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츠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츠어는 조지아 북동부 산악 지역인 투셰티에서 사용되는 북동캅카스어족 나흐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다. 바츠어는 4개의 부족 중 초바투쉬인들이 사용하며, 다른 부족들은 언어를 잃었다. 바츠어는 20진법 수 체계를 가지며, 문법적으로는 명사 등급, 능격-절대격 정렬 방식, 그리고 다양한 격과 굴절을 특징으로 한다. 바츠어는 체첸어, 잉구쉬어와는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며, 현재 화자 수가 적어 보존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동캅카스어족 - 인구시어
    잉구시어는 북동카프카스어족 나흐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잉구셰티야 공화국에서 주로 사용되며 러시아어와 함께 공용어이고, 복잡한 음운 및 문법 구조, 20진법 수 체계, 동사-두 번째 어순(V2)이 특징적이다.
  • 북동캅카스어족 - 레즈기어
    레즈기어는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남부와 아제르바이잔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레즈기어파에 속하며 54개의 자음과 18개의 격을 갖는 특징을 보인다.
  • 조지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조지아의 언어 - 라즈어
    라즈어는 카르트벨리어족 언어 중 하나로 메그렐어와 함께 잔어파를 형성하며, 터키 북동부와 조지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터키 알파벳 기반 문자와 조지아 문자로 표기되지만 공식적인 지위나 표준 문자가 없어 화자들은 터키어나 조지아어를 사용한다.
  • 소멸위기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소멸위기언어 - 브르타뉴어
    브르타뉴어는 브리튼 제도에서 유래한 켈트어로서 콘월어, 웨일스어와 관련이 깊으며, 프랑스어 억압으로 화자가 감소했으나 부활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인 하부 브르타뉴 서부 지역의 언어이다.
바츠어
개요
언어 이름바츠어
다른 이름바츠비 모트
로마자 표기Batseuba Mot
언어 정보
사용 국가조지아
사용 지역카헤티 주 제모알바니
사용자 수500명 (1997년)
사용자 수 (추정)3,000명 미만 (2007년)
언어 계통북동캅카스어족
문자조지아 문자
언어 코드
ISO 639-3bbl
Glottologbats1242
민족
민족바츠족

2. 역사

조지아 북동부 산악 지역인 투셰티에는 스스로를 투셰티인이라고 여기는 바츠비(초바투쉬라고도 함), 고메차리, 피리퀴티, 차그마투쉬 4개의 부족이 살고 있다. 초바투쉬인은 투셰티인의 50%를 차지한다. 바츠어를 사용하는 초바투쉬인은 수백 명에 불과하며, 다른 부족(고메차리, 피리퀴티, 차그마투쉬)은 언어를 잃었다. 지명학 증거에 따르면 다른 세 투셰티 부족이 과거에는 바츠어를 사용했으며, 이는 모든 투셰티인이 한때 바츠어를 사용했고 시간이 지나면서 조지아어가 바츠어를 대체했음을 시사한다.

산악 지형은 투셰티인의 문화와 전통을 보존했지만, 고립된 역사는 기록을 더 어렵게 만들었는데, 기록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바츠어의 첫 번째 문법인 Über die Thusch-Sprache|위버 디 투쉬-슈프라헤de독일동양학 학자 안톤 쉬에프너(1817–1879)에 의해 편집되었으며, 이는 과학적 원리에 기반한 최초의 토착 코카서스 언어 문법이 되었다.[3]

2. 1. 초기 역사

조지아 북동부 산악 지역인 투셰티에는 스스로를 투셰티인이라고 여기는 바츠비(초바투쉬라고도 함), 고메차리, 피리퀴티, 차그마-투쉬 4개의 부족이 살고 있다. 초바투쉬인은 투셰티인의 50%를 차지한다. 바츠어를 사용하는 초바투쉬인은 수백 명에 불과하며, 다른 부족(고메차리, 피리퀴티, 차그마-투쉬)은 언어를 잃었다. 지명학 증거에 따르면 다른 세 투셰티 부족이 과거에는 바츠어를 사용했으며, 이는 모든 투셰티인이 한때 바츠어를 사용했고 시간이 지나면서 조지아어가 바츠어를 대체했음을 시사한다.

