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속도로 입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속도로 입양은 시민 또는 단체가 고속도로 구간을 맡아 청소, 제초, 광고물 제거 등의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1980년대 미국 텍사스주에서 시작되어, 현재 미국, 캐나다, 호주,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텍사스주에서 1985년 처음 도입된 이후 10년 만에 거의 전 미국으로 확대되었다. 시민과 행정기관의 협력을 통해 운영되며, 청소 용품 지원, 표지판 설치 등의 지원이 이루어진다. 이 프로그램은 고속도로 미화와 정부의 예산 절감에 기여하며, 기업의 광고 수단으로도 활용된다. 하지만, 특정 단체의 참여 허용으로 인한 논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교통 - 오대호 수로
    오대호 수로는 북아메리카 오대호와 세인트로렌스강을 연결하여 오대호 지역의 주요 수운 교통로 역할을 하며 대서양에서 오대호 깊숙이 대형 선박이 운항할 수 있도록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환경 오염 문제에 직면하여 미국과 캐나다가 공동으로 환경 보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미국의 교통 - 캐나디안 내셔널 철도
    캐나디안 내셔널 철도(CN)는 1918년 캐나다 정부가 설립한 국영 철도 회사로, 민영화 이후 북미 지역에서 화물 운송을 담당하며 여러 사고와 논란을 겪었다.
  • 정치 신조어 - 유럽중심주의
    유럽중심주의는 유럽의 문화, 역사, 가치관을 세계의 표준으로 간주하고 다른 문화권을 유럽 중심으로 해석하는 사상으로, 서구 우위와 식민지 확장을 배경으로 강화되었으나 탈식민화 이후 비판받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대안적 관점이 등장하였고 현대에도 여러 영역에서 영향력과 비판적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정치 신조어 - 큰 정부
    큰 정부는 예산 규모, 공무원 수, GDP 대비 정부 지출 비중 등으로 측정되는 정부의 크기 및 경제·사회 개입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고복지·고부담을 특징으로 하며 높은 세금, 개인 자유 제약, 관료 조직 비대화 등의 특징을 가진다.
고속도로 입양
캠페인 개요
이름고속도로 입양
목적고속도로변 쓰레기 제거 및 미관 개선
주최정부 기관 (주, 지방 자치 단체)
참여 주체시민 단체, 기업, 개인
내용특정 구간의 고속도로를 입양하여 정기적으로 청소 및 관리
효과환경 보호, 시민 의식 고취, 정부 예산 절감
역사
시작1984년 미국 텍사스주
계기고속도로변 쓰레기 문제 심각
최초 제안자제임스 에반스 텍사스 교통부 엔지니어
확산미국 전역, 캐나다, 일본 등 세계 각국으로 확산
운영 방식
입양 계약정부 기관과 참여 주체 간 계약 체결
책임 구간특정 고속도로 구간 지정
활동 내용쓰레기 수거, 제초 작업, 시설물 관리 등
활동 주기월별, 분기별 등 정기적인 활동
지원쓰레기 봉투, 장비, 안전 교육 등 제공
홍보입양 구간에 참여 주체 이름 명시
장점 및 효과
환경쓰레기 감소, 생태계 보호
사회시민 의식 향상, 지역 사회 참여 활성화
경제정부 예산 절감, 고용 창출
이미지기업 이미지 제고, 사회 공헌 활동
일본의 어댑트 프로그램 (アダプト・プログラム)
시행 주체지방 자치 단체, 국토교통성
대상 지역도로, 하천, 공원 등 공공 공간
활동 내용청소, 제초, 꽃 심기, 시설물 점검 등
특징지역 주민 주도의 자발적인 참여 강조
한국의 고속도로 입양
시행 주체한국도로공사
참여 대상기업, 단체, 학교 등
활동 내용고속도로변 환경 정화 활동
혜택기업 이미지 홍보, 사회 공헌 활동 인정

