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상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나상가는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로 '부족'을 의미하며, 고대 인도의 부족 공화정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십육대국 시대의 밧지 연맹, 말라, 샤카국 등에서 나타났으며, 라자와 의회, 총회를 통해 국정을 운영하는 특징을 보였다. 가나상가는 기원전 6세기부터 존재했으며, 불교의 이상적인 정치 형태로 여겨져 불교 교단의 조직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화제 - 일당제
일당제는 하나의 정당만이 합법적이거나 권력을 독점하는 정치 체제로, 헌법이나 법률로 규정되기도 하지만 야당 탄압 등으로 구분이 모호해지기도 하며, 정책 결정에 있어 반대 의견 부재로 잘못된 정책이 시행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 공화제 - 의회공화제
의회공화제는 국가원수에게 행정권이 없고 총리가 권한을 가지는 공화국 형태로, 정치적 불안정성과 국민 의견 미반영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과두제 - 과두제의 철칙
과두제의 철칙은 로베르트 미헬스가 제시한 사회학 이론으로, 조직이 민주주의를 표방하더라도 규모가 커지면 소수의 지도자에 의해 지배되는 과두제 현상이 나타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과두제 - 이두정치
이두정치는 두 명의 최고 권력자가 권력을 분담하는 정치 체제로, 동등한 권력, 직무 범위 분담, 의례적·실무적 권한 분담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가나상가 - 콜리야
콜리야족은 고대 인도에서 사라유 강에서 히말라야 산맥에 이르는 지역에 위치했던 가나상가 부족으로, 샤카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석가모니의 외가 혈족으로 알려졌으나 코살라 왕국에 정복된 후 정치적 중요성을 잃었다. - 가나상가 - 밧지 연맹
밧지 연맹은 기원전 6세기경 고대 인도 북부에서 밧지족을 중심으로 여러 부족이 연합하여 강력한 세력을 유지했던 공화정 연맹으로, 갠지스강을 중심으로 마가다 왕국과 경쟁하다 아자타샤트루 왕의 침공으로 멸망했다.
가나상가 | |
---|---|
지도 | |
명칭 | |
간략 명칭 | 가나상가 |
로마자 표기 | gaṇasaṅgha |
한자 표기 | 伽那僧伽 |
산스크리트어 | गणसङ्घ |
다른 표기 | 가나라자, 가나 |
개요 | |
유형 | 과두정, 공화정 |
특징 | 다수의 지배자가 존재 평등주의 분권형 정치 시스템 |
역사 | |
기원 | 기원전 6세기경 |
발전 | 불교 및 자이나교 시기에 영향력 확대 마가다 왕국의 확장으로 쇠퇴 |
주요 가나상가 | 샤카족 콜리야족 비데하족 릿차비족 말라족 |
고대 문헌 기록 | 아르타샤스트라 마하바라타 아스타디야이 |
정치 구조 | |
의사 결정 | 의회 또는 산타가라를 통해 집단적으로 이루어짐 |
주요 구성원 | 라자(지도자), 가나파무카(의회 의장), 사파티(행정관) |
법률 및 질서 | 자치 규정 및 규칙에 따름 |
사회적 특징 | 카스트 제도의 영향력이 비교적 약함 사회적 이동성이 존재 |
문화 | |
사회적 가치 | 평등, 협력, 공동체 의식 중시 |
종교 | 불교와 자이나교의 번창에 기여 브라만교의 영향력 약함 |
쇠퇴 원인 | |
정치적 요인 | 중앙 집권적인 마가다 왕국의 성장 강력한 군사력 부족 |
사회적 요인 | 카스트 제도의 영향력 증가 |
유산 | |
현대적 의의 | 고대 인도의 공화정적 실험 연구에 중요한 사례 민주주의 및 자치 제도 연구에 시사점 제공 |
2. 정의
가나(गणsa)는 산스크리트어 및 팔리어로 "부족"을 의미하며, "참석자 단체" 또는 "동일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형성된 모든 집단 또는 단체"나 국가의 모임을 나타내기도 한다. 상가(सङ्घsa)[18]는 산스크리트어로 "연합", "조립", "회사" 또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불교에서 상가는 비구(수도사)와 비구니(수녀)의 수도원 공동체를 의미한다.
