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누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비(Quilt)는 여러 겹의 천을 겹쳐서 바늘땀으로 연결하여 만드는 공예품으로, 보온, 장식, 또는 기념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퀼트는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시작되어 유럽, 아메리카, 아시아 등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패치워크, 아플리케, 퀼팅, 트라푼토 등 다양한 기법이 사용되며, 용도에 따라 침구, 의류, 갑옷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다. 퀼트는 결혼, 출산 등 중요한 이벤트를 기념하는 전통이 있으며, 가족이나 공동체의 여성들이 함께 만드는 공동체 활동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퀼트는 예술 작품으로도 전시되며, 관련 박물관과 단체,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로 제작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속 예술 - 저금통
    저금통은 동전을 비롯한 돈을 보관하는 용기로 오랜 역사를 가지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고, 현대에는 다양한 재료와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실용적인 기능 외에 인테리어 소품 등으로도 활용된다.
  • 민속 예술 - 애비 올드리치 록펠러
    애비 올드리치 록펠러는 미국의 사교계 명사이자 미술품 수집가, 자선가로서 뉴욕 현대미술관 공동 설립과 미국 민속 미술관 설립에 기여했으며,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에도 참여했다.
  • 미술 작품 - 예술품
    예술품은 시각 예술에서 미적 기능을 수행하는 객체를 의미하며, 문화적 맥락과 시대적 흐름에 따라 해석되고, 저작권, 문화재, 세금 등의 기준이 적용되며, 위조품 문제와 문화재 반환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진다.
  • 미술 작품 - 계단을 내려오는 누드 넘버 2
    마르셀 뒤샹이 1912년에 그린 "계단을 내려오는 누드 넘버 2"는 입체주의와 미래주의 영향을 받아 움직임을 표현한 유화 작품으로, 아모리 쇼 출품 당시 논란을 일으키며 미술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고 현재 필라델피아 미술관에 소장되어 현대 문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
  • 침구 - 죽부인
    죽부인은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유래한 대나무 냉방 용품으로, 시원한 성질과 통풍 구조로 고온다습한 여름철에 쾌적함을 제공하며, 현대에는 면이나 합성 섬유로도 제작되지만, 에어컨 보급으로 인기가 줄어들었음에도 한국 등 여러 국가와 지역 축제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침구 - 침낭
    침낭은 보온을 위해 사용되는 휴대용 침구류로, 다양한 형태와 충전재를 가지며, 유럽에서는 사용 온도를 표준화하고 부속품을 활용하여 쾌적성을 높인다.
누비
정의 및 역사
정의여러 겹의 천을 겹쳐 누빈 물건
어원라틴어 culcita (침대)
영어 cuilte
기원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으나 오랜 역사를 가짐.
역사적 용도침구
벽 장식
바닥 덮개
의류
종류 및 기법
제작 기법조각잇기 (Patchwork)
아플리케 (Appliqué)
자수 (Embroidery)
스타일아미쉬 퀼트 (Amish quilt)
볼티모어 앨범 퀼트 (Baltimore album quilt)
크레이지 퀼트 (Crazy quilt)
지즈 벤드 퀼트 (Quilts of Gee's Bend)
문화적 의미
미국시각적 역사 기록, 예술 형식으로 간주됨
한국보자기와 유사한 조각 잇기 문화

2. 역사

퀼트는 유럽의 한랭지에서 발상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보온을 위해 천에 솜을 넣은 것이 시작이라고 한다. 십자군 원정 때 감바존과 같은 방호복이나 보온복으로 유럽 각지에 퍼졌으며, 상류층 여성들 사이에서 수예의 일종으로 다양한 기법이 고안되었다.[4] 이후, 청교도의 미국 이민과 함께 미국으로 전해졌다.

고대 이집트에서도 천에 솜을 넣거나 자투리 천을 이어 붙이는 기법이 사용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스코틀랜드의 전통 의상인 킬트는 퀼트(quilt)와는 관련이 없다.

2. 1. 유럽

유럽의 퀼트 역사는 적어도 중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퀼트는 보온을 위한 의류와 침구류에 사용되었다. 화려한 직물과 실로 퀼팅된 의류는 귀족의 상징이 되기도 하였다. 잉글랜드의 헨리 8세의 가구 재산 목록에는 수십 개의 "퀼트"와 "커버포인트"가 기록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캐서린 오브 아라곤과의 첫 번째 결혼을 위해 금속 실로 퀼팅하고 장미석류로 작업한 녹색 실크 퀼트가 포함되어 있다.[33]

18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 랭커셔 면화 산업은 마르세유에서 만들어진 코디드 프로방스 퀼트를 모방하여, 무거운 코드 위사를 사용하여 이중 직물을 짜는 기계화된 기술로 퀼트를 생산했다.

