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의 수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의 역대 수도는 고조선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변천을 겪었다. 고조선은 아사달과 왕검성을 수도로 삼았으며, 삼국 시대에는 고구려가 졸본, 국내성, 평양성으로, 백제가 위례성, 웅진, 사비로, 신라는 금성을 수도로 사용했다. 고려는 개경을, 조선은 한성을 수도로 정했다. 일제강점기에는 경성부가 식민 통치의 중심지였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상하이를 시작으로 충칭까지 여러 곳에서 활동했다. 현재 대한민국은 서울특별시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평양직할시를 수도로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도시 - 대도시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대도시는 지방자치법상 인구 50만 이상의 도시로, 특별시, 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를 제외한 도시에 대해 행정 및 재정 운영 등에 특례가 인정되며, 100만 이상 대도시는 특례시로 지정되어 추가적인 특례를 받을 수 있다.
  • 옛 나라의 수도 - 라하이나
    라하이나는 하와이 마우이섬 서부의 도시로, 과거 하와이 왕국의 수도이자 포경업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2023년 산불로 큰 피해를 입고 현재 재건 중인 역사적 장소이다.
  • 옛 나라의 수도 - 트라브존
    트라브존은 터키 흑해 연안의 도시로, 트라페주스에서 기원하여 폰토스 왕국,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을 거쳐 트라페주스 제국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함시, 헤이즐넛, 차 생산지로 유명하고 아야 소피아, 쉬멜라 수도원, 우주응올 호수 등의 관광지가 있다.
한국의 수도
수도 정보
수도법적으로 지정된 수도는 없음
사실상 수도서울특별시
수도의 로마자 표기서울 (Seoul)
수도의 위치대한민국의 서북부에 위치
수도권수도권의 중심지
역사적 수도
고조선아사달, 왕검성
고구려졸본, 국내성, 평양성
백제위례성, 웅진, 사비
신라금성
발해동모산, 중경현덕부, 상경용천부
고려개경
조선한성
대한민국 임시정부상하이, 충칭
기타
관련 정보대한민국 수도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

2. 한국의 역대 수도



한국의 역대 수도는 시대별로 그 위치와 명칭이 다양하게 변화해 왔다.

2. 1. 고조선 시대 (기원전 2333년 ~ 기원전 108년)

고조선은 한국 역사상 최초의 국가로, 단군조선위만조선으로 구분된다. 단군조선의 수도는 아사달이었으나,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위만조선의 수도는 왕검성이었으며, 현재의 평양직할시로 추정된다.

국가명수도현재 위치수도 기간
단군조선아사달위치불명불명
위만조선왕검성


2. 2. 원삼국 시대 (기원전 108년 ~ 기원후 3세기)

고조선 멸망 이후 여러 소국들이 난립하던 시기이다. 부여, 옥저, 동예, 삼한(마한, 진한, 변한) 등이 대표적인 국가였으며, 각 국가의 수도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국가명수도현재 위치비고
부여부여성
동부여불명
옥저불명함경도, 강원도 일대
동예불명강원도 일대
마한불명충청도전라도 일대
변한불명전라남도경상남도 일대
진한불명경상도 일대


2. 3. 고대 (기원전 1세기 ~ 7세기)

삼국 시대에는 여러 나라들이 각기 다른 수도를 가지고 있었다.

2. 3. 1. 고구려 (기원전 37년 ~ 668년)

고구려졸본(卒本|졸본중국어), 국내성(國內城|국내성중국어), 평양성(平壤城|평양성한국어)으로 수도를 옮겼다.[1]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는 기원전 37년 주몽부여에서 탈출하여 졸본에 도읍을 정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후 동명성왕의 아들 유리명왕국내성으로 천도하면서 위나암성을 축조하였으며, 오늘날 중국 지린성 지안 시 일대이다. 427년 광개토대왕의 아들 장수왕 대에 이르러 평양으로 천도하였다. 586년 평원왕 대에 장안성이 축조되어 수도의 역할을 하였다.

