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블링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블링카는 '보석 정원' 또는 '보석 공원'을 의미하며, 티베트 라싸에 위치한 달라이 라마의 여름 궁전이다. 18세기 7대 달라이 라마 때 건설이 시작되어 여러 차례 증축되었으며, 3.6km²의 정원과 3.4km²의 숲을 포함한다. 노블링카는 2000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티베트 불교 최대 축제인 쇼뙨 축제(요구르트 축제)가 매년 8월에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베트의 궁전 - 포탈라궁
    포탈라궁은 티베트 라싸에 위치한 달라이 라마의 겨울 궁전이자 전통적인 거주지로, 17세기 롭상갸초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백궁과 홍궁으로 구성되어 티베트 불교의 중심지이자 역사와 문화를 상징하는 건축물로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 1783년 완공된 건축물 - 랄렐리 모스크
    랄렐리 모스크는 무스타파 3세가 의뢰하여 1760년에서 1763년 사이에 오스만 바로크 양식으로 건설되었으며, '튤립의 모스크'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는 이스탄불의 모스크로, 쿨리예의 중심이었으나 현재는 일부 시설만 남아 호텔로 재개발되었다.
  • 라싸시의 건축물 - 당번회맹비
    당번회맹비는 티베트의 역사, 지리,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아우르는 문서를 포괄하며, 티베트 제국 시기부터 중화인민공화국 지배에 이르기까지 티베트의 다양한 측면과 관련된 주요 조약 및 문서들을 다룬다.
  • 라싸시의 건축물 - 포탈라궁
    포탈라궁은 티베트 라싸에 위치한 달라이 라마의 겨울 궁전이자 전통적인 거주지로, 17세기 롭상갸초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백궁과 홍궁으로 구성되어 티베트 불교의 중심지이자 역사와 문화를 상징하는 건축물로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노블링카
기본 정보
노블링카, 2017년
노블링카 (2017년)
티베트어ནོར་བུ་གླིང་ག
로마자 표기Nor bu gling ga
중국어 (간체)罗布林卡
위치중국 티베트 자치구 라싸
좌표29°39′14″N 91°05′30″E
면적36 헥타르 (89 에이커)
일반 정보
종류궁전
종교티베트 불교
창건자7대 달라이 라마
설립1755년, 1783년 완공
개조1954년 - 1956년
세계유산 등재정보
이름라싸의 포탈라 궁, 조캉 사원, 노블링카
국가중국
유형문화유산
지정 연도2001년 (확장)
기준iii, iv, vi
지정 번호707
상세 정보
설명노블링카는 티베트 라싸에 있는 궁전이자 공원이다.

2. 명칭

표준 티베트어에서 노르부링카는 '보석 정원' 또는 '보석 공원'을 의미한다. ''링카''(གླིང་ག|gling gabo)라는 단어는 라싸를 비롯한 티베트의 여러 도시에서 모든 원예 공원을 부르는 일반적인 말이다.[5] 1966년 문화 대혁명이 시작되면서 노르부링카는 '인민 공원'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었다.[8]

3. 지리 및 환경

포탈라궁에서 서쪽으로 정도 떨어져 있으며, 라싸시 서쪽 교외의 키추강 강변에 자리 잡고 있다. 1740년대에 궁전 건설이 시작되었을 때, 이곳은 잡초와 관목이 무성하고 야생 동물들이 서식하는 황무지였다.[6]

의 고도에 위치한 이 공원에는 장미, 페튜니아, 접시꽃, 금잔화, 국화와 화분 속 허브 들이 심어져 있었으며 희귀 식물들도 있었다. 사과, 복숭아, 살구를 포함한 과일 나무들도 있었지만 (라싸에서는 과일이 익지 않았다), 포플러 나무와 대나무도 있었다. 전성기에는 노블링카 정원에 호수에 공작과 붉은부리 오리와 같은 야생 동물도 서식했다. 공원은 매우 크고 잘 조성되어 있어 자전거를 타고 주변을 돌아다니며 이 환경의 아름다움을 즐길 수도 있었다.[7] 이 정원은 피크닉 장소로도 애용되며, 특히 8월 초에 열리는 쇼뙨 축제('요구르트 축제')와 같은 연극, 춤, 축제를 위한 아름다운 장소를 제공한다. 가족들은 며칠 동안 정원에 캠핑을 하며 여름 날씨를 즐기면서 화려한 러그와 스카프로 임시 방풍막을 설치하기도 한다.

