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연 (정치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재연은 1980년 대구에서 태어나 대일외국어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어학과에 입학했다. 학생운동, 민주노동당 부대변인, 18대 총선 출마 등 정치 경력을 쌓았으며, 2012년 통합진보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국회의원 활동 중 통합진보당 부정 경선 사건, 북한 관련 발언 등으로 논란이 있었으며, 통합진보당 해산으로 의원직을 상실했다. 이후 국민통합당, 민중당 대표를 역임하며 여러 차례 총선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 김조광수
김조광수는 청년필름 설립 후 다양한 영화를 제작하고 커밍아웃 후 동성애 인권 운동에 참여한 영화 감독이자 제작자, 각본가, LGBT 인권 운동가이다. -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 연세대 사태
연세대 사태는 1990년대 대한민국 학생 운동의 쇠퇴를 가져온 사건으로, 한총련 소속 학생들을 비롯한 범민련, 범청학련 학생들이 참여하여 경찰관 다수가 사상하는 피해가 발생하면서 학생 운동권에 대한 국민적 감정이 악화되고 대학 사회에서 비운동권의 비중이 증가하는 결과를 낳았다. - 경기동부연합 - 김선동 (1967년)
김선동은 광주 미문화원 점거투쟁으로 제적 후 노동운동을 하다 민주노동당에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 진보정당 소속으로 18대, 19대 국회의원을 지낸 노동운동가 출신 정치인이다. - 경기동부연합 - 이정희 (1969년)
대한민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인 이정희는 인권 변호사, 국회의원, 민주노동당 대표, 통합진보당 공동대표를 역임했으며, 2012년 대통령 선거 후보로 출마 후 사퇴하고 통합진보당 해산으로 의원직을 상실했다. - 진보당 당원 - 윤종오
윤종오는 현대자동차 노동조합 출신으로 울산 북구의회 의원, 울산광역시의회 의원, 울산 북구청장을 거쳐 제20대, 제22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현재 진보당 소속으로 국토교통위원회 및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인 정치인이다. - 진보당 당원 - 강성희 (정치인)
강성희는 현대자동차 하청노동자 출신으로 노동운동을 하다가 2023년 재보궐선거에서 진보당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국정 운영 비판 등으로 논란이 있었고, 과거 전과와 선거법 위반 논란이 있는 정치인이다.
김재연 (정치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재연 |
로마자 표기 | Kim Jae-yeon |
출생일 | 1980년 10월 30일 |
출생지 | 대구, 대한민국 |
거주지 | 대한민국 경기도 의정부시 민락동 민락로 |
국적 | 대한민국 |
종교 | 천주교 |
배우자 | 최호현 |
결혼 | 2010년 3월 |
이혼 | 2023년 4월 22일 |
학력 |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졸업 |
직업 | 활동가, 정치인 |
정당 | |
현재 소속 정당 | 진보당 |
과거 소속 정당 | 민주노동당 (2006–2011) 통합진보당 (2011–2014) 민중연합당 (2016–2017) 민중당 (2017–2020) |
의정 활동 | |
직책 | 진보당 대표 |
임기 시작 | 2020년 6월 20일 |
임기 종료 | 2022년 7월 31일 |
이전 대표 | 이상규 |
국회의원 | 국회의원 비례대표 |
임기 시작 | 2012년 5월 30일 |
임기 종료 | 2014년 12월 19일 |
2. 생애
1980년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난 김재연은 1999년 대일외국어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해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어학과에 입학했다.[41][42] 그는 외고 재학 시절 입시 경쟁이 싫어 공부를 일부러 게을리하였다고 한다.[41]
2000년 11월 NL계열 소속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양어대 학생회장(한총련 대의원)에 당선되었으며, 2001년 매향리 사격장 폐쇄 운동에 참가했다. 이듬해에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총학생회장이 되었다.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사상 최초로 여성으로 10대 의장 선거에 도전했으나[43] 낙선했다. 이후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대의원으로 생활하다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2004년 11월까지 수배자 생활을 했다.
