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내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민은 후한 시대에 태어나 촉한에서 활동한 학자이자 관료이다. 그는 좌전에 정통하고 고대 중국 서체 연구에 능했으며, 유비, 유선, 제갈량 등을 섬겼다. 유선이 황제가 되자 호분 중랑장, 군제주, 보군장군 등을 역임했으나, 과실로 면직과 복직을 반복했다. 특히 위나라의 침공 당시 비의에게 바둑을 두어 그의 능력을 시험한 일화가 유명하다. 진수는 그를 일대의 학자로 평가했으며, 아들 내충 또한 경학에 능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세기 사망 - 갈레노스
    갈레노스는 로마 제국의 의사이자 철학자, 문헌학자로, 그의 방대한 저술은 서구 및 이슬람 의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해부학적 관찰과 동물 실험을 통해 히포크라테스의 4체액설을 발전시키고 인체의 기능과 질병에 대한 이론을 구축하여 의학사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 3세기 사망 - 디오 카시우스
    디오 카시우스는 22년에 걸쳐 80권의 《로마사》를 저술한 그리스계 로마인 역사가이며, 코모두스 황제 시대에 원로원 의원을 지내고 아프리카 속주와 판노니아 총독을 역임했으며, 그의 저서는 로마 제정 중기의 정치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촉한의 정치인 - 황권
    황권은 삼국 시대 촉한과 위나라에서 활약한 인물로, 유비의 촉 정벌 이후 촉한의 신료가 되었으나 오나라 공격을 반대하다 받아들여지지 않자 위나라에 귀순하여 진남장군 등을 역임했으며, 아들 황숭은 촉에 남아 등애의 침공에 맞서 싸우다 전사했다.
  • 촉한의 정치인 - 양의
    양의는 촉한의 정치가로, 제갈량 사후 군 철수 임무 수행과 위연 제거에 공을 세웠으나, 좁은 소견과 과도한 야심으로 장완에게 밀려 불만을 품고 자결하여 능력과 인격의 조화 및 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한 교훈을 남겼다.
  • 2세기 출생 - 구수왕
    구수왕은 백제의 제6대 국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말갈, 신라와의 전쟁에서 주로 패배하고 가뭄과 기근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사반왕을 아들로 두었으나 비류왕과의 관계는 학계에서 논쟁이 되고 있고, 그의 치세는 백제 초기 왕권 경쟁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시기로 평가된다.
  • 2세기 출생 - 루키아노스
    루키아노스는 로마 제국 시대에 활동한 시리아 출신 작가로, 다양한 형식을 통해 가벼운 문명 비판과 풍자를 담았으며, 에피쿠로스적 쾌락주의 사상을 드러내고 르네상스 시대 이후 유럽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내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내민
원어 이름來敏
경달 (敬達)
신상 정보
출생기원후 160년대
출생지허난성신예현
사망기원후 260년대 (향년 96세)
아버지내염
친척내희 (조상)
황완 (매부)
자녀내종
관직 정보
직위집신장군 (執慎將軍)
재임 기간 시작알 수 없음
재임 기간 종료알 수 없음
군주유선
직위 1광록대부 (光祿大夫)
재임 기간 1 시작알 수 없음
재임 기간 1 종료알 수 없음
군주 1유선
직위 2대장추 (大長秋)
재임 기간 2 시작234년 이후
재임 기간 2 종료알 수 없음
군주 2유선
직위 3보군장군 (輔軍將軍)
재임 기간 3 시작227년 이후
재임 기간 3 종료234년 이전
군주 3유선
승상 3제갈량
직위 4군제주 (軍祭酒)
재임 기간 4 시작227년 이후
재임 기간 4 종료234년 이전
군주 4유선
승상 4제갈량
직위 5호분중랑장 (虎賁中郎將)
재임 기간 5 시작223년
재임 기간 5 종료알 수 없음
군주 5유선
승상 5제갈량
직위 6태자가령 (太子家令)
재임 기간 6 시작221년 이후
재임 기간 6 종료223년
군주 6유비
승상 6제갈량
기타 정보
직업관료, 학자

