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레이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이름의 유래
네레우스라는 이름이 호메로스에게 알려졌는지 여부는 알 수 없지만, 네레이데스라는 이름은 그보다 먼저 증명되었으며, ''일리아스''에서 찾을 수 있다.[3] 네레우스는 네레이데스의 아버지로서만 관련이 있기 때문에, 그의 이름이 실제로 딸들의 이름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다는 제안이 있었으며,[4] 네레이데스가 네레우스에서 파생되었다는 가계적 의미도 제시되었다.[5] 마틴 리치필드 웨스트(1966)에 따르면, 네레우스는 딸들보다 훨씬 덜 중요하며, 헤로도토스가 "이집트에서 파생되지 않은 신성한 이름의 예로 네레우스가 아닌 네레이데스를 제시했다"고 언급했다.[6]
네레이데스는 바다의 아름다움과 자애로움을 상징하는 요정들이다. 이들은 아버지 네레우스를 따라 춤을 추고 아름다운 목소리로 노래하며, 붉은 산호 가지로 만든 왕관을 쓰고 금색으로 장식된 흰색 실크 가운을 입은 아름다운 여성으로 묘사된다.[8]
네레이드 중 가장 유명한 요정은 포세이돈의 아내가 된 암피트리테, 인간 펠레우스와 결혼하여 트로이아 전쟁의 영웅 아킬레우스를 낳은 테티스, 키클롭스 폴리페무스의 사랑을 받은 시칠리아의 갈라테이아 등이다.[8] 프사마테는 아이아코스 왕에 의해 아이기나의 포코스를 낳았고, 바다의 신 또는 고대 이집트의 왕인 프로테우스에 의해 테오클리메노스와 테오노에를 낳았다.[9] 키모도케, 탈리아, 네사에아, 스피오는 키레네의 무리에 속한 요정들이었다.[10] 이 넷은 다른 자매인 테티스, 멜리테, 파노페아와 함께 영웅 아이네아스와 그의 선원들이 폭풍우를 만났을 때 돕기도 했다.[11]
헤시오도스의 ''신통기'',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아폴로도로스의 ''비블리오테케'', 히기누스의 『신화집』에 등장하는 네레이데스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이 중 아가우에, 악타이에, 갈라테이아, 큐모토에, 스페이오, 뒤나메네, 도토, 네사이, 파노페, 프로토, 페루사는 4개의 문헌 모두에 공통적으로 등장한다. 암피트리테, 테티스, 프사마테와 같이 유명한 네레이데스도 일부 문헌에는 언급되지 않기도 한다.
[1]
문서
Aelian, De Natura Animalium 14.28
네레이데스의 이름은 현대 그리스 민속에서 νερά이드스(neráides|네라이데스el)로 남아 있다.[7]
2. 신화 속 네레이데스
특히 에게해와 관련이 깊으며, 아버지 네레우스와 함께 황금 궁전 깊숙한 곳에서 살았다.[8] 이들 중 가장 유명한 네레이드는 테티스(펠레우스의 아내이자 아킬레우스의 어머니), 암피트리테(포세이돈의 아내이자 트리톤의 어머니), 갈라테이아(키클롭스 폴리페모스가 짝사랑한 대상), 프사마테(아이아코스 왕과의 사이에서 아이기나의 포코스를 낳았고, 프로테우스와의 사이에서 테오클리메노스와 테오노에를 낳음)이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18권에서는 테티스가 죽은 파트로클로스를 위해 아킬레우스의 슬픔에 공감하여 울부짖자 그녀의 자매들이 나타난다.[9] 키모도케, 탈리아, 네사에아, 스피오는 키레네 무리에 속한 요정들이었다.[10] 이들은 나중에 테티스, 멜리테, 파노페아와 함께 아이네아스와 그의 선원들이 폭풍을 만났을 때 돕기도 했다.[11]
카시오페이아가 자신의 딸 안드로메다가 네레이데스보다 아름답다고 자랑하자, 이들은 분노했다. 포세이돈은 이들을 동정하여 에티오피아에 홍수와 바다 괴물을 보내고 공주를 희생하라고 요구했다.[12] 네레이데스는 인간에게 디오니소스와 페르세포네의 신비를 가르쳐주기도 했다.[13][14]
고대 미술에서 네레이데스는 포세이돈, 암피트리테, 테티스 등 바다의 신들을 수행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흑색상 그리스 도기에서는 옷을 완전히 갖춰 입고 아킬레우스의 영구차 근처에 서 있는 모습으로 나타나지만, 후대 도기 그림에서는 돌고래, 해마 등 해양 생물 위에 올라타거나 트리톤과 함께 무리지어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로마 시대 프레스코화와 석관에서도 비슷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팔레스트리나에서 발견된 에트루리아 청동 키스타에는 날개 달린 네레이데스가 묘사되어 있다.
