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서울 동북부 청량리역에서 인천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노선이다. 1994년 분당선 구간이 개통되었고, 2012년 수인선 구간이 개통된 후 2020년 두 노선이 통합되었다. 현재 분당선 급행은 고색역과 죽전역 사이, 수인선 급행은 인천역과 오이도역 사이를 운행하며, 2026년 학익역이 개통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는 대한민국 최초로 VVVF 제어와 유도전동기를 채용한 전동차로, 스테인리스 차체와 에어스프링 대차를 적용하여 승차감을 높였으며, 여러 세대에 걸쳐 개량되어 수도권 노선에서 운행 중이고 향후 추가 도입 계획도 있다. - 인천광역시의 철도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인천광역시의 철도 -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서울과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서울역, 김포공항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등을 지나 직통열차와 일반열차를 운행한다. - 199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199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분당선
분당선은 서울 왕십리역과 경기 수원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인선과 직결되어 인천역까지 운행하며, 급행 열차 운행, 소음 문제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했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노선 이름 | 수인·분당선 |
고유 이름 | 수인·분당선(水仁·盆唐線) |
로마자 표기 | Suin-Bundang-seon |
노선 색상 | ● 노란색 |
노선 번호 | K2 |
노선 종류 | 광역철도 |
운영 체계 | 수도권 전철 |
운영 주체 | 한국철도공사 |
소유자 | 국가철도공단 |
개통일 | 2020년 9월 12일 (수인선 전 구간 개통 및 직결 운행 개시) |
개통 역사 | 1994년 9월 1일: 분당선 (수서~오리) 2003년 9월 3일: 분당선 (선릉~수서) 2004년 11월 26일: 분당선 (오리~보정) 2011년 12월 28일: 분당선 (보정~기흥) 2012년 6월 30일: 수인선 (오이도~송도) 2012년 10월 6일: 분당선 (왕십리~선릉) 2012년 12월 1일: 분당선 (기흥~망포) 2013년 11월 30일: 분당선 (망포~수원) 2016년 2월 27일: 수인선 (송도~인천) 2018년 12월 31일: 분당선 (청량리~왕십리) |
운행 상태 | 영업 중 |
기점 | 청량리역 (일부 열차) 또는 왕십리역 (대부분 열차) |
직결점 | 수원역 |
종점 | 인천역 |
역 수 | 63 |
경유 노선 | 경원선, 분당선, 수인선 |
![]() | |
![]() | |
![]() | |
노선 정보 | |
총 연장 | 104.5 km |
선로 | 2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전철화 방식 | 교류 25,000 V, 60 Hz 가공 전차선 방식 |
신호 방식 | ATC (왕십리역 - 고색역) ATS (청량리역 - 왕십리역, 고색역 - 인천역) |
차량 기지 | 분당차량사업소, 시흥차량사업소 |
운행 차량 |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61편성) |
최고 속도 | ATC 구간 (왕십리역~고색역): 80km/h ATS 구간 (청량리역~왕십리역, 고색역~인천역): 100km/h |
기타 정보 | |
공식 웹사이트 | 돌아온 수인선, 하나로 이어진 수인분당선! |
2. 연혁
- '''분당선 구간'''
1994년 9월 1일 : 수서역 ~ 오리역 구간이 분당선으로 정식 개통되었다.[4]
2003년 9월 3일 : 수서역 ~ 서울릉역 구간이 북쪽으로 연장되었다.[4]
2004년에는 1월 16일 이매역, 9월 24일 구룡역, 11월 26일 보정역(임시역)이 신설 개통되었다.[4]
2007년 12월 24일 : 죽전역이 신설 개통되었다.[4]
2011년 12월 28일 : 죽전역 ~ 기흥역 구간이 남쪽으로 연장되었고, 임시 보정역이 지하철역인 새로운 보정역으로 대체되었다.[2][4]
2012년 10월 6일 : 서울릉역 ~ 왕십리역 구간이 북쪽으로 연장되었다.[4]
2012년 12월 1일 : 기흥역 ~ 망포역 구간이 남쪽으로 연장되었다.[4]
2013년 11월 30일 : 망포역 ~ 수원역 구간이 서쪽으로 연장되어 1호선과 연결되었고, 급행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4]
2018년 12월 31일 : 청량리역까지 북동쪽으로 연장되어 경춘선, 1호선 및 광역철도와 연결되었다.[4]
2022년 12월 : 분당선 구간 노후화로 보수 공사가 완료되었다.[11]
- '''수인선 구간'''
2012년 6월 30일 : 오이도역 ~ 송도역 구간이 수인선으로 개통되었다.[3][4]
2014년 12월 27일 : 달월역이 신설되었다.
