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로 자전거 경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로 자전거 경주는 19세기 후반 유럽에서 시작된 경기로, 1896년 아테네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경주는 일일 경기, 스테이지 경기, 타임 트라이얼, 울트라 마라톤 등으로 나뉘며, 드래프팅, 브레이크어웨이, 지형 및 환경 조건, 팀 전략 등 다양한 전략이 사용된다. 선수 유형은 클라이머, 타임 트라이얼리스트, 스프린터, 도메스틱, 올라운더 등으로 구분되며, 세계 선수권 대회, 올림픽, UCI 월드 투어 대상 레이스 등 주요 대회가 존재한다. 국제 사이클 연맹(UCI)이 경기 규칙을 정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대한사이클연맹이 자전거 경기를 주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도로 자전거 경기
기본 정보
2024년 하계 올림픽 중의 선수들
2024년 하계 올림픽
종목 유형사이클
장비로드 바이크
경기 장소포장 도로
접촉아니오, 몸이 닿는 경우는 있음
팀 구성개인 및 팀
성별남녀 별도 경기
연맹UCI
올림픽
남자1896년 올림픽부터
여자1984년 올림픽부터
패럴림픽남녀 모두 1984년 패럴림픽부터
기타
세계 선수권 대회있음

2. 역사

도로 자전거 경주는 19세기 후반에 현대적인 형태로 시작되었다. 1868년에 최초로 조직적인 스포츠로 시작되었으며,[1] 1893년에는 최초의 세계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사이클링은 1896년 아테네에서 열린 현대 올림픽이 시작된 이후 계속 올림픽 종목이었다.[4]

이 스포츠는 프랑스, 스페인, 벨기에, 이탈리아 등 서유럽 국가에서 인기가 높았으며, 초기 도로 자전거 경주 중 일부는 현재까지도 이 스포츠의 가장 큰 대회로 남아있다. 이러한 초기 경주에는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1892년 창설), 파리-루베(1896), 투르 드 프랑스(1903), 밀라노-산레모 및 지롤 디 롬바르디아(1905), 지루 디탈리아(1909), 볼타 아 카탈루냐(1911), 투르 오브 플랜더스(1913)가 있다.[2][3]

20세기 초부터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가 가장 경쟁적인 국가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도로 사이클링은 콜롬비아, 덴마크, 독일,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스위스로 확산되었다. 세계화로 인해 스포츠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카자흐스탄, 호주, 러시아, 슬로바키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에콰도르, 뉴질랜드, 노르웨이, 영국, 아일랜드, 폴란드, 미국 등에서도 세계적인 수준의 사이클 선수가 계속 배출되고 있다.[5]

최초의 여자 도로 선수권 대회는 1951년 프랑스에서 열렸다. 여자 도로 경주 종목은 1958년 랭스에서 열린 제31회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UCI 로드 세계 선수권 대회에 추가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대한사이클연맹이 자전거 경기를 주관하며, 아시안 게임, 올림픽 등에 출전하는 국가대표 선수를 선발하고 관리한다.

3. 경기 종류

도로 자전거 경기는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일일 경기: 하루 동안 진행되는 경기로, 코스 길이에 따라 크리테리엄, 서킷 레이스, 도로 경주 등으로 나뉜다.
  • 스테이지 경기: 여러 날에 걸쳐 진행되며, 각 구간(스테이지)별 기록을 합산하여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투르 드 프랑스와 같은 대회가 대표적이다.
  • 타임 트라이얼: 선수 또는 팀이 정해진 거리를 개별적으로 주행하여 시간을 측정하는 경기이다. '진실의 경주'라고도 불린다.
  • 울트라 마라톤: 매우 긴 거리를 며칠에 걸쳐 달리는 경기로, 극한의 인내심을 요구한다. 레이스 어크로스 아메리카(RAAM)가 대표적이다.


이 외에도 투혼상, 산악왕 등 다양한 상이 주어지며, 선수들은 개인 또는 팀의 전략에 따라 다양한 목표를 가지고 경기에 임한다.[27] 날씨, 사고, 컨디션 등 예측 불가능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복잡한 두뇌 싸움이 벌어지기도 한다.

국제 사이클 연맹(UCI)이 경기 규칙을 정하며, 로드 레이스 참가팀은 카테고리에 따라 참가 가능한 레이스가 정해져 있다. 일반적으로 전 선수가 일제히 출발하여 골인 순서나 소요 시간을 겨루는 방식을 "로드 레이스"라고 한다.

팀 타임 트라이얼(TTT)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각 팀 선수들이 출발, 팀별 골인 시간을 겨룬다. 팀 중 규정된 순서로 골인한 선수의 시간이 해당 팀의 기록이 된다.

3. 1. 일일 경기 (One-day Race)

하루 동안 진행되는 경기로, 코스 형태에 따라 크리테리움, 서킷 레이스, 도로 경주 등으로 나뉜다.

  • 크라이테리엄: 짧은 코스(대개 5km 이하)를 여러 바퀴 도는 경기로, 단체 출발 방식으로 진행된다.
  • 서킷 레이스: 중거리 코스(5km~10km)를 여러 바퀴 도는 경기로, 단체 출발 방식으로 진행된다.
  • 도로 경주: 장거리 코스(대개 60km 이상)를 한 바퀴 또는 여러 바퀴 도는 경기로, 단체 출발 방식으로 진행된다.[6][7]


일부 경기는 핸디캡을 적용하여 다양한 능력과 연령의 선수들이 함께 경쟁할 수 있도록 한다. 더 느린 선수 그룹이 먼저 출발하고, 가장 빠른 선수들이 마지막에 출발하여 다른 경쟁자들을 따라잡기 위해 더 열심히, 더 빠르게 경주해야 한다.

프로 선수들의 원데이 레이스 거리는 약 289.68km에 달할 수 있다. 코스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거나, 서킷을 한 바퀴 이상 도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코스는 두 가지를 모두 결합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선수들이 출발 지점에서 출발하여 결승선에서 서킷을 여러 바퀴 도는 방식(주로 결승선에서 관중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해)이 있다.