산악 지형은 투셰티인의 문화와 전통을 보존했지만, 고립된 역사는 기록을 더 어렵게 만들었는데, 기록이 거의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바츠어의 첫 번째 문법인 Über die Thusch-Sprache|위버 디 투쉬-슈프라헤de독일동양학 학자 안톤 쉬에프너(1817–1879)에 의해 편집되었으며, 이는 과학적 원리에 기반한 최초의 토착 코카서스 언어 문법이 되었다.[3]

2. 2. 기록 및 연구

산악 지형은 투셰티인의 문화와 전통을 보존했지만, 고립된 역사는 기록을 더 어렵게 만들었는데, 기록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바츠어의 첫 번째 문법인 Über die Thusch-Sprache|위버 디 투쉬-슈프라헤de독일동양학 학자 안톤 쉬에프너(1817–1879)에 의해 편집되었으며, 이는 과학적 원리에 기반한 최초의 토착 코카서스 언어 문법이 되었다.[3]

3. 분류 및 분포

바츠어는 나흐어파에 속하며, 북동캅카스어족에 속한다. 체첸어, 잉구쉬어와는 상호 이해 가능성이 없다.

3. 1. 분류

바츠어는 북동캅카스어족의 나흐어파에 속하며, 체첸어, 잉구쉬어와는 상호 이해 가능성이 없다.

3. 2. 분포

바츠어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화자는 조지아 아크메타 자치구의 카케티 평원에 위치한 제모-알바니 마을에 거주한다. 트빌리시와 조지아의 다른 대도시에도 바츠어 사용자들이 일부 거주하고 있다.

4. 음운론

바츠어는 나흐다게스탄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음운론적으로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모음 ===

바츠어는 유형론적으로 일반적인 5개의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일부 학자는 /u/를 제외한 모든 모음이 길이에서 대립한다고 주장하지만, 바츠비어 연구에서 최소 대립쌍이 제시된 적이 없으며, 문헌에서도 장모음의 예시를 찾아볼 수 없다.



바츠어에는 /ei/, /ui/, /oi/, /ai/, /ou/, /au/와 같은 이중 모음도 존재한다.[4]

모든 모음과 이중 모음은 비음화이음소를 가지며, 이는 음성학적 및 형태음운론적 과정의 결과이다. 비음화된 모음은 [ ĩ ẽ ã õ ũ ]와 같다. 므헤드룰리 문자에서 해당 모음 뒤에 위첨자 ⟨ნ⟩을 사용하여 비음화된 모음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k’nat'''ẽ''']는 კნათ'''ე'''으로 표기한다.

=== 자음 ===

바츠어는 나흐다게스탄어파 언어에서 비교적 전형적인 대규모 자음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파열음, 인두음, 구개수음을 포함한다. 바츠어는 가까운 친족 언어인 체첸어, 잉구쉬어와 달리 무성 설측음 마찰음 /ɬ/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두 개의 쌍자음 파열음 /tːʼ/ 및 /qːʼ/의 존재가 주목할 만한데, 이는 언어학적으로 드문 현상이다.[5]



=== 음소 배열 ===

바츠비어에서 가장 흔한 음절 유형은 CVC이다.[6] 그러나 바츠비어 단어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자음 시퀀스를 포함하며, 두 번째 자음은 종종 마찰음이다.[9] 파열음-파열음 묶음은 종종 방출음을 포함한다. 이 두 자음 묶음은 단어 내의 어느 위치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단어 끝에서는 덜 일반적이다. 세 개의 자음 시퀀스도 발생하지만, 많은 시퀀스는 조지아어에서 온 차용어이다. 많은 인도유럽어족 언어가 아닌 언어의 묶음과 마찬가지로,[7] 바츠비어의 자음 시퀀스는 종종 음성 시퀀스 원리를 따르지 않는다.