2. 역사

고속도로 입양은 1980년대 미국 텍사스주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텍사스주 교통국(TxDOT)의 엔지니어 제임스 에반스는 픽업 트럭에서 떨어진 쓰레기를 보고, 이를 치우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 지역 단체가 고속도로 일부 구간 청소를 후원하는 아이디어를 냈다. 1985년 3월 9일, 텍사스주 타일러 시비탄 클럽이 미국 국도 제69호선 2마일 구간을 처음으로 입양하면서 이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16]

이후 고속도로 입양 프로그램은 미국 전역과 캐나다, 뉴질랜드, 호주, 일본 등 다른 나라로 퍼져나갔다. 버몬트주는 예외적으로 "Green Up"이라는 비슷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17] 1998년에는 일본 도쿠시마현가미야마정에서 처음 도입되었으며, 2011년 말 현재 일본 전국 400개 이상의 자치단체에서 500개 이상의 프로그램이 가동되고 있다.

2. 1. 미국

고속도로 입양은 1980년대 미국 텍사스주 교통국(TxDOT)에서 일하던 제임스 에반스(James Evans)가 픽업 트럭 짐칸에서 파편이 도로로 튀는 것을 보면서 시작되었다. 쓰레기 청소 비용이 많이 들자, 에반스는 지역 단체가 고속도로 일부 구간 청소를 후원하는 방식을 모색했다. 에반스와 같은 기관에서 공보를 담당하던 빌리 블랙(Billy Black)은 분기별 청소 주기, 자원봉사자 안전 교육, 안전조끼 등 장비 보급, 고속도로 입양 표지판 설치 등의 체계를 잡았다.[16]

1985년 3월 9일, 텍사스주 타일러 시비탄 클럽(Tyler Civitan Club)이 미국 국도 제69호선 2마일 구간을 입양한 것이 최초 사례이다.[16] 이 사업은 매우 성공적이었고, 미국 49개 주와 푸에르토리코, 캐나다, 뉴질랜드, 호주, 일본 등으로 확산되었다. 버몬트주는 고속도로 입양 사업 대신 "Green Up" 사업을 시행한다.[17] 3월 9일은 국제 고속도로 입양의 날(International Adopt-a-Highway Day)로 불린다.

1980년대 마케팅 회사를 운영하던 테릴 마샤(Teryl Macia)는 광고 효과를 위해 캘리포니아 주도 제1호선 태평양 해안 고속도로 일부를 입양했다. 청소 여력이 없어 대행 업자를 구했고, 이를 계기로 다른 단체를 위한 쓰레기 청소 사업을 시작했는데, 이것이 "미국 고속도로 입양 청소 대행 서비스"(Adopt-A-Highway Litter Removal Service of America, AAHLRSA)이다.[18][19] 1989년 12월 시작된 이 서비스는 캘리포니아주를 넘어 미국 전역으로 확장되었다.[20]

1998년부터 미네소타주 Interstate 90에 설치된 고속도로 입양 표지판


1989년 캘리포니아 교통부가 주 고속도로 쓰레기 관리 프로그램을 시작하며 캘리포니아는 20번째로 이 프로그램을 도입한 주가 되었다.[3] 이 프로그램은 자원봉사 입양과 후원 입양을 구분한다. 2021년 기준 120,000명 이상의 캘리포니아 주민이 참여해 쓰레기 제거, 나무 및 야생화 식재, 낙서 제거, 약 24140.10km 이상 길가 초목 제거 활동을 펼쳤다.[4][5]

네바다주 등 일부 주는 고속도로 입양과 후원 프로그램을 모두 허용한다. 두 프로그램 모두 청소 기여 단체는 이름을 게시할 수 있다. 입양 단체는 자원봉사자가 쓰레기를 줍지만, 후원 단체는 전문 계약업체에 비용을 지불하고 작업을 맡긴다. 안전 문제로 후원 방식은 교통량이 많은 고속도로에서 더 일반적이다.