3. 2. 스테이지 경기 (Stage Race)

스테이지 경기는 스테이지라고 불리는 여러 개의 개별 경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모든 스테이지를 완주하는 누적 시간이 가장 적은 선수가 종합등급(GC; General Classification) 우승자가 된다. 스테이지 경기에는 개별 스테이지 승자, 점수등급 승자, "산악왕" (산악 등급) 승자와 같은 다른 등급과 이에 주어지는 상이 있다.[8] 스테이지 경주는 연속적인 도로 경기 및 개인 타임 트라이얼 경기로 구성된다. 그날의 결승점을 가장 먼저 통과한 선수나 개인 타임 트라이얼의 경우, 코스 완주 시간이 가장 짧은 선수가 스테이지 승자가 된다. 스테이지 경기의 종합 우승자는 모든 스테이지를 완주한 시간이 가장 짧은 선수가 된다 (따라서 종합 우승자가 되기 위해 개별 스테이지를 모두 이기거나 일부를 이기거나 할 필요는 없다).[8]

3주간의 스테이지 레이스는 그랜드 투어라고 불린다. 프로 도로 자전거 경주 일정에는 지로 디탈리아, 투르 드 프랑스, 부엘타 아 에스파냐의 세 가지 그랜드 투어가 포함되어 있다.[8]

3. 3. 타임 트라이얼 (Time Trial)

개인 타임 트라이얼(ITT)은 평지나 구릉 지형, 또는 산길에서 사이클 선수가 시계와 경쟁하는 단독 경주이다. 팀 타임 트라이얼(TTT)은 2인 팀 타임 트라이얼을 포함하며, 팀 사이클 선수들이 시계와 경쟁하는 도로 기반 자전거 경주이다. 팀 및 개인 타임 트라이얼 모두에서 사이클 선수들은 각 출발이 공정하고 동일하도록 다른 시간에 경주를 시작한다. 개인 타임 트라이얼에서는 경쟁자가 서로 뒤에서 '드래프팅'(슬립스트림에서 타기)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지만, 팀 타임 트라이얼에서는 각 팀의 선수들이 이를 주요 전술로 사용하며, 각 팀원은 선두를 번갈아 가며 담당하고 팀원은 뒤에서 '따라붙는다'. 경주 거리는 몇 킬로미터(일반적으로 스테이지 레이스 전에 약 8.05km 미만의 개인 타임 트라이얼인 프롤로그로, 첫 번째 스테이지에서 리더의 저지를 착용할 선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됨)에서 약 약 32.19km에서 약 96.56km 사이까지 다양하다.

3. 4. 울트라 마라톤 (Ultra-Marathon)

이런 종류의 경기는 아주 긴 단독 스테이지 대회로 며칠간에 걸쳐 계속된다. 울트라 마라톤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레이스 어크로스 아메리카(RAAM)로, 미국 서해안-동해안을 가로지르는 논스탑, 단독 스테이지 경주로 선수는 대략 일주일 동안 4800km의 거리를 달려야 한다. 이 경기는 울트라마라톤 사이클링 협회에서 인가하였다. 초장거리 사이클링 경주는 매우 긴 단일 스테이지 이벤트로, 레이스 시계가 시작부터 종료까지 계속 작동한다.[1] 이러한 경기를 주관하는 단체는 일반적으로 UCI와는 독립적이다.[1] 보통 며칠 동안 지속되며, 라이더는 자신의 일정에 따라 휴식을 취하며, 결승선을 가장 먼저 통과하는 사람이 우승자가 된다.[1] 가장 잘 알려진 울트라마라톤 중 하나는 레이스 어크로스 아메리카(RAAM)로, 라이더가 약 약 4828.02km를 일주일 안에 주파하는 미국 횡단, 논스톱, 단일 스테이지 경주이다.[1] 이 경주는 울트라마라톤 사이클링 협회(UMCA)에서 주관한다.[1] RAAM 및 이와 유사한 이벤트는 레이서가 스태프 팀의 지원을 받는 것을 허용(그리고 종종 요구)하며, 트랜스컨티넨탈 레이스 및 인디안 퍼시픽 휠 레이스와 같이 모든 외부 지원을 금지하는 초장거리 자전거 경주도 있다.[1]

3. 5. 기타 경기

기타 경기로는 경주 형태는 아니지만, 지정된 시간 제한 내에 미리 정해진 코스를 자전거로 주행하는 란도너링이 있다.

4. 경기 전략

도로 자전거 경기는 개인의 능력뿐만 아니라 팀워크와 전략이 중요한 스포츠이다. 경기의 목표는 결승점을 가장 빨리 통과하는 것이지만, 다양한 전략이 사용된다.

펠로톤은 많은 선수들이 밀착하여 달리는 그룹으로, 이 안에서 주행하면 단독 주행에 비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일부 팀은 리더를 지정하고, 팀원들은 리더가 좋은 위치를 선점하고 바람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 선수들은 고속 주행 시 서로 협력하여 드래프팅을 하거나, 경쟁자 뒤에 붙어 따라가면서 경쟁자를 지치게 할 수 있다.

경주 코스는 오르막, 내리막, 때로는 기술적인 노면(예: 파리-루베의 자갈길) 등 다양한 구간을 포함하여 난이도를 높인다. 강한 선수는 이러한 구간에서 약한 선수를 따돌리고 경쟁자 수를 줄일 수 있다.

경주 거리는 주최자가 결정하며, 하루만에 끝나는 원데이 레이스, 여러 날에 걸쳐 진행되는 스테이지 레이스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특히 권위있는 원데이 레이스는 클래식이라고 불리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5개 레이스는 '''모뉴먼트'''라고 불린다. 세계 선수권 대회는 국가대표팀이 참가하는 챔피언십 대회이며, 하계 올림픽 역시 프로 선수 출전이 허용되면서 중요한 대회로 여겨진다.

