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바자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바자어는 러시아와 터키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19세기 중후반에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었으며, 5개의 방언으로 나뉜다. 아바자인은 아브하즈인에서 분기된 집단으로, 아바자어와 아브하즈어는 원래 같은 언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930년대에 라틴 문자를, 1938년에는 키릴 문자를 채택하여 표기해왔다. 아바자어는 타판타 방언과 슈카라와 방언으로 나뉘며, 음운 체계는 압하스어와 유사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서캅카스어족 - 카바르다어
카바르다어는 북서캅카스어족에 속하며 러시아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과 중동의 체르케스인 디아스포라에서 사용되고, 아디게어와 함께 체르케스어파로 분류되며,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정서법을 사용하고 적은 모음과 많은 자음을 가진다. - 북서캅카스어족 - 압하스어
압하스어는 북서캅카스어족에 속하며 압하스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언어로, 복잡한 자음 체계와 적은 수의 모음을 특징으로 하고, 압하지야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 사용자가 분포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압하지야의 공용어로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공화국 - 카라차이인
카라차이인은 중앙 코카서스 산맥 구릉 지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복잡한 역사를 거쳐 현재는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을 중심으로 거주하며 이슬람교를 믿는다. -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공화국 - 카바르다어
카바르다어는 북서캅카스어족에 속하며 러시아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과 중동의 체르케스인 디아스포라에서 사용되고, 아디게어와 함께 체르케스어파로 분류되며,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정서법을 사용하고 적은 모음과 많은 자음을 가진다. - 튀르키예의 언어 - 그리스어
그리스어는 기원전 2000년경 발칸반도에서 기원하여 현대까지 사용되는 언어로, 미케네 문명의 선형 문자 B에서 시작해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알파벳으로 발전했으며, 고대 그리스어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를 거쳐 현대 그리스어로 변화하며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서 유럽 언어와 과학 기술 용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 튀르키예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아바자어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바자어 |
로마자 표기 | abaja byjeuwa |
다른 이름 | (아바제브제) |
사용 국가 | 러시아 터키 시리아 |
사용 지역 | 북캅카스,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 |
민족 | 아바자인 |
사용자 수 | 49,800명 (2010–2014년) |
언어 분류 | |
어족 | 캅카스 제어 |
어파 | 북서캅카스어족 |
어군 | 아바즈기어군 |
공용어 지위 | |
공용어 |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 |
문자 체계 | |
문자 | 키릴 문자, 라틴 문자 |
언어 코드 | |
ISO 639-3 | abq |
Glottolog | abaz1241 |
언어 지도 | |
방언 | |
방언 | Ashkherewa T'ap'anta |
기타 | |
존속 위협 | 'Definitely Endangered' (유네스코) |
2. 역사
아바자어는 아브하즈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아바자인은 14세기에서 15세기에 걸쳐 아브하즈인에서 분기된 집단으로 여겨진다.[15] 현재의 아바자어 화자들은 주로 17세기에서 18세기에 코카서스 북서부의 대(大) 라바 강, 소(小) 라바 강, 우루프 강, 대(大) 젤렌추크 강, 소(小) 젤렌추크 강 유역으로 이주해 온 이들의 후손이다.
