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트륨 통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트륨 통로는 세포막을 가로질러 나트륨 이온을 수송하는 막 단백질로, 크게 전압 의존성, 리간드 개폐, 누설 나트륨 통로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전압 의존성 나트륨 통로는 막 전위 변화에 반응하며 활동 전위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리간드 개폐 나트륨 통로는 리간드 결합에 의해 활성화되며, 누설 나트륨 통로는 항상 열려 있어 뉴런의 안정 막 전위를 조절한다. 나트륨 통로는 뉴런, 근육 세포, 특정 신경교에서 활동 전위의 상승 단계를 담당하며, 닫힌 상태, 열린 상태, 불활성화 상태를 거친다. 다양한 아형이 존재하며, 각 아형은 특정 조직에 발현되고 다양한 채널병증과 관련되어 있다. 나트륨 통로의 기능은 약물 및 독소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pH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한다. 또한, 나트륨 통로는 진화 과정에서 동물에게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 중 하나로, 다세포성 획득 이전에 진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트륨 통로 - 상피 세포 나트륨 통로
    상피 세포 나트륨 통로(ENaC)는 세포 극성이 있는 상피 세포의 정단막에서 나트륨 이온 재흡수를 촉진하는 이온 통로로, 체액 이동, 체액량, 혈압 조절에 중요하며 α, β, γ, δ 서브 유닛으로 구성되고 특정 질환 및 낭포성 섬유증과 관련되며 이뇨제의 표적이 된다.
  • 이온 통로 -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아세틸콜린에 의해 활성화되어 이온을 통과시키는 리간드 개폐 이온 채널 막단백질로, 척추동물에서 근육형과 신경형으로 나뉘어 신경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활성화는 뉴런 탈분극을 유발하고 니코틴 의존증과 같은 질병 위험과도 연관된다.
  • 이온 통로 - 고리형 뉴클레오타이드 개폐 이온 통로
    고리형 뉴클레오타이드 개폐 이온 통로는 cAMP 또는 cGMP에 의해 활성화되는 이온 채널로, 다양한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생체 신호 전달, 시각, 후각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며, 구조는 4개의 단백질 소단위체로 구성된다.
  • 내재성 막 단백질 - 광계
    광계는 틸라코이드 막에 위치하며 빛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전환하는 단백질 복합체로, 광수집 복합체에 둘러싸인 반응 중심을 가지며 물 분해를 통해 전자를 얻고 산소를 방출하는 광계 II와 NADPH를 생성하는 광계 I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뉜다.
  • 내재성 막 단백질 -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는 광합성에서 광계 II와 광계 I 사이의 전자 및 에너지 전달을 매개하고 틸라코이드 막을 가로질러 양성자를 수송하여 ATP 합성을 촉진하는 단백질 복합체로서, 순환적 광인산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사이토크롬 bc1 복합체와 구조적 유사성을 갖는 8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된 이량체이다.
나트륨 통로
기본 정보
종류이온 통로
활성화 요인전압
선택적 투과성나트륨 이온 (Na+)
발견 연도1952년
발견자앨런 로이드 호지킨과 앤드루 필딩 헉슬리
구조
하위 단위알파 (α) 및 베타 (β) 소단위체
유전자SCN1A
SCN2A
SCN3A
SCN4A
SCN5A
SCN8A
SCN9A
SCN10A
SCN11A
기능
주요 역할활동 전위 시작 및 전파
차단제테트로도톡신 (TTX)
기타
외부 링크Conserved Domains: Voltage-gated sodium channel, eukaryotic
Conserved Domains: Voltage-gated potassium channel
관련 항목전압 개폐 이온 통로
이온 통로
활동 전위
신경 세포
근육 세포
탈분극
재분극
과분극
신경 전달

2. 분류

나트륨 통로는 크게 전압 의존성, 리간드 개폐성, 누설형(비개폐형)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

유형유발 요인
전압 의존성 나트륨 통로막 전위 변화
리간드 개폐 나트륨 통로리간드 결합
누설 나트륨 통로 (NALCN)항상 열려 있음


2. 1. 전압 의존성 나트륨 통로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전압 의존성 나트륨 통로는 막 전위 변화에 의해 활성화되는 통로로, 활동 전위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통로는 닫힌 상태(closed), 열린 상태(open), 불활성화 상태(inactivated)의 세 가지 주요 상태를 가진다. 닫힌 상태와 불활성화 상태에서는 이온이 통과하지 못한다.

안정 막 전위 상태에서 나트륨 통로는 닫혀 있고, 활성화 게이트(activation gate)가 포어의 세포 외측을 막고 있다. 막 전위가 -55 mV 정도까지 상승하면 활성화 게이트가 열리고, Na+가 세포 내로 유입되어 막 전위가 추가적으로 상승한다. 이를 탈분극이라고 하며, 활동 전위의 상승상을 구성한다.

막 전위가 충분히 높아지면, 나트륨 통로는 불활성화 게이트(inactivation gate)를 닫아 스스로를 불활성화한다. 불활성화 게이트는 α 서브 유닛의 도메인 III과 IV를 잇는 세포 내 영역이 "플러그"처럼 기능한다. 불활성화 게이트가 닫히면 Na+의 흐름이 멈추고, 막 전위 상승도 멈춘다. 이후 막 전위는 안정 전위로 돌아가고, 신경 세포는 재분극 및 과분극 상태가 된다. 이는 활동 전위의 하강상을 구성한다.

막 전위가 충분히 낮아지면 불활성화 게이트가 다시 열리고 활성화 게이트는 닫힌다. 이 과정을 탈불활성화라고 하며, 통로는 다시 활동 전위 생성에 참여할 준비를 한다.

일부 이온 통로는 지속적인 활성화 상태(persistently active 또는 tonically active)를 유지한다. 유전적 돌연변이로 인해 이러한 지속적 활성화가 일어나면, 신경 세포의 과도한 활성화가 발생하여 심혈관 질환 및 간질 발작을 유발할 수 있다.[65] 전압 의존성 나트륨 통로는 일반적으로 이온 투과성 포어를 형성하는 α 서브유닛과 채널 기능 조절을 담당하는 β 서브유닛으로 구성된다.[65]

2. 2. 리간드 개폐 나트륨 통로 (Ligand-gated sodium channels)

리간드 개폐 나트륨 통로는 막 전위 변화 대신 리간드 결합에 의해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신경근 접합부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에서 발견되며, 여기서 리간드는 아세틸콜린 분자이다. 이 유형의 대부분의 채널은 나트륨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칼륨에 대해서도 투과성이 있다.