단어 시작 시 두 자음 묶음[6]
C1C2예시영어
파열음마찰음
bʒãბჟა가축
pħeფჰჾე마을
xtʃxotʼჩხოტ폭포
ʕkʼʕokʼკჺოკ구멍
mʕalმჺალ공통의
파열음파열음예시영어
tʼqʼaტყა20
nkʼnatẽკნათე소년
tʃʼtʃʼqʼempʼʷჭყემფუ



단어 시작 시 세 자음 묶음[6]
C1C2C3예시영어
pst’pst’uფსტუ아내
txɾtxɾilთხრილ도랑
t’k’mt’k’melტკმელ먼지
t’q’vt’q’veთყვე포로
gɾdgɾdemlგრდემლ모루



위의 세 자음 시작 묶음을 포함하는 단어 중에서 /pst’u/ “아내”와 /t’k’mel/ “먼지”를 제외한 모든 단어는 바츠비어 고유어이며, 나머지는 조지아어에서 온 차용어이다.

단어 끝 묶음
C1C2예시영어
ɾk’tsaɾkʼცარკ
pxvepxვეფხ호랑이
txmatxმათხ태양
vrskʼiსკივრ스컹크
nt’abʒont’აბჟონტ등자


4. 1. 모음

바츠어는 유형론적으로 일반적인 5개의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일부 학자는 /u/를 제외한 모든 모음이 길이에서 대립한다고 주장하지만, 바츠비어 연구에서 최소 대립쌍이 제시된 적이 없으며, 문헌에서도 장모음의 예시를 찾아볼 수 없다.



바츠어에는 /ei/, /ui/, /oi/, /ai/, /ou/, /au/와 같은 이중 모음도 존재한다.[4]

모든 모음과 이중 모음은 비음화이음소를 가지며, 이는 음성학적 및 형태음운론적 과정의 결과이다. 비음화된 모음은 [ ĩ ẽ ã õ ũ ]와 같다. 므헤드룰리 문자에서 해당 모음 뒤에 위첨자 ⟨ნ⟩을 사용하여 비음화된 모음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k’nat'''ẽ''']는 კნათ'''ე'''으로 표기한다.

4. 2. 자음

바츠어는 나흐다게스탄어파 언어에서 비교적 전형적인 대규모 자음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파열음, 인두음, 구개수음을 포함한다. 바츠어는 가까운 친족 언어인 체첸어, 잉구쉬어와 달리 무성 설측음 마찰음 /ɬ/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두 개의 쌍자음 파열음 /tːʼ/ 및 /qːʼ/의 존재가 주목할 만한데, 이는 언어학적으로 드문 현상이다.[5]


4. 3. 음소 배열

바츠비어에서 가장 흔한 음절 유형은 CVC이다.[6] 그러나 바츠비어 단어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자음 시퀀스를 포함하며, 두 번째 자음은 종종 마찰음이다.[9] 파열음-파열음 묶음은 종종 방출음을 포함한다. 이 두 자음 묶음은 단어 내의 어느 위치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단어 끝에서는 덜 일반적이다. 세 개의 자음 시퀀스도 발생하지만, 많은 시퀀스는 조지아어에서 온 차용어이다. 많은 인도유럽어족 언어가 아닌 언어의 묶음과 마찬가지로,[7] 바츠비어의 자음 시퀀스는 종종 음성 시퀀스 원리를 따르지 않는다.