아바자어는 19세기 중후반에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었으나, 1864년 코카서스 전쟁이 러시아 제국의 승리로 끝나면서 상황이 변했다. 러시아 제국의 통제력이 강화되고 문화 동화 정책이 시행되면서 아바자어를 포함한 지역 토착 언어의 사용이 점차 줄어들었다.[6] 전쟁의 결과로 일부 아바자어 화자들은 당시 오스만 제국 영토였던 터키나 시리아 등지로 이주하기도 했다.[15]
오랫동안 문자 없이 구어로만 사용되던 아바자어는 20세기 소비에트 연방 시기에 들어 문자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1932년부터 1933년까지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이 사용되었으나, 1938년에는 키릴 문자 기반 표기법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소량의 책, 소책자, 신문 등이 아바자어로 출판되었다.[6]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내에서의 지속적인 문화 동화 압력 등으로 인해 아바자어 사용은 계속해서 감소하였고, 언어 자체가 전반적인 위기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1989년 조사에 따르면 주요 화자 집단은 러시아의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 전역 및 아디게야 공화국 내 Уляп|울리야프ru와 터키 등지에 분포해 있었다.[15]
2. 1. 19세기 이전
아바자인은 14세기부터 15세기에 걸쳐 아브하즈인에서 분기된 집단으로 여겨지며[15], 아바자어와 아브하즈어는 원래 하나의 같은 언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7세기경에도 아브하즈인에서 분리되어 아바자인에 합류한 집단이 있었는데, 이들은 스스로를 아브하즈인으로 칭했으나[15] 오늘날에는 이들 모두를 아바자인으로 통칭한다.현재 아바자어 화자들의 선조는 17세기에서 18세기에 걸쳐 대(大) 라바 강, 소(小) 라바 강, 우루프 강, 대(大) 젤렌추크 강, 소(小) 젤렌추크 강 유역으로 이주해 온 이들이다. 아바자어는 19세기 중후반에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하지만 1864년 코카서스 전쟁이 러시아의 승리로 끝나면서 해당 지역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이 커졌고, 이는 기존 지역 언어들의 사용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6] 코카서스 전쟁의 결과로 일부 아바자어 화자들은 오스만 제국 영토였던 터키나 시리아 등지로 이주하기도 했다.[15]
2. 2. 러시아 제국 시기 (19세기)
아바자어는 19세기 중후반에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그러나 1864년 카프카스 전쟁이 러시아 제국의 승리로 끝나면서 상황이 변하기 시작했다. 러시아 제국이 해당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장악하게 되면서, 전쟁 이전부터 사용되던 아바자어를 포함한 지역 언어들의 사용이 점차 줄어들었다.[6] 또한 카프카스 전쟁의 결과로 일부 아바자어 사용자들은 터키나 시리아 등지로 이주해야 했다.[15] 이러한 역사적 과정 속에서 아바자어 사용은 점차 위축되었다.2. 3. 소비에트 연방 시기 (20세기)
소비에트 연방 시기에 들어 아바자어는 문자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이전까지 문어가 없었던 아바자어는 1932년부터 1933년까지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38년에는 키릴 문자로 표기법이 변경되었다. 문자 체계가 마련된 이후, 소량이지만 아바자어로 된 책, 소책자, 신문 등이 출판되었다.[6]그러나 소비에트 연방 시기 동안 러시아 지역 내에서의 문화 동화 정책 등으로 인해 아바자어 사용은 점차 줄어들었으며, 언어 자체가 위험에 처한 상태가 되었다.
1989년 당시 주요 아바자어 화자 분포는 다음과 같다.[15]
지역 | 화자 수 |
---|---|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 전역 및 아디게야 공화국 내 Уляп|울리야프ru | 33,613명 |
터키 | 약 20,000명 |
2. 4. 현대 (20세기 후반 ~ 현재)
아바자인은 14세기에서 15세기에 걸쳐 아브하즈인으로부터 갈라져 나온 집단으로 여겨지며[15], 아바자어와 아브하즈어는 본래 같은 언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7세기경에도 아브하즈인에서 분리되어 아바자인에 합류한 집단이 있었는데, 이들은 스스로를 아브하즈인이라 칭했지만[15] 오늘날에는 이들 모두를 아바자인이라고 부른다.1864년 코카서스 전쟁이 끝나면서 러시아가 해당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강화했고, 이로 인해 일부 아바자어 화자들은 터키나 시리아 등지로 이주해야 했다.[15] 또한 전쟁 이전부터 존재했던 지역 언어들의 사용이 줄어드는 결과를 낳았다.