퀼트는 르네상스 시대에 이탈리아에서 특히 흔했다. 현재 두 부분으로 나뉘어 보존되어 있는 유명한 사례 중 하나는 1360년에서 1400년 사이에 제작된 트리스탄 퀼트로, 시칠리아에서 제작된 린넨 텍스타일로, ''트리스탄과 이졸데''의 장면을 묘사하며, 빅토리아 앤 알버트 박물관과 피렌체의 바르젤로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35]

흰색 면으로 된 프로방스식 또는 "부티" 퀼트의 디테일


프로방스 퀼트는 현재 "부티"(프로방스어로 "채우기"를 의미)라고 불리기도 하며, 17세기부터 프랑스 남부에서 전통적으로 만들어진 단일 천 퀼트이다. 두 겹의 천을 퀼팅하여 디자인의 각 부분 사이에 솜을 넣어 입체적인 효과를 낸다.[36]

퀼트는 유럽의 한랭지에서 발상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보온을 위해 천에 솜을 넣은 것이 시작이라고 한다. Tristan Quilt영어 등이 십자군의 원정에 따라 감바존 등의 방호복과 보온복으로 유럽 각지로 퍼졌고, 상류 계급 여성의 수예로서 다양한 기법이 고안되었다.

2. 2. 아메리카

퀼트는 청교도들의 이민과 함께 미국으로 전해졌으며, 초기에는 옷감 부족으로 인해 남은 천 조각을 활용하는 실용적인 목적으로 제작되었다.[4] 수입 직물은 매우 비쌌고, 현지에서 손으로 짠 직물은 노동 집약적이었으며, 상업용 직물보다 빨리 닳았다. 따라서 대부분의 가정에서 직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보존하는 것은 필수적이었다.

센트럴 파크에서 열린 퀼트 축제, 1973


산업 혁명 이후 생활에 여유가 생기면서 퀼트에 장식성이 더해졌고, 다양한 모티프가 고안되었다. 19세기 중반에는 '퀼팅 비'라고 불리는 공동 작업 모임이 여성들의 주요 사교 활동으로 자리 잡았다. 퀼트는 종종 가족이나 더 큰 공동체의 모든 여성과 소녀들이 참여하는 공동체 활동이었다. 퀼팅 프레임은 퀼트 레이어를 늘리고 고른 장력을 유지하여 고품질 퀼팅 스티치를 만들고 많은 개별 퀼터가 한 번에 하나의 퀼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자주 사용되었다. 퀼트 축제는 많은 지역 사회에서 중요한 사회적 행사였으며, 일반적으로 농작업 수요가 많은 기간 사이에 열렸다. 퀼트는 결혼과 같은 주요 인생 행사를 기념하기 위해 자주 만들어졌다.

기금 마련 퀼트


20세기 초 여성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퀼트가 잠시 쇠퇴했지만, 1970년 퀼트 연구가 조나단 홀스타인의 컬렉션 공개 이후 예술의 하나로 재평가받았다.

윌리엄 러시 던턴은 퀼트를 직업 치료의 일부로 포함시켰으며, 미국 직업 치료 협회의 설립자인 그는 환자들이 치유 활동 및 치료적 전환으로 퀼트를 추구하도록 권장했다.[4]

국립 퀼트 박물관은 미국 남부의 켄터키주 파두카에 있으며, 퀼트 분야의 예술가와 취미 애호가들을 끌어들이는 연례 대회이자 축제인 퀼트위크를 개최한다.[6]

2. 2. 1. 아미시 퀼트

아미시 퀼트는 아미시의 삶의 방식을 반영한다. 종교적 헌신의 일환으로, 아미시 사람들은 의복과 생활 방식에서 "세속적인" 요소를 거부하기로 선택했으며, 퀼트 또한 역사적으로 이를 반영해왔지만, 오늘날 아미쉬는 다양한 스타일의 퀼트를 만들고 사용한다.[13] 전통적으로, 아미시는 공동체에서 승인된 색상과 스타일로, 옷과 자신들이 사용할 퀼트에만 단색을 사용한다. 펜실베이니아주 랭커스터에서 초기 아미시 퀼트는 일반적으로 가족 의류 품목에 사용된 것과 같은 천 뭉치에서 나온 단색의 가볍고 얇은 울 소재로 만들어졌으며, 많은 중서부 지역에서는 면이 주를 이루었다. 고전적인 아미시 퀼트는 종종 단순한 배경과 대비되는 퀼팅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골동품 아미시 퀼트는 수집가와 퀼트 애호가들 사이에서 가장 높이 평가받는다. 퀼트에 사용된 색상 조합은 전문가가 퀼트가 생산된 지역 사회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1970년대 이후, 아미시 퀼트 제작자들은 소비자 시장을 위한 퀼트를 제작해 왔으며, 북미 전역의 아미시 정착촌에 퀼트 영세 산업과 소매점이 등장했다.[13] 아미시가 만든 Patchwork quilt|패치워크 퀼트영어는 무지 천을 사용한 기하학적 무늬가 특징이다.

