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오니기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오니기리는 밥을 뭉쳐 만든 일본의 음식으로, 야요이 시대의 탄화된 쌀 덩어리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밥, 속재료, 포장으로 구성되며, 삼각형, 원형 등 다양한 모양이 있다. 굽거나 튀기는 등 조리법에 따라 야키 오니기리, 아게 오니기리 등으로 불리며, 한국에서는 삼각김밥의 형태로 판매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쌀밥 요리 - 주먹밥
    주먹밥은 쌀을 먹기 시작한 이후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한국에서는 조선 시대부터 도시락 등으로, 격변기에는 식량으로 활용되었고, 외환위기에는 저렴한 식사 대용으로, 2010년대 이후에는 다양한 형태로 상품화가 발전한 밥을 뭉쳐 만든 음식이다.
  • 쌀밥 요리 - 하이라이스
    얇게 썬 소고기와 양파 등으로 만든 소스를 밥에 얹어 먹는 일본의 서양식 요리인 하이라이스는 일제강점기 때 한국에 유입되어 대중화되었고 짜장면, 카레라이스와 함께 대표적인 분식 메뉴로 자리 잡았다.
  • 소를 넣은 음식 - 이마가와야키
    이마가와야키는 일본의 대표적인 간식으로, 둥근 모양의 반죽에 팥소 등의 속을 넣어 구운 과자이며, 지역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고 타이완과 한국에도 유사한 형태의 간식이 존재한다.
  • 소를 넣은 음식 - 주먹밥
    주먹밥은 쌀을 먹기 시작한 이후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한국에서는 조선 시대부터 도시락 등으로, 격변기에는 식량으로 활용되었고, 외환위기에는 저렴한 식사 대용으로, 2010년대 이후에는 다양한 형태로 상품화가 발전한 밥을 뭉쳐 만든 음식이다.
  • 일본 요리 - 복어
    복어는 몸을 부풀려 방어하고 독을 지닌 물고기로, 섭취 시 신경 마비를 일으킬 수 있지만, 자격증을 갖춘 요리사가 조리하면 식용으로 사용되며, 한국, 일본 등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된다.
  • 일본 요리 - 우동
    우동은 일본의 면 요리로, 굵고 쫄깃한 면발이 특징이며 따뜻한 국물이나 차가운 츠유에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어 일본 각지의 특색을 살린 여러 종류가 있고,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인기를 얻어 각 나라의 식문화에 맞게 변형되기도 한다.
오니기리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김과 단무지 피클로 포장된 오니기리
김으로 싸여진 오니기리, 단무지 피클과 함께
종류주먹밥
국가일본
유사 음식아란치니
츠판
주먹밥
쫑쯔
명칭
오니기리 (일본어)お握り 또는 御握り (오니기리)
오무스비 (일본어)お結び (오무스비)
니기리메시 (일본어)握り飯 (니기리메시)
영양 정보 (100g 기준)
열량197 kcal
단백질2.7 g
지방0.3 g
탄수화물39.4 g

2. 역사

일본에서 오니기리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987년 12월 이시카와현 나카노토정에 있는 야요이 시대 중기의 스기타니차노바타케 유적(杉谷チャノバタケ일본어)에서 발견된 탄화된 쌀알 뭉치이다.[75][76] 이 뭉치는 사람 손으로 만들어진 흔적이 있었고, 처음에는 "가장 오래된 오니기리"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후 연구에 따르면, 이것은 오늘날의 쌀처럼 삶은 것이 아니라, 치마키와 유사하게 찐 후 구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예로부터 전쟁에서 전투 식량으로도 활용되었다. 쌀과 보리를 뭉친 것을 1홉 씩 둥글게 뭉쳐서 1회 당 2개씩 휴대하였다고 한다.

오니기리의 역사에 관해서는 하위 섹션에서 일본과 한국으로 나누어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2. 1. 일본

일본에서 오니기리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987년 12월 이시카와현 나카노토정에 있는 야요이 시대 중기의 스기타니차노바타케 유적(杉谷チャノバタケ일본어)에서 발견된 탄화된 쌀알 뭉치이다.[2][3] 이 뭉치는 사람 손으로 만들어진 흔적이 있었고, 처음에는 "가장 오래된 오니기리"로 알려졌다.[2] 그러나 이후 연구에 따르면, 이것은 오늘날의 쌀처럼 삶은 것이 아니라, 치마키와 유사하게 찐 후 구워진 것으로 추정된다.[2][4]

김으로 감싼 오니기리


식사의 일부로서의 오니기리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오니기리는 헤이안 시대의 돈지키(頓食일본어)라는 타원형의 큰 찐 찹쌀 음식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인다. 가마쿠라 시대 말기부터는 멥쌀이 사용되기 시작했고, 겐로쿠 시대부터 김을 싸서 먹는 형태가 나타났다.

