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신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행신역은 1996년 경의선 통근열차 개통과 함께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2004년 KTX 운행이 시작되면서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2008년 현재의 역사가 개통되었다. 현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KTX가 운행하며, 경의·중앙선은 2면 4선, KTX는 1면 2선의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행신역은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강릉선 KTX 열차와 경의·중앙선 급행 및 일반 열차가 정차한다. 인접한 역으로는 KTX의 경우 서울역, 경의·중앙선의 경우 대곡역과 능곡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양시의 전철역 - 대곡역 (고양)
대곡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일산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GTX-A노선 환승역으로, 1996년 개통 이후 지속적인 노선 확충을 통해 교통 허브로 성장하였으나 복잡한 환승 구조로 편의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 고양시의 전철역 - 탄현역
탄현역은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에 위치한 경의·중앙선 전철역으로, 2000년 개업 후 2009년 전철역으로 전환되었으며, 2면 2선의 지상역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일산과 파주를 연결하는 교통 요충지로서 급행열차도 정차한다. - 경의선 - 문산역
문산역은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경의·중앙선 전철역으로, 과거 경의선 남측 종착역이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단절의 상징이었으나, 현재는 수도권 전철역으로 운영되며 남북 교류의 중심 역할과 3면 6선의 쌍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문산역과 임진강역을 잇는 셔틀 전동열차가 운행 중이다. - 경의선 - 대곡역 (고양)
대곡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일산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GTX-A노선 환승역으로, 1996년 개통 이후 지속적인 노선 확충을 통해 교통 허브로 성장하였으나 복잡한 환승 구조로 편의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 한국고속철도 정차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한국고속철도 정차역 - 광명역
광명역은 경기도 광명시와 안양시에 걸쳐 있는 KTX 고속철도 및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에 위치하며, 개통 초기 이용객이 저조했으나 현재는 KTX 역 중 이용객 증가율이 높은 주요 교통 거점으로 자리매김했고, 역세권에는 대규모 상업시설과 주거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도심공항터미널이 개장하여 교통 편의성을 높였다.
행신역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행신역 |
한자 표기 | 幸信驛 |
로마자 표기 | Haengsinnyeok |
주소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2동 802 |
개업일 | 1996년 4월 1일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정보 | |
노선 | 경의·중앙선 |
승강장 | 4개 (2개 섬식 승강장) |
선로 수 | 4개 |
역 구조 | |
구조 | 지상역 |
서비스 정보 | |
인접역 (경의·중앙선) | 능곡역 (종착역 방향) 강매역 (지평/서울 방향) |
인접역 (경의·중앙선 급행) | 대곡역 (용문 방향)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서울 방향) |
버스 노선 | 11 97 850 |
KTX 연결 노선 | 동해선 (서울 방향) 경부선 (서울 방향) 경전선 (서울 방향) 호남선 (용산 방향) 전라선 (용산 방향) |
역 번호 | K320 |
기점으로부터 거리 | 서울역 기점 14.9km |
종착역으로부터 거리 | 임진강역 기점 37.4km |
통계 | |
2010년 일평균 승차인원 | 4,266명 |
2010년 일평균 승하차인원 | 8,121명 |
기타 | |
전보 약호 | (정보 없음)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비치역 |
이미지 정보 | |
![]() | |
![]() |
2. 역사
1996년 4월 1일 경의선 통근열차 개통과 함께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했고, 1997년 4월 1일 을종대매소 위탁발매가 지정되었다.
2004년 4월 1일 KTX 운행이 개시되면서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행신역을 오가는 KTX 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2008년 2월 12일 현재의 역사가 영업을 시작하고 기존 역사는 철거되었으며, 2008년 6월 2일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2009년 6월 30일 통근열차 운행이 중단되었고, 2009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되면서 서울 기점이 14.7km에서 14.9km로 변경되었다.[3]
2017년 12월 19일과 12월 20일 양일간 서해선 대곡-소사선 복선전철 공사 및 일부 선로 사용 중지로 인해 문산방향, 서울역 방향 승강장이 각각 변경되었다.
2019년 4월 15일 2번 승강장 사용이 중단되었다. 이후 2019년 12월 23일 리모델링에 착공하여 2021년 12월 14일 완료되었다. 2022년 3월 31일 강릉선 KTX-이음이 1일 1회 운행을 시작하였다.