노블링카에는 달라이 라마에게 기증된 동물들을 수용하기 위해 원래 만들어진 동물원도 있다.

4. 역사

7대 달라이 라마 깰상 갸초(བསྐལ་བཟང་རྒྱ་མཚོ།, bskal bzang rgya mtsho) 때 처음 지어졌으며, 8대 달라이 라마 잠뺄 갸초(བྱམས་སྤེལ་རྒྱ་མཚ།, byams spel rgya mtsho) 때 여름 별장으로 공식 인정되었다.[23] 가장 초기의 건물은 7대 달라이 라마에 의해 지어졌고, 현재의 새로운 궁전은 1954년 현재의 달라이 라마에 의해 1956년 완공되었다.[23]

노블링카의 역사는 7대 달라이 라마가 건강 문제를 치료하기 위해 이 지역의 샘물을 여름 동안 사용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청나라는 달라이 라마가 휴식을 위한 정자로 궁전을 지을 수 있도록 허가했다. 이후 달라이 라마들도 이곳에서 학업(즉위 전)과 여름 휴양을 위해 머물렀기 때문에, 노블링카는 달라이 라마의 여름 궁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5]

8대 달라이 라마는 궁전과 정원 형태로 노블링카 단지에 많은 것을 추가했다. 그러나 6대부터 12대 달라이 라마가 젊은 나이에 의문의 죽음을 맞이했으며, 독살되었다는 추측도 있다. 노블링카 확장에 대한 대부분의 공은 13대와 14대 달라이 라마에게 돌아간다.[7]

1959년 3월 17일, 달라이 라마는 중국에 의해 체포될 것이라는 믿음 아래 노블링카 궁전에서 인도로 탈출했다. 이날 달라이 라마는 평범한 티베트인처럼 옷을 입고 어깨에 소총을 메고 궁전과 티베트를 떠나 인도로 망명을 요청했다. 당시 먼지 폭풍이 불어 그를 알아보는 사람은 없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달라이 라마와 그의 측근들은 궁전을 탈출하여 말에 올라 가족과 합류하여 인도로 향했다"고 한다. 중국은 이 "대탈출"을 이틀 후에야 발견했다. 일행은 히말라야 산맥을 2주 동안 여행했고, 마침내 인도 국경을 넘어 정치적 망명을 받았다.[11] 노블링카는 나중에 시위대에 의해 포위되었고 중국의 공격을 받았다.[11][12][13]

2000년 유네스코포탈라궁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했고, 2001년 노블링카를 포탈라궁 역사유적군으로 추가 등재했다.

5. 주요 건물

노블링카는 포탈라궁에서 서쪽으로 약 3km 떨어진 곳에 있는 여름 궁전이다. 포탈라궁은 겨울 궁전으로 사용되었다. 20세기 초반에 걸쳐 여러 건물이 추가되고 공원이 조성되었다.

7대 달라이 라마인 깰상 갸초(བསྐལ་བཟང་རྒྱ་མཚོ།|bskal bzang rgya mtshobo) 때 지어졌으며, 8대 달라이 라마인 잠뺄 갸초(བྱམས་སྤེལ་རྒྱ་མཚ།|byams spel rgya mtshobo) 때 〈여름 별장〉으로 공식화되었다.

노블링카에는 정원, 분수대, 수영장 등이 갖춰져 있다. 서쪽의 깰상 포당(བསྐལ་བཟང་བདེ་སྐྱིད་ཕོ་བྲང༌།|bskal bzang bde skyid pho brangbo, 깰상 데끼 포당)은 황금빛 모자를 쓴 형상을 하고 있으며, 처음 지어졌을 때 만들어진 것이다. 완전히 복원된 왕좌가 있는 방도 있다.[23]

정원은 사진 촬영 명소이며, 아름다운 극장이 있어 축제 때 춤을 추는 등 나들이 장소로 인기가 많다. 요구르트 축제가 열리는 8월 초에는 가족들이 캠핑을 하며 이웃과 친목을 다진다. 고도가 높아 덥지 않은 날씨 덕분이다.

