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새만금개발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새만금개발청은 새만금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2013년 설립된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외청이다. 새만금 사업의 기본 계획 수립 및 변경,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 승인, 토지 공급 계획 승인, 준공 검사, 투자 유치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새만금 사업의 총괄 및 조정 역할을 담당한다. 2018년 군산시로 청사를 이전했으며, 새만금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재정 및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새만금 - 고군산군도
    고군산군도는 전라북도 군산시 앞바다에 위치한 산처럼 모인 섬들로, 고려 시대 무역로 기항지이자 진포해전 기지였으며, 조선 시대 군산진 이전 후 현재 이름을 얻었고, 화산암체로 이루어져 아름다운 자연경관으로 알려져 있다.
  • 새만금 - 동진강
    전라북도 정읍시에서 발원하여 부안군까지 흐르는 동진강은 총 연장 44.7km의 하천으로, 원평천, 고부천, 정읍천 등의 주요 지류와 함께 다수의 지류가 합류하며, 일부 구간은 국가하천 및 지방하천으로 지정 관리된다.
  • 군산시 소재의 관공서 - 군산교도소
    1910년 광주감옥 군산분감으로 시작하여 군산형무소를 거쳐 1961년 군산교도소로 개칭된 군산교도소는 한국 교정 행정의 역사를 보여주는 상징적 교정시설이다.
  • 군산시 소재의 관공서 -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군산학생교육문화관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군산학생교육문화관은 1993년 군산학생종합체육관 준공을 시작으로 설립되어 군산지역 평생학습관 지정, 군산교육문화회관으로의 명칭 변경, 그리고 대야공공도서관 편입을 거쳐 현재의 전라북도교육청 직속 기관이 되었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대한민국 새만금개발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개요
원어명 (한국어)새만금개발청
원어명 (한자)新萬金開發廳
로마자 표기Saemangeum Gaebal-cheong
영어 명칭Saemangeum Development and Investment Agency (SDIA)
설립일2013년 9월 12일
소재지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새만금북로 466
직원 수120명
웹사이트SDIA 영어 웹사이트
운영
기관장 직책청장
기관장 성명김규현
차장 직책차장
차장 성명윤순희
소속국토교통부
예산
세입79억 3800만 원
세출1483억 6900만 원
조직
산하 기관새만금개발공사
역사
전신문화체육관광부 새만금개발과
농림축산식품부 새만금개발과
기타
관련 법률새만금사업 추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2. 소관 업무

새만금개발청새만금사업과 관련된 다양한 업무를 소관하고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새만금사업의 총괄 및 조정 (단, 여러 부처가 관련된 정책의 통합 및 조정 기능은 제외)
  • 새만금사업 기본계획 수립 및 변경
  • 새만금사업 지역 내에서의 각종 행위 허가
  • 개발계획 수립 및 실시계획 승인
  • 조성된 토지 등의 공급 계획 승인
  • 사업 완료 후 준공검사 실시
  • 사업 추진을 위한 선수금 승인
  • 새만금사업 지역의 재해 및 재난 관리
  • 새만금사업 투자 유치 활동 등

2. 1. 새만금사업 총괄 및 조정

새만금개발청은 새만금사업 전반을 총괄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 여러 부처가 관련된 정책의 통합 및 조정 기능은 제외된다. 주요 사무는 다음과 같다.

  • 새만금사업의 기본계획 수립 및 변경
  • 새만금사업 지역 내에서의 각종 행위 허가
  • 개발계획 수립 및 실시계획 승인
  • 조성된 토지 등의 공급 계획 승인
  • 사업 완료 후 준공검사 실시
  • 사업 추진을 위한 선수금 승인
  • 새만금사업 지역의 재해 및 재난 관리
  • 새만금사업 투자 유치 활동 등

2. 2. 기본계획 수립 및 변경

새만금개발청은 새만금 사업의 기본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는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필요에 따라 이를 변경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2. 3. 새만금사업 지역 행위 허가

새만금개발청새만금 사업 지역에서의 행위 허가에 관한 사무를 담당한다.

