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원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원수는 1843년 윌리엄 로언 해밀턴에 의해 도입된 수 체계로, 실수부와 세 개의 허수 단위(i, j, k)를 포함하며 a + bi + cj + dk 형태로 표현된다. 이는 3차원 회전을 표현하는 데 유용하며, 컴퓨터 그래픽스, 로봇 공학, 항공 우주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사원수는 2×2 복소 행렬 또는 4×4 실수 행렬로 표현 가능하며, 3차원 벡터와의 관계를 통해 내적 및 외적 연산을 표현할 수 있다. 사원수는 짐벌 락 현상을 피하고 행렬보다 계산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합성 대수 - 복소수
    복소수는 실수와 허수 단위를 사용하여 a + bi 형태로 나타내며, 복소 평면에서 표현되고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연산이 가능하며, 다양한 수학 및 과학 분야에 활용된다.
  • 합성 대수 - 팔원수
    팔원수는 실수체 위의 8차원 노름 나눗셈 대수로서, 사원수 대수에 케일리-딕슨 구성을 적용하여 얻어지며, 교환 및 결합 법칙은 만족하지 않으나 교대 대수의 성질을 갖고, 수학 및 물리학 분야에서 활용된다.
  • 다원수 - 팔원수
    팔원수는 실수체 위의 8차원 노름 나눗셈 대수로서, 사원수 대수에 케일리-딕슨 구성을 적용하여 얻어지며, 교환 및 결합 법칙은 만족하지 않으나 교대 대수의 성질을 갖고, 수학 및 물리학 분야에서 활용된다.
  • 다원수 - 분할복소수
    분할복소수는 실수 x, y와 쌍곡 단위 j (j² = +1)로 구성되며, 덧셈과 곱셈 연산이 정의되고, 2차원 실수 가환 결합 대수를 이루며, 영인자를 가지고, 민코프스키 평면의 기하학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시공간 평면의 로렌츠 부스트를 표현하는 데 활용된다.
  • 사원수 - 사원수 벡터 공간
    사원수 벡터 공간은 환론의 가군, 복소수 벡터 공간 위의 사원수 구조, 실수 벡터 공간 위의 사원수 구조를 통해 정의되며, 이 세 가지 정의는 서로 동치이다.
  • 사원수 - 초켈러 다양체
    초켈러 다양체는 리만 다양체 위에 정의된 초켈러 구조를 가지며, 세 개의 복소구조가 사원수 관계식을 만족시키고 켈러 구조의 모듈라이 공간을 이루는 짝수 차원의 다양체로서, 칼라비-야우 다양체와 사원수 켈러 다양체의 일종이며 물리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원수
개요
사원수 회전
사원수 회전
정의복소수의 비가환 확장
다른 이름해밀턴 수
대수적 성질
기호ℍ 또는 H
차원4차원
단위1, i, j, k
곱셈비가환적
나눗셈가능
켤레존재
노름존재
항등원1
덧셈 역원존재
곱셈 역원0이 아닌 모든 원소에 대해 존재
결합환
가환환아님
아님 (비가환적이기 때문)
나눗셈 대수맞음
실수 대수맞음
복소수 대수맞음
표현
일반적인 형태a + bi + cj + dk (a, b, c, d는 실수)
행렬 표현존재 (2x2 복소수 행렬 또는 4x4 실수 행렬)
응용
주요 분야삼차원 회전 계산
컴퓨터 그래픽스
물리학
제어 이론
신호 처리
궤도 역학
삼차원 회전삼차원에서의 회전 계산에 효율적으로 사용됨.
역사
발견윌리엄 로언 해밀턴 (1843년)

2. 역사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1748년 5월 4일 크리스티안 골드바흐에게 보낸 편지에서 오일러의 네 제곱수 항등식을 발표했는데,[75] 이는 두 사원수 a, b에 대하여 |ab|=|a||b|인 것과 같다. 1840년, 올랭드 로드리그는 오일러의 네 제곱수 항등식을 강체의 회전에 응용하였다.[76]

