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윤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윤규는 경상북도 안동 출신의 소설가로, 와세다 대학교 국문과를 중퇴하고 일본으로 귀화하여 요네모토 마사아키(米本正秋)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니와 후미오가 주최하는 "문학자"에 참여하여 소설을 쓰기 시작했으며, 아쿠타가와상과 나오키상 후보에 여러 차례 오르내리며 "순수 문학과 대중 문학의 쌍칼쓰기"라는 평을 받았다. 1966년 나오키상을 수상했으며, 1980년 식도암으로 사망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만하 혹은 이별의 노래」, 「마키노」, 「흰 양귀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오키상 수상자 - 가네시로 가즈키
    가네시로 가즈키는 조선학교 출신으로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일본의 소설가이자 각본가이며, 자전적 소설 《GO》로 나오키상을 수상하고 영화화된 작품을 통해 이름을 알렸다.
  • 나오키상 수상자 - 노사카 아키유키
    노사카 아키유키는 1930년에 태어나 소설 《반딧불의 묘》로 나오키상을 수상하고, 작사가, 평론가,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일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친 일본의 작가이다.
  • 식도암으로 죽은 사람 - 크리스토퍼 히친스
    영국 태생의 저널리스트, 작가이자 사회 비평가였던 크리스토퍼 히친스는 무신론자로서 헨리 키신저, 마더 테레사, 조직화된 종교 등에 대한 비판, 좌파적 신념에서 자유주의적 입장으로의 전환, 《신은 위대하지 않다》를 비롯한 저서, 그리고 "새로운 무신론" 운동의 주요 인물로 평가받는 등 미국과 영국 언론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식도암으로 죽은 사람 - 에드 윈
    에드 윈은 독특한 코미디 스타일로 브로드웨이, 라디오, 영화, 텔레비전에서 활약하며 큰 인기를 얻은 미국의 배우, 코미디언, 작가, 연출가, 제작가이다.
  • 안동시 출신 - 박경철
    박경철은 '시골의사'라는 필명으로 알려진 대한민국의 의사이자 작가, 투자 전문가, 방송인으로, 안동신세계연합클리닉 원장이며 경제, 사회 문제에 대한 소신 발언과 강연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 안동시 출신 - 권정달
    권정달은 육군 출신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제5공화국에서 활동하며 국회의원을 지냈고, 김영삼 정부 이후에도 정계 활동을 이어갔으며, 한국자유총연맹 총재를 역임했다.
김윤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문예춘추사 '별책문예춘추' 제96호 (1965)
본명김윤규
출생일1926년 1월 6일
출생지조선 경상북도 안동군
사망일1980년 8월 12일
사망 장소일본 도쿄 주오구 쓰키지
안장 장소즈이센지 (가마쿠라시 니카이도)
직업소설가, 수필가, 편집자
국적한국에서 일본으로 변경
모교와세다대학전문부 국문과 중퇴
언어일본어
작품
대표 작품『흰 양귀비』 (1965년)
『겨울 여행』 (1969년)
『남은 눈』 (1974년)
『겨울의 기념으로』 (1975년)
수상
수상 내역근대 문학상 (1961년)
나오키 산주고상 (1966년)

2. 생애

경상북도 안동군에서 태어났다. 와세다 대학교 국문과를 중퇴했다(입학시에는 법률학과). 아버지가 병으로 세상을 떠난 뒤, 어머니와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서 거기서 거주했으며, 1947년에는 일본으로 귀화하며 아내의 성을 따 '''요네모토 마사아키'''(요네모토 마사아키/米本正秋일본어)로 이름을 고쳤다. 1945년 와세다 대학 법학과에 입학했지만, 근로동원에 시달렸다.[3] 이듬해 소설가를 지망하여 국문과 수강생이 되었다.[3] 1948년에는 장남 시오(潮)가 태어남과 함께 혼인신고를 제출했다.[3]

니와 후미오 주최의 "문학자"로 참가해서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마키노/薪能일본어" "검가사키/剣ヶ崎일본어"가 아쿠타가와 상, "옻나무 꽃"(우루시노하나/漆の花일본어)이 나오키 상 후보로 뽑혔고 스스로를 "순수 문학과 대중 문학의 쌍칼쓰기"(純文学と大衆文学の両刀使い|준분가쿠토 다이슈분가쿠노 료토쓰카이일본어)라고 말하면서 유명한 작가가 되었다. 1966년, "시로이케시/白い罌粟일본어"으로 제55회 나오키상을 수상했다.