2. 4.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 승인

새만금 사업의 구체적인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실시계획을 승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 5. 조성토지 공급계획 승인

새만금 간척 사업을 통해 조성된 토지 등의 공급 계획을 승인하는 것은 새만금개발청의 주요 사무 중 하나이다.

2. 6. 준공검사

새만금 사업으로 완료된 개발 및 조성 사업에 대한 준공검사 관련 사무를 수행한다. 이는 새만금개발청의 주요 업무 중 하나이다.

2. 7. 선수금 승인

새만금 사업 추진에 필요한 선수금의 승인에 관한 사무를 담당한다.

2. 8. 재해·재난 관리

새만금 사업 지역에서 발생하는 재해 및 재난의 관리에 관한 사무를 담당한다.

2. 9. 투자유치

새만금개발청은 새만금 간척 사업 지역의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국내외 투자 유치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이는 새만금 지역의 개발을 촉진하고 성장을 이끄는 중요한 활동 중 하나이다.

3. 연혁

3. 1. 설립 준비단 설치

2013년 5월 6일, 국토교통부 소속으로 새만금개발청 설립준비단이 설치되었다.[6]

3. 2. 새만금개발청 개청

2013년 5월 6일, 국토교통부 소속으로 새만금개발청 설립 준비단이 설치되었으며,[6] 같은 해 9월 12일 국토교통부의 외청으로 새만금개발청이 공식 출범하였다.[7]

3. 3. 청사 이전

2018년 12월 10일에 전라북도 군산시로 청사를 이전하였다.[8]

4. 조직

청장과 차장을 둔다.

4. 1. 청장

청장 직속으로 대변인실을 둔다.

4. 2. 차장

wikitext

국/관담당관실·과
차장 산하 하부조직
기획조정관실기획재정담당관실ㆍ혁신행정담당관실ㆍ정보민원담당관실
운영지원과
개발전략국계획총괄과ㆍ신산업전략과ㆍ기반시설과ㆍ교류협력과ㆍ신재생에너지기반과[9]
개발사업국사업총괄과ㆍ산업진흥과ㆍ국제도시과[10]ㆍ관광진흥과


5. 정원

새만금개발청에 두는 공무원의 총 정원은 139명이며[3], 이는 정무직 1명과 일반직 138명으로 구성된다. 상세한 직급별 정원은 하위 문단을 참고한다.

5. 1. 직급별 정원

새만금개발청에 두는 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3]

총계139명
정무직 계1명
style="border-top:hidden; background:#EAECF0;" |청장1명
colspan=3 style="background:#FFF;" |
일반직 계138명
style="border-top:hidden; background:#EAECF0;" |고위공무원단4명
style="border-top:hidden; background:#EAECF0;" |3급 이하 5급 이상69명[11]
style="border-top:hidden; background:#EAECF0;" |6급 이하65명[12]


6. 재정

2023년 새만금개발청의 재정 규모는 총수입(세입) 기준으로는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하였으나, 총지출(세출) 기준으로는 전년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6. 1. 세입 예산

총수입 기준 2023년 재정 규모는 다음과 같다.

구분세입예산작년 대비 증감
일반회계78.69억+0.41%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6900만+4.55%
colspan=3 |
합계79.38억+0.44%


6. 2. 세출 예산

2023년 새만금개발청의 세출 예산은 전액 일반회계의 지역 및 도시 분야에서 집행되었으며, 총액은 1483.69억으로 전년 대비 40.3% 크게 감소하였다.

회계 구분분야세출예산작년 대비 증감
일반회계지역및도시1483.69억-40.3%
합계1483.69억-40.3%


7. 성격

새만금개발청은 새만금 지역 개발을 위해 설치된 관서이다. 예산회계법상으로는 중앙행정기관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관할 범위가 새만금 지역에 한정되기 때문에, 전국을 관할하는 부서를 명시한 정부조직법에서는 중앙행정기관으로 명시되지 않는 특수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황에 따라 중앙행정기관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다.