2. 2. 대한민국

2010년 9월 14일 경기도 평택시는 관내 10개 단체와 도로입양사업 공동협약식을 체결했다.[38] 협약에 참여한 단체는 고속도로 2km~3km 구간을 맡아 도로변 쓰레기 수거, 제초, 화단 조성, 불법 광고물 제거 등의 활동을 한 해에 4회 이상 실시하고, 평택시는 장갑, 집게, 봉투 등 청소용품과 재해보장보험을 지원했다. 2017년 기준으로 평택시에서는 77개 단체, 2,660명이 참여하여 22개 읍면동에서 85개 구간, 108km를 입양했다.[39] 평택시 외에도 경기도고양시, 성남시 등이 입양 사업을 추진하였다.

2015년 행정자치부(현 행정안전부)는 공원, 지역 명소 등의 일정 구역 또는 구간을 주민이나 단체가 입양하여 자율적으로 쓰레기를 청소하거나 꽃밭을 조성하는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행복홀씨 입양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캠페인을 전개했다.[40]

3. 특징

도로, 하천, 공원 등의 관리 책임자는 국가, 도, 시·군·구이며, 관리 책임자별로 프로그램이 도입되어 있다. 시민은 그 일정 구간을 맡아 청소 활동 등을 실시한다.


  • 시민과 행정의 협동 사업이며 역할 분담이 이루어진다.
  • 시민의 역할 예시: 청소 활동, 제초, 꽃 심기, 불법 광고 제거, 모래 뿌리기 (폭설 지대 등) 등
  • 행정의 역할 예시: 청소에 필요한 용구 대여, 쓰레기 수거, 사인 보드 설치, 자원봉사 보험 가입 등
  • 합의서 체결: 역할 분담을 명기하고 시민과 지방 자치 단체가 조인한다.
  • 사인 보드: 활동 장소에 설치. 단체명이나 프로그램명이 기재되어 있다.
  • 도시 미화를 목적으로 하는 환경 미화 사업뿐만 아니라 시민 협동 사업의 일환으로 도입되는 경우도 있다.

4. 미국의 고속도로 입양

고속도로 입양 프로그램은 1985년 미국 텍사스주에서 고속도로 쓰레기 청소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시작되었다.[1] 기존의 도로 청소 자원봉사를 기반으로 발전한 이 프로그램은 텍사스 주 도입 이후 10년 만에 거의 모든 미국 주로 확대되었다. 주 교통국이 담당하며, 청소, 미화, 경비 절감이 주 목적이다.

이 프로그램은 쿠 클럭스 클랜(KKK) 등 혐오 단체의 참여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KKK의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인근 55번 주간 고속도로 구간 입양[6]은 법적으로 허용되었으나, 대중의 항의와 표지판 훼손으로 로사 팍스 고속도로로 명명되었다.[6] 미국 제8 순회 항소 법원은 혐오 단체 참여 금지가 수정헌법 제1조 위반이라고 판결했다.

2001년 사우스다코타주는 동성애자 단체 참여를 거부했다가 허용했지만, 표지판에서 후원자 이름을 삭제했다.[7][8] 2005년 미국 나치당오리건주 세일럼 외곽 도로 구간 입양[9] 후 표지판은 훼손되어 제거되었다. 2009년 미주리주는 네오 나치 단체 입양 구간을 랍비 아브라함 조슈아 헤셸의 이름으로 변경했다.[9] 2012년 KKK의 조지아주 515번 간선 도로 구간 입양 신청은 거부되었다.[11]

2012년 펜실베이니아주에서는 피츠버그의 한 스트립 클럽이 376번 주간 고속도로 일부 구간을 후원했다.

