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차 공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차 공간은 군 대상의 작용에 의해 정의되는 수학적 구조로, 임의의 두 점이 대칭에 의해 동치인 공간이다. 범주 이론에서 군 대상 G가 대상 X에 추이적으로 작용하는 경우 X를 동차 공간이라고 하며, 위상 공간, 다양체, 매끄러운 다양체 등의 범주에서 정의된다. 동차 공간은 잉여류 공간 G/H로 표현될 수 있으며, 가약 동차 공간과 표준 접속과 같은 추가적인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물리학, 특히 우주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민코프스키 공간, 드 시터 공간, 안티 드 시터 공간 등이 동차 공간의 예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만 기하학 - 등각 사상
등각 사상은 각도를 보존하는 사상으로, 2차원에서는 도함수가 0이 아닌 정칙 함수인 복소 함수가 해당되며, 3차원 이상에서는 상사 변환, 등거리 변환, 특수 등각 변환 등으로 분류되어 지도 제작, 항공우주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리만 기하학 - 편평도
편평도는 아직 내용이 없어 정의를 내릴 수 없는 위키백과 페이지이다. - 리 군 - 리 대수
리 대수는 가환환 위의 가군과 리 괄호 연산으로 구성되며 쌍선형성, 교대성, 야코비 항등식을 만족하고, 리 군 연구와 분류, 표현 이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리 군 - 보렐-베유-보트 정리
보렐-베유-보트 정리는 복소수 반단순 리 군의 표현론에서 층 코호몰로지를 사용하여 리 군의 기약 표현을 설명하며, 보렐-베유 정리와 보트의 일반화를 포함한다.
| 동차 공간 | |
|---|---|
| 개요 | |
| 정의 | 군 G가 작용하는 공간 X |
| 조건 | G의 작용이 추이적임 |
| 동치 조건 | 임의의 두 점 x, y ∈ X에 대해 g ⋅ x = y인 g ∈ G가 존재함 |
| 다른 정의 | 군 G의 닫힌 부분군 H에 대한 몫공간 G/H |
| 예시 | |
| 유클리드 공간 | 유클리드 공간 R^n 유클리드 군 E(n) = O(n) ⋉ R^n (직교군과 병진군의 반직접곱) |
| 구 | n차원 구 S^n 직교군 O(n+1) |
| 쌍곡 공간 | n차원 쌍곡 공간 H^n 등장 변환군 O^+(1, n) (로렌츠 군의 연결 성분) |
| 사영 공간 | 실수 사영 공간 RP^n 사영 변환군 PGL(n + 1, R) |
| 그라스만 다양체 | 그라스만 다양체 Gr(k, V) 일반 선형군 GL(V) |
| 플래그 다양체 | 플래그 다양체 일반 선형군 GL(V) |
| 평탄 토러스 | 평탄 토러스 T^n 유클리드 군 E(n) |
2. 정의
유한 곱을 갖는 구체적 범주에서, 어떤 군 대상의 작용이 추이적 작용을 이루는 공간을 '동차 공간'이라고 한다. 이 작용은 해당 범주의 사상을 이루어야 한다.
추이적 작용 때문에, 동차 공간의 모든 점들은 대칭에 의해 서로 "평등"하게 된다. 예를 들어, 모든 연결 다양체는 미분 동형 사상군의 추이적 작용을 갖지만, 대부분은 동차 다양체가 아니다. 이는 가 의 군 대상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생략될 수 없기 때문이다.[1]
간단히 말해, 가 어떤 범주 의 대상일 때, -공간의 구조는 에서 대상 의 자기 동형 사상 군으로의 준동형 사상으로 표현된다.
2. 1. 형식적 정의
유한 곱을 갖는 구체적 범주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 속의 군 대상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속의 대상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이를 '''동차 공간'''이라고 한다.여기서, 가 의 군 대상이어야 한다는 조건은 생략될 수 없다. 범주 는 위상 공간의 범주 , 다양체의 범주 , 또는 매끄러운 다양체의 범주 등으로 잡을 수 있다.