8. 사건·사고 및 논란

새만금개발청은 설립 초기, 청사 입지를 둘러싸고 관련 지역 간의 논란을 겪었다. 중앙부처와의 협력 용이성을 내세운 세종특별자치시와 사업 현장성 및 지역 균형 발전을 주장한 전라북도 군산시가 주요 후보지로 경쟁했다.[17][23] 정부는 사업 초기 업무 특성을 고려하여 세종특별자치시에 임시 청사를 마련하고, 향후 사업이 본격화되면 현지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28][29]

8. 1. 청사 입지 논란

새만금개발청의 설립이 가시화되면서 청사 입지를 둘러싼 논란이 발생했다. 2013년 5월 김관영 의원 주최 토론회에서 청사 입지 문제가 처음 공론화되었으며[13], 당시 국토교통부 새만금개발청설립준비단은 '국책사업으로서의 원활한 업무추진'을 최우선 기준으로 삼겠다고 밝혔다.[14]

주요 후보지로는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서울특별시, 전라북도 군산시 등이 거론되었다.[17] 세종특별자치시는 관련 중앙부처와의 업무 협조 용이성 및 국책사업 위상 강화[15][21], 군산시는 사업 현장으로서의 상징성과 지역 균형 발전[23][27] 등을 내세우며 각 지역의 유치 경쟁이 벌어졌다. 특히 군산 지역에서는 시민사회단체와 군산시의회 등이 중심이 되어 현장 설치의 필요성을 강력히 주장했다.[23][27]

정치권에서도 논의가 이어져, 당시 민주당 소속 김관영 의원은 개청 초기에는 세종시에서 출범하더라도 사업이 본격화되면 현장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했고, 서승환 당시 국토교통부 장관도 이에 동의 의사를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24][25]

정부는 주민 설문조사와 전문가 자문 등[17]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32] 2013년 7월 12일,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 새만금위원회에서 새만금개발청을 세종특별자치시에 임시로 설치하기로 최종 결정했다.[28] 이는 사업 초기 업무 특성을 고려한 결정이며, 향후 사업이 본격화되면 현지로 이전한다는 기본 방침을 함께 정했다.[29][30] 다만 정부세종청사 내 공간 부족으로 인근 복합커뮤니티센터를 임시 청사로 사용하게 되었다.[31]

8. 1. 1. 토론회 개최

2013년 5월 28일, 국회에서 김관영 의원(군산) 주최로 '새만금개발청, 이후 무엇이 달라지나'라는 주제의 토론회가 열렸다. 이 토론회에서는 박선호 국토교통부 국토정책관이 발제를 맡았으며, 김성남 국토교통부 새만금개발청설립준비단장, 김일환 농림축산식품부 새만금개발과장, 김재구 전북발전연구원 연구위원, 강승구 군산시청 부시장, 이원희 한경대학교 교수, 김민영 군산대학교 새만금종합개발연구원장이 토론자로 참여했다.[13]

이 자리에서 김성남 단장은 새만금개발청의 청사 입지에 대해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수도권, 전주 혁신도시, 군산 새만금 현장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고 언급하며, 청사 입지 선정의 최우선 기준은 '국책사업으로서의 원활한 업무추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14]

김재구 연구위원은 새만금개발청 청사가 반드시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세종청사에 입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 이유로 새만금 사업 관련 부처 간의 원활한 업무 협의, 국가 예산 확보의 용이성, 국책사업으로서의 위상 강화 등을 들었다.[15]

이원희 교수는 새만금개발청의 기능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을 모델로 삼되,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의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또한 개청 초기에는 약 300명의 인력이 필요하며, 청사 위치는 초기(1기)에는 세종특별자치시에 두었다가 사업 집행이 본격화되는 시기에는 새만금 지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16]