젓가락 사용이 일반화되기 전인 나라 시대에는 밥을 작게 뭉쳐 손으로 쉽게 먹을 수 있도록 했다. 헤이안 시대에는 밥을 접시에 쌓아 쉽게 먹을 수 있도록 tonjiki라고 불리는 작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만들었는데, 당시 오니기리는 tonjiki라고 불렸으며 야외 소풍 점심으로 자주 먹었다.[6]

onigiri라는 단어는 서기 721년의 히타치국 풍토기(히타치국 지지)에서 처음 등장했다. 여기서 사용된 단어는 nigiri-ihi (握飯) 또는 "뭉쳐진 밥"이다.[7]

한문 표기〈風俗說云握飯筑波之國。〉[8]
고대 일본어、のにふ。



무라사키 시키부는 11세기 일기 무라사키 시키부 일기에서 사람들이 tonjiki 주먹밥을 먹는 것에 대해 기록했다.[9][10] 17세기 기록에는 많은 사무라이가 전쟁 중 점심 식사로 대나무 껍질에 싼 쌀 주먹밥을 저장했다고 한다.

가마쿠라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까지 오니기리는 간편식으로 사용되었다. 요리사들은 충분한 양의 오니기리를 만들기만 하면 되었고, 제공 방식은 신경 쓰지 않아도 되었기 때문이다. 이 오니기리는 단순히 소금으로 간을 한 밥 뭉치였다. 은 겐로쿠 시대(1688–1704) 중반까지 널리 사용되지 않았는데, 이때 김 재배와 김을 얇은 잎으로 만드는 기술이 널리 퍼졌다.

우타가와 히로시게의 판화, 1845년, 오니기리를 먹는 순례자


일본 세븐일레븐에서 판매되는 오니기리


1980년대에는 삼각 오니기리를 만드는 기계가 발명되었다. 이 기계는 속 재료를 밥에 굴려 넣는 대신, 오니기리에 구멍을 내고 조미료를 넣은 후 김으로 구멍을 가리는 방식이었다. 초기에는 김이 밥에 붙어 있어 시간이 지나면 눅눅해지고 끈적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후 포장 기술이 개선되어 김을 밥과 별도로 보관할 수 있게 되었다. 먹기 전에 김 봉지를 열어 오니기리를 감싸는 방식으로, 김의 바삭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오니기리에 구멍을 내어 속을 채우는 방식은 재료를 바꾸지 않고도 새로운 맛을 쉽게 추가할 수 있게 했다. 현대의 기계 포장 오니기리는 플라스틱 포장재가 김과 밥 사이에 위치하여 습기를 막는 역할을 한다. 포장을 양쪽 끝에서 뜯으면 김과 밥이 접촉하여 함께 먹을 수 있다.

오니기리의 역사와 관련된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시대사건 내용
야요이 시대 중기 (기원전 1800년대)스기타니 차노바타케 유적에서 치마키 모양 탄화 쌀 덩어리 발견 (당시에는 "가장 오래된 주먹밥"으로 여겨짐)
나라 시대 초기 (721년)『히타치국 풍토기』에 주먹밥이라는 단어 처음 등장
헤이안 시대현대 오니기리의 기원인 톤지키라는 음식 등장
가마쿠라 시대 말기멥쌀 사용 시작
겐로쿠 시대 (1688년-1704년)김 양식 보급, 김밥 오니기리 등장
1980년대삼각 오니기리 제조 기계 발명
2000년 12월 26일"1월 17일"이 "오무스비의 날"로 제정 (일본 기념일 협회 인증)
2002년 10월 1일이시카와현 로쿠세이 정이 "6월 18일"을 "오니기리의 날"로 제정 (일본 기념일 협회 인증)
2015년 6월 19일이시카와현 나카노토정이 "11월 18일"을 "오니기리의 날"로 제정 (일본 기념일 협회 인증)


2. 2. 한국

한국에서는 일본의 둔식(屯食)에 가까운 주먹밥한국어이라는 음식이 예로부터 있었다. 1990년대 초, 일본의 편의점 오니기리를 참고하여 편의점에서 판매를 시작했지만[69], 발매 초기에는 정착되지 않았다. 이후, 이러한 부정적인 인식을 없애기 위해 명칭을 "삼각김밥"으로 변경하고, 속 재료를 김치로 하거나, 김이나 쌀을 개발하는 등 창의적인 노력을 통해 2000년대 초부터 판매량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편의점뿐만 아니라 전문점도 생길 정도로 인기가 높다.[70][71][72] 한국 편의점 매출에서 삼각김밥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6년에는 40% 이상이었지만, 2007년에는 선호 경향에 밀려 30%대로 감소했다.[73]