잔토스(리키아, 소아시아)에서 발견된 대리석 묘소인 네레이드 기념비는 유명하며, 일부는 대영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꼭대기에는 기둥으로 둘러싸인 작은 신전이 있고, 그 사이에 네레이데스가 서 있다. 이들은 움직이는 모습과 펄럭이는 투명한 옷을 입고 묘사되었으며, 아티카-이오니아 양식으로 기원전 400년경에 제작되었다.
르네상스 시대와 바로크 시대에 네레이드는 분수와 정원 기념물을 장식하는 데 자주 사용되었다.
네레이데스는 그리스 여러 지역, 특히 카르다밀레[44], 코린토스 지협 등 항구 도시에서 숭배되었다.[45] 시인들은 이들의 아름다움과 거주지를 나타내는 별칭을 붙여주었다.
대부분의 네레이데스는 독립적인 신화를 갖지 않으며, 서사시에서는 바다와 관련된 이름을 붙여 나열하는 경우가 많다. 주요 네레이데스로는 포세이돈의 아내 암피트리테, 트로이 전쟁 영웅 아킬레우스의 어머니 테티스, 아이아코스의 아내 프사마테 등이 있다. 갈라테이아는 키클롭스 폴리페모스에게 사랑받았고, 페르세우스 전설에서는 카시오페이아가 딸 안드로메다가 네레이데스보다 아름답다고 자랑하여 포세이돈을 분노하게 했다.
네레이데스 목록은 헤시오도스의 『신통기』,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아폴로도로스의 『비블리오테케』, 히기누스의 『신화집』에 나타나 있다.
다음은 네레이데스 목록이다(동일 문헌 중복 제외, 『일리아스』는 테티스 포함).이름 철자(고대 그리스어) 철자(라틴어) 헤시오도스
(49명)호메로스
(34명)아폴로도로스
(45명)히기누스
(47명)아우토노에 Αὐτονόηel Autonoē ○ ○ 아가우에 Ἀγαύηel Agauē ○ ○ ○ ○ 악타이에 Ἀκταίηel Aktaiē ○ ○ ○ ○ 아프세우데스 Ἀψευδὴςel Apseudēs ○ ○ 아마테이아 Ἀμάθειαel Amatheia ○ ○ 암피토에 Ἀμφιθόηel Amphithoē ○ ○ 암피노메 Ἀμφινόμηel Amphinomē ○ ○ 암피트리테 Ἀμφιτρίτηel Amphitrītē ○[65] ○ 아레투사 Ἀρέθουσαel Arethūsa ○ 아이아이라 Ἴαιραel Iaira ○ ○ 이아나사 Ἰάνασσαel Īanassa ○ ○ 이아네이라 Ἰάνειράel Īaneira ○ ○ ○ 이오네 Ionē ○ 에이오네 Ἠιόνηel Ēionē ○ ○ 에우아고레 Εὐαγόρηel Euagorē ○ ○ 에우아르네 Εὐάρνηel Euarnē ○ 에우크란테 Εὐκράντηel Eukrantē ○ ○ 에우도라 Εὐδώρηel Eudōrā ○ ○ 에우니케 Εὐνίκηel Eunīkē ○ ○ 에우폼페 Εὐπόμπηel Eupompē ○ 에우몰페 Eumolpē ○ 에우리디케 Ευρυδίκηel Eurydíkē ○ 에우리메네 Εὐλιμένηel Eulimēnē ○ ○ 에라토 Ἐρατώel