펜실베이니아주랭커스터 군 퀼팅 비(1941년)


의 아미시 컨트리 퀼트

2. 2. 2. 볼티모어 앨범 퀼트

볼티모어 앨범 퀼트는 1840년대 메릴랜드주 볼티모어 주변 지역에서 시작된 앨범 스타일의 퀼트로, 화려한 꽃무늬 아플리케와 풍경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무늬가 특징이다. 감리교 교파 여성들이 헌금을 모으거나 목사에게 선물하거나 결혼 축하 선물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1] 디자인은 꽃무늬가 주를 이루지만, 꽃 바구니, 화환, 건물, 책, 새 등 다른 모티프도 사용되었다. 이러한 디자인은 매우 상세하여 퀼트 제작자의 기술을 보여주었다.[1]

당시에는 새로운 염색 기술이 등장하여 퀼트 제작자들이 새롭고 대담한 색상을 사용했으며, 직물 인쇄 기술의 발전으로 직물에 음영을 주어 디자인에 3차원 효과를 더했다. 배경 직물은 주로 흰색이나 미색을 사용하여 섬세한 디자인과 대비를 극대화했다. 인도 잉크를 사용하여 손글씨를 추가하거나 블록에 서명할 수 있었다.[1]

아기 침대 앨범 퀼트(1850년경)

2. 2. 3. 크레이지 퀼트

크레이지 퀼트는 조각들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고, "크레이지"(금 가거나 갈라진) 도자기 유약처럼 퀼트 상단에 흩어져 있어서 그렇게 불린다. 원래는 매우 정교한 고급품이었다. 풍성한 직물의 기하학적인 조각들을 함께 꿰매고, 매우 장식적인 자수를 더했다. 이러한 퀼트들은 종종 19세기 말 부유한 가정의 바늘 기술 발전을 보여주는 자수 스티치와 기법의 효과적인 견본이었다. 따뜻함을 위한 것이 아니라 전시용으로 사용되는 전시 작품이었다. 고급 직물을 사용했기 때문에 자주 세탁할 수 없었다. 완성하는 데 종종 수년이 걸렸다. 사용된 직물에는 실크, 울, 벨벳, 린넨, 면 등이 있었다. 매끄러운 실크와 질감이 있는 브로케이드 또는 벨벳과 같은 직물 질감의 혼합이 사용되었다. 디자인이 표면에 적용되었고, 리본, 레이스, 장식용 코딩과 같은 다른 요소들이 풍성하게 사용되었다. 이름과 날짜는 종종 디자인의 일부였으며, 제작자의 중요한 사건이나 연관성을 기념하기 위해 추가되었다. 어떤 것들은 정치적인 내용을 포함하여, 인쇄된 선거 운동 손수건과 기타 인쇄된 섬유(광고용 실크 등)를 포함하여 제작자의 감정을 표현하기도 했다.[10]

2. 2. 4. 아프리카계 미국인 퀼트

아프리카계 미국인 퀼트는 중앙 및 서아프리카의 만데어, 요루바, 에자감, 콩고 등 네 개 문명의 섬유 전통이 조합된 것이다.[14][15] 카리브해, 중앙 아메리카, 미국 남부 전역에서 섬유가 활발하게 거래되면서 각 지역의 독특한 전통이 혼합되었다. 원래 대부분의 섬유는 남성들이 만들었으나, 노예로 끌려온 아프리카인들이 미국으로 오면서 전통적인 서구의 성 역할에 따라 작업이 나뉘었고, 여성들이 그 전통을 이어받았다.

Harriet Powers의 1898년 성경 퀼트


이러한 직조 전통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퀼트에 뚜렷한 흔적을 남겼다. 남성들의 전통적인 직조에 사용된 갈대와 천 조각을 연상시키는 조각 사용은 직물 퀼트에도 사용된다. 패턴의 틈새는 창조자 또는 착용자의 조상적인 힘의 부활을 상징했으며, 악령을 물리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악은 직선으로 이동한다고 믿어져 패턴이나 선의 틈새는 영혼을 혼란스럽게 하고 속도를 늦춘다고 여겨졌다. 이 전통은 유럽계 미국인 패턴에 대한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즉흥 연주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즉흥 연주와 다중 패턴의 전통은 퀼트를 복사하려는 사람으로부터 퀼터를 보호하고, 강한 소유 의식과 창의성을 허용한다.[16]

2010년 앨라배마주 지스 벤드의 퀼터들. 지스 벤드는 퀼트와 퀼트 제작자로 잘 알려져 있다.