수도명현재 위치수도 기간
졸본랴오닝성 환런현기원전 37년~3년
국내성지린성 지안3년~427년
평양성평양직할시427년~668년



장군총

2. 3. 2. 백제 (기원전 18년 ~ 660년)

백제온조왕위례성(현재의 서울특별시 송파구 부근)에 도읍을 정했다. 몽촌토성, 풍납토성 등 초기 백제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다.[5] 475년 고구려 장수왕의 침공으로 개로왕이 사망하자, 아들 문주왕웅진(현재의 충청남도 공주시)으로 수도를 옮겼다.[5] 웅진은 70여 년간 백제의 수도였으며, 공산성, 송산리 고분군, 무령왕릉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538년 성왕은 국호를 남부여로 바꾸고 수도를 사비(현재의 충청남도 부여군)로 이전하였다.[6] 사비는 백제의 마지막 수도로, 능산리 고분군, 정림사지 등이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백제의 수도
수도현재 위치기간
위례성서울특별시 송파구기원전 18년~475년
웅진[4]충청남도 공주시475년~538년
사비충청남도 부여군538년~660년



무령왕릉

2. 3. 3. 신라 (기원전 57년 ~ 935년)

신라의 수도는 금성(金城)으로 서라벌, 쇠울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금성은 오늘날의 경상북도 경주시이며 고도(古都)이다.[7] 금성은 천년 동안 신라의 수도였으며 오늘날 수많은 유적들이 남아있다.

경주 불국사


석굴암, 불국사를 비롯하여 첨성대, 안압지, 황룡사지, 분황사 등의 유적지가 존재하며 대릉원, 천마총과 여러 왕릉들이 있다. 경주의 유적은 2000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수도가 동남쪽으로 치우쳐져 있는 것을 보완하고자 5소경을 설치하였고, 신문왕 대에 달구벌로 천도하려 하였으나 귀족의 반발로 무산되었다.[8]

2. 3. 4. 가야 (42년 ~ 562년)

가야금관가야대가야로 나뉘며, 각 수도는 현재의 경상남도 김해시경상북도 고령군으로 추정된다.[1]

국호수도현재 위치수도 기간
금관가야미상경상남도 김해시42년~532년
대가야미상경상북도 고령군42년~562년


2. 4. 남북국 시대 (7세기 ~ 9세기)

남북국 시대에는 신라발해가 있었다. 신라는 경주를 수도로 삼았으며, 경주는 기원전 57년부터 935년까지 신라의 수도였다. 발해는 동모산을 시작으로 중경, 상경 등으로 수도를 옮겼다.

2. 4. 1. 발해 (698년 ~ 926년)

발해는 초기에 동모산을 거점으로 성립하였으며 오늘날의 중국 지린성 둔화 시이다.[9][10] 발해는 5경을 두었으며 이 중 중경 현덕부, 동경 용원부를 거쳐 상경 용천부가 수도가 되었는데, 오늘날 중국 지린성 허룽 시, 헤이룽장성 일대이다.

수도현재 위치수도 기간
구국 舊國중국 지린성 둔화 시698년~8세기
중경현덕부 中京顯德府중국 지린성 허룽 시742년~756년
상경용천부 上京龍泉府중국 헤이룽장성 닝안 시756년~785년
동경용원부 東京龍原府중국 헤이룽장성 훈춘 시785년~794년
상경용천부 上京龍泉府중국 헤이룽장성 닝안 시794년~926년


2. 5. 후삼국 시대 (9세기 ~ 10세기)

후삼국 시대에는 여러 국가들이 각기 다른 수도를 가지고 있었다. 신라의 수도는 경주였고, 후백제의 수도는 완산주(현 전주시)였다. 태봉송악(현 개성시)을 첫 번째 수도로 삼았다가 이후 철원군(현 철원군)으로 수도를 옮겼다.

2. 5. 1. 후백제 (892년 ~ 936년)

892년 견훤무진주를 거점으로 나라를 세웠고, 900년 완산주(完山州)로 수도를 옮기면서 즉위하였다. 이후 936년 고려에 멸망할 때까지 완산주는 후백제의 도읍이었다. 무진주는 오늘날의 광주광역시전라남도 일대이고, 완산주는 전라북도 전주이다.[1] 전주 교동에서 우아동 3가에 이르는 길은 견훤의 이름을 본따 '견훤로'로 명명되었다.[1]

후백제의 수도 변천
수도현재 위치수도 기간
무진주 (武珍州)전라남도 일대, 광주광역시892년~900년
완산주 (完山州)전라북도 전주시900년~936년


2. 5. 2. 태봉 (901년 ~ 918년)