아바자어는 오랫동안 문자 없이 구어로만 사용되다가 1932년에서 1933년 사이에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는 오래가지 못하고 1938년에 키릴 문자 기반 표기법으로 대체되었다. 문자 도입 이후 소량의 책, 소책자, 신문 등이 아바자어로 출판되었다.[6]
하지만 러시아 지역에서 진행된 여러 형태의 문화 동화 정책으로 인해 아바자어의 사용은 점차 줄어들었고, 언어 자체가 전반적인 위기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1989년 조사된 아바자어 화자 분포는 다음과 같다.[15]
3. 지리적 분포
아바자어는 주로 러시아와 튀르키예 등지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멸종 위기 언어로 분류된다.[15] 아바자인은 14세기부터 15세기에 걸쳐 아브하즈인에서 갈라져 나온 집단으로 여겨지며, 아바자어와 아브하즈어는 본래 같은 언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15] 17세기에도 아브하즈인에서 분리되어 아바자인에 합류한 집단이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이들 모두를 아바자인이라고 부른다.[15] 코카서스 전쟁 시기 일부 아바자어 화자들은 튀르키예나 시리아 등지로 이주하여 현재의 분포를 이루게 되었다.[15]
3. 1. 러시아
아바자어는 러시아와 튀르키예에서 사용된다. 멸종 위기 언어에 속하지만, 러시아의 여러 지역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아바자어가 사용되는 러시아 내 지역은 다음과 같다.지역명 |
---|
카라-파고 |
쿠비나 |
프시즈 |
엘부르간 |
인지치-추쿤 |
코이-단 |
아바자-하블' |
말로-아바진카 |
타판타 |
크라스노보스토치니 |
노보쿠빈스키 |
스타로쿠빈스키 |
아바자크트 |
압-수아 |
3. 2. 튀르키예
코카서스 전쟁으로 인해 일부 아바자어 화자들이 튀르키예로 이주했다.[15] 1989년 통계에 따르면 튀르키예에는 약 20,000명의 아바자어 화자가 거주하는 것으로 추산된다.[15]4. 음운
아바자어는 다른 북서 코카서스어족 언어들처럼 많은 수의 자음과 매우 적은 수의 모음을 가진 음운 체계를 특징으로 한다. 자음 음소는 약 63개에 달하는 반면[8][9], 모음 음소는 기본적으로 광모음 /a/와 협모음 /ə/ 단 2개뿐이다.[18] 이는 교착어적인 형태론과 함께 아바자어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이다.
계통적으로 압하스어와 매우 가깝지만, 압하스어에는 없는 유성 인두 마찰음 /ʕ/과 같은 고유한 자음을 일부 가지고 있다.[8][9] 자음은 유성음, 무성음, 방출음의 대립과 함께 구개음화, 순음화 등의 이차 조음이 활발하게 나타난다.
두 기본 모음 /a/와 /ə/는 주변 자음의 구개음화나 순음화 여부에 따라 전설 모음 계열인 [e], [i]나 후설 모음 계열인 [o], [u]와 같은 다양한 이음으로 실현된다. 예를 들어, 구개음화된 자음 앞에서는 /a/가 [e]로, /ə/가 [i]로 소리 나며, 순음화된 자음 앞에서는 /a/가 [o]로, /ə/가 [u]로 소리 나는 경향이 있다.
아바자어 음운 연구에는 W. Sidney Allen|W.S. 앨런eng, Brian O'Herin|브라이언 오헤린eng, 존 코랄루소 등이 기여했다.
