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시설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시 설계는 도시 환경을 형평성, 아름다움, 지속 가능성을 갖춘 환경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제 간 분야이다.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계획된 도시의 사례가 존재하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도시 설계가 철학적, 과학적 사상과 연관되기도 했다. 현대에는 산업화와 자동차 산업의 발달로 도시 계획이 변화했으며, 20세기 초 정원 도시 운동을 통해 현대 도시 설계가 시작되었다.

도시 설계 이론은 공공 공간의 설계와 관리, 사용 방식에 초점을 맞추며, 신도시주의, 경관 도시주의, 지속 가능한 도시주의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이 존재한다. 도시 설계는 건축, 조경, 도시 계획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진행되며, 인구 증가, 기후 변화, 불평등과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시설계 - 도시 지역
    도시 지역은 국가 및 조사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지만, 일반적으로 고밀도 토지 이용, 인구 밀도, 직업 구조 등을 기준으로 구분하며, 전 세계적으로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 도시설계 - 도시쇠퇴
    도시쇠퇴는 인구 감소와 구별되는 현상으로, 상주·주간인구 감소, 노령화, 경제력 하락 등 복합적 요인으로 도시의 주요 기능이 전반적으로 쇠퇴하는 것을 의미하며 산업화, 탈산업화, 젠트리피케이션, 역도시화 등과 관련되어 1970년대 이후 북미와 유럽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도시설계
개요
분야설계, 도시 계획
관련 학문건축, 조경, 도시공학, 지역 계획, 교통 공학, 공공 정책
목표공공 영역의 질적 향상
지속 가능한 개발
사회적 형평성 증진
경제적 활력 제고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 조성
정의
정의인간 정주지의 설계 및 형성에 관련된 전문 분야
주요 관심사물리적 형태와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영향 간의 관계
관련 활동도시 공간의 구상
도시 구조의 형성
도시 경관의 창출
목표
목표매력적이고 기능적인 도시 환경 조성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는 포괄적인 공간 제공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 유도
지역 사회의 정체성 강화
주요 고려 사항
주요 고려 사항맥락 (Context)
장소 만들기 (Placemaking)
접근성 (Accessibility)
다움 (Mix)
지속 가능성 (Sustainability)
형태 (Form)
효율성 (Efficiency)
유연성 (Flexibility)
안전 (Safety)
사회적 형평성 (Social Equity)
거버넌스 (Governance)
주요 단계
주요 단계분석 (Analysis)
비전 설정 (Visioning)
전략 개발 (Strategy Development)
설계 (Design)
구현 (Implementation)
평가 (Evaluation)
관련 직업
관련 직업도시 설계자, 도시 계획가, 조경 건축가, 건축가

2. 역사

도시설계는 20세기 중반부터 '도시설계'라는 용어로 전문적인 사용이 시작되었지만, 그 자체는 역사 전반에 걸쳐 존재해 왔다. 고대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아메리카에는 계획적이고 설계된 도시의 사례가 있으며, 특히 고대 중국, 로마, 그리스 문화권에서 잘 알려져 있다. 히포다무스는 "유럽 도시계획의 아버지"로 불리는 고대 그리스 건축가이자 도시계획가로, 격자형 도시 계획("히포다무스식 계획")을 고안했다.[8]

중세 유럽 도시는 종종 '유기적인' 도시 개발의 전형으로 간주되지만, 계획적인 도시 설계의 예도 많다.[9] 영국에서는 9세기의 버걸 히다지에 등재된 많은 도시들이 격자 형태로 설계되었고,[10] 12세기 서유럽에서는 도시화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높아졌다.[11] 버게이지 시스템은 중세 도시에 자기 조직적인 설계를 가져왔다.[12]

역사적으로 거리 설계와 공공 공간의 구성은 당대의 사회적 규범, 철학적, 종교적 신념을 반영해왔다.[13] 도시 공간과 인간 정신의 연관성은 상호적이며, 도시 구조가 인간 행동과 사고에 미치는 영향은 환경 심리학적 연구와 역사적 기록에서 확인된다. 르네상스 도시 설계는 요하네스 케플러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으며,[14] 르네 데카르트는 그의 저서 『방법서설』에서 르네상스 시대 계획 도시의 영향을 언급했다.[15]

일본의 도시 설계 관련 제도는 도시계획, 경관녹지법( 경관법 등), 전선 지중화 사업, 도로법, 도로교통법, 교통 배리어프리 사업, 고령자·장애인 등의 공공교통기관 이용 편의 증진에 관한 법률, 문화재보호법에 따른 전통적 건조물군 보존지구 등 다양하다. 국토교통성은 주택단지정비사업, 신도시기반정비사업, 도시재개발 관련 공공시설 정비 촉진 사업 등을 통해 도시 설계를 실시하고 있다.