4. 1. 현황



Adopt A Highway Maintenance Corporation® (AHMC)에 따르면, 1990년부터 2018년 사이에 22개 주에서 1만 5천여 기업이 이 법인과 함께 2천톤 이상의 쓰레기를 고속도로에서 제거하는 것을 지원했다.[21]

네바다주 같은 일부 주는 고속도로 입양 사업과 고속도로 후원 사업을 모두 허용하고 있다. 두 사업의 공통점은 청소에 기여하는 단체가 자신의 이름을 표지판에 내걸 수 있다는 점이다. 차이점을 보면, 고속도로 입양 단체는 직접 청소해야 하고, 고속도로 후원 단체는 전문 업체에 청소를 맡기고 그 비용만 대는 점이다. 안전을 고려하여, 통행량이 많은 고속도로에서는 후원 방식이 더 일반적이다.

캘리포니아주는 1989년에 고속도로 입양 사업을 시작했고, 주민이 12만명 넘게 참여하여 갓길 같은 도로변을 약 24140.10km 넘게 청소하는 등 민관 협업의 대표적인 사례가 되었다.[22] 고속도로 외에 모래사장이나 협곡에 대한 입양 사업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바다나 강, 호수의 모래사장 일부를 입양한 단체는 한 해에 세 번 이상 청소해야 하는 의무를 지는데, 만약 학교 단체라면 한 해에 한 번만 청소해도 되며, 매년 말에 입양 기간 연장 여부를 결정한다.[23]

이 프로그램은 1980년대에 텍사스 교통부(TxDOT)의 엔지니어인 제임스 에반스가 픽업트럭 적재함에서 쓰레기가 날아가는 것을 보면서 시작되었다. 시에서 쓰레기를 치우는 데 비용이 많이 들자 에반스는 지역 단체의 도움을 받아 고속도로 구간 청소를 후원하도록 했다.

1985년, 텍사스주 타일러의 시비탄 클럽이 최초로 자원봉사에 참여하여 U.S. Route 69[1]의 타일러와 Interstate 20 사이 루프 323 북쪽 약 3.22km를 입양했다. 이 프로그램은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이후 49개 주, 푸에르토리코, 캐나다, 뉴질랜드, 호주, 일본으로 확산되었다. 버몬트주는 고속도로 입양 프로그램이 없는 유일한 미국 주이지만, 지역 주민들이 청소를 하는 "그린 업"이라는 유사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2]

4. 2. 캘리포니아주 운영 예시

캘리포니아 주의 고속도로 입양 사업은 주 정부 교통국(Caltrans)이 담당한다.[24] 캘리포니아 주는 12개 구역(district)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 구역별로 사무소와 고속도로 입양 조정자(coordinator)가 있다.[25][26]

일반적으로 2마일 단위로 구간을 나누어 5년 단위로 입양 허가를 발급한다.[27] 입양을 원하는 단체나 개인은 신청서를 작성해야 한다.[28] 입양 유형은 입양자가 직접 청소하는 자원 입양(volunteering adoption)과 청소 대행 업체에 비용을 지불하는 후원 입양(sponsored adoption)의 두 가지가 있다. 입양 후 30일 이내에 첫 번째 청소를 해야 한다.[24]

교통국은 입양자의 이름이 적힌 고속도로 입양 표지판(recognition panal)과 푯말을 제작하여 해당 구간에 설치하며, 입양자는 비용을 부담하지 않는다. 다만, 입양자가 표준 형태(검은색 글자)가 아닌 여러 색깔로 된 이름을 원할 경우, 추가 비용을 부담하고 표지판에 붙일 수 있다.[24]

입양에는 수수료(fee)가 없으며, 자원 입양자는 쓰레기봉투와 안전 장비를 제공받고, 청소 후 나온 쓰레기는 교통국이 무료로 수거한다.[27] 청소에는 21세 이상인 사람의 지도 하에 16세 이상인 사람이 참여할 수 있다.[27]

샌디에고 군과 그 동쪽의 임페리얼 군을 합친 11번 구역의 경우, 고속도로 입양 현황 및 입양 가능 구간을 온라인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신청서를 작성하여 조정자에게 이메일로 보낼 수 있다.[29] 2016년 기준, 11번 구역에서는 한 해에 22000cuyd가 넘는 쓰레기가 발생했으며, 교통국은 이를 처리하는 데 5300000USD를 넘게 사용했다. 이는 덤프트럭 5,400대 분량이었다. 쓰레기 무단 투기는 적발 시 최고 1000USD의 벌금과 24시간 사회봉사(community service) 명령을 받을 수 있다.[30]

