 2017-01-21
[103] 간행물 Guest Editor's Introduction: Manchuria and Korea in East Asian History 2016-02-28
[104] 문서 Lankov, Andrei (2006)
[105] 문서 Lankov, Andrei (2006)
[106] 간행물 Lankov, Andrei (2006) Asia Times Online
[107] 간행물 Lankov, Andrei (2006) Asia Times Online
[108] 간행물 Lankov, Andrei (2006) Asia Times Online
[109] 문서 政治的対立と文化交流による日韓相互認識の変遷 -日韓の文化受容(韓流・日流)が国民意識の変化に与える影響- 朝鮮文化研究所 招聘研究員 鄭 榮蘭
[110] 웹사이트 【時視各角】申し訳ない、香港=韓国(中央日報日本語版) https://news.yahoo.c[...] 2020-07-16
[111] 서적 韓流時代劇と朝鮮史の真実 扶桑社 2013-08-08
[112] 문서 礼教、音楽、法律、制度、衣冠(身分秩序)、文物(文化の産物)、ことごとく中国の制度に従い」『童蒙先習』総論末尾、1699年本、粛宗王序・宋時烈跋文
[113] 문서 第四回副使、金世濂『金東溟海槎録見聞雑記』
[114] 문서 第六回使節従事官、南龍翼『扶桑録』
[115] 서적 『日東壮遊歌』(東洋文庫622) 平凡社 1999
[116] 서적 上掲書
[117] 서적 上掲書
[118] 서적 上掲書
[119] 서적 上掲書
[120] 서적 上掲書
[121] 서적 上掲書
[122] 서적 上掲書
[123] 서적 上掲書
[124] 서적 上掲書
[125] 서적 上掲書
[126] 서적 上掲書
[127] 서적 上掲書
[128] 서적 上掲書
[129] 서적 上掲書
[130] 웹사이트 「相互認識」 東アジア・イデオロギーと日本のアジア主義 http://www.jkcf.or.j[...] 日韓文化交流基金 2010-03-09
[131] 뉴스 <外交は力だ>(1)旧韓末の救国外交「ロシア皇帝に送った高宗親書を初公開」 https://japanese.joi[...] 2015-08-12
[132] 뉴스 実証研究『反日種族主義』の衝撃 http://harc.tokyo/wp[...] モラロジー研究所歴史研究室 2020
[133] 서적 反日種族主義との闘争 文藝春秋 2020-09-17
[134] 서적 朝鮮/韓国ナショナリズムと「小国」意識 - 朝貢国から国民国家へ ミネルヴァ書房 2000
[135] 서적 朴正煕選集2 国家・民族・私 鹿島研究所出版会
[136] 서적 朴正煕選集1 韓民族の進むべき道 鹿島研究所出版会
[137] 서적 朴正煕選集1 韓民族の進むべき道 鹿島研究所出版会
[138] 서적 韓国人につけるクスリ 韓国・自覚症状なしのウリナライズムの病理 オークラ出版 2005
[139] 웹사이트 SBSスペシャル 韓日併呑100周年特集歴史戦争 https://megalodon.jp[...] 聯合ニュース 2010-08-26
[140] 뉴스 【その時の今日】永遠に癒やされない傷、庚戌国辱 https://megalodon.jp[...] 2010-08-27
[141] 뉴스 "초등 4~6학년 교과서, 단일민족・혈통 지나치게 강조" https://megalodon.jp[...] 京郷新聞 2007-08-21
[142] 뉴스 韓日不愉快な同伴者の歴史のなかに8人天皇ある https://megalodon.jp[...] 中央日報 2010-09-05
[143] 뉴스 「島国日本」と不適切発言 韓国駐日大使、与党も苦言 https://megalodon.jp[...] 産経新聞 2008-07-22
[144] 뉴스 日本人を「チョッパリ」と呼ぶのは何故なのか、あなたは知っていますか? https://megalodon.jp[...] デイリアン/Yahoo!Koreaニュース 2008-09-21
[145] 뉴스 糟糠の妻’日本中国猛非難“そんなやつらは周牢を課さなければならなくて” https://megalodon.jp[...] 中央日報 2008-09-28
[146] 뉴스 기고 일본에 맞대응 할 길을 찾아보자「日本に正面対抗する道を探してみよう 独島領有権問題提起 愛国民族愛の道考えてこそ」 https://megalodon.jp[...] 京畿新聞 2010-04-06
[147] 뉴스 チョッパリ'と豚足 https://megalodon.jp[...] ニューデイリー 2010-04-26
[148] 뉴스 日本、やっぱり答えは天罰にある! チョン・ジェハク編集委員 https://megalodon.jp[...] デイリアン 2012-08-18
[149] 문서 奇誠庸参照
[150] 뉴스 愛国・反日、異様な熱狂 鬱陵島ルポ 島目指す日本人を厳戒 https://megalodon.jp[...] 産経新聞 2011-08-04
[151] 뉴스 サイテー韓国、日本人を犬・サル扱い…一触即発の最大侮辱 http://www.zakzak.co[...] 夕刊フジ 2011-08-23
[152] 뉴스 "韓国の歴史カリフォルニア教科書に反映"再推進 http://www.koreatime[...] THE KOREA TIMES 2012-03-20
[153] 뉴스 新造語に韓国若者の声 「クッポン」過剰な愛国心 「ヘル朝鮮」生きづらさ 社会への不満・不安映す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6-09-06
[154] 문서 朝鮮の人間は当然、自身の歴史を重んじており、儒教文化を尊重していることに注意する必要がある。
[155] 문서 ただし、主張の証拠がなかったり、公的には信用できない物が数多くあったりする。