폐쇄된 코스를 도는 크리테리움은 UCI 카테고리에서 별도로 구분되며, 스테이지 레이스와 동등하게 취급된다. 스테이지 레이스는 여러 날에 걸쳐 진행되며, 각 스테이지의 순위뿐만 아니라 최종 소요 시간, 포인트 등 다양한 요소로 종합 성적을 겨룬다. 스테이지 레이스에는 매스 스타트 외에도 타임 트라이얼 스테이지가 포함될 수 있다. 매스 스타트는 선수들이 동시에 출발하는 일반적인 방식이며, 개인 타임 트라이얼에서는 드래프팅이 금지된다. 팀 타임 트라이얼에서는 팀원들끼리만 드래프팅이 허용되며, 팀별로 정해진 순서로 골인한 선수의 기록으로 경쟁한다.

4. 1. 드래프팅 (Drafting)

드래프팅은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해 다른 선수 바로 뒤에서 달리는 기술이다. 펠로톤과 같이 여러 선수들이 밀착하여 달리는 그룹에서 자전거를 타면, 단독 주행 때와 비교하여 에너지를 최대 40%까지 절약할 수 있다.[11] 타임 트라이얼에서는 팀 타임 트라이얼을 제외하고 드래프팅이 허용되지 않는다.

4. 2. 브레이크어웨이 (Breakaway)

펠로톤에서 벗어나 선두 그룹을 형성하는 것을 브레이크어웨이라고 부른다. 브레이크어웨이를 하는 선수들은 더 많은 공간과 자유를 누리게 되는데, 이는 어떤 상황에서는 장점이 될 수 있다. 여럿이서 효율적으로 부드럽게 협동함으로써, 작은 그룹은 펠로톤보다 더 높은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펠로톤에 남겨진 선수들은 효율적으로 추격할 만큼 충분히 고무되거나 조직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12]

일반적으로 라이더 또는 라이더 그룹은 공격을 감행하고 앞으로 질주하여 우승 경쟁자 수를 줄임으로써 펠로톤에서 탈주를 시도한다. 브레이크가 성공하지 못하고 다시 펠로톤에 합류하게 되면, 스프린터가 마지막 구간에서 경쟁자를 압도하여 종종 승리한다.[13] 미리 계획된 팀워크와 임시 팀워크 모두 여러 측면에서 중요하다. 성공적인 브레이크를 방지하거나 돕는 데, 그리고 때로는 스프린터를 경기 선두로 이끄는 데 중요하다.[14]

4. 3. 지형 및 환경 조건

경주 코스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레이스는 종종 힘든 오르막, 빠른 내리막, 때로는 기술적인 노면(예: 파리-루베에서 사용되는 자갈길 ''파베'')과 같은 어려운 구간을 포함한다. 이러한 어려운 구간에서는 드래프팅의 효과가 감소하여, 기량이 뛰어난 라이더가 약한 라이더를 떨어뜨릴 수 있으며, 승리할 수 있는 직접적인 경쟁자의 수를 줄인다. 날씨, 특히 바람도 중요한 변별 요인이다.

강풍 조건은 평범한 코스 구간을 까다롭게 만들 수도 있다. 특히 측풍은 라이더의 드래프팅 시 "그림자"의 위치를 변경하여 보통 선두 라이더 뒤에 대각선으로 배치하여 에셸론이라고 하는 라이더 대열을 형성한다.[15] 이를 활용하기 위해 공격적인 라이더는 측풍이 부는 반대편 도로에서 펠로톤의 선두에서 고속으로 주행한다. 뒤따르는 라이더는 바람을 완전히 피할 수 없다. 이러한 전술이 충분히 오래 지속되면 대열 어딘가에 있는 더 약한 라이더가 바로 앞의 라이더와 접촉을 유지할 수 없어 펠로톤이 분열된다.[16]

4. 4. 팀 전략

팀은 리더를 지정하고, 팀원들은 리더를 보호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경주가 중요한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리더를 바람으로부터 보호하고 좋은 위치를 확보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전략은 경쟁자에 따라 강점이 되거나 약점이 될 수 있다. 선수들은 고속 주행 시 서로 협력하고 드래프팅을 할 수 있다. 또는 어떤 선수는 경쟁자 뒤에 붙어 따라가기만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경쟁자는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운동을 해야 하므로 더 빨리 지치게 된다.

펠로톤에서 벗어나 탈출하는 선수 그룹은 더 많은 공간과 자유를 얻게 되는데, 이는 상황에 따라 장점이 될 수 있다. 여러 명이 효율적으로 협력하면 작은 그룹은 펠로톤보다 더 높은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펠로톤에 남은 선수들은 효율적으로 추격할 만큼 의욕이 넘치거나 조직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공격을 통해 펠로톤에서 떨어져 나와 승리 경쟁자의 수를 줄이려는 선수나 선수 그룹이 있을 수 있다. 만약 탈출이 실패하고 펠로톤에 다시 합류하게 되면, 대개 스프린터가 마지막 직선 주로에서 경쟁자들을 힘으로 제압하여 승리한다. 성공적인 탈출을 돕거나 방지하고, 그룹 선두에 스프린터를 데려다주는 등 여러 방면에서 선수들의 협력은 중요하다.

직업적인 경기에서는 팀의 협력은 대개 팀 자동차를 이용해 경주를 따라 이동하며 전체 상황을 감시하는 팀 감독과 선수들 사이의 무전기를 통해 이루어진다. 무전기가 경기 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사이클링계에서 토론 주제가 되었으며, 일부는 1990년대 무전기 도입이 선수 개인의 전략적 지식을 낮추고 경주를 덜 재미있게 만들었다고 주장한다.[19] 2009년 9월, 프로 사이클링을 주관하는 국제 사이클 연맹(UCI)은 남자 최상위 도로 경기에서 팀 무전기 사용을 점진적으로 금지하기로 결정하였다.[20]

4. 5. 기타 전략

프로 스테이지 레이스에서 우승 가능성이 없거나 팀원을 도울 수 없는 선수들은 대개 다음 날 스테이지를 시작할 수 있도록, 우승자의 결승 시간의 특정 비율 내에 결승점에 도달하려고 한다. 종종 이러한 상황의 선수들은 시간 제한 내에 결승점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노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함께 뭉치는데, 이 선수들의 집단을 글루페토(gruppetto) 또는 오토버스라고 부른다.