2016년 2월 27일 : 송도역 ~ 인천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3][4]
2017년 7월 10일 : 수인선 구간에 급행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2020년 9월 12일 : 수원역 ~ 오이도역 구간이 개통되고, 분당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수인·분당선'''으로 통합되었다.[9][4]
- '''수인·분당선 통합 이후'''
2020년 2월 2일 : 수원역 ~ 한대앞역 구간 시험운행이 개시되었다.[7]
2020년 5월 29일 : 철도거리표 개정에 따라 수원역 ~ 오이도역 구간이 부활되었다.[8]
2020년 9월 12일 : 수인선 수원역 ~ 오이도역 구간이 개통되고 분당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수인·분당선'''으로 통합되었다.[9][4]
2020년 11월 1일 : 한대앞역 ~ 고색역 구간 평일 출/퇴근 시간에 한하여 상/하행 6회 열차 증편이 이루어졌다.[10]
2022년 12월 : 분당선 구간 노후화로 보수 공사가 완료되었다.[11]
2026년 상반기 이후 : 학익역 개통 예정이다.
2. 1. 분당선 구간
1994년 9월 1일 : 수서역 ~ 오리역 구간이 분당선으로 정식 개통되었다.[4]2003년 9월 3일 : 수서역 ~ 서울릉역 구간이 북쪽으로 연장되었다.[4]
2004년에는 1월 16일 이매역, 9월 24일 구룡역, 11월 26일 보정역(임시역)이 신설 개통되었다.[4]
2007년 12월 24일 : 죽전역이 신설 개통되었다.[4]
2011년 12월 28일 : 죽전역 ~ 기흥역 구간이 남쪽으로 연장되었고, 임시 보정역이 지하철역인 새로운 보정역으로 대체되었다.[2][4]
2012년 10월 6일 : 서울릉역 ~ 왕십리역 구간이 북쪽으로 연장되었다.[4]
2012년 12월 1일 : 기흥역 ~ 망포역 구간이 남쪽으로 연장되었다.[4]
2013년 11월 30일 : 망포역 ~ 수원역 구간이 서쪽으로 연장되어 1호선과 연결되었고, 급행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4]
2018년 12월 31일 : 청량리역까지 북동쪽으로 연장되어 경춘선, 1호선 및 광역철도와 연결되었다.[4]
2022년 12월 : 분당선 구간 노후화로 보수 공사가 완료되었다.[11]
2. 2. 수인선 구간
2012년 6월 30일 : 오이도역 ~ 송도역 구간이 수인선으로 개통되었다.[3][4]2014년 12월 27일 : 달월역이 신설되었다.
2016년 2월 27일 : 송도역 ~ 인천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3][4]
2017년 7월 10일 : 수인선 구간에 급행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2020년 9월 12일 : 수원역 ~ 오이도역 구간이 개통되고, 분당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수인분당선으로 통합되었다.[9][4]
2026년 상반기 이후 : 학익역 개통 예정이다.
2. 3. 수인·분당선 통합 이후
2020년 2월 2일 : 수원역 ~ 한대앞역 구간 시험운행이 개시되었다.[7]2020년 5월 29일 : 철도거리표 개정에 따라 수원 ~ 오이도 구간이 부활되었다.[8]
2020년 9월 12일 : 수인선 수원역 ~ 오이도역 구간이 개통되고 분당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수인·분당선'''으로 통합되었다.[9][4]
2020년 11월 1일 : 한대앞역 ~ 고색역 구간 평일 출/퇴근 시간에 한하여 상/하행 6회 열차 증편이 이루어졌다.[10]
2022년 12월 : 분당선 구간 노후화로 보수 공사가 완료되었다.[11]
2026년 상반기 이후 : 학익역 개통 예정이다.
