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스의 미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 미술은 선사 시대의 에게해 미술을 거쳐 고대 그리스 미술, 비잔틴 미술, 근현대 미술로 발전해 왔다. 고대 그리스 미술은 기하학 양식, 아르카이크 시대, 고전기, 헬레니즘 시대로 구분되며, 조각과 건축 분야에서 특히 두드러진 영향을 미쳤다. 비잔틴 미술은 고대 그리스 미술을 계승하여 기독교적 주제를 다루며 동유럽 미술에 영향을 주었다. 근현대 그리스 미술은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아 자국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했으며, 뮌헨 학파의 영향을 받은 예술가들이 활동했다. 그리스에는 다양한 시대의 미술품을 소장한 아크로폴리스 박물관, 국립 고고학 박물관 (아테네) 등 여러 미술관 및 박물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미술 - 오스트레일리아의 미술
    오스트레일리아의 미술은 유럽인들의 도래 이후 자연사 삽화, 식민지 시대 풍경화, 골드 러시 반영, 호주 인상주의, 원주민 미술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하이델베르크 화파와 원주민 미술이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고, 현대에는 환경 문제와 사회적 가치를 반영하며, 아트 페어와 중국 컬렉터들의 등장으로 미술 시장이 변화하고 있다.
  • 나라별 미술 - 동남아시아의 미술
    동남아시아의 미술은 다양한 국가의 역사, 문화, 종교적 배경을 반영하여 독특하게 발전했으며, 힌두교, 불교의 영향, 서구 미술 유입, 정치적 검열 등 외부 요인과 전통 및 현대적 표현의 융합, 자국 정체성 탐구, 국제 미술계 교류를 통해 변화하고 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그리스의 미술
그리스 미술
역사
그리스 청동기 시대 미술에게 미술
키클라데스 미술
미노아 미술
미노아 도기
미케네 미술
미케네 도기
프로토게오메트릭 미술
고대 그리스 미술기하학 양식 미술
고졸기 그리스 미술
고대 그리스 미술
고대 그리스 건축
고대 그리스 도예
고대 그리스 조각
헬레니즘 미술
같이 보기: 간다라 미술
중세 그리스 미술비잔틴 미술
비잔틴 성상 파괴 운동
마케도니아 미술
후기 비잔틴 그리스 미술크레타 학파
헵타네세 학파
근대 그리스 미술근대 그리스 미술
근대 그리스 건축
뮌헨 학파
현대 그리스 미술

2. 고대 그리스 미술

그리스 미술은 선사시대의 크레타·미케네 미술과 비교해 미적 감각과 양식 면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에게해 미술은 회화적이고 공예적이어서 기념비적인 조각이 거의 없지만, 그리스 미술은 조소적(彫塑的)이며 간소하고 장중하다. 원시시대 그리스 조각은 제물 숭배를 거쳐 점차 조각 본연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초기에는 크소아논이라 불리는 나무 조각상이 신상으로 사용되었으나, 이후 석상과 대형 조각으로 발전하였다.

조각은 주로 종교적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신전 본당의 신상, 성지의 신과 영웅상, 봉납상, 신전 장식 조각, 묘지의 사자(死者) 상, 묘비 부조 등이 대표적이다. 비종교적인 상으로는 봉납자 자신의 상, 운동 경기 승리자 상, 저명한 인물 상 등이 있지만, 이들 역시 대부분 신에게 바쳐진 것으로 종교적 목적과 관련이 깊다.

고대 그리스 미술은 기하학 양식, 아르카이크, 고전기, 헬레니즘 시대로 구분되며,[1] 각 시대별 뚜렷한 양식적 특징을 지닌다. 기원전 10세기에서 9세기에 걸쳐 성립된 그리스 폴리스는 기원전 7세기부터 6세기에 걸쳐 발전, 지중해 주변에 식민지를 건설했다. 이 시기 이집트오리엔트의 영향을 받아 대리석 기념물 제작 방식이 도입되었다. 페르시아 전쟁 승리 후 아테네는 고전기에 돌입, 이상미를 추구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 원정으로 시작된 헬레니즘 시대에는 그리스와 오리엔트 문화가 융합, 감정 표현이 격정적으로 변화했으며, 이는 로마에 계승되었다.

펠라 고고학 박물관의 사슴 사냥 모자이크(기원전 3세기)


그리스 미술은 키클라데스 문명미노스 문명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들은 지역 전통과 고대 이집트 미술의 영향을 받았다.

시프노스인의 보물고 장식 (델포이 고고학 박물관 소장)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미술을 "숙련된 통찰력과 직관을 활용한 미적인 흐름"으로 정의했다. 절대적인 미의 기준은 감상자에게 얼마나 감동을 주는가에 있었기에, 그리스 예술 작품은 완벽한 아름다움을 갖춘 신들의 모습을 한 조각이 많았다. 이는 기원전 11세기경 이집트 문명의 영향을 받아 탄생했으며, 서양 회화의 기원으로 여겨진다.[7]

고대 그리스 미술은 로마 미술오리엔트 미술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동시에 오리엔트 미술의 영향도 받았다.