5. 선수 유형

도로 경기 부문에서는 각각의 선수가 서로 다른 강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선수는 다른 특성의 코스에서 벌어지는 특정 대회를 선호하고 팀 안에서 서로 다른 전략적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22]

도로자전거 경기의 주된 전문선수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클라이머
  • 타임 트라이얼리스트
  • 스프린터
  • 도메스틱
  • 올라운더
  • 펀처
  • 브레이크어웨이 스페셜리스트
  • 룰러
  • 클래식 스페셜리스트

6. 주요 대회

도로 경기는 유럽에서 특히 인기가 높으며, 벨기에,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스페인, 스위스 등이 주요 국가들이다. 호주, 덴마크, 남아프리카 공화국, 뉴질랜드, 영국, 미국 등에서도 인기가 있다.[4]

도로 자전거 경기는 1868년 처음 시작되었으며, 최초의 세계 선수권 대회는 1893년에 개최되었다. 사이클링은 1896년 아테네에서 현대 올림픽이 시작된 이후 계속 올림픽 종목이었다.[4]

현대적인 형태의 도로 경기는 19세기 후반 프랑스, 스페인, 벨기에, 이탈리아 등 서유럽 국가에서 인기를 얻었다. 유럽의 초기 도로 자전거 경기 중 일부는 현재까지도 스포츠의 가장 큰 대회로 남아있다. 이러한 초기 경기로는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1892년 창립), 파리-루베(1896년), 투르 드 프랑스(1903년), 밀란-산 레모와 지로 디 롬바르디아(1905), 지로 디탈리아(1909년), 론드 반 플란데른(1913년) 등이 있다.[38] 이 경기들은 세계의 다른 경기 대회에 모범을 제시하고 있으며, 선수들에게는 가장 권위 있는 경기로 여겨진다.[38]

선수나 팀은 초반부터 적극적으로 선두를 달리는 등 인상적인 모습을 보이면 "감투상"을 받기도 한다. 또한, 미디어 노출이 많은 유명한 레이스에서 존재감을 드러내는 것은 팀에게도 스폰서 홍보가 되기 때문에, 타이틀과 관계없는 선수나 팀이라도 때로는 유력한 선수나 팀 이상의 주행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각 레이스 성적 우수자에게 포인트를 부여하고, 해당 시리즈 전체 레이스가 종료된 후 부여된 포인트 최상위 선수가 우승자가 되는 경기 방식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UCI 월드 투어, UCI 월드 캘린더, UCI 프로 투어, UCI 컨티넨탈 서킷, UCI 여자 로드 월드컵 등이 있다.

여자 경기의 경우, 세계 선수권, 하계 올림픽, 연간 시리즈 경기인 UCI Women's World Tour|UCI 여자 월드 투어영어, 지로나 로자 등 스테이지 레이스가 중요한 대회이다.

6. 1. 그랜드 투어 (Grand Tours)

1991년 지로 디 이탈리아. 지로는 3대 그랜드 투어 중 하나이다.


3주간의 스테이지 레이스를 그랜드 투어라고 부른다.[8] 프로 도로 자전거 경주 일정에는 투르 드 프랑스, 지로 디탈리아, 부엘타 아 에스파냐의 세 가지 그랜드 투어가 포함된다.[8] 이들 경주는 각각 "그랜드 투어"로 간주된다.

6. 2. UCI 월드 투어 (UCI World Tour)

국제 사이클 연맹(Union Cycliste Internationale|국제 사이클 연맹프랑스어)은 2005년 UCI 로드 월드컵을 대체하기 위해 UCI 프로투어(2011년에 UCI 월드 투어로 명칭 변경)를 제정했다.[5] 월드 투어는 그랜드 투어와 크리테리움 뒤 도피네, 파리-니스, 투르 드 스위스, 볼타 아 카탈루냐와 같은 대규모 스테이지 레이스를 포함한다.

과거 UCI 로드 월드컵의 단일 레이스인 클래식 사이클 레이스는 "모뉴먼트" 5개를 모두 포함하여 프로투어의 일부였다. 봄 시즌에는 밀라노-산레모 (이탈리아), 투르 오브 플랜더스 (벨기에), 파리-루베 (프랑스),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 (벨기에), 암스텔 골드 레이스 (네덜란드)가 있었고, 가을 시즌에는 클라시카 데 산 세바스티안 (스페인), HEW 사이클라식스 (독일), 취리히-메체게테 (스위스, 2006년까지), 파리-투르 (프랑스, 2007년까지), 지리오 디 롬바르디아 (이탈리아)가 있었다.

로드 레이스에 참가하는 팀에는 축구 클럽팀의 일부 리그나 2부 리그와 같은 카테고리가 있으며, 참가할 수 있는 레이스와 참가할 수 없는 레이스가 있다.
UCI 월드 투어 대상 레이스굵은 글씨는 그랜드 투어

국가레이스
산토스 투어 다운 언더
UAE 투어
파리-니스
티레노-아드리아티코
카탈루냐 레이스
바스크 투어
투르 드 터키
투르 드 로망디
투어 오브 캘리포니아
지로 디탈리아
크리테리움 뒤 도피네
투르 드 스위스
투르 드 프랑스
투르 드 폴로뉴
빙크뱅크 투어
부엘타 아 에스파냐
투어 오브 광시


6. 3. 클래식 경기 (Classic Races)

클래식 경기는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일일 경기로, 모뉴먼트라고 불리는 5개의 주요 대회가 있다. 과거 UCI 로드 월드컵에 속했던 이 대회들은 현재 UCI 월드 투어의 일부이다. 봄 시즌에는 밀라노-산레모(이탈리아), 투르 오브 플랜더스(벨기에), 파리-루베(프랑스),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벨기에), 암스텔 골드 레이스(네덜란드)가 열리고, 가을 시즌에는 클라시카 데 산 세바스티안(스페인), HEW 사이클라식스(독일), 취리히-메체게테(스위스, 2006년까지), 파리-투르(프랑스, 2007년까지), 지리오 디 롬바르디아(이탈리아)가 개최되었다.[38]

