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칭 공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칭 공간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동차 공간으로, 기하학적, 대수적 정의를 통해 설명된다. 리만 다양체에서 측지 대칭이 등거리 사상일 경우 국소 리만 대칭 공간이며, 전역적으로 확장될 경우 대칭 공간이 된다. 대칭 공간은 리 군과 대합을 사용하여 대수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리 대수의 직합으로 표현된다. 대칭 공간은 콤팩트, 비콤팩트, 유클리드형으로 분류되며, 콤팩트 대칭 공간은 엘리 카르탕에 의해 분류되었다. 일반화된 개념으로 유사-리만 대칭 공간과 아핀 대칭 공간이 있으며, 로렌츠 대칭 공간은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약대칭 공간은 대칭 공간의 일반화로, 셀버그와 아키에저, 빈베르크에 의해 연구되었다. 대칭 공간은 홀로노미, 에르미트 대칭 공간, 사원수-켈러 대칭 공간 등 다양한 특수 경우를 가지며, 초구, 유클리드 공간, 쌍곡 공간 등이 대칭 공간의 예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만 기하학 - 등각 사상
등각 사상은 각도를 보존하는 사상으로, 2차원에서는 도함수가 0이 아닌 정칙 함수인 복소 함수가 해당되며, 3차원 이상에서는 상사 변환, 등거리 변환, 특수 등각 변환 등으로 분류되어 지도 제작, 항공우주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리만 기하학 - 편평도
편평도는 아직 내용이 없어 정의를 내릴 수 없는 위키백과 페이지이다. - 리 군 - 리 대수
리 대수는 가환환 위의 가군과 리 괄호 연산으로 구성되며 쌍선형성, 교대성, 야코비 항등식을 만족하고, 리 군 연구와 분류, 표현 이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리 군 - 보렐-베유-보트 정리
보렐-베유-보트 정리는 복소수 반단순 리 군의 표현론에서 층 코호몰로지를 사용하여 리 군의 기약 표현을 설명하며, 보렐-베유 정리와 보트의 일반화를 포함한다.
대칭 공간 |
---|
2. 정의
대칭 공간 는 동차 공간의 한 종류로,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대칭 공간의 '''계수'''(階數, rank영어)는 접공간의 부분 벡터 공간 가운데 곡률이 0인 것의 최대 차원이다.
의 리 대수가 일 때, 대합 는 이므로 고윳값 을 갖는다. 이에 따라 는 두 부분 공간의 직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고윳값이 인 부분 대수는 의 리 대수 와 같고, 고윳값이 인 부분 대수는 으로 표기한다.
:
:
:
:
2. 1. 기하학적 정의
''M''을 연결된 리만 다양체라 하고, ''p''를 ''M''의 한 점이라고 하자. ''p'' 근처에서 정의된 미분 동형 사상 ''f''가 ''p''를 고정하고 ''p''를 지나는 측지선을 반전시킨다면, 즉 인 측지선 ''γ''에 대해 를 만족하면 ''f''를 '''측지 대칭'''이라고 한다. 이때 ''p''에서 ''f''의 도함수는 ''p''의 접공간에서 음의 항등 사상과 같다. 일반적인 리만 다양체에서 ''f''는 등거리 사상이 아니며, 보통 ''p'' 근처에서만 정의되고 ''M'' 전체로 확장되지 않는다.만약 ''M''에서 모든 측지 대칭이 등거리 사상이면 ''M''을 '''국소 리만 대칭 공간'''이라고 부른다. 이는 곡률 텐서의 공변 미분이 0이라는 조건과 동치이다. 국소 대칭 공간에서 모든 측지 대칭이 ''M'' 전체의 등거리 사상으로 확장될 수 있으면 ''M''을 '''(전역) 대칭 공간'''이라고 한다.
2. 2. 대수적 정의
리 군 에 대한 '''대칭 공간'''은 점의 안정자 가 Aut(''G'')에서의 대합 ''σ''의 고정점 집합의 열린 부분군인 동차 공간 ''G''/''H''이다. 따라서 ''σ''는 ''σ''2 = id''G''를 만족하는 ''G''의 자기 동형 사상이고, ''H''는 불변 집합의 열린 부분군이다.:
''H''는 열려 있으므로 ''G''''σ''의 성분(항등원 성분 포함)의 합집합이다.