2. 3. 누설 나트륨 통로 (Sodium leak channel, NALCN)

나트륨 누설 통로는 전압이나 리간드 개폐를 나타내지 않는다. 대신, 항상 열려 있거나 작은 배경 전류를 "누설"하여 뉴런의 안정 막 전위를 조절한다.[35] 대부분의 동물에서 단일 유전자가 NALCN(나트륨 누설 통로, 비선택적) 단백질을 암호화한다.[38]

3. 기능

흥분성 세포인 뉴런, 근육 세포 및 특정 유형의 신경교에서 나트륨 통로는 활동 전위의 상승 단계를 담당한다.[3] 이 통로는 휴지 상태, 활성 상태 및 비활성 상태의 세 가지 다른 상태를 거친다. 휴지 상태와 비활성 상태에서는 이온이 통로를 통과할 수 없지만, 구조적 형태에 차이가 있다.

나트륨 통로는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이온 수송에 매우 선택적이다.[3] 나트륨 이온에 대한 높은 선택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모두 더 큰 분자 내의 특정 크기의 공동에 나트륨 이온을 캡슐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압 개폐형 나트륨 통로는 활동 전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포의 막 전위에 변화가 있을 때 충분한 수의 통로가 열리면, 소량이지만 상당한 수의 Na+ 이온이 그들의 전기화학적 기울기를 따라 세포 안으로 이동하여 세포를 더 탈분극시킨다. 따라서 세포 막의 특정 영역에 국한된 Na+ 통로가 많을수록 활동 전위는 더 빠르게 전파되고 해당 세포 영역의 '''흥분성'''이 높아진다. 이는 양성 피드백 루프의 한 예이다. 이 통로가 닫힌 불활성화 상태를 취할 수 있는 능력은 불응기를 유발하며, 축삭을 따라 활동 전위가 전파되는 데 중요하다.

Na+ 통로는 K+ 통로보다 더 빠르게 열리고 닫히며, 활동 전위의 시작 부분에서는 양전하(Na+)의 유입을, 끝 부분에서는 유출(K+)을 생성한다.

반면에, 리간드 개폐형 나트륨 통로는 리간드가 결합하는 것에 대한 반응으로, 처음부터 막 전위의 변화를 만들어낸다. 누출 나트륨 통로는 또한 세포의 휴지 전위(그리고 결과적으로 흥분성)를 조절함으로써 활동 전위 조절에 기여한다.[35]

4. 전압 의존성 나트륨 통로

전압 의존성 나트륨 통로는 활동 전위 발생 및 전파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통로이다.



나트륨 통로는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이온 수송에 있어 매우 선택적이다. 이러한 높은 선택성은 더 큰 분자 내의 특정 크기의 공동에 나트륨 이온을 캡슐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된다.[3] 나트륨 통로의 기공에는 음전하를 띤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선택성 필터가 존재한다. 이 필터는 양전하를 띤 Na+ 이온을 끌어당기고, 염화물과 같은 음전하를 띤 이온은 차단한다. 양이온은 폭이 0.3 x 0.5 nm로 더 좁아진 기공 부분으로 흘러 들어가는데, 이는 물 분자와 결합된 하나의 Na+ 이온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 더 큰 K+ 이온은 이 영역을 통과할 수 없다. 크기가 다른 이온은 기공을 따라 늘어선 음전하를 띤 글루탐산 잔기와도 잘 상호작용할 수 없다.

전압 개폐 Na+ 채널은 닫힌 상태, 열린 상태, 불활성화 상태의 세 가지 주요 상태를 가진다. 안정 막 전위에서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다가, 막 전위가 역치 이상으로 탈분극되면 열린 상태가 되어 나트륨 이온(Na+)이 세포 내로 유입된다. 이후 불활성화 게이트가 닫히면서 불활성화 상태가 되고, 막 전위가 다시 안정화되면서 닫힌 상태로 돌아간다.

전압 개폐 나트륨 통로는 일반적으로 이온 전도 구멍을 형성하는 알파(α) 소단위체와 채널 게이팅 조절을 포함한 여러 기능을 가진 1~2개의 베타(β) 소단위체로 구성된다.[10] 알파 소단위체만 발현해도 기능적인 채널을 생성하기에 충분하다. 전압 의존성 나트륨 통로는 α 서브유닛의 종류에 따라 여러 아형(subtype)으로 나뉜다(Nav1.1 ~ Nav1.9, Nax).[11]

4. 1. 구조

나트륨 통로는 주로 α 서브유닛과 β 서브유닛으로 구성된다. α 서브유닛은 통로의 핵심을 형성하며, 이것만으로도 기능을 할 수 있다. α 서브유닛은 I부터 IV까지 4개의 반복 도메인을 가지며, 각 도메인은 S1부터 S6까지 6개의 막관통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고도로 보존된 S4 세그먼트는 통로의 전압 센서 역할을 하는데, 세 번째 위치마다 양성 아미노산이 있기 때문이다.[5] 막횡단 전압 변화에 의해 자극을 받으면 S4 세그먼트는 세포막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통로가 이온에 투과되도록 한다.