6. 4. 올림픽 (Olympic Games)

1896년 아테네에서 현대 올림픽이 시작된 이후 사이클링은 계속 올림픽 대회의 종목이었다.[4] 사이클 활동가이자 평화 레이스 공동 조직자인 Włodzimierz Gołębiewski는 "사이클은 올림픽 프로그램의 주요 종목이 되었다... 다른 많은 스포츠와 마찬가지로 수년에 걸쳐 여러 변화를 겪었다."라고 말했다.[24]

2012년 런던 올림픽 타임 트라이얼


올림픽 경기는 다른 스포츠만큼 도로 사이클에서 중요하지는 않았다. 구분이 없어지기 전까지 최고의 선수들은 아마추어가 아닌 프로 선수였기 때문에 참가하지 않았다.[24]

7. 장비

로드 레이스에 사용되는 장비는 국제 사이클 연맹(UCI)에 의해 엄격하게 규제된다.[9] 아마추어 사이클 선수들이 주요 경주에서 우승하는 데 사용되는 자전거와 동일한 자전거를 소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7. 1. 자전거

로드 레이스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전거는 레이싱 자전거이다. 국제 사이클 연맹(UCI) 규정에 따라 사용이 승인된 자전거는 상업적으로 판매되어야 한다. 타임 트라이얼 경기에는 타임 트라이얼 자전거가 사용된다.

7. 2. 의류

사이클링 의류는 공기 역학을 개선하고 라이더의 편안함을 향상시키도록 설계되었다. 라이더의 숏츠에는 편안함을 개선하기 위한 패딩이 포함되어 있으며, 사이클링 져지는 라이더의 체온 및 땀을 관리하여 젖은 환경에서도 라이더를 최대한 따뜻하고 건조하게 유지하기 위해 라이크라와 같은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다. 과거에는 양모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자전거 헬멧은 사이클 선수 안드레이 키빌레프의 사망 이후 2003년 프로 로드 레이스에서 의무화되었다.[10]

8. 국제 기구 및 규정

국제 사이클 연맹(UCI)은 1900년 4월 15일 올림픽 기간 동안 프랑스 파리에서 여러 유럽 국가와 미국에 의해 설립되었다. 대영 제국은 처음에는 회원국이 아니었지만 1903년에 가입했다. 스위스에 본부를 둔 UCI는 그 이후로 이 스포츠를 운영해 왔다.[25]

9. 대한민국에서의 로드 레이스

대한민국에서는 도로 자전거 혹은 도로 자전거 경기를 영어로 자전거 타기를 뜻하는 사이클링(cycling영어)을 줄여 자전거(bicycle영어 바이시컬) 혹은 모터사이클(motorcycle영어)을 뜻하는 '''사이클'''(cycle영어)로 많이 부른다. 대한사이클연맹은 대한민국에서 자전거 경기를 주관하는 단체로 아시안 게임, 올림픽 등에 출전하는 국가대표 선수를 선발하고 관리한다.

로드 레이스에서 선수들은 경기 중 특정 성적에 상응하는 져지를 착용해야 하며, 착용하지 않을 경우 벌금 등의 페널티가 부과될 수 있다. 대표적인 져지는 다음과 같다.


  • '''개인 종합 시간 리더 져지''': 스테이지 레이스에서 종합 선두 선수가 착용한다. 투르 드 프랑스의 "마이요 존(노란 져지)", 지로 디 이탈리아의 "마리아 로자(분홍색 져지)", 부엘타 아 에스파냐의 "마이요 로호 (빨간 져지)"가 대표적이다.
  • '''포인트 리더 져지''': 스테이지 레이스에서 스프린트 포인트 최다 획득 선수가 착용한다. 투르 드 프랑스의 "마이요 베르 (녹색 져지)"가 유명하다.
  • '''산악 리더 져지''': 스테이지 레이스에서 산악 포인트 최다 획득 선수가 착용한다. 투르 드 프랑스의 "마이요 블랑 아 포와 루즈 (흰 바탕에 빨간 물방울 무늬)"가 유명하다.
  • '''세계 선수권 져지''': 세계 사이클 선수권 대회 로드 레이스 부문 우승자가 착용하는 "마이요 아르캉시엘"(흰색 바탕에 무지개색 5색 선)은 사이클 선수 최고의 영예 중 하나로 여겨진다.
  • '''대륙 선수권 져지'''
  • '''내셔널 챔피언 져지''': 로드 레이스 경기와 타임 트라이얼 경기의 국내 선수권 우승자는 이 져지를 착용하고 세계 무대에 서는 큰 명예를 얻는다.


스테이지 레이스의 리더 져지에는 가슴 부분에 A4 사이즈의 흰색 틀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져지 해당 선수의 팀명·팀 로고를 승화 잉크로 열전사하여 프린트하기 위한 것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다음과 같은 로드 레이스들이 개최된다.

