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홋카이도 여객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는 일본의 JR 그룹 여객 회사 중 하나로, 홋카이도 지역의 철도 운송을 담당한다. 혹한 지역과 로컬 노선 위주의 운영으로 인해 경영 환경이 열악하며, 일본 철도건설·운수시설정비지원기구의 지분을 가지고 있어 주식 상장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동일본 여객철도와 제휴 관계를 맺고 있으며,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으로 도호쿠 신칸센과 직결 운행을 시작했다. 2016년에는 노선 유지가 어려워 일부 노선이 폐지되었거나 폐지될 예정이며, 삿포로시에 본사를 두고 구시로, 아사히카와, 하코다테에 지사를 운영한다. 1987년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로 설립되었으며, 홋카이도 신칸센, 특급, 쾌속 열차 등 다양한 열차를 운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홋카이도 여객철도 - 세이칸 터널
    세이칸 터널은 혼슈와 홋카이도를 연결하는 총 연장 53.85km의 해저터널로, 전략적 목표에서 시작되어 도야마루호 침몰 사고를 계기로 본격화, 1조 1,000억 엔의 건설비를 들여 1988년 개통되었으며, 현재 홋카이도 신칸센이 운행 중이고 통신 및 송전 통로 역할도 수행한다.
  • 홋카이도 여객철도 - JR 홋카이도 버스
    JR 홋카이도 버스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에서 분사하여 삿포로를 중심으로 홋카이도 각지에 노선 버스와 고속버스를 운영하며,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는 버스 운송 회사이다.
  • 1987년 설립된 철도 기업 - 일본화물철도
    일본화물철도는 일본국유철도 민영화로 설립된 철도 화물 운송 회사로, 환경 정책에 힘입어 운송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IT 시스템 도입 및 해외 진출을 통해 경영 자립을 목표로 한다.
  • 1987년 설립된 철도 기업 - 동일본여객철도
    동일본여객철도(JR 동일본)는 일본국유철도 민영화로 설립되어 간토, 도호쿠 지방을 중심으로 신칸센 및 재래선 철도 노선을 운영하며, 운송, 부동산업, 금융 서비스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 감축을 목표로 한다.
  • 삿포로시의 기업 - 크립톤 퓨처 미디어
    크립톤 퓨처 미디어는 1995년 설립된 일본의 음악 소프트웨어 개발 및 서비스 제공 회사로, 보컬로이드 하츠네 미쿠의 성공을 통해 보컬로이드라는 새로운 음악 장르를 개척하고, 피아프로 플랫폼을 통한 사용자 창작 콘텐츠 지원 및 생성 AI 기술 활용 등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다.
  • 삿포로시의 기업 - JR 홋카이도 버스
    JR 홋카이도 버스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에서 분사하여 삿포로를 중심으로 홋카이도 각지에 노선 버스와 고속버스를 운영하며,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는 버스 운송 회사이다.
홋카이도 여객철도 - [회사]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본사 빌딩 (2009년 4월)
본사 빌딩 (2009년 4월)
이름홋카이도 여객철도 주식회사
로마자 표기Hokkaidō Ryokaku Tetsudō Kabushiki-gaisha
약칭JR 홋카이도
영문Hokkaido Railway Company
로고JR logo (hokkaido).svg
형태주식회사
창립1987년 4월 1일
이전 회사일본국유철도
장소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 키타 11죠 니시 15가 1-1
사업 지역홋카이도
상징불독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경영진
대표고이케 아키오
사장시마다 오사무
재무 정보
자본금90억 엔 (2015년 6월 1일 기준)
매출액 (연결)1,713억 엔 (2016년 3월 기준)
매출액 (단독)838억 엔 (2016년 3월 기준)
영업 이익 (연결)▲ 352억 엔 (2016년 3월 기준)
영업 이익 (단독)▲ 447억 엔 (2016년 3월 기준)
순이익 (연결)▲ 84억 엔 (2016년 3월 기준)
순이익 (단독)▲ 55억 엔 (2016년 3월 기준)
자산총액 (연결)1조 4,348억 엔 (2016년 3월 31일 기준)
자산총액 (단독)1조 3,466억 엔 (2016년 3월 31일 기준)
주주 및 종업원
주주일본 철도건설·운수시설정비지원기구 100%
종업원6,648 명 (2019년 4월 1일 기준)
산업
산업운수업

2. 현황

다른 JR 여객 회사 중 시코쿠 여객철도(JR 시코쿠)나 큐슈 여객철도(JR 큐슈)처럼, 이용객이 적은 로컬 노선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전 노선이 눈이 많고 추운 지역에 있어 제설 작업이나 차량 및 시설 유지에 많은 비용이 들어 경영 기반이 매우 취약하다. 이러한 재정적 어려움 때문에 기존 노선의 고속화나 자동열차보안장치 설치와 같은 대규모 투자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을 지원하기 위해 경영안정기금이 조성되어 있으며, 일본 정부로부터 고정 자산세 감면 혜택도 받고 있다. 시코쿠 여객철도처럼 모든 지분을 일본 철도건설·운수시설정비지원기구 국철청산사업본부가 소유하고 있어 주식 시장에 상장되어 있지 않다.