단어 시작 시 두 자음 묶음[6]
C1C2예시영어
파열음마찰음
bʒãბჟა가축
pħeფჰჾე마을
xtʃxotʼჩხოტ폭포
ʕkʼʕokʼკჺოკ구멍
mʕalმჺალ공통의
파열음파열음예시영어
tʼqʼaტყა20
nkʼnatẽკნათე소년
tʃʼtʃʼqʼempʼʷჭყემფუ



단어 시작 시 세 자음 묶음[6]
C1C2C3예시영어
pst’pst’uფსტუ아내
txɾtxɾilთხრილ도랑
t’k’mt’k’melტკმელ먼지
t’q’vt’q’veთყვე포로
gɾdgɾdemlგრდემლ모루



위의 세 자음 시작 묶음을 포함하는 단어 중에서 /pst’u/ “아내”와 /t’k’mel/ “먼지”를 제외한 모든 단어는 바츠비어 고유어이며, 나머지는 조지아어에서 온 차용어이다.

단어 끝 묶음
C1C2예시영어
ɾk’tsaɾkʼცარკ
pxvepxვეფხ호랑이
txmatxმათხ태양
vrskʼiსკივრ스컹크
nt’abʒont’აბჟონტ등자


5. 문자 체계

바츠어는 역사적으로 키릴 문자, 로마자, 조지아 문자 등 여러 문자로 표기되었다.

5. 1. 역사적 문자 체계

바츠어의 역사적 문자 체계는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비교되었다. 다음은 주요 학자들의 문자 체계 비교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시에프너, 1856[8]임나이쉬빌리, 1977카다기제, 1984미켈라제, 2012데셰리예프, 1953츠렐라쉬빌리, 1999IPA
조지아어
표기법
라틴어
표기법
조지아어
표기법
라틴어
표기법
조지아어
표기법
라틴어
표기법
aaaა, A a, aаа
Ǎ ǎ, âа͏̆а͏̆
rowspan="2" |ārowspan="2" |āĀ āа̄а̄
ā̄
აჼaⁿაჼaⁿაჼ, აჼà ã, àãа̃а̃
Ā̃ ā̃
bbbB bбб
gggG gгг
dddD dдд
eeeE eе, эе
Ē ē, Ē ēе̄
ĕĕě, êе͏̆е͏̆
ეჼeⁿეჼeⁿეჼẼ ẽе̃е̃
Ē̃ ē̃
wvvV vвв
zzzZ zзз
ttT tтт
თთttთჾtჾთჾtჾтттт
iiiი, I i, Iiии
Ī īӣӣ
ĭĭîи͏̆и͏̆
იჼiⁿიჼiⁿიჼĨ ĩи̃и̃
Ī̃ ī̃
kḲ ḳкӀкӀ
lllL lлл
ლლllლჾlჾლჾlჾлллл
ლʻლʻლʻлълъ
mmmM mмм
nnnN nнн
jjjJ jйй
ჲჼj̇̃
oooო, O o, oоо
Ō ōо̄о̄
ō̄
ŏŏǒ, ôо͏̆о͏̆
ოჼoⁿოჼoⁿოჼÕ õо̃о̃
Ō̃ ō̃
pP̣ p̣пӀпӀ
žžŽ žжж
rrrR rрр
რʻრʻ
sssS sсс
სსssსჾsჾსჾsჾсссс
tṬ ṭтӀтӀ
ტტṭṭტჾṭჾტჾṭჾтӀтӀтӀтӀ
uuuუ, U u, uуу
Ū ūӯ
ŭŭǓ ǔ, ûу͏̆у͏̆
უჼuⁿუჼuⁿუჼ, უჼŨ ũ, Ũ ũу̃у̃
ppP pпп
kkK kкк
ɣɣƔ ɣгӀгӀ
qQ̣ q̣къкъ
ყყq̣q̣ყჾq̣ჾყჾq̣ჾкъкъкъкъ
ššŠ šшш
შჾšჾ
ččČ čчч
cccC cцц
ʒʒʒƷ ʒдздз
C̣ c̣цӀцӀ
c̣̔č̣č̣Č̣ č̣чӀчӀ
xxxX xхх
ხხxxხჾxჾხჾxჾхххх
qqqQ qкхкх
ჴჴqqჴჾqჾჴჾqჾккхкхкх
ʒ̔ǯǯǮ ǯдждж
hhH hхӀхӀ
ჰჾhჾhჰ⁊H⁊ h⁊/Ⱨ ⱨхьхь
ӀъӀъ
ʼʻʻʻჺ/عʻӀӀ
ʼʼʼʼʼъ
ф
w


