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의 세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의 세기'는 타임지 발행인 헨리 루스가 20세기 미국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용어이다. 루스는 미국이 고립주의를 버리고 민주주의를 전파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할 것을 촉구했다. 19세기 말부터 미국은 스페인-미국 전쟁과 의화단 운동을 계기로 세계 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시작했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을 거치며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으로 부상했다. 20세기 후반, 미국은 정치, 경제, 군사, 문화 등 다방면에서 세계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비판과 논란 또한 존재하며, 21세기 들어 중국의 부상과 함께 초강대국 지위 상실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세기 미국 - 제3차 대각성 운동
    제3차 대각성 운동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미국에서 일어난 종교 부흥 운동으로, 사회 개혁, 새로운 종교 운동을 특징으로 하며 교회 성장, 선교 활동, 사회 문제 해결에 영향을 미쳤다.
  • 20세기 미국 - 제5차 정당제
    제5차 정당제는 뉴딜 연합의 부상과 해체, 현대 정당 체제로의 변화를 설명하며, 이념적 양극화 심화와 정당 간 경쟁 심화가 특징이다.
  • 초강대국 - 소련
    소련은 1922년 결성되어 15개의 공화국으로 구성된 사회주의 연방 국가였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함께 초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1991년 해체되었다.
  • 초강대국 - 미국
    미국은 1776년 영국 식민지에서 독립한 북아메리카의 연방공화국으로, 다문화 국가이자 세계 최대 경제 규모와 강력한 군사력을 가진 초강대국이지만, 정치적 양극화, 사회적 불평등, 환경 문제 등의 과제에 직면해 있다.
  • 미국사의 시대 - 재건 시대
    재건 시대는 미국 남북 전쟁 이후 1865년부터 1877년까지 노예제 폐지와 남부 연합 재통합 시기로, 사회 변혁에도 불구하고 인종 갈등과 폭력이 지속되었으며, 정책 변화와 타협으로 남부에서 인종차별이 심화되었다.
  • 미국사의 시대 - 연합규약 시대
    연합규약 시대는 미국 독립 전쟁 이후부터 미국 헌법 비준까지의 시기로, 연합 규약에 따라 각 주가 주권을 가진 느슨한 연합 형태를 유지하며 정치적, 경제적 불안정을 겪어 헌법 제정의 계기가 되었다.
미국의 세기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명칭아메리카 합중국
영어 명칭United States of America
다른 이름미국, 미합중국
미국을 가리키는 말아메리카
미국
미합중국
시대 배경
개념 등장 시기20세기
특징
특징미국 중심의 국제 질서
관련 개념팍스 아메리카나
미국의 예외주의
역사적 맥락
관련 사건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시대
9.11 테러 이후
영향
정치적 영향국제 정치 주도
군사적 패권
경제적 영향세계 경제 주도
달러의 기축 통화 지위
문화적 영향헐리우드 영화
대중음악
인터넷 기술
논란 및 비판
비판제국주의적 성향
일방주의 외교
세계 경찰 역할론
같이 보기
관련 항목미국사
미국의 대통령
미국 달러
팍스 브리타니카
중국의 세기
참고 자료
참고 자료The American Century
America in the World: A History of U.S. Diplomacy and Foreign Policy
The American Century

2. 용어의 기원

타임지 발행인 헨리 루스는 20세기 미국의 역할이 무엇이고,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 설명하기 위해 '미국의 세기'라는 용어를 만들었다.[87] 선교사의 아들이었던 헨리 루스는 1941년 2월 17일 라이프 지 사설에서 미국이 고립주의를 버리고 세계의 선한 사마리아인이 되어 민주주의를 전파하는 선교사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88] 그는 미국이 민주주의적 가치를 수호하기 위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할 것을 촉구했다.[88]

헨리 루스는 "17세기, 18세기, 19세기에 걸쳐 이 대륙은 다양한 사업과 장대한 목표로 가득 찼다. 그 중에서도 그 모든 것을 함께 엮어 전세계 역사상 가장 흥미로운 깃발로 만들어낸 것은 자유의 승리였다."라고 언급하며 "최초의 위대한 미국의 세기"를 창조해야 한다고 역설했다.[89] 그는 민주주의와 미국의 이상이 인류의 삶을 발전시킬 것이며, 미국의 세기 아래에서만 세계가 건강과 활력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90]

데이비드 하비의 연구에 따르면, 헨리 루스는 "부여 된 권한은 영토 적으로 특정하기보다는 전 세계적이고 보편적이므로 제국이라는 말보다는 미국의 세기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선호했다"고 보았다.[91] 같은 기사에서 그는 미국이 "우리가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목적을 위해 그리고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수단을 통해 세계에 우리 영향력의 완전한 영향을 행사할 것"을 촉구했다.[92]

2. 1. 헨리 루스의 '미국의 세기' 주창

타임지 발행인 헨리 루스는 20세기 미국의 역할이 무엇이고,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 설명하기 위해 '미국의 세기'라는 용어를 만들었다.[87] 선교사의 아들이었던 헨리 루스는 1941년 2월 17일 라이프 지 사설에서 미국이 고립주의를 버리고 세계의 선한 사마리아인이 되어 민주주의를 전파하는 선교사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88] 그는 미국이 민주주의적 가치를 수호하기 위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할 것을 촉구했다.[88]