2006년부터 민주노동당 학생위원회 대학교육국장으로 활동했으며, 2008년에는 민주노동당 부대변인을 맡았다. 18대 총선에서 서울 강남을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이후 청년 관련 의제 활동에 집중하여, 2010년부터 한대련 대학민주화대책위원회 집행국장, 집행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사학재단 비리 척결, 반값등록금 운동에 나섰다. 2010년 3월, 자본주의연구회에서 활동한 최호현과 결혼했다.[44]
2011년 21세기 한국대학생연합 집행위원장을 역임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80년 대한민국 대구광역시에서 보수적인 가정의 딸로 태어났다.[1] 초등학교 4학년 때 MBC 어린이 합창단에서 활동했다.[1] 1999년 대일외국어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1][2][3] 김재연은 외고 재학 시절 입시경쟁이 싫어 공부를 일부러 게을리하였다고 밝혔다.[41] 같은 해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어과에 입학했다.[42]2. 2. 학생 운동 및 초기 정치 경력
1999년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어학과에 입학했다.[42] 2000년 매향리 사격장 폐쇄 운동에 참여하며 학생운동을 시작했다. 같은 해 11월, NL계열 소속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양어대 학생회장(한총련 대의원)에 당선되었다.[43] 2001년에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총학생회장이 되었다.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사상 최초로 여성으로 10대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의장 선거에 도전했으나 낙선했다. 이후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대의원으로 생활하다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2004년 11월까지 수배자 생활을 했다.2006년 민주노동당에 입당하여 학생위원회 대학교육국장으로 활동했다. 2008년 민주노동당 부대변인을 역임했다.
이후 청년 관련 의제 활동에 집중했다. 2010년 한대련 대학민주화대책위원회 집행국장, 집행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사학재단 비리 척결, 반값등록금 운동에 참여했다. 같은 해 3월, 자본주의연구회에서 활동한 최호현과 결혼했다.[44]
2011년 21세기 한국대학생연합 집행위원장을 역임했다.
3. 정치 활동
김재연은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진보당 청년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경선 부정 논란에 휩싸였고, 당내 갈등 속에서 제명 위기를 겪기도 했다. 19대 국회에서 김재연은 청년 문제와 국가 재정 건전성 분야에 관심을 가졌으며, 종교인 소득 과세 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57] 2013년에는 현오석 경제부총리 후보자의 병역 특혜 의혹을 제기했고,[59] 통합진보당 대변인을 역임했다.[12] 2014년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으로 의원직을 상실했다.[18]
퇴임 후에는 아프리카TV 개인 방송을 진행하고,[19] 2016년 총선에서 국민통합당 후보로 의정부시 제2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20][21][22] 이후 민중당 대변인을 맡았으며,[24] 2020년 총선에 다시 도전했지만 낙선했다.[25][26]
3. 1. 제19대 국회의원 (통합진보당)
2012년 19대 총선에서 김재연은 통합진보당의 청년비례대표 선출 프로젝트인 '위대한 진출'을 통해 비례대표 후보로 선출되었다. '위대한 진출'은 10만 명의 2030세대 선거인단이 온라인 투표로 비례대표 후보를 선출하는 행사였다.[45] 경선 결과 김재연은 46.46%의 득표율을 기록했다.[46]19대 총선 이후,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경선이 부정 경선이었다는 논란이 발생했다. 2012년 5월 4일 통합진보당 진상조사위원회는 비례대표 경선이 총체적 부실, 부정이었다고 발표했다. 이에 당 전국위원회는 김재연을 포함한 비례대표 후보 전원에게 사퇴를 권고했다.[47] 그러나 김재연은 기자회견을 열고 청년비례 선거는 100% 온라인 선거로 치러졌으며, 진상조사보고서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며 사퇴 권고를 철회해야 한다고 말했다.[47] 이후 당 중앙위원회도 사퇴 권고안을 통과시켰지만, 김재연은 이석기 등과 함께 국회의원 신분을 국회에 등록했다.[51]