6. 문법

바츠어는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르며, 능격-절대격 정렬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결합된 형태론적 파생과 굴절을 광범위하게 활용한다. 문법적 성(즉, 명사 부류)과 여러 개의 격을 가지고 있다.

6. 1. 형태 통사론

바츠어는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르며, 능격-절대격 정렬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결합된 형태론적 파생과 굴절을 광범위하게 활용한다. 문법적 성 (즉, 명사 부류)과 여러 개의 격을 가지고 있다.

6. 2. 대명사

바츠어의 대명사는 3인칭, 2개의 수(단수, 복수)를 나타내며, 1인칭 복수에서는 포괄성("너와 우리" vs. "우리, 너는 아님")을 구분한다.[9] 지시사는 3인칭 대명사로 사용된다. 1인칭과 2인칭 대명사는 절대격능격 형태가 다르다.

단수복수
1인칭2인칭1인칭 포괄1인칭 배타2인칭
절대격სო (so)ჰჾო (ħo)თხო (txo)ვე/ვაი (ve/vai)შუ (šu)
능격ას (as)აჰჾ (aħ)ათხ (atx)ვე (ve)ეშ (eš)
너와 우리우리, 너는 아님너희



바츠어는 대명사에서 성별을 구분하지 않는다. 성별은 동사와 형용사에 표시된다. 3인칭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단수복수
절대격ო (o)ობი (obi)
능격ოჴუს (oqus)ოჴარ (oqar)
그/그녀그들



지시대명사는 성별을 구분하지 않으며, 거리에 따라 세 가지로 나뉜다.

근접 지시사중간 지시사원격 지시사
절대격ე (e)ის (is)ო (o)
사격ეჴ (eq)იცხ (icx)ოჴ (oq)



의문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누구?무엇?언제?얼마나?어디?어느 것?
절대격მე (mẽ)ვუხ (vux)მაცა (macã)მელʻ (meɬ)მიჩ, მიჩა (mič, miča)მენუხ (menux)
능격ჰჾა (ħã)სტევ (st’ev)მენხუიჩოვ (menxuičov)


6. 3. 명사 부류 (문법적 성)

바츠어는 명사 등급(문법적 성)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동사, 형용사 등 다른 품사와의 일치에 영향을 미친다.[9] 명사 자체는 성에 대한 형태론적 표지를 나타내지 않지만, 일부 모음으로 시작하는 동사, 형용사, 숫자 및 기타 몇몇 단어의 어간에 접두사를 붙여 성을 표시한다.[9]

자동사는 주어와 성 일치를 보이며, 타동사는 목적어와 성 일치를 보인다.[6] 예를 들어, 다음 표는 명사 등급 중 세 가지에 대한 동사의 성 일치를 보여준다.

[6]
명사 등급주어동사 어간번역
자동사 (주어 일치)
Mvašubbl'''v-axẽbbl형제 M-떠났다
Fjašubbl'''j-axẽbbl자매 F-떠났다
Dbaderbbl'''d-axẽbbl아이 D-떠났다
Bdpħubbl'''b-axẽbbl Bd-떠났다
타동사 (목적어 일치)
Mnanasbblvašubbl '''v-ik’ẽbbl어머니 M-형제를 데려갔다
Fdadasbbljašubbl '''j-ik’ẽbbl아버지 F-자매를 데려갔다
Dnanasbblbaderbbl '''d-ik’ẽbbl어머니 D-아이를 데려갔다
Bddadasbblpħubbl '''b-ik’ẽbbl아버지 Bd-개를 데려갔다''



홀리스키(Holisky)와 가구아(Gagua, 1994)는 바츠어를 5개의 명사 등급으로 분석했지만,[6] 앨리스 해리스(Alice Harris)는 5개의 주요 등급의 패턴을 따르지 않는 단어들의 행동을 근거로 바츠어에 총 8개의 성이 있다고 주장한다.[9]

해리스(Harris)의 명사 등급 분류는 다음과 같다.