안나 윌리엄스 (미국, 1927년 출생). ''퀼트'', 1995. 면, 합성섬유 브루클린 박물관


1980년대 미국에서 예술 퀼트 붐과 함께 아프리카계 미국인 전통과 혁신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쏟아졌다. 1976년 전시회에서 존 블라흐와 1979년 전시회를 공동 기획한 모드 왈먼은 조각 사용, 고대비 색상, 큰 디자인 요소, 다중 패턴을 특징으로 언급하며 흑인 음악의 리듬과 비교했다.[18] 퀼트와 음악 공연의 관계를 바탕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 퀼터 그웬돌린 앤 매기는 제임스 웰던 존슨의 "Lift Every Voice and Sing"(일반적으로 "흑인 국가"로 알려짐) 가사를 기반으로 한 12점의 전시회를 만들었다.[19]

2. 2. 5. 하와이안 퀼트

하와이안 퀼트


하와이안 퀼트는 1820년대에 영국인 선교사들에 의해 전해진 패치워크 퀼트가 독자적으로 발전한 것이다. 큰 천을 8번 접어 잘라내어 좌우대칭의 모티프를 만들며, 하와이에서는 자투리 천을 활용하는 습관이 없었기 때문에 큰 천을 일부러 잘게 잘라 사용했다고 한다. 파인애플이나 꽃 등 하와이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이 특징이다.[30]

2. 2. 6. 아메리카 원주민 스타 퀼트

별 모양 이불은 19세기 후반, 지역 사회가 보호 구역 생활의 어려움과 문화적 혼란에 적응하면서 아메리카 원주민 여성들 사이에서 등장한 퀼트 형태이다. 많은 부족들이 만들었지만, 특히 라코타족을 포함한 평원 부족과 관련이 깊다. 별 모양 패턴은 초창기 유럽계 미국 퀼트 형태에도 존재했지만, 많은 원주민 장인들에게 특별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31] 별 모양 이불은 단순한 예술 형식을 넘어, 이를 만드는 원주민 여성들의 중요한 문화적, 영적 가치를 표현하며, 치유 의식이나 유위피 의식, 기념식을 포함하여 의례와 개인의 삶에서 중요한 시점을 기념하는 데 계속 사용되고 있다. 비 메디슨 같은 인류학자들은 퀼트와 여성들의 바늘 작업 사회[32], 미국 정부에 의해 사냥과 보호 구역 밖 이동이 제한된 이후 유지하기 어려웠던 다른 공예 등, 이전의 중요한 보호 구역 이전 공예 전통 간의 중요한 사회적, 문화적 연결을 기록했다. 별 모양 이불은 또한 많은 아메리카 원주민 여성들의 수입원이 되었으며, 제작자들에게 영적, 문화적 중요성을 유지하고 있다.

2. 3. 아시아

일본에서는 1975년 시세이도가 주최한 퀼트 전시회를 계기로 퀼트 애호가가 늘어나기 시작했다.[38] 처음에는 패치워크 퀼트( Patchwork quilt영어)가 주류였지만, Trapunto quilting영어, 슬래시 퀼트, Crazy quilting영어 등 다양한 기법을 도입하며 발전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퀼트가 주로 취미의 범위에 있지만, 일본적인 감성으로 배색하거나 일본식 소재를 사용하여 만든 퀼트를 '재패니즈 퀼트'라고 부르기도 한다.[38]

현대 방글라데시 퀼트 (칸타)


칸타 문양


방글라데시에서는 칸타라고 불리는 퀼트가 만들어지는데, 낡은 옷(사리)을 여러 겹 겹쳐 장식적인 자수 스티치로 꿰매어 만든다.[37] 주로 침구로 사용되지만, 장식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신디 아플리케 퀼트


인도와 파키스탄 일부 지역에서는 랄리 퀼트가 만들어지며, 밝은 색상과 대담한 패턴이 특징이다.[38] 랄리는 파키스탄의 남부 지역인 신드, 발루치스탄, 펀자브 남쪽 경계의 촐리스탄 사막에서 만들어지며, 인도의 인접한 주 구자라트와 라자스탄에서도 만들어진다.