4. 3. 효과

고속도로 입양은 환경 미화와 비용 절감이라는 두 가지 효과를 가져온다. 1990년부터 2018년까지 22개 주에서 1만 5천여 기업이 참여하여 2천 톤 이상의 쓰레기를 제거했다.[21] 캘리포니아주에서는 1989년 사업 시작 이후 12만 명이 넘는 주민들이 참여해 15만 마일 이상의 도로변을 청소했다.[22] 텍사스주에서는 2018년 기준 약 3천 8백 개 단체가 8천 마일 가량의 도로를 입양하여 주 정부의 청소비 300만달러를 절감하는 효과를 냈다.[31]

고속도로 입양 사업은 기업들에게는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광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미국의 1965년 고속도로 미화법(Highway Beautification Act)은 운전자들의 주의를 분산시키는 광고판 설치를 규제하고 있는데,[18] 고속도로 입양 사업은 이러한 규제를 우회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5. 논란

이 사업은 어떤 단체든 참여할 수 있게 허용하고 있기 때문에, 쿠 클럭스 클랜(KKK)이 미주리주세인트루이스 남쪽에 있는 주간고속도로 제55호선의 일부를 맡았을 때 논란이 되었다. 법적으로 그 단체가 참여할 권리는 있지만, 사람들이 격렬하게 항의하고 그 표지판을 파괴하는 일이 반복되면서 관심을 모았다. 2000년 11월, 그 구간은 시민권 운동의 유명한 인물인 로자 파크스 프리웨이로 지정되었다.[32]

나중에 KKK 단체는 자신의 의무를 충실히 이행하지 않아서 이 사업에서 후원권을 잃게 되었고, 미주리주 교통국은 향후 증오 단체가 참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세부적인 기준을 세웠다. 하지만 제8 항소법원은 KKK 단체의 목적을 이유로 그 단체가 고속도로 입양 사업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하려는 시도는 미국 수정 헌법 제1조를 위반한 것이라고 결정했다. 대법원이 그 사건에 대한 재심 청구를 기각했기 때문에, 항소법원의 판결이 유지되었다.

2005년 1월에 미국 나치당(ANP)이 오리곤 주의 도로 일부를 입양했다. 그 도로를 따라서 미국 나치당신나치주의(NSM) 이름이 들어간 표지판 두 개가 세워졌다. 500USD가 든 그 표지판은 즉시 파괴되었고 그리고 나서 제거되었다. 미국 나치당은 자신들과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다.

2009년에 미주리 주는 고속도로 일부 구간의 이름을 아브라함 J. 헤셸이라는 랍비의 이름을 부여했는데, 그 이유는 그 전에 신나치주의 단체가 입양했기 때문이다. 헤셸 랍비는 유럽에서 나치의 진격을 피해 미국으로 와서 뛰어난 신학자이자 시민권 옹호자로 활동하다가 1972년에 사망했다.[33] 헤셸 랍비의 딸들은 이 결정에 반대했다.[34]

2012년에 KKK 국제 키스톤 기사단은 조지아주 국도 515호선의 연장 노선을 입양하겠다고 신청서를 제출했다. 하지만 조지아주 교통국은 안전 고려와 그 증오 단체가 했던 일들을 이유로 이 신청을 거부했다.[35]

2012년에 펜실베이니아주 교통국은 피츠버그에 있는 어느 스트립 클럽이 주간고속도로 제376호선의 일부를 후원하겠다는 신청을 받아들였다. 그 스트립 클럽이 도로를 깨끗하게 유지하기만 한다면 납세자가 낸 돈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허용한 것이라고 밝혔다.[36] 후원은 하지만 스트리퍼들을 보내서 도로를 청소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꾼들이 도로를 청소하게 하고 그 비용을 대는 방식이다.[37]