1951년 니와 후미오가 주재하는 『문학자』에 실린 「만하 혹은 이별의 노래(晩夏 或は別れの曲)」는 현존하는 최초의 작품이다.[3] 이때 사용한 필명 「타치하라 마사아키(立原正秋)」가 평생 사용하는 이름이 된다.[3] 1961년, 「8월의 오후와 네 개의 단편(八月の午後と四つの短編)」으로 제2회 근대문학상을 수상했다.[6] 1964년, 『신초』에 발표한 「마키노(薪能)」가 아쿠타가와상 후보가 되었다.[6] 같은 해 11월, 동인지 『사(犀)』를 1967년까지 간행한다.[6] 1965년에는 「검가사키(剣ヶ崎)」로 다시 아쿠타가와상 후보가 되고, 『별책 문예춘추(別冊文藝春秋)』 제93호에 발표한 「칠의 꽃(漆の花)」은 나오키상 후보가 되고, 제94호에 발표한 「흰 양귀비(白い罌粟)」로 다음 해 나오키상을 수상한다.[6]

그는 진지한 문학 작가로서의 명성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는 이유로 아쿠타가와상(Akutagawa Prize)을 두 번이나 거절하기도 했다.[2] 1968년부터 제7차 『와세다 문학』 편집장을 역임한다.[9] 같은 해, 첫 신문 연재 소설 「겨울 여행(冬の旅)」을 『요미우리 신문』에서 시작한다.[9] 1973년부터 『니혼게이자이 신문』에서 「남은 눈(残りの雪)」을 연재한다.[9] 같은 해, 29년 만에 한국을 방문한다.[9] 1976년, 『예술 신초(藝術新潮)』에 「일본의 정원(日本の庭)」연재.[9] 1977년, 『니혼게이자이 신문』에 「봄의 종(春の鐘)」을 연재한다.[9] 1979년, 『요미우리 신문』에서 「그 해 겨울(その年の冬)」의 연재를 시작하지만, 건강을 해친다.[9]

1980년 6월 필명인 '''다치하라 마사아키'''로 개명했다. 두 달 뒤인 8월에 식도암으로 사망했다. 1980년, 신작 소설 『귀로(帰路)』를 발표하지만, 4월 세이로카 국제병원에 입원한다.[4] 8월 12일, 국립암연구센터에서 식도암으로 사망한다.[10] 그의 묘는 가마쿠라의 즈이센지 사찰에 있다.[2] 고향인 한국의 봉정사에 돌아왔다는 설도 있다.[4]

2. 1. 유년 시절 (1926-1937)

김윤규는 1926년 1월 경상북도 안동군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김윤규(金胤奎)이며, 부모는 김경문(金敬文)과 권음전(權音傳)이었다.[3] 아버지 김경문은 조선 시대 귀족 출신 군인이었으나, 한국의 일본 병합 이후 임제종 봉정사의 승려가 되었다.[4] 김윤규는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에게 한문, 조선 불교사, 『벽암록』 등을 배웠다.[4]

1931년 5세 때 아버지가 사망하고,[3] 1935년 어머니가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스카시로 이주하면서 김윤규는 경상북도 구미군의 의사인 외삼촌 권태성(에가노 테츠히데)에게 맡겨졌다. 1937년 어머니의 재혼 상대인 노무라 다쓰조(野村辰三)의 집으로 들어가면서 노무라 신타로(野村震太郎)로 개명하고 이가사(衣笠)尋常高等小學校尋常科(5년)에 전학했다.[3]

1939년 요코스카 시립상업학교에 진학하여 문학과 불경에 심취했다. 1940년 창씨개명으로 가나이 마사아키(金井正秋)로 개명했다.[3] 1942년에는 훗날 아내가 되는 요네모토 미쓰요(米本光代)를 만났다. 와세다 대학교에 입학하여 처음에는 법학과에 다녔으나,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소설과 고바야시 히데오의 문예비평에 매료되어 문학과로 전과했다.