''X''를 공집합이 아닌 집합, ''G''를 군이라고 하자. 그러면 ''X''는 ''G''의 ''X''에 대한 작용이 주어지면 ''G''-공간이라고 한다.[1] 자동으로 ''G''는 집합에 대해 자기 동형 사상(전단사)으로 작용한다. 만약 ''X''가 어떤 범주에 속하면, ''G''의 원소들은 같은 범주에서 자기 동형 사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즉, ''G''의 원소에서 나오는 ''X''에 대한 사상은 범주와 관련된 구조를 보존한다. 동차 공간은 ''G''가 추이적으로 작용하는 ''G''-공간이다.
''X''가 범주 '''C'''의 대상이면, ''G''-공간의 구조는 준동형 사상
:
는 범주 '''C'''에서 대상 ''X''의 자기 동형 사상 군으로의 준동형 사상이다. 쌍 는 가 ''X''의 기본 집합의 대칭 군의 추이적인 군을 이룰 경우 동차 공간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X''가 위상 공간이면, 군의 원소는 ''X''에서 동형사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G''-공간의 구조는 군 준동형 사상 ''ρ'' : ''G'' → Homeo(''X'')이며, ''X''의 동형사상 군으로 작용한다.
마찬가지로, ''X''가 미분 다양체인 경우, 군의 원소는 미분동형사상이다. ''G''-공간의 구조는 군 준동형 사상 이며, ''X''의 미분동형사상 군으로 작용한다.
2. 2. 잉여류 공간으로서의 표현
위상군 가 동차 공간 에 추이적으로 작용한다고 가정하면, 임의의 점 의 안정자군 에 대하여 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원점이 주어지면 동차 공간을 잉여류 공간 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원점의 선택은 유일하지 않으므로, 동차 공간은 "원점을 잊은" 잉여류 공간으로 간주할 수 있다.[1]일반적으로, 가 동차 공간이고, 의 어떤 지정된 점 (원점의 선택)의 안정자군 가 주어지면, 의 점들은 왼쪽 잉여류 와 대응하고, 지정된 점 는 항등원의 잉여류에 대응한다. 반대로, 잉여류 공간 가 주어지면, 이것은 지정된 점, 즉 항등원의 잉여류를 갖는 에 대한 동차 공간이다. 따라서 동차 공간은 원점의 선택이 없는 잉여류 공간으로 생각할 수 있다.[6]
3. 성질
가약 동차 공간은 리만 계량 및 아핀 접속과 관련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공간이다. 표준 접속의 비틀림 텐서 및 리만 곡률 텐서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9][10]
:
:
3. 1. 가약 동차 공간
매끄러운 다양체의 범주 속의 동차 공간 를 생각하자. 그 리 대수는 다음과 같다.:
만약
:
:
인 실수 벡터 공간 이 존재한다면, 를 '''가약 동차 공간'''(reductive homogeneous space영어)이라고 한다.[9]
이 경우, 다음과 같은 두 집합 사이에 표준적인 일대일 대응이 존재한다.[9]
- 위의 -불변 리만 계량 (즉, 임의의 에 대하여, )
- 위의 -불변 내적
이 일대일 대응은 다음으로부터 유도된다.
:
또한, 다음과 같은 두 집합 사이에 표준적인 일대일 대응이 존재한다.[10]
- 위의 -불변 아핀 접속
- 위의 쌍선형 사상 가운데, 에 대하여 불변인 것
이 일대일 대응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쌍선형 사상 가운데, 에 대응하는 아핀 접속을 의 '''표준 접속'''(canonical connection영어)이라고 한다.[10][9] 이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아핀 접속 이다.
- 에 의한 평행 이동은 의 작용에 대한 밂과 같다. 즉, 임의의 벡터 및 에 대하여,
- :
여기서 는 의 리 지수 사상이며, 우변의 는 지수 사상으로 정의되는 곡선에 대한 벡터의 평행 이동이다.
표준 접속의 비틀림 텐서 및 리만 곡률 텐서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3. 2. 표준 접속
가약 동차 공간 에서 표준 접속은 에 대응하는 아핀 접속으로 정의된다.[10][9] 표준 접속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아핀 접속 이다.- 에 의한 평행 이동은 의 작용에 대한 밂과 같다. 즉, 임의의 벡터 및 에 대하여,
- :
여기서 는 의 리 지수 사상이며, 우변의 는 지수 사상으로 정의되는 곡선에 대한 벡터의 평행 이동이다.