6. 대중 문화


  • 미국의 시트콤 《사인필드》의 1997년 2월 20일 "The Pothole"이란 에피소드에 고속도로를 입양하는 내용이 나왔다.[1]
  • 미국의 풍자 애니메이션 《아메리칸 대드!》의 "It's Good to Be Queen"이란 에피소드에서 쿠 클럭스 클랜이 고속도로를 청소한 것에 대해 감사를 표시하는 내용이 나왔다.[2]
  • 미국의 밴드 "MU330"의 노래 "KKK Hiway"는 쿠 클럭스 클랜이 주간고속도로 제55호선을 후원하려는 내용에 대한 것이다.[3]
  • 미국의 시트콤 애니메이션 《심슨 가족》의 "Krusty Gets Kancelled" 에피소드에서 벳 미들러가 자신이 입양한 고속도로에서 쓰레기를 줍는 장면이 나왔다.[4]
  • 릭 라이어던의 책 "The Trials of Apollo, Book 2: The Dark Prophecy"에서 등장인물인 아폴로는 악역에 해당하는 트라이엄버릿 홀딩스(Triumvirate Holdings)가 후원하는 고속도로 입양 표지판을 따라서 목적지를 찾아간다.[5]

''구덩이''에서 보이는 표지판의 도해

  • 미국의 인기 시트콤 《사인필드》의 에피소드 "구덩이"에서 코스모 크레이머는 가상의 아서 버그하트 고속도로 1마일을 입양한다.[6] 크레이머는 4차선 고속도로를 2차선으로 변경하여 더 넓은 "레저 차선"을 만들려고 시도하며, 이로 인해 심각한 교통 체증이 발생한다.
  • 《아메리칸 대드!》 에피소드 "여왕이 되는 것은 좋은 일이다"에서 프랑신은 고속도로의 청결함에 대해 언급하며 쿠 클럭스 클랜에게 감사를 표한다.[7]
  • MU330의 노래 "KKK 고속도로"는 리드 싱어인 댄 포타스트의 고향인 세인트루이스 ("[그의] 어머니 집에서 몇 마일 떨어진 곳")에서 쿠 클럭스 클랜이 주간 고속도로 제55호선을 후원하려는 시도에 관한 내용이다.[8]
  • 심슨 가족》 에피소드 "크러스티가 취소되다"에서 베트 미들러는 그녀가 입양한 고속도로 구간을 따라 쓰레기를 줍고, 일부러 쓰레기를 버리는 운전자들에게 교통 사고를 유발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9]
  • 릭 라이어던의 《아폴로의 시련, 2권: 어두운 예언》에서, 등장인물 아폴로는 책의 적대 세력인 트리움비레이트 홀딩스가 후원하는 고속도로 입양 표지판을 통해 목적지를 찾는다.[10]