매년 8월에는 티베트 불교의 최대 축제인 쇼뙨(ཞོ་སྟོན།|zho stonbo)제가 열리고, 이 시기 노블링카에서는 티베트 각지에서 모인 극단들이 티베탄 오페라(아쩨 하모, ཨ་ཅེ་ལྷ་མོ།|a ce lha mobo)를 공연한다.

2000년 유네스코포탈라궁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했고, 2001년 노블링카를 포탈라궁 역사유적군에 추가 등재했다.

노블링카의 동물원은 달라이 라마가 받은 동물들만 키우는 것으로 유명하다. 하인리히 하러는 달라이 라마를 도와 1950년대에 작은 영화관을 만들었다.

18세기에 지어진 노블링카 궁전과 경내 정원은 여러 차례 증축되었다. 3.6 km2의 정원 구역과 3.4 km2의 숲으로 덮인 푸른 목초지를 포함한 광대한 단지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정원"으로 불리며, "고원 산소 바"라는 별칭을 얻었다.[5][6]

노블링카는 "세계에서 가장 높고, 가장 크고, 가장 잘 보존된 고대 인공 정원"이며, 티베트 민족의 정원 가꾸기, 건축, 조각 예술이 어우러져 있다. 고대 티베트 역사와 관련된 30,000개의 문화 유물이 보존되어 있다.[5] 이 단지는 5개의 구역으로 나뉜다.

노블링카에서 가장 인상적인 구역은 남서쪽에 지어진 호수 궁전이다. 호수 중앙에는 세 개의 섬이 짧은 다리로 육지와 연결되어 있으며, 각 섬에는 궁전이 지어졌다. 말 마구간과 4채의 집에는 달라이 라마들이 중국 황제 및 기타 외국 귀빈으로부터 받은 선물이 보관되어 있었다.[7]

노블링카 단지 전체는 두 세트의 벽으로 구분되었다. 안쪽의 노란색 벽으로 둘러싸인 구역은 달라이 라마와 그의 수행원만 사용할 수 있었다. 관리들과 달라이 라마의 왕족은 안쪽 노란색 벽과 바깥쪽 벽 사이에서 생활했다. 궁전에 들어가는 방문객에게는 복장 규정이 적용되었다. 티베트 복장을 한 사람만 허용되었으며, 정문에서 경비병이 출입을 통제하고, 람도 돈둡 시대에 티베트에서 유행했던 서양식 모자를 쓴 사람은 출입을 금지했다. 공원 내에서 신발 착용은 금지되었다. 정문의 경비병은 귀족과 고위 관리에게 정식 경례를 했다. 하위 관리도 경례를 받았다. 노란색 벽 바깥쪽의 문은 삼엄하게 보호되었다. 달라이 라마와 그의 경호원만 이 문을 통과할 수 있었다. 노블링카 경계선을 순찰하는 경비견은 화합물 벽의 틈새에 갇혀 긴 야크 털 가죽 끈으로 묶여 있는 티베탄 마스티프였다.[7]

노블링카 벽의 경비견


노블링카의 동쪽 문에는 카타(존경의 표시로 제공되는 얇은 흰색 스카프)로 덮인 두 개의 설산 사자 조각상이 있다. 왼쪽에 있는 설산 사자에는 사자 새끼가 함께 있다. 신화 속 설산 사자는 티베트의 상징이며, 전설에 따르면 그들은 눈 덮인 봉우리에서 다른 봉우리로 뛰어넘는다. 대부분의 건물은 현재 폐쇄되었으며, 창고가 되거나 유지 보수 작업을 담당하는 사람들의 사무실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보이는 몇몇 추가 건물은 방문객을 위한 기념품 매점이다.[7]

5. 1. 깰상 포당 (깰상 데끼 포당)