3. 명칭

오니기리라는 이름은 일본어로 '쥐다', '잡다'를 뜻하는 니기루(握る일본어)의 명사형인 니기리(握り일본어)에 존칭어두인 御를 덧붙인 말이다. 비슷하게 '뭉치다'를 뜻하는 무스부(結ぶ일본어)의 명사형 무스비(結び일본어)와 御를 덧붙인 오무스비(御結び일본어)라고도 부른다. 보통 간토 지방에서는 오니기리, 간사이 지방에서는 오무스비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나라 시대 초기의 양로 5년(서기721년)에 성립된 지리지 『히타치 국 풍토기』의 「쓰쿠바 군」 조에는 다음과 같은 주석이 있으며[29], 현재 알려진 바로는, 여기에 보이는 「'''주먹밥'''(니기리이히, 니기리이이)」이, 주먹밥 또는 오니기리로 다양하게 불리는 요리의 기록상의 최초 출현이다.

「오무스비」, 「니기리메시」 또는 단순히 「무스비」, 「니기리」 등으로 불린다. 「니기리마(응)마」(아오모리현, 아키타현 등), 「오닌코」(토치기현), 「닌니코」(와카야마현)와 같은 일본어 방언도 있다.

역사적으로는, 옛날에는 「니기리이이」(握飯)라고 불리던 것이 「니기리메시」(握り飯)로 변화하고, 여성어인 「오니기리」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오니기리」, 「오무스비」 모두 니기리메시의 존칭이지만, 후자의 호칭은 원래 어린이말, 궁중의 여방말이었다. 국어학자 요시다 가네히코는 「오무스비」는 「오니기리」나 「니기리메시」에 비해 완곡적인 표현으로 정중한 어감이 있으며, 스시에도 쥐는 것이 있고, 고급이지만, 무스비는 없고, 무스비는 밥만의 변변치 않은 울림이 있다고 했다.

도쿄에서도 옛날에는 「오무스비」였지만, 상방에서 새로운 말이 퍼졌다고 하며, 긴키 지방에서는 「오니기리」가 우세하고, 큐슈·오키나와 지방에서는 「오니기리」, 「니기리메시」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홋카이도, 칸토 지방, 시코쿠에서는 양자가 팽팽하고, 주부 지방주고쿠 지방에서는 「오무스비」가 우세하다는 연구도 있다[44]。 2013년(헤이세이 25년)의 조사에 따르면, 일본 전국에서는 「오니기리」가 89%로, 10%의 「오무스비」를 압도했다. 지역별로도 전 도도부현에서 「오니기리」가 「오무스비」를 웃돌았고, 「오무스비」가 비교적 많은 것은, 주고쿠 지방야마구치현(45%), 히로시마현(38%) 등이었다[45]。 덧붙여, 「오무스비 코로링」에 관해서는 전국적으로 「오무스비」이며, 「오니기리 코로링」이라고는 말하지 않는다.

4. 구성

오니기리는 밥, 속재료, 모양, 포장의 네 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흰쌀밥으로 만들지만, 오코와, 세키한, 마제고항, 볶음밥, 현미 등 다양한 종류의 밥을 사용하기도 한다. 밥에는 소금, 참깨, 후리카케, 말린 차조기 플레이크 등으로 간을 한다. 보통 삼각형 모양이지만, 둥근 모양이나 원통형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우메보시, 가쓰오부시(오카카), 쓰쿠다니는 전통적인 오니기리 속재료이다. 간이 된 밥으로 만든 오니기리에는 보통 속재료를 넣지 않으며, 소금으로만 간을 한 것은 '시오무스비'라고 부른다.

대표적인 속재료는 다음과 같다.



은 오니기리 포장에 주로 사용된다. 간토 지방에서는 구운 김, 간사이 지방에서는 조미 김을 선호하며, 판김을 사용하기도 한다. 김 외에 노자와나, 토로로콘부, 절임(메하리즈시), 니쿠마키 오니기리, 콩가루, 지단, 가마보코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4. 1. 모양

오니기리의 모양은 매우 다양하며, 지역, 시대, 만드는 사람의 기호에 따라 달라진다. 대표적인 모양은 다음과 같다.

오니기리의 주요 형태[46]
모양설명특징비고
삼각형높이가 낮은 삼각기둥 모양.쥐기 쉬워 가장 일반적이며, 관동 지방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산 모양으로 쥐어 신이 깃든다고 믿었다는 설도 있다.[46]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오니기리의 주류 형태이다.[46][48]--
볏짚 가마니 모양옆으로 눕힌 원기둥 모양.마쿠노우치 도시락에 사용되며, 간사이 지방에서 표준형이었다.[46]--
원형높이가 낮은 원기둥 모양.주로 도호쿠 지방에서 볼 수 있으며, 석쇠에 구울 때 굴러가지 않도록 변형된 것으로 추정된다.[46]
구형공 모양.규슈 지방에 많지만, 일본 전국에 분포한다.[46] 아름다운 구형으로 만들기 어렵다.
사각형높이가 낮은 직육면체 모양.규슈 지방이나 타이완에서 볼 수 있으며, 오시스시와 유사하다.