가나상가는 라자와 상가(사바)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22] 가나상가에서 선출된 라자는 크샤트리야 가문 출신이었다. 라자는 의회와 활동을 조율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다른 귀족들로 구성된 평의회와 함께 일하기도 했다.[22] 총회는 정기적으로 열려 모든 주요 국가 중대사를 논의했으며, 완전한 재정, 행정 및 사법 권한을 가졌다. 거의 언급되지 않은 다른 의원들은 총회 결정에 따랐다.
기원전 6세기경부터 가나상가가 존재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4세기까지 존속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대 불교 경전은 석가모니 시대의 다양한 국가 정부 형태와 정치 활동을 포함한 고대 인도의 많은 사료를 제공하는데, 그에 따르면 쿠시나가르를 중심으로 한 말라 공화국과 바이샬리를 중심으로 한 밧지 연맹은 기원전 6세기에 존재했으며 두 국가는 모두 행정부, 사법부, 국방부로 나뉘었다.[25] 십육대국 시대의 다른 군주정에서도 라자쿠마라 공동체와 같은 공화당 공동체가 포함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며, 당시의 마을은 그라마카라고 불리는 지역 촌장 아래에 자체 집회를 가졌다.
가나상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쇠퇴하였는데, 여기에는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다. 내부적으로는 카스트 제도에 기반한 사회적 불평등,[32] 구성원 간의 갈등, 의사 결정 과정의 비효율성 등이 쇠퇴의 원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카스트 제도로 인해 다른 계급의 사람들과 식사를 나누는 것이 금지될 정도로 각 카스트 구성원의 의무와 특권이 엄격하게 정해져 있었고,[33] 이는 국가 구성원들의 역할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시민 평등에 대한 개념이 부족했기 때문에, 많은 학자들은 가나상가의 본질이 진정한 민주주의와는 거리가 있다고 주장한다.[33] 타파르에 따르면 가나상가에는 크샤트리야 라자쿨라와 다사 카르마카라로 나뉘는 두 가지 계급이 있었다. 크샤트리야는 브라만교를 따르지 않았으며, 브라만이 저술한 문헌 중 하나는 이들을 크샤트리야 또는 수드라라고 불렀다. 다사 카르마카라는 노예들과 땅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을 고용하였다.[34]
가나 상가의 정치적 특징은 초기 불교 교단의 조직 구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불교 경전은 바지국의 정치 체제를 이상적인 형태로 묘사하며, '멸망을 피하기 위한 일곱 가지 법'(''satta aparihaariyaa dhammaa'')을 제시한다.[11]
[1]
서적
Concise History of Ancient India: Political theory, administration and economic life
https://books.google[...]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가나상가는 '''부족공화정'''으로 번역할 수 있는데, 고대 인도의 십육대국을 자주 언급하는 앙굿따라 니까야[19]와 같은 고대 불교 문헌에서 군주정을 의미하는 '''삼라지야'''(साम्राज्यsa)와 대조적인 과두정의 한 형태를 지칭하기 위해 종종 사용되는 단어이다.