김재연은 제명 위기에 놓였으나, 2012년 7월 26일 의원총회에서 신당권파 6명은 제명에 찬성, 김제남 의원은 기권하여 제명안은 부결되었다.[53][54][55]
김재연은 '청년 비례대표'로서 대학생 등록금, 장학금 문제, 대학 구조조정 문제 등 청년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또한 국가 재정 건전성 관련 분야에도 주목하여, 2013년 1월에는 종교인 소득 과세 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57]
2013년 2월 현오석 경제부총리 후보자 청문회 때에는 현오석이 병역기간 동안 서울대 행정대학원의 학위를 취득했다는 사실을 폭로했다.[59]
2013년 9월 5일, 김재연은 통합진보당의 당 대변인으로 임명되었다.[12] 2014년 12월 19일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으로 인해 의원직을 상실했다.[18]
3. 2. 국회의원 퇴임 이후
김재연은 국회의원 퇴임 후 2015년 8월 25일 아프리카TV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19]2016년 3월 20일, 2016년 총선을 앞두고 국민통합당에 합류했다.[20] 의정부시 제2선거구에 출마했으나[21] 낙선했다.[22] 같은 해 말, '삶의 서재'라는 서점을 열었다.[23]
2017년 12월, 국민통합당과 새민중정당의 합당으로 창당된 민중당 대변인으로 임명되었다.[24] 2020년 2월, 2020년 총선에서 의정부시 제2선거구에 민중당 후보로 다시 출마했지만,[25] 김민철과 이형섭에게 밀려 낙선했다.[26]
4. 주요 입장 및 정책
김재연은 청년 문제와 국가 재정 건전성 관련 분야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교육 분야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을 주장한다.
2007년에는 노무현 대통령이 교육 예산의 최소 6%를 확보하면 학생 70% 이상이 무상 교육을 받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30]
또한, 김재연은 LGBT 인권 문제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2013년 4월에는 차별금지법 제정을 지지하는 국회의원 중 한 명이었다.[31][32] 이 법은 LGBT, 이민자, 여성 등 소수자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LGBT 운동가들의 지지를 받았으나 기독교 우파의 강한 비판을 받았다.[31][32] 2018년 1월에는 LGBT 권리 관련 문제를 다룬 TV 프로그램 '솔직한 남자와 여자'를 공개적으로 지지하기도 했다.[33]
5. 논란 및 의혹
2012년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경선 부정 의혹과 관련하여, 김재연은 당내 진상조사위원회의 총체적 부실, 부정 발표와 당 전국위원회의 사퇴 권고에 반발했다.[47] 김재연은 기자회견을 통해 청년비례 선거가 100% 온라인으로 치러졌으며, 진상조사보고서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47] 그러나 경선 초반 MBC 백분토론에서는 부정선거가 사실이면 사퇴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48]
이후 함께 '위대한 진출' 후보였던 김지윤 등은 투표 프로그램 소스파일 수정 의혹을 제기하며 김재연에게 반박했고,[49] 민주통합당 청년비례 경선에 출마했던 이계덕도 김재연 지지 문자 의혹을 제기했다.[50]
당 중앙위원회의 사퇴 권고에도 불구하고 김재연은 이석기와 함께 국회의원 신분을 등록했다.[51] 이후 김재연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사퇴 압박에 대한 심경을 밝히고, 보수언론의 '종북세력' 프레임을 비판했다. 강기갑 당시 통합진보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의 제소로 김재연과 이석기는 출당 조치되었으나, 정당법에 따라 당적은 유지되었다.