에도 시대 후기에 편찬된 유서 『수정만고』에는 "삼도 모두 형태가 정해져 있지 않지만, 교토・오사카는 볏짚 가마니 모양으로 하고..." "에도에서는 원형, 혹은 삼각형 등..."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지역별로 선호하는 모양이 달랐음을 알 수 있다.[47]

이 외에도 오각형[49][50][51], 매화 꽃 모양, 별 모양 등 다양한 모양이 있으며, 금형을 사용하여 만들기도 한다.

소금만으로 만든 쌀밥 뭉치인 ''시오무스비''

4. 2. 밥

일본에서 주식으로 먹는 자포니카 쌀로 지은 밥은 식어도 녹말이 딱딱해지거나 맛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다른 품종에 비해 오니기리를 만드는 데에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오니기리는 삶은 흰쌀밥으로 만들지만, 때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밥으로 만들기도 한다.

종류설명
()소금만으로 만든 쌀밥 뭉치인 시오무스비 ()
팥밥찹쌀로 지은 팥밥 오니기리에 깨소금으로 간을 하고, 속 재료 없이 만드는 것이 보통이다.
잡곡밥보리밥, 오곡밥
비빔밥
기타 쌀 요리볶음밥, 치킨라이스, 드라이 카레 등
오코와 또는 코와메시채소를 넣고 쪄낸 찹쌀밥
세키한붉은 과 함께 지은 밥
마제고항선호하는 다양한 재료와 함께 지은 밥
현미



밥에는 소금, 참깨, 후리카케, 말린 차조기 플레이크 등으로 간을 할 수 있다.

4. 3. 속재료

우메보시가쓰오부시, 다시마 등의 해산물 조림은 예로부터 오니기리의 속재료로 선호되었다. 이는 오니기리가 휴대용 식량으로 이용되던 시절, 높은 보존성과 살균 작용이 뛰어난 재료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에는 다양한 속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종류설명
건어물가쓰오부시간장으로 양념한 것 등.
무침참치 마요네즈, 새우 마요네즈 등. 마요네즈가 녹을 수 있어 가정집에서는 자주 쓰이지 않지만, 편의점에서는 인기 메뉴이다.
튀김새우 튀김, 돈카쓰 등.
볶음고기 야채 볶음 등.
조림돼지고기 조림이나 참치 조림 등.
소금에 절인 생선연어, 고등어 등.
생선알 가공품성게 간장 절임이나 연어 간장 절임, 명란젓 등.
달걀삶은 달걀, 반숙 달걀.
피클, 시바 절임 등.
발효 식품된장, 낫토 등.
구이연어 구이, 불고기, 스팸, 장어 구이 등.



일반적으로 간이 된 밥으로 만든 오니기리에는 속재료가 들어가지 않는다. 소금만으로 간을 한 오니기리는 ''시오무스비''라고 불린다.

2014년 일본 조사에 따르면, 인기 있는 오니기리 속재료는 연어, 우메보시, 명란젓, 참치, 다시마, 명란 , 기타, 가다랑어, 갓 절임 순이었다.[52]

4. 4. 포장

오니기리의 포장에는 대개 이 사용된다. 간토 지방에서는 구운 김, 간사이 지방에서는 조미 김을 선호하며, 판김을 사용하는 지역도 있다.

김으로 싸는 방법은 다양하다. 삼각형 오니기리의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 오니기리 전체를 골고루 싼다.

# 측면의 한 면에서 앞뒤 면으로 덮는 형태로 붙인다.

# 측면을 한 바퀴 감는다.

김 외에도 다양한 재료가 사용된다.

치킨 라이스를 얇게 부친 달걀로 감싼 오므라이스풍 오니기리도 있다.

포장을 하지 않고 후리카케 종류를 뿌리기도 한다. 참깨(검은색 또는 흰색), 덴푸, 노리타마, 유자 고추 등이 사용된다. 속을 넣지 않은 '소금 오니기리'에는 소량의 참깨를 뿌리기도 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콩가루를 뿌리거나 된장을 바르는 경우도 있다.

대나무 껍질로 싼 오니기리 도시락


오니기리를 포장하기 위해 주로 식품용 랩, 알루미늄 포일, 일본 종이 등이 사용된다. 오니기리는 색이나 냄새가 쉽게 옮겨지므로, 색이 빠지거나 냄새가 나는 것(금속 냄새 포함)은 피한다.