윌리엄 로언 해밀턴복소수가 2차원 평면상의 점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사실로부터, 3차원 공간에서 점을 표현하는 방법을 찾으려 하였다. 그러나 3차원 공간의 두 점 사이의 나눗셈을 정의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해밀턴은 1844년에 〈사원수에 대하여: 또는 대수학에서의 새로운 허수 체계에 대하여〉(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영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고,[78] 이후 이 논문의 속편을 17편 더 같은 저널에 수록하였다.[79] 그는 사원수를 연구하고 알리는 데 여생을 바쳤으며, "사원수론자"(Quaternionists영어)라는 학파를 창시하고, 1853년에는 《사원수 강해》(Lectures on Quaternions영어)[96]를 출판하였다. 해밀턴 사후, 그의 아들 윌리엄 에드윈 해밀턴(William Edwin Hamilton영어)은 아버지의 마지막 책인 800여 쪽의 《사원수 원론》(Elements of Quaternions영어)을 편집하여 1866년에 출판하였다.[97]

2. 1. 사원수의 발견 (1843년)

1843년 10월 16일, 윌리엄 로언 해밀턴은 아내와 함께 더블린의 로열 운하( Royal Canal영어, An Chanáil Ríogaga)를 따라 걷고 있었다. 브룸 다리( Broom Bridge영어)에 이르렀을 때, 해밀턴은 4개의 요소를 가진 수 체계에 대한 아이디어를 떠올렸고, 이 수 체계의 기본 규칙을 다리에 새겼다.[77][9]

:i^2 = j^2 = k^2 = ijk = -1 \;

해밀턴은 이 수 체계를 "사원수"(quaternion|쿼터니언영어)라고 명명했는데, 이는 quaterniō|콰테르니오la(넷, 넷으로 구성된 것)에서 유래한다.[77]

해밀턴은 복소수가 2차원 평면상의 점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3차원 공간에서 점을 표현하는 방법을 찾고 있었다.[9] 3차원 공간에서의 정점은 3개의 수로 이루어지는데, 해밀턴은 그 3개의 수들을 어떻게 더하고 곱할 수 있는지에 관해 생각했지만, 두 정점 간의 나누기를 어떻게 정의할지 알지 못해 난관에 부딪혔다.[77] 그러나 브룸 다리를 걷던 중, 3개의 성분을 가진 값은 나눗셈을 정의할 수 없지만, 4개의 성분을 가진 값은 나눗셈이 성립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4개의 성분 가운데 세 개를 사용하여 3차원 공간의 직교좌표를 표현할 수 있었다.[77]

다음 날, 해밀턴은 친구 수학자인 존 T. 그레이브스( John T. Graves영어)에게 편지를 보내 이 발견에 대해 설명했다. 이 편지에서 해밀턴은 3차원 값을 다루기 위해서는 일종의 "4차원 공간"이 필요하며, 대수학적으로 i 또는 j와 다른 제3의 허수 기호 k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77]

해밀턴의 사원수 발견은 오일러의 네 제곱수 항등식(1748)과 올린드 로드리게스의 일반 회전을 네 개의 매개변수로 나타내는 방법(1840)과 같은 이전 연구에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이 두 저자는 네 개의 매개변수로 표현되는 회전을 대수적으로 다루지는 않았다.[10][11]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도 1819년에 사원수를 발견했지만, 이 연구는 1900년까지 출판되지 않았다.[12][13]

더블린의 브룸 다리에 새겨진 사원수 곱셈 발견에 관한 명판.

2. 2. 해밀턴 이후의 발전

해밀턴 사후, 그의 제자인 피터 거스리 테이트는 사원수 연구를 계속하였다. 당시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에서는 사원수가 필수 과목이었다.[98] 공간 운동학, 맥스웰 방정식 등, 현재는 벡터를 이용하여 설명하는 물리 및 기하학적 주제들은 그 당시에는 모두 사원수를 이용하여 설명되었다. 1899년에는 국제 사원수 학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romoting the Study of Quaternions and Allied Systems of Mathematics영어)가 설립되었고, 1900년부터 1913년까지 《사원수 학회 저널》(Bulletin of the Association Promoting the Study of Quaternions and Allied Systems of Mathematics영어)을 출판하였다.[98] 이 학회는 전성기 동안 60여 명의 회원을 두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사라졌다.