JR 분리 민영화 이후 일부 노선이 정비되었으며, 2014년 5월 12일 기준으로 총 영업 거리는 2499.8km이고 이 중 간선 철도는 1327.9km이다. 쓰가루 해협선 개통에 따라 1988년 연락선 운항은 폐지되었고, 자동차(버스) 사업은 2000년 4월 1일 자회사인 JR 홋카이도 버스에 양도하였다.

2004년 12월에는 홋카이도 신칸센 건설이 결정되었고, 듀얼 모드 차량 개발에 나서는 등 경영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사업적으로는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와 협력 관계가 많으며, 2016년 3월 26일 홋카이도 신칸센의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호쿠토 구간이 개통되면서 도호쿠 신칸센과 직접 연결 운행을 시작했다.

2. 1. 유지 곤란 노선

2016년 11월 16일 당시 사장 시마다 오사무(島田修|시마다 오사무일본어)는 기자 회견을 통해, 전체 영업 노선 약 2500km 중 절반에 해당하는 1236km 구간을 JR 홋카이도 단독으로 유지하기 어렵다고 발표했다.[1] 이들 노선에 대해 버스로의 전환이나 운영에 있어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지원이 필요함을 밝혔다.[1] 유지 곤란 노선은 운송 밀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1. 운송밀도 200인 미만 (폐지 또는 폐지 예정)'''

운송밀도가 200인 미만으로 철도 운수 사업 유지가 곤란하여 폐지되었거나 폐지 절차가 진행 중인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구간상태/비고
삿쇼선홋카이도 의료대학 ~ 신토쓰카와역폐지 (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역은 존치)
네무로 본선후라노역 ~ 신토쿠역2016년부터 일부 구간 운행 중단 후, 2024년 폐지 예정 (후라노역, 신토쿠역은 존치)
루모이 본선전선 (후카가와역 ~ 루모이역)2023년 이시카리누마타 ~ 루모이역 구간 폐지. 2026년 후카가와역 ~ 이시카리누마타역 구간 폐지 예정 (후카가와역은 존치)
히다카 본선무카와역 ~ 사마니역2015년부터 일부 구간 운행 중단 후, 2021년 폐지 (무카와역은 존치)
세키쇼선 (유바리 지선)신유바리역 ~ 유바리역2019년경 폐지 (신유바리역은 존치)



'''2. 운송밀도 2000인 미만 (지자체 지원 필요)'''

운송밀도가 2000인 미만으로, 노선 유지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지원이 필요한 노선은 다음과 같다.



한편, 네무로 본선오비히로역 - 구시로역 구간과 소야 본선아사히카와역 - 나요로역 구간은 홋카이도고속철도개발과 관련하여 관리된다. 나머지 노선 및 홋카이도 신칸센은 JR 홋카이도가 독자적으로 관리 가능하거나, 병행재래선 분리에 따라 제3섹터 회사로 이관될 예정이다. (이는 하코다테 본선하코다테역 - 오타루역 구간이다.)

3. 본사·지사

본사는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 키타 11죠 니시 15가 1-1에 위치하며, 내부에 철도 사업 본부를 두고 있다.

홋카이도 내 주요 거점에는 다음과 같이 지사를 운영하고 있다.

지사명소재지
구시로 지사홋카이도 구시로시 기타오도리 14초메 5번지
아사히카와 지사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 미야시타도리 6초메 4152번지 2
하코다테 지사홋카이도 하코다테시 와카마츠쵸 12번 5호


4. 역사

1987년 4월 1일, 일본국유철도가 분할 민영화되면서 홋카이도 여객철도 주식회사(이하 JR 홋카이도)가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발족 이후 경영 효율화 등의 이유로 여러 노선이 폐지되었다. 1988년에는 2월 1일 마쓰마에 선, 4월 25일 우타시나이 선이 폐지되었고, 1989년에는 4월 30일 시베쓰 선, 5월 1일 나요로 본선과 덴포쿠 선, 6월 4일 치호쿠 선이 폐지되었다. 다만 치호쿠 선은 홋카이도 치호쿠고원 철도로 이관되어 운행을 계속했다. 이후에도 1994년 5월 16일 하코다테 본선스나가와역-카미스나가와 역 구간(통칭 카미스나가와 지선), 1995년 9월 4일 신메이 선, 2014년 5월 12일 에사시 선의 기코나이역-에사시역 구간, 2016년 12월 5일 루모이 본선루모이역-마시케역 구간, 2019년 4월 1일 세키쇼 선의 신유바리역-유바리역 구간(통칭 유바리 지선)이 차례로 폐지되었다.

한편, 새로운 노선 개업과 서비스 확충도 이루어졌다. 1988년 3월 13일에는 아오모리현홋카이도를 잇는 세이칸 터널을 포함하는 쓰가루 해협선이 개업하여, 침대 특급 호쿠토세이, 급행 하마나스, 특급 하츠카리, 쾌속 카이쿄 등의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1989년 7월 21일에는 침대 특급 '트와일 라잇 익스프레스'가, 1999년 7월 16일에는 침대 특급 '카시오페아'가 운행을 개시했다. 하지만 '트와일 라잇 익스프레스'는 2015년 3월 13일 운행을 종료했다.