근대 이전에는 대나무 껍질이나 하란 잎으로 싸는 것이 주류였으나 지금은 줄었다. 하지만 대나무 껍질은 높은 항균성과 통기성, 보수성과 소취 효과가 있어 여전히 애용된다. 대나무 껍질은 오니기리를 포장하거나 엮어 만든 도시락으로 사용된다.

미리 밥에 김을 말아두어 촉촉하고 밥과의 일체감을 더한 김을 즐기는 것과, 먹기 직전까지 밥과 김을 밀착시키지 않아 건조한 김의 바삭함을 즐기는 방법이 있다. 전자를 '''직접 말기''', 후자를 '''나중에 말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1978년 편의점에서 바삭한 삼각김밥(나중에 말기) 판매를 시작했으며(자세한 내용은 "#포장 개발사" 참조), 특히 삼각김밥에서 이 유형이 정착되었다. 편의점 삼각김밥은 바삭한 김(나중에 말기) 쪽을 연상하지만, 실제로는 두 유형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다. 전문점 등에서 만들어둔 것을 판매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촉촉한 김 삼각김밥(직접 말기)이며, 손에 든 시점에서 밥과 김이 잘 어우러져 있다. 손님 앞에서 만드는 전문점에서는 먹기 시작할 때는 바삭함을 즐기고, 먹어갈수록 촉촉함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을 내세우기도 한다.

5. 종류

야키 오니기리

  • 야키 오니기리(焼きおにぎり): 흰 쌀밥을 뭉쳐 모양을 만든 다음, 간장이나 된장을 발라 구운 것이다. 냉동 식품으로도 판매된다.
  • 된장 오니기리(味噌おにぎり|미소 오니기리일본어): 주로 일본 동부 지역에서 볼 수 있다. 된장을 속재료로 사용하거나, 와 섞어 사용하기도 한다. 야키 오니기리의 변형으로 된장을 발라 굽기도 한다.
  • 아게 오니기리(揚げおにぎり): 흰 쌀밥을 뭉쳐 모양을 만든 다음, 프라이팬이나 웍에 식용유를 두르고 튀긴 것이다. 간장, 된장, 소금 등으로 간을 할 수 있다.
  • 수프 오니기리: 아게 오니기리를 그릇에 담고, 부추, 미야코구사(Lotus japonicus), 와사비, 강판에 간 생강, 김, 우메보시 등의 조미료를 넣고 뜨거운 일본식 국물을 부어 먹는다. 국물을 흡수한 오니기리를 부숴가며 먹는다.
  • 아게 오니기리 변형:
  • 타키코미 고항과 같은 일본식 조미료를 넣은 밥을 튀긴다.
  • 녹인 치즈를 속 재료로 사용한다.
  • 밥을 케첩, 카레와 같은 서양식 재료로 튀기고, 서양식 수프로 토핑을 올린다.
  • 바쿠단 오니기리(爆弾おにぎり): 쌀이 보이지 않도록 김으로 완전히 감싼 크고 둥근 오니기리다. 말린 생선이나 우메보시로 속을 채운다.
  • 포크 타마고 오니기리(ポーク玉子おにぎり): 쌀, 김, 돼지고기, 달걀을 조합한 오키나와현의 변형 음식이다.[11] 오니포(おにポー)라고도 줄여 부른다.
  • 텐무스(天むす|텐무스일본어): 튀긴 덴푸라가 들어있는 오니기리. 미에현 쓰시에서 유래되었으며, 나고야 요리로 잘 알려져 있다.[12][13]
  • 삼각김밥: 문자 그대로 "삼각형 김밥"을 뜻한다. 일본의 오니기리에서 유래되었으며, 대한민국 편의점에서 판매된다.[14]

6. 기타


  • 天むす일본어: 튀긴 덴푸라가 들어있는 주먹밥으로, 원래 미에현 쓰시에서 유래되었으며, 나고야 요리로 잘 알려져 있다.[12][13]
  • 삼각김밥(삼각김밥한국어): 문자 그대로 "삼각형 김밥"을 의미한다. 일본의 오니기리에서 유래되었으며, 대한민국 편의점에서 판매된다.[14] 속재료는 매우 다양하며, 유통기한은 1일이다. 일반적으로 140kcal에서 200kcal의 열량을 제공한다.
  • 오니기리는 고유의 유니코드 이모지가 있다: 🍙 (U+1F359)
  • '''오니기라즈''': 밥을 손으로 쥐지 않고, 큰 김으로 보자기처럼 감싸는 주먹밥의 일종이다. "주먹밥과는 달리 손으로 꽉 쥐지 않는다"는 의미로 오니기라즈라고 불린다.[54] 우에야마 토치의 장기 연재 요리 만화 『쿠킹 파파』에 처음 소개된 것이 오리지널이며, 고안자는 만화가 본인의 부인이다.[56] 2014년 9월 초, 일본 최대 요리 레시피 사이트 "쿡패드"에서 소개된 것을 계기로[57] 호평을 받아 웹 미디어로 확산되었다.[58] 2015년에는 김 제조업체에서 오니기라즈 전용 김도 발매되었고,[60] 같은 해 "올해의 한 접시"로 선정되었다.[61]


