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로는 철도에서 열차가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레일, 침목, 도상 등으로 구성된 구조물이다. 일반적으로 강철 레일을 나무나 콘크리트 침목 위에 고정하고 쇄석 밸러스트를 사용하여 건설된다. 선로는 궤간에 따라 표준궤, 광궤, 협궤로 구분되며, 곡선 구간에서는 원심력에 대응하기 위해 캔트가 적용된다. 선로의 유지보수는 레일과 침목 교체, 표면 처리, 정렬, 밸러스트 관리 등을 포함하며, 선로 용량은 하루에 운행할 수 있는 열차 횟수를 의미한다. 선로 무단 침입은 철도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로 관련 법률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도 시설 - 스크린도어
스크린도어는 철도 승강장에서 승객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설비로, 열차 사고 예방, 무인 운전 가능, 쾌적한 승강장 유지를 위해 다양한 종류로 설치되며, 설치 및 유지 보수 비용, 열차 지연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 철도 시설 - 절연 구간
절연 구간은 전력 공급 방식이 다른 철도 구간의 경계에 설치되는 필수 구간으로, 직류/교류, 전압/주파수 차이, 운영 주체 및 시스템 차이 등으로 인해 필요하며, 열차는 관성 주행으로 통과해야 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선로 |
---|
2. 선로의 구조
선로는 열차가 안전하고 빠르게, 그리고 좋은 승차감을 유지하며 달릴 수 있도록 튼튼하고 정밀하게 만들어진다. 선로는 레일, 침목, 도상, 노반 등으로 구성된다.[62]
- '''레일''': 열차 하중을 지지하고 차량을 안내하는 역할
- '''침목''': 레일을 지지하고 궤간을 유지하는 역할
- '''도상''': 침목을 지지하고 열차 하중을 분산하는 역할
- '''노반''': 도상을 지지하는 역할
최근에는 여러 레일을 용접하여 길게 이은 롱 레일(long rail)이 사용되는데, 레일의 신축하는 힘을 침목과 자갈로 누르고 있으며, 이음매가 없어 승차감이 좋고 고속철도에 필수적이다. 침목은 콘크리트 침목(PC 침목)이 널리 쓰이며, 내구성이 뛰어나고 수명도 길다. 도상은 크게 자갈 도상과 콘크리트 도상으로 나뉜다.
일본 철도에서 선로(''철도 선로''라고도 함)는 일본 산업 규격(JIS)에 따라 레일, 침목, 도상 등이 포함된 궤도와 성토나 절토 등을 통해 도상을 지지하는 노반, 교량 등의 구조물을 포함한다.[62]
2. 1. 레일
레일은 열차의 하중을 지지하고 차량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레일은 열차가 통과할 때마다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마모되지만, 열차의 반복적인 하중과 마모에 견딜 수 있도록 레일강이라고 하는 특수한 강철로 만들어진다. 레일의 수명은 수송량이 많은 노선에서는 약 10년이며, 지방의 노선은 30년 이상으로 평균해서 20년 정도이다. 커브 구간에서는 외측 레일의 내면이 차륜의 원심력으로 강하게 눌려 많이 마모되며, 운전 횟수가 많은 곳의 급커브 구간에서는 반년에서 1년 이내에 레일을 교체하기도 한다.[62]레일 한 개의 길이는 보통 25m이며, 온도의 변화에 따라 길어지거나 짧아지므로 연결 부분에 간격이 있어 차륜이 지날 때마다 소리와 진동이 발생한다. 최근에는 여러 레일을 용접하여 길게 이은 장대 레일(long rail)이 사용된다. 장대 레일은 레일이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힘을 침목과 자갈로 누르고 있으며, 이음매가 없어 승차감이 좋고 고속철도에 필수적이다.[62]
2. 2. 침목
침목은 레일을 지지하고 궤간을 유지하는 직사각형 물체이다. 과거에는 밤나무, 졸참나무 등의 목재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콘크리트 침목(PC 침목)이 널리 쓰이며, 내구성이 뛰어나고 수명도 길어 주요 간선에 사용되고 있다.[4][5]침목은 레일에서 궤도 밸러스트와 그 아래 지면으로 하중을 전달하고, 레일을 올바른 폭(궤간)으로 유지하는 두 가지 주요 역할을 한다. 침목은 일반적으로 레일에 가로로 놓인다.