1995년 12월 4일에는 본사를 삿포로역 인근에서 소엔역의 신사옥으로 이전했고, 1998년 11월 21일에는 자동 개찰기를 도입했다. 2000년 4월 1일에는 버스 사업 부문을 JR 홋카이도 버스로 분사했으며, 2003년 3월 6일에는 삿포로역 남쪽 출구에 복합 상업 시설인 JR 타워를 개업했다.

2008년 10월 25일에는 삿포로권에서 사용 가능한 IC 카드 승차권 Kitaca를 도입했으며, 2009년 3월 14일부터 JR 동일본의 Suica와 상호 이용이 가능해졌다. 2013년 3월 23일부터는 교통계 IC 카드 전국 상호 이용 서비스가 시작되어 ICOCA, PASMO 등 다른 지역의 IC 카드와도 호환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경영상의 어려움도 지속되어 2011년 6월 18일에는 국토교통성으로부터 사업 개선 명령을 받기도 했다. 2016년 11월 16일에는 시마다 오사무 당시 사장이 JR 홋카이도 단독으로는 유지가 어려운 노선 및 구간 목록을 공표하기도 했다.

2016년 3월 26일에는 홋카이도 신칸센신아오모리역-신하코다테호쿠토역 구간이 개업했다. 이와 함께 기존 에사시 선의 고료카쿠역-기코나이역 구간은 제3섹터 철도 회사인 도난 이사리비 철도로 이관되었고, 재래선 열차가 운행하던 쓰가루 해협선은 폐지되었다.

2018년 9월 6일 발생한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으로 인해 홋카이도 내 전 노선의 운행이 중단되는 사태를 겪었다. 이후 순차적으로 복구가 진행되어 2019년 9월 27일에는 전 노선의 운행이 재개되었다.

5. 노선

2014년 5월 12일 기준 보유 노선

5. 1. 기존선

홋카이도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신칸센 이외의 재래선을 의미하며, 주요 간선 노선과 지역 수송을 담당하는 노선들로 구성된다.

5. 1. 1. 간선 노선

6. 열차 종류

홋카이도 여객철도는 홋카이도 신칸센을 비롯하여, 홋카이도 내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특급열차와 지역 수송을 담당하는 쾌속열차 등 다양한 종류의 열차를 운행하고 있다.

6. 1. 신칸센

6. 2. 특급열차


  • 소야 · 사로베쓰 (삿포로 · 아사히카와 - 왓카나이)
  • 오호츠크 · 다이세쓰 (삿포로 · 아사히카와 - 기타미, 아바시리)
  • 카무이 · 라일락 (삿포로 - 아사히카와 방면)
  • 오조라 (삿포로 - 구시로)
  • 도카치 (삿포로 - 오비히로)
  • 슈퍼 호쿠토 (삿포로 - 하코다테)
  • 스즈란 (삿포로 - 무로란)

6. 3. 쾌속열차

7. 차량

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는 노선 환경과 운행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철도 차량을 운용하고 있다.

홋카이도 신칸센 운행을 위한 H5계 신칸센 차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비전철화 구간이 많은 홋카이도의 특성상 디젤 동차가 주력으로 사용된다. 여기에는 키하40계와 같은 일반형 동차부터 키하261계와 같은 특급형 동차까지 다양한 형식이 포함된다.

삿포로 근교 등 전철화 구간에서는 통근 및 근교 수송을 담당하는 733계 등의 전동차와 특급 열차로 운행되는 789계 등이 활약하고 있다.

또한, 화물 열차 견인이나 입환 작업, 제설 작업, 관광 열차 운행 등을 위해 디젤 기관차, 전기 기관차, 증기 기관차 등 다양한 종류의 기관차를 운용 중이다. 과거 침대특급 열차 등에 사용되었던 객차와 관광 열차용 객차, 사업용 특수 객차 등도 일부 남아 운용되고 있다.

7. 1. 신칸센

7. 2. 동차


  • 키하40계
  • 키하54계
  • 키하141계
  • 키하150계
  • 키하160계
  • 키하183계
  • 키하201계
  • 키하261계
  • 키하281계
  • 키하283계


키하40계


키하150계


키하261계

7. 3. 전동차


  • 711계
  • 721계
  • 731계
  • 733계
  • 735계
  • 737계
  • 785계
  • 789계


721계


789계

7. 4. 기관차



7. 5. 객차


  • 14계
  • 24계
  • 50계, 51계, 510계
  • 오하후33형
  • 스하후42형, 스하시44형
  • 오하시47형
  • 나하29000형
  • 하테8000형
  • 오야31형 (건축 한계 시험차)
  • 마야34형 (고속 궤도 시험차)
  • 스유니50형

8. 버스

버스 사업은 자회사인 JR 홋카이도 버스에서 운영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