등급단수복수설명명사형용사 “크다”동사 “이다”한국어
Mv-b-남성 인간v-aqqõnbblvabbl“남편이 크다”, “목동이 크다”, “아들이 크다”
Fj-d-여성 인간j-aqqõnbbljabbl“어머니가 크다”, “아내가 크다”, “딸이 크다”
Dd-다양함, 기본 등급, 성별이 알려지지 않음[9]d-aqqõnbbldabbl“아이가 크다”, “고양이가 크다”, “마음이 크다”, “고기가 크다”
Bdb-d-동물b-aqqõnbblbabbl“개가 크다”, “빵이 크다”, “곰이 크다”
Jj-다양함j-aqqõnbbljabbl“이빨이 크다”, “우유가 가볍다”, “비가 가볍다”
*Bdb-d-신체 부위 (15개의 명사)b-aqqõnbblbabbl“그것은 큰 주먹이다”, “눈이 크다”, “목구멍이”
*D/Jd-j-신체 부위 (4개의 명사)d-abbl 이다“입술이”, “귀가”, “손이”, “뺨이”
*B/Bb-오직 3개의 명사b-abbl 이다/이다들“니트 슬리퍼”, “부츠”, “가을 양털”



명사의 수가 가장 많은 부류는 D 부류(예: '''''d'''abbl'' “그것은 ~이다”)이며, 그 다음은 J 부류(예: '''''j'''abbl'' “그것은 ~이다”)이다. 명사 부류를 알 수 없는 경우와 성이 혼합된 절에서도 D 부류 표지가 사용된다.

"교사"(učitʼelbbl), "친구"(naq’bistbbl), "적"(mastxovbbl), "이웃"(mezobelbbl) 등 사람을 지칭하는 일부 명사에는 고유한 성이 없으므로 부류 일치는 문맥에 따라 달라진다.[6]


  • ašubbl는 "형제자매"로 번역될 수 있으며, '''''v'''ašubbl'' ('''vbbl'''ašubbl “남자 형제”)와 '''''j'''ašubbl'' ('''jbbl'''ašubbl “여자 형제”)와 같이 몇몇 단어에서 어휘화되어 있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용사 중 단 8개만 수식하는 명사의 성에 일치한다.[6]

형용사 일치 (단수)
성 (단/복)-aqqõbbl-ut’q’ĩbbl-avĩbbl-acĩbbl-uq’ĩbbl-asẽbbl-acũbbl-axxẽbbl
-aჴჴõnbbl-ut’q’ĩnbbl-avĩnbbl-acĩnbbl-uq’ĩnbbl-asẽnbbl-acũnbbl-axxẽnbbl
남성 (v-/b-)v-aqqõbblv-ut’q’ĩbblv-avĩbblv-acĩbblv-uq’ĩbblv-asẽbblv-acũbblv-axxẽbbl
여성 (j-/d-)j-aqqõbblj-ut’q’ĩbblj-avĩbblj-acĩbblj-uq’ĩbblj-asẽbblj-acũbblj-axxẽbbl
D (d-)d-aqqõbbld-ut’q’ĩbbld-avĩbbld-acĩbbld-uq’ĩbbld-asẽbbld-acũbbld-axxẽbbl
J (j-)j-aqqõbblj-ut’q’ĩbblj-avĩbblj-acĩbblj-uq’ĩbblj-asẽbblj-acũbblj-axxẽbbl
Bd (b-/d-)b-aqqõbblb-ut’q’ĩbblb-avĩbblb-acĩbblb-uq’ĩbblb-asẽbblb-acũbblb-axxẽbbl
영어“big”“small”“light”“heavy”“thick”“empty”“short”“long”