헨리 루스는 "17세기, 18세기, 19세기에 걸쳐 이 대륙은 다양한 사업과 장대한 목표로 가득 찼다. 그 중에서도 그 모든 것을 함께 엮어 전세계 역사상 가장 흥미로운 깃발로 만들어낸 것은 자유의 승리였다."라고 언급하며 "최초의 위대한 미국의 세기"를 창조해야 한다고 역설했다.[89] 그는 민주주의와 미국의 이상이 인류의 삶을 발전시킬 것이며, 미국의 세기 아래에서만 세계가 건강과 활력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90]

데이비드 하비의 연구에 따르면, 헨리 루스는 "부여 된 권한은 영토 적으로 특정하기보다는 전 세계적이고 보편적이므로 제국이라는 말보다는 미국의 세기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선호했다"고 보았다.[91] 같은 기사에서 그는 미국이 "우리가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목적을 위해 그리고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수단을 통해 세계에 우리 영향력의 완전한 영향을 행사할 것"을 촉구했다.[92]

2. 2. '미국 제국'과의 비교

3. 초기 양상 (20세기 초)

미국-스페인 전쟁 (1898년~1902년) 당시 미국의 최대 강역


스페인-미국 전쟁 이후 "대미국" 지도


19세기 말, 1898년 스페인-미국 전쟁과 의화단 운동을 기점으로 미국은 북아메리카 대륙 너머 세계 무대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미국 정부는 스페인-미국 전쟁 이후 자국 산업 발전을 위해 보호무역주의를 채택하고, "대백색함대"라 불리는 해군을 강화했다. 1901년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대통령이 되면서 그의 전임자 윌리엄 매킨리 시대부터 시작된 고립주의에서 벗어나 해외 개입으로 외교 정책의 전환을 가속화했다.

예를 들어, 미국은 새로 얻은 필리핀에 대한 지배를 확고히 하기 위해 필리핀-미국 전쟁에서 제1 필리핀 공화국과 싸웠다.[93] 1904년 루스벨트는 파나마 운하 건설에 착수하여 파나마 운하 지역을 만들었다. 개입주의는 1904년 먼로주의에 대한 루스벨트 수정안에서 공식적으로 표명되었는데, 이는 미국이 아메리카 대륙 어디든 개입할 권리가 있다고 선언하며, 미국의 신흥 지역 패권을 강조하는 순간이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후, 미국은 평화를 중재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면서 비간섭주의 정책을 추구했다. 우드로 윌슨 대통령은 나중에 미국이 평화 회의에서 목소리를 내야 할 정도로 전쟁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94] 미국은 공식적으로 연합국의 일원은 아니었지만, 1917년 자칭 "제휴국"으로 전쟁에 참전했다. 처음에 미국은 소규모 군대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선택적 징병법 통과 후 280만 명을 징집했고,[95] 1918년 여름에는 매일 1만 명의 신병을 프랑스로 파병했다. 1919년 베르사유 조약으로 전쟁이 끝났다. 미국은 1919년 베르사유 조약을 비준하거나 국제 연맹에 공식적으로 가입하는 것을 거부하면서 고립주의 정책을 채택했다.[96]

전간기 동안 미국에서는 특히 스무트-홀리 관세법의 결과로 경제적 보호무역주의가 자리 잡았는데, 경제학자들은 이 법이 대공황의 장기화와 전 세계 확산에 기여했다고 본다.[97] 1934년부터 상호 무역 협정법을 통해 무역 자유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자 의회는 1930년대 중립성 법을 완화했지만 유럽 전쟁에 참전하는 것에는 여전히 반대했다.[98] 1940년 미국은 군사력 측면에서 18위를 차지했다.[99][100][101] 중립 순찰은 미국의 구축함이 해상에서 교전하게 했지만, 의회는 전쟁 상태를 선포하지 않았다. 미국의 여론은 여전히 고립주의적이었다. 80만 명의 회원을 보유한 아메리카 제일주의위원회는 미국이 렌드리스 프로그램을 통해 영국과 소련에 군사 원조를 제공하는 와중에도 유럽 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에 대해 강력하게 반대했다.

네 가지 자유 연설로 알려진 1941년 국정 연설에서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비간섭주의의 전통을 깨고 이미 전쟁에 참전한 동맹국을 돕는 미국의 역할을 강조했다. 8월에 루스벨트 대통령과 영국의 윈스턴 처칠 수상은 전후 세계의 목표를 정의하기 위해 대서양 헌장을 작성했다.[102] 1941년 12월 일본은 진주만에 있는 미 해군 함대에 대한 공격을 포함하여 동남아시아와 중앙 태평양에 대한 거의 동시 공세로 미국과 영국 영토를 공격했다.[103] 이러한 공격으로 인해 미국과 영국은 일본에 대한 선전포고를 했다. 사흘 후 독일과 이탈리아는 미국에 선전포고를 했고, 미국은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했다.[104]