  • '''국제 규격 레이스''': UCI 아시아 투어 대상으로는 원데이 로드 레이스인 재팬컵 사이클 로드 레이스, 스테이지 레이스인 투어 오브 재팬, 투르 드 홋카이도, 투르 드 오키나와, 투르 드 쿠마노가 있으며, 재팬컵 사이클 로드 레이스가 슈퍼 카테고리, 투어 오브 재팬이 카테고리 1급이며 나머지는 카테고리 2급으로 분류된다. 또한, 해외 초청 선수를 포함한 개인 레이스인 시마노 스즈카 국제 로드 레이스, 투르 드 프랑스 사이타마 크리테리움이 매년 개최된다.
  • '''전일본 규격 레이스''': 일본 자전거 경기 연맹에 의해 전국 체육 대회 및 전일본 자전거 경기 선수권 대회가 개인 레이스로, 전일본 선수권 개인 타임 트라이얼·로드 레이스가 개인 타임 트라이얼로 매년 개최되는 외에, 고등학생과 여자 선수만을 대상으로 하는 스테이지 레이스인 전일본 스테이지 레이스 in 이와테가 있다.
  • '''사회인 자전거 경기 클럽을 대상으로 하는 레이스''': 전일본 실업단 자전거 경기 연맹에 의해 개최되는 JBCF 로드 시리즈는 경제산업대신 기 로드 챔피언십을 정점으로 하여, 이에 준하는 동일본 및 서일본 양 로드 클래식 등 4개 대회를 비롯해 20개 이상의 대회가 매년 개최되고 있으며, 그 중 15개 대회 전후는 J 프로 투어, 20개 이상의 대회는 J 엘리트 투어 및 J 페미닌 투어 대상 레이스이다. 또한, 대학 자전거 경기부도 클럽 등록이 가능하다.
  • '''대학 자전거 경기부를 대상으로 하는 레이스''': 일본 학생 자전거 경기 연맹에 의해 문부과학대신배 전일본 대학 대항 선수권 자전거 경기 대회, 전일본 학생 선수권 형식의 팀 로드 레이스, 개인 로드 레이스, 크리테리움 각 대회 외에, 연간 10전 정도의 전일본 학생 로드 레이스 컵 시리즈가 개최되고 있다. 또한, 실업단 등록된 사회인 클럽에 소속된 사회인도 한정적으로 참가 가능하다.
  • '''고등학교 자전거 경기부를 대상으로 하는 레이스''': 전국 고등학교 체육 연맹에 의해, 전국 고등학교 종합 체육 대회 및 전국 고등학교 선발 자전거 경기 대회가 매년 개최된다.
  • '''각 도도부현 자전거 경기 연맹에 의한 레이스''': 각 도도부현이 개별적으로 독자적인 재량으로 다양한 형태의 로드 레이스를 주관하고 있다.
  • '''경기자 등록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시민 레이스''': 일본 자전거 경기 연맹에 의한 챌린지 사이클 로드 레이스 대회, 각 도도부현 자전거 경기 연맹에 의한 지역 미등록 카테고리 레이스, 일본 사이클 레이싱 클럽 협회 주최의 연간 시리즈전이 대표적이며, 그 외에도 단독 개최 또는 국제 규격 레이스 및 실업단 레이스와의 병행 개최 등 전국에 다수 존재하며, 그 중에서도 힐클라임과 엔듀로는 우리나라의 2대 취미 레이스라고 할 수 있다.


2010년 현재, 일본 자전거 경기 연맹에 약 5,500명이 경기자로 등록되어 있다. 이는 인구가 일본의 1/2인 프랑스(약 70,000명), 1/11인 벨기에(약 50,000명)에 비해 적은 수치이다. 자전거 경기가 메이저가 아닌 영국에서도 인구비 1/2로 약 11,000명이 등록되어 있다.

9. 1. 현황

경기 시간이 3~7시간으로 매우 길기 때문에, 수분과 영양을 보충하지 않으면 탈수 증상이나 에너지 고갈 상태가 되어 경기를 계속할 수 없게 될 위험이 매우 높다[40]。따라서 선수들은 로드 자전거 프레임에 보틀 홀더를 장착하여 물이나 스포츠 음료 등 각종 음료가 들어 있는 보틀을 휴대하거나, 레이싱 웨어 등 뒤에 달린 포켓에 빵, 과자, 젤리 음료 등의 기능성 식품, 소형 캔의 탄산 음료 등을 넣어두고 달리면서 적절히 보급한다. 경기 중에 고형물을 섭취하는 것은 트라이애슬론의 아이언맨 등 극히 일부를 제외한 다른 경기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로드 레이스의 큰 특징이다.

프로 레이스에서는 선수 자신이 보급용 음료나 식량을 휴대하는 것 외에, 레이스에 따라붙는 서포트 카나 보급 구역에 대기하고 있는 팀 스태프로부터 "사코슈"(sacoche|사코슈프랑스어: 프랑스어로 어깨에 걸치는 가방이나 주머니를 가리킨다. 영어권에서는 "뮤제트"musette라고 불린다)라고 불리는 어깨에 걸치는 형태의 가방에 여러 종류를 넣어서 수시로 공급받는다. 레이스 중에는 어시스트 선수가 대량의 보틀을 등에 넣고 팀 동료에게 나눠주는 모습이 종종 보인다. 사코슈를 받은 선수는 사코슈에서 의류 포켓 등으로 보급식을 옮기고, 사코슈는 버린다.

한편, 비어있는 보틀이나 사코슈는 길가에 버려지는 경우가 많지만, 이는 길가에서 응원하는 팬들에게 선물하기도 하며, 팀 측도 이를 예상하고 팀 로고나 마크가 들어간 것을 사용한다(가방의 제작이나 재질 자체는 튼튼하지 않고, 봉제도 매우 엉성하다).

하지만 주변에 팬이 없는 장소에서 버려진 보틀 등은 단순한 쓰레기가 되어버리므로, 최근에는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보틀 등의 무제한적인 투기에 대한 비판도 일부에서 높아지고 있으며, 프랑스의 지방 레이스 등에서는 빈 보틀이나 보급식 포장 등을 레이스 중에 버리지 않은 선수에게 "생태상"을 마련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41]。 또한 최근에는 코스 중에서 쓰레기를 버려도 되는 구간이 일부 한정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식사 외에도, 레이스에서는 기재 고장(타이어 펑크, 변속기 불량 등)에 따른 부품이나 자전거 교환이 필요하게 된다. 프로 레이스에서는 각 팀의 서포트 카가 그것들을 공급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어떤 사정으로 인해 서포트 카가 바로 달려올 수 없는 경우도 있으며, 그러한 상황에서는 레이스 주최 측이 준비하는 뉴트럴 카가 필요한 부품 등을 공급하는 경우도 있다.