표준 접속의 비틀림 텐서 및 리만 곡률 텐서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
4. 예
''X''가 위상 공간이면, 군의 원소는 ''X''에서 동형사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G''-공간의 구조는 군 준동형 사상 ''ρ'' : ''G'' → Homeo(''X'')이며, ''X''의 동형사상 군으로 작용한다.
마찬가지로, ''X''가 미분 다양체인 경우, 군의 원소는 미분동형사상이다. ''G''-공간의 구조는 군 준동형 사상 ''ρ'' : ''G'' → Diffeo(''X'')이며, ''X''의 미분동형사상 군으로 작용한다.
리만 대칭 공간은 중요한 부류의 균질 공간이며, 아래 표에 나열된 많은 예제를 포함한다.
| 공간 X | 군 G | 안정자 H |
|---|---|---|
| 구면 Sn−1 | O(n) | O(n − 1) |
| 방향이 있는 Sn−1 | SO(n) | SO(n − 1) |
| 사영 공간 PRn−1 | PO(n) | PO(n − 1) |
| 유클리드 공간 En | E(n) | O(n) |
| 방향이 있는 En | E+(n) | SO(n) |
| 쌍곡 공간 Hn | O+(1, n) | O(n) |
| 방향이 있는 Hn | SO+(1, n) | SO(n) |
| 반 더 시터르 공간 AdSn+1 | O(2, n) | O(1, n) |
| 그라스만 다양체 Gr(r, n) | O(n) | O(r) × O(n − r) |
| 아핀 공간 A(n, K) | Aff(n, K) | GL(n, K) |
; 등거리 변환 군
- 양의 곡률:
- # 구 (직교군): ''S''''n''−1는 '''R'''''n''에서 노름이 1인 벡터들의 집합이다.
- 평탄한 (영 곡률):
- # 유클리드 공간 (유클리드 군, 점 안정자는 직교군)
- 음의 곡률:
- # 쌍곡 공간 (등시 로렌츠 군, 점 안정자는 직교군, 쌍곡면 모형에 해당)
- # 반 더 시터르 공간
; 기타
4. 1. 집합
집합의 범주에서, 모든 집합은 스스로 위의 대칭군의 작용에 의하여 자명하게 동차 공간이다.[1]4. 2. 동차 다양체
매끄러운 다양체 범주에서, 다양한 동차 다양체들이 존재한다.X를 공집합이 아닌 집합, G를 군이라고 하자. 그러면 X는 G가 X에 작용하면 G-공간이라고 한다.[1] 자동적으로 G는 집합에 대해 자기 동형 사상(전단사)으로 작용한다. 만약 X가 어떤 범주에 속하면, G의 원소들은 같은 범주에서 자기 동형 사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즉, G의 원소에서 나오는 X에 대한 사상은 범주와 관련된 구조를 보존한다. 동차 공간은 G가 추이적으로 작용하는 G-공간이다.
X가 범주 '''C'''의 대상이면, G-공간의 구조는 준동형 사상
:
이다. 이는 범주 '''C'''에서 대상 X의 자기 동형 사상 군으로의 준동형 사상이다. 쌍 는 ''ρ''(''G'')가 X의 기본 집합의 대칭 군의 추이적인 군을 이룰 경우 동차 공간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X가 위상 공간이면, 군의 원소는 X에서 동형사상으로 작용한다고 가정한다. G-공간의 구조는 군 준동형 사상 ''ρ'' : ''G'' → Homeo(''X'')이며, X의 동형사상 군으로 작용한다.
마찬가지로, X가 미분 다양체인 경우, 군의 원소는 미분동형사상이다. G-공간의 구조는 군 준동형 사상 이며, X의 미분동형사상 군으로 작용한다.
리만 대칭 공간은 중요한 부류의 균질 공간이며, 위에 나열된 많은 예제를 포함한다.