이온은 두 개의 주요 영역으로 구성된 중앙 기공을 통해 이동한다. 기공의 바깥쪽(세포 외) 부분은 네 개 도메인의 "P-루프"(S5와 S6 사이 영역)에 의해 형성되며, 기공의 가장 좁은 부분으로 이온 선택성을 담당한다. 기공의 안쪽(세포질) 부분은 네 개 도메인의 S5와 S6 세그먼트가 결합하여 형성되며 기공 게이트라고 불린다. 도메인 III과 IV를 연결하는 영역은 통로가 열린 후 기공 게이트를 닫아 통로를 불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9]

4. 2. 개폐 (Gating)



나트륨 통로는 부속 단백질과 결합하는 큰 알파 소단위체로 구성된다. 알파 소단위체는 통로의 핵심을 형성하며, 그 자체로 기능할 수 있다. 알파 소단위체는 I부터 IV까지 네 개의 반복 도메인으로 구성되며, 각 도메인에는 S1부터 S6까지 여섯 개의 막 관통 세그먼트가 있다. S4 세그먼트는 통로의 전압 센서 역할을 하며, 막횡단 전압 변화에 의해 세포막의 세포외 측으로 이동하여 통로가 이온에 투과되도록 한다.[5]

이온은 두 개의 주요 영역으로 구성된 중앙 기공을 통해 전달된다. 기공의 더 외부 부분은 네 개의 도메인의 "P-루프"(S5와 S6 사이 영역)에 의해 형성되며, 이온 선택성을 담당한다. 기공의 내부 부분은 네 개의 도메인의 결합된 S5 및 S6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되며, 기공 게이트를 이룬다. 포유류 나트륨 통로에서 도메인 III과 IV를 연결하는 영역은 통로가 열린 후 기공 게이트를 닫아 통로를 불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9]

전압 개폐 Na+ 채널은 닫힌 상태, 열린 상태, 불활성화 상태의 세 가지 주요 상태를 가진다. 안정 막 전위에서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다가, 막 전위가 역치 이상으로 탈분극되면 열린 상태가 되어 나트륨 이온(Na+)이 세포 내로 유입된다. 이후 불활성화 게이트가 닫히면서 불활성화 상태가 되고, 막 전위가 다시 안정화되면서 닫힌 상태로 돌아간다.

4. 2. 1. 게이트 행동 모델링

전압 개폐 Na+ 채널은 닫힌 상태, 열린 상태, 비활성화 상태의 세 가지 주요 상태를 가진다. 닫힌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는 이온이 통과할 수 없는 불투과성 상태이다.

활동 전위가 발생하기 전, 축삭 막은 안정 전위(대부분의 인간 뉴런에서 약 -70 mV) 상태이며, Na+ 채널은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게이트에 의해 세포외 측에서 차단된다. 막 전위가 약 -55 mV로 증가하면 활성화 게이트가 열리고 Na+ 이온이 뉴런으로 유입되어 막 전위가 +30 mV까지 증가한다. 이 전압 증가는 활동 전위의 상승 단계를 구성한다.

활동 전위막 전위목표 전위게이트의 목표 상태뉴런의 목표 상태
안정−70 mV−55 mV비활성화 → 활성화분극
상승−55 mV0 mV활성화분극 → 탈분극
상승0 mV+30 mV활성화 → 비활성화탈분극
하강+30 mV0 mV비활성화탈분극 → 재분극
하강0 mV−70 mV비활성화재분극
과도 감소−70 mV−75 mV비활성화 → 비활성화재분극 → 과분극
반등−75 mV−70 mV비활성화과분극 → 분극



활동 전위의 정점에서 막 전위가 충분히 높아지면, Na+ 채널은 비활성화 게이트를 닫아 스스로 비활성화된다. 비활성화 게이트는 채널의 세포 내 알파 소단위체의 도메인 III 및 IV에 묶여 있는 "플러그"로 생각할 수 있다. 비활성화 게이트가 닫히면 Na+ 흐름이 중단되어 막 전위 상승이 멈추고, 불응기가 생성되어 활동 전위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다.

막 전위가 충분히 낮아지면 비활성화 게이트가 다시 열리고 활성화 게이트가 닫히는 비활성화 과정이 일어난다. 활성화 게이트가 닫히고 비활성화 게이트가 열리면 Na+ 채널은 다시 비활성화 상태가 되어 다음 활동 전위에 참여할 준비를 한다.

일부 이온 채널은 지속적으로 활성 상태를 유지하기도 한다. Na+ 채널 비활성화를 방해하는 돌연변이는 근육 및/또는 신경 세포의 과도한 흥분을 유발하여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나트륨 통로의 시간적 거동은 마르코프 과정 또는 Hodgkin–Huxley model|호지킨-헉슬리 모델영어로 모델링할 수 있다. 마르코프 모델에서는 각 통로가 별개의 상태를 차지하고, 미분 방정식이 상태 간의 전이를 설명한다. 호지킨-헉슬리 모델에서는 통로를 세 개의 독립적인 게이트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모집단으로 취급한다. 각 변수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이 변수들의 곱은 전도 채널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호지킨-헉슬리 모델은 마르코프 모델과 동일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4. 3. 다른 이온에 대한 불투과성

나트륨 통로는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이온 수송에 있어 매우 선택적이다. 이러한 높은 선택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되는데, 모두 더 큰 분자 내의 특정 크기의 공동에 나트륨 이온을 캡슐화하는 것을 포함한다.[3]

나트륨 통로의 기공에는 음전하를 띤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선택성 필터가 존재한다. 이 필터는 양전하를 띤 Na+ 이온을 끌어당기고, 염화물과 같은 음전하를 띤 이온은 차단한다. 양이온은 폭이 0.3 x 0.5 nm로 더 좁아진 기공 부분으로 흘러 들어가는데, 이는 물 분자와 결합된 하나의 Na+ 이온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 더 큰 K+ 이온은 이 영역을 통과할 수 없다. 크기가 다른 이온은 기공을 따라 늘어선 음전하를 띤 글루탐산 잔기와도 잘 상호작용할 수 없다.

4. 4. 다양성

전압 개폐 나트륨 통로는 일반적으로 이온 전도 구멍을 형성하는 알파(α) 소단위체와 채널 게이팅 조절을 포함한 여러 기능을 가진 1~2개의 베타(β) 소단위체로 구성된다.[10] 알파 소단위체만 발현해도 기능적인 채널을 생성하기에 충분하다. 전압 의존성 나트륨 통로는 α 서브유닛의 종류에 따라 여러 아형(subtype)으로 나뉜다(Nav1.1 ~ Nav1.9, Nax).[11] 이들은 각각 발현 부위, 생리학적 특성, 관련 질환 등이 다르다.