심상정 원내대표 등 신당권파의 제명 시도는 김제남 의원의 기권으로 부결되었고, 김재연은 이를 당의 통합과 단결을 위한 결정이라고 평가했다.[53][54][55]
5. 1. 위장전입 의혹
2012년 5월, 김재연은 통합진보당 내에서 이석기와 함께 출당 절차가 진행되자, 서울에서 경기도 의정부시에 위치한 시댁으로 주소를 옮겼다.[61] 이는 통합진보당의 당헌에 따라 출당 여부가 광역시도당의 당기위원회에서 결정되기 때문인데, 경기도가 서울에 비해 경기동부연합 등 당권파의 영향력이 강했기 때문에 당적 변경을 시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62]헤럴드경제는 김재연의 시댁이 300평 규모의 전원주택이며, 고급 승용차가 주차되어 있다고 보도하며 위장전입 의혹을 제기했다.[61] 문성현 전 민주노동당 대표 또한 김재연이 경기도에 거주하거나 직장이 없음에도 주민등록만 옮겼다면 이는 편법이라고 비판했다.[62]
이에 대해 김재연 측은 주소 이전 후 실제로 시댁에서 출퇴근하고 있다며 위장전입 의혹을 부인했다.[62]
5. 2. 북한 관련 발언 논란
2012년 6월 4일 한국방송공사(KBS) 인터뷰에서 김재연은 "북한 체제에 대해서 분명한 입장을 밝혀달라"는 질문에 "당이 그간 얘기해왔던 평화통일을 위해 상대방으로서 북한 체제를 인정하는 것은 정체성이라 생각한다"며 "(북 체제를) 인정하지 말자는 것은 전쟁하자는 것밖에 안 된다. (따라서 북 체제 인정이) 평화통일의 노선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답했다. 김정은 체제를 인정해야 평화통일을 할 수 있다는 취지였다.[63]같은 인터뷰에서 "연평해전 도발들이 있었는데 그 상황에서도 평화를 위해 공격을 해오더라도 참아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맞불을 놓으면서 전쟁을 일으키면 안 된다"며 "오히려 지난 (이명박 정부) 5년 동안 남북관계가 매우 심각하게 경색되면서 더 많은 희생과 어려움이 있었기에 남북 화해 모드를 조성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고 답했다. "친북인사냐"는 물음에는 "평화통일을 위해 노력했다"라고 했다.[63]
2014년 2월 4일에는 '좌경맹동주의' 관련 논란이 일었다. 좌경맹동주의는 내란음모 사건으로 재판 중이던 이석기가 2월 3일 1심 최후진술로 한 말로 알려진 단어로, 북한말이라는 논란이 있었다.
다음 날인 2월 4일 신동호가 진행하는 시선집중에 출연한 김재연은 신동호가 "좌경맹동주의는 북한어로 알고 있다"라고 질문하자 "누구나 쓸 수 있는 말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신동호가 재차 질문했지만 김재연은 "좌경맹동주의란 용어를 저는 많이 들어 왔었다. 사회자가 어떤 편견을 갖고 말하는 것 같다"고 응수했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좌경맹동주의는 1919년 모스크바에서 창립된 노동자 국제조직 '공산주의 인터내셔널'(코민테른)이 도시와 노동자 운동 중심으로 무장폭동을 추종한 것을 의미한다. 한겨레의 분석에 따르면, '맹동주의'가 원래 북한어인 것은 맞지만 2008년부터는 남한의 표준어로도 인정됐다.[64][65]
김재연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한 이후, 우익 성향의 비평가들은 그녀를 "북한 편"이라고 비난해 왔다.[34][2]
6. 평가
김재연은 청년 세대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정치인으로 평가받지만, 잦은 논란으로 인해 정치적 역량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특히, 통합진보당 부정 경선 사건과 관련된 논란은 그의 정치적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47][48][49][50][51][52][53][54][55]
2012년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경선 부정 의혹 당시 김재연은 "청년비례 선거는 100% 온라인 선거로 치러졌다"며, "문제투성이 진상조사보고서를 근거로 청년비례 사퇴를 권고한 전국운영위원회 결정은 철회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47] 그러나 당내에서는 김재연의 주장에 대한 반박 성명이 나왔고,[49] 민주통합당 청년비례 경선에 출마했던 이계덕은 김재연 측의 선거 부정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50]
통합진보당 중앙위원회는 경쟁명부 비례대표들에 대한 사퇴 권고안을 통과시켰지만, 김재연은 이석기 등과 함께 국회의원 신분을 등록했다.[51] 이후 김재연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자신의 입장을 밝혔지만,[52] 강기갑 당시 통합진보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은 김재연과 이석기에게 자진사퇴를 권고했다. 그러나 이들이 사퇴하지 않자 당기위원회에 제소했고, 최종 출당조치가 내려졌다. 하지만 정당법상 국회의원의 출당은 당 소속 국회의원의 과반수 이상의 찬성이 필요했기에, 두 사람의 당적은 유지됐다.