2. 1. 기하학 양식

기원전 10세기 말 고대 그리스에서 사람이나 동물을 기하학적 모형으로 표현하는 양식이 나타났으며, 이 양식은 기원전 8세기까지 유행하였다.[1]

2. 2. 아르카이크 시대

기원전 8세기부터 기원전 480년경까지 이집트오리엔트의 영향을 받아 대리석 기념물 조각이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는 이집트의 영향을 받은 쿠로스(Kouros)와 코레(Kore) 조각상이 대표적이다.[8] 초기 조각에는 독특한 미소를 띠고 양손을 허벅지에 댄, 거의 좌우대칭적인 직립 자세(쿠로이소스의 쿠로스상 등)가 나타나는데, 이는 이집트 파라오상의 영향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8]

2. 3. 고전기

기원전 5세기 중엽부터 기원전 323년까지의 시기로, 페르시아 전쟁에서 승리한 후 아테네를 중심으로 이상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조각과 건축이 발전했다.[1] 조각자연주의적이고 이상적인 인체 미를 추구하며, 동작이 풍부하고 비대칭적이며 사실적인 형태로 발전하였다.[8]

2. 4. 헬레니즘 시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 원정으로 그리스 문화와 오리엔트 문화가 융합되면서 헬레니즘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는 격정, 흥분등의 감정이 격동적으로 표현되었으며, 이러한 헬레니즘적 특성은 로마에까지 계승되었다.[1]

조각에서는 격렬한 움직임의 구도와 감정 표현이 더해졌다.[8]

3. 그리스 건축

그리스 건축의 대부분은 신전이 차지하고 있으며, 그리스 건축의 아름다움과 특색은 특히 신전에 잘 나타나 있다. 그리스 신전의 가장 오래된 형식은 미케네 시대의 주택인 메가론에서 유래되었다. 기독교 교회당은 시대에 따라 다양한 양식이 정면과 내부에 관련되어 발전하고 내부 장식이 중요했지만, 그리스 신전은 신상을 안치하고 봉납된 보물을 저장하는 곳으로, 신자들이 모여 제식을 행하는 장소가 아니었기 때문에 주로 외부 형성에 중점을 두었다.

처음에는 전체 비례나 각 부분의 형식이 달랐지만, 기원전 6세기에 처음으로 엄격하고 때로는 수학적으로 정확한 건축 방식이 만들어졌다. 그리스 신전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건축 구조상 기둥과 그 위에 얹히는 수평 부재인 엔타블러처이며, 주범 양식은 각 부분의 비율이나 형태 차이에 따라 도리아식, 이오니아식, 코린트식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1]

4. 비잔틴 미술

비잔틴 미술은 5세기경부터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까지 동로마 제국을 위해 만들어진 용어이다. (이 시기의 로마 제국은 일반적으로 비잔틴 제국으로 알려져 있다.)[2]

이 용어는 불가리아, 러시아, 베네치아와 같이 비잔틴 제국과 동시대에 존재하며 비잔틴 제국과 공통된 문화를 공유했지만 실제로는 제국의 일부가 아니었던 국가들의 미술에도 사용될 수 있다. 베네치아는 다른 면에서는 서유럽 문화의 일부였음에도 불구하고 비잔틴 제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또한 1453년 이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은 구 비잔틴 제국 사람들의 미술에도 사용될 수 있다. 어떤 면에서 비잔틴 예술 전통은 오늘날까지 러시아와 다른 동방 정교회 국가에서 계속 이어지고 있다.[2]

비잔틴 미술은 고대 그리스 미술에서 발전했으며, 적어도 1453년 이전에는 고전 유산을 잃지 않았지만 여러 면에서 구별되었다. 가장 큰 특징은 고대 그리스 미술의 인문주의적 윤리가 기독교적 윤리로 대체되었다는 것이다. 고전 미술의 목적이 인간의 찬미였다면, 비잔틴 미술의 목적은 신의 찬미였다.

누드 대신, 하느님, 예수 그리스도, 성모 마리아, 기독교 전통의 성인과 순교자들의 형상이 숭배되었고 비잔틴 미술의 지배적이고 거의 독점적인 초점이 되었다. 비잔틴 미술의 가장 중요한 형태 중 하나는 이콘이다.[3]

중세 시대에 들어서면서 고대 그리스 문명이 번성했던 지역은 동로마 제국 (비잔틴 제국)의 영토가 되었고, 고대 그리스 미술에 정교회와 오리엔트의 영향을 받은 비잔틴 미술이 발전했다. 모자이크, 비잔틴 건축이콘 등은 동유럽의 정교회, 서유럽의 미술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8세기의 우상 금지령 이후, 이콘은 추상화가 진행되었지만, 비잔틴 제국 쇠퇴 후에는 프레스코화가 주류가 되었다.