4. 4. 1. α 서브유닛

α 서브유닛은 나트륨 통로의 핵심 구성 요소로, 자체적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 α 서브유닛은 4개의 반복 도메인(I-IV)으로 구성되며, 각 도메인은 6개의 막 관통 세그먼트(S1-S6)를 포함한다. 특히 S4 세그먼트는 전압 감지 센서 역할을 하며, 막 전압 변화에 따라 이동하여 이온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5]

이온이 통과하는 통로(pore)는 두 부분으로 나뉜다. 세포 바깥쪽 부분은 각 도메인의 S5와 S6 사이의 "P 루프"에 의해 형성되며, 이온 선택성을 담당한다. 세포질 쪽 부분은 4개 도메인의 S5와 S6 세그먼트 조합으로 형성된다. 도메인 III과 IV를 연결하는 부위는 채널 불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9]

나트륨 채널 계열에는 9개의 주요 아형(Nav1.1 ~ Nav1.9)과 기능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Nax가 있다. IUPHAR에서 관리하는 표준 명명법에 따라, 단백질은 Nav1.1 ~ Nav1.9, 유전자는 SCN1A ~ SCN11A로 표기한다.[11] 각 아형은 서열, 동역학, 발현 프로파일에서 차이를 보인다.

전압 개폐 나트륨 채널 α 서브유닛의 명칭과 기능
단백질 이름유전자 이름주요 발현 위치관련 질환
Nav1.1SCN1A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심근열성 경련, 간질, 드라벳 증후군, 자폐증 등[13]
Nav1.2SCN2A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열성 경련, 간질, 자폐 스펙트럼 장애
Nav1.3SCN3A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심근간질, 통증, 뇌 기형[14][15]
Nav1.4SCN4A골격근고칼륨혈증 주기성 마비, 선천성 파라미오토니아 등
Nav1.5SCN5A심근, 신경 미지배 골격근, 위장 평활근 등QT 연장 증후군, 브루가다 증후군, 과민성 대장 증후군 등[16][17]
Nav1.6SCN8A중추신경계, 후근신경절, 말초신경계, 심장, 신경교세포간질,[18] 운동 실조, 근육 긴장 이상, 진전[19]
Nav1.7SCN9A후근신경절, 교감신경, 슈반세포적색지통증, 무통증, 섬유근육통[14][20]
Nav1.8SCN10A후근신경절통증,[14] 신경정신과적 질환
Nav1.9SCN11A후근신경절통증[14]
NaxSCN7A심장, 자궁, 골격근, 별아교세포, 후근신경절알려진 기능 없음


4. 4. 2. β 서브유닛

나트륨 통로의 β 서브유닛은 α 서브유닛과 결합하여 통로의 기능을 조절하고, 세포막에서의 발현을 조절하며, 세포 부착 등에도 관여한다. β 서브유닛은 4가지 유형(β1 ~ β4)이 존재한다.

β 서브유닛은 세포 바깥쪽의 N-말단과 세포질 쪽의 C-말단을 가지는 1형 막관통 당단백질이다. 이들은 면역글로불린(Ig) 슈퍼패밀리의 구성원이며, 세포 외부 도메인에 V-세트 Ig 루프를 포함하고 있다. β 서브유닛은 칼슘 및 칼륨 통로의 대응되는 서브유닛과는 상동성이 없다.[21] 대신, 신경 세포 부착 분자(CAM) 및 L1 CAM의 큰 계열과 상동성을 보인다.

β 서브유닛은 발견된 순서대로 SCN1B, SCN2B, SCN3B, SCN4B로 명명된 4가지 종류가 있다. β1과 β3은 α 서브유닛과 비공유 결합으로 상호작용하는 반면, β2와 β4는 이황화 결합을 통해 α 서브유닛과 결합한다.[22]

나트륨 통로 β 서브유닛은 통로 개폐 조절 외에도 통로 발현을 조절하고, 세포 내 세포 골격과 안키린 및 스펙트린을 통해 연결을 형성한다.[10][24][25] 또한, 여러 β 서브유닛은 하나 이상의 세포 외 기질(ECM) 분자와 상호작용한다.

전압 개폐형 나트륨 채널 β 서브유닛의 종류 및 기능
단백질 이름유전자결합하는 α 서브유닛발현 위치관련 질병
Navβ1SCN1BNav1.1 ~ Nav1.7중추 뉴런, 말초 뉴런, 골격근, 심장, 신경교세포간질(GEFS+), 브루가다 증후군[34]
Navβ2SCN2BNav1.1, Nav1.2, Nav1.5 ~ Nav1.7중추 뉴런, 말초 뉴런, 심장, 신경교세포브루가다 증후군[34]
Navβ3SCN3BNav1.1 ~ Nav1.3, Nav1.5중추 뉴런, 부신, 신장, 말초 뉴런브루가다 증후군[34]
Navβ4SCN4BNav1.1, Nav1.2, Nav1.5심장, 골격근, 중추 및 말초 뉴런알려진 바 없음


5. 리간드 개폐 나트륨 통로

리간드 개폐 나트륨 통로는 막 전위 변화 대신 리간드 결합에 의해 활성화된다.

신경근 접합부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가 대표적인 예시이며, 리간드는 아세틸콜린 분자이다. 이 유형의 통로 대부분은 나트륨과 함께 칼륨도 어느 정도 투과시킨다.

6. 활동 전위에서의 역할

흥분성 세포인 뉴런, 근육 세포 및 특정 유형의 신경교에서 나트륨 통로는 활동 전위의 상승 단계를 담당한다. 전압 개폐형 나트륨 통로는 활동 전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포의 막 전위에 변화가 있을 때 충분한 수의 통로가 열리면, 소량이지만 상당한 수의 Na+ 이온이 전기화학적 기울기를 따라 세포 안으로 이동하여 세포를 더 탈분극시킨다.[35] 따라서 세포 막의 특정 영역에 국한된 Na+ 통로가 많을수록 활동 전위는 더 빠르게 전파되고 해당 세포 영역의 흥분성이 높아진다. 이는 양성 피드백 루프의 한 예이다. 이 통로가 닫힌 불활성화 상태를 취할 수 있는 능력은 불응기를 유발하며, 축삭을 따라 활동 전위가 전파되는 데 중요하다.[35]

Na+ 통로는 K+ 통로보다 더 빠르게 열리고 닫히며, 활동 전위의 시작 부분에서는 양전하(Na+)의 유입을, 끝 부분에서는 유출(K+)을 생성한다.[35]

반면에, 리간드 개폐형 나트륨 통로는 리간드가 결합하는 것에 대한 반응으로, 처음부터 막 전위의 변화를 만들어낸다. 누출 나트륨 통로는 또한 세포의 휴지 전위(그리고 결과적으로 흥분성)를 조절함으로써 활동 전위 조절에 기여한다.[35] 전압 의존성 나트륨 통로에는 닫힌 상태(closed), 열린 상태(open), 불활성화 상태(inactivated)라는 3가지 주요 상태가 존재한다.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의 이동은 활성화(activation), 그 역은 비활성화(deactivation), 열린 상태에서 불활성화 상태로의 이동은 불활성화(inactivation), 그 역은 재활성화(reactivation), 불활성화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의 이동은 불활성화로부터의 회복 또는 탈불활성화(recovery from inactivation/deinactivation), 그 역은 닫힌 상태 불활성화(closed-state inactivation)라고 불린다. 닫힌 상태와 불활성화 상태의 통로는 이온을 투과시키지 않는다.