목재 침목은 여러 종류의 목재로 만들어지며, 종종 크레오소트, 크롬산 구리 비소 등의 목재 방부제로 처리된다. 콘크리트 침목은 목재가 부족하거나 톤수, 속도가 높은 곳에서 자주 사용된다. 강철 침목도 일부 용도로 사용된다.[4][5]
2. 3. 도상
도상은 침목을 지지하고 열차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상은 크게 자갈 도상과 콘크리트 도상으로 나뉜다.전통적으로 선로는 평저 강철 레일을 나무 또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침목 위에 놓고 스파이크나 나사로 고정하며, 쇄석 밸러스트를 침목 아래와 주변에 배치한다.[4][5] 궤도 밸러스트는 쇄석으로, 침목을 지지하고 위치를 조정하며 자유로운 배수를 돕는다.
전통적인 궤도 구조는 유지 보수 요구가 높다. 특히 궤도 기하학 및 차량 주행의 부드러움을 복원하기 위한 정면(다짐) 및 정렬 작업이 필요하며, 노반 약점과 배수 불량은 유지 보수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 이는 도상 자갈이 없는 궤도로 극복할 수 있는데, 가장 단순한 형태는 레일이 탄력 있는 패드를 통해 연속적인 콘크리트 슬래브에 직접 지지되는 것이다.
도상 자갈이 없는 궤도는 초기 비용이 높고, 기존 철도 업그레이드는 장기간 노선 폐쇄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유지 보수 감소로 전체 수명 비용은 낮아질 수 있다. 주로 신규 초고속/초고하중 노선, 추가 강도가 필요한 짧은 연장선(예: 철도역), 터널 등 유지 보수가 어려운 곳에 사용된다. 대부분의 도시 철도 노선과 고무차륜 경전철 시스템은 도상 자갈이 없는 궤도를 사용한다.[7]
철도 선로는 보통 돌 도상 자갈 또는 도상 위에 놓이며, 토공사로 알려진 토목 공사로 지지된다. 일부 철도는 자갈 아래 아스팔트 포장으로 흙과 수분 이동을 방지하고 자갈을 안정시킨다.[47] 영구 동토층 위 선로(예: 티베트 칭하이-티베트 철도)는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노반을 통과하는 가로 파이프로 차가운 공기를 침투시켜 노반이 녹는 것을 방지한다.
2. 3. 1. 자갈 도상과 콘크리트 도상의 비교
자갈 도상 | 콘크리트 도상 | |
---|---|---|
장점 | ||
단점 | ||
국내 적용 사례 |
2. 4. 노반
노반은 철도 선로에서 도상 자갈 또는 도상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토공사를 통해 조성된다. 토공사는 노반과 습한 점토나 실트의 상향 이동을 막는 모래 또는 쇄석분 층(종종 불침투성 플라스틱으로 덮여 있음)으로 구성된다.[47] 노반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 직물 층이 사용되기도 한다. 선로와 자갈을 합쳐 영구 궤도라고 하며, 기초는 자갈과 토공사를 포함한 선로 아래의 모든 인공 구조물을 의미한다.일부 철도에서는 자갈 아래에 아스팔트 포장을 사용하여 흙과 수분이 자갈로 이동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새로운 아스팔트는 자갈을 안정시켜 움직임을 줄이는 역할도 한다.[47]
영구 동토층 위에 선로가 놓이는 티베트의 칭하이-티베트 철도와 같은 곳에서는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노반을 통과하는 가로 파이프를 설치하여 차가운 공기가 토공사로 침투해 노반이 녹는 것을 방지한다.