3. 특징
가나상가는 일반적으로 단일 부족(예: 샤캬족) 또는 부족 연합(예: 밧지)으로 구성되었으며, 대부분 귀족적이었다.[23][24] 예를 들어, 밧지의 지배 일족인 리차비는 가장 중요한 가문의 수장인 7,077명의 라자로 구성된 통치 체제를 가졌다. 반면, 고타마 붓다 시대의 샤캬와 콜리야 같은 소규모 국가에서는 부유층과 빈민층 모두 의회에 참여했다.[9][10]
4. 역사적 기록
아르타샤스트라에는 상가를 다루는 방법에 대한 장이 포함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귀족 지도자들을 조종하라는 명령이 있지만 시민 대중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언급은 없다. 이는 "가나상가"가 현대적 의미의 "민주정"이라기보다는 귀족정 또는 과두제에 가깝다는 것을 보여준다.[26]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인도를 침공한 지 2세기 후의 그리스 역사가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인도에 독립적이고 민주적인 국가가 존재했다고 자세히 언급하지 않았지만,[27] 현대 학자들은 기원전 3세기 당시 민주정이라는 단어에 주목해 과두정이거나 나중에 타락하더라도 가나 상가가 자치 국가를 의미할 수 있었다고 본다.[28][29]
학자들은 가나상가 정부를 가장 잘 설명하는 방법에 따라 의견이 다르며, 모호하고 산발적인 사료 때문에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일부는 의회의 중심적인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민주정으로 보거나, 다른 학자들은 리더십의 상류층 지배와 의회의 가능한 통제에 초점을 맞추어 과두제 또는 귀족정으로 본다.[30][31]
카스트 제도의 지속성 또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32] 각 특정 카스트의 구성원에 대한 의무와 특권은 기관의 형식에 관계없이 구성원이 국가에서 할 것으로 예상되는 역할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카스트 제도의 경계를 넘어 시민 평등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이 없기 때문에 많은 학자들은 가나상가의 진정한 본질이 진정한 민주제와 비교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33] 타파르에 따르면, 가나상가에는 크샤트리아 라자쿨라와 다사 카르마카라로 나뉘는 두 가지 계급이 있었다. 가나상가의 크샤트리아는 브라만교를 따르지 않았으며, 브라만이 저술한 문헌 중 하나는 이들을 크샤트리아 또는 수드라라고 불렀다. 다사 카르마카라는 노예들과 땅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을 고용하였다.[34]
5. 쇠퇴
외부적으로는 강력한 왕정 국가들의 등장과 팽창, 외부 침략 등이 쇠퇴를 가속화했다.
6. 불교와의 관계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번호 내용 1 자주 회의를 열고 많은 사람들이 모인다. 2 공동으로 행동한다. 3 전통적인 법을 어기지 않고, 함부로 새로운 법을 제정하지 않는다. 4 노인을 공경하고 그들의 말을 듣는다. 5 가족의 여성을 폭력으로 납치하거나 감금하지 않는다(동거하지 않는다). 6 도시 안팎에 있는 사원(차이티야)을 숭배하고 공양을 끊임없이 올린다. 7 아라한을 환대하고 보호한다.
이러한 법들은 석가모니가 바지국에 대해 가르침을 준 것이라고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석가모니 이전부터 정비되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초기 불교 교단은 가나 상가 국가의 조직 형태를 본떠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11]
참조
[2]
논문
'The Development of the Vedic Canon and its Schools: The Social and Political Milieu (Materials on Vedic Śåkhås, 8)'
http://www.people.fa[...]
Harvard University Department of Sanskrit and Indian Studies
[3]
사전
sangha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Anguttara Nikaya
[5]
서적
The History of India
Rosen Education Service
[6]
서적
Early India: From the Origins to AD 13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2013-10-28
[7]
웹사이트
https://www.learnsan[...]
[8]
서적
[9]
서적
[10]
서적
Republics i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11]
서적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University of Calcutta
[12]
서적
Kautilya and the Arthashastra
Leiden
[13]
서적
Diodorus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Early India: From the Origins to AD 130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
서적
Early India: From the Origins to AD 13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2013-10-28
[18]
사전
sangha
[19]
간행물
Anguttara Nikaya
[20]
서적
The History of India
Rosen Education Service
[21]
서적
Early India: From the Origins to AD 13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2013-10-28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Republics i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25]
서적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University of Calcutta
[26]
서적
Kautilya and the Arthashastra
Leiden
[27]
서적
Diodorus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Early India: From the Origins to AD 130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