활동 전위가 발생하기 전의 축삭 막은 안정 막 전위 상태에 있으며, 나트륨 통로는 닫힌 상태에서 포어의 세포 외측은 활성화 게이트(activation gate)에 의해 막혀 있다. 인간의 신경 세포에서는 막 전위가 -55 mV 정도까지 상승하면 활성화 게이트가 열리고, Na+가 통로를 통해 신경 세포 내로 유입되어 막 전위가 더 상승한다. 막 전위는 안정 상태의 음수 값에서 0을 넘어 상승하며(안정 전위의 -70 mV에서 최대 +30 mV까지), 이것을 탈분극이라고 한다. 이 전위 상승이 활동 전위의 상승상을 구성한다.

충분한 양의 Na+가 신경 세포로 들어가 막 전위가 충분히 높아지면, 나트륨 통로는 불활성화 게이트(inactivation gate)를 닫음으로써 스스로를 불활성화한다. 불활성화 게이트는 α 서브 유닛의 도메인 III과 IV를 잇는 세포 내 영역이 "플러그"처럼 기능함으로써 개폐가 이루어진다고 생각된다. 불활성화 게이트가 닫히면 Na+의 흐름이 멈추고, 막 전위의 상승은 멈춰 통로는 불활성화 상태가 된다. 나트륨 통로가 막 전위에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막 전위는 안정 전위로 향하여 저하하고, 신경 세포는 재분극하며, 그 후 과분극 상태가 된다. 이 전위 저하는 활동 전위의 하강상(falling phase)을 구성한다.

막 전위가 충분히 낮아지면, 불활성화 게이트가 다시 열리고, 활성화 게이트는 닫힌다. 이 과정은 탈불활성화라고 불리며, 다시 통로가 활동 전위의 생성 과정에 참여할 준비가 된다.

스스로 불활성화가 일어나지 않는 이온 통로에서는 지속적인 활성화 상태(persistently active 또는 tonically active)가 된다. 일부 이온 통로는 원래 이러한 지속적 활성화를 하는 성질을 가지지만, 유전적 돌연변이에 의해 그 외의 통로에서 지속적 활성화가 일어나면, 특정 종류의 신경 세포에서 과도한 활성화가 일어나 질환의 원인이 된다. 나트륨 통로의 불활성화를 방해하는 변이는, 창 전류(window current, 윈도우 전류)에 의한 근육 및 신경 세포의 과도한 활성화를 일으키고, 심혈관 질환 및 간질 발작에 기여한다.

7. 약리학적 조절

다양한 약물 및 독소가 나트륨 통로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나트륨 통로는 차단제, 활성화제, 게이트 기능 조절제 등 세 가지 주요 약리학적 기작을 통해 영향을 받는다.

7. 1. 차단제 (Blockers)

나트륨 통로의 기능을 억제하는 약물에는 테트로도톡신, 국소 마취제 등이 있다.

7. 2. 활성화제 (Activators)

다음은 자연적으로 생성되어 지속적으로 나트륨 통로를 활성화(개방)하는 물질이다.

7. 3. 게이트 기능 조절제 (Gating modifiers)

다음 독소는 나트륨 통로의 개폐 기능을 변화시킨다.

8. 누설 나트륨 통로 (NALCN)

NALCN(나트륨 누설 채널, 비선택적)은 전압이나 리간드에 의해 개폐되지 않고 항상 열려 있는 나트륨 통로이다. 작은 배경 전류를 "누설"하여 뉴런의 안정 막 전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35] 대부분의 동물에서 단일 유전자가 NALCN 단백질을 암호화한다.[38]

8. 1. 구조적, 기능적 차이

NALCN은 다른 나트륨 통로와 기본 구조는 같지만, 전압 변화에 대한 민감성은 낮다. NALCN의 전압 감지 S4 막 횡단 도메인은 양전하 아미노산이 적어(전압 개폐 채널의 21개 대신 13개) 전압에 민감하지 않은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35] 또한 NALCN은 Na+ 이온에 대한 선택성이 낮고, Ca2+ 및 K+ 이온도 투과시킨다. NALCN 기공 필터 도메인의 EEKE 아미노산 모티프는 전압 개폐 칼슘 채널의 EEEE 모티프, 전압 개폐 나트륨 채널의 DEKA 모티프와 유사하여 이온 선택성이 낮은 이유를 설명한다.[38]

NALCN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 경로 및 화학 물질.


NALCN은 테트로도톡신 등 일반적인 나트륨 채널 차단제에는 차단되지 않지만, Gd3+베라파밀에는 비특이적으로 차단된다.[39] 물질 P와 뉴로텐신은 각각의 GPCR을 통해(결합된 G 단백질과 독립적으로) Src 계열 키나제를 활성화하고, 이는 UNC80 활성화를 통해 NALCN의 투과성을 증가시킨다.[40] 아세틸콜린 또한 M3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통해 NALCN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41] 반대로 세포외 Ca2+ 농도가 높으면 CaSR이 활성화되어 UNC80을 억제, NALCN 투과성을 감소시킨다.[42]

8. 1. 1. 단백질 복합체

NALCN은 UNC79, UNC80, FAM155A 단백질과 복합체를 이룬다.[43][44][45] UNC79는 NALCN의 막 안정성과 UNC80과의 연결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44] UNC80은 여러 경로를 통해 NALCN의 화학적 조절을 매개한다.[35][42][41][40] FAM155A는 소포체에서 단백질 접힘을 돕고, 축삭으로의 수송을 보조하며, 막 안정성에 기여한다.[45]

8. 2. 생물학적 기능

신경 세포의 안정 막 전위는 보통 -60mV에서 -80mV 사이인데, 주로 -90mV의 K+ 전위에 의해 결정된다. K+ 전위에서 벗어나는 탈분극은 주로 작은 Na+ 누설 전류 때문에 일어난다. 이 전류의 약 70%는 NALCN을 통해 흐른다.[39] NALCN 투과성이 증가하면 안정 막 전위가 낮아져 활동 전위의 임계값(-55mV)에 더 가까워지고, 이는 신경 세포의 흥분성을 증가시킨다.