쿡패드가 소개한 『쿠킹 파파』의 원조 오니기라즈 만드는 방법[62]요미우리 신문이 소개한 오니기라즈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오니기라즈 만드는 법
쿡패드요미우리 신문



두 방법 모두 김의 주변 부분에는 재료나 밥을 채워 넣지 않는 것이 잘 만드는 요령이다. 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식재료의 폭이 일반적인 주먹밥보다 넓어서 고로케튀김, 반숙 달걀, 닭튀김, 우엉 조림, 야키소바 등 많은 바리에이션이 생겨나고 있다.


  • 키리탄포: 아키타현의 명물. 원래는 마타기가 식사할 때 오니기리를 나무 막대에 꽂아 구워 먹었던 것이 기원이라는 설이 있다.
  • 텐무스
  • 타누키 오니기리: 텐카스(튀김 부스러기)를 넣은 오니기리. 별명은 "악마의 오니기리"이다.[63]
  • 고기말이 오니기리
  • 시구레 고기말이 오니기리
  • 챠슈 오니기리
  • 바쿠단 오니기리
  • 준도그
  • 포크 타마고 오니기리
  • 오니사사: 주로 오키나와현이시가키시에서 먹는, 오니기리와 닭가슴살 튀김을 합체한 음식
  • 라이스 버거: 햄버거을 밥으로 대체한 것
  • 고치소 오니기리: 재료를 호화롭게 사용하고, 표식으로 재료를 삼각 오니기리의 꼭대기에도 올린 것. 전문점도 등장했으며, 2023년의 "올해의 한 접시"로 선정되었다.[64][65]