4. 2. 1. 구체적인 예
다음은 동차 공간의 구체적인 예시이다.| 공간 X | 군 G | 안정자 H |
|---|---|---|
| 초구 Sn−1 | O(n) | O(n − 1) |
| 방향이 있는 Sn−1 | SO(n) | SO(n − 1) |
| 사영 공간 PRn−1 | PO(n) | PO(n − 1) |
| 유클리드 공간 En | E(n) | O(n) |
| 방향이 있는 En | E+(n) | SO(n) |
| 쌍곡 공간 Hn | O+(1, n) | O(n) |
| 방향이 있는 Hn | SO+(1, n) | SO(n) |
| 반 더 시터르 공간 AdSn+1 | O(2, n) | O(1, n) |
| 그라스만 다양체 Gr(r, n) | O(n) | O(r) × O(n − r) |
| 아핀 공간 A(n, K) | Aff(n, K) | GL(n, K) |
- 등거리 변환 군
- 양의 곡률:
- 구 (직교군): ''S''''n''−1는 '''R'''''n''에서 노름이 1인 벡터들의 집합이다. 이러한 벡터 중 하나를 기저 벡터로 간주하면, 다른 모든 벡터는 직교 변환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 방향이 있는 구 (특수 직교군):
- 사영 공간 (사영 직교군):
- 평탄한 (영 곡률):
- 유클리드 공간 (유클리드 군, 점 안정자는 직교군):
- 음의 곡률:
- 쌍곡 공간 (등시 로렌츠 군, 점 안정자는 직교군, 쌍곡면 모형에 해당):
- 방향이 있는 쌍곡 공간:
- 반 더 시터르 공간:
- 기타
- 체 ''K'' 위의 아핀 공간 (아핀 군에 대해, 점 안정자는 일반 선형 군):
- 그라스만 다양체:
- 민코프스키 공간
5. 기하학
에를랑겐 프로그램의 관점에서, 동차 공간의 기하학은 "모든 점은 같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19세기 중반 리만 기하학 이전에 제안된 거의 모든 기하학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유클리드 공간, 아핀 공간, 사영 공간은 모두 해당 대칭군에 대한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동차 공간이다. 이는 쌍곡 공간과 같은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상수 곡률 모델에도 마찬가지이다.
5. 1. 선 기하학
3차원 사영 공간의 선의 공간은 동차 공간의 고전적인 예시이다. 율리우스 플뤼커의 선 기하학으로 설명된다. 이것은 4차원 벡터 공간의 2차원 부분 공간의 공간으로도 볼 수 있다. GL4가 이들 위에 추이적으로 작용함을 보이는 것은 간단한 선형대수이다. 부분 공간에 대한 두 개의 기저 벡터를 갖는 4×2 행렬의 2×2 소행렬식을 사용하여 ''선 좌표''로 매개변수화할 수 있다.6. 예동차 벡터 공간
사토 미키오가 도입한 예동차 벡터 공간은 대수군 ''G''의 군 작용을 갖는 유한 차원 벡터 공간 ''V''로, 자리스키 위상에서 열린 ''G'' 궤도가 존재하는 공간이다. 예를 들어 GL(1)이 1차원 공간에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정의는 보기보다 제한적이다. 이러한 공간은 놀라운 성질을 가지며, "캐슬링" 변환을 포함하여 기약 예동차 벡터 공간의 분류가 존재한다.
7. 물리학에서의 동차 공간
물리학에서 동차 공간은, 특히 일반 상대성 이론과 우주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리만 대칭 공간은 중요한 균질 공간의 한 종류이며, 아래에 나열된 많은 예시를 포함한다.
| 공간 X | 군 G | 안정자 H |
|---|---|---|
| 구면 Sn−1 | O(n) | O(n − 1) |
| 방향이 있는 Sn−1 | SO(n) | SO(n − 1) |
| 사영 공간 PRn−1 | PO(n) | PO(n − 1) |
| 유클리드 공간 En | E(n) | O(n) |
| 방향이 있는 En | E+(n) | SO(n) |
| 쌍곡 공간 Hn | O+(1, n) | O(n) |
| 방향이 있는 Hn | SO+(1, n) | SO(n) |
| 반 드 지터 공간 AdSn+1 | O(2, n) | O(1, n) |
| 그래스만 다양체 Gr(r, n) | O(n) | O(r) × O(n − r) |
| 아핀 공간 A(n, K) | Aff(n, K) | GL(n, K) |
; 등거리 변환 군
- 양의 곡률:
- # 구 (직교 군): ''S''''n''−1는 '''R'''''n''에서 노름이 1인 벡터들의 집합이다. 이러한 벡터 중 하나를 기저 벡터로 간주하면, 다른 모든 벡터는 직교 변환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 # 방향이 있는 구 (특수 직교 군):
- # 사영 공간 (사영 직교 군):
- 평탄한 (영 곡률):
- # 유클리드 공간 (유클리드 군, 점 안정자는 직교 군):
- 음의 곡률:
- # 쌍곡 공간 (등시 로렌츠 군, 점 안정자는 직교 군, 쌍곡면 모형에 해당):
- # 방향이 있는 쌍곡 공간:
- # 반 드 지터 공간:
; 기타
- 체 ''K'' 위의 아핀 공간 (아핀 군에 대해, 점 안정자는 일반 선형 군): .