8. 3. 병리학적 역할

NALCN의 돌연변이는 쥐의 호흡 리듬을 심각하게 교란시키고,[39] 파리의 일주기 운동을 변화시킨다.[46] NALCN의 돌연변이는 또한 여러 심각한 발달 장애[47] 및 경부 연축과 관련이 있다.[48] 조현병양극성 장애 역시 NALCN의 돌연변이와 관련이 있다.[49]

9. pH 조절

운동, 허혈성 심장 질환, 허혈성 뇌졸중, 코카인 섭취와 같은 생리적, 병리적 상황에 따라 혈액과 조직의 pH가 변한다. 이러한 pH 변화는 나트륨 통로에 변이가 있는 환자에게서 전기적 신호 전달 이상에 의한 질환을 유발한다.[50] 프로톤은 나트륨 통로의 게이팅에 다양한 변화를 일으키는데, 주로 일시적인 나트륨 전류의 강도를 줄이고, 지속적인 나트륨 전류를 발생시키는, 불활성화되지 않는 통로의 비율을 늘린다. 이러한 현상은 신경, 골격근, 심장 조직의 질병 유발 변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특히 심장 나트륨 통로(Nav1.5)는 pH에 민감하게 반응한다.[83] 나트륨 통로의 프로톤 감수성을 높이는 변이는 이러한 영향을 더욱 심화시켜 전기적 질환의 급성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9. 1. 양성자 차단의 분자 기전

심근세포에서 얻은 단일 채널 데이터는 양성자가 개별 나트륨 통로의 전도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51] 나트륨 통로 선택성 필터는 4개의 기능적 도메인의 4개 공극 루프 각각에 있는 단일 잔기로 구성된다. 이 4개의 잔기는 DEKA 모티프라고 알려져 있다.[52] 나트륨 통로를 통한 나트륨의 투과율은 바깥쪽 전하 링을 구성하는 4개의 카르복실산 잔기인 EEDD 모티프에 의해 결정된다.[52] 이러한 카르복실산의 양성자화는 나트륨 통로에서 양성자 차단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지만, pH 감도에 기여하는 다른 잔기도 있다.[53] 그러한 잔기 중 하나는 심장 나트륨 통로의 C373이며, 이로 인해 현재까지 연구된 나트륨 통로 중에서 가장 pH에 민감한 나트륨 통로가 된다.[54]

9. 2. pH에 의한 게이트 기능 조절

심장 나트륨 통로는 pH에 가장 민감한 나트륨 통로이므로, 알려진 사실의 대부분은 이 통로에 기초한다. 세포 외 pH의 감소는 활성화 및 불활성화의 전압 의존성을 더 양의 전위로 탈분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운동과 같이 혈액 pH를 감소시키는 활동 동안 통로가 활성화되고 불활성화될 확률이 더 긍정적인 막 전위에서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는 잠재적인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55] 골격근 섬유에서 발현되는 나트륨 통로는 비교적 pH에 둔감한 통로로 진화했다. 이는 움직임 동안 혈액 pH 수준이 변화에 매우 민감하므로 골격근의 과흥분 또는 저흥분에 대한 보호 메커니즘으로 제안되었다.[56][57] 최근, 골격 나트륨 통로에서 주기적 마비와 근강직을 유발하는 혼합 증후군 돌연변이가 이 통로에 pH 민감성을 부여하여 이 통로의 게이팅이 심장 아형의 게이팅과 유사하게 만든다는 것이 밝혀졌다.[58]

9. 3. 아형 간 pH 조절 비교

프로톤화(protonation)의 영향은 Nav1.1–Nav1.5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이 채널 중에서, Nav1.1–Nav1.3과 Nav1.5는 산증에 의해 활성화의 전위 의존성이 탈분극 측으로 변화하지만, Nav1.4는 비감수성이다. 정상 상태에서의 빠른 불활성화의 전위 의존성은 Nav1.1부터 Nav1.4에서는 pH에 의한 변화가 일어나지 않지만, Nav1.5에서는 탈분극 측으로의 이동이 나타난다. 따라서, 지금까지 연구가 진행된 나트륨 채널 중에서는 Nav1.5가 가장 프로톤 감수성이 높고, Nav1.4가 가장 감수성이 낮은 하위 유형이다.

10. 진화

전압 의존성 나트륨 통로는 현존하는 생물종 중 동물과 가장 가까운 관계에 있다고 여겨지는 여름 편모충류의 구성원에게도 존재한다.[93][94] 이는 나트륨 통로가 동물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많은 단백질 중 하나이지만, 다세포성을 획득하기 이전에 진화했음을 시사한다.[95]

4개의 도메인으로 구성된 동물형 전압 의존성 나트륨 통로는 단일 서브유닛으로 구성된 이온 채널(아마도 칼륨 이온을 투과하는 채널)로부터 2번의 중복을 거쳐 진화한 것으로 생각된다.[96] 이 모델은 4개의 도메인 중 I과 III, II와 IV의 유사성이 더 높다는 점으로 지지되며, 첫 번째 중복에 의해 탄생한 2도메인으로 구성된 중간체는 2개의 도메인 사이에 충분한 차이가 생길 정도로 장기간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두 번째 중복의 결과, 2개의 유사한 세트로 구성된 4도메인 채널이 형성되었다.[96]