2. 1. 경의선 개통 및 KTX 운행 개시 (1996년 ~ 2008년)
1996년 4월 1일, 경의선 통근열차 개통과 함께 행신역이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3] 1997년 4월 1일에는 을종대매소 위탁발매가 지정되었다.[3]2004년 4월 1일에는 KTX 운행이 개시되면서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동시에 행신역을 오가는 KTX 열차가 하루 4회 왕복 운행되기 시작했다.[3] 같은 해 7월 15일에는 열차 운행 시간표 개정에 따라 하루 8회 왕복으로 증편되었다.[3]
2008년 2월 12일에는 현재의 역사가 영업을 시작하고, 기존 역사는 철거되었다.[3]
2. 2. 경의선 전철 개통 및 역 구조 변화 (2008년 ~ 현재)
2008년 2월 12일 현재의 역사가 영업을 시작하고, 기존 역사는 철거되었다.[3] 2008년 6월 2일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3] 2009년 6월 30일 통근열차 운행이 중단되었고, 2009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되면서 서울 기점이 14.7km에서 14.9km로 변경되었다.[3]2017년 12월 19일 서해선 대곡-소사선 복선전철 공사 및 일부 선로 사용 중지로 인해 문산방향 승강장이 4번 승강장에서 3번 승강장으로 변경되었다. 2017년 12월 20일 서해선 대곡-소사선 복선전철 공사 및 일부 선로 사용 중지로 인해 덕소, 용문, 서울역 방향 승강장이 1번 승강장에서 2번 승강장으로 변경되었다.
2019년 4월 15일 2번 승강장이 두단식인 관계로 사용이 중단되었다. 2019년 12월 23일 리모델링에 착공하여 2021년 12월 14일 완료되었다. 2022년 3월 31일 강릉선 KTX-이음이 1일 1회 운행을 시작하였다.
3. 역 구조
행신역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과 KTX 1면 2선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어, 총 3면 6선의 지상역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경의·중앙선 승강장 바로 위에 교상역사(橋上駅舎)가 있으며, KTX 승강장은 역사와 떨어져 육교(跨道橋)로 연결되어 있다.
3. 1. 승강장
행신역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2면 4선)과 KTX 승강장(1면 2선)을 합쳐 총 3면 6선의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KTX 승강장은 역사와 떨어져 있으며, 육교로 연결되어 있다. KTX 승강장에는 안내용 승강장 번호가 없다.3. 1. 1. 경의·중앙선
역 정면에 있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디지털미디어시티 · 홍대입구 · 용문 · 지평 방면 |
---|---|---|
2 | 디지털미디어시티 · 가좌 · 신촌 · 서울 방면 | |
3 | 대곡 · 가좌 · 신촌 · 서울 방면 | |
4 | 대곡 · 일산 · 금촌 · 문산 방면 |
경의·중앙선 승강장은 섬식 2면 4선, KTX 승강장은 섬식 1면 2선으로 총 3면 6선의 지상역이며, 경의·중앙선 승강장 바로 위에 교상역사(橋上驛舍)를 갖추고 있다.
3. 1. 2. KTX
행신역의 KTX 승강장은 섬식 1면 2선으로, 경의·중앙선 승강장과는 별도로 위치해 있다. KTX 승강장은 역사와 떨어져 있으며, 육교로 연결된다. KTX 승강장에는 안내용 승강장 번호가 별도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KTX는 부산, 광주송정, 목포, 여수엑스포, 진주, 포항 방면으로 운행한다.
3. 2. 배선도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과 행신역, 강매역, 한국항공대역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경의중앙선 전철 승강장 뒤에 있는 KTX용 승강장은 1면 2선 섬식 승강장이며, 한국항공대역에서 경의선 왼쪽에 있는 수도단 진출입 선로를 통해 운행한다.4. 운행 노선
KTX는 경부고속선, 경부선 구포 경유, 동해선 포항행, 호남고속선, 호남선 서대전 경유, 전라선, 경전선 마산, 강릉선 강릉행 열차가 운행한다. 강릉선 KTX-이음 열차는 2022년 3월 31일에 신설했으며, 아침에만 1회 운행한다. 서대구역에는 1일 1회 운행한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공덕, 용산, 덕계, 용문 방면, 신촌, 서울 방면, 대곡, 일산, 문산 방면 열차가 운행한다.
4. 1. KTX
KTX는 경부고속선, 경부선 구포 경유, 동해선 포항행, 호남고속선, 호남선 서대전 경유, 전라선, 경전선 마산, 강릉선 강릉행 열차가 운행한다.강릉선 KTX-이음 열차는 2022년 3월 31일에 신설했으며, 아침에만 1회 운행한다. 서대구역에는 1일 1회 운행한다.