한편, 토론회 이후 새만금개발청설립준비단은 청사 입지 문제 해결을 위해 2013년 6월 중 후보 지역인 전라북도 군산시, 대전광역시, 서울특별시, 세종특별자치시 주민들을 대상으로 입지 선호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7월에는 전문가 자문위원회를 구성하여 의견을 수렴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7월 중 최종 입지를 결정할 예정이며, 입지 결정에는 사업의 상징성, 업무 추진의 편의성, 유관기관 협조 용이성, 외자 유치 용이성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될 것으로 예상되었다.[17]

8. 1. 2. 입지 선정 과정

2013년 5월 28일, 김관영 의원(당시 민주당, 군산) 주최로 '새만금개발청, 이후 무엇이 달라지나' 토론회가 국회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는 박선호 당시 국토교통부 국토정책관, 김성남 국토교통부 새만금개발청설립준비단장 등이 참석하여 새만금개발청의 역할과 입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13]

김성남 단장은 청사 입지 후보지로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수도권, 전주 혁신도시, 군산시 새만금 현장 등 다양한 지역이 거론되고 있음을 언급하며, '국책사업으로서의 원활한 업무추진'을 최우선 기준으로 삼아 입지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14] 토론회에서는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김재구 전북발전연구원 연구위원은 관련 부처와의 협의 용이성, 예산 확보의 유리함, 국책사업으로서의 인식 확산 등을 이유로 정부세종청사 입주를 주장했다.[15] 반면, 이원희 한경대학교 교수는 초기에는 세종특별자치시에 청사를 두었다가 사업 집행이 본격화되는 시기에는 새만금 지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제안했다.[16]

청사 입지를 둘러싼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국토교통부 새만금개발청설립준비단은 2013년 6월 내에 후보 지역 주민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7월에는 전문가 자문위원회를 구성하여 의견을 수렴한 뒤 최종 입지를 결정할 계획을 세웠다.[17] 입지 선정 기준으로는 사업의 상징성, 업무추진의 편의성, 유관기관 협조 용이성, 외자유치 용이성 등이 고려되었다. 준비단은 현지 조사를 통해 세종특별자치시 1-5 생활권 복합커뮤니티센터와 서울, 대전, 군산 지역의 공공청사를 주요 후보지로 검토했으며, 정부과천청사는 여유 공간 부족으로 사실상 제외되었다.[18][19] 각 후보지는 세종(유관기관 협조, 업무 편의성), 서울(외자유치 용이성), 군산(사업 상징성) 등에서 상대적 강점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았다.[20]

지역별 유치 경쟁도 나타났다. 2013년 5월 29일, 민주당 세종특별자치시당은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 등 관련 부처가 모여 있는 세종시에 입주하는 것이 업무 효율성과 국책사업 위상 제고에 가장 적절하다고 주장하며, 전라북도청 역시 세종 입주를 희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21][22]

이에 맞서 군산 지역에서는 현장 입지를 강력히 요구했다. 2013년 6월 14일, 군산상공회의소를 포함한 40여 개 군산 시민·사회단체는 건의서를 통해 새만금 사업의 중심지이자 국제물류 거점으로서의 잠재력을 가진 군산에 개발청을 설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개발청이 계획 수립보다는 집행 기능에 가까우므로 현장인 군산에 설치되어야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낼 수 있으며, 타지역 설치는 지역 주민에게 큰 실망을 안길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기존 새만금군산경제자유구역청 청사 활용을 통한 예산 절감과 지역 균형 발전 효과도 내세웠다.[23]

정치권에서도 입지 관련 논의가 이어졌다. 2013년 6월 17일 국회 국토교통부 업무보고에서 김관영 의원은 "모든 건 현장에 답이 있다"며, 초기에는 세종에서 출범하더라도 개발이 본격화되는 2015년 말까지는 새만금 현장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했고, 이에 서승환 당시 국토교통부 장관이 동의했다고 김 의원 측은 전했다.[24][25][26] 6월 20일에는 군산시의회 역시 '새만금개발청 군산 설치 촉구 건의문'을 채택하며 현장 중심 행정과 국가 균형발전 차원에서 군산 유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27]