필리핀 카오하간 섬에서는 자유로운 배색과 남국적인 밝은 디자인이 특징인 '아일랜드 퀼트'가 만들어지고 있다.

3. 기법

퀼트는 여러 기법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크게 패치워크, 아플리케, 퀼팅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패치워크: 여러 조각의 천을 이어 붙여 하나의 큰 천을 만드는 기법이다.
  • 아플리케: 바탕 천 위에 모티프(무늬)를 바느질하는 기법이다.
  • 퀼팅: 미싱이나 특수한 롱 암 퀼팅 시스템을 사용하여 최소 두 겹의 천을 결합하는 과정이다. 스티치를 배열하여 천의 모든 겹을 통과시켜 3차원 패딩 표면을 만든다.
  • 트라푼토: 이탈리아에서 고안된 기법으로, 솜을 넣은 상태에서 퀼팅하고 뒷면에서 모티브 부분에 솜이나 털실을 채워 넣어 입체감을 강조한다.
  • 기타 기법:
  • 화이트 퀼트(홀클로스 퀼트): 겉감 한 장을 사용하고 퀼팅으로 무늬를 그리는 퀼트이다.[1]
  • 부티: 프랑스에서 고안된 기법으로, 솜을 넣지 않고 스티치 사이에 면사를 채워 넣어 올록볼록한 질감을 낸다.[1]
  • 셀틱 퀼트: 아일랜드 켈트족 전통 무늬를 사용하며, 바이어스 테이프를 사용하여 무늬를 만들고 퀼트 톱에 아플리케한다.[1]
  • 세미놀 퀼트: 플로리다 세미놀족의 무늬를 재현한 퀼트로, 미싱을 주로 사용하며 끈 모양의 천을 뜯어 한 장의 천으로 만들고 재배치하여 다시 꿰매는 기법을 사용한다.[1]
  • 슬래시 퀼트(슈리체): 16세기독일에서 고안된 기법으로, 여러 장의 천을 겹쳐 꿰매고 꿰맨 곳 사이에 칼집을 넣어 기모를 일으키는 기법이다.[1]
  • 스테인드글라스 퀼트: 아플리케의 봉제 부분에 검은 테두리를 넣어 스테인드글라스처럼 마무리하는 기법이다.[1]

3. 1. 패치워크 퀼트

패치워크는 여러 조각의 천을 이어 붙여 하나의 큰 천을 만드는 기법이다. 패치워크를 퀼트 제작에 사용할 때는 디자인이나 "블록"을 형성하기 위해 기하학적인 천 조각을 함께 꿰매는 경우가 많다. 파이싱이라고도 불리는 이 기술은 손바느질 또는 재봉틀로 수행할 수 있다.[9]

패치워크 퀼트


천 조각을 꿰매어 한 장의 천으로 만든 것(Patchwork|패치워크 (공예)|패치워크영어)을 탑으로 하여 만든 퀼트를 Patchwork quilt|패치워크 퀼트|패치워크 퀼트영어라고 한다. Foundation piecing|페이퍼 피싱|페이퍼 피싱영어은 밑그림에 도안을 옮겨, 그 밑그림째 천을 꿰매어 이어가는 기법이다.

패치워크는 기원전 3,400년 이집트에서 부터 시작되었으며, 인도, 파키스탄, 아시아 등에서도 전통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Chinese patchwork|차이나 패치워크|차이나 패치워크영어나 Bojagi|보자기|보자기영어(한국)가 알려져 있다.

끈 모양의 천을 직선으로 잇대어 만든 것은 패치워크 퀼트의 일종이다.

3. 2. 아플리케 퀼트

아플리케는 바탕 천 위에 모티프(무늬)를 바느질하는 기법으로 퀼트 윗면(top)을 만든다. 하와이안 퀼트도 아플리케 기법을 사용한 퀼트의 일종이다. 리버스 아플리케는 기본 천을 잘라내고 다른 천 조각을 기본 천 아래에 댄 후, 기본 천의 올이 풀린 가장자리를 안으로 접어 넣어 아래쪽 천에 꿰매는 방식이다. 이때 바늘땀은 최대한 눈에 띄지 않게 처리한다. 리버스 아플리케 기법은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위해 전통적인 아플리케 기법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아플리케 퀼트(부분 확대)


아플리케 퀼트나 패치워크 퀼트에는 "드레스덴 플레이트"나 "선 보닛 수"(일본에서는 "수"짱) 등의 블록이 사용된다.