[156] 뉴스 허경영 “몽골과 통일해 고구려 옛땅을 되찾겠다” https://news.joins.c[...] 2007-12-28
[157] 뉴스 특별기획 만주대탐사 2부작 2부 금나라를 세운 아골타, 신라의 후예였다! http://www.kbs.co.kr[...] 2009-09-05
[158] 뉴스 韓国歴史書「上海も韓国の領土だった」中国紙が反論 http://news.searchin[...] 2006-05-10
[159] 뉴스 「広西は韓国の植民地だった」説に「笑わせるな!」 http://news.searchin[...] 2009-11-12
[160] 뉴스 「上海は韓国領土だった?」の主張に中国ネチズンが激怒 https://japanese.joi[...] 2006-05-10
[161] 서적 嘘だらけの日韓近現代史 扶桑社 2013-11-30
[162] 뉴스 “고구려사는 한국사도 중국사도 아니다” http://www.mediatoda[...] 2004-09-02
[163] 뉴스 "100뉴스-영상 어드북스, 단군이 세운 조선이 천축국이라는 ‘동방의 비밀1-조선천축’ 출간" http://nc.asiae.co.k[...] 2018-09-19
[164] 뉴스 韓・日・モンゴルの共通のルーツは「ジュシン族」 http://japanese.dong[...] 2006-03-14
[165] 뉴스 【寄稿】「水」で見る北京・東京・ソウルの歴史 http://www.chosunonl[...] 2016-01-24
[166] 뉴스 【寄稿】「水」で見る北京・東京・ソウルの歴史 http://www.chosunonl[...] 2016-01-24
[167] 뉴스 「金、清、韓国史に編入を」…東北工程対応策提案 https://japanese.joi[...] 2006-09-15
[168] 뉴스 안중근,왜 장군보다 의사를 선호할까? http://www.fntoday.c[...] ファイナンス・トゥデイ 2010-03-27
[169] 뉴스 卷頭 특별 인터뷰 韓國史新論의 著者 李基白 선생이 말하는 韓國史의 大勢와 正統 http://monthly.chosu[...] 2001-11
[170] 뉴스 "여진족 역사, 한국사에 넣어야" https://www.yna.co.k[...] 2012-07-15
[171] 서적 倭の五王 – 王位継承と五世紀の東アジア 中央公論新社 2018-01-19
[172] 뉴스 帰化人 https://japanknowled[...]
[173] 서적 歴史の定説100の嘘と誤解 扶桑社 2020-03-01
[174] 뉴스 血液分析により民族の移動経路を判明する http://japan.donga.c[...] 2010-03-09
[175] 문서 韓国文教部1979年『中学校道徳』より、『ウリナラ(我が国)韓国は、世界でも珍しい独特な文化を保有する単一民族国家である。これこそがわが民族文化の優秀性を証明する一例である。わが伝統文化を守り発展させることは、まさにわれわれ(ウリ)が日本民族や 中国民族ではなく朝鮮民族だということを自覚して、民族の主体性と自主独立を守ることである』と述べられている。
[176] 뉴스 国連、韓国に人種差別の撤廃求める http://www.chosunonl[...] 2010-03-09
[177] 뉴스 【萬物相】韓国の「人種差別」 http://www.chosunonl[...] 2010-03-09
[178] 문서 朝鮮族は結婚相手はなるべくは朝鮮族を選ぶが、それは漢民族も同じことである。
[179] 웹사이트 MCIA shop barring Filipino customers? - Thursday, March 31, 2005 http://www.sunstar.c[...] 2005-03-31
[180] 뉴스 南太平洋の島「キリバス」の女性運動家が見た韓国人男性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5-07-05
[181] 웹사이트 アジア人は「汚い」「3K労働者」?韓国人の人種差別意識―韓国 https://www.recordch[...]
[182] 웹사이트 韓国に10万人以上の外国人妻、半数がDV被害に遭う―台湾紙 https://www.recordch[...]
[183] 중앙일보 ソウル居住脱北者の70%「米国へ亡命したい」 https://japanese.joi[...] 2006-07-18
[184] 라이브도어 朴政権の反日封印でネットでは日本批判にかわって在日糾弾 https://news.livedoo[...]
[185] 뉴스 ロッテお家騒動 韓国メディアの在日韓国人差別がむき出しに http://www.news-post[...]
[186] 라이브도어 不況に苦しむ韓国の若者に在日は「特権」を持っていると映る https://news.livedoo[...]
[187] 서적 大韓民国の物語 문예춘추 2009-02
[188] 학술논문 韓国人の起源に関する中高生の意識と『国史』教科書との関係 https://yamagata.rep[...] 山形大学歴史・地理・人類学研究会 2012-03
[189] 서적 화석인골 연구와 한민족의 기원 일조각 2003
[190] 서적 韓洪九の韓国現代史 韓国とはどういう国か 평범사 2003-12-17
[191] 웹인용 Global Citizenship a growing sentiment among citizens of emerging economies: Global Poll http://www.globescan[...] 2016-1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