지오합성재료는 전 세계적으로 궤도 침목 구조 및 재활에 사용되어 전통적인 층을 줄이거나 대체함으로써 궤도 지지력을 개선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한다.[48][49] 지오셀과 같은 보강 지오합성재료는[50] 연약한 노반 토양을 안정화하고 하부 구조층을 보강하여 궤도 열화를 제한하는 데 효과적이다. 보강 지오합성재료는 토양 지지력을 높이고, 자갈 이동 및 열화를 제한하며, 궤도 기하학에 영향을 미치는 차등 침하를 줄인다.[51] 또한 건설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환경 영향과 탄소 발자국도 줄인다.[52]
일본 철도에서 선로(''철도 선로''라고도 함)는 일본 산업 규격(JIS)에 따라 레일, 침목, 도상 등이 포함된 궤도와 성토나 절토 등을 통해 도상을 지지하는 노반, 교량 등의 구조물을 포함한다.[62]
3. 선로의 종류
선로는 그 폭에 따라 표준궤, 광궤, 협궤로 나뉜다.
일본 철도에서 선로(철도 선로라고도 함)는 일본 산업 규격(JIS)에 따라 레일, 침목, 도상 등이 포함된 궤도, 성토나 절토 등으로 도상을 지지하는 노반, 교량 등의 구조물을 포함한다.[62] JR 계열 운전 취급 요령에서는 전철화된 철도에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가선 설비인 전차선로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선로는 철도 차량 주행에 필요한 설비를 포괄하며, 터널, 신호, 표지 등의 보안 설비, 각종 통신 설비, 정거장인 역 등의 설비도 포함한다. 선로 도상을 지지하는 노반 표면은 '''시공 기면'''이라고 하며, 궤도는 이 시공 기면 위에 설치된다.[62]
보통 철도에서는 차량 유도를 위해 2개의 레일을 평행하게 고정한다. 특수한 경우로 1개의 레일을 사용하는 모노레일, 특수 유도 레일을 가진 안내궤조식 철도, 와이어 로프를 사용하는 로프웨이(삭도), 급경사 등반을 위해 톱니 모양 제3 레일을 설치한 래크식 철도 등이 있다.
3. 1. 궤간에 따른 분류
철도 초창기에는 다양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궤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1840년대 철도 건설 붐이 일었던 영국에서는 브루넬의 광궤가 당시 '협궤'라고 불리던 와 경쟁을 벌였다. 결국 궤간이 승리하여 표준궤가 되었으며, 이후 '협궤'라는 용어는 새로운 표준보다 좁은 궤간에 사용되었다. 기준으로 전 세계 철도의 약 60%가 표준 또는 국제 궤간으로 알려진 궤간을 사용한다.[43][44] 표준궤보다 넓은 궤간은 광궤, 더 좁은 궤간은 협궤 철도라고 한다. 일부 구간의 선로는 일반적인 2개의 레일 대신 3개(또는 때로는 4개)의 평행 레일을 사용하여 두 가지 궤간의 열차가 동일한 선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복선 궤간이다.[45]
궤간은 일정 범위 내에서 안전하게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연방 안전 표준은 표준궤가 까지 운행하는 경우 에서 까지 변동하는 것을 허용한다.[46]
두 레일 사이의 간격을 궤간 (게이지:gauge)이라고 한다. 궤간에는 표준궤, 협궤, 광궤 등이 있으며, 일본 철도에서는 JR 그룹 노선 중 신칸센과 미니 신칸센 등 신칸센 차량이 주행하는 일부 재래선, 그리고 일부 사철에서 표준궤를 채택하고 있다. 그 외의 재래선·사철에서는 협궤를 채택하고 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궤간
|-
! 궤간 목록
|-
|
|-
! 최소 궤간
|-
| 15인치 (381 mm)
|-
! 협궤
|-
|
2피트, 600 mm | 597 mm 600 mm 603 mm 610 mm |
750 mm, 보스니아, 2피트 6인치, 800 mm | 750 mm 760 mm 762 mm 800 mm |
스웨덴 3피트 900 mm 3피트 | 891 mm 900 mm 914 mm |
1m 궤간 | 1,000 mm |
3피트 6인치 | 1,067 mm |
4피트 6인치 | 1,372 mm |
러시아 궤간 | 1,520 mm 1,524 mm |
아일랜드 궤간 | 1,600 mm |
이베리아 궤간 | 1,668 mm |
인도 궤간 | 1,676 mm |
브루넬 궤간 | 2,140 mm |
|-