선 보닛 수는 미국의 일러스트레이터 버사 코벳 멜처가 1900년대에 발표한 선 보닛을 쓴 캐릭터 "선보닛 베이비"를 1910년대에 퀼트 작가 마리 웹스터가 퀼트에 사용하면서 시작되었다.[1]

3. 3. 퀼팅

퀼팅은 미싱이나 특수한 롱 암 퀼팅 시스템을 사용하여 최소 두 겹의 천을 결합하는 과정이다. 스티치를 배열하여 천의 모든 겹을 통과시켜 3차원 패딩 표면을 만든다. 세 겹의 경우, 일반적으로 탑 패브릭 또는 퀼트 톱, 중솜(中綿) 또는 단열재, 그리고 안감(없는 경우도 있음) 등으로 불린다. 다이아몬드 패턴이 가장 일반적이며, 패턴의 형상을 제작 의뢰하거나, 패턴대로 미싱을 걸어 어떤 패턴이든 표현할 수 있다. 퀼트는 유럽의 한랭지에서 발상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보온을 위해 천에 솜을 넣은 것이 시작이라고 한다.

3. 4. 트라푼토

트라푼토는 이탈리아에서 고안된 기법으로, 솜을 넣은 상태에서 퀼팅하고 뒷면에서 모티브 부분에 솜이나 털실을 채워 넣어 입체감을 강조한다.

3. 5. 기타 기법

화이트 퀼트(홀클로스 퀼트)는 겉감 한 장을 사용하고 퀼팅으로 무늬를 그리는 퀼트이다.[1]
부티
부티는 프랑스에서 고안된 기법으로, 솜을 넣지 않고 스티치 사이에 면사를 채워 넣어 올록볼록한 질감을 낸다.[1] 셀틱 퀼트는 아일랜드 켈트족 전통 무늬를 사용하며, 바이어스 테이프를 사용하여 무늬를 만들고 퀼트 톱에 아플리케한다.[1] 세미놀 퀼트는 플로리다 세미놀족의 무늬를 재현한 퀼트로, 미싱을 주로 사용하며 끈 모양의 천을 뜯어 한 장의 천으로 만들고 재배치하여 다시 꿰매는 기법을 사용한다.[1] 슬래시 퀼트(슈리체)는 16세기독일에서 고안된 기법으로, 여러 장의 천을 겹쳐 꿰매고 꿰맨 곳 사이에 칼집을 넣어 기모를 일으키는 기법이다.[1] -- 스테인드글라스 퀼트는 아플리케의 봉제 부분에 검은 테두리를 넣어 스테인드글라스처럼 마무리하는 기법이다.[1]

4. 용도 및 전통

퀼트는 침구, 장식, 갑옷(예: 감베종) 등으로 사용되며, 에이즈 메모리얼 퀼트와 같이 기념적인 용도로도 활용된다. 또한 교육, 캠페인, 사건 기록, 예술적 표현, 선물, 모금 활동 등 다양한 목적으로 퀼트가 만들어진다.[4]

특히 미국에서는 퀼트 제작이 중요한 전통으로 자리 잡았다. 식민지 초기에는 현지 직물이 부족하고 수입 직물은 비쌌기 때문에, 대부분의 가정에서 천 조각을 모아 잇는 것은 필수적인 일이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블록"이라 불리는 단위를 만들고, 블록 디자인을 통해 창의성을 표현하거나 단순한 "실용적인 퀼트"를 제작하기도 했다.

퀼트는 가족이나 공동체의 여성들이 함께 참여하는 공동체 활동이었다. 퀼트 윗면을 미리 준비하고 퀼트 축제 때 여러 사람이 모여 퀼팅 작업을 완료했다. 퀼팅 프레임은 퀼트 레이어를 늘리고 고른 장력을 유지하여 퀼팅 스티치를 만들기 쉽게 해주었다. 퀼트 축제는 많은 지역 사회에서 중요한 사회적 행사였으며, 주로 농작업 수요가 적은 시기에 열렸다.

퀼트는 결혼, 졸업, 이사와 같은 주요 행사를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특히 목사에게 작별 선물로 만들어진 구독 퀼트는 지역 사회 구성원들이 이름을 수놓기 위해 돈을 지불하고, 그 수익금을 목사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때로는 퀼트를 경매에 부쳐 추가 자금을 모으고, 우승자가 퀼트를 목사에게 다시 기증하기도 했다. 이러한 전통은 홍수나 자연 재해 복구, 전쟁 기금 마련 등으로 이어졌다. 미국에서는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분쟁에서 부상당한 참전 용사를 위한 퀼트 제작 전통이 새롭게 생겨났다.