전쟁 중 빅4(미국, 영국, 소련, 중국)는 전후 세계를 계획하기 위해 회담을 가졌다.[105][106] 평화 유지를 위해[107] 연합국은 유엔을 결성했는데, 이는 1945년 10월 24일 공식 출범했으며,[108] 1948년 모든 회원국을 위한 공통 기준으로 세계인권선언을 채택했다.[109] 미국은 영국과 긴밀히 협력하여 IMF, 세계은행, NATO를 설립했다.[110][111]

3. 1. 보호무역주의와 해군력 강화



19세기 말, 미국은 스페인-미국 전쟁과 의화단 사건을 계기로 북미 대륙을 넘어 세계 무대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전쟁 이후 미국 정부는 자국 산업 발전을 위해 보호무역주의를 채택하고, 대백색함대로 불리는 강력한 해군을 건설했다.[93]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 시기부터 시작된 외교 정책 기조 변화를 가속화하여, 고립주의에서 벗어나 국제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다.

전간기 동안 미국에서는 경제 보호주의가 확고해졌으며, 특히 스무트-홀리 관세법은 대공황을 심화시키고 전 세계로 확산시킨 원인 중 하나로 경제학자들은 평가한다.[97]

3. 2. 외교 정책의 전환: 고립주의에서 개입주의로

19세기 말, 미국은 1898년 스페인-미국 전쟁과 의화단 운동을 계기로 북아메리카 대륙을 넘어 세계 무대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했다.[12][53] 미국은 스페인-미국 전쟁 이후 자국 산업 발전을 위해 보호무역주의를 채택하고, '대백색함대'라는 해군을 강화했다.[12] 1901년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 취임 이후, 윌리엄 매킨리 전 대통령 시절부터 시작된 외교 정책의 전환, 즉 고립주의에서 벗어나 타국 문제에 개입하는 정책을 가속화했다.[12][53]

미국은 새로 획득한 필리핀에 대한 통제권을 공고히 하기 위해 필리핀 제1공화국과 필리핀-미국 전쟁을 치렀다.[12] 1904년, 루스벨트 대통령은 파나마 운하 건설을 추진하여 파나마 운하 지대를 만들었다.[12][53] 먼로 독트린에 대한 루스벨트 계론(1904년)을 통해 미국이 아메리카 대륙 어디에서나 개입할 수 있는 권리를 선언하며, 미국의 역내 패권을 공식화했다.[12][53]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미국은 갈등을 피하면서도 평화 조정을 시도하는 비개입 정책을 추진했다.[13][54] 우드로 윌슨 대통령은 전쟁이 너무 중요하다고 생각해 미국이 평화 회의에서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13][54] 미국은 공식적으로 연합국의 일원이 아니었지만 1917년 자칭 "연합국"으로 전쟁에 참전했다.[14][55] 처음에는 소규모 군대를 보유했지만 징병제법이 통과된 후 280만 명을 징집했고,[14][55] 1918년 여름에는 매일 10,000명의 신병을 프랑스에 파견했다. 전쟁은 1919년 베르사유 조약으로 끝났다.[15][56] 그 후 미국은 1919년 베르사유 조약을 승인하거나 공식적으로 국제연맹에 가입하는 것을 거부하면서 고립주의 정책을 채택했다.[15][56]

전간기 동안, 경제학자들이 대공황을 장기화하고 전 세계적으로 퍼뜨린 것으로 평가하는 스무트-홀리 관세법의 결과로, 미국에서는 경제적 보호무역이 확고해졌다.[17][57] 1934년부터 상호 무역 협정법을 통해 자유 무역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의회는 1930년대의 중립법을 완화했지만, 유럽 전쟁 참전은 여전히 반대했다.[18][58] 1940년 미국은 군사력에서 18위를 기록했다.[19][20][21][59][60][61] 중립 순찰대에는 미국 구축함이 해상에서 전투를 벌이고 있었지만, 의회는 전쟁 상태를 선포하지 않았다. 미국 여론은 여전히 고립주의적이었다. 800,000명의 회원으로 구성된 아메리카 제일주의위원회는 미국이 무기대여법을 통해 영국과 소련에 군사 원조를 판매했음에도 불구하고 유럽 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격렬하게 반대했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1941년 네 가지 자유 연설로 알려진 연두교서에서 불간섭주의의 전통을 깨뜨렸다. 그는 이미 전쟁에 참여하고 있는 동맹국을 돕는 미국의 역할을 설명했다. 8월까지 루스벨트 대통령과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는 전후 세계의 목표를 정의하기 위해 대서양 헌장의 초안을 작성했다.[22][62] 1941년 12월 일본은 진주만 공격을 포함하여 동남아시아와 중앙 태평양에 대한 거의 동시 공세로 미국과 영국 영토를 공격했다.[23][63] 이러한 공격으로 인해 미국과 영국은 일본에 선전포고를 했다. 3일 후, 독일과 이탈리아는 미국에 선전포고를 했고, 미국도 이에 응했다.[24][64]