이 4도메인으로 구성된 채널은 주로 칼슘을 투과하는 것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나트륨에 대한 선택성은 그 후에 세균형 나트륨 채널과는 독립적으로 획득된 것으로 생각된다.[97][98] 무척추동물로부터의 다양화 이후, 척추동물의 계통에서는 2번의 전 게놈 중복(고배수성)에 의해 4개의 나트륨 채널의 유전자 파라로그가 생겼으며, 이들 모두가 보존되어 있다.[99][100]

진골어류와 사지동물의 분화 후, 진골어류에서는 3번째 전 게놈 중복이 일어난 것으로 보이며, 현대의 어류 중 다수는 8개의 나트륨 채널의 파라로그를 발현하고 있다.[99] 현대 포유류의 10개의 파라로그는 사지동물의 공통 조상에 존재했던 4개의 파라로그 중 2개가 평행형 또는 엇갈린 유전자 중복을 반복한 결과 생긴 것으로 생각된다.[100]

참조

[1] 서적 Principles of Neural Science https://archive.org/[...] McGraw-Hill
[2] 서적 Ion Channels of Excitable Membranes Sinauer
[3] 서적 The Alkali Metal Ions: Their Role in Life Springer 2016
[4] 논문 Overview of the voltage-gated sodium channel family
[5] 문서 Nicholls, Martin, Fuchs, Brown, Diamond, Weisblat. (2012) "From Neuron to Brain," 5th ed. pg. 86
[6] 논문 Local Anesthetics: Hydrophilic and Hydrophobic Pathways for the Drug-Receptor Reaction http://dx.doi.org/10[...] 1977
[7] 논문 Fenestrations control resting-state block of a voltage-gated sodium channel https://doi.org/10.1[...] 2018
[8] 논문 Characterizing fenestration size in sodium channel subtypes and their accessibility to inhibitors https://doi.org/10.1[...] 2022
[9] 논문 Structure of the Nav1. 4-β1 complex from electric eel https://doi.org/10.1[...] 2017
[10] 논문 Sodium channel beta subunits: anything but auxiliary 2001-02
[11] 논문 International Union of Pharmacology. XLVII. Nomenclature and structure-function relationships of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https://semanticscho[...] 2005-12
[12] 논문 Structure-guided unlocking of NaX reveals a non-selective tetrodotoxin-sensitive cation channel 2022-03-17
[13] 웹사이트 SCN1A infobase http://www.scn1a.inf[...] 2009-10-30
[14] 논문 The Role of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in Pain Signaling 2019-04
[15] 논문 V1.3) Regulation of Human Cerebral Cortical Folding and Oral Motor Development 2018-09
[16] 논문 The multifaceted cardiac sodium channel and its clinical implications 2012-09
[17] 논문 Loss-of-function of the voltage-gated sodium channel NaV1.5 (channelopathies)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2014-06
[18] 논문 De novo and inherited SCN8A epilepsy mutations detected by gene panel analysis 2017-01
[19] 논문 Sodium channel mutations in epilepsy and other neurological disorders null 2005-08
[20] 논문 A SCN9A gene-encoded dorsal root ganglia sodium channel polymorphism associated with severe fibromyalgia 2012-02
[21] 논문 From ionic currents to molecular mechanisms: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2000-04
[22] 논문 Primary structure and functional expression of the beta 1 subunit of the rat brain sodium channel 1992-05
[23] 웹사이트 Blackboard Server Unavailable https://blackboard.j[...] 2020-07-16
[24] 논문 Sodium channel beta subunits mediate homophilic cell adhesion and recruit ankyrin to points of cell-cell contact 2000-04
[25] 논문 Structural requirements for interaction of sodium channel beta 1 subunits with ankyrin 2002-07
[26] 논문 Neuromodulation of Na+ channels: an unexpected form of cellular plasticity 2001-06
[27] 논문 Contactin associates with sodium channel Nav1.3 in native tissues and increases channel density at the cell surface 2004-08
[28] 논문 Fibroblast growth factor homologous factor 2B: association with Nav1.6 and selective colocalization at nodes of Ranvier of dorsal root axons 2004-07
[29] 논문 Differential modulation of sodium channel Na(v)1.6 by two members of the fibroblast growth factor homologous factor 2 subfamily 2006-05
[30] 논문 Contactin associates with Na+ channels and increases their functional expression 2001-10
[31] 논문 Interaction of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with the extracellular matrix molecules tenascin-C and tenascin-R 1998-12
[32] 논문 Presenilin/gamma-secretase-mediated cleavage of the voltage-gated sodium channel beta2-subunit regulates cell adhesion and migration 2005-06
[33] 논문 Sodium channel beta1 and beta3 subunits associate with neurofascin through their extracellular immunoglobulin-like domain 2001-07
[34] 논문 Brugada Syndrome: Clinical, Genetic, Molecular, Cellular, and Ionic Aspects 2016-01
[35] 논문 Sodium leak channels in neuronal excitability and rhythmic behaviors 2011-12-22
[36] 논문 Electrophysiological analysis of the neurotoxic action of a funnel-web spider toxin, delta-atracotoxin-HV1a, on insect voltage-gated Na+ channels 2001-02
[37] 논문 Scorpion toxins specific for Na+-channels 1999-09
[38] 논문 Cloning of a novel four repeat protein related to voltage-gated sodium and calcium channels https://febs.onlinel[...] 1999-02-26
[39] 논문 The Neuronal Channel NALCN Contributes Resting Sodium Permeability and Is Required for Normal Respiratory Rhythm 2007-04-20
[40] 논문 Peptide neurotransmitters activate a cation channel complex of NALCN and UNC-80 2009-02-05
[41] 논문 The NALCN ion channel is activated by M3 muscarinic receptors in a pancreatic beta-cell line 2009-07-03
[42] 논문 Extracellular calcium controls background current and neuronal excitability via an UNC79-UNC80-NALCN cation channel complex 2010-11-04
[43] 논문 A putative cation channel, NCA-1, and a novel protein, UNC-80, transmit neuronal activity in C. elegans 2008-03-11
[44] 논문 A Putative Cation Channel and Its Novel Regulator: Cross-Species Conservation of Effects on General Anesthesia 2007-04-03
[45] 논문 Structure of the human sodium leak channel NALCN in complex with FAM155A 2020-11-17
[46] 논문 The Ion Channel Narrow Abdomen Is Critical for Neural Output of the Drosophila Circadian Pacemaker 2005-12-02
[47] 논문 Mutations in NALCN cause an autosomal-recessive syndrome with severe hypotonia, speech impairment, and cognitive delay 2013-10-03
[48] 논문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in cervical dystonia demonstrates possible association with sodium leak channel 2014-02-01
[49] 논문 A genome-wide meta-analysis identifies novel loci associated with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https://www.scienced[...] 2010-12-01