1880년대 중반부터 조사이어 윌러드 기브스올리버 헤비사이드가 제안한 벡터 해석학이 사원수 표현을 대체하기 시작했다.[98] 벡터는 사원수와 같은 현상을 설명했기 때문에, 고전 사원수 연구에서 많은 아이디어와 용어를 빌려왔다. 그러나 벡터 해석이 보다 간결한 개념과 표기법을 가지고 있었기에 사원수는 수학과 물리학에서 비주류가 되었다. 이는 해밀턴의 사원수가 이해하기 난해하고, 표기가 친숙하지 않았으며, 그의 저작물에 길고 불분명한 표현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원수는 20세기 말, 공간상에서의 회전에 관한 유용성으로 인해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98] 사원수를 이용한 회전 표현은 행렬을 사용하는 표현에 비해 더 간결하고 계산이 빨랐다. 이러한 이유로 사원수는 컴퓨터 그래픽,[16][17] 제어이론, 신호처리, 자세제어, 물리학, 생물정보학, 분자동역학, 컴퓨터 시뮬레이션, 궤도역학 등에 사용되고 있다.

3. 정의

사원수는 실수부 a와 허수부 b, c, d를 사용하여 a + bi + cj + dk 형태로 표현되는 수이다. 여기서 i, j, k는 허수 단위로, 다음과 같은 곱셈 규칙을 따른다.

곱셈표
×1ijk
11ijk
ii
k
jj
i
kkj


  • 실수 사원수 1은 항등원이다.
  • 실수 사원수는 다른 모든 사원수와 교환 가능하며, 즉 aq = qa는 모든 사원수 q와 모든 실수 사원수 a에 대해 성립한다.
  • 곱은 먼저 기저 원소에 대해 주어지고, 그 다음 분배 법칙과 실수 사원수의 중심 속성을 사용하여 모든 사원수로 확장된다. 해밀턴 곱은 교환적이지 않지만 결합적이므로, 사원수는 실수에 대한 결합 대수를 형성한다.


기저 원소 i, j, k의 1과의 곱셈은 1이 곱셈 항등원이라는 사실에 의해 정의된다. 즉,

\mathbf i \, 1 = 1 \, \mathbf i = \mathbf i, \qquad \mathbf j \, 1 = 1 \, \mathbf j = \mathbf j, \qquad \mathbf k \, 1 = 1 \, \mathbf k= \mathbf k .

다른 기저 원소들의 곱은 다음과 같다.

\begin{align}

\mathbf i^2 &= \mathbf j^2 = \mathbf k^2 = -1, \\[5mu]

\mathbf{i\,j} &= - \mathbf{j\,i} = \mathbf k, \qquad

\mathbf{j\,k} &= - \mathbf{k\,j} = \mathbf i, \qquad

\mathbf{k\,i} &= - \mathbf{i\,k} = \mathbf j.

\end{align}

이 규칙들을 결합하면,

\begin{align}

\mathbf{i\,j\,k}&=-1.

\end{align}

사원수의 집합은 실수에 대한 4차원 벡터 공간이며, \left\{ 1, \mathbf i, \mathbf j, \mathbf k\right\}기저로 가지며, 성분별 덧셈과 스칼라 곱셈은 다음과 같다.

\begin{align}

&(a_1 + b_1\mathbf i + c_1\mathbf j + d_1\mathbf k) + (a_2 + b_2\mathbf i + c_2\mathbf j + d_2\mathbf k) \\[3mu]

&\qquad = (a_1 + a_2) + (b_1 + b_2)\mathbf i + (c_1 + c_2)\mathbf j + (d_1 + d_2)\mathbf k,

\end{align}

\lambda(a + b\,\mathbf i + c\,\mathbf j + d\,\mathbf k) = \lambda a + (\lambda b)\mathbf i + (\lambda c)\mathbf j + (\lambda d)\mathbf k.