궁예는 반신라적 사상과 고구려를 계승한다는 기치를 내걸고 901년 후고구려를 건국하였다. 초기 수도는 송악이며 오늘날 개성이다.[1]

905년 국호를 마진으로 바꾸고 철원으로 천도하였으며 911년 국호를 태봉으로 고쳤다.[1] 이후 918년 6월 왕건의 정변으로 멸망하였으며 철원은 남북으로 분단되어 오늘날 남북한 모두 동명의 행정구역을 갖는다.[1]

태봉의 수도 변천
국호수도현재 위치수도 기간
후고구려송악개성특별시901년~905년
마진철원강원도 철원군905년~911년
태봉911년~918년


2. 6. 고려 시대 (918년 ~ 1392년)

고려는 918년부터 1392년까지 한반도를 통치한 왕조이다. 고려의 수도는 개경(현재의 개성특별시)이었으며, 몽골 침입 시기에는 강화도(현재의 인천광역시 강화군)로 임시 천도하였다.

수도현재 위치수도 기간
철원강원도 철원군918년~919년
개경개성특별시919년~1232년
강화인천광역시 강화군1232년~1270년
개경개성특별시1270년~1392년



개경은 고려 왕조 500여 년 동안 수도였으며, 벽란도를 통해 국제 무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11] 개경은 송도, 송악, 송경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 1232년 몽고의 침입이 시작되자, 무신정권의 집권자인 최우가 수도를 강화도로 옮겼다.[12] 1270년 개경으로 환도할 때까지 38년간 강화가 고려의 수도였다. 만월대, 고려왕릉, 첨성대, 선죽교 등 고려 왕조의 유적이 남아있으며 일부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13]

2. 7. 조선 시대 (1392년 ~ 1910년)

조선의 수도는 한성(漢城)이며 한양(漢陽)이라고도 한다. 태조 이성계는 새 도읍지를 물색하던 중 무학대사하륜 등 중신들의 의견에 따라 1393년 도읍지를 한양으로 정하고 1394년 신도궁궐조성도감(新都宮闕造成都監)을 설치하여 새 수도의 도시 계획을 구상하였다. 1394년 음력 10월 28일 한양으로 천도하였다. 천도의 기준은 풍수·도참설에 따르면서, 남쪽에 한강이 있어 교통상 배로 물건을 실어 나르기가 편리하였기 때문이다.

1394년 한양으로 천도한 이래 정종이 개경으로 환도하였다가 태종이 다시 한양으로 천도하였다. 태종 대에 궁궐과 성곽, 도로 공사를 통해 수도의 면모를 갖추었으며 임진왜란을 겪으며 경복궁종묘 등을 비롯하여 도시 전반이 파괴되었다가 전후 복구되었다.

국호수도현재 위치수도 기간
조선
1392년~1897년
개경 開京개성특별시1392년~1394년
한양 漢陽서울특별시1394년~1399년
개경 開京개성특별시1399년~1405년
한양 漢陽서울특별시1405년~1910년


2. 8. 일제강점기 (1910년 ~ 1945년)

270x270픽셀


일제강점기의 수도는 '''경성부'''(한자: 京城府) 또는 '''게이조 부'''(京城府|게이조후일본어)이며 오늘날의 서울특별시에 해당한다.[14] 조선대한제국의 수도였던 한성부는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이후에 일본 제국의 조선 식민 지배의 행정 중심지로서 경성부로 불리게 되었고, 경기도에 편입되어 도청 소재지가 되었다.

혼마치(本町, 충무로)와 메이지초(明治町, 명동)를 중심으로 상권이 발달하였으나 도시의 빈부격차는 극심하였다. 1943년 6월 10일, 인구 증가에 따라 가 설치되었다. 광복 이후에도 잠시 경성으로 불렸으나, 1946년 9월 28일 미군정에 의하여 경기도에서 분리해 '''서울특별자유시'''가 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1919년 3월 1일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 제국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1919년 4월 13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망명정부이다. 같은 해 9월 11일에는 각지의 임시정부들을 통합하여 중국 상해에서 단일 정부를 수립하였다. 1948년 제정된 대한민국 제헌 헌법 전문과 1987년 개정된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계승 의지가 수록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1919년부터 1932년까지 13년간 상하이에 임시정부를 두었으나, 1932년 홍커우 공원에서 윤봉길 의사의 의거가 일어나자 일본군을 피해 항저우를 거쳐 난징으로 이동하였다. 중일전쟁이 발발하면서 일본이 난징을 침략하자 창사, 광저우, 류저우를 거쳐 1940년 충칭으로 이전하였고 그곳에서 광복을 맞이하였다. 현재 상하이, 항저우, 충칭에 임시정부 유적지가 복원되었다.