2. 생애

→ 광록대부(光祿大夫)〔유선〕
→ 호분중랑장(虎賁中郞將)〔유선〕
→ 보군장군(輔軍將軍) [유선]
→ 집신장군(執愼將軍) [유선]소속유장 → 유비 → 유선



유비가 익주를 점령한 후, 뇌민을 채용하여 교육부에서 일하게 했다.[8] 뇌민은 학자들과 함께 절차와 의례를 성문화하는 작업에 참여했지만, 이 프로젝트는 불화로 끝났다.

220년 후한이 멸망한 후, 뇌민은 유비가 221년에 건국한 촉한에서 벼슬했다.[9] 유비는 그를 유선 태자를 돌보는 가령(家令)으로 임명했다. 223년 유비 사후, 유선이 촉 황제가 되자,[10] 뇌민을 친위대인 호분(虎賁; "호랑이처럼 빠르다") 부대의 중랑장으로 임명했다.[11]

227년에서 234년 사이에 제갈량은 조위를 상대로 북벌을 시작했다.[12] 한중은 각 작전을 시작하는 기지로 사용되었다. 이 기간 동안 제갈량은 뇌민을 한중으로 소환하여 군제주(軍祭酒)와 보군장군(輔軍將軍)으로 임명하여 작전을 지원하도록 했다. 뇌민은 나중에 범죄를 저질러 직책을 박탈당했다.[13] 제갈량은 뇌민 해임 이유를 메모에 적었다.

234년 제갈량 사후,[15] 뇌민은 성도로 돌아와 황후의 대장추(大長秋)로 근무했다. 그는 나중에 다시 해고되었다가, 광록대부(光祿大夫)로 복직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해임되었다. 그는 말을 가려서 하지 않거나 부적절한 행동을 하여 여러 번 강등되거나 해고되었다.[16]

당시 뇌민의 오랜 논쟁 상대였던 맹광 역시 발언에 거침없기로 악명이 높았다. 맹광은 국가 기밀을 누설하고 부적절한 자리에서 정치에 대해 논했지만, 둘 다 학식 있는 유학자로서 높은 명성을 유지하여 가벼운 처벌을 받았다.[17] 뇌민은 엘리트 집안 출신이고 유선이 태자였을 때 시종으로 근무했기 때문에 해고될 때마다 복귀할 수 있었다.[18]

촉 정부는 뇌민을 집신장군(執慎將軍)으로 임명하여 말과 행동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했다.[19] 그는 258년에서 263년 사이에 (동아시아식 나이로) 97세에 사망했다.[1]

아들 래충 또한 경학에 통달했으며, 래민의 풍모를 지녔다. 강유를 보좌하여 평가를 받았고, 참군이 되었다.

2. 1. 초기 생애

賴敏|뇌민중국어후한 말 신야현 사람으로, 160년대에 태어났다. 그의 조상은 광무제 밑에서 벼슬한 관리 뇌습이었다.[2] 아버지 뇌염은 학문에 정진하고 가신들에게 후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영제 치세 동안 사공의 지위에 올랐다.[3]

후한 말 혼란이 일어나자, 뇌민과 그의 누나는 어려움을 피해 남쪽 형주로 갔다. 뇌민의 누나는 익주 자사 유장의 외할머니의 조카인 황완과 결혼했다. 유장은 그들이 형주에 있다는 소식을 듣고 그들을 익주로 데려오도록 사람을 보냈다. 뇌민은 누나와 매형을 따라 익주로 갔고, 유장은 그를 손님처럼 대했다.[4]