! 궤간의 차이
|-
| 궤간 불연속점·삼선궤조·개궤
대차 교환·궤간 가변
|-
! 지역별
|-
| --
|}
3. 2. 용도에 따른 분류
본선은 열차가 주로 운행하는 선로이며, 측선은 열차의 대피, 교행, 유치 등에 사용되는 선로이다. 인입선은 특정 시설(예: 공장, 항만)과 연결되는 선로이다.4. 선로의 유지보수
선로는 열차 운행의 안전과 승차감을 확보하기 위해 정기적인 점검과 보수가 필요하다. 선로의 결함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유지보수는 필수적이다. 과거에는 육체 노동에 의존했지만, 현대에는 선로 검측차, 궤도 갱신 장비 등 첨단 장비와 기술을 활용하여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4. 1. 선로 유지보수 작업
선로는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특히 고속 열차가 운행될 경우 더욱 그렇다. 유지보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열차에 "서행 명령"이 내려질 수 있다.[1]과거에는 선로 유지보수가 힘든 육체 노동이었으며, 선로 작업자들이 정렬 막대를 사용하여 선로의 수평 정렬(선형)을 맞추고, 다짐 및 잭을 사용하여 수직 불규칙성(표면)을 수정했다. 그러나 현재는 다양한 특수 기계를 통해 유지보수가 이루어지고 있다.[1]
일반적인 유지보수 작업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
- 침목 교체
- 분기기 윤활 및 조정
- 느슨한 선로 부품 조이기
- 직선 구간을 똑바로 유지하고 곡선을 유지보수 한계 내에 유지하기 위한 선로 표면 처리 및 정렬
선로 갱신 열차를 사용하면 침목 및 레일 교체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1]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하고 자갈을 재분배하기 위해 제초제를 살포하는 작업은 일반적으로 특수 제초 열차로 수행된다.[1]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갈은 통과하는 열차의 무게에 의해 으깨지거나 이동하므로 주기적으로 재평탄화("다짐")가 필요하며, 결국 청소하거나 교체해야 한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선로가 고르지 않아 흔들림, 거친 승차감 및 탈선이 발생할 수 있다. 다짐의 대안은 레일과 침목을 들어올리고 그 아래에 자갈을 다시 삽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특수 "스톤블로어" 열차가 사용된다.[1]
선로 검사는 레일 내부의 결함을 감지하기 위해 비파괴 검사 방법을 활용한다. 이는 특수 장비를 갖춘 하이레일 트럭, 검사 차량 또는 경우에 따라 휴대용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된다.[1]
레일 헤드 프로파일이 탈선을 유발할 수 있는 수준으로 마모되기 전에 레일을 교체해야 한다. 마모된 주 간선 레일은 지선, 측선 또는 스텁에서 사용될 수 있을 만큼 수명이 충분하므로 해당 용도로 재사용된다.[1]

5. 곡선 선로
열차는 구조상 자동차처럼 급커브를 돌 수 없으며, 보통 곡선 반경이 250m 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차량의 원심력에 균형이 맞도록 외측 레일을 높이 하고 있으며, 이것을 캔트(cant)라고 부른다. 곡선 통과 시에는 원심력이 작용하여 최악의 경우 전복될 위험이 있으므로 곡선 선로에는 제한 속도가 걸려 있다. 예를 들어, 2005년 발생한 JR 후쿠치야마선 탈선 사고에서는 70 km/h의 제한속도가 걸린 반경 304m의 우측 곡선에 116 km/h로 진입하여 열차가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했다.[63] 대한민국의 철도에서는 곡선에서의 열차 최고 속도를 선로 조건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하고 있다.[63]
~ ( = 곡선 제한속도 (Km/h) = 곡선 반경 (m))
곡선반경 (m) | 200-250 | 250-300 | 300-350 | 350-500 | 450-550 | 550-650 | 650-750 | 750-850 | 850-950 | 1000 | >1200 | |