최종적으로 2013년 7월 12일,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11차 새만금위원회에서 새만금개발청을 세종특별자치시에 임시로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사업 초기 업무 특성을 고려한 결정이며, 주요 사업 착공 등 사업이 본격화될 때 현지로 이전한다는 기본 방침을 함께 확정했다.[28][29][30] 다만, 정부세종청사 내에는 공간이 부족하여 인근 복합커뮤니티센터를 임시 청사로 활용하기로 했다.[31] 국토교통부는 6월에 실시한 의견조사 결과, 위상, 인력 확보, 투자 유치 등 업무 편의 측면에서 세종시가 최적 입지로 평가되었다고 설명했다.[32]

박선호 새만금개발청설립준비단장은 입지와 개청 일정이 확정됨에 따라 개청 준비를 본격화하고, 개청 후 업무가 차질 없이 수행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33] 유한식 당시 세종특별자치시장은 7월 14일, 새만금개발청의 세종 입지 결정을 환영하며, 차질 없는 개청 지원과 함께 미래창조과학부, 해양수산부 등 다른 신설 부처 유치 노력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34]

8. 1. 3. 각 지역의 주장

2013년 5월 28일, 김관영 의원(군산) 주최로 열린 '새만금개발청, 이후 무엇이 달라지나' 토론회에서 새만금개발청의 입지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13] 김성남 국토교통부 새만금개발청설립준비단장은 청사 입지 선정 기준으로 '국책사업으로서의 원활한 업무추진'을 강조하며,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수도권, 전주 혁신도시, 군산 새만금 현장 등 여러 후보지를 언급했다.[14]

이 토론회에서 김재구 전북발전연구원 연구위원은 새만금개발청이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세종청사에 입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관계 부처 간 업무 협의의 용이성, 국가 예산 확보의 유리함, 국책사업으로서의 인식 확산 등을 이유로 들었다.[15] 이원희 한경대학교 교수는 청사 기능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과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사례를 참고하여 초기 300명 규모로 운영하되, 1단계는 세종특별자치시에, 사업 집행 중심 시기에는 새만금 지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제안했다.[16]

새만금개발청설립준비단은 2013년 6월 중 전라북도 군산시, 대전광역시, 서울특별시, 세종특별자치시 주민 대상 설문조사와 7월 전문가 자문위원회 의견 수렴을 거쳐 7월 중 최종 입지를 결정할 계획이었다.[17] 입지 결정 기준으로는 사업의 상징성, 업무추진 편의성, 유관기관 협조 용이성, 외자유치 용이성 등이 고려되었다. 검토 대상 후보지는 세종특별자치시 1-5 생활권 복합커뮤니티센터와 서울·대전·군산 지역 공공청사였으며, 정부과천청사는 공간 부족으로 제외되었다.[18][19] 당시 평가로는 세종특별자치시는 유관기관 협조 및 업무 편의성, 서울특별시는 외자유치 용이성, 군산시는 사업 상징성 측면에서 강점을 보였다.[20]

2013년 5월 29일, 민주당 세종특별자치시당은 성명을 통해 새만금개발청의 세종특별자치시 입주를 강력히 주장했다.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 등 관련 정부 부처가 세종시에 위치해 있어 업무 효율성과 원활한 추진이 가능하며, 국가기관으로서의 위상과 국책사업 인식 제고를 위해서도 세종시 입주가 가장 적절하다고 밝혔다.[21] 또한 전라북도청 역시 새만금개발청의 정부세종청사 입주를 희망하고 있다고 덧붙이며, 정부에 세종시 청사 마련을 촉구했다.[22]

반면, 2013년 6월 14일 군산상공회의소를 포함한 40여 개 군산 시민·사회단체는 건의서를 통해 새만금개발청의 군산 설치를 요구했다. 이들은 군산이 항만·철도·도로 인프라를 갖춘 국제물류중심도시로 발전 가능성이 크며, 전략적 투자 유치를 위해 개발청의 현장 설치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개발청의 역할이 기획보다는 집행에 가깝기 때문에 새만금 현장인 군산에 위치해야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낼 수 있으며, 타 지역 설치 시 군산시민과 전북도민의 실망이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 지역 경제 활성화, 국가 예산 절감, 국토 균형 개발, 낙후 지역 개발을 통한 국민 화합 차원에서도 군산 설치가 타당하다고 주장했다.[23]