3. 운영
'''하행'''
- 청량리~인천 구간 평일: 2회, 주말·공휴일: 3회
- 청량리~고색 구간 평일: 1회, 주말·공휴일: 1회
- 청량리~죽전 구간 평일: 6회, 주말·공휴일: 1회
- 왕십리~인천 구간 평일: 42회, 주말·공휴일: 30회
- 왕십리~고색 구간 평일: 42회, 주말·공휴일: 35회
- 왕십리~죽전 구간 평일: 62회, 주말·공휴일: 35회
- 죽전~인천 구간 평일: 3회, 주말·공휴일: 1회(첫차)
- 죽전~고색 구간 평일: 13회, 주말·공휴일: 2회(첫차)
- 오이도~인천 구간: 평일 37회, 주말·공휴일: 37회
- 왕십리~오이도 구간 평일 2회(막차), 주말·공휴일(막차)1회
- 왕십리~고색 구간 급행 7회, 주말·공휴일: 없음
- 오이도~인천 구간 급행 3회, 주말·공휴일: 없음
- 고색~인천 구간 평일: 1회(첫차), 주말·공휴일: 1회(첫차)
'''상행'''
- 인천~청량리 구간 평일: 3회, 주말·공휴일: 없음
- 인천~왕십리 구간 평일: 41회, 주말·공휴일: 33회
- 인천~죽전 구간 평일: 3회(막차), 주말·공휴일: 1회
- 인천~고색 구간 평일: 1회(막차), 주말·공휴일: 1회(막차)
- 인천~오이도 구간 평일: 34회, 주말·공휴일: 37회
- 오이도~왕십리 구간 평일: 1회(첫차), 주말·공휴일: 1회(첫차)
- 고색~청량리 구간 평일: 2회, 주말·공휴일: 2회
- 고색~왕십리 구간 평일: 51회, 주말·공휴일: 35회
- 고색~죽전 구간 평일: 2회, 주말·공휴일: 1회(막차)
- 죽전~청량리 구간 평일: 3회, 주말·공휴일: 3회
- 죽전~왕십리 구간 평일: 60회, 주말·공휴일: 59회
- 인천~오이도 구간 급행 5회, 주말·공휴일: 없음
- 고색~청량리 구간 급행 1회, 주말·공휴일: 없음
- 고색~왕십리 구간 급행 6회, 주말·공휴일: 없음
한국철도공사(Korail)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에서 출퇴근 시간대에 지역 철도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급행열차를 운영한다.[6] 이러한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 분당선 급행: 고색(기점 또는 종착역)과 죽전 사이를 급행으로 운행하고, 왕십리 또는 청량리역까지는 일반 열차로 운행한다.
- 수인선 급행: 인천과 오이도(기점 또는 종착역) 사이를 급행으로 운행한다.
==== 급행 운행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출퇴근 시간대에 지역 철도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급행열차를 운영한다.[6] 분당선 급행은 고색역과 죽전역 사이를 급행으로 운행하고, 왕십리역 또는 청량리역까지는 일반 열차로 운행한다. 수인선 급행은 인천역과 오이도역 사이를 급행으로 운행한다.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에 상행 7회(1회만 청량리역까지 운행),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에 하행 7회 운행하며, 수인선은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에 상행 5회,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에 하행 3회 운행한다.
하행은 청량리역/왕십리역/죽전역/오이도역/고색역을 기점으로 하여 인천행, 고색행, 죽전행, 오이도행 열차가 평일/주말, 공휴일에 따라 횟수의 차이를 두어 운행한다. 상행은 인천역/오이도역/고색역/죽전역을 기점으로 하여, 청량리행, 왕십리행, 죽전행, 고색행 열차가 평일/주말, 공휴일에 따라 횟수의 차이를 두어 운행한다.