6. 4. 수 및 격

바츠비어 명사는 단수와 복수, 그리고 9개의 격에 따라 굴절된다. 수는 접미사 및/또는 어근의 변화를 통해 굴절되며, 주로 예측할 수 없다. Harris(ms)는 주격에서 복수 표시를 위한 9개의 접미사를 식별한다. 모음 변화(즉, 음성 변화) 또한 복수 형태의 어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주격
접미사주격-단수주격-복수영어
-iსაგსაგ사슴
-išნიყნიყიშ
-biხეხენბი나무
-miდოკმი심장
-arčფჰჾუფჰჾარჩ
-erčტჺირტჺირერჩ
-arკეჭარ묶음
-erჲოპყპყერ



바츠비어는 총 9개의 격을 사용한다. 대부분의 명사에서 능격도구격은 공통된 형태를 갖는다.

nekʼ|칼bblt͜sʰokʼal|여우bbldok’|심장bbl
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
주격nekʼnekʼit͜sʰokʼalt͜sʰokʼlidok’dak’bi
속격nekʼẽnekʼãt͜sʰokʼlẽt͜sʰokʼlãdak’ĩdak’bĩ
여격nekʼennekʼint͜sʰokʼlent͜sʰokʼlindak’andak’bin
능격/도구격nekʼevnekʼivt͜sʰokʼlevt͜sʰokʼlivdak’avdak’bav
접촉격nekʼexnekʼaxt͜sʰokʼlext͜sʰokʼlaxdak’oxdak’bax
향격nekʼegʷnekʼigʷt͜sʰokʼlegʷt͜sʰokʼligʷdak’ogʷdak’bigʷ
부사격nekʼeɣnekʼiɣt͜sʰokʼleɣt͜sʰokʼliɣdak’oɣdak’biɣ
동반격nekʼt͜sʰĩ,nekʼicĩt͜sʰokʼlet͜sʰĩt͜sʰokʼlit͜sʰĩcolspan="2" |


6. 5. 동사

바츠어의 동사는 시제와 상뿐만 아니라 성, 인칭, 법, 기타 범주도 나타낸다. 인칭 접미사는 동사의 주어가 능격인지 절대격인지도 나타낸다. 바츠어 동사는 또한 명사 등급을 나타내는 접두사를 통해 객체와 일치한다.

단수복수
1인칭능격자르다თეტო|tet’o-sbblთეტოთხ|tet’o-txbbl
절대격가져가다-იკესუ|-ikʼe-bbl-იკესთხუ|-ikʼe-txʷbbl
2인칭능격자르다თეტოჰჾ|tet’o-ħbblთეტუიშ|tet’w-bbl
절대격가져가다-ისკეჰჾუ|-ikʼe-ħʷbbl-ისკეშუ|-ikʼe-šʷbbl
3인칭능격자르다თეცტ|tet’ʷbbl
절대격가져가다



바츠어는 동사의 행위자성에 대한 굴절을 통해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6. 6. 후치사

(mak)
on’ (위에)티벤 마크
(t’iv-en mak ba)They (M) are on the bridge
(직역: bridge on they.are)그들(남성)은 다리 위에 있다
(직역: 다리 위에 그들.있다)키켈
(kʼikʼel)
‘under’ (아래에)티벤 키켈 바익흐나스
(tʼiv-en kʼikʼel vaixnas)I (M) walked under the bridge
(직역: bridge under I walked)나(남성)는 다리 아래로 걸어갔다
(직역: 다리 아래에 나 걸었다)페흐
(pex)
next to’ (옆에)난엔 페흐
(nan-en pex)Next to mother
(직역: mother next to)어머니 옆에
(직역: 어머니 옆에)흐앗흐에
(ħatx(e))
in front of’ (앞에)첸인 흐앗흐에
(c’en-in ħatxe)In front of the house
(직역: house in front of)집 앞에
(직역: 집 앞에)



영어와 인도유럽어에서 전치사를 통해 표현되는 방향이나 상태 중 일부는 바츠어에서는 처격으로 표현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7. 수 체계

바츠어의 숫자 체계는 대부분의 친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이십진법을 사용하며, 20을 기본으로 한다. 이는 더 높은 십진법 숫자 구성에서 주로 나타나는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6]



명사를 수식할 때, 숫자는 수식하는 명사 앞에 온다.