4. 2.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5. 이용객 변동
경의·중앙선의 연도별 일평균 이용객 추이(단위: 명)는 다음과 같다. 2009년은 7월 1일 개업일부터 12월 31일까지 184일간의 평균이다.[1]
5. 1. 수도권 전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행신역의 연도별 일평균 이용객 추이(단위: 명)는 다음과 같다.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84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4]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경의·중앙선 | 승차 | 2,798 | 3,640 | 4,319 | 4,638 | 5,938 | 6,690 | 6,949 | 7,492 | 7,790 | 7,789 | 8,026 | 6,137 | 6,367 | 7,301 |
하차 | 2,629 | 3,311 | 3,938 | 4,255 | 5,468 | 6,214 | 6,614 | 7,146 | 7,474 | 7,466 | 7,801 | 6,050 | 6,416 | 7,309 |
5. 2. 일반철도
연도와 승하차 | 이용 인원[5] | |||||
---|---|---|---|---|---|---|
KTX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통근열차 | 총계 | ||
2004년 | 승차 | 39,353 | 0 | 0 | 253,694 | 293,257 |
하차 | 33,557 | 0 | 0 | 110,055 | 143,612 | |
2005년 | 승차 | 143,026 | 0 | 0 | 210,982 | 354,008 |
하차 | 132,890 | 0 | 0 | 118,137 | 251,027 | |
2006년 | 승차 | 178,118 | 0 | 0 | 173,885 | 352,003 |
하차 | 154,696 | 0 | 0 | 79,647 | 234,343 | |
2007년 | 승차 | 175,986 | 517 | 0 | 195,831 | 372,334 |
하차 | 148,687 | 272 | 0 | 120,686 | 269,645 | |
2008년 | 승차 | 190,578 | 1,643 | 0 | 214,633 | 406,854 |
하차 | 167,118 | 995 | 0 | 159,694 | 327,806 | |
2009년 | 승차 | 202,430 | 627 | 0 | 110,526 | 313,583 |
하차 | 184,578 | 425 | 0 | 84,679 | 269,682 | |
2010년 | 승차 | 228,612 | 0 | 1,512 | 0 | 230,124 |
하차 | 198,581 | 0 | 1,512 | 0 | 200,093 | |
2011년 | 승차 | 228,496 | 0 | 0 | 0 | 228,496 |
하차 | 218,456 | 0 | 0 | 0 | 218,456 | |
2012년 | 승차 | 269,372 | 0 | 0 | 0 | 269,372 |
하차 | 239,338 | 0 | 0 | 0 | 239,338 | |
2013년 | 승차 | 357,863 | 0 | 0 | 0 | 357,863 |
하차 | 318,803 | 0 | 0 | 0 | 318,803 | |
2014년 | 승차 | 402,747 | 0 | 0 | 0 | 402,747 |
하차 | 358,096 | 0 | 0 | 0 | 358,096 | |
2015년 | 승차 | 473,682 | 0 | 0 | 0 | 473,682 |
하차 | 457,921 | 0 | 0 | 0 | 457,921 | |
2016년 | 승차 | 576,983 | 0 | 0 | 0 | 576,983 |
하차 | 563,223 | 0 | 0 | 0 | 563,223 | |
2017년 | 승차 | 681,524 | 0 | 0 | 0 | 681,524 |
하차 | 636,128 | 0 | 0 | 0 | 636,128 | |
2018년 | 승차 | 770,568 | 0 | 0 | 0 | 770,568 |
하차 | 721,378 | 0 | 0 | 0 | 721,378 | |
2019년 | 승차 | 809,236 | 0 | 0 | 0 | 809,236 |
하차 | 756,870 | 0 | 0 | 0 | 756,870 |
최근 연도별 경의·중앙선 일평균 이용객 추이(단위: 명)는 다음과 같다. 2009년은 7월 1일 개업일부터 12월 31일까지 184일간의 평균이다.
6. 역 주변
시설 |
---|
행신2동 행정복지센터 |
KTX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
무원마을 아파트단지 |
행신중학교 |
고양경찰서 행신지구대 |
고양시 여성회관 |
행신SK뷰1차아파트 |
행신2동주민센터 |
고양용현초등학교 |
무원중학교 |
무원초등학교 |
행신2동성당 |
고양시여성복지회관 |
고양차량등록사업소 |
국민은행 행신역지점 |
고양행신동우체국 |
홈플러스 행신점 |
7. 인접한 역
경전선
동해선
호남고속선
호남선 서대전 경유[6]
전라선
강릉선
지선 완행
용문 방면
서울 방면
경의선 지선 급행
서울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