전쟁 중에 4명의 경찰관 (미국, 영국, 소련, 중국)이 만나 전후 세계를 계획했다.[25][26][65][66]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27][67] 연합국은 1945년 10월 24일에 유엔을 결성하고,[28][68] 1948년에 모든 회원국의 공통 표준으로 세계 인권 선언을 채택했다.[29][69] 미국은 영국과 긴밀히 협력하여 국제 통화 기금, 세계은행, 북대서양 조약 기구를 설립했다.[30][31][70][71]

3. 3. 제1차 세계 대전과 미국의 역할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을 때, 미국은 불간섭주의 정책을 추구하며 분쟁을 회피하고 평화를 중재하려 했다.[94] 우드로 윌슨 대통령은 전쟁이 매우 중요하며 평화 회의에서 미국이 발언권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94]

]

미국은 1917년 연합국에 공식적으로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자칭 "연합국(associated power)"으로 참전했다. 처음에는 소규모 군대만 보유하고 있었지만, 선발 징병법이 제정된 후 280만 명을 징병했고,[95] 1918년 여름에는 매일 1만 명의 신병을 프랑스에 파병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은 1919년 베르사유 조약으로 종결되었다. 미국은 그 후 고립주의를 채택하고 1919년 베르사유 조약의 승인과 국제 연맹에의 정식 가입을 거부했다.[96]

3. 4. 전간기(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사이)의 미국

19세기 말부터 미국은 미국-스페인 전쟁의화단 운동을 계기로 세계 무대에서 더욱 두드러진 역할을 수행했다.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고립주의에서 벗어나 타국 문제에 개입하는 외교 정책을 펼쳤으며, 필리핀-미국 전쟁을 치르기도 했다.[93] 또한, 미국은 파나마 운하 건설을 추진했다.[53]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미국은 우드로 윌슨 대통령의 주도로 중립 정책을 유지하며 평화 조정을 시도했지만, 1917년 연합국 측으로 참전했다.[94] 전쟁 후 미국은 국제연맹 가입을 거부하며 다시 고립주의 정책을 채택했다.[96]

전간기 동안 미국은 경제적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했는데, 특히 스무트-홀리 관세법(1930년)은 대공황을 심화시키고 전 세계로 확산시키는 데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97] 그러나 1934년부터 상호무역협정법을 통해 자유 무역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초기에는 중립 정책을 유지했으나, 무기대여법을 통해 영국과 소련을 지원했다.[58]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네 가지 자유 연설을 통해 불간섭주의 전통을 깨고 연합국 지원 의사를 밝혔다.[62] 1941년 일본진주만 공격 이후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게 되었다.[103]

3. 5. 제2차 세계 대전과 미국의 참전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미국 의회는 1930년대의 중립법을 완화했지만, 유럽 전쟁 참전에는 여전히 반대하는 입장을 유지했다.[98] 1940년 당시 미국의 군사력은 세계 18위 수준이었다.[99][100][101] 중립 순찰을 통해 미국 구축함이 해상에서 독일군과 교전하기도 했지만, 의회는 전쟁 상태를 선포하지 않았다. 미국 여론은 여전히 고립주의적이었으며, 80만 명의 회원을 보유한 '아메리카 우선 위원회'는 무기대여법을 통한 영국과 소련에 대한 군사 원조에도 불구하고 유럽 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에 격렬하게 반대했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1933-1945년 재임)은 1941년 4대 자유 연설로 알려진 연두교서에서 비간섭주의 전통을 깨고, 이미 전쟁에 참여하고 있는 동맹국을 지원하는 미국의 역할을 강조했다. 1941년 8월, 루스벨트 대통령과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는 대서양 헌장을 통해 전후 세계의 목표를 정의했다.[102]

1941년 12월, 일본진주만에서 미국 함대에 대한 공격을 포함하여 동남아시아와 중앙 태평양에 대한 거의 동시 공세를 감행하면서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게 되었다.[103] 이 공격으로 미국과 영국은 일본에 선전포고를 했고, 3일 후 독일과 이탈리아가 미국에 선전포고를 하자 미국도 이에 응전했다.[104]

전쟁 중에 4대 강대국(미국, 영국, 소련, 중국)이 만나 전후 세계를 계획했다.[105][106]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107] 연합국은 1945년 10월 24일에 유엔을 결성하고,[108] 1948년에 모든 회원국의 공통 표준으로 세계 인권 선언을 채택했다.[109] 미국은 영국과 긴밀히 협력하여 IMF, 세계은행, NATO를 설립했다.[110][111]

4. 팍스 아메리카나 (Pax Americana)

팍스 아메리카나는 20세기 중반 이후 미국이 국제 사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형성된 상대적인 평화와 안정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주로 20세기 후반에 사용되었지만, 20세기 다른 시기에도 사용되었다. 현대적 의미는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확립된 평화와 관련이 깊다.