뇌민은 학식이 깊고, ''좌전''에 정통하며, ''창힐편''과 ''이아''와 같은 사전 편찬에 특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그는 고대 중국 서체 연구를 즐겼다.[5] 그는 익주에 거주하는 또 다른 손님 학자인 맹광과 ''춘추''에 대해 자주 논쟁을 벌였는데, 각자 다른 주석을 선호했기 때문이다. 뇌민과 맹광은 각각 ''좌전''과 ''공양전''을 전문으로 했다. 맹광은 뇌민과의 논쟁에서 시끄럽고 짜증나는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6]

2. 2. 유장 섬김

후한 말, 큰 혼란이 일어나자 내민은 누이와 함께 남쪽으로 도망쳐 형주(지금의 후베이성후난성)로 갔다. 내민의 누나는 익주(지금의 쓰촨성충칭시) 자사 유장의 외할머니의 조카인 황완과 결혼했다.[4] 유장은 그들이 형주에 있다는 소식을 듣고 그들을 익주로 데려오도록 사람을 보냈다. 내민은 누나와 매형을 따라 익주로 갔고, 유장은 그를 손님처럼 대했다.[4]

내민은 학식이 깊고, ''좌전''에 정통했으며, ''창힐편''과 ''이아''와 같은 사전 편찬에 특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그는 고대 중국 서체 연구를 즐겼다.[5] 그는 익주에 거주하는 또 다른 손님 학자인 맹광과 ''춘추''(춘추)에 대해 자주 논쟁을 벌였는데, 각자 다른 ''춘추'' 주석을 선호했기 때문이다. 내민과 맹광은 각각 ''좌전''과 ''공양전''을 전문으로 했다. 맹광은 내민과의 논쟁에서 시끄럽고 짜증나는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6]

2. 3. 유비 섬김

유비익주를 평정한 후, 전학교위(典學校尉)에 임명되었고, 허자, 호잠, 맹광과 함께 궁중 의례를 제정하는 데 힘썼다.[21] 유선이 태자로 책봉되자 유파에 의해 발탁되어 태자가령(太子家令)이 되었다.

유선촉한황제로 즉위하자 호분중랑장(虎賁中郞將)이 되었고, 제갈량한중군으로 부임하자 그의 요청으로 군제주(軍祭酒), 보군장군(輔軍將軍)이 되었지만, 어떤 사건에 연루되어 직을 떠났다. 제갈량 사후 대장추로 성도로 돌아왔지만, 면직되었고, 후에 다시 광록대부로 승진했다.

연희 7년 (244년), 조상촉한을 침공하여 왕평이 흥세산에서 대치하고 있었다. 이때 대장군 비의가 왕평을 지원하기 위해 출진하게 되었는데, 내민은 그를 찾아가 바둑 대결을 신청했다. 출진이 임박한 상황에서도 비의는 이에 응했고, 집중하여 대국에 임했다. 대국을 마친 내민은 "아까는 당신을 시험해 본 것입니다. 당신은 정말 믿을 만한 분입니다. 반드시 적을 물리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과연 비의가 출진하자 위군은 패주했다.[22]

2. 4. 유선 섬김

유비가 익주를 평정한 후, 내민은 전학교위(典學校尉)에 임명되었고, 허자, 호잠, 맹광과 함께 궁중 의례를 제정하는 데 힘썼다.[21] 유선이 태자로 책봉되자 유파의 추천으로 태자 가령(家令)이 되었다. 유선이 촉한황제로 즉위하자 호분 중랑장이 되었다.

244년, 위나라조상이 이끄는 군대가 한중을 침공하여 흥세산(興勢山)에 주둔하려고 하자, 유선은 비의에게 부절을 주어 왕평을 돕고 위군을 막도록 했다. 이때 내민은 비의를 찾아가 바둑 대결을 신청했고, 출진이 임박한 상황에서도 비의는 이에 응하여 대국에 집중했다. 대국을 마친 내민은 "아까는 당신을 시험해 본 것입니다. 당신은 정말 믿을 만한 분입니다. 반드시 적을 물리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그의 말대로 비의가 출진하자 위군은 패주했다.[22]

2. 5. 죽음

유선이 촉한황제로 즉위하자 호분 중랑장이 되었고, 제갈량한중군으로 부임하자 그의 요청으로 군제주, 보군장군이 되었지만, 어떤 사건에 연루되어 직을 떠났다. 제갈량 사후 대장추로 성도로 돌아왔지만, 면직되었고, 후에 다시 광록대부로 승진했다.