2. 1. 고대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아메리카 등 세계 각지에서 신중하게 계획되고 설계된 고대 도시 사례가 존재한다. 특히 고대 중국, 로마, 그리스 문화권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히포다무스는 "유럽 도시계획의 아버지"로 불리는 고대 그리스 건축가이자 도시계획가로, 격자형 도시 계획("히포다무스식 계획")을 고안했다.[8]

2. 2. 중세

유럽 중세 도시는 종종 설계되지 않거나 '유기적인' 도시 개발의 전형으로 여겨지지만, 중세 시대에도 계획적인 도시 설계 사례가 많이 존재한다.[9]

영국에서는 9세기의 버걸 히다지(Burghal Hidage)에 등재된 많은 도시들이 격자 형태로 설계되었는데, 덴마크 침략자에 대한 방어 네트워크를 신속하게 구축하기 위해 만들어진 사우샘프턴(Southampton), 웨어햄(Wareham, Dorset), 월링포드(Wallingford, Oxfordshire) 등이 그 예이다.[10] 12세기 서유럽에서는 경제 성장과 수입 증대 수단으로서 도시화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높아졌다.[11] 당시의 버게이지(burgage) 시스템과 관련된 버게이지 구획은 중세 도시에 일종의 자기 조직적인 설계를 가져왔다.[12]

2. 3. 근세

유럽에서 근대 도시 설계의 시작은 르네상스와 관련이 있지만, 특히 계몽주의 시대와 관련이 있다.[16] 스페인 식민지 도시들은 종종 계획적으로 건설되었으며, 다른 제국 문화에 의해 정착된 일부 도시들도 마찬가지였다.[17] 이러한 도시들은 때때로 제임스 오글소프의 사바나 계획처럼 기능성과 좋은 통치를 위한 목표뿐만 아니라 유토피아적 야망도 구현했다.[18] 바로크 시대에는 베르사유와 같은 프랑스 정식 정원에서 발전된 설계 방식이 도시 개발 및 재개발로 확장되었다. 근대적인 전문 분야가 존재하지 않았던 이 시대에는 조각, 건축, 정원 설계, 측량, 천문학, 군사 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도시 설계를 맡았다. 18세기와 19세기에 도시 설계는 측량 기술자, 기술자, 건축가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도시 인구의 증가는 전염병 문제를 가져왔고, 이에 대한 대응으로 공중 보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영국에서는 시정 공학이 등장했고, 영국 법률에는 건물 높이에 대한 도로 최소 너비와 같은 조항이 포함되어 적절한 채광과 환기를 보장했다.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의 많은 작품은 도시 설계와 관련이 있으며, 새롭게 형성된 조경 건축 직업 또한 19세기 후반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19]

오스만 거리, 파리 (조르주 외젠 오스만)

2. 4. 현대

19세기 말, 산업화와 도시 확장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대 도시 설계가 등장했다. 에비니저 하워드(Ebenezer Howard)는 1898년 정원도시 운동을 시작했는데, 이는 도시농촌의 장점을 결합한 자급자족적인 공동체를 구상하며, 20세기 도시 계획에 큰 영향을 미쳤다.[20] 하워드는 그의 저서 ''내일의 정원 도시들(Garden Cities of To-morrow)''(1898)에서 주거, 산업, 농업 지역이 분리된 동심원 형태의 정원 도시를 제안했다. 이 도시는 6000acres 부지에 3만 2천 명을 수용하며, 중앙에서 뻗어나가는 6개의 방사형 대로(약 36.58m)와 개방된 공간, 공원을 갖추도록 계획되었다.[22] 인구가 최대치에 도달하면 인근에 또 다른 정원 도시를 개발하고, 여러 정원 도시가 5만 명의 중앙 도시의 위성 도시로 연결되는 구상이었다.[22] 그의 구상은 레치워스(Letchworth)[23]와 허트퍼드셔(Hertfordshire)의 웰윈 가든 시티(Welwyn Garden City)에서 실제로 구현되었다.[23]

에비니저 하워드의 영향력 있는 1902년 다이어그램. 정원도시 운동을 통한 도시 성장을 보여준다.


20세기 초, 도시 계획은 전문화되기 시작했으며, 1909년 영국에서 최초의 도시계획법이 제정되었다.[24] 이 법은 모든 주택 건설이 특정 건축 기준을 준수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지방 당국에 도입하도록 했다.[25] 1910년에는 토마스 애덤스가 지방 정부 위원회(Local Government Board)의 최초 도시계획 감찰관이 되었고, 1914년에는 도시계획 연구소(Town Planning Institute)가 설립되었다.[24]

자동차 산업의 발달은 도시 설계에 큰 영향을 미쳐, 도로와 교통 패턴 중심의 도시 배치가 이