4. 1. 자음
아바자어의 자음은 압하스어와 대체로 유사하다.[8][9] 타판타 방언에서는 고유 음소가 59개 있으며(외래어에서 유래한 음소를 포함하면 63~65개), 유성, 무성, 방출, 구개음화, 순음화, 평음의 구별이 있다.rowspan="2" colspan="2" | | 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성문음 | |||||||||
---|---|---|---|---|---|---|---|---|---|---|---|---|---|---|---|---|
평음 | 파찰 | 평음 | 구개음화 | 순음화 | 평음 | 구개음화 | 순음화 | 평음 | 구개음화 | 순음화 | 평음 | 순음화 | ||||
비음 | m | n | ||||||||||||||
파열음/ | 무성음 | p | t | t͡s | t̠͡ʃ | t͡ɕ | t̠͡ʃʷ | k | kʲ | kʷ | q | qʷ | ʔ | |||
방출음 | pʼ | tʼ | t͡sʼ | t̠͡ʃʼ | t͡ɕʼ | t̠͡ʃʷʼ | kʼ | kʲʼ | kʷʼ | qʼ | qʲʼ | qʷʼ | ||||
유성음 | b | d | d͡z | d̠͡ʒ | d͡ʑ | d̠͡ʒʷ | ɡ | ɡʲ | ɡʷ | |||||||
마찰음 | 무성음 | f | ɬ | s | ʃ | ɕ | ʃʷ | x | xʲ | xʷ | ħ | ħʷ | ||||
방출음 | fʼ | ɬʼ | ||||||||||||||
유성음 | v | ɮ | z | ʒ | ʑ | ʒʷ | ɣ | ɣʲ | ɣʷ | ʕ | ʕʷ | |||||
접근음 | l | j | w | |||||||||||||
전동음 | r |
타판타 방언에서는 무성 인두 마찰음에 대해 유성 인두 마찰음의 대립이 존재하기 때문에, 아브하즈어와는 달리 장모음 /aa/와 단모음 /a/는 구별되지 않는다. 아래 표에서 * 표시는 외래어에서 나타나는 비고유 음소이다.[18]
rowspan=2 colspan=2 | | 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치경구개음 | 권설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성문음 | ||||||||||||
---|---|---|---|---|---|---|---|---|---|---|---|---|---|---|---|---|---|---|---|---|---|
평음 | 순음 | 측음 | 평음 | 순음 | 평음 | 순음 | 평음 | 순음 | 구개 | 평음 | 순음 | 구개 | 평음 | 순음 | 인두 | 인두+경음 | 평음 | 순음 | |||
비음 | m | n | ʔ* | ||||||||||||||||||
파열음 | 무성음 | p | t | kʲ | k | kʷ | qˤ | qʷˤ | |||||||||||||
유성음 | b | d | ɡʲ | ɡ | ɡʷ | ||||||||||||||||
방출음 | pʼ | tʼ | kʲʼ | kʼ | kʷʼ | qʲʼ | qʼ | qʷʼ | |||||||||||||
파찰음 | 무성음 | t͡s | t͡ʃ | t͡ʃʷ | ʈ͡ʂ | ||||||||||||||||
유성음 | d͡z | d͡ʒ | d͡ʒʷ | ɖ͡ʐ | |||||||||||||||||
방출음 | t͡sʼ | t͡ʃʼ | t͡ʃʷʼ | ʈ͡ʂʼ | |||||||||||||||||
마찰음 | 무성음 | f | s | ɬ* | ʃ | ʃʷ | ʂ | x* | xʷ* | χʲ | χ | χʷ | ħ | ħʷ | |||||||
유성음 | v | z | ɮ* | ʒ | ʒʷ | ʐ | ʁʲ | ʁ | ʁʷ | ʕ | ʕʷ | ||||||||||
방출음 | fʼ | ɬʼ* | |||||||||||||||||||
접근음 | l | j | w | ||||||||||||||||||
전동음 | r |
- 후치경음은 순음화 시에 치경구개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둘 다 발음되는 일은 없다.[18]
- 비방출 무성 구개수음 /q/, /qʷ/는 인두화되어 [qˤ], [qʷˤ]로 발음된다.[18]
- 러시아어, 아디게어, 카바르드어 등에서 유래한 외래어에서는 /χ/, /χʷ/가 아닌 /x/, /xʷ/로 발음된다.
- * /x/, /xʷ/는 정서법상 /χ/, /χʷ/와 구별되지 않는다.
- /ɬ/, /ɮ/, /ɬʼ/, /ʔ/는 아디게어, 카바르드어에서 유래한 외래어에서 나타난다.