미국에서는 결혼 전 여성이 새로운 집을 위해 퀼트를 만드는 전통이 있었다. 1930년대부터는 패치워크 디자인의 인터로킹 링이 있는 웨딩 링 퀼트가 만들어졌다. 결혼 퀼트에 하트 모티프를 넣으면 불운하다는 미신 때문에, 튤립 모티프가 사랑을 상징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1800년대 중반부터 '퀼팅 비'라고 불리는, 다수의 사람들이 한 장의 퀼트를 제작하는 모임이 열리게 되었고, 여성들의 주요 사교 장소가 되었다.

1900년대에 들어 여성의 사회 진출이 일반화되면서 퀼트는 일시적으로 쇠퇴했지만, 1970년에 퀼트 연구가 조나단 홀스타인이 컬렉션을 공개하자, 예술의 하나로 재평가되었다.

5. 퀼트 디자인

퀼트에는 다양한 블록 디자인이 사용된다. 대표적인 블록 디자인으로는 통나무 오두막, 나인 패치, 더블 웨딩 링, 대성당 창문 등이 있다.


  • 통나무 오두막 퀼트: 중앙의 사각형(주로 빨간색)을 중심으로 밝은색과 어두운색 천 조각을 번갈아 배치하여 극적인 대비 효과를 만든다. 중앙의 사각형은 전통적으로 가정의 난로를 상징한다. 다양한 레이아웃 변화에는 햇빛과 그림자, 곧은 고랑, 번개 줄무늬, 헛간 세우기 등이 있다.
  • 나인 패치 블록: 3x3 격자 형태로, 밝고 어두운 사각형을 번갈아 배치하는 체커보드 효과가 일반적이다. 아이들이 처음 배우는 블록인 경우가 많다.
  • 더블 웨딩 링 패턴: 대공황 시대에 처음 등장했으며, 작은 천 조각으로 조각된 맞물린 원으로 구성되어 결혼 선물로 자주 사용된다.
  • 대성당 창문: 접힌 무명 천을 사용하여 리버스 아플리케를 특징으로 하며, 맞물린 원형 디자인의 모듈식 블록으로 구성된다. 작고 다채로운 경량 면의 사각형 또는 다이아몬드를 틀로 잡는다. 천의 양이 많고 상단이 무거워, 솜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되며(퀼트 스티치가 필요하지 않음) 때로는 뒷면이 없다. 주로 장식용 침대 덮개로 사용될 수 있다.


통나무 오두막 퀼트
통나무 오두막 퀼트


미국. 더블 웨딩 링 퀼트, 약 1930년. 면. 브루클린 박물관


사각형 블록 패턴
사각형 블록 패턴


주방 만화경 퀼트 블록 예시

6. 퀼트 전시 및 관련 단체

휘트니 미국 미술관(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의 1971년 전시회 '미국 퀼트의 추상 디자인' 이후 퀼트는 박물관과 갤러리에서 예술 작품으로 전시되기 시작했다.[40] 이 전시회는 퀼트를 그림처럼 전시하여 퀼트 전시의 표준 방식이 되었다.

여러 박물관에서 퀼트 전시를 개최하고 있는데, 주요 박물관은 다음과 같다.


  • 국립 퀼트 박물관(National Quilt Museum): 켄터키주 파두카(Paducah, Kentucky)에 위치하며, 현대 퀼트의 대규모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 매년 약 12개의 전시회를 개최하여 미국과 전 세계 퀼트 작가들의 작품을 선보인다.
  • 국제 퀼트 연구 센터 & 박물관(International Quilt Study Center & Museum): 네브래스카 대학교 링컨(University of Nebraska–Lincoln)에 위치하며, 가장 큰 공공 퀼트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
  • 샌호세 퀼트 및 섬유 박물관(San Jose Museum of Quilts & Textiles): 캘리포니아에 위치하며, 전통 및 현대 퀼트를 전시한다.
  • 뉴잉글랜드 퀼트 박물관(New England Quilt Museum): 매사추세츠주 로웰(Lowell, Massachusetts)에 위치한다.
  • 영국 배스(Bath, Somerset)의 영국 미국 박물관(American Museum in Britain)
  • 빔미시 박물관(Beamish Museum)
  • 뉴질랜드 박물관 테 파파 통가레와(Museum of New Zealand Te Papa Tongarewa)
  • 하와이 호놀룰루(Honolulu)의 비숍 박물관(Bishop Museum)

7. 퀼트 관련 작품


  • 영화 퀼트에 담긴 사랑
  • NHK 드라마 퀼트의 집
  • Rajah Quilt|라자 퀼트영어
  • NAMES Project AIDS Memorial Quilt|NAMES 프로젝트 에이즈 기념 퀼트영어
  • Southern AIDS Living Quilt|서던 에이즈 리빙 퀼트영어
  • 회화 퀼트 대상