기본 숫자
111
cħa|차bblcħajtʼtʼ|차이트bbl
212
ši|시bblšiitʼtʼ|시트bbl
313
qo|코bblqoitʼtʼ|코이트bbl
414
Dʕivʔ|데브bblDʕevajtʼtʼ|데바이트bbl
515
pxi|피bblpxiitʼtʼ|피트bbl
616
jetx|예트bbljetxajtʼː|예트하이트bbl
717
vorɬ|보르bblvorɬajtʼtʼ|보르라이트bbl
818
barɬ|바르bblbarɬajtʼtʼ|바르라이트bbl
919
isː|이스bbltʼqʼexc’|트케츠bbl
1020
itʼtʼ|이트bbltʼqʼa|트카bbl



더 높은 십진법 숫자
212230
tʼqʼacħa|트카차bbltʼqʼaš|트카시bbltʼqʼaitʼtʼ|트카이트bbl
313240
tʼqʼacħaitʼtʼ|트카차이트bbltʼqʼašiitʼtʼ|트카시트bblšauztʼqʼ|샤우즈트크bbl
506070
šauztʼqʼaitʼtʼ|샤우즈트카이트bblqouztʼqʼ|코우즈트크bblqouztʼqʼaitʼtʼ|코우즈트카이트bbl
8090100
Dʕe(v)uztʼqʼ|데(브)우즈트크bblDʕe(v)uztʼqʼaitʼtʼ|데(브)우즈트카이트bblpxauztʼqʼ|프하우즈트크bbl
120160200
jexcʼatʼqʼ|예츠차트크bblbarɬcʼatʼqʼ|바르차트크bblicʼatʼqʼ|이차트크bbl
1000
atas|아타스bbl



바츠어는 가장 가까운 친족 언어인 체첸어와 잉구쉬어와 마찬가지로 숫자 4(Dʕivʔ|데브bbl)가 명사 품사 표지로 시작하며, 이는 'D'로 표시된다(기본값 또는 다른 품사에 대한 다른 대문자). 이 표지는 숫자가 수식하는 명사의 품사와 일치하며, 그 명사가 명시적으로 표현되지 않고, 화용론적 또는 담론적 맥락을 통해서만 나타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예: Vʕivʔev|비브에브bbl (남성 4명)). 이는 '4'라는 단어 자체뿐만 아니라 파생어에서도 볼 수 있다.

8. 한국어와의 비교 연구 (별도 섹션으로 추가)

바츠어와 한국어를 비교하는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2018-04-17
[2] 웹사이트 Batsbi alphabet, pronunciation and language https://www.omniglot[...] Omniglot.com 2018-02-04
[3] 논문 The rise and fall and revival of the Ibero-Caucasian hypothesis http://www.mapageweb[...] 2007
[4] 문서 HG1994
[5] 간행물 Acoustic properties of singleton and geminate ejectives in Tsova-Tush https://www.internat[...] 2019-Summer
[6] 서적 "Tsova-Tush (Batsbi)", in ''The indigenous languages of the Caucasus'' Caravan Books 1994
[7] 서적 Highly complex syllable structure: A typological and diachronic study https://zenodo.org/r[...] "[object Object]" 2019-07-04
[8] 서적 Versuch über die Thusch-Sprache oder die khistische Mundart in Thuschetien https://www.digitale[...]
[9] 서적 Batsbi Sketch Gramm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