3. 1. 실수부와 허수부

사원수 `q = a + bi + cj + dk`에 대하여, `a`를 ''q''의 '''실수부''' 또는 '''스칼라부'''라 하고, `bi + cj + dk`를 ''q''의 '''허수부''' 또는 '''벡터부'''라고 한다.[23]

사원수 `q = a + bi + cj + dk`의 '''켤레 사원수'''(conjugate quaternion영어)는 그 허수부의 부호를 뒤집은 사원수 `q̄ = a - bi - cj - dk`이다.[23]

사원수 ''q''의 노름 또는 절댓값 |''q''|는 `|q| = √(a² + b² + c² + d²) `이다.[23]

4. 성질

사원수의 집합 \mathbb H나눗셈환이지만, 곱셈의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아 는 아니다. 사원수는 덧셈의 교환법칙결합법칙, 곱셈의 결합법칙분배법칙을 만족하며, 노름과 곱셈이 호환되고 삼각 부등식을 만족한다.

사원수는 스칼라 부분과 벡터 부분으로 구성되며, 실수 부분과 같은 사원수는 스칼라 또는 실수 사원수라고 하며 해당 실수와 동일하게 간주된다. 벡터 부분과 같은 사원수는 벡터 사원수라고 한다.

사원수의 켤레 복소수는 복소수의 켤레 복소수와 유사하며, 사원수의 곱셈과 덧셈으로 표현할 수 있다. 사원수와 그 켤레 복소수의 곱의 제곱근은 노름이라고 하며, 이를 통해 사원수 간의 거리를 정의하여 거리 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

사원수는 곱셈의 결합법칙이 성립하고, 벡터 덧셈에 대해 분배법칙이 성립하지만, 교환법칙은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원수 \mathbb H는 실수에 대한 비가환적이고 결합적인 대수이다.

4. 1. 벡터와의 관계

사원수의 허수부는 3차원 벡터로 간주할 수 있다. 즉, 사원수는 스칼라와 3차원 벡터의 순서쌍 (w,\mathbf v)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사원수의 곱은 다음과 같이 벡터의 내적 및 외적과 관련되어 표현된다.[56]

:(a,\mathbf u)(b,\mathbf v)=(ab-\mathbf u\cdot\mathbf v,a\mathbf v+b\mathbf u+\mathbf u\times\mathbf v)

여기서,

  • (a, \mathbf{u})(b, \mathbf{v})는 각각 스칼라부와 벡터부로 구성된 사원수
  • ab는 스칼라부의 곱
  • \mathbf{u} \cdot \mathbf{v}는 벡터부의 내적
  • a\mathbf{v}b\mathbf{u}는 스칼라와 벡터의 곱
  • \mathbf{u} \times \mathbf{v}는 벡터부의 외적


이와 같이 사원수의 곱셈은 벡터 연산으로 표현 가능하다.

\mathbb{R}^3의 기하학은 사원수의 대수 구조에 반영된다. 벡터에 대한 많은 연산은 사원수를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원수적 방법을 공간 벡터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것들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학이나 3D CG 등에 이 방법론을 사용할 수 있다.

두 순수 허수 사원수 p = b_1i + c_1j + d_1k, q = b_2i + c_2j + d_2k 에 대해, 그들의 내적은

:p \cdot q = b_1b_2 + c_1c_2 + d_1d_2

로 주어진다.

또한, pq외적은 기저 i, j, k의 원의 순서(로부터 정해지는 방향)에 의존하여

:p \times q = (c_1d_2 - d_1c_2)i + (d_1b_2 - b_1d_2)j + (b_1c_2 - c_1b_2)k

로 정의된다(부호를 결정하기 위해 방향이 필요함을 상기하라).

일반적으로 p, q가 사원수(순수 허수가 아니어도 좋다)일 때, 이것을 스칼라 부분과 벡터 부분의 합

:p = p_s + \vec{p}_v,

:q = q_s + \vec{q}_v

로 분해하면, 등식

:pq = p_sq_s - \vec{p}_v\cdot\vec{q}_v + p_s\vec{q}_v + \vec{p}_vq_s + \vec{p}_v \times \vec{q}_v

가 성립한다. 이것을 보면, 사원수 곱셈의 비가환성이 순수 허수 사원수 곱셈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두 사원수가 가환이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 그들의 벡터 부분이 공선이 되는 것 등도 알 수 있다.

4. 2. 행렬 표현

사원수는 2×2 복소 행렬 또는 4×4 실수 행렬로 표현할 수 있다.

사원수 q = a + bi + cj + dk는 2×2 복소 행렬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rho\colon a+bi+cj+dk\mapsto\begin{pmatrix}a+bi&c+di\\-c+di&a-bi\end{pmatrix}=a\sigma_0+ib\sigma_3+ic\sigma_2+id\sigma_1

여기서 \sigma_i파울리 행렬이다.