2. 2. 일본 이주와 성장 (1937-1945)

김윤규는 1926년 일제강점기 조선 경상북도 안동군에서 태어났다.[3][4] 아버지는 조선 시대 귀족 출신 군인이었으나, 한국 병합 이후 승려가 되었고 김윤규가 다섯 살 때 사망했다.[1][3] 아버지가 사망한 지 4년 후, 어머니와 함께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스카시로 이주했다.[1] 어머니가 일본인 남성과 재혼하면서 노무라 신타로(野村 震太郎)로 개명했고,[1] 1940년 창씨개명으로 가나이 마사아키(金井正秋)가 되었다.[3] 이후 일본인 여성과 결혼한 후에는 요네모토 마사아키(米本正秋)로 개명했다.[1]

와세다 대학교에 입학하여 처음에는 법학과에 다녔으나,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소설과 고바야시 히데오의 문예비평에 매료되어 문학과로 전과했다.[1] 니와 후미오가 주최한 "문학자"에 참가하여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1] 1947년 일본으로 귀화했다.[1] 그는 중세 일본 문화, 특히 노(能)극에 강한 매력을 느꼈다.[1]

2. 3. 소설가 시대 (1945-1980)

김윤규는 경상북도 안동군에서 태어났다. 와세다 대학교 국문과를 중퇴했다(입학시에는 법률학과). 아버지가 병으로 세상을 떠난 뒤, 어머니와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서 거기서 거주했으며, 1947년에는 일본으로 귀화하며 아내의 성을 따 '''요네모토 마사아키'''(요네모토 마사아키/米本正秋일본어)로 이름을 고쳤다. 1945년 와세다 대학 법학과에 입학했지만, 근로동원에 시달렸다.[3] 이듬해 소설가를 지망하여 국문과 수강생이 되었다.[3] 1948년에는 장남 시오(潮)가 태어남과 함께 혼인신고를 제출했다.[3]

니와 후미오 주최의 "문학자"로 참가해서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마키노/薪能일본어" "검가사키/剣ヶ崎일본어"가 아쿠타가와 상, "옻나무 꽃"(우루시노하나/漆の花일본어)이 나오키 상 후보로 뽑혔고 스스로를 "순수 문학과 대중 문학의 쌍칼쓰기"(純文学と大衆文学の両刀使い|준분가쿠토 다이슈분가쿠노 료토쓰카이일본어)라고 말하면서 유명한 작가가 되었다. 1966년, "시로이케시/白い罌粟일본어"으로 제55회 나오키상을 수상했다.

1951년 니와 후미오가 주재하는 『문학자』에 실린 「만하 혹은 이별의 노래(晩夏 或は別れの曲)」는 현존하는 최초의 작품이다.[3] 이때 사용한 필명 「타치하라 마사아키(立原正秋)」가 평생 사용하는 이름이 된다.[3] 1961년, 「8월의 오후와 네 개의 단편(八月の午後と四つの短編)」으로 제2회 근대문학상을 수상했다.[6] 1964년, 『신초』에 발표한 「마키노(薪能)」가 아쿠타가와상 후보가 되었다.[6] 같은 해 11월, 동인지 『사(犀)』를 1967년까지 간행한다.[6] 1965년에는 「검가사키(剣ヶ崎)」로 다시 아쿠타가와상 후보가 되고, 『별책 문예춘추(別冊文藝春秋)』 제93호에 발표한 「칠의 꽃(漆の花)」은 나오키상 후보가 되고, 제94호에 발표한 「흰 양귀비(白い罌粟)」로 다음 해 나오키상을 수상한다.[6]