슈카라와 방언에서는 타판타 방언의 유성 인두 마찰음 /ʕ/이 화자에 따라 유성 성문 마찰음 /ɦ/[18]이 되거나, 장모음 /aa/이 된다[15]. 아래 표에서 * 표시는 외래어에서 나타나는 비고유 음소이다.
rowspan=2 colspan=2 | | 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치경구개음 | 권설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성문음 | ||||||||||||
---|---|---|---|---|---|---|---|---|---|---|---|---|---|---|---|---|---|---|---|---|---|
평음 | 순음 | 측면 | 평음 | 순음 | 평음 | 순음 | 구개 | 평음 | 순음 | 구개 | 평음 | 순음 | 인두 | 인두+경음 | 평음 | 순음 | |||||
비음 | m | n | ʔ* | ||||||||||||||||||
파열음 | 무성음 | p | t | tʷ | kʲ | k | kʷ | qˤ | qʷˤ | ||||||||||||
유성음 | b | d | dʷ | ɡʲ | ɡ | ɡʷ | |||||||||||||||
방출음 | pʼ | tʼ | tʷʼ | kʲʼ | kʼ | kʷʼ | qʲʼ | qʼ | qʷʼ | ||||||||||||
파찰음 | 무성음 | t͡s | t͡ʃ | t͡ɕʷ | ʈ͡ʂ | ||||||||||||||||
유성음 | d͡z | d͡ʒ | d͡ʑʷ | ɖ͡ʐ | |||||||||||||||||
방출음 | t͡sʼ | t͡ʃʼ | t͡ɕʷʼ | ʈ͡ʂʼ | |||||||||||||||||
마찰음 | 무성음 | f | s | ɬ* | ʃ | ʃʷ | ɕʷ | ʂ | x* | xʷ* | χʲ | χ | χʷ | ħ | ħʷ | ||||||
유성음 | v | z | ɮ* | ʒ | ʒʷ | ʑʷ | ʐ | ʁʲ | ʁ | ʁʷ | ʕʷ | ɦ | |||||||||
방출음 | fʼ | ɬʼ* | |||||||||||||||||||
접근음 | l | j | w | ||||||||||||||||||
전동음 | r |
4. 2. 모음
아바자어는 북서 코카서스어족 언어들의 특징 중 하나로, 매우 적은 수의 모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 기본 모음 음소는 광모음 /a/와 협모음 /ə/ 단 2개뿐이다.[18]이 두 모음은 주변 자음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이음으로 실현된다.
- 구개음화된 자음 앞에서는 /a/가 전설 중고모음 [e]로, /ə/가 전설 고모음 [i]로 소리 난다.
- 순음화된 자음 앞에서는 /a/가 후설 중고모음 [o]로, /ə/가 후설 고모음 [u]로 소리 난다.
따라서 [e], [i], [o], [u]는 독립적인 음소가 아니라 각각 /a/와 /ə/의 변이음이다. 또한, 이 모음들은 특정 음소 배열의 결과로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e], [o], [i], [u]는 각각 음소열 /aj/, /aw/, /əj/, /əw/의 변형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모음 [o, a, u] 앞에는 반모음 /j/가 올 수 있다.
아바자어의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괄호 안은 이음을 나타낸다.
5. 문자
1938년 이후, 아바자어는 다음의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정서법을 사용하고 있다.[19]
А а | Б б | В в | Г г | Гв гв | Гъ гъ | Гъв гъв | Гъь гъь |
Гь гь | ГӀ гӀ | ГӀв гӀв | Д д | Дж дж | Джв джв | Джь джь | Дз дз |
Е е | Ё ё | Ж ж | Жв жв | Жь жь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Кв кв | Къ къ | Къв къв | Къь къь | Кь кь | КӀ кӀ | КӀв кӀв |
КӀь кӀь | Л л | Ль ль | ЛӀ лӀ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ПӀ пӀ | Р р | С с | Т т | Тл тл | Тш тш | ТӀ тӀ | У у |
Ф ф | ФӀ фӀ | Х х | Хв хв | Хъ хъ | Хъв хъв | Хь хь | ХӀ хӀ |
ХӀв хӀв | Ц ц | ЦӀ цӀ | Ч ч | Чв чв | ЧӀ чӀ | ЧӀв чӀв | Ш ш |
Шв шв | ШӀ шӀ | Щ щ | Ъ ъ | Ы ы | Э э | Ю ю | Я я |
6. 방언
아바자어는 크게 두 가지 주요 방언으로 나뉜다. 하나는 14~15세기경 아바자인에서 분화된 타판타 방언(ТӀапӀантаabq)이고, 다른 하나는 17세기경 아바즈인에서 분화된 슈카라와 방언(Щхъарауаabq)이다.