2013년 6월 2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민주당 김관영 의원은 국토교통부 업무보고에서 "모든 건 현장에 답이 있다"며, 개발청 개청 초기에는 기획 업무 중심으로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출범하더라도 개발이 본격화되는 2015년 말까지는 새만금 현장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했다. 김 의원 측은 서승환 당시 국토교통부 장관이 이에 동의했다고 전하며, 이 발언이 지역 간 갈등을 조기에 정리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24][25][26]

같은 날, 군산시의회는 임시회에서 '새만금개발청 군산 설치 촉구 건의문'을 채택했다. 건의문은 현장 중심 행정이라는 대통령의 의지와 국가 균형발전 및 국민 대통합 차원에서 개발청은 반드시 군산에 유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해체된 새만금군산경제자유구역청 청사를 재활용하면 막대한 국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기업과의 효율적 소통을 통해 민자 유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27]

최종적으로 2013년 7월 12일,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 새만금위원회는 새만금개발청을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출범시키기로 결정했다.[28] 이는 사업 초기 업무 특성을 고려한 임시 조치이며, 주요 사업 착공 등 사업이 본격화될 때 현지로 이전한다는 기본 방향을 설정한 것이다.[29][30] 정부세종청사 내 공간 부족으로 인근 복합커뮤니티센터를 임시 청사로 사용하기로 했다.[31] 국토교통부는 의견 조사 결과, 새만금개발청의 위상, 상징성, 우수 인력 확보, 투자 유치 등 업무 편의 측면에서 세종특별자치시가 최적 입지로 평가되었다고 설명했다.[32]

이에 대해 유한식 당시 세종특별자치시장은 7월 14일 환영 입장을 밝히며, 새만금개발청의 원활한 개청 지원과 함께 미래창조과학부, 해양수산부 등 다른 신설 부처 유치를 통해 세종시를 행정중심도시로 발전시키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34]

8. 1. 4. 최종 결정

2013년 7월 12일,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1차 새만금위원회는 새만금개발청을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우선 출범시키기로 최종 결정했다.[28] 위원회는 새만금개발청의 입지는 새만금 현지가 원칙이지만, 사업 초기에는 기획 및 중앙부처 협의 등 업무 특성을 고려해야 하므로 임시로 세종특별자치시에 청사를 마련하기로 했다. 이후 주요 사업이 착공되는 등 사업이 본격화될 때 현지로 이전한다는 기본 방향도 함께 정했다.[29][30] 다만, 정부세종청사 내에는 입주 인원을 수용할 공간이 부족하여 인근 복합커뮤니티센터를 활용하기로 했다.[31]

이러한 결정은 국토교통부가 2013년 6월 관계기관, 전문가, 지방자치단체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견조사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조사 결과, 새만금개발청의 위상과 상징성, 우수 인력 확보, 투자유치 등 업무 편의성 측면에서 세종특별자치시가 최적의 입지로 평가되었다고 국토교통부는 설명했다.[32] 앞서 입지 선정 논의 과정에서는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서울특별시, 전라북도 군산시 등이 후보지로 거론되었으며[17], 각 지역에서는 유치 당위성을 주장했다. 특히 민주당 소속 김관영 의원 등 정치권과 군산 지역 사회에서는 개발청 개청 초기에는 세종시에서 출범하더라도 개발이 본격화되면 새만금 현장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했으며, 당시 서승환 국토교통부 장관도 이에 동의한 바 있다.[24][25][23][27]

결정 이후 국토교통부 박선호 새만금개발청설립준비단장은 "청사 입지, 개청 일정 등이 확정됨에 따라 개청 준비가 본격화될 것"이라면서 "개청 후 업무가 차질 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33] 유한식 당시 세종특별자치시장도 새만금개발청의 세종시 입지 확정을 환영하며 차질 없는 개청 준비 지원을 약속했다.[34]