제7대 달라이 라마인 켈상 갸초(1708–1757)의 이름을 딴 깰상 포당(정식 명칭은 "bskal bzang bde skyid pho brang")은 3층 건물로, 부처를 숭배하는 방, 침실, 서재, 중앙의 쉼터가 있다.[5] 입구 맞은편에는 2층 정자인 캄숨 질논이 있다. 제8대 달라이 라마인 잠펠 갸초(1758–1804)는 남동쪽 구역에 세 개의 사원과 주변 벽을 추가하여 궁전을 대폭 확장했으며, 티베트 각지에서 가져온 과일 나무와 상록수를 심어 공원을 활성화시켰다.[5] 켈상 포드롱의 북서쪽에는 호수 한가운데 있는 정자인 초킬 포드롱과 첸실 포드롱이 있다.

켈상 궁전은 켈상 갸초가 지었으며, 황모파 건축의 아름다운 예이다. 달라이 라마들은 이 궁전의 1층에서 쇼튼 축제 기간 동안 캄숨 질논 맞은편에서 열리는 민속 오페라를 관람했다. 완전히 복원된 옥좌실도 흥미롭다.[16]

5. 2. 캄숨 질논

캄숨 질논은 노블링카 입구 맞은편에 있는 2층짜리 정자이다. 제7대 달라이 라마 켈상 갸초가 지은 켈상 포당(정식 명칭은 "bskal bzang bde skyid pho brang") 왼쪽에 있는 건물군은 3층 규모로, 부처를 모시는 방, 침실, 서재, 중앙 쉼터가 있다.[5] 제8대 달라이 라마 잠펠 갸초는 남동쪽 구역에 세 개의 사원과 주변 벽을 추가하여 궁전을 크게 넓혔다.[5][6][15] 역대 달라이 라마들은 켈상 궁전 1층에서 쇼튼 축제 기간 동안 캄숨 질논 맞은편에서 열리는 민속 오페라를 관람했다.[16]

5. 3. 초킬 포드롱

제7대 달라이 라마 켈상 갸초의 켈상 포드롱 북서쪽, 호수 한가운데 있는 정자가 초킬 포드롱이다.[5][6][15]

5. 4. 첸실 포드롱

제8대 달라이 라마 잠펠 갸초(1758–1804)는 노블링카 궁전을 대폭 확장하여 남동쪽 구역에 세 개의 사원과 주변 벽을 추가하고, 티베트 각지에서 가져온 과일 나무와 상록수를 심어 공원을 활성화시켰다.[5] 켈상 포드롱의 북서쪽에는 호수 한가운데 있는 정자인 초킬 포드롱과 첸실 포드롱이 있다.

5. 5. 골든 포드롱

잠펠 갸초켈상 갸초 시대에 지어진 켈상 포드롱 북서쪽에 있는 초킬 포드롱(호수 한가운데의 정자)과 첸실 포드롱 외에 남동쪽 구역에 세 개의 사원과 주변 벽을 추가하여 궁전을 대폭 확장했다. 또한 티베트 각지에서 가져온 과일 나무와 상록수를 심어 공원을 활성화했다. 1922년에는 후원자가 골든 포드론을 지었고, 제13대 달라이 라마 시대에 건물군이 지어졌다. 골든 포드론은 노블링카 서쪽에 있다.[1]

5. 6. 탁텐 미규르 포드롱

14대 달라이 라마가 1954년에 짓기 시작하여 1956년에 완공한 탁텐 미규르 포드롱은 사원과 별장을 합쳐 놓은 듯한 건물로, 노블링카에서 가장 우아한 궁전으로 손꼽힌다.[5][6][15] 남쪽을 향하고 있는 이 '새 궁전'은 중앙 정부의 지원을 받아 지어졌다.[5][6][15]

이 건물은 티베트식 평평한 지붕을 가진 2층 구조로, 방, 홀, 예배당, 정원, 분수, 연못 등이 복잡하게 배치되어 있다.[6][17] 현대적인 티베트 양식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시설도 잘 갖춰져 있다. 1층에는 달라이 라마판첸 라마마오쩌둥 주석을 만났던 시기를 포함한 티베트 역사를 담은 301점의 그림(프레스코)이 있다.[6][17] 1986년에는 오래된 러시아제 라디오와 78rpm 레코드가 들어 있는 필립스 콘솔이 있었다고 한다.[1]