연희 7년 (244년), 조상이 이끄는 군대가 한중을 침공하여 흥세산(興勢山)에 주둔하려고 하자, 유선은 대장군 비의에게 부절을 주어 위나라 군대와 싸우고 있는 왕평을 도와 위군을 막도록 했다. 내민은 비의를 찾아가 바둑 대결을 신청했다. 출진이 임박한 상황에서도 비의는 이에 응했고, 집중하여 대국에 임했다. 대국을 마친 내민은 "아까는 당신을 시험해 본 것입니다. 당신은 정말 믿을 만한 분입니다. 반드시 적을 물리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과연 비의가 출진하자 위군은 패주했다.[22]

이후 과실을 범하여 면직되었지만, 다시 집신장군에 임명되었다. 잦은 면직은 그의 말에 절도가 없고, 행동이 비정상적이었기 때문이다. 경요 연간에 97세로 사망했다.[1]

3. 학문적 업적 및 평가

내민은 촉에 들어간 이후 유장의 빈객(賓客)으로 있었다. 진수는 삼국지에서 "덕업에 대한 칭찬은 없었지만, 실로 일대의 학자였다"라고 평가했다.[24]

3. 1. 학문적 업적

책을 많이 읽었으며 훈고학에 뛰어났다.[1]

3. 2. 평가

진수는 『삼국지』에서 내민에 대해 "덕업에 대한 칭찬은 없었지만, 실로 일대의 학자였다"라고 평했다.[24]

4. 가계

내민의 아들 내충(來忠)은 유교 경전에 정통했으며 성품이 아버지를 닮은 것으로 알려졌다. 내충은 향충과 함께 촉나라 장수 강유를 칭찬했고, 강유는 그들을 기쁘게 여겨 군 참군(參軍)으로 임명했다.[20]

5. 기타

나관중의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제갈량의 제1차 북벌에 앞서 이름만 언급된다. 제사에 관련된 직책인 제주(祭酒)에 임명되어 성도에 잔류하며, 다른 문관들과 함께 정무를 맡았다.[25]

참조

[1] 서적 Sanguozhi
[2] 서적 Houhanshu
[3] 서적 Sanguozhi
[4] 서적 Sanguozhi
[5] 서적 Sanguozhi
[6] 서적 Sanguozhi
[7] 서적 Zizhi Tongjian
[8] 서적 Sanguozhi
[9] 서적 Zizhi Tongjian
[10] 서적 Zizhi Tongjian
[11] 서적 Sanguozhi
[12] 서적 Zizhi Tongjian
[13] 서적 Sanguozhi
[14] 서적 Zhuge Liang Ji
[15] 서적 Zizhi Tongjian
[16] 서적 Sanguozhi
[17] 서적 Sanguozhi
[18] 서적 Sanguozhi
[19] 서적 Sanguozhi
[20] 서적 Sanguozhi
[21] 서적 三国志 蜀書 許慈伝 http://s:zh:三國志/卷42#[...]
[22] 서적 三国志 蜀書 費禕伝 http://s:zh:三國志/卷44#[...]
[23] 서적 三国志 蜀書 孟光伝 http://s:zh:三國志/卷42#[...]
[24] 서적 三国志 蜀書 杜周杜許孟来尹李譙郤伝評 http://s:zh:三國志/卷42#[...]
[25] 서적 三國演義/第091回 http://s:zh:三國演義/第09[...]
[26] 문서 내민이 경요에 97세의 나이로 죽었다면, 내민의 생년은 162년 ~ 167년 사이이다.
[27] 문서 내민은 258년 ~ 263년 사이에 죽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