이 표현에서 사원수의 노름은 행렬 표현의 행렬식의 제곱근과 같다.[71] 즉,

:\Vert q\Vert=\sqrt{q\bar q}=\sqrt{\det\rho(q)}

4×4 실수 행렬 표현은 다음과 같다.

:\begin{pmatrix}

a & b & c & d \\

  • b & a &-d & c \\
  • c & d & a &-b \\
  • d &-c & b & a

\end{pmatrix}

:= a \begin{pmatrix}

1 &0 &0 &0 \\

0 &1 &0 &0 \\

0 &0 &1 &0 \\

0 &0 &0 &1

\end{pmatrix} + b \begin{pmatrix}

0 &1 &0 & 0 \\

  • 1 &0 &0 & 0 \\

0 &0 &0 &-1 \\

0 &0 &1 & 0

\end{pmatrix} + c

\begin{pmatrix}

0 & 0 &1 &0 \\

0 & 0 &0 &1 \\

  • 1 & 0 &0 &0 \\

0 &-1 &0 &0

\end{pmatrix} + d

\begin{pmatrix}

0 &0 & 0 &1 \\

0 &0 &-1 &0 \\

0 &1 & 0 &0 \\

  • 1 &0 & 0 &0

\end{pmatrix}

5. 응용

사원수는 3차원 회전을 간결하고 효율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되며, 컴퓨터 그래픽스, 로봇 공학, 항공 우주 공학, 자세 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16] 특히, 오일러 각과 달리 짐벌 락 현상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사원수는 벡터 해석이 개발되기 전까지 공간의 운동 에너지맥스웰 방정식 등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다. 현대에는 벡터 해석에 대체되었지만, 3차원 회전을 다루는 일부 분야에서는 여전히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사원수를 이용한 3차원 회전(자세) 표현은 3차 정방 행렬을 이용한 표현보다 기억 용량이 작고 연산 속도가 빠르다.[61] 또한, 우주선과 같이 3차원의 자유도가 완전히 있는 경우의 자세 제어에 적합하며,[61] CG,[62] 컴퓨터 비전, 로봇 공학, 제어 이론, 신호 처리, 물리학, 생물 정보학, 분자 역학, 계산기 시뮬레이션, 궤도 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사원수는 이차 형식과의 관계를 통해 수론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1. 3차원 회전과의 관계

사원수의 벡터 부분은 \mathbb R^3의 좌표 벡터로 해석할 수 있으며, 사원수의 대수적 연산은 \mathbb R^3의 기하학을 반영한다.[16] 해밀턴은 , , 가 \mathbb H의 세 개의 허수[28] 기저 벡터와 \mathbb R^3의 기저를 모두 나타낼 때, 벡터의 가법 역원은 사원수로서의 켤레와 같다는 점을 들어 켤레를 "공간 역원"이라고도 불렀다.

단위 사원수는 \mathbb R^3의 회전과 동일하며 해밀턴은 이를 versor라고 불렀다.[29] 비영 사원수의 곱셈군은 실수 부분이 0인 사원수로 구성된 \mathbb R^3의 복사본에 켤레 작용을 한다. 실수 부분이 인 단위 사원수(절댓값이 1인 사원수)에 의한 켤레는 각도 만큼의 회전이며, 회전 축은 벡터 부분의 방향이다. 사원수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42]

  • 짐벌 락을 회피한다. (오일러 각과 같은 시스템의 문제점)
  • 행렬보다 빠르고 더 간결하다.
  • 특이점이 없는 표현이다. (오일러 각과 비교)
  • 단위 사원수의 쌍은 4차원 공간에서 회전을 나타낸다. (''4차원 유클리드 공간의 회전: 4차원 회전의 대수'' 참조)


모든 단위 사원수(버서)의 집합은 곱셈 하에서 3-구 리 군을 형성하며, 위 대응에 따라 두 개의 단위 사원수가 모든 회전에 해당하므로, 실수 직교 3×3 직교 행렬의 군 \text{SO}(3,\mathbb{R})을 두 배 덮개 한다.