언어학적으로 슈카라와 방언은 압하스어의 아슈하르와 방언(Ашьхаруаabk)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6. 1. 타판타 방언 (ТӀапӀанта)
14~15세기에 아바자인에서 분화된 방언이다. ТӀапӀанта|타판타abq라고 불린다.타판타 방언은 다음과 같은 하위 방언으로 나뉜다.
- 표준 타판타 방언 (문어)
- 두달코-비발도 방언
- 로-쿠반 방언
- 쿰-로 방언
타판타 방언은 무성 인두 마찰음과 유성 인두 마찰음의 대립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압하스어와는 달리 장모음과 단모음은 구별되지 않는다.
rowspan=2 colspan=2 | | 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치경구개음 | 권설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성문음 | ||||||||||||
---|---|---|---|---|---|---|---|---|---|---|---|---|---|---|---|---|---|---|---|---|---|
평음 | 순음 | 측음 | 평음 | 순음 | 평음 | 순음 | 평음 | 순음 | 구개 | 평음 | 순음 | 구개 | 평음 | 순음 | 인두 | 인두+경음 | 평음 | 순음 | |||
비음 | m | n | ʔ | ||||||||||||||||||
파열음 | 무성음 | p | t | kʲ | k | kʷ | qˤ | qʷˤ | |||||||||||||
유성음 | b | d | ɡʲ | ɡ | ɡʷ | ||||||||||||||||
방출음 | pʼ | tʼ | kʲʼ | kʼ | kʷʼ | qʲʼ | qʼ | qʷʼ | |||||||||||||
파찰음 | 무성음 | t͡s | t͡ʃ | t͡ʃʷ | ʈ͡ʂ | ||||||||||||||||
유성음 | d͡z | d͡ʒ | d͡ʒʷ | ɖ͡ʐ | |||||||||||||||||
방출음 | t͡sʼ | t͡ʃʼ | t͡ʃʷʼ | ʈ͡ʂʼ | |||||||||||||||||
마찰음 | 무성음 | f | s | ɬ | ʃ | ʃʷ | ʂ | x | xʷ | χʲ | χ | χʷ | ħ | ħʷ | |||||||
유성음 | v | z | ɮ | ʒ | ʒʷ | ʐ | ʁʲ | ʁ | ʁʷ | ʕ | ʕʷ | ||||||||||
방출음 | fʼ | ɬʼ | |||||||||||||||||||
접근음 | l | j | w | ||||||||||||||||||
전동음 | r |
- 후치경음은 순음화될 때 치경구개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으나, 두 가지 발음이 동시에 나타나지는 않는다.[18]
- 비방출 무성 구개수음 q와 qʷ는 인두화되어 발음된다.[18]
- 러시아어, 아디게어, 카바르드어 등에서 들어온 외래어에서는 χ와 χʷ 대신 x와 xʷ로 발음되기도 한다. 하지만 정서법상으로는 이 둘을 구별하지 않는다.
- ɬ, ɮ, ɬʼ, ʔ는 아디게어나 카바르드어에서 유래한 외래어에서 나타난다.
6. 2. 슈카라와 방언 (Щхъарауа)
17세기경 아바즈인에서 분화된 아바자인에 의해 형성된 방언이다. 언어학적으로는 압하스어 아슈하르와 방언(Ашьхаруаabk)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다.슈카라와 방언은 다음과 같은 하위 방언으로 나뉜다.
- 쿠빈 방언: 주로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의 노보-쿠빈스크(ru:Ново-Кувинск)와 스타로-쿠빈스크(ru:Старо-Кувинск)에서 사용된다.
- 압수아 방언: 주로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의 압수아(ru:Апсуа)에서 사용된다.