6. 문화 및 예술

포탈라 궁전에서 서쪽으로 3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노블링카는 라싸시 서쪽 교외 키추강 강변에 자리 잡고 있다. 1740년대 제7대 달라이 라마 시기에 궁전 건설이 시작되었을 때, 이곳은 잡초와 관목이 무성하고 야생 동물들이 서식하는 황무지였다.[6]

3650m 고도에 위치한 이 공원에는 장미, 페튜니아, 접시꽃, 금잔화, 국화와 화분 속 허브들이 심어져 있었으며 희귀 식물들도 있었다. 사과, 복숭아, 살구를 포함한 과일 나무들도 있었지만 (라싸에서는 과일이 익지 않았다), 포플러 나무와 대나무도 있었다. 전성기에는 노블링카 정원에 호수에 공작과 붉은부리 오리와 같은 야생 동물도 서식했다. 공원은 매우 크고 잘 조성되어 있어 자전거를 타고 주변을 돌아다니며 이 환경의 아름다움을 즐길 수도 있었다.[7] 이 정원은 피크닉 장소로도 애용되며, 특히 8월 초에 열리는 쇼둔 축제(요구르트 축제)와 같은 연극, 춤, 축제를 위한 아름다운 장소를 제공하며, 가족들은 며칠 동안 정원에 캠핑을 하며 여름 날씨를 즐기면서 화려한 러그와 스카프로 임시 방풍막을 설치했다.

노블링카에는 달라이 라마에게 기증된 동물들을 수용하기 위해 원래 만들어진 동물원도 있다. 하인리히 하러는 1950년대에 제14대 달라이 라마가 그곳에 작은 영화관을 짓는 것을 도왔다.

7. 복원 및 보존

텐진 갸초가 인도로 도피하기 전 머물렀던 달라이 라마의 노블링카 궁전은 문화 혁명 기간 동안 광범위한 피해를 입었으나, 2001년 중국 정부가 복원을 결의하여 복원 작업이 진행되었다.[18][19] 2002년 중국 중앙 정부는 67.4억위안 (8.14억달러)의 보조금을 승인하여 켈상 포드론 궁전, 카샤크 내각 사무실 및 기타 구조물을 복원했다.[19]

노블링카는 1988년 국무원에 의해 "국가 중요 문화 유물 단위"로 지정되었고, 2001년 유네스코는 "포탈라 궁전의 역사적 앙상블"의 일부로 세계 유산으로 등재했다.[2] 이 역사적 앙상블은 포탈라 궁, 조캉 사원 수도원, 노블링카 등 세 개의 기념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티베트 예술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유네스코는 "전통 티베트 건축물의 유적 보존"을 등재 이유로 명시했는데, 이는 중국 통치하에 티베트에서 진행된 광범위한 현대 개발 속에서 주목할 만하다. 중국 국가 관광청은 2001년 노블링카를 "국가 관광 (명소) 수준의 4A 등급"으로 분류했으며, 1959년에는 공원으로 지정되었다.[5][7]

8. 축제

노블링카의 정원은 사진 촬영 명소이다. 아름다운 극장이 있어 축제 때 춤을 추는 사람들이 많고, 나들이 장소로도 인기가 높다. 8월 초에는 가족들이 캠핑을 하며 이웃들과 친목을 다지는 시간을 갖기도 한다. 고도가 높아 날씨가 덥지 않아 야외 활동이 가능하다.

8. 1. 쇼뙨 축제 (요구르트 축제)

매년 8월에는 티베트 불교의 최대 축제인 ‘쇼뙨(ཞོ་སྟོན།, zho ston)제’가 열리며, 이 시기에 노블링카에서 티베트 각지에서 모인 극단이 티베탄 오페라(아쩨 하모, ཨ་ཅེ་ལྷ་མོ།)를 공연한다. 특히 이 시기는 축제를 즐기려는 티베트인들로 활기가 넘친다.[23]