5. 1945년 이후 미국의 특징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은 냉전을 거치며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으로 부상했다.[85][4] 1990년 미국의 인구는 2억 4,870만 명으로 당시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국가였다.[113][33][73]

;정치적 특징

미국은 강력한 자본주의 연방 공화국이자 입헌 공화국으로, 20세기 중후반에 걸쳐 그 정치적 특징을 확립했다.[114][34][74] 미국은 자유민주주의시장 경제 체제를 전 세계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으로서 국제 평화와 안보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114][34][74] 영국, 프랑스와 같은 상임이사국 동맹국을 두고 있었다.[114][34][74]

미국은 서유럽, 라틴 아메리카, 영연방 국가들과 강력한 동맹 관계를 유지했다.[114][34][74] 특히 한국, 대만,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가 긴밀했다.[114][34][74] 냉전 시기, 미국은 반공주의 외교 정책을 추진하며 우익 독재 정권과 자본주의 민주주의 국가 모두와 동맹을 맺었다.[114][34][74]

2023년 기준, 미군 기지가 있는 국가


;경제적 특징

미국의 경제력은 20세기 말 세계 최대 경제 대국이었기 때문에 매우 강력했다.[115][35][75] 미국은 광물, 에너지 자원, 금속, 목재 등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대규모이고 현대화된 농업 산업과 대규모 산업 기반을 갖추고 있었다.[115][35][75] 미국 달러브레턴우즈 체제 하에서 세계 주요 기축 통화였다.[75] 미국의 시스템은 수요와 공급에 기반한 자본주의 경제 이론, 즉 고객의 수요에 따라 생산량이 결정되는 이론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115][35]

미국은 G7 주요 경제국과 동맹을 맺고 있었다.[115][35][75] 미국의 경제 정책 처방은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 그리고 미국 재무부와 같은 워싱턴 D.C.에 기반을 둔 국제 기구들이 위기에 처한 개발도상국을 위해 제시하는 "표준" 개혁 패키지였다.[115][35] 세계 여러 국가들은 20세기 동안 워싱턴 컨센서스의 경제 정책을 채택했는데, 때로는 국민들의 의사에 반하는 경우도 있었다.[35][75]

;군사적 특징

미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군사력을 보유하고, 세계 최대 규모의 국방 예산을 지출했다.[36][76][116] 특히, 강력한 해군을 중심으로 군대가 발전했으며,[36][76] 미국 해군항공모함을 최다 보유하고 전 세계에 기지를 운영하여[36][76][116] 주요 해역에 대한 제해권을 장악했다.[116] 냉전 초기, 미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핵무기를 보유하고,[36][76][116] 세계 최대 규모의 육군과 공군력을 보유했다.[36][76]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를 통해 서유럽 국가들과 강력한 군사 동맹을 구축했고,[76] 회원국들은 자체 핵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36][76] 중앙정보국(CIA)을 통해 전 세계적인 정보 네트워크를 운영하며 정보 수집 및 비밀 공작 활동을 수행했다.[36][76]

;문화적 특징 (아메리카니제이션)

미국은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막대한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이는 종종 미국화로 알려져 있다.[117][37][77] 할리우드 영화, 팝 음악,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 미국의 대중문화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다. 엘비스 프레슬리, 마이클 잭슨, 마돈나 등 미국의 팝 스타들은 세계적인 유명 인사가 되었다.[117][37][77] 미국의 언론의 자유 및 기타 보장된 권리에 대한 열망 또한 미국의 문화적 영향력으로 볼 수 있다.

5. 1. 정치적 특징

미국은 강력한 자본주의 연방 공화국이자 입헌 공화국으로, 20세기 중후반에 걸쳐 그 정치적 특징을 확립했다.[114][34][74] 미국은 자유민주주의시장 경제 체제를 전 세계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으로서 국제 평화와 안보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114][34][74] 영국, 프랑스와 같은 상임이사국 동맹국을 두고 있었다.[114][34][74]

미국은 서유럽, 라틴 아메리카, 영연방 국가들과 강력한 동맹 관계를 유지했다.[114][34][74] 특히 한국, 대만,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가 긴밀했다.[114][34][74] 냉전 시기, 미국은 반공주의 외교 정책을 추진하며 우익 독재 정권과 자본주의 민주주의 국가 모두와 동맹을 맺었다.[114][34][74]

5. 2. 경제적 특징

미국의 경제력은 20세기 말 세계 최대 경제 대국이었기 때문에 매우 강력했다.[115][35][75] 미국은 광물, 에너지 자원, 금속, 목재 등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대규모이고 현대화된 농업 산업과 대규모 산업 기반을 갖추고 있었다.[115][35][75] 미국 달러브레턴우즈 체제 하에서 세계 주요 기축 통화였다.[75] 미국의 시스템은 수요와 공급에 기반한 자본주의 경제 이론, 즉 고객의 수요에 따라 생산량이 결정되는 이론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115][35]

미국은 G7 주요 경제국과 동맹을 맺고 있었다.[115][35][75] 미국의 경제 정책 처방은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 그리고 미국 재무부와 같은 워싱턴 D.C.에 기반을 둔 국제 기구들이 위기에 처한 개발도상국을 위해 제시하는 "표준" 개혁 패키지였다.[115][35] 세계 여러 국가들은 20세기 동안 워싱턴 컨센서스의 경제 정책을 채택했는데, 때로는 국민들의 의사에 반하는 경우도 있었다.[35][75]