김재연과 이석기의 제명안은 당 소속 의원 과반수의 찬성을 얻지 못해 부결되었다.[53][54][55] 제명안 부결 이후 김재연은 "당이 상처를 딛고 통합과 단결을 위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라는 결정이라고 본다"라고 말했다.[53]
공지영, 진중권 등 진보 진영 내부에서도 김재연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가 존재한다.[68][69] 언론들은 김재연과 이석기의 국회 입성으로 통합진보당이 국민적 조소와 골칫거리가 되었다고 평가했다.[71]
7.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결과 | 비고 |
---|---|---|---|---|---|
2008년 | 제18대 총선 (서울 강남구 을) | 민주노동당 | 4,545표 (4.93%) | 낙선 | 해당 선거구 낙선 |
2012년 | 제19대 총선 (비례대표) | 통합진보당 | 2,198,082표 (10.3%) | 당선 | 비례대표 3번, 초선 |
2016년 | 제20대 총선 (경기 의정부시 을) | 민중연합당 | 3,810표 (3.76%) | 낙선 | 해당 선거구 낙선 |
2020년 | 제21대 총선 (경기 의정부시 을) | 민중당 | 5,536표 (4.33%) | 낙선 | 해당 선거구 낙선 |
2022년 | 제20대 대선 | 진보당 | 37,366표 (0.11%) | 낙선 |
참조
[1]
뉴스
http://www.vop.co.kr[...]
2020-06-21
[2]
뉴스
https://premium.chos[...]
2020-06-21
[3]
뉴스
http://news.chosun.c[...]
2020-06-21
[4]
뉴스
http://www.newscham.[...]
2020-06-21
[5]
뉴스
https://newsis.com/p[...]
2020-06-21
[6]
뉴스
http://news.khan.co.[...]
2020-06-21
[7]
뉴스
http://www.newscham.[...]
2020-06-21
[8]
뉴스
https://www.hankyung[...]
2020-06-21
[9]
뉴스
http://www.vop.co.kr[...]
2020-06-21
[10]
뉴스
http://www.hani.co.k[...]
2020-06-21
[11]
뉴스
https://news.mt.co.k[...]
2020-06-21
[12]
뉴스
https://www.hankyung[...]
2020-06-21
[13]
뉴스
http://www.donga.com[...]
2020-06-21
[14]
뉴스
https://www.news1.kr[...]
2020-06-21
[15]
뉴스
https://www.yna.co.k[...]
2020-06-21
[16]
뉴스
https://www.hankyung[...]
2020-06-21
[17]
뉴스
http://www.kookje.co[...]
2020-06-21
[18]
뉴스
https://www.hankooki[...]
2020-06-21
[19]
뉴스
https://www.hankooki[...]
2020-06-21
[20]
뉴스
https://www.seoul.co[...]
2020-06-21
[21]
뉴스
http://www.kyunggine[...]
2020-06-21
[22]
뉴스
https://www.donga.co[...]
2020-06-21
[23]
뉴스
https://www.news1.kr[...]
2020-06-21
[24]
뉴스
https://www.news1.kr[...]
2020-06-21
[25]
뉴스
http://www.gbtopnews[...]
2020-06-21
[26]
뉴스
http://www.k1ilbo.co[...]
2020-06-21
[27]
뉴스
https://biz.chosun.c[...]
2020-06-21
[28]
뉴스
https://news.joins.c[...]
2020-06-21
[29]
뉴스
http://www.hbnews.kr[...]