참조

[1] 서적 Kaiseki: the exquisite cuisine of Kyoto's Kikunoi Restaurant https://books.google[...] Kodansha International 2020-10-16
[2] 간행물 “平成18年度発掘速報会「よみがえる石川の遺跡」- 『いしかわの遺跡 No.26』” http://www.ishikawa-[...] 公式ウェブサイト 2020-04-21
[3] 간행물 “物語10 日本最古のおにぎりが出土 杉谷チャノバタケ遺跡 - 中能登百物語(おにぎりの歴史)” https://www.town.nak[...] 公式ウェブサイト 2020-04-21
[4] 뉴스 『おにぎりの里』再び 町おこしの熱意 合併後も消えず http://www.chunichi.[...] 中日新聞社 2008-09-06
[5] 웹사이트 杉谷チャノバタケ遺跡 http://noto-satoyama[...] 「能登の里山里海」世界農業遺産活用実行委員会 2020-04-21
[6] 서적 A Taste of Japan Kodansha
[7] 웹사이트 「おにぎり」と「おむすび」の違い https://www.dwc.dosh[...] Doshisha Women's College of Liberal Arts 2018-10-23
[8] 논문 『常陸国風土記』行方郡に見える建借間命の国見記事について https://hdl.handle.n[...] 早稲田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 2023-07-22
[9] 서적 Koten Bungaku Taikei 19: Makura no Sōshi, Murasaki Shikibu Nikki Iwanami Shoten
[10] 서적 Shin Koten Bungaku Taikei 24: Tosa Nikki, Kagerō Nikki, Murasaki Shikibu Nikki, Sarashina Nikki Iwanami Shoten
[11] 웹사이트 ポーク卵おにぎり http://r.gnavi.co.jp[...] 2021-03-17
[12] 서적 Simply Onigiri: fun and creative recipes for Japanese rice balls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International (Asia) Private Limited 2017-03-18
[13] 서적 三重あるある (Mie aru aru) TO books
[14] 뉴스 Republic of convenience stores https://koreajoongan[...] 2017-05-18
[15] 웹사이트 穀類/こめ/[うるち米製品]/おにぎり - 一般成分-無機質-ビタミン類-アミノ酸-脂肪酸-炭水化物-有機酸等 https://fooddb.mext.[...] 文部科学省 2018-10-24
[16] 웹사이트 平成18年度発掘速報会「よみがえる石川の遺跡」- 『いしかわの遺跡 No.26』 http://www.ishikawa-[...] 石川県埋蔵文化財センター 2007-03-30
[17] 문서 杉谷チャノバタケ遺跡
[18] 웹사이트 物語10 日本最古のおにぎりが出土 杉谷チャノバタケ遺跡 - 中能登百物語(おにぎりの歴史) https://www.town.nak[...] 中能登町 2020-04-21
[19] 뉴스 『おにぎりの里』再び 町おこしの熱意 合併後も消えず http://www.chunichi.[...] 中日新聞社 2008-09-16
[20] 웹사이트 杉谷チャノバタケ遺跡 http://noto-satoyama[...] 「能登の里山里海」世界農業遺産活用実行委員会 2020-04-21
[21] 웹사이트 相模平野の微地形 https://hirahaku.jp/[...] 平塚市博物館 2020-04-22
[22] 웹사이트 平塚市内の地形と遺跡 http://www.city.hira[...] 平塚市 2020-04-22
[23] 문서 北金目塚越遺跡
[24] 웹사이트 リポート -『大磯町郷土資料館だより 24』 http://www.town.oiso[...] 大磯町 2020-04-22
[25] 웹사이트 北川表の上遺跡 https://sitereports.[...] 独立行政法人国立文化財機構 奈良文化財研究所 2020-04-21
[26] 문서 味の民芸 港北ニュータウン店
[27] 뉴스 都筑で出土した古代の「おにぎり」から穀物の歴史紹介-横浜歴博で企画展 https://kohoku.keiza[...] NPO法人横浜コミュニティデザイン・ラボ 2020-04-21
[28] 뉴스 横浜市歴史博物館 おにぎりで学ぶ穀物史 https://www.townnews[...] 株式会社タウンニュース社 2020-04-21
[29] 웹사이트 「おにぎり」と「おむすび」の違い https://www.dwc.dosh[...] 同志社女子大学 2020-04-20
[30] 웹사이트 東海道五十三次細見図会 藤沢 https://dl.ndl.go.jp[...]
[31] 웹사이트 報告書(近刊) https://www.saimaibu[...] 埼玉県埋蔵文化財調査事業団 2023-10-29
[32] 뉴스 「日本のコンビニ1号店」が閉店 45年の歴史に幕 https://www.excite.c[...] エキサイト株式会社 2020-04-21
[33] 웹사이트 「おにぎり」の開発に学ぶ経営学 現代経営学および実践経営論ケース資料 https://www.ogura-se[...] 放送大学 2020-04-21
[34] 웹사이트 2014年5月18日放送 - 過去の放送内容 -『がっちりマンデー!!』 https://www.tbs.co.j[...] TBSテレビ 2020-04-21
[35] 웹사이트 「おむすびの日」記念アンケート結果発表 > 第6回「おむすびの日」記念アンケート結果発表 > Q4 あなたはコンビニでおむすびを温めてもらいますか? - ごはんを食べよう国民運動推進協議会 http://www.gohan.gr.[...] 2008-12-26
[36] Wayback コンビニのおにぎりは温めるのが常識? - 教えて! goo ウォッチ https://news.livedoo[...] 2010-04-23
[37] 웹사이트 海苔のお話 第5話 焼き海苔と味付け海苔 http://www.urashima.[...] 浦島海苔株式会社
[38] 웹사이트 6月18日はおにぎりの日です。 https://www.town.nak[...] 中能登町 2019-06-13
[39] 웹사이트 11月18日も「おにぎりの日」です。 https://www.town.nak[...] 中能登町 2019-06-13