쇼 둔 축제에서 춤을 추는 모습, 노블링카, 1993


쇼뙨 축제(Shoton Festival)는 (일반적으로 "요구르트 축제"로 알려짐) 노블링카에서 열리는 연례 축제이다. 축제 날짜는 티베트 달력에 따라 정해지며, 이 달력은 음력을 기반으로 한다. 이 축제는 보름달 기간의 첫 7일, 즉 그레고리력으로 7월/8월에 해당하는 일곱 번째 달에 열린다. 일주일 동안 축제는 먹고 마시는 행사로 진행되며, 티베트 오페라 공연인 '아체 라모'가 하이라이트로 공원과 도시의 다른 장소에서 열린다. 이 행사에서는 야크 경주가 라싸 경기장에서 특별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이 축제 기간 동안, 티베트 각 지역의 유명한 오페라 극단들이 노블링카 구역에서 공연을 펼친다. 최초의 오페라 극단은 티베트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로 여겨지는 탕통 겔포에 의해 15세기에 설립되었다. 수 세기 동안 '백색 가면 종파'와 "혁신적인" '흑색 가면 종파'의 다른 오페라 형식이 레퍼토리에 추가되었으며, 이 모든 형식과 이후의 혁신은 쇼 둔 축제에서 공연된다.[20][21][22] 중국은 정부의 후원하에 티베트 음악과 춤을 곁들여 노블링카 구역에서 중국 달력의 휴일을 기념하며, 티베트인들도 이 장소에서 티베트 음악과 춤으로 전통 휴일을 기념한다.[7]

달라이 라마의 통치 기간(7대 달라이 라마부터) 동안, 포탈라 궁에서 노블링카 궁전으로의 연례적인 거처 이동 또한 정교한 축제 행사였다. 달라이 라마는 화려한 행렬을 통해 호송되어 노블링카 궁전에서 여름 시즌 6개월을 보냈다.[7]

9. 동물원

노블링카의 동물원은 달라이 라마가 받은 동물들만 키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인리히 하러는 달라이 라마를 도와 1950년대에 이곳에 작은 영화관을 만들었다.

10. 영화관

하인리히 하러달라이 라마를 도와 1950년대에 노블링카에 작은 영화관을 만들었다.[23]

참조

[1] 서적 Tibet 1986
[2] 웹사이트 World Heritage Committee Inscribes 31 New Sites on the World Heritage List https://whc.unesco.o[...] UNESCO 2001-12-13
[3] 웹사이트 Norbulingka Palace http://www.tibettour[...] Tibet Tours 2010-05-18
[4] 웹사이트 Norbulingka http://www.cultural-[...] Cultural China 2010-05-23
[5] 서적 Tibet China: travel guide https://books.google[...] 五洲传播出版社 2010-05-29
[6] 웹사이트 Norbulingka (the Summer Palace) http://www.travelchi[...] Travel China Guide 2010-05-29
[7] 서적 Tibet https://archive.org/[...] Bradt Travel Guides 2010-05-29
[8] 서적 Dragon In The Land Of Snows: The History of Modern Tibet since 1947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9] 서적 Himalaya Penguin
[10] 서적 The Dalai Lamas of Tibet Roli & Janssen, New Delhi
[11] 뉴스 Witness: Reporting on the Dalai Lama's escape to India https://www.reuters.[...] Reuters News Agency 2009-02-27
[12] 서적 Circle of protest: political ritual in the Tibetan uprising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d 2010-05-29
[13] 서적 In the footsteps of Gandhi: conversations with spiritual social activists https://books.google[...] Parallax Press 2010-05-29
[14] 서적 Seth
[15] 서적 The Dalai Lama: a biography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0-05-29
[16] 서적 The Power-places of Central Tibet: The Pilgrim's Guide Routledge & Kegan Paul, London and New York
[17] 서적 Chinese
[18] 서적 Chinese
[19] 서적 Chinese
[20] 웹사이트 China through a Lens http://www.china.org[...] China.org.cn 2010-05-23
[21] 서적 Tibet handbook: with Bhutan https://books.google[...] Footprint Travel Guides 2010-05-29
[22] 서적 Travelers' Tales Tibet: True Stories https://books.google[...] Travelers' Tales 2010-05-29
[23] 서적 The Power-places of Central Tibet: The Pilgrim's Guide Routledge & Kegan Paul, London and New Yor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