5. 3. 군사적 특징

미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군사력을 보유하고, 세계 최대 규모의 국방 예산을 지출했다.[36][76][116] 특히, 강력한 해군을 중심으로 군대가 발전했으며,[36][76] 미국 해군항공모함을 최다 보유하고 전 세계에 기지를 운영하여[36][76][116] 주요 해역에 대한 제해권을 장악했다.[116] 냉전 초기, 미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핵무기를 보유하고,[36][76][116] 세계 최대 규모의 육군과 공군력을 보유했다.[36][76]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를 통해 서유럽 국가들과 강력한 군사 동맹을 구축했고,[76] 회원국들은 자체 핵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36][76] 중앙정보국(CIA)을 통해 전 세계적인 정보 네트워크를 운영하며 정보 수집 및 비밀 공작 활동을 수행했다.[36][76]

5. 4. 문화적 특징 (아메리카니제이션)

미국은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막대한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이는 종종 미국화로 알려져 있다.[117][37][77] 할리우드 영화, 팝 음악,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 미국의 대중문화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다. 엘비스 프레슬리, 마이클 잭슨, 마돈나 등 미국의 팝 스타들은 세계적인 유명 인사가 되었다.[117][37][77] 미국의 언론의 자유 및 기타 보장된 권리에 대한 열망 또한 미국의 문화적 영향력으로 볼 수 있다.

6. 비판과 논란

헨리 루스의 "맹목적인 애국주의적 선교 열정"은 비평가들의 비난을 받았다.[118] 헌터 S. 톰프슨은 2003년 자서전 ''공포의 왕국: 미국의 세기 말일에 별이 엇갈린 아이의 끔찍한 비밀''에서 20세기 말과 미국의 세기에 주목했다. 새로운 밀레니엄의 도래와 함께, 일리노이 대학의 비평가들은 특히 중국의 부상과 관련하여 미국이 초강대국 지위를 잃고 있는지 여부가 논쟁의 대상이라고 말했다.[119] 다른 분석가들은 1917년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과 2017년 도널드 트럼프의 대통령 취임 사이에 "미국의 세기"가 들어맞는다고 주장했다.[120] 반면, 조지 프리드먼과 같은 학자들은 21세기의 헤게모니를 규정하며 "21세기는 미국의 세기가 될 것이다"라고 주장한다.[121]

6. 1. 군사 개입 논란

헨리 루스의 "진고적인 선교적 열정"은 비평가들의 비난을 받았다.[118] 헌터 S. 톰프슨은 2003년 자서전 ''공포의 왕국: 미국의 세기 말일에 별이 엇갈린 아이의 끔찍한 비밀''에서 20세기 말과 미국의 세기에 주목했다. 새로운 밀레니엄의 도래와 함께, 일리노이 대학의 비평가들은 특히 중국의 부상과 관련하여 미국이 초강대국 지위를 잃고 있는지 여부가 논쟁의 대상이라고 말했다.[119] 다른 분석가들은 1917년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과 2017년 도널드 트럼프의 대통령 취임 사이에 "미국의 세기"가 들어맞는다고 주장했다.[120] 반면, 조지 프리드먼과 같은 학자들은 21세기의 헤게모니를 규정하며 "21세기는 미국의 세기가 될 것이다"라고 주장한다.[121]

6. 2. 일방주의 외교 비판

비평가들은 헨리 루스의 "진고적인 선교적 열정"을 비난했다.[118] 20세기 말, 미국의 세기가 끝났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나타났는데, 대표적으로 곤조 저널리스트 헌터 S. 톰프슨은 2003년 자서전 ''공포의 왕국: 미국의 세기 말일에 별이 엇갈린 아이의 끔찍한 비밀''에서 이러한 관점을 드러냈다.

천년이 시작되면서, 일리노이 대학의 비평가들은 특히 중국의 부상과 관련하여 미국이 초강대국 지위를 잃고 있는지에 대한 논쟁을 제기했다.[119] 다른 분석가들은 1917년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과 2017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사이의 기간이 "미국의 세기"와 일치한다고 주장했다.[120] 반면, 조지 프리드먼과 같은 학자들은 21세기가 미국의 세기가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121]

6. 3. 초강대국 지위 상실 논란

21세기 들어 중국의 급부상과 다극화 체제 심화로 미국의 초강대국 지위가 도전을 받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119][39][79] 일리노이 대학의 비평가들은 특히 중국의 부상과 관련하여 미국이 초강대국 지위를 잃고 있는지 여부가 논쟁의 대상이라고 말했다.[119][39][79] 일부 학자들은 미국의 세기가 종말을 맞이하고 있으며, 새로운 국제 질서가 형성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고인이 된 곤조 저널리스트 헌터 S. 톰프슨은 2003년 자서전 ''공포의 왕국: 미국의 세기 말일에 별이 엇갈린 아이의 끔찍한 비밀''에서 미국의 세기 종말을 묘사했다.[38][78]

다른 분석가들은 1917년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과 2017년 45대 대통령 취임 사이에 "미국의 세기"가 딱 들어맞는다고 주장했다.[120][40][80] 반면, 조지 프리드먼과 같은 학자들은 21세기가 미국의 세기가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121][41][81]

6. 4. 한국에 대한 영향

미국의 세기는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국의 문화는 한국 사회에 광범위하게 확산되었으며,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미국 대중문화의 영향력이 강하게 나타난다. 미국과의 경제 관계는 한국 경제 성장의 중요한 동력이었지만, 동시에 경제적 종속 심화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었다.