Eratō ○ ○ 에퓌레 Epyrē ○ 오피스 Ōpis ○ 오레이튀이아 Ὠρείθυιαel Ōrithyia ○ ○ 갈라테이아 Γαλάτειαel Galateia ○ ○ ○ ○ 칼리아나사 Καλλιάνασσαel Kallianassa ○ ○[66] 칼리아네이라 Καλλιάνειραel Kallianeira ○ 칼립소 Καλυψώel Kalypsō ○ 갈레네 Γαλήνηel Galēnē ○ 큐디페 Kȳdippē ○ 큐마톨레게 Κυματολήγηel Kȳmatolēgē ○ 큐모 Κυμώel Kȳmō ○ ○ 큐모토에 Κυμοθόηel Kȳmothoē ○ ○ ○ ○ 큐모도케 Κυμοδόκηel Kȳmodocē ○ ○ ○ 크산토 Xanthō ○ 글라우케 Γλαύκηel Glaukē ○ ○ ○ 글라우코노메 Γλαυκονόμηel Glauconomē ○ ○ 크란토 Krantō ○ 클리메네 Κλυμένηel Klymenē ○ ○[67] 클리오 Κλειώel Kleiō ○ 크레네이스 Krēnēis ○ 케토 Κητώel Kētō ○ 사오 Σαώel Saō ○ ○ 스페이오 Σπειώel Speiō ○ ○ ○ ○ 탈레이아 Θάλειαel Thaleia ○[68] ○ ○ 디오네 Διώνηel Diōnē ○ 데에이오페이아 Dēiopeia ○ 덱사메네 Δεξαμένηel Dexamenē ○ ○ 테티스 Θέτιςel Thetis ○ ○ ○ 테미스토 Θεμιστώel Themistō ○ 뒤나메네 Δυναμένηel Dynamenē ○ ○ ○ ○ 데로 Dērō ○ 토에 Θόηel Thoē ○ ○ 도토 Δωτώel Dōtō ○ ○ ○ ○ 도리스 Δωρίςel Dōris ○ ○ ○ 드뤼모 Drȳmō ○ 나우시토에 Nausithoē ○ 네오메리스 Neomēris ○ 네사이 Νησαίηel Nēsaiē ○ ○ ○ ○ 네소 Νησώel Nēsō ○ 네메르테스 Νημερτήςel Nēmertēs ○ ○ ○ 파시테아 Πασιθέαel Pasitheā ○ 파노파이아 Πανόπειαel Panopaia ○ 파노페 Πανόπηel Panopē ○ ○ ○ ○ 할리에 Ἁλίηel Haliē ○ ○ 할리메데 Ἁλιμήδηel Halimēdē ○ ○ 힙포토에 Ἱπποθόηel Hippothoē ○ ○ 힙포노에 Ἱππονόηel Hipponoē ○ ○ 필로도케 Phyllodokē ○ 프사마테 Ψαμάθηel Psamathē ○ ○ 풀리노에 Πουλυνόηel Poulynoē ○ 플렉사우레 Plēxaurē ○ 프로토 Πλωτώel Plōtō ○[69] ○ ○ ○ 프로토메데이아 Πρωτομέδειαel Prōtomedeia ○ 프로노에 Προνόηel Pronoē ○ 페루사 Φέρουσάel Pherousa ○ ○ ○ ○ 베로에 Beroē ○ 폴리노메 Polynomē ○ 폰토포레이아 Ποντοπόρειαel Pontoporeia ○ 폰토메두사 Pontomedūsa ○ 마이라 Μαῖραel