9. 2. 과제 및 논란

경기 시간이 3~7시간으로 매우 길기 때문에, 수분과 영양을 보충하지 않으면 탈수 증상이나 에너지 고갈 상태가 되어 경기를 계속할 수 없게 될 위험이 매우 높다[40]。 따라서 선수들은 로드 자전거 프레임에 보틀 홀더를 장착하여 물이나 스포츠 음료 등 각종 음료가 들어 있는 보틀을 휴대하거나, 레이싱 웨어 등 뒤에 달린 포켓에 빵, 과자, 젤리 음료 등의 기능성 식품, 소형 캔의 탄산 음료 등을 넣어두고, 달리면서 적절히 보급한다. 경기 중에 고형물을 섭취하는 것은 트라이애슬론의 아이언맨 등 극히 일부를 제외한 다른 경기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로드 레이스의 큰 특징이다.

프로 레이스에서는 선수 자신이 보급용 음료나 식량을 휴대하는 것 외에, 레이스에 따라붙는 서포트 카나 보급 구역에 대기하고 있는 팀 스태프로부터 "사코슈"(sacoche|사코슈프랑스어)라고 불리는 어깨에 걸치는 형태의 가방에 여러 종류를 넣어서 수시로 공급받는다. 사코슈는 프랑스어로 어깨에 걸치는 가방이나 주머니를 가리키며, 영어권에서는 "뮤제트"(musette)라고 불린다. 레이스 중에는 어시스트 선수가 대량의 보틀을 등에 넣고 팀 동료에게 나눠주는 모습이 종종 보인다. 사코슈를 받은 선수는 사코슈에서 의류 포켓 등으로 보급식을 옮기고, 사코슈는 버린다.

한편, 비어있는 보틀이나 사코슈는 길가에 버려지는 경우가 많지만, 이는 길가에서 응원하는 팬들에게 선물하기도 하며, 팀 측도 이를 예상하고 팀 로고나 마크가 들어간 것을 사용한다. 가방의 제작이나 재질 자체는 튼튼하지 않고, 봉제도 매우 엉성하다.

하지만 주변에 팬이 없는 장소에서 버려진 보틀 등은 단순한 쓰레기가 되므로, 최근에는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보틀 등의 무제한적인 투기에 대한 비판도 일부에서 높아지고 있다. 프랑스의 지방 레이스 등에서는 빈 보틀이나 보급식 포장 등을 레이스 중에 버리지 않은 선수에게 "생태상"을 마련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41]。 또한 최근에는 코스 중에서 쓰레기를 버려도 되는 구간이 일부 한정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식사 외에도, 레이스에서는 기재 고장(타이어 펑크, 변속기 불량 등)에 따른 부품이나 자전거 교환이 필요하게 된다. 프로 레이스에서는 각 팀의 서포트 카가 그것들을 공급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어떤 사정으로 인해 서포트 카가 바로 달려올 수 없는 경우도 있으며, 그러한 상황에서는 레이스 주최 측이 준비하는 뉴트럴 카가 필요한 부품 등을 공급하는 경우도 있다.