7. 미국의 세기의 미래

참조

[1] 서적 The American Century C-SPAN Archives
[2] 웹사이트 The American Century http://www.randomhou[...]
[3] 서적 Britain's Imperial Century, 1815–1914: A Study of Empire and Expansion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3-12-15
[4] 웹사이트 Analyzing American Power in the Post-Cold War Era http://post.queensu.[...] 2007-02-28
[5] 웹사이트 Definition and Use of the Word ''Hyperpower'' https://web.archive.[...] 2010-07-11
[6] 서적 The New Imperi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7] 간행물 The American Century https://books.google[...] 1941-02-17
[8] 서적 The Ambiguous Leg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간행물 The American Century https://books.google[...] 1941-02-17
[10] 서적 The New Imperi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Ambiguous Leg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간행물 War-Related Deaths in the Philippines
[13] 문서
[14] 웹사이트 Selective Service System: History and Records https://web.archive.[...] Sss.gov 2010-07-27
[15] 서적 Freedom From Fear: The American People in Depression and War, 1929–1945 Oxford University Press
[16] 웹사이트 The Real Story of How America Became an Economic Superpower https://www.theatlan[...] 2024-12-10
[17] 서적 International Financial Management McGraw-Hill/Irwin
[18] 문서
[19] 웹사이트 WWII Overview https://web.archive.[...] The National WWII Museum 2015-02-28
[20] 웹사이트 Excerpt – General George C. Marshall: Strategic Leadership and the Challenges of Reconstituting the Army, 1939–41 https://web.archive.[...] 2018-01-23
[21] 뉴스 U.S. army was smaller than the army for Portugal before World War II http://www.politifac[...] 2018-01-23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서적 Debating Franklin D. Roosevelt's foreign policies, 1933–1945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6-03-19
[26] 간행물 The Four Policemen and. Postwar Planning, 1943-1945: The Collision of Realist and. Idealist Perspectives https://www.iup.edu/[...] 2015-08-25
[27] 문서
[28] 웹사이트 History of the UN https://www.un.org/a[...] United Nations 2010-01-25
[29] 문서
[30] 뉴스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Began with FDR. https://web.archive.[...] 2018-01-24
[31] 뉴스 Remarks by the President Obama and Prime Minister Cameron in Joint Press Conference https://obamawhiteho[...] 2018-01-24
[32] 웹사이트 US geography http://www.theodora.[...]
[33] 웹사이트 US Census https://www.census.g[...]
[34] 서적 Overthrow: America's Century of Regime Change from Hawaii to Iraq https://archive.org/[...] Times Books
[35] 서적 What Washington Means by Policy Reform http://www.iie.com/p[...]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36] 웹사이트 Military spending http://www.globalsec[...]
[37] 서적 What Was Hot!: Five Decades of Pop Culture in America Citadel
[38] 뉴스 The End of the American Century http://reason.com/ar[...] Reason 2011-02-16
[39] 웹사이트 U.S. no longer superpower, now a besieged global power, scholars say https://web.archive.[...] Center for Global Studies 2008-05-08
[40] 뉴스 Donald Trump in the White House is the end of the 'American Century' https://www.smh.com.[...] The Sydney Morning Herald 2017-01-20
[41] 서적 The Next 100 Years: A Forecast for the 21st Century https://www.amazon.c[...]
[42] 서적 The American Century C-SPAN Archives
[43] 웹사이트 The American Century http://www.randomhou[...]
[44] 서적 Britain's Imperial Century, 1815–1914: A Study of Empire and Expansion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3-12-15
[45] 웹사이트 Analyzing American Power in the Post-Cold War Era http://post.queensu.[...] 2007-02-28
[46] 웹사이트 Definition and Use of the Word ''Hyperpower'' http://www.wordspy.c[...]
[47] 서적 The New Imperi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48] 저널 The American Century https://books.google[...] Life Magazine 1941-02-17
[49] 서적 The Ambiguous Leg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저널 The American Century https://books.google[...] Life Magazine 1941-02-17
[51] 서적 The New Imperi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52] 서적 The Ambiguous Leg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3] 저널 War-Related Deaths in the Philippines Pacific Historical Review
[54] 참고문헌
[55] 웹사이트 Selective Service System: History and Records https://web.archive.[...] Sss.gov 2010-07-27
[56] 서적 Freedom From Fear: The American People in Depression and War, 1929–1945 Oxford University Press
[57] 서적 International Financial Management McGraw-Hill/Irwin
[58] 참고문헌
[59] 웹사이트 WWII Overview https://web.archive.[...] The National WWII Museum 2015-02-28
[60] 웹사이트 Excerpt – General George C. Marshall: Strategic Leadership and the Challenges of Reconstituting the Army, 1939–41 https://web.archive.[...] 2018-01-23
[61] 뉴스 U.S. army was smaller than the army for Portugal before World War II http://www.politifac[...] Politifact 2018-01-23