급행열차는 분당선·수인선 직통 운행 개시 후에도 청량리역에서 인천역까지 직통하는 열차는 운행되지 않는다.(완행만 운행된다.)[6]
==== 완행 운행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평일 및 주말·공휴일에 따라 운행 횟수가 다르다. 하행 기준으로 청량리~인천 구간은 평일 2회, 주말·공휴일 3회 운행하고, 왕십리~인천 구간은 평일 42회, 주말·공휴일 30회 운행한다. 왕십리~고색 구간은 평일 42회, 주말·공휴일 35회 운행하며, 왕십리~죽전 구간은 평일 62회, 주말·공휴일 35회 운행한다. 오이도~인천 구간은 평일과 주말·공휴일 모두 37회 운행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구간에서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행 기준으로 인천~청량리 구간은 평일 3회, 주말·공휴일에는 운행하지 않으며, 인천~왕십리 구간은 평일 41회, 주말·공휴일 33회 운행한다. 인천~오이도 구간은 평일 34회, 주말·공휴일 37회 운행한다. 고색~왕십리 구간은 평일 51회, 주말·공휴일 35회 운행하고, 죽전~왕십리 구간은 평일 60회, 주말·공휴일 59회 운행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구간에서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왕십리-인천 간은 하루 140회, 왕십리-고색 간은 하루 56회, 왕십리-죽전 간은 하루 114회, 오이도-인천 간은 하루 38회 운행한다.
3. 1. 급행 운행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출퇴근 시간대에 지역 철도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급행열차를 운영한다.[6] 분당선 급행은 고색역과 죽전역 사이를 급행으로 운행하고, 왕십리역 또는 청량리역까지는 일반 열차로 운행한다. 수인선 급행은 인천역과 오이도역 사이를 급행으로 운행한다.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에 상행 7회(1회만 청량리역까지 운행),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에 하행 7회 운행하며, 수인선은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에 상행 5회,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에 하행 3회 운행한다.
하행은 청량리/왕십리/죽전/오이도/고색을 기점으로 하여 인천행, 고색행, 죽전행, 오이도행 열차가 평일/주말, 공휴일에 따라 횟수의 차이를 두어 운행한다. 상행은 인천/오이도/고색/죽전을 기점으로 하여, 청량리행, 왕십리행, 죽전행, 고색행 열차가 평일/주말, 공휴일에 따라 횟수의 차이를 두어 운행한다.
급행열차는 분당선·수인선 직통 운행 개시 후에도 청량리역에서 인천역까지 직통하는 열차는 운행되지 않는다.(완행만 운행된다.)[6]
3. 2. 완행 운행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평일 및 주말·공휴일에 따라 운행 횟수가 다르다. 하행 기준으로 청량리~인천 구간은 평일 2회, 주말·공휴일 3회 운행하고, 왕십리~인천 구간은 평일 42회, 주말·공휴일 30회 운행한다. 왕십리~고색 구간은 평일 42회, 주말·공휴일 35회 운행하며, 왕십리~죽전 구간은 평일 62회, 주말·공휴일 35회 운행한다. 오이도~인천 구간은 평일과 주말·공휴일 모두 37회 운행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구간에서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상행 기준으로 인천~청량리 구간은 평일 3회, 주말·공휴일에는 운행하지 않으며, 인천~왕십리 구간은 평일 41회, 주말·공휴일 33회 운행한다. 인천~오이도 구간은 평일 34회, 주말·공휴일 37회 운행한다. 고색~왕십리 구간은 평일 51회, 주말·공휴일 35회 운행하고, 죽전~왕십리 구간은 평일 60회, 주말·공휴일 59회 운행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구간에서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왕십리-인천 간은 하루 140회, 왕십리-고색 간은 하루 56회, 왕십리-죽전 간은 하루 114회, 오이도-인천 간은 하루 38회 운행한다.
4. 역 목록
거리
거리
{{한국 도시철도
{{한국 도시철도 (일부)
경원선
중앙선
{{한국 도시철도
{{한국 도시철도
경원선
{{한국 도시철도
SRT
경부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