그는 진지한 문학 작가로서의 명성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는 이유로 아쿠타가와상(Akutagawa Prize)을 두 번이나 거절하기도 했다.[2] 1968년부터 제7차 『와세다 문학』 편집장을 역임한다.[9] 같은 해, 첫 신문 연재 소설 「겨울 여행(冬の旅)」을 『요미우리 신문』에서 시작한다.[9] 1973년부터 『니혼게이자이 신문』에서 「남은 눈(残りの雪)」을 연재한다.[9] 같은 해, 29년 만에 한국을 방문한다.[9] 1976년, 『예술 신초(藝術新潮)』에 「일본의 정원(日本の庭)」연재.[9] 1977년, 『니혼게이자이 신문』에 「봄의 종(春の鐘)」을 연재한다.[9] 1979년, 『요미우리 신문』에서 「그 해 겨울(その年の冬)」의 연재를 시작하지만, 건강을 해친다.[9]

1980년 6월 필명인 '''다치하라 마사아키'''로 개명했다. 두 달 뒤인 8월에 식도암으로 사망했다. 1980년, 신작 소설 『귀로(帰路)』를 발표하지만, 4월 세이로카 국제병원에 입원한다.[4] 8월 12일, 국립암연구센터에서 식도암으로 사망한다.[10] 그의 묘는 가마쿠라의 즈이센지 사찰에 있다.[2] 고향인 한국의 봉정사에 돌아왔다는 설도 있다.[4]

3. 작품 세계

다치하라의 첫 번째 소설은 문예지 《문예연구회(Bungei kenkyūkai)》에 발표된 〈가을밀〉(Bakushū/麦秋일본어)이었다. 이 작품은 문예평론가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이는 그가 전문 작가가 되기로 결심하는 계기가 되었다.[2] 1958년에는 잡지 《군조(Gunzō)》에 〈타인의 자유〉(Tanin no jiyū/他人の自由일본어)를 발표했고, 이후 〈등불 노〉(Takigi nō/薪能일본어), 〈츠루기가사키〉(Tsurugigasaki/剱ヶ崎일본어), 〈칠꽃〉(Urushi no hana/漆の花일본어) 등을 발표했다.[2]

1965년 소설 〈흰 양귀비〉(Shiroi keshi/白い罌粟일본어)로 제55회 나오키상(Naoki Award)을 수상했다.[2] 그는 진지한 문학 작가로서의 명성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는 이유로 아쿠타가와상(Akutagawa Prize)을 두 번이나 거절했다.[2]

그의 책 중 하나인 〈바람과 돌〉(Wind and Stone)은 스티븐 W. 콜(Stephen W. Kohl)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다.

3. 1. 중세 일본 문학의 영향

3. 2. 한국과 일본, 두 문화의 교차점

3. 3. 대표작

다치하라 마사아키는 1957년 첫 소설 「가을밀」(Bakushū)을 문예지 「문예연구회」(Bungei kenkyūkai)에 발표하여 문예평론가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으며 작가로서의 길을 걷게 되었다.[2] 이후, 「군조」(Gunzō)에 「타인의 자유」(Tanin no jiyū)를 발표하고, 「등불 노」(Takigi nō), 「츠루기가사키」(Tsurugigasaki), 「칠꽃」(Urushi no hana) 등을 발표했다.[2]

1965년 소설 「흰 양귀비」(Shiroi keshi)로 제55회 나오키상을 수상했다.[2] 그는 진지한 문학 작가로서의 명성에 손상을 입을 수 있다는 이유로 아쿠타가와상을 두 번이나 거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그의 작품 중 「바람과 돌」(Wind and Stone)은 스티븐 W. 콜(Stephen W. Kohl)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다.