- 그래스만 다양체:
- 위상 벡터 공간 (위상의 의미에서)
- 민코프스키 공간, 갈릴레이 공간, 캐롤리안 공간등 물리학과 관련된 흥미로운 균질 공간도 있다.
푸앵카레 군 ''G''와 그 부분군인 로렌츠 군 ''H''가 주어지면, 잉여류의 공간은 민코프스키 공간이다.[3] 드 시터 공간과 안티 드 시터 공간과 함께 이들은 최대한 대칭적인 로렌츠 공간이다.
7. 1. 우주론 모형
일반 상대성 이론을 사용하는 물리 우주론에서는 비앙키 분류 체계를 활용한다. 상대성 이론에서 균질 공간은 일부 우주론 모형의 배경 계량 텐서에서 공간 부분을 나타낸다.[4] 예를 들어, 프리드만-르메트르-로버트슨-워커 계량의 세 가지 경우는 비앙키 I형(평탄), V형(열린), VII형(평탄 또는 열린), IX형(닫힌)의 부분 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믹스마스터 우주는 비앙키 IX형 우주론의 등방성을 갖지 않는 예시이다.[4]''N''차원 균질 공간은 ''N''(''N'' + 1)개의 킬링 벡터를 허용한다.[5] 3차원의 경우, 총 6개의 선형 독립 킬링 벡터장을 갖는다. 균질 3-공간은 이러한 벡터들의 선형 결합을 통해 모든 곳에서 0이 아닌 킬링 벡터장 ''ξ''를 찾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
여기서 "구조 상수" ''C''''a''''bc''는 아래 첨자에서 반대칭인 상수 3차 텐서이다. (왼쪽 항의 대괄호는 반대칭화를, ";"는 공변 미분 연산자를 나타낸다.) 평탄 등방 우주의 경우, 한 가지 가능성은 ''C''''a''''bc'' = 0 (I형)이지만, 닫힌 FLRW 우주의 경우 ''C''''a''''bc'' = ''ε''''a''''bc''이며, 여기서 ''ε''''a''''bc''는 레비-치비타 기호이다.
7. 2. 킬링 벡터장
''N''차원 균질 공간은 ''N''(''N''+1)개의 킬링 벡터를 허용한다.[5] 3차원의 경우, 이는 총 6개의 선형 독립 킬링 벡터장을 제공한다. 균질 3-공간은 이러한 벡터들의 선형 결합을 사용하여 모든 곳에서 0이 아닌 킬링 벡터장 ''ξ''를 찾을 수 있는 속성을 갖는다.:
여기서 "구조 상수"인 객체 ''C''''a''''bc''는 하위 두 지수에서 상수 3차 텐서 반대칭 텐서를 형성한다(왼쪽 항의 대괄호는 반대칭화를 나타내고 ";"는 공변 미분 연산자를 나타낸다). 평탄 등방 우주의 경우, 한 가지 가능성은 (I형)이지만, 닫힌 FLRW 우주의 경우 이며, 여기서 ''ε''''a''''bc''는 레비-치비타 기호이다.
참조
[1]
문서
[2]
논문
Spatially isotropic homogeneous spacetimes
https://doi.org/10.1[...]
2019-01-31
[3]
서적
Lie Groups for Physicists
W. A. Benjamin
1966
[4]
서적
Course of Theoretical Physics vol. 2: The Classical Theory of Fields
Butterworth-Heinemann
[5]
서적
Gravitation and Cosmology
John Wiley and Sons
[6]
문서
[7]
서적
Course of Theoretical Physics vol. 2: The Classical Theory of Fields
Butterworth-Heinemann
[8]
서적
Gravitation and Cosmology
John Wiley and Sons
[9]
서적
Proceedings of the Thirteenth International Workshop on Differential Geometry and Related Fields
http://webbuild.knu.[...]
경북대학교 출판부
2009
[10]
서적
The geometry of reductive homogeneous spaces
http://www.matematik[...]
룬드 대학교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