[50] 서적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Structure, Function and Channelopathies 2018-02
[51] 논문 Effects of external protons on single cardiac sodium channels from guinea pig ventricular myocytes 1991-12
[52] 논문 On the structural basis for size-selective permeation of organic cations through the voltage-gated sodium channel. Effect of alanine mutations at the DEKA locus on selectivity, inhibition by Ca2+ and H+, and molecular sieving 1997-12
[53] 논문 Role of outer ring carboxylates of the rat skeletal muscle sodium channel pore in proton block 2002-08
[54] 논문 Acidosis differentially modulates inactivation in na(v)1.2, na(v)1.4, and na(v)1.5 channels 2012
[55] 논문 Proton sensors in the pore domain of the cardiac voltage-gated sodium channel 2013-02
[56] 논문 Isoform-dependent interaction of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with protons 2006-10
[57] 논문 Blood and muscle pH after maximal exercise in man 1972-03
[58] 논문 A Mixed Periodic Paralysis & Myotonia Mutant, P1158S, Imparts pH-Sensitivity in Skeletal Muscle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2018-04
[59] 논문 Effects of acidosis on neuronal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Nav1.1 and Nav1.3 2018-10
[60] 서적 Principles of Neural Science https://archive.org/[...] McGraw-Hill
[61] 서적 Ion Channels of Excitable Membranes Sinauer
[62] 논문 Overview of the voltage-gated sodium channel family
[63] 문서 Nicholls, Martin, Fuchs, Brown, Diamond, Weisblat. (2012) "From Neuron to Brain," 5th ed. pg. 86
[64] 서적 Cardiac electrophysiology methods and models https://www.worldcat[...] Springer 2010
[65] 논문 Sodium channel beta subunits: anything but auxiliary 2001-02
[66] 웹사이트 IUPHAR - International Union of Basic & Clinical Pharmacology https://iuphar.org/ 2019-12-01
[67] 논문 International Union of Pharmacology. XLVII. Nomenclature and structure-function relationships of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2005-12
[68] 웹사이트 SCN1A infobase http://www.scn1a.inf[...] 2009-10-30
[69] 논문 The Role of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in Pain Signaling 2019
[70] 논문 The multifaceted cardiac sodium channel and its clinical implications 2012-09
[71] 논문 Loss-of-function of the voltage-gated sodium channel NaV1.5 (channelopathies)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2014-06
[72] 논문 A SCN9A gene-encoded dorsal root ganglia sodium channel polymorphism associated with severe fibromyalgia 2012-02
[73] 논문 From ionic currents to molecular mechanisms: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2000-04
[74] 논문 Primary structure and functional expression of the beta 1 subunit of the rat brain sodium channel 1992-05
[75] 논문 Sodium channel beta subunits mediate homophilic cell adhesion and recruit ankyrin to points of cell-cell contact 2000-04
[76] 논문 Structural requirements for interaction of sodium channel beta 1 subunits with ankyrin 2002-07
[77] 논문 Contactin associates with Na+ channels and increases their functional expression 2001-10
[78] 논문 Interaction of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with the extracellular matrix molecules tenascin-C and tenascin-R 1998-12
[79] 논문 Sodium channel beta1 and beta3 subunits associate with neurofascin through their extracellular immunoglobulin-like domain 2001-07
[80] 논문 Brugada Syndrome: Clinical, Genetic, Molecular, Cellular, and Ionic Aspects 2016-01
[81] 논문 Electrophysiological analysis of the neurotoxic action of a funnel-web spider toxin, delta-atracotoxin-HV1a, on insect voltage-gated Na+ channels 2001-02
[82] 논문 Scorpion toxins specific for Na+-channels 1999-09
[83] 서적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Structure, Function and Channelopathies 2018-02
[84] 논문 Effects of external protons on single cardiac sodium channels from guinea pig ventricular myocytes 1991-12
[85] 논문 On the structural basis for size-selective permeation of organic cations through the voltage-gated sodium channel. Effect of alanine mutations at the DEKA locus on selectivity, inhibition by Ca2+ and H+, and molecular sieving 1997-12
[86] 논문 Role of outer ring carboxylates of the rat skeletal muscle sodium channel pore in proton block 2002-08
[87] 논문 Acidosis differentially modulates inactivation in na(v)1.2, na(v)1.4, and na(v)1.5 channels
[88] 논문 Proton sensors in the pore domain of the cardiac voltage-gated sodium channel 2013-02
[89] 논문 Isoform-dependent interaction of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with protons 2006-10
[90] 논문 Blood and muscle pH after maximal exercise in man 1972-03
[91] 논문 A Mixed Periodic Paralysis & Myotonia Mutant, P1158S, Imparts pH-Sensitivity in Skeletal Muscle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2018-04
[92] 논문 Effects of acidosis on neuronal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Nav1.1 and Nav1.3 2018-10
[93] 논문 Evolution of voltage-gated ion channels at the emergence of Metazoa 2015-02
[94] 논문 Evolution of sodium channels predates the origin of nervous systems in animals 2011-05
[95] 논문 The genome of the choanoflagellate Monosiga brevicollis and the origin of metazoans 2008-02
[96] 논문 Molecular evolution of voltage-sensitive ion channel genes: on the origins of electrical excitability 1993-01
[97] 논문 Independent acquisition of sodium selectivity in bacterial and animal sodium channels 2013-11
[98] 서적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Evolutionary History and Distinctive Sequence Features
[99] 논문 Differential evolution of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in tetrapods and teleost fishes 2011-01
[100] 논문 Expansion of voltage-dependent Na+ channel gene family in early tetrapods coincided with the emergence of terrestriality and increased brain complexity 2011-04
[101] 서적 Principles of Neural Science https://archive.org/[...] McGraw-Hill
[102] 서적 Ion Channels of Excitable Membranes https://archive.org/[...] Sinau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