다치하라 마사아키의 주요 작품으로는 『薪能 立原正秋作品集』,『검가사키(剣ヶ崎)』,『연인들(恋人たち)』, 『칠꽃(漆の花)』,『아름다운 마을(美しい村)』, 『가마쿠라 부인(鎌倉夫人)』, 『해안 도로(海岸道路)』, 『꽃의 생명(花のいのち)』, 『츠지가하나(辻が花)』, 『장미 저택(薔薇屋敷)』, 『사랑의 둥지(恋の巣)』, 『타인의 자유(他人の自由)』, 『다치하라 마사아키 초기 작품집(立原正秋初期作品集)』, 『검과 꽃(剣と花)』, 『맞춰보는 거울(合わせ鏡)』, 『봄의 서두름(春のいそぎ)』, 『긴 오후(ながい午後)』, 『아름다운 성(美しい城)』, 『긴 밤(永い夜)』, 『여자의 방(女の部屋)』, 『마음의 고향을 가다(心のふるさとをゆく)』, 『꿈의 뒤(夢のあと)』, 『눈 속에서(雪のなか)』, 『겨울 여행(冬の旅)』, 『아다시노(あだし野)』, 『여름의 빛(夏の光)』, 『흰 양귀비(白い罌粟)』, 『작년 매화(去年の梅)』, 『산화초 다치하라 마사아키 작품집(散花抄 立原正秋作品集)』, 『황야(曠野)』, 『춤의 집(舞いの家)』, 『과수원으로 가는 길(果樹園への道)』, 『흐름 속에서(流れのさなかで)』, 『숨기면 꽃이다 수필(秘すれば花 随筆)』, 『다치하라 마사아키의 책(立原正秋の本)』, 『나기사도리(渚通り)』, 『누에실 마을(紬の里)』, 『피와 모래(血と砂)』, 『비탈길과 구름과 수필집(坂道と雲と 随筆集)』, 『남성 인생론(男性的人生論)』, 『키누타(きぬた)』, 『하마시기(はましぎ)』, 『사랑을 둘러싼 인생론(愛をめぐる人生論)』, 『꿈은 마른 들판을(夢は枯野を)』, 『유년 시대(幼年時代)』, 『남은 눈(残りの雪)』, 『풍경과 위안(風景と慰藉)』, 『겨울의 유품(冬のかたみに)』,[11] 『다치하라 마사아키 선집(立原正秋選集)』, 『몽환 속에서(夢幻のなか)』, 『어두운 봄(暗い春)』, 『봄의 병든 잎(春の病葉)』, 『죽음의 계절(死の季節)』, 『여행자(たびびと)』, 『여행 중 수필집(旅のなか 随筆集)』, 『일본 정원(日本の庭)』, 『봄의 종(春の鐘)』, 『빛과 바람 시집(光と風 詩集)』, 『눈 내리는 아침(雪の朝)』, 『묻힌 불(埋火)』, 『그 해 겨울(その年の冬)』, 『겨울꽃(冬の花)』, 『신초 현대 문학 61 다치하라 마사아키(新潮現代文学61 立原正秋)』, 『귀로(帰路)』, 『남성의 미학(男の美学)』, 『우스바 (空蝉)』, 『야부츠바키(やぶつばき)』 등이 있다.

사후, 『다치하라 마사아키 전집(立原正秋全集)』, 『다치하라 마사아키 전자 전집(立原正秋電子全集)』 등이 출간되었다.

4. 사후 평가 및 영향

김윤규는 사후에도 꾸준히 재평가되고 있으며, 그의 작품은 여러 전집과 연구서를 통해 널리 알려지고 있다.


  • 절벽 끝, 그리고 다른 이야기들. 스티븐 W. 콜 번역. Midwest Publishers, 1980. . 다음 단편 소설들을 포함하고 있다.
  • '''절벽 끝''' (원제: 쓰루기가사키/剣ヶ崎일본어)
  • '''궁수''' (원제: 야부사메/流鏑馬일본어)
  • '''횃불 노''' (원제: 다키기노/薪能일본어)
  • '''바람과 돌'''. 스티븐 W. 콜 번역. Stone Bridge Press, 1992. (원제: 유메와 가레노오/夢は枯野を일본어)
  • 『계간 쇼난 문학 특집 1=타치하라 마사아키의 쇼난』 제2권 제3호/통권 제8호, (가마쿠라 슌슈샤, 1994년)
  • 『태양 특집=타치하라 마사아키』(월간 제425호), 평범사, 1996년 8월호