참조

[1] 뉴스 First Adopt-a-Highway sign goes up - Mar 09, 1985 - HISTORY.com https://www.history.[...] 2018-04-11
[2] 웹사이트 Adopt-a-Highway - FAQ https://www.txdot.go[...]
[3] 웹사이트 Caltrans Adopt-A-Highway Program Fact Sheet https://dot.ca.gov/-[...]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7-01-01
[4] 웹사이트 Adopt-A-Highway https://dot.ca.gov/p[...]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5] 웹사이트 Adopt-A-Highway Sponsor FAQs http://adopt-a-highw[...]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0-06-03
[6] 뉴스 The Name Game: Rosa Parks and the KKK http://www.snopes.co[...] 2012-06-11
[7] 뉴스 Gays Seek Adopt-a-Highway Sign and Get Cold Shoulder https://www.latimes.[...] 2001-08-15
[8] 뉴스 Janklow to change Adopt-a-Highway signs https://rapidcityjou[...] 2001-08-16
[9] 뉴스 Neo-Nazis’ Road Adoption Spurs Action: Missouri to Rename Highway After Rabbi. New York Times News Service
[10] 뉴스 Daughter Against Use of Father's Name to Subvert Neo-Nazis https://www.nytimes.[...] 2009-06-22
[11] 뉴스 Georgia official: KKK won't be allowed to 'adopt' highway http://www.cnn.com/2[...] 2012-06-13
[12] 웹사이트 Strip Club Helps Clean Up Local Highways http://pittsburgh.cb[...] 2012-07-02
[13] 웹사이트 News Nearby: Strip Club Owner Adopts Portion of Parkway Near Robinson - Cranberry, PA Patch http://cranberry.pat[...]
[14] 웹사이트 The Economics of "Adopting A Highway" http://priceonomics.[...] 2016-03-25
[15] 웹사이트 アダプト・プログラム導入概況一覧(全国普及状況) http://www.kankyobik[...]
[16] 뉴스 First Adopt-a-Highway sign goes up - Mar 09, 1985 - HISTORY.com https://www.history.[...] 2018-04-11
[17] 웹인용 Adopt-a-Highway - FAQ https://www.txdot.go[...]
[18] 웹인용 The Economics of "Adopting A Highway" http://priceonomics.[...]
[19] 웹사이트 About Us https://adoptahighwa[...] 2018-08-13
[20] 웹사이트 Happy Anniversary to Us https://adoptahighwa[...] 2018-09-13
[21] 웹사이트 What we do and how we can help your state https://www.adoptahi[...]
[22] 웹사이트 The Adopt-A-Highway (AAH) Program http://www.dot.ca.go[...] 2018-08-17
[23] 웹사이트 Adopt-A-Beach® https://www.coastal.[...] 2018-08-17
[24] 웹사이트 Adopt-A-Highway Sponsor FAQs http://adopt-a-highw[...] 2018-09-11
[25] 웹사이트 Contact a Caltrans District Office http://www.dot.ca.go[...] 2018-09-12
[26] 웹사이트 Adopt-A-Highway Coordinators http://adopt-a-highw[...] 2018-09-12
[27] 웹사이트 The Adopt-A-Highway Program http://adopt-a-highw[...] 2018-09-11
[28] 웹사이트 ADOPT-A-HIGHWAY PROGRAM APPLICATION http://adopt-a-highw[...] 2018-09-11
[29] 웹사이트 District 11 Adopt-A-Highway: Interactive Adopt-A-Highway Map http://www.dot.ca.go[...] 2018-09-12
[30] 웹사이트 Highway Litter Impacts & The Adopt-A-Highway Program, FACT SHEET http://www.dot.ca.go[...] 2018-09-11
[31] 웹사이트 Adopt-a-Highway - FAQ https://www.txdot.go[...] 2018-08-09
[32] 뉴스 The Name Game: Rosa Parks and the KKK http://www.snopes.co[...] 2012-06-11
[33] 뉴스 Neo-Nazis’ Road Adoption Spurs Action: Missouri to Rename Highway After Rabbi. New York Times News Service
[34] 뉴스 Daughter Against Use of Father’s Name to Subvert Neo-Nazis https://www.nytimes.[...] 2009-06-22
[35] 뉴스 Georgia official: KKK won't be allowed to 'adopt' highway http://www.cnn.com/2[...] 2012-06-13
[36] 웹인용 Strip Club Helps Clean Up Local Highways http://pittsburgh.cb[...] 2012-07-02
[37] 웹인용 Archived copy http://cranberry.pat[...] 2012-07-08
[38] 웹인용 도로입양사업(Adopt-a-Highway) 공동 협약식 http://www.nambutime[...] 2010-09-15
[39] 웹사이트 도로입양 http://www.pyeongtae[...] 평택시 2018-09-12
[40] 웹사이트 내가 사는 마을, 내 손으로 직접 가꿔요 http://www.mois.go.k[...]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2018-09-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