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개수 방출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개수 방출음은 혀의 뒷부분과 연구개 후단 사이에서 조음되는 무성음의 일종이다. 후두를 상승시켜 성도 내에 기류를 생성하고,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는 구강음이다. 북동캅카스어족, 남캅카스어족, 일부 애서배스칸어족, 이텔멘어, 케추아어, 아이마라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며, 압하스어, 우비흐어 등에서는 여러 변이형으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개수음 - 무성 구개수 마찰음
무성 구개수 마찰음은 혀 뒤쪽과 구개수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무성 마찰음으로, 폐에서 나오는 공기가 성대의 진동 없이 혀의 중앙을 따라 흐르며 마찰을 일으켜 소리가 나는 특징을 가지며, 독일어, 웨일스어,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 구개수음 - 유성 구개수 파열음
유성 구개수 파열음은 혀의 후설을 목젖에 대고 공기를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파열음으로, 유성음이며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 방출음 - 양순 방출음
양순 방출음은 아랫입술과 윗입술을 사용하여 후두를 상승시켜 기류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내는 무성 구강 방출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드물게 나타난다. - 방출음 - 치경 방출 마찰음
치경 방출 마찰음은 혀끝과 윗니 뒤쪽 잇몸 사이에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무성음으로, 후두를 상승시켜 기류를 생성하는 방출음의 특징을 가지며, 여러 언어에서 나타난다.
구개수 방출음 | |
---|---|
발음 | |
IPA | /qʼ/ |
X-Sampa | q_> |
키르셴바움 | q` |
특징 | |
조음 방법 | 폐쇄음. 폐쇄음을 생성하기 위해 성도에서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음. |
조음 위치 | 구개수음. 혀 뒤쪽을 목젖에 대고 조음됨. |
발성 | 무성음. 성대가 진동하지 않음. |
구강 | 구강음. 공기가 코가 아닌 입을 통해 빠져나감. |
발성 기제 | 방출음. 성문이 닫히고 닫힌 성문 위의 공기를 사용하여 기류를 생성. |
2. 특징
구개수 방출음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발성 -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지 않는 무성음이다.
- 조음 위치 - 설후부와 연구개 후단에 의한 구개수음이다.
- 조음 방법
- 후두를 상승시켜 성도 내에 기류를 생성함으로써 생기는 방출음이다.
-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음이다.
2. 1. 조음 위치
2. 2. 조음 방법
- 발성 -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지 않는 무성음이다.
- 조음 위치 - 설후부와 연구개 후단에 의한 구개수음이다.
- 조음 방법
- 후두를 상승시켜 성도 내에 기류를 생성함으로써 생기는 방출음이다.
-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음이다.
3. 사용 언어
단일 평음 구개수 방출음은 거의 모든 북동캅카스어족, 모든 남캅카스어족, 일부 애서배스칸어족, 이텔멘어, 케추아어, 아이마라어에서 발견된다.[1]
대부분의 샐리시어족, 틀링깃어, 아디게어, 카바르딘어 (북서캅카스어족)는 순음화된 구개수 방출음과 평음 구개수 방출음 사이의 2방향 대립을 보인다.[1]
3. 1. 캅카스 제어
단일 평음 구개수 방출음은 거의 모든 북동캅카스어족, 모든 남캅카스어족, 일부 애서배스칸어족, 이텔멘어, 케추아어, 아이마라어에서 발견된다.아크바흐어는 긴장도에 따른 구개수 방출음의 대립을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qʼaː|수프, 국물tyv (이완) 대 qːʼama|수탉 볏tyv (긴장)와 같이 나타난다.
압하스어는 평음, 구개음화, 순음화 구개수 방출음을 대립시키며, ҟab, ҟьab, ҟəab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аҟаҧшь|aqʼapʃ|빨간ab, -ҵəҟь|t͡ɕʷʼqʲʼa|정말로, 정말로 (동사 접미사)ab, Аҟәа|aqʷʼa|수후미ab와 같이 나타난다. 조지아어와 마찬가지로 압하스어에는 비방출 구개수 파열음이 없다.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구개수 유기음은 해당 마찰음과 합쳐졌지만, 유기음은 아바자어에 보존되어 있다.