---|---|---|---|---|---|---|---|---|---|---|---|---|
등급 | 노선 | |||||||||||
로 산정했을 때의 이론적 곡선 제한속도 (km/h) | 39.5-44.2 | 44.2-48.4 | 48.4-52.4 | 52.4-62.6 | 59.3-65.7 | 65.7-71.3 | 71.3-76.7 | 76.7-81.6 | 81.6-86.3 | 88.5 | 97.0 이상 | |
로 산정했을 때의 이론적 곡선 제한속도 (km/h) | 63.6-71.1 | 71.1-77.9 | 77.9-84.2 | 84.2-100.6 | 95.4-105.5 | 105.5-114.7 | 114.7-123.2 | 123.2-131.1 | 131.1-138.6 | 142.3 | 155.9 이상 | |
2 급 선 | 경부 제1본선 | - | - | - | 90 | 100 | 110 | 115 | 125 | 130 | 135 | 140 |
호남선 (익산-목포), 전라선 (신리-동순천) | 140 | 150 | ||||||||||
분당선 | 75 | 85 | 90 | 100 | ||||||||
3 급 선 | 경부 제2본선 (가산디지털단지-수원) | 90 | 100 | 110 | 115 | 120 | ||||||
경부 제2본선 (수원-천안) | 90 | 100 | 110 | 115 | 120 | |||||||
호남선 (서대전-강경) | 85 | 95 | 100 | 110 | 120 | 125 | 140 | |||||
호남선 (강경-익산) | 125 | 130 | ||||||||||
대전선 (대전-서대전) | 120 | |||||||||||
전라선 (익산-신리, 동순천-여수) 중앙선, 대구선 | 65 | 70 | 80 | 90 | 95 | 105 | 110 | |||||
경부 제2본선 (서울-구로) 경부 제3본선 (영등포-구로) 호남선 (대전조차장-서대전) 경인선, 경의선, 영동선 태백선, 경전선 경북선 (김천-점촌), 안산선 진해선, 미전삼각선, 광주선 | 55 | 60 | 65 | 75 | 85 | 90 | 100 | |||||
충북선 | 65 | 70 | 85 | 95 | 100 | 110 | 120 | |||||
장항선, 경춘선 구 동해남부선 (부산진-경주) | 50 | 60 | 80 | 90 | ||||||||
경부 제3본선 (서울-용산) 광양제철선, 경원선, 천안직결선 | 55 | 65 | 70 | 75 | 80 | |||||||
과천선, 일산선, 분당기지선 | 50 | 55 | 75 | 85 | 90 | 100 | ||||||
경부 제2본선 (구로-가산디지털단지 및 구로고가선로) | 60 | 70 | 80 | |||||||||
경부 제3본선 (구로-가산디지털단지 및 구로고가선로) 대불선 | 90 | |||||||||||
기타 선 | 50 | 55 | 65 | 70 | 75 | |||||||
4 급 선 | 군산선, 범일선, 묵호항역 광양항선, 옥구선 병점기지선 | 45 | 50 | 55 | 60 |
6. 선로 용량
선로 용량은 하루에 열차를 몇 번 운행시킬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63]
단선 구간의 선로용량 N의 간이 산정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t는 역간 평균 운전 시간, s는 마주 오는 열차가 통과한 후 분기기를 전환하여 발차할 수 있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인 열차 취급 시간으로, 자동신호 구간에서는 1분, 비자동 구간에서는 2.5분으로 계산한다. f는 1일 24시간 중 열차를 운행시키는 시간대의 비율로, 55~75%로 계산한다.
복선 구간에서 동일 속도 열차를 설정하여 평행 평행 다이어그램을 그리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t는 열차 최소 시격(분), f는 선로 이용률이다.
급행열차와 완행열차가 함께 운행되는 일반적인 복선 선로(경부선, 서울 지하철 9호선 등)의 경우 선로 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여기서 는 급행열차 상호 간의 시격, 은 역에 먼저 도착하는 완행열차와 나중에 도착하는 급행열차 사이에 필요한 최소 시격, 는 급행열차 통과 후 완행열차 발차 시까지 필요한 최소 시격이다. 는 전체 열차에 대한 급행열차의 비율, 는 급행열차가 점유하는 시간, 은 전체 열차에 대한 완행열차의 비율, 은 완행열차가 점유하는 시간이다.