슈카라와 방언에서는 타판타 방언의 유성 인두 마찰음 ʕ이 화자에 따라 유성 성문 마찰음 ɦ[18]이 되거나, 장모음 aa이 된다[15].
rowspan=2 colspan=2 | | 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치경구개음 | 권설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성문음 | ||||||||||||
---|---|---|---|---|---|---|---|---|---|---|---|---|---|---|---|---|---|---|---|---|---|
평음 | 순음 | 측면 | 평음 | 순음 | 평음 | 순음 | 구개 | 평음 | 순음 | 구개 | 평음 | 순음 | 인두 | 인두+경음 | 평음 | 순음 | |||||
비음 | m | n | ʔ | ||||||||||||||||||
파열음 | 무성음 | p | t | tʷ | kʲ | k | kʷ | qˤ | qʷˤ | ||||||||||||
유성음 | b | d | dʷ | ɡʲ | ɡ | ɡʷ | |||||||||||||||
방출음 | pʼ | tʼ | tʷʼ | kʲʼ | kʼ | kʷʼ | qʲʼ | qʼ | qʷʼ | ||||||||||||
파찰음 | 무성음 | t͡s | t͡ʃ | t͡ɕʷ | ʈ͡ʂ | ||||||||||||||||
유성음 | d͡z | d͡ʒ | d͡ʑʷ | ɖ͡ʐ | |||||||||||||||||
방출음 | t͡sʼ | t͡ʃʼ | t͡ɕʷʼ | ʈ͡ʂʼ | |||||||||||||||||
마찰음 | 무성음 | f | s | ɬ | ʃ | ʃʷ | ɕʷ | ʂ | x | xʷ | χʲ | χ | χʷ | ħ | ħʷ | ||||||
유성음 | v | z | ɮ | ʒ | ʒʷ | ʑʷ | ʐ | ʁʲ | ʁ | ʁʷ | ʕʷ | ɦ | |||||||||
방출음 | fʼ | ɬʼ | |||||||||||||||||||
접근음 | l | j | w | ||||||||||||||||||
전동음 | r |
7. 연구자
아바자어 연구를 진행한 학자로는 W. Sidney Allen|W.S. 앨런eng, Brian O'Herin|브라이언 오헤린eng, 존 코랄루소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baza in Russian Federation
https://en.wal.unesc[...]
2024-06-22
[2]
간행물
The Structure and System in the Abaza Verbal Complex
[3]
웹사이트
The Red Book of the Peoples of the Russian Empire
https://www.eki.ee/b[...]
2017-02-10
[4]
서적
A Typology of Causatives: Form, Syntax, and Mea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백과사전
Abkhaz
https://archive.org/[...]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6]
서적
Islamic Peoples Of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7]
웹사이트
Abaza in Russia
https://joshuaprojec[...]
[8]
문서
A North Caucasian Etymological Dictionary: Preface, pp. 194-196
http://starling.rine[...]
[9]
문서
Consonant Systems of the North-West Caucasian Languages (TITUS DIDACTICA)
http://titus.fkidg1.[...]
[10]
문서
Abaza (Place Names Database, Institute of the Estonian Language)
https://eki.ee/knab/[...]
[11]
문서
Abaza alphabet, pronunciation and language (Omniglot)
http://omniglot.com/[...]
[12]
서적
Абазинский алфавит и орфография на русской графической основе
Чернациздательство
[13]
웹사이트
Abaza (абаза бызшва)
https://www.omniglot[...]
[14]
Ethnologue
[15]
문서
Common west caucasian.
[16]
서적
Abkhaz. Lincom Europe.
[17]
문서
Абазинский язык"
[18]
문서
The Northwest Caucasian Languages: a phonological servey
[19]
문서
TITUS Consonant Systems of the North-West Caucasian Languages
http://titus.fkidg1.[...]
[20]
문서
Abaza (Place Names Database, Institute of the Estonian Language)
https://eki.ee/knab/[...]
[21]
문서
Abaza alphabet, pronunciation and language (Omniglot)
http://omniglot.com/[...]
[22]
서적
Абазинский алфавит и орфография на русской графической основе
Чернациздательств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