Maira ○ ○ 메니페 Μενίππηel Menippē ○ 멜리테 Μελίτηel Melitē ○ ○ ○ ○ 라오메데이아 Λαομέδειαel Lāomedeia ○ 리게이아 Ligeia ○ 림노레이아 Λιμνώρειαel Limnōreia ○ ○ ○ Λυκωριάςel Lycōrias ○ 뤼시아나사 Λυσιάνασσαel Lȳsianassa ○ ○ 레아고레 Ληαγόρηel Leiagorē ○ 레우코토에 Leucothoē ○
3. 주요 네레이데스
카시오페이아가 자신의 딸 안드로메다가 네레이데스보다 더 아름답다고 자랑하여 이들을 분노하게 한 일화도 있다.[12]
4. 네레이데스 목록 (헤시오도스, 호메로스, 아폴로도로스, 히기누스)
이름 헤시오도스[70] 호메로스[15] 아폴로도로스[16] 히기누스 아가우에 ○ ○ ○ ○ 아레투사 ○ 아마테이아 ○ ○ 암피노메 ○ ○ 암피트리테 ○[65] ○ 암피토에 ○ ○ 아우토노에 ○ ○ 악타이에 ○ ○ ○ ○ 아프세우데스 ○ ○ 에우아고레 ○ ○ 에우아르네 ○ 에우도레 ○ ○ 에우리디케 ○ 에우크란테 ○ ○ 에울리메네 ○ ○ 에우니케 ○ ○ 에우폼페 ○ 에퓌레 ○ 에라토 ○ ○ 오레이튀이아 ○ ○ 오피스 ○ 갈라테이아 ○ ○ ○ ○ 갈레네 ○ 글라우케 ○ ○ ○ 글라우코노메 ○ ○ 네메르테스 ○ ○ ○ 네사이에 ○ ○ ○ ○ 네소 ○ 네오메리스 ○ 나우시토에 ○ 도리스 ○ ○ ○ 도토 ○ ○ ○ ○ 데로 ○ 데에이오페이아 ○ 덱사메네 ○ ○ 디오네 ○ 뒤나메네 ○ ○ ○ ○ 테티스 ○ ○ ○ 테미스토 ○ 토에 ○ ○ 마이라 ○ ○ 멜리테 ○ ○ ○ ○ 메니페 ○ 라오메데이아 ○ 레아고레 ○ 뤼시아나사 ○ ○ 리게이아 ○ 림노레이아 ○ ○ ○ 칼립소 ○ 칼리아나사 ○ ○[66] 칼리아네이라 ○ 케토 ○ 클리메네 ○ ○[67] 클리오 ○ 크레네이스 ○ 크란토 ○ 큐디페 ○ 큐마톨레게 ○ 큐모 ○ ○ 큐모도케 ○ ○ ○ 큐모토에 ○ ○ ○ ○ 크산토 ○ 탈레이아 ○[68] ○ ○ 파노페 ○ ○ ○ ○ 파노파이아 ○ 파시테아 ○ 페루사 ○ ○ ○ ○ 폰토메두사 ○ 폰토포레이아 ○ 폴리노메 ○ 프로노에 ○ 프로토 ○[69] ○ ○ ○ 프로토메데이아 ○ 플렉사우레 ○ 프사마테 ○ ○ 풀리노에 ○ 히포노에 ○ ○ 히포토에 ○ ○ 필로도케 ○
참조
[2]
간행물
NEREIDS, COLONIES AND THE ORIGINS OF ISEGORIA
https://www.academia[...]
2004
[3]
웹사이트
Νηρεύς – Ancient Greek (LSJ)
https://lsj.gr/wiki/[...]
[4]
서적
van Beek
2010
[5]
서적
van Beek
2010
[6]
서적
1966
[7]
서적
1968
[8]
웹사이트
Nereides
http://www.theoi.com[...]
2016-03-07
[9]
문서
Iliad 18.39–18.51
https://www.perseus.[...]