5. 2. 4차원 회전과의 관계

두 단위 사원수의 쌍은 4차원 공간에서의 회전을 나타낸다.[42] 모든 단위 사원수(버서)의 집합은 곱셈 하에서 3차원 구와 을 형성한다.

6. 사원수 대수 (일반화)

사원수는 사원수 대수라고 불리는 더 많은 대수로 일반화될 수 있다. F영어를 표수가 2가 아닌 임의의 체로 놓고, a영어와 b영어를 F영어의 원소로 놓자. 4차원 유니터리 결합 대수는 F영어 위에서 기저 및 를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으며, 여기서 , 및 (따라서 ).

사원수 대수는 F영어에 대한 2×2 행렬 대수와 동형이거나 a영어와 b영어의 선택에 따라 F영어에 대한 사체를 형성한다.

참조

[1] 논문 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1843-10-17
[2] 서적 The history of non-euclidean geometry: Evolution of the concept of a geometric space https://books.google[...] Springer
[3] 서적 Hamilton https://archive.org/[...] Hodges and Smith
[4] 서적 Hardy 1881 https://books.google[...] Ginn, Heath, & co.
[5] 서적 Matrix Groups Springer-Verlag
[6] 논문 Orientational Sampling Schemes Based on Four Dimensional Polytopes
[7] 논문 The Bingham distribution of quaternions and its spherical radon transform in texture analysis 2004-11
[8] 웹사이트 Why not sedenion? http://www.tony5m17h[...] 2018-06-08
[9] 간행물 Hazewinkel
[10] 간행물 Conway
[11] 서적 Leonhard Euler: life, work and legacy https://books.google[...] Elsevier
[12] 간행물 Hamilton, Rodrigues, Gauss, Quaternions, and Rotations: A Historical Reassessment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Analysis
[13] 서적 Carl Friedrich Gauss Werke https://books.google[...] Königlichen Gesellschaft der Wissenschaften [Royal Society of Sciences]
[14] 잡지 Letter
[15] 서적 Elements of Quaternions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 Co.
[16] 논문 Animating Rotation with Quaternion Curves https://www.cs.cmu.e[...]
[17] 잡지 Rotating objects using quaternions https://www.gamedeve[...] 1998-07
[18]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oretical Kinematics https://books.google[...] MIT Press
[19] 간행물 Vorlesungen über die Zahlentheorie der Quaternionen J. Springer
[20] 웹사이트 Introducing The Quaternions http://math.ucr.edu/[...] 2010-09-27
[21] 웹사이트 The Strange Numbers That Birthed Modern Algebra https://www.quantama[...] Quanta Magazine 2018-09-06
[22] 잡지 If Hamilton had prevailed: Quaternions in physics
[23] 간행물 Eves
[24] 서적 Rotations, Quaternions, and Double Groups
[25] 서적 Elements of Quaternions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 Company
[26] 논문 Elements of Quaternions http://dlxs2.library[...] library.cornell.edu
[27] 웹사이트 quaternion group http://www.wolframal[...]
[28] 서적 Vector Analysi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9] 논문 On quaternions or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http://www.maths.tcd[...] Trinity College Dublin
[30] 웹사이트 Visualizing Quaternions http://www.cs.indian[...] Morgan-Kaufmann/Elsevier
[31] 웹사이트 '[no title cited; determinant evaluation]' http://www.wolframal[...]
[32] 간행물 Altmann
[33] 논문 Matrix representation of quaternions 2003
[34] 서적 Elements of Quatern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서적 Historical Topics in Algebr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6] 서적 Clifford Algebras and the Classical Groups https://www.maths.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웹사이트 "[no title cited]" http://archive.bridg[...] 2018-08-19
[38] 웹사이트 Notes on Quaternions http://www.lce.hut.f[...] 2007-06-28
[39] 서적 Robotics, Vision, and Control – Fundamental Algorithms in MATLAB Springer
[40] 간행물 Smooth invariant interpolation of rotations 1997
[41] arXiv Rotations in three, four, and five dimensions
[42] BS Quaternions Algebra, Their Applications in Rotations and Beyond Quaternions http://www.diva-port[...] Linnaeus University
[43] 웹사이트 Three-Dimensional Point Groups https://www.classe.c[...] 2022-12-09
[44] 웹사이트 Quaternions and Geometric Algebra http://www.geometric[...] 2008-09-12
[45] 서적 Lectures on Quaternions https://archive.org/[...] Hodges & Smith
[46] 서적 Life of Sir William Rowan Hamilton https://archive.org/[...] Dublin Hodges, Figgis
[47] 서적 The life of William Thomson https://archive.org/[...] Macmillan
[48] 서적 Electromagnetic Theory https://archive.org/[...] The Electrician Printing and Publishing Company
[49] 서적 The Theory of Relativity
[50] 서적 Rotations, Quaternions, and Double Groups Clarendon Press