참조

[1] 서적 On Your Bicycle: An Illustrated History of Cycling https://archive.org/[...] John Murray (publishing house)
[2]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Road Cycling ! Backroads https://www.backroad[...] 2022-04-14
[3] 웹사이트 Early History of the Racing Bicycle http://www.theracing[...] 2022-04-14
[4] 웹사이트 Road Cycling – News, Athletes, Highlights & More https://www.olympic.[...]
[5] 서적 The Economics of Professional Road Cycling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2-10-28
[6] 웹사이트 The Route https://www.milanosa[...] RCS Media Group 2022-02-22
[7] 웹사이트 How to design a bike race course https://cyclingtips.[...] 2022-04-14
[8] 웹사이트 2011 – A Year In Review http://www.roadcycli[...] 2015-07-23
[9] 뉴스 The Torqued Wrench: Good ideas gone awry https://www.velonews[...] Outside Media 2011-12-28
[10] 뉴스 UCI will make helmets mandatory https://www.velonews[...] Outside Media 2022-03-09
[11] 서적 High-Tech Cycling Human Kinetics
[12] 간행물 Distribution of Power Output When Establishing a Breakaway in Cycling http://journals.huma[...]
[13] 간행물 Physical Demands of Sprinting in Professional Road Cycling https://zenodo.org/r[...]
[14] 간행물 Performance Analysis of a World-Class Sprinter During Cycling Grand Tours http://journals.huma[...]
[15] 서적 Bicycling Complete Book of Road Cycling Skills: Your Guide to Riding Faster, Stronger, Longer, and Safer https://books.google[...] Rodale 2016
[16] 서적 Competitive Cycling https://books.google[...] Meyer & Meyer Verlag 2014
[17] 웹사이트 www.CyclingRanking.com :: Team Ranking 1869 – 2010 http://www.cyclingra[...] 2015-07-23
[18] 뉴스 Our man in the bunch 9: tactics https://www.cyclingw[...] 2013-06-17
[19] 웹사이트 Radio killed the tactical star http://www.sbs.com.a[...] Cycling Central
[20] 뉴스 Directors: UCI out of tune on race-radio ban http://velonews.comp[...] Velonews.com 2009-09-27
[21] 웹사이트 UCI makes U-turn on team race radio ban http://www.cyclingwe[...] 2016-04-23
[22] 간행물 Physiological and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of junior cyclists of different specialties and performance levels
[23] 웹사이트 Race classifications: an explainer https://thebritishco[...] 2020-01-20
[24] 문서 The Olympic Games Collier Books null
[25] 서적 On Your Bicycle: An Illustrated History of Cycling https://archive.org/[...] John Murray (publishing house)
[26] 웹사이트 Wielrennen – Uitleg over wegwielrennen binnen de wielersport https://www.sport-en[...] 2022-12-30
[27] 문서 例えばAは山岳賞を獲りにいく。そのためにチームメイトのBとCが中心となってサポートする。またDは普段はAのサポートを務めるが、別チームのエースでAのライバルと見られているEが抜け出した場合は、それについて行き、余計なポイントを与えないようにする、など。
[28] 문서 世界選手権優勝者は[[アルカンシエル]]を、各国選手権優勝者にはその国のナショナルカラーをあしらったジャージを各レース優勝後1年間、下記に挙げるチャンピオンシップレース以外のレースに着用して出場できるという特典があるため。
[29] 문서 欧州以外の地域の国籍選手は、各大陸選手権で優勝しないと世界選手権に参加できないケースがあるため。
[30] 문서 アマチュア選手だけしか参加できなかった1992年の[[1992年バルセロナオリンピックの自転車競技|バルセロナオリンピック]]までは、傾向的に見て、『オリンピックの自転車ロードレース金メダリストは、プロになってから大成しない。』というジンクスがあった。
[31] 문서 UCI Cycling Regulations 2.7.016
[32] 웹사이트 UCI permits criteriums in UCI 2.2 stage races http://www.cyclingne[...]
[33] 웹사이트 2009 - 2010 UCI Road Calendar: Men Elite, World http://62.50.72.82/u[...]
[34] 웹사이트 Road Calendar http://www.uci.ch/ro[...] 국제자전거경기연합 2015-03-28
[35] 문서 2015年昇格。
[36] 문서 ツール・ド・フランスでも、1982年までは、一部のステージにおいて、ハーフステージの形式を取っていた。
[37] 문서 たとえば総合4位、ポイント賞15位、山岳賞2位なら21ポイント。またポイント賞か山岳賞どちらかがノーポイントの場合コンビネーション賞を得る権利が無くなる。
[38] 웹사이트 Road Calendar http://www.uci.ch/ro[...] 国際自転車競技連合 2015-03-28
[39] 문서 特にスプリンターと総合優勝争いの選手を同時に起用しているチームでは顕著。平地ではスプリンターのために他がアシストになり、総合勢は集団ゴールするだけで何も行わない。山岳ではスプリンターは序盤で総合勢をアシストし山岳に入るまでが仕事で残りはグルペットに入り一日を終えるが、総合勢は勝負を仕掛けタイムを稼いでいく。
[40] 문서 "[[#fujii2008|ふじいのりあき 2008: 115]]の計算によると、ランス・アームストロングの巡航時の平均出力370ワットをエネルギー効率25%と仮定するならば、4時間の競技で基礎代謝を含め7490カロリーを消費するとされる。"
[41] 웹사이트 サイクルロードレース入門 用語集2010年度版 http://www.jsports.c[...] J SPORTS
[42] 문서 1日で勝負が決まるワンデーレース、特に路面状況と道幅の面で特徴を持つパリ〜ルーベやツール・デ・フランドルでは、ステージレースとは全く異なるレース展開となることが多い。
[43] 문서 2008年のジロ・デ・イタリア第2ステージでは、2人の逃げ集団の片方の選手が強引にポイントを独り占めしてしまった為、もう片方の選手が先頭交替を拒否し、逃げは早い段階で崩壊した。
[44] 문서 ブエルタ・ア・エスパーニャ2009の第19ステージ、上位12人による2位狙いスプリントで総合リーダーだった[[アレハンドロ・バルベルデ]]が頭を取り、ボーナスタイム12秒を入手して他を突き放している。
[45] 문서 過去には、[[ツール・ド・フランス2004|2004年のツール・ド・フランス]]において、第12ステージで[[ランス・アームストロング]]が[[イヴァン・バッソ]]に優勝を譲ったものの、翌日の第13ステージではアームストロングがバッソにスプリント勝負を仕掛けて自らステージ優勝した(ただし後年に[[ドーピング]]が発覚してステージ優勝は取消、詳しくは[[ランス・アームストロングのドーピング問題]]を参照)例などがある。
[46] 문서 "[[ツール・ド・フランス2000|2000年のツール・ド・フランス]]第12ステージで、ランス・アームストロングに優勝を譲られた[[マルコ・パンターニ]]が激怒した例などが有名。"
[47] 문서 2006年のジロ・デ・イタリア第19ステージで、チームCSCのエースであるイヴァン・バッソのために逃げ集団に着き位置していた[[イェンス・フォイクト]]が、最後まで逃げ続けた[[フアン・マヌエル・ガラテ]]にステージ優勝を譲った例などがある。
[48] 문서 ゴールまでの残り距離が遠い場合は、逆に新たな逃げ集団を発生させてしまうことが多いため。通常の平坦ステージでは「ゴールまで残り数kmのところで逃げ集団を吸収してゴールスプリントへの準備に移る」のが理想とされる。
[49] 문서 2009年のツール・ド・フランス第9ステージでは、残り3km地点で逃げ集団を猛追撃していたメイン集団内で[[チーム・サクソバンク]]のエース[[アンディ・シュレク]]にパンクのトラブルが発生し、これが原因でメイン集団が減速したため結果的に逃げが決まった。反対に2007年のツール・ド・フランス第5ステージでは、残り25km地点で[[アスタナ・チーム|アスタナ]]のエース[[アレクサンドル・ヴィノクロフ]]が落車したが、既に逃げ集団を吸収する態勢に入っていたメイン集団はヴィノクロフを待つことなく加速してしまった。このためヴィノクロフはこのステージだけで1分20秒も失ってしまい、落車のダメージもあって、その後マイヨ・ジョーヌ争いからは脱落していった(最終的にドーピング陽性で失格)。
[50] 문서 ジロ・デ・イタリアでは[[ミラノ]]が最終ステージの通例とされてきたが、[[ジロ・デ・イタリア 2009|2009年]]にジロ100周年記念として[[ローマ]]で個人タイムトライアルが行われたのを皮切りに、「ミラノ固定」ではなくなりつつある。
[51] 문서 例えば、フランス・ベルギー・オランダ・イタリア・スペインは国旗の色をそのままジャージにあしらっている。白地にストライプをあしらっているものでは、イギリス(赤・白・紺)、ドイツ(黒・赤・金)、オーストラリア(緑・黄・緑)が挙げられる。日本は日の丸、アメリカは星条旗を模したデザイン。ニュージーランドは黒地にシダである。ただしこれらのデザインは、所属チームやスポンサーの意向により変更される場合も多く、必ずしも固定されていな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