[40] 문서 1978年(昭和53年)10月、三重県が「米」を「十」と「八」に分解できるとして「18日」を記念日に制定した。
[41] 웹사이트 「1.17 おむすびの日」が全国に浸透 https://gokumi.com/g[...] おいしいごはんを食べよう県民運動推進協議会、株式会社神戸新聞事業社 2018
[42] 웹사이트 ごはんを食べよう国民運動推進協議会より https://www.kodomo-k[...] 公益社団法人 [[全国子ども会連合会]] 2014-01-14
[43] 웹사이트 ~1月17日はおむすびの日~ 被災者の心と健康を支えた、手軽に栄養が摂れる「朝ごはん」とは? https://kyodonewsprw[...] PR Newswire 2019-01-17
[44] 웹사이트 おにぎりとおむすびの違い https://www.onigiri-[...] 一般社団法人おにぎり協会 2014-06-28
[45] 웹사이트 "「おむすびの日」記念アンケート結果発表 > 第13回「おむすびの日」記念アンケート結果発表 > Q3. おむすび(おにぎり)のことを何と呼びますか?" http://www.gohan.gr.[...] ごはんを食べよう国民運動推進協議会 2013-01-17
[46] 웹사이트 三角型おにぎりは主流ではなかった!? https://www.onigiri-[...] 一般社団法人おにぎり協会 2014-06-19
[47] 웹사이트 江戸時代、江戸で見られたおにぎり(にぎりめし)の形を知りたい。 https://crd.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15-03-28
[48] 뉴스 関西の主流おにぎり 昔は俵型(謎解きクルーズ)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4-11-22
[49] 웹사이트 MUTENKADASHI.jp(無添加だし) - 五角おにぎり {{!}} 株式会社シマヤ https://mutenkadashi[...]
[50] 웹사이트 『五角おにぎり〖おにぎりだけのお弁当*合格祈願弁当〗』 https://ameblo.jp/to[...]
[51] 웹사이트 合格(五角)招いてよろ昆布ニャ!おにぎり by みまりん https://cookpad.com/[...]
[52] 웹사이트 Q2. おむすびの具では何が一番好きですか?|ごはんを食べよう国民運動―ごはんを中心とした日本型食生活のよさを見直しましょう― http://www.gohan.gr.[...] 2014-01-17
[53] 웹사이트 ふるさとのおむすび http://www.gohan.gr.[...] ごはんを食べよう国民運動推進協議会
[54] 웹사이트 握らず簡単「おにぎらず」ノリでご飯と具を包み https://www.yomidr.y[...] 読売新聞社 2015-03-04
[55] 웹사이트 今ネットで話題の、握らないおにぎり「おにぎらず」。実は『クッキングパパ』発なんです。超簡単レシピの誕生の裏には、子育てと格闘する荒岩家の感動秘話がありました——。 https://morning.moae[...] 講談社 2014-10-07
[56] 뉴스 『クッキングパパ』発握らぬおにぎり「おにぎらず」人気 「BENTO」に続くジャパニーズ・クールとなるか https://www.sankei.c[...] 産業経済新聞社 2015-01-25
[57] 웹사이트 話題の「おにぎらず」って一体なんだ? http://cookpad.com/a[...] 2014-09-28
[58] 웹사이트 作れば納得 簡単! おいしい! 「おにぎらず」の魅力 https://www.yomiuri.[...] 読売新聞社 2015-01-29
[59] 웹사이트 驚くほどの大ブレイク! 【おにぎらず】が大人気の3つの理由(わけ)とは? http://cookpad.com/a[...] 2014-10-26
[60] 뉴스 「おにぎらず」もっと手間いらず 専用のりが大ヒット https://www.asahi.co[...] 2015-03-16
[61] 웹사이트 2015年「今年の一皿」 https://gri.gnavi.co[...]
[62] 웹사이트 クッキングパパの元祖おにぎらず http://cookpad.com/r[...] 2014-10-10
[63] 웹사이트 悪魔のおにぎり【つゆと天かすでやみつき】 https://www.kikkoman[...]
[64] 웹사이트 「今年の一皿」に「ご馳走おにぎり」華やかさ話題 専門店も https://www3.nhk.or.[...] 2023-12-04
[65] 웹사이트 '今年の一皿』は「ご馳走おにぎり」 華やかさがSNSで話題に、精米消費を後押し https://www.oricon.c[...] 2023-12-04
[66] 웹사이트 他人が握ったおにぎり食べられない人が増加 社会の変化影響 https://www.news-pos[...] 2015-05-03
[67] 서적 Brushing the World Famous: The Story of My Life 2005
[68] 웹사이트 SUSHIに続き世界へ広がる日本の「おむすび」 https://sushitimes.c[...] 2018-08-21
[69] 뉴스 <随筆>◇キムパプ(ノリ巻き)礼賛論◇ 産経新聞 黒田勝弘 ソウル支局長 http://www.toyo-keiz[...] 東洋経済日報社 2009-05-01
[70] 웹사이트 "「韓国における食品マーケットの変化と可能性 - 平成14年度 貿易情報海外調査報告書 III"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03-03
[71] 뉴스 韓国「おにぎりブーム」仕掛け人は本多さん https://megalodon.jp[...] 2020-04-20
[72] 뉴스 日本式三角おにぎりがコンビニを制覇 https://megalodon.jp[...] 2020-04-20
[73] 뉴스 입 맛 서양화, 경기불황에 저렴하고 품질 좋은 빵 제품 인기 http://www.mdtoday.c[...] MDtoday 2008-08-27
[74] 웹사이트 握り飯 https://fudemaka57.e[...] 2020-03-18
[75] 간행물 「いしかわの遺産」 No.26 http://www.ishikawa-[...]
[76] 뉴스 「『おにぎりの里』再び 町おこしの熱意 合併後も消えず」 http://www.chunichi.[...] 中日新聞 2008-09-06
[77] 웹사이트 海苔のお話 第5話 焼き海苔と味付け海苔 http://www.urashima.[...] 浦島海苔株式会社
[78] 뉴스 コンビニのおにぎりは温めるのが常識? https://web.archive.[...] Ameba News アメーバニュース 2010-04-1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