2020-06-21
[30]
뉴스
"'등록금 개선책' 통과 안 시킨 보수양당, 말 바꾸기 괘씸"
http://www.vop.co.kr[...]
2020-06-21
[31]
뉴스
http://www.newscham.[...]
2020-06-22
[32]
뉴스
http://www.polinews.[...]
2020-06-22
[33]
뉴스
http://www.snmedia.o[...]
2020-06-22
[34]
뉴스
http://www.segye.com[...]
2020-06-22
[35]
뉴스
https://news.joins.c[...]
2020-06-22
[36]
뉴스
https://news.chosun.[...]
2020-06-21
[37]
뉴스
http://news.heraldco[...]
2020-06-21
[38]
뉴스
https://www.youtube.[...]
2020-06-21
[39]
웹사이트
조선닷컴 포커스
http://focus.chosun.[...]
[40]
뉴스
헌재, 통합진보당 해산…재판관 8대 1로 결정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4-12-19
[41]
웹사이트
http://www.vop.co.kr[...]
[42]
블로그
http://blog.daum.net[...]
2013-11-13
[43]
웹사이트
http://article.joins[...]
[44]
웹사이트
http://news.chosun.c[...]
[45]
뉴스
'위탄'과 '나가수' 합치면? 통합진보당 '위대한 진출'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2-02-17
[46]
뉴스
'촛불언니' 김재연, 통합진보당 청년비례대표 당선
http://news.sportsse[...]
스포츠서울
2014-02-22
[47]
웹사이트
http://www.mt.co.kr/[...]
[48]
웹사이트
http://www.newscham.[...]
[49]
웹사이트
http://www.pressian.[...]
[50]
뉴스
“김재연도 부정선거… 선출위서 독려 문자”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2-05-08
[51]
웹사이트
http://www.ohmynews.[...]
[52]
웹사이트
http://www.hani.co.k[...]
[53]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54]
웹사이트
보관된 사본
http://news.hankooki[...]
2013-03-18
[55]
웹사이트
http://news.donga.co[...]
[56]
뉴스
민중의소리 기사
http://www.vop.co.kr[...]
[57]
웹사이트
http://www.hani.co.k[...]
[58]
웹사이트
http://www.vop.co.kr[...]
[59]
웹사이트
http://www.mt.co.kr/[...]
[60]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61]
뉴스
'럭셔리' 김재연 시댁…300평대 주택-차량 3대
http://news.heraldco[...]
헤럴드경제
2012-05-22
[62]
웹사이트
http://article.joins[...]
[63]
뉴스
김재연 "北이 공격해도 남한은…" 발언 파장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12-06-05
[64]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65]
뉴스
‘좌경맹동주의’에 많이 당황하셨어요?
http://www.hani.co.k[...]
한겨레
2014-02-07
[66]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67]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68]
뉴스
공지영,'제2의 이정희' 김재연에 일침 "기자회견 보니 한숨 나온다"
http://www.ggtimes.c[...]
경기타임스
2012-05-07
[69]
뉴스
진중권, "김재연, 드러누워 배 째라는군요"
http://www.abckr.net[...]
데일리뉴스앤뷰
2012-05-08
[70]
뉴스
통합진보당, 이석기 김재연 등록 마쳐
http://media.paran.c[...]
한겨레
2012-05-15
[71]
뉴스
국민적 조소와 골칫거리 된 통합진보당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2012-05-26
[72]
뉴스
진중권 "이정희 은퇴..이석기+김재연 사퇴" 비판 이어가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2-05-09
[73]
뉴스
NL계 당권파 독단에 불만 폭발, 권력투쟁 산물… 公黨 포기한 ‘경선 부정’ 일파만파
http://news.kukinews[...]
대전일보
2012-05-03
[74]
뉴스
통합진보, 당권파 거센 공세속 '부정선거'내홍 심각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2-05-08
[75]
보고서
예비후보자 정보공개: 전과기록증명에 관한 제출서
http://info.nec.go.k[...]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3-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