7. 철도 관련 범죄
일본에서는 철도 선로에 침입하여 열차 운행을 방해하는 행위를 형법 제11장 제124조부터 129조에 규정된 왕래방해죄나 형법 제35장 제233조부터 제234조에 규정된 업무방해죄, 철도영업법에 따라 처벌한다.[1] 그러나 선로 침입 시점, 또는 열차 운행 방해 시점에 죄가 성립하는지는 모호하며, 체포 여부 및 처분은 해당 구간 선로 관할 역의 역장 또는 부역장이 결정하고 경찰이 집행한다.[1] 단, 신칸센의 경우 신칸센 철도에서의 열차 운행 안전을 방해하는 행위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 (신칸센 특례법) 제3조에 의해 함부로 들어간 시점에서 죄가 성립한다.[1]
참조
[1]
서적
The Australian Nation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Ellis' British Railway Engineering Encyclopedia
lulu.com
[3]
웹사이트
Railways in Britain
https://www.quakersi[...]
[4]
웹사이트
Track Basics
http://www.railway-t[...]
2017-05-10
[5]
서적
Railroad Track Standards
https://armypubs.arm[...]
Departments of the Army and the Air Force
1991-04-08
[6]
서적
The Railway: British Track Since 1804
Pen & Sword Transport
2014-10-30
[7]
웹사이트
Showing part of the track
http://www.infovisua[...]
2016-12-07
[8]
간행물
On Cast Iron Rails for Railways
https://books.google[...]
2015-11-20
[9]
간행물
Description of the Permanent Way, of the Lancashire and Yorkshire, the Manchester and Southport, and the Sheffield, Barnsley and Wakefield Railways
https://books.google[...]
2015-11-20
[10]
간행물
On the Principle and Construction of Railways of Continuous Bearing. (Including Plate)
https://books.google[...]
2015-11-20
[11]
간행물
Eleventh Annual Report (1848)
https://books.google[...]
2015-11-20
[12]
Webarchive
Waybeams at KEB, Newcastle
https://www.networkr[...]
2020-01-21
[13]
citation
2.3.3 Design and Manufacture of Embedded Rail Slab Track Components
http://www.innotrack[...]
Innotrack
2008-06-12
[14]
citation
Putting slab track to the test
http://www.railwayga[...]
2002-10-01
[15]
citation
Recent developments in slab track
http://www.esveld.co[...]
[16]
문서
A Metallurgical History of Railmaking
[17]
뉴스
Heavy haul in the high north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08-07-24
[18]
뉴스
"Snake heads" held up early traffic
https://www.newspape[...]
1939-03-20
[19]
웹사이트
Snakeheads on antebellum railroads
https://aaronwmarrs.[...]
2012-02-06
[20]
서적
The Slate Railways of Wales
Gwasg Carreg Gwalch
2001
[21]
서적
Industrial Biography: Iron Workers and Tool Makers
http://www.gutenberg[...]
[22]
문서
LMS Drawings of Standard Railway Equipment Permanent Way 1928
http://www.lmssociet[...]
[23]
뉴스
Big Weighing Machines.
http://nla.gov.au/nl[...]
1900-08-04
[24]
뉴스
Rail
http://trn.trains.co[...]
Trains
2014-05-01
[25]
뉴스
Surveys Of New Rail Link.
http://nla.gov.au/nl[...]
1953-06-17
[26]
웹사이트
Thermit®
http://history.evoni[...]
Evonik Industries AG
2019-05-09
[27]
뉴스
Opening Of S.-E. Broad Gauge line.
http://nla.gov.au/nl[...]
1950-02-02
[28]
웹사이트
Production of long-welded and continuous-welded rail
https://www.railtech[...]
2024-01-04
[29]
웹사이트
Tata Steel unveils upgraded rail manufacturing plant in France
https://www.tatastee[...]
2024-01-04
[30]
웹사이트
Ultra-long rails
http://www.voestalpi[...]
voestalpine AG
2014-09-10
[31]
웹사이트
Rails
http://www.jindalste[...]
Jindal Steel & Power Ltd.
2014-09-10
[32]
웹사이트
Thermite Rail Welding: History, Process Developments, Current Practices And Outlook For The 21st Century
http://www.arema.org[...]