5. 근현대 그리스 미술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그리스 왕국의 현대 그리스 미술은 낭만주의 시기에 발전하기 시작했다. 그리스 예술가들은 유럽, 특히 뮌헨의 예술 사조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지만, 혁명 정신과 그리스의 역사 및 지리적 특성을 반영하여 독자적인 그리스 낭만주의 미술을 발전시켰다.[5] 수 세기 동안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던 그리스에서는 예술 교육의 기회가 부족했기 때문에, 예술가들은 해외 유학을 통해 지식을 습득해야 했다. 뮌헨은 당시 예술의 중심지였으며, 19세기 그리스 예술가들이 주로 선택한 유학 장소였다. 그들은 뮌헨에서 배운 지식을 그리스로 돌아와 전파했고, 이는 그리스 "뮌헨 학파"의 탄생으로 이어졌다.[5]

니콜라오스 기지스는 뮌헨 아카데미의 중요한 교사이자 예술가였으며, 그리스 예술가들 사이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뮌헨 학파 예술가들은 주로 평범한 그리스의 삶, 지역 풍습, 생활 환경 등을 주제로 삼았다. 테오도로스 브리자키스는 그리스 독립 전쟁과 같은 역사적인 사건을 주로 그렸으며, 니키포로스 리트라스는 그리스의 현실적인 모습에 주목했다. 게오르기오스 야코비데스는 유아와 어린이를 소재로 한 그림을 그렸고, 훗날 아테네 국립 미술관의 초대 관장이 되었다. 게오르기오스 로일로스는 초기 경력에서 뮌헨 학파와 긴밀하게 연결된 또 다른 주요 화가였다. 콘스탄티노스 볼라나키스는 주로 그리스의 바다에서 영감을 얻어 작품을 창작했다.[5]

니콜라오스 기지스의 ''Ηistoria'' (역사의 알레고리) (1892)


이 시기에는 테오도르 랄리, 이오안니스 알타무라스, 민속 화가 테오필로스 하치미카일과 같은 화가들도 활동했다. 조각 분야에서는 레오니다스 드로시스가 아테네 아카데미의 신고전주의 건축 장식을 제작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라자로스 소코스, 게오르기오스 비탈리스, 디미트리오스 필리포티스, 이오안니스 코소스, 야눌리스 찰레파스, 게오르기오스 보나노스, 라자로스 피탈리스도 주목할 만한 조각가들이다.

아테나 기둥, 레오니다스 드로시스의 작품, 아테네 아카데미 (현대) 앞

6. 주요 미술관 및 박물관

그리스에는 고대 유물부터 현대 미술 작품까지 다양한 미술품을 소장한 미술관과 박물관이 많이 있다. 주요 미술관 및 박물관은 다음과 같다.


  • 아크로폴리스 박물관
  • 국립 고고학 박물관 (아테네)
  • 국립 미술관 (아테네)
  • 비잔틴 및 기독교 박물관
  • 국립 현대 미술관 (아테네)
  • 베나키 박물관
  • 굴란드리 고대 키클라데 미술관
  • 아탈로스의 스토아
  • 아테네 화폐 박물관
  • 피레우스 고고학 박물관
  • 테살로니키 고고학 박물관
  • 비잔틴 문화 박물관
  • 이라클리온 고고학 박물관
  • 하니아 고고학 박물관
  • 아기아 트리아다 수도원
  • 코르푸 고고학 박물관
  • 안티부니오티사 비잔틴 박물관
  • 파트라 고고학 박물관
  • 볼로스 고고학 박물관
  • 디온 고고학 박물관
  • 암피폴리스 고고학 박물관
  • 펠라 고고학 박물관
  • 베로이아 고고학 박물관
  • 타소스 고고학 박물관
  • 델로스 고고학 박물관
  • 로도스 고고학 박물관
  • 에피다우로스 고고학 박물관
  • 올림피아 고고학 박물관
  • 델포이 고고학 박물관
  • 키오스 네아 모니 수도원
  • 플로리나 현대 미술관

참조

[1] 서적 Greece: From Mycenae to the Parthenon Taschen 2004
[2] 간행물 The art of the Byzantine Empire, 312-1453: sources and documents Inglewood Cliffs 1972
[3] 웹사이트 Theodoros Stamos http://www.toomey-to[...] Toomey-tourell.com 2021-03-08
[4] 웹사이트 archive.gr - Διαδρομές στην Νεοελληνική Τέχνη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6] 서적 角川 世界史辞典 角川書店
[7] 서적 ビジュアル版 一冊でつかむ西洋絵画 株式会社河出書房新社 2023-09-20
[8] 서적 ビジュアル版 一冊でつかむ西洋絵画 株式会社河出書房新社 2023-09-20
[9] 서적 ビジュアル版 一冊でつかむ西洋絵画 株式会社河出書房新社 2023-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