임시 수도현재 위치임시 수도 기간
상하이 上海상하이시1919년 4월~ 1932년 5월
항저우 杭州저장성 항저우시1932년 5월 ~ 1932년 10월
전장 鎭江장쑤성 전장 시1932년 10월 ~ 1932년 11월
난징 南京장쑤성 난징시1932년 11월~1937년 11월
창사 長沙후난성 창사 시1937년 12월~1938년 7월
광저우 廣州광둥성 광저우 시1938년 7월~1938년 11월
류저우 柳州광시좡족자치구 류저우 시1938년 11월~1939년 5월
치장 綦江충칭시1939년 5월~ 1940년 9월
충칭 重慶충칭시1940년 9월~1945년 11월


2. 9. 현대 (1945년 ~ 현재)

1945년 광복 이후, 한반도에는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두 국가가 들어섰다. 대한민국은 서울특별시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평양직할시를 각각 수도로 삼았다.

2. 9. 1. 대한민국 (1948년 ~ 현재)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대한민국의 수도는 서울특별시였다.[1] 한강이 도시를 관통한다. 한국전쟁 당시 서울이 함락되자 대전대구를 거쳐 부산임시수도로 삼았다.[15] 휴전협정 이후 현재까지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다.

351x351픽셀


수도수도 기간
서울특별시1948년 8월 15일 ~ 1950년 6월 28일
부산[15]1950년 6월 28일 ~ 1953년 7월 27일
서울특별시1953년 7월 27일 ~ 현재



서울에는 대한민국의 입법, 사법, 행정을 비롯한 중추적인 국가기관이 위치하고 있다. 1988년 제24회 올림픽, 2002년 FIFA 월드컵 경기대회, 2010년 G20 정상회의를 개최한 국제도시이며, 창덕궁, 종묘, 조선왕릉 등의 세계문화유산이 있다.

2. 9.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948년 ~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는 평양직할시이며 최대 도시이다.[17] 1950년 10월 19일 대한민국 국군이 수복했지만, 12월 5일조선인민군이 탈환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48년부터 1972년까지 서울을 수도로 규정하였으나 이후 평양을 정식 수도로 명문화하였다.

평양은 도시 중심에 대동강이 흐르며 행정 구역은 18구역 2군으로 이루어져 있고, 인구는 약 290만 명이다. 거주 이전의 자유가 없기 때문에 다른 지역 주민의 평양 이주는 금지되어 있다.

수도명수도 기간
270x270픽셀
평양시1948년 9월 9일~1950년 10월 19일
강계시[16]1950년 10월 19일~1950년 12월 5일
평양직할시[17]1950년 12월 5일~현재


참조

[1] 웹사이트 Korea, South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2-12-01
[2] 서적 The End of North Korea https://books.google[...]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1999
[3] 웹사이트 Korea, North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2-12-01
[4] 문서 곰나루, 고마나루 등으로 불리었다
[5] 문서 삼국사기
[6] 문서 삼국사기
[7] 문서 서라벌(徐羅伐) 등으로 불리었다.
[8] 문서 삼국사기
[9] 웹인용 ‘발해는 고구려 계승한 황제국’ 증거유물 나와 http://www.munhwa.co[...] 2020-07-18
[10] 웹인용 중국 지린성서 발해 황후 묘지 발굴 https://news.naver.c[...] 2020-07-18
[11] 문서 1394년 11월 한양으로 천도할 때까지 2년여간 수도였다.
[12] 문서 고려사
[13] 웹인용 북한 개성역사지구 세계유산 등재(종합) https://news.naver.c[...]
[14] 문서 조선총독부령 제7호 (메이지 43년 10월 1일 공포)
[15] 문서 1962년까지 경상남도 관할이었다. 1963년 1월 1일 부산직할시로, 1995년 부산광역시로 개편되었다.
[16] 문서 자강도
[17] 문서 1952년 직할시로 개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