참조

[1] 웹사이트 Quilts as Visual History: Introduction https://www.cliohist[...]
[2] 웹사이트 Quilts as Visual History: 'Send out an old quilt': Quilts as Homespun War Memorials https://www.cliohist[...] 2024-05-09
[3] 웹사이트 Quilts as Art http://worldquilts.q[...] 2015-11-02
[4] 서적 Man Made Quilts: Civil War to the Present Shelburne Museum Inc. 2012
[5] 웹사이트 A museum devoted to Southern Jewish culture to open in fall of 2020 https://forward.com/[...] 2020-02-14
[6] 서적 Kentucky Quilts and Quiltmakers: Three Centuries of Creativity, Community, and Commerce https://www.h-net.or[...]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23
[7] 웹사이트 Quilt Fever https://www.shortoft[...] 2020-03-21
[8] 웹사이트 Fons & Porter's Love of Quilting https://www.quilting[...] 2020
[9] 웹사이트 Patchwork http://worldquilts.q[...] 2013
[10] 웹사이트 Quilting http://worldquilts.q[...] 2013
[11] 뉴스 Soldiers and sailors quilts attest to long, adventurous careers https://www.theaustr[...] 2024-04-27
[12] 서적 Quilts: The Fabric of War 1760–1900 The Beagle Press
[13] 서적 Amish Quilts: Crafting an American Ic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3
[14] 서적 Creating Their Own Image The History of African-American Women Artis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5] 학술지 African Symbolism in Afro-American Quilts 1986
[16] 서적 Signs and Symbols: African Images in African-American Quilts Penguin 1993
[17] 웹사이트 Race http://worldquilts.q[...]
[18] 서적 Wild by Design: Two Hundred Years of Innovation and Artistry in American Quilts International Quilt Study Center at the University of Nebraska in association with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3
[19] 잡지 Lift Every Voice and Sing: The Quilts of Gwendolyn Ann Magee https://web.archive.[...] 2014-09-11
[20] 뉴스 Cuesta Benberry, 83, Historian of Quilting 2007-09-10
[21] 서적 Who'd A Thought It: Improvisation in African-American Quiltmaking San Francisco Craft and Folk Art Museum 1987
[22] 뉴스 Jazzy Geometry, Cool Quilters & Gee's Bend Modern 2002-11-29
[23] 학술지 Narrative Quilts and Quilted Narratives: The Art of Faith Ringgold and Alice Walker https://scholarscomp[...] 1992-01-01
[24] 웹사이트 "Faith Ringgold: An American Artist" to Open February 2018 https://www.crockera[...]
[25] 웹사이트 Collections: Browse Objects: Pictorial Quilt http://www.brooklynm[...] Brooklyn Museum
[26] 웹사이트 Brooklyn Museum: Shop https://web.archive.[...] Brooklyn Museum
[27] 웹사이트 What Are Barn Quilts? https://www.southern[...] 2024-04-05
[28] 웹사이트 Barn Quilt FAQs https://barnquiltinf[...] 2024-04-05
[29] 웹사이트 Barn Quilts – The story. https://www.american[...] 2024-04-05
[30] 서적 Quilt Masterpieces Outlet Book Company 1990
[31] 웹사이트 The Grandest Quilted Star of All http://www.historyof[...] Judy Anne Breneman
[32] 서적 To Honor and Comfort: Native American Quilting Traditions Museum of New Mexico Press and Michigan State University Museum
[33] 웹사이트 History of Medieval & Renaissance Quilting http://www.historyof[...]
[34] 서적 Four Centuries of Quilts: The Colonial Williamsburg Collection Yale 2014
[35] 웹사이트 The Tristan Quilt https://collections.[...]
[36] 웹사이트 Quilting in France: The French Traditions http://www.historyof[...] 2010-05-02
[37] 서적 The Art of Kantha Embroidery University Press 1993
[38] 웹사이트 History of Ralli Quilt http://www.ishraqi.c[...] 2017-07-02
[39] 웹사이트 An entry into the quilt universe https://www.deccanhe[...] 2022-11-16
[40] 웹사이트 Abstract Design in American Quilts http://worldquilts.q[...] 2014-06-17
[41] 웹사이트 Victoria and Albert Museum The world's greatest museum of art and design http://www.vam.ac.uk[...] 2014-05-20
[42] 웹사이트 Kaleidoscopic Quilts: Paula Nadelstern http://craftcouncil.[...] 2009-05-31
[43] 웹사이트 'Uncovered: The Ken Burns Collection' Opens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Quilt Study Center & Museum 2019-02-17
[44] 웹사이트 Museum of New Zealand http://collections.t[...] 2014-05-20
[45] 서적 한국인의 솜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