평음 구개수 방출음은 과거 시제 접미사 /-qʼɜ/und의 존재로 인해 우비흐어에서 가장 흔한 자음 중 하나이다. 그러나 구개음화, 순음화 및 평음 구개수 방출음 외에도 우비흐어는 인두음화된 버전과 순음화 및 인두음화된 버전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총 5개가 있다. qʼɜqʼɜ|그는 그것을 말했다und, mɨqʲʼ|작고 둥근und, qʷʼɜ|잡다und, qˤʼɜqˤʼ|씹다und, qʷˤʼɜ|동굴und과 같이 나타난다.
- 그루지야어…ყka
- 체첸어…къ
3. 2.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북동캅카스어족, 남캅카스어족의 거의 모든 언어, 일부 애서배스칸어족, 이텔멘어, 케추아어, 아이마라어에서 단일 평음 구개수 방출음이 발견된다.[1]대부분의 샐리시어족, 틀링깃어, 아디게어와 카바르딘어 (북서캅카스어족)는 순음화된 구개수 방출음과 평음 구개수 방출음 사이의 2방향 대립을 보인다.[1]
아크바흐어는 긴장도에 따른 구개수 방출음의 대립을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qʼaː|수프, 국물tyv (이완) vs. qːʼama|수탉 볏tyv (긴장).[1]
압하스어는 평음, 구개음화, 순음화 구개수 방출음을 대립시키며, ҟab, ҟьab, ҟəab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аҟаҧшь|빨간ab, -ҵəҟьа|정말로, 정말로 (동사 접미사)ab, Аҟәа|수후미ab와 같다. 조지아어와 마찬가지로 압하스어에는 비방출 구개수 파열음이 없다.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구개수 유기음은 해당 마찰음과 합쳐졌지만, 유기음은 아바자어에 보존되어 있다.[1]
평음 구개수 방출음은 과거 시제 접미사 /-qʼɜ/|und의 존재로 인해 우비흐어에서 가장 흔한 자음 중 하나이다. 그러나 구개음화, 순음화 및 평음 구개수 방출음 외에도 우비흐어는 인두음화된 버전과 순음화 및 인두음화된 버전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총 5개가 있다. qʼɜqʼɜ|그는 그것을 말했다und, mɨqʲʼ|작고 둥근und, qʷʼɜ|잡다und, qˤʼɜqˤʼ|씹다und, qʷˤʼɜ|동굴und.[1]
3. 3. 기타 언어
단일 평음 구개수 방출음은 거의 모든 북동캅카스어족, 모든 남캅카스어족, 일부 애서배스칸어족, 그리고 이텔멘어, 케추아어, 아이마라어에서 발견된다.대부분의 샐리시어족, 틀링깃어, 아디게어와 카바르딘어 (북서캅카스어족)는 순음화된 구개수 방출음과 평음 구개수 방출음 사이의 2방향 대립을 보인다.
아크바흐어는 긴장도에 따른 구개수 방출음의 대립을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면 суп|수프ru (국물, 이완)와 петушиный гребень|수탉 볏ru (긴장)이 있다.
압하스어는 평음, 구개음화, 순음화 구개수 방출음을 대립시키며, ҟ, ҟь, ҟəab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аҟаҧшьab (빨간|빨간한국어), -ҵəҟьаab (정말로|정말로한국어 (동사 접미사)), Аҟәаab (수후미)와 같다. 조지아어와 마찬가지로 압하스어에는 비방출 구개수 파열음이 없다.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구개수 유기음은 해당 마찰음과 합쳐졌지만, 유기음은 아바자어에 보존되어 있다.
평음 구개수 방출음은 과거 시제 접미사 의 존재로 인해 우비흐어에서 가장 흔한 자음 중 하나이다. 우비흐어는 구개음화, 순음화 및 평음 구개수 방출음 외에도 인두음화된 버전과 순음화 및 인두음화된 버전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총 5개가 있다. 예를 들면 (그는 그것을 말했다|그는 그것을 말했다한국어), (작고 둥근|작고 둥근한국어), (잡다|잡다한국어), (씹다|씹다한국어), (동굴|동굴한국어)과 같다.