[10]
문서
Georgics 4.338
[11]
문서
Aeneid 5.825–5.826
[12]
문서
Apollodorus, 2.4.3; Hyginus, Fabulae 64, De Astronomica 2.10 with Euripides and Sophocles as the authority; Ovid, Metamorphoses 5.16 ff.
[13]
문서
Orphic Hymns 24.10
[14]
서적
The Gods of the Greeks
Thames and Hudson
[15]
문서
Iliad 18.39–18.51
https://www.perseus.[...]
[16]
문서
Theogony 240–262
https://www.perseus.[...]
[17]
문서
1.2.7
https://www.perseus.[...]
[18]
문서
Fabulae Preface
https://topostext.or[...]
[19]
웹사이트
Nereids
http://www.maicar.co[...]
2016-03-07
[20]
문서
1.2.2 & 1.4.5
http://data.perseus.[...]
[21]
문서
Georgics 4.346
http://data.perseus.[...]
[22]
문서
Georgics 4.343
http://data.perseus.[...]
[23]
문서
Theogony 349–361
https://www.perseus.[...]
[24]
문서
Georgics 4.341
http://data.perseus.[...]
[25]
문서
Theogony 349–361
https://www.perseus.[...]
[26]
문서
Dionysiaca 26.355
https://archive.org/[...]
[27]
문서
Georgics 4.341
http://data.perseus.[...]
[28]
문서
Georgics 4.345
http://data.perseus.[...]
[29]
문서
Theogony 349–361
https://www.perseus.[...]
[30]
문서
Georgics 4.339
http://data.perseus.[...]
[31]
문서
Georgics 4.338
http://data.perseus.[...]
[32]
문서
2.605
[33]
문서
Theogony 349–361
https://www.perseus.[...]
[34]
문서
Argonautica 1.130 ff.
[35]
문서
Georgics 4.336
http://data.perseus.[...]
[36]
서적
Fabulae
https://books.google[...]
[37]
문서
Dialogi Marini
[38]
서적
Aeneid
[39]
간행물
Homeric Hymn to Demeter
https://books.google[...]
[40]
서적
Fabulae
https://books.google[...]
[41]
서적
Georgics
http://data.perseus.[...]
[42]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43]
간행물
Homeric Hymn to Demeter
http://data.perseus.[...]
[44]
문서
[45]
문서
[46]
서적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 During the Rise of Greek Nationalism: Learning to be Greek
Springer
[47]
서적
Folktales of Greece: A Treasury of Delights
Greenwood Press/Libraries Unlimited
[48]
서적
"Женидба вилом и нерајдом: јужнословенско-грчке фолклорне паралеле" [Marrying a Fairy and a Nereid: South Slavic-Greek Folk Parallels]
https://dais.sanu.ac[...]
Балканолошки институт САНУ
[49]
논문
Folklore in Stories from the Dodecanese
1942
[50]
논문
Water Sources and the Sacred in Modern and Ancient Greece and Beyond
2009-12
[51]
논문
Folklore of the Greeks in America
1936
[52]
서적
Modern Greek Folklore and Ancient Greek Relig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53]
논문
Les néréides en Grèce, êtres toujours légendaires, aussi bien maritimes que terrestres
1982
[54]
서적
Modern Greek Folklore and Ancient Greek Relig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서적
Fairy Tales of Modern Greece
E. P. Dutton & Co.
[56]
논문
Greek Legends about Fairies and Related Tales of Magic
2010-12
[57]
논문
Alexander and the Water of Life
1937
[58]
웹사이트
Nereid Lake.
https://data.aad.gov[...]
[59]
문서
ヘーシオドス
[60]
문서
アポロドーロス
[61]
문서
ヘーシオドス
[62]
문서
ヒュギーヌス
[63]
문서
オウィディウス『祭暦』
[64]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65]
문서
ヘーシオドス『神統記』
[66]
문서
カルリアナッサ
[67]
문서
重複1
[68]
문서
タリアー
[69]
문서
ヘーシオドス『神統記』
[70]
서적
신통기
한길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