''G''의 자기 동형 사상으로서 ''σ''는 항등원을 고정하므로, 항등원에서 미분하여, 제곱이 항등원인, ''σ''로도 표기되는 리 대수 의 자기 동형 사상을 유도한다. 따라서 ''σ''의 고윳값은 ±1이다. +1 고유 공간은 ''H''의 리 대수 이고(이것이 ''G''''σ''의 리 대수이므로), -1 고유 공간은 으로 표기한다. ''σ''는 의 자기 동형 사상이므로, 이는 직합 분해를 제공한다.
:
:
첫 번째 조건은 모든 균질 공간에 대해 자동적으로 성립한다. 이는 무한소 안정자 가 의 리 부분 대수임을 나타낸다. 두 번째 조건은 이 에서 에 대한 -불변 여집합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모든 대칭 공간은 환원적 균질 공간이지만, 대칭 공간이 아닌 많은 환원적 균질 공간이 있다. 대칭 공간의 핵심 특징은 이 로 괄호로 묶이는 세 번째 조건이다.
반대로, 이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직합 분해를 갖는 리 대수 가 주어지면, 에서 항등원이고 에서 마이너스 항등원과 같은 선형 사상 ''σ''는 대합 자기 동형 사상이다.
3. 성질
카르탕-앰브로스-힉스 정리에 따르면, 어떤 다양체 ''M''의 곡률 텐서가 공변적으로 상수일 필요충분조건은 ''M''이 국소 리만 대칭 공간이라는 것이며, 더 나아가 모든 단일 연결 완비 국소 리만 대칭 공간은 실제로 리만 대칭 공간이다.
모든 리만 대칭 공간 ''M''은 완비이며, 리만 균질 공간이다. 이는 ''M''의 등거리 변환군이 ''M''에 추이적으로 작용한다는 의미이다. 사실, 등거리 변환군의 항등 요소만으로도 ''M''에 추이적으로 작용한다. (''M''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리만 대칭 공간이 아닌 국소 리만 대칭 공간은 고정점이 없는 이산 등거리 변환군으로 리만 대칭 공간을 나눈 몫 공간과 (국소) 리만 대칭 공간의 열린 부분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3. 1. 함의 관계
리 군 의 닫힌 부분군 가 주어졌고, 이들에 대응하는 리 대수는 각각 라고 하자. 또한, 항상:
이 되는 실수 벡터 공간 를 찾을 수 있다. 이제, 이 가질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조건들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 조건들은 다음과 같은 동차 공간들을 정의한다.
공간 | 조건 |
---|---|
동차 공간 | (없음) |
가약 동차 공간 | |
대칭 공간 | , |
리만 대칭 공간 | 대칭 공간이며, 위에 -불변 내적이 존재 |
여기서 인 조건은
:
을 함의한다. (만약 의 중심이 자명하다면 이는 리 대수 조건과 동치이다.)
리만 대칭 공간의 경우, 은 의 접공간과 동형이므로, 위의 내적은 위의 리만 계량을 정의한다.
3. 2. 리만 대칭 공간의 성질
리 군 의 닫힌 부분군 가 주어졌을 때, 이들에 대응하는 리 대수는 각각 이다. 이 되는 실수 벡터 공간 를 찾을 수 있다. 이 가질 수 있는 조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동차 공간들이 정의된다.공간 | 조건 |
---|---|
동차 공간 | (없음) |
가약 동차 공간 | |
대칭 공간 | , |
리만 대칭 공간 | 대칭 공간이며, 위에 -불변 내적이 존재 |
인 조건은 을 함의한다.
리만 대칭 공간의 경우, 은 의 접공간과 동형이므로, 위의 내적은 위의 리만 계량을 정의한다.
4. 분류
엘리 카르탕은 콤팩트 대칭 공간을 모두 분류하였다.[2][3]
모든 연결 단일 연결 콤팩트 대칭 공간은 아래 표에 있는 군들의 직접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름 | G | H | 차원 | 계수 | 켈러 다양체 여부 |
---|---|---|---|---|---|
AI | |||||
AII | |||||
AIII | 켈러 다양체 | ||||
BDI | 인 경우는 켈러 다양체 | ||||
DIII | 켈러 다양체 | ||||
CI | 켈러 다양체 | ||||
CII | |||||
EI | 42 | 6 | |||
EII | 40 | 4 | |||
EIII | 32 | 2 | 켈러 다양체 | ||
EIV | 26 | 2 | |||
EV | 70 | 7 | |||
EVI | 64 | 4 | |||
EVII | 54 | 3 | 켈러 다양체 | ||
EVIII | 128 | 8 | |||
EIX | 112 | 4 | |||
FI | 28 | 4 | |||
FII | 16 | 1 | |||
G | 8 | 2 |
엘리 카르탕은 1926년에 리만 대칭 공간에 대한 완전한 분류를 얻었다.