- 그루지야어…ყka
- 체첸어…къ
4. 음성 예시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아바자어 | къапщы|q̇apśəabq | [qʼapɕə] | '빨간색' | |
압하스어 | аҟаԥшь|aq̇apšab | [aqʼapʃ] | '빨간색' | |
아디게어 (하쿠치) | [qʼa] | '손' | 다른 방언에서는 [ʔ]에 해당함. | |
아르치어 | къам|q̇amaqc | [qʼam] | '앞머리' | |
아제르바이잔어 (북부 방언) | qədim|qʼæˈd̪i̞maz | [qʼæˈd̪i̞m] | '고대의' | |
바츠어 | ყარ|q̇arbbl | [qʼar] | '비' | |
체첸어 | [qʼiːg] | '까마귀' | ||
다르기어 (메흐웨브[1]) | [uq’ˈlaha] | '창문' | [q], [qʷ], [q’ʷ]와 대조를 이룸. | |
조지아어[2] | ყვავილი|q̇vavilika | [ˈqʼvävili] | '꽃' | 연구개 파열음과 달리, 유성 구개수 파열음 또는 무성 구개수 파열음과 대조를 이루지 않음. 고대 조지아어 무성 구개수 파열음은 현대 조지아어에서 무성 연구개 마찰음과 합쳐졌음. 일부 학자들은 이 조지아어 음소가 구개수 파열 마찰음 /χʼ/에 가깝다고 봄. |
하이더어 | qqayttas|qʼajtʼashai | [qʼajtʼas] | '바구니' | |
이텔멘어 | ӄ`ил'хч|qʼilˀxt͡ʃitl | [qʼilˀxt͡ʃ] | '떠나다' | |
클라랄람어 | wəq̕ə́q̕|wəqʼəqʼclm | [wəqʼəqʼ] | '개구리' | 순음화 구개수 방출 파열음과 대조를 이룸. 예: sq̕ʷúŋi(ʔ)|sqʷʼuɴi(ʔ)clm [sqʷʼuɴi(ʔ)] 머리. |
쿠테나이어 | ʔaq̓am|ʔaq’amkut | [ʔaq’am] | '세인트 메리 강 또는 깊고 빽빽한 숲' | |
라즈어 | [mqʼɔrɔˈpʰɔni] | '사랑하는' | ||
레즈기어 | кьакьан|qʼaqʼanlez | [qʼaqʼan] | 키가 큰, '높은' | 순음화 버전과 대조를 이룸. 예: кьв ех|qʷʼeχlez [qʷʼeχ] 사타구니. |
루쇼트시드어 | q̓il̕bid|qʼil̰bidlut | [qʼil̰bid] | '카누' | |
메그렐어 | ორტყ აფუ|ɔrtʼqʼapʰuxmf | [ɔrtʼqʼapʰu] | '벨트' | |
노스 스트레이츠 살리시어 | KEYOṮEN|qʼəjat͡ɬʼənˀstr | [qʼəjat͡ɬʼənˀ] | '민달팽이, 달팽이' | 순음화 버전과 대조를 이룸. 예: SK̴EḰĆES|sqʷʼəqʷt͡ʃəsstr [sqʷʼəqʷt͡ʃəs] 붉은 월귤나무 열매. |
케추아어 | q`illu|qʼɛʎʊqu | [qʼɛʎʊ] | '노란색' | |
스반어 | ჭყ ინტ|t͡ʃʼqʼintʼsva | [t͡ʃʼqʼintʼ] | '소년' | |
타흘탄어 | [qʼaχaːdiː] | '문' | ||
틀링깃어 | k̲ʼateil|qʼʌtʰeːɬtli | [qʼʌtʰeːɬ] | '주전자' | |
우비흐어 | qʼeqʼe|qʼɜqʼɜuby | [qʼɜqʼɜ] | (그/그녀)가 말했다 또는 '(그/그녀)가 말했음' |
참조
[1]
서적
The Mehweb language: Essays on phonology, morphology and syntax
Language Science Press
[2]
간행물
Standard Georgian
https://www.cambridg[...]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