4. 1. 전집 및 연구


  • 절벽 끝, 그리고 다른 이야기들. 스티븐 W. 콜 번역. Midwest Publishers, 1980. ISBN 9780936208008. 다음 단편 소설들을 포함하고 있음:
  • * '''절벽 끝''' (원제: 쓰루기가사키/剣ヶ崎일본어)
  • * '''궁수''' (원제: 야부사메/流鏑馬일본어)
  • * '''횃불 노''' (원제: 다키기노/薪能일본어)
  • '''바람과 돌'''. 스티븐 W. 콜 번역. Stone Bridge Press, 1992. ISBN 9780962813771 (원제: 유메와 가레노오/夢は枯野を일본어)
  • 『겨울의 두 사람: 다테하라 마사아키・오가와 쿠니오 왕복서간』소린샤, 1982/오자와쇼텐, 1996
  • 『일본의 아름다움을 찾아서: 풍토와 전통 다테하라 마사아키 대담집』각화서점, 1983
  • 『사랑과 인생의 풍경: 여행자의 단장 413』신초문고, 1987
  • 『눈 내리는 풍경: 수필집』세계문화사, 1995
  • 『설중화: 다테하라 마사아키 수필집』미디어종합연구소, 1996
  • 『하지로 쓰와노로: 다테하라 마사아키 수필집』미디어종합연구소, 1997
  • 『다테하라 마사아키 명품 단편집』미디어종합연구소, 1998. 전3권:「1 나기사도오리」「2 츠지가하나」「3 쿠레나이」
  • 『다테하라 마사아키 유슈칸왕환(초)/변치 않는 것과 30년: 작가의 자전 108』다케다 카쓰히코 해설, 일본도서센터・시리즈 인간도서관, 2000
  • 『미식의 길』각가춘수사무소「구르메 문고」, 2006
  • 『도자기의 아름다움을 찾아서: 명완 「자니오이」를 중심으로』가토 도우쿠로 공저, 랜덤하우스코단샤 문고, 2007

5. 가족 관계

김윤규의 장남은 요리사 다치하라 우시오/立原潮일본어이다. 그는 도쿄도 시부야구에 가이세키 요리점 '다치하라'를 열었다. 또한 아버지 다치하라 마사아키/立原正秋일본어가 수집한 미술품 등에 대해 「아름다움의 잔향-다치하라 마사아키의 골동품」 등을 출판했다. 그의 부인 미츠요와 딸 미키는 각각 회고록을 저술했다. 손자 다치하라 쓰구노부/立原継望일본어는 사진작가이다.

참조

[1] 서적 Multiethnic Japa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4-03-00
[2] 서적 Race, Ethnicity and Migration in Modern Japan Routledge
[3] 논문 2014
[4] 논문 立原正秋――深い孤独の中で“花”を語る 1985
[5] 웹사이트 小学館eBooks http://ebook.shogaku[...] 小学館 2016-02-29
[6] 웹사이트 「薪能」でのドラマ&人名検索結果 - ◇テレビドラマデータベース◇ http://www.tvdrama-d[...] キューズ・クリエイティブ 2023-12-29
[7] 웹사이트 薪能 - ドラマ詳細データ - ◇テレビドラマデータベース◇ http://www.tvdrama-d[...] キューズ・クリエイティブ 2023-12-29
[8] 웹사이트 Amazon|薪能 コレクターズDVD 【昭和の名作ライブラリー 第126集】[DVD]-TVドラマ https://www.amazon.c[...] Amazon.co.jp 2023-12-28
[9] 기타
[10] 서적 作家の臨終・墓碑事典 東京堂出版 1997
[11] 뉴스 【福嶋敏雄の…そして、京都】(44)立原正秋 朝鮮貴族の末裔、不良自慢…も嘘、出自あばかれた在日ベストセラー作家(1/3ページ) https://www.sankei.c[...] 産経WEST 2015-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