[62] 서적 Langer and Gleason, chapter 21
[63] 참고문헌
[64] 참고문헌
[65] 서적 Debating Franklin D. Roosevelt's foreign policies, 1933–1945 https://books.google[...] 2016-03-19
[66] 저널 The Four Policemen and. Postwar Planning, 1943-1945: The Collision of Realist and. Idealist Perspectives https://www.iup.edu/[...] 2015-08-25
[67] 참고문헌
[68] 웹사이트 History of the UN https://www.un.org/a[...] United Nations 2010-01-25
[69] 참고문헌
[70] 뉴스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Began with FDR. http://rooseveltinst[...] Roosevelt Institute 2018-01-24
[71] 뉴스 Remarks by the President Obama and Prime Minister Cameron in Joint Press Conference https://obamawhiteho[...] 2018-01-24
[72] 웹사이트 US geography http://www.theodora.[...]
[73] 웹사이트 US Census https://www.census.g[...]
[74] 서적 Overthrow: America's Century of Regime Change from Hawaii to Iraq https://archive.org/[...] Times Books
[75] 간행물 What Washington Means by Policy Reform http://www.iie.com/p[...] 2009-06-25
[76] 웹사이트 Military spending http://www.globalsec[...]
[77] 서적 What Was Hot!: Five Decades of Pop Culture in America Citadel
[78] 뉴스 The End of the American Century http://reason.com/ar[...] Reason 2011-02-16
[79] 뉴스 U.S. no longer superpower, now a besieged global power, scholars say http://www.news.uiuc[...] University of Illinois 2008-10-06
[80] 뉴스 Donald Trump in the White House is the end of the 'American Century' https://www.smh.com.[...] The Sydney Morning Herald 2017-01-21
[81] 서적 The Next 100 Years: A Forecast for the 21st Century https://www.amazon.c[...]
[82] 서적 The American Century C-SPAN Archives
[83] 웹사이트 The American Century http://www.randomhou[...]
[84] 서적 Britain's Imperial Century, 1815–1914: A Study of Empire and Expansion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3-12-15
[85] 웹인용 Analyzing American Power in the Post-Cold War Era http://post.queensu.[...] 2007-02-28
[86] 웹인용 Definition and Use of the Word ''Hyperpower'' http://www.wordspy.c[...] 2023-06-25
[87] 서적 The New Imperialism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88] 저널 The American Century https://books.google[...] 1941-02-17
[89] 서적 The Ambiguous Leg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90] 저널 The American Century https://books.google[...] 1941-02-17
[91] 서적 The New Imperialism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92] 서적 The Ambiguous Leg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93] 저널 War-Related Deaths in the Philippines https://archive.org/[...]
[94] 문서
[95] 웹인용 Selective Service System: History and Records http://www.sss.gov/i[...] Sss.gov 2010-07-27
[96] 서적 Freedom From Fear: The American People in Depression and War, 1929–1945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97] 서적 International Financial Management McGraw-Hill/Irwin
[98] 문서
[99] 웹인용 WWII Overview http://www.nationalw[...] The National WWII Museum 2015-02-28
[100] 웹인용 Excerpt – General George C. Marshall: Strategic Leadership and the Challenges of Reconstituting the Army, 1939–41 http://ssi.armywarco[...] 2018-01-23
[101] 뉴스 U.S. army was smaller than the army for Portugal before World War II http://www.politifac[...] Politifact 2018-01-23
[102] 문서
[103] 문서
[104] 문서
[105] 서적 Debating Franklin D. Roosevelt's foreign policies, 1933–1945 https://books.google[...] 2016-03-19
[106] 저널 The Four Policemen and. Postwar Planning, 1943-1945: The Collision of Realist and. Idealist Perspectives https://www.iup.edu/[...] 2015-08-25
[107] 하버드 인용 1997
[108] 웹인용 History of the UN https://www.un.org/a[...] United Nations 2010-01-25
[109] 하버드 인용 2002
[110] 뉴스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Began with FDR. http://rooseveltinst[...] Roosevelt Institute 2018-01-24
[111] 뉴스 Remarks by the President Obama and Prime Minister Cameron in Joint Press Conference https://obamawhiteho[...] whitehouse.gov 2018-01-24
[112] 웹사이트 US geography http://www.theodora.[...]
[113] 웹사이트 US Census https://www.census.g[...]
[114] 서적 Overthrow: America's Century of Regime Change from Hawaii to Iraq https://archive.org/[...] Times Books 2007
[115] 웹사이트 What Washington Means by Policy Reform http://www.iie.com/p[...]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1989
[116] 웹사이트 Military spending http://www.globalsec[...]
[117] 서적 What Was Hot!: Five Decades of Pop Culture in America Citadel 2001
[118] 뉴스 The End of the American Century http://reason.com/ar[...] Reason 2011-02-16
[119] 뉴스 U.S. no longer superpower, now a besieged global power, scholars say http://www.news.uiuc[...] University of Illinois 2008
[120] 뉴스 Donald Trump in the White House is the end of the 'American Century' https://www.smh.com.[...] The Sydney Morning Herald 2017-01-21
[121] 서적 The Next 100 Years: A Forecast for the 21st Century https://www.amazo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