The American Railway Engineering and Maintenance-of-Way Association
1999-09
[33]
웹사이트
Welded Rail Trains, CRHS Conrail Photo Archive
http://conrailphotos[...]
2009-10-03
[34]
서적
2015 Joint Rail Conference
[35]
뉴스
Cooling paintcover for rails
https://www.deutsche[...]
[36]
웹사이트
Continuous Welded Rail
https://web.archive.[...]
2006-06-12
[37]
뉴스
In Case of Polar Vortex, Light Chicago's Train Tracks on Fire
https://www.citylab.[...]
Atlantic Media
2018-01-30
[38]
간행물
Narrow Gauge Down Under
2010-01
[39]
서적
Permanent-way Material, Platelaying, and Points and Crossings
https://books.google[...]
R. & F.N. Spon
1915
[40]
서적
PART 1025 Track Geometry
http://www.dpti.sa.g[...]
Department of Planning Transport, and Infrastructure - Government of South Australia
2012-11-19
[41]
서적
Track Standards Manual - Section 8: Track Geometry
http://www.rgsonline[...]
Railtrack PLC
1998-12
[42]
웹사이트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2017-07-17
[43]
웹사이트
Dual gauge (1435mm-1520 mm) railway track on the Hungary-Ukraine border - Inventing Europe
https://web.archive.[...]
2019-10-01
[44]
웹사이트
Railway Track Gauges by Country
http://chartsbin.com[...]
2019-10-01
[45]
웹사이트
Message in the mailing list '1520mm' on Р75 rails
https://web.archive.[...]
2007-03-16
[46]
보고서
Part 13 — Track Safety Standards: Title 49, Transportation - Code of Federal Regulations
https://www.govinfo.[...]
Office of the Federal Register,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11-01-10
[47]
웹사이트
Hot Mix Asphalt Railway Trackbeds: Trackbed Materials, Performance Evaluations, and Significant Implications
https://web.engr.uky[...]
2019-01-21
[48]
서적
Geosynthetics for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s
[49]
문서
Geosynthetics in Railways: Applications & Benefits
https://igs2.wpengin[...]
International Geosynthetics Society
2022-06-28
[50]
문서
Enhancing Ballast Performance using Geocell Confinement
Advance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publication of Geo-Frontiers 2011 conference, Dallas, Texas, USA, March 13–16
2011
[51]
논문
Application of Geocell Track Substructure Support System to Correct Surface Degradation Problems Under High-Speed Passenger Railroad Operations
[52]
학술지
Sustainable road construction for heavy traffic using high strength polymeric geocells
https://core.ac.uk/d[...]
2016-06-04
[53]
문서
Design using Geosynthetics – Part 5: Stabilization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8
[54]
학술지
Standard Guide for the Use of Geocells in Geotechnical and Roadway Projects
https://doi.org/10.1[...]
2021-08-12
[55]
문서
Geosynthetics for Reinforcement of Unbound Base and Subbase Pavement Layers
CROW/SBRCURnet, Netherlands
2018
[56]
문서
Rail Track Pavements on Expansive Clay Restrained by Hybrid Geosynthetic Solution
Geosynthetics 2016 Conference Proceedings. Miami Beach, FL. April
2016
[57]
문서
Life Cycle Benefits of Subgrade Reinforcement Using Geocell on a Highspeed Railway – a Case Study
AREMA Conference Proceedings (American Railway Engineering and Maintenance-of-Way Association). Indianapolis, IN, USA, September
2017
[58]
학술지
NPA Geocell for Railway Line Repair in Permafrost Region.
https://geosynthetic[...]
Industrial Fabrics Association International
2021-06-01
[59]
학술지
Use of geogrid in the construction of railroads
[60]
문서
Embankment Foundation of Sant Martin Railway Viaduct
GeoAmericas 2020, October 26–29, Rio de Janeiro
2020
[61]
웹사이트
runway (roll way)
http://www.infovisua[...]
2016-12-07
[62]
문서
西野2006 2-3頁。
[63]
서적
철도공학 입문 (Fundamentals of Railway Engineering)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