4. 1. 분류 체계
엘리 카르탕에 의하여 모든 콤팩트 대칭 공간이 분류되었다.[2][3]모든 연결 단일 연결 콤팩트 대칭 공간은 아래 군들의 직접곱이다.
이름 | G | H | 차원 | 계수 | 켈러 다양체 여부 |
---|---|---|---|---|---|
AI | |||||
AII | |||||
AIII | 켈러 다양체 | ||||
BDI | 인 경우는 켈러 다양체 | ||||
DIII | 켈러 다양체 | ||||
CI | 켈러 다양체 | ||||
CII | |||||
EI | 42 | 6 | |||
EII | 40 | 4 | |||
EIII | 32 | 2 | 켈러 다양체 | ||
EIV | 26 | 2 | |||
EV | 70 | 7 | |||
EVI | 64 | 4 | |||
EVII | 54 | 3 | 켈러 다양체 | ||
EVIII | 128 | 8 | |||
EIX | 112 | 4 | |||
FI | 28 | 4 | |||
FII | 16 | 1 | |||
G | 8 | 2 |
엘리 카르탕은 1926년에 리만 대칭 공간에 대한 완전한 분류를 얻었다.
기약 단순 연결 리만 대칭 공간은 다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 '''유클리드형''': 곡률이 0이며, 유클리드 공간과 등거리이다.
# '''콤팩트형''': 0이 아닌 단면 곡률을 갖는다.
# '''비콤팩트형''': 0이 아닌 단면 곡률을 갖는다.
콤팩트형 및 비콤팩트형의 기약 단순 연결 리만 대칭 공간은 두 가지 클래스로 분류된다.
A. ''G''는 (실수) 단순 리 군이다.
B. ''G''는 콤팩트 단순 리 군 자체의 곱(콤팩트형)이거나 그러한 리 군의 복소수화(비콤팩트형)이다.
4. 2. 콤팩트 대칭 공간 목록
엘리 카르탕에 의하여 모든 콤팩트 대칭 공간이 분류되었다.[2][3]모든 연결 단일 연결 콤팩트 대칭 공간은 아래 군들의 직접곱이다. 아래 목록에서, 켈러 다양체가 되는 것은 특별히 표시하였다.
이름 | G | H | 차원 | 계수 | 켈러 다양체 |
---|---|---|---|---|---|
AI | |||||
AII | |||||
AIII | 켈러 다양체 | ||||
BDI | 인 경우는 켈러 다양체 | ||||
DIII | 켈러 다양체 | ||||
CI | 켈러 다양체 | ||||
CII | |||||
EI | 42 | 6 | |||
EII | 40 | 4 | |||
EIII | 32 | 2 | 켈러 다양체 | ||
EIV | 26 | 2 | |||
EV | 70 | 7 | |||
EVI | 64 | 4 | |||
EVII | 54 | 3 | 켈러 다양체 | ||
EVIII | 128 | 8 | |||
EIX | 112 | 4 | |||
FI | 28 | 4 | |||
FII | 16 | 1 | |||
G | 8 | 2 |
4. 3. 리만 대칭 공간의 분류
엘리 카르탕에 의해 모든 콤팩트 대칭 공간이 분류되었다.[2][3]모든 연결 단일 연결 콤팩트 대칭 공간은 아래 군들의 직접곱이다. 아래 목록에서, 켈러 다양체가 되는 것은 특별히 표시하였다.
이름 | G | H | 차원 | 계수 | 켈러 다양체 |
---|---|---|---|---|---|
AI | |||||
AII | |||||
AIII | 켈러 다양체 | ||||
BDI | 인 경우는 켈러 다양체 | ||||
DIII | 켈러 다양체 | ||||
CI | 켈러 다양체 | ||||
CII | |||||
EI | 42 | 6 | |||
EII | 40 | 4 | |||
EIII | 32 | 2 | 켈러 다양체 | ||
EIV | 26 | 2 | |||
EV | 70 | 7 | |||
EVI | 64 | 4 | |||
EVII | 54 | 3 | 켈러 다양체 | ||
EVIII | 128 | 8 | |||
EIX | 112 | 4 | |||
FI | 28 | 4 | |||
FII | 16 | 1 | |||
G | 8 | 2 |
엘리 카르탕은 1926년에 리만 대칭 공간에 대한 완전한 분류를 얻을 수 있게 하였다.