[51] 컨퍼런스 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letter to John T. Graves, dated October 17, 1843)
[52] 서적 The history of non-euclidean geometry: evolution of the concept of a geometric space https://books.google[...] Springer
[53] 서적 Hamilton https://books.google[...] Hodges and Smith
[54] 서적 Hardy 1881 pg. 32 https://books.google[...] Ginn, Heath, & co.
[55] 간행물 http://www.journalof[...]
[56] 텍스트
[57] 서적 On quaternions and octonions: their geometry, arithmetic, and symmetry https://books.google[...]
[58] 서적 Leonhard Euler: life, work and legacy https://books.google[...]
[59] 간행물 Hamilton, Rodrigues, and the Quaternion Scandal https://www.jstor.or[...] 1989-12
[60] 텍스트
[61] 텍스트
[62] 간행물 Animating Rotation with Quaternion Curves https://www.cs.cmu.e[...]
[63] 간행물 The quaternion group and modern physics 1984
[64] 웹사이트 Einstein's equations and Clifford algebra https://web.archive.[...] 2010年12月17日
[65] 간행물 If Hamilton had prevailed: quaternions in physics 1995
[66] 간행물 Yang-Mills field from quaternion space geometry, and its Klein-Gordon representation 2007-07
[67] 서적 Hamilton Elements of Quaternions article 285 https://books.google[...]
[68] 서적 Hardy Elements of quaternions http://dlxs2.library[...] library.cornell.edu
[69] 웹사이트 quaternion group https://www.wolframa[...] 2011-02-26
[70] 서적 Vector Analysis https://books.google[...] Gibbs-Wilson
[71] 웹사이트 Wolframalpha.com https://www.wolframa[...]
[72] 서적 Elements of Quaternions
[73] 웹사이트 Lce.hut.fi https://users.aalto.[...]
[74] 웹사이트 Quaternions and Geometric Algebra http://www.geometric[...] 2008-09-12
[75] 서적 Opera Omnia, Series IV, Volume 1
[76] 저널 Des lois géométriques qui régissent les déplacements d’un système solide dans l’espace, et de la variation des coordonnées provenant de ces déplacements considérés indépendamment des causes qui peuvent les produire http://sites.mathdoc[...] 1840
[77] 저널 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To the editors of the Philosophical Magazine and Journal http://www.maths.tcd[...] 1844
[78] 저널 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1844
[79] 저널 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2) 1844
[80] 저널 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3) 1845
[81] 저널 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4) 1846
[82] 저널 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5) 1846
[83] 저널 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6) 1846
[84] 저널 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7) 1849
[85] 저널 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8) 1849
[86] 저널 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9) 1849
[87] 저널 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10) 1849
[88] 저널 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11) 1849
[89] 저널 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12) 1849
[90] 저널 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13) 1849
[91] 저널 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14) 1849
[92] 저널 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15) 1849
[93] 저널 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16) 1849
[94] 저널 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17) 1849
[95] 저널 On Quaternions; or on a new System of Imaginaries in Algebra (18) 1850
[96] 서적 Lectures on quaternions; containing a systematic statement of a new mathematical method; of which the principles were communicated in 1843 to the Royal Irish academy; and which has since formed the subject of successive courses of lectures, delivered in 1848 and subsequent years, in the halls of Trinity college, Dublin: with numerous illustrative diagrams, and with some geometrical and physical applications http://ebooks.librar[...] Hodges and Smith 1853
[97] 서적 Elements of quaternions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 Co. 1866
[98] 웹인용 Bulletin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romoting the study of quaternions and allied systems of mathematics http://catalog.hath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