참조

[1] 웹사이트 Statutes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elaw.klri.re.[...] 2019-08-15
[2] 웹사이트 Korea to host 2023 World Scout Jamboree https://www.koreatim[...] 2019-08-15
[3] 문서 「새만금개발청 직제」 별표 1·별표 2
[4]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예산편성현황(총수입) https://www.openfisc[...] 2023-01-06
[5]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세목 예산편성현황(총지출) https://www.openfisc[...] 2023-01-06
[6] 뉴스 새만금개발청 설립 준비단 발족 https://news.naver.c[...] 2013-05-05
[7] 법률 법률 제11542호
[8] 뉴스 '개발청' 이전… '특별법' 통과… 새만금 개발사업 속도 http://www.segye.com[...] 2018-12-10
[9] 문서 2025년 6월 7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10] 문서 개방형 직위.
[11] 문서 한시정원 2명 포함.
[12] 문서 한시정원 1명 포함.
[13] 뉴스 새만금개발청 어디로 갈까 http://go.seoul.co.k[...] 2013-06-11
[14] 뉴스 김관영 의원, 새만금개발청 군산이 최적 http://www.newsgunsa[...] 2013-05-28
[15] 뉴스 "새만금사업 이젠 '새만금개발청'에 달려있다" https://web.archive.[...] 2013-05-28
[16] 뉴스 "새만금개발청 소재지는 세종시로" http://www.sjbnews.c[...] 2013-05-28
[17] 뉴스 9월 발족하는 '새만금개발청'청사 물밑 경쟁 http://www.ajunews.c[...] 2013-05-23
[18] 뉴스 "새만금개발청 청사 설문조사·자문위 거쳐 결정" http://news1.kr/arti[...] 2013-06-13
[19] 뉴스 세종시, 새만금개발청 유치 '파란불' http://www.cctoday.c[...] 2013-05-24
[20] 뉴스 세종시, '새만금개발청' 유치 총력 http://www.m-i.kr/ne[...] 2013-05-26
[21] 뉴스 민주 세종시당 "새만금개발청 세종시 입지 당연" http://www.daejonilb[...] 2013-05-29
[22] 뉴스 민주당, "새만금개발청, 세종시입주해야" http://www.expressne[...] 2013-05-29
[23] 뉴스 군산상의·시민단체, 새만금개발청 설치 건의 http://www.domin.co.[...] 2013-06-14
[24] 뉴스 김관영 의원, "새만금 개발청, 현장으로 이전하는 것이 원칙" http://www.mjbnews.c[...] 2013-06-20
[25] 뉴스 새만금개발청 이르면 2015년 새만금으로 http://www.jjan.kr/n[...] 2013-06-20
[26] 뉴스 국토부 장관 "새만금개발청 현장 입지 원칙 동감한다" http://www.joongang.[...] 2013-06-20
[27] 뉴스 군산시의회 '새만금 개발청 군산에 설치해야' http://www.domin.co.[...] 2013-06-20
[28] 뉴스 새만금개발청, 9월12일 세종시에서 출범 http://news1.kr/arti[...] 2013-07-12
[29] 뉴스 새만금개발청 세종시에 '둥지'…사업 본격화되면 현지로 이전 http://www.fnnews.co[...] 2013-07-12
[30] 뉴스 새만금개발청 입지 세종시로 확정…9월12일 개청 http://news.hankyung[...] 2013-07-12
[31] 뉴스 새만금개발청 9월 12일 세종시에 개청 http://www.korea.kr/[...] 2013-07-12
[32] 뉴스 새만금개발 정상화 기대… 청사는 세종시로 http://www.nocutnews[...] 2013-07-12
[33] 뉴스 새만금개발청 세종시 입주‥새만금개발사업 본격화 http://www.edaily.co[...] 2013-07-12
[34] 뉴스 새만금개발청, 세종시입주 확정 http://www.expressne[...] 2013-07-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