리만 A급 대칭 공간 및 콤팩트형의 특수화에서, 카르탄은 다음과 같은 7개의 무한 수열과 12개의 예외적인 리만 대칭 공간 ''G''/''K''를 발견했다. 이들은 기하학적 해석과 함께, 가능한 경우 ''G''와 ''K''의 관점에서 여기에 제공된다. 이러한 공간의 레이블은 카르탄이 주었다.
레이블 | G | K | 차원 | 랭크 | 기하학적 해석 |
---|---|---|---|---|---|
AI | 위의 복소수 행렬식을 불변으로 유지하는 실수 구조 공간 | ||||
AII | 에르미트 계량과 호환되는 위의 사원수 구조 공간 | ||||
AIII | 의 복소수 p차원 부분 공간의 그라스만 다양체 | ||||
BDI | 의 배향된 실수 p차원 부분 공간의 그라스만 다양체 | ||||
DIII | 위의 직교 복소 구조 공간 | ||||
CI | 내적과 호환되는 위의 복소 구조 공간 | ||||
CII | 의 사원수 p차원 부분 공간의 그라스만 다양체 | ||||
EI | 42 | 6 | |||
EII | 40 | 4 | 의 에 등거리인 대칭 부분 공간의 공간 | ||
EIII | 32 | 2 | 복소화된 케일리 사영 평면 | ||
EIV | 26 | 2 | 의 에 등거리인 대칭 부분 공간의 공간 | ||
EV | 70 | 7 | |||
EVI | 64 | 4 | 위의 로젠펠트 사영 평면 | ||
EVII | 54 | 3 | 의 에 동형인 대칭 부분 공간의 공간 | ||
EVIII | 128 | 8 | 로젠펠트 사영 평면 | ||
EIX | 112 | 4 | 의 에 동형인 대칭 부분 공간의 공간 | ||
FI | 28 | 4 | 의 에 동형인 대칭 부분 공간의 공간 | ||
FII | 16 | 1 | 케일리 사영 평면 | ||
G | 8 | 2 | 팔원수 대수 의 사원수 대수 에 동형인 부분 대수 공간 |
4. 4. 그라스만 다양체로서의 대칭 공간
Freudenthal magic square|프뢰덴탈 마법 사각형영어 구성을 통해 콤팩트 및 비콤팩트 리만 대칭 공간을 통일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1] 기약 콤팩트 리만 대칭 공간은 유한 덮개를 제외하고, 콤팩트 단순 리 군, 그래스만 다양체, 라그랑지안 그래스만 다양체, 또는 노름 나눗셈 대수 '''A'''와 '''B'''에 대해 의 부분 공간의 이중 라그랑지안 그래스만 다양체이다. 유사한 구성으로 기약 비콤팩트 리만 대칭 공간이 생성된다.[1]5. 일반 대칭 공간
리만 대칭 공간을 일반화한 유사-리만 대칭 공간에서는 리만 계량이 유사-리만 계량으로 대체된다. 이 중 로렌츠 대칭 공간은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5. 1. 로렌츠 대칭 공간
유사-리만 계량으로 대체된다(각 접공간에서 양의 정부호가 아닌 비퇴화). 특히, '''로렌츠 대칭 공간'''(즉, 시그니처가 (''n'' − 1,1)인 ''n''차원 유사-리만 대칭 공간)은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중요하며, 가장 주목할 만한 예는 민코프스키 공간, 드 시터 공간 및 반 드 시터 공간이다(각각 0, 양수 및 음의 곡률을 가짐). ''n''차원 드 시터 공간은 ''n'' + 1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에서 단엽 쌍곡면과 동일시될 수 있다.5. 2. 아핀 대칭 공간
일반적으로 대칭 공간 및 국소 대칭 공간은 아핀 대칭 공간으로 간주될 수 있다. M|엠영어 = G|지영어/H|에이치영어가 대칭 공간이면 노미주는 M|엠영어에 G|지영어-불변 비틀림이 없는 아핀 접속(즉, 비틀림 텐서가 사라지는 아핀 접속)이 존재하며, 이 접속의 곡률은 평행 이동된다. 반대로, 이러한 접속을 가진 다양체는 국소 대칭적이다(즉, 보편 피복은 대칭 공간이다). 이러한 다양체는 측지선 대칭이 모두 전역적으로 정의된 아핀 미분 동형 사상인 아핀 다양체로 설명될 수도 있으며, 리만 및 유사-리만 경우를 일반화한다.5. 3. 분류 결과
또는 G/GL(n/2,C), n 짝수또는 SU(p,p)/Sk(p,H)
또는 SU(p,p)/GL(p,C)
또는 SU(p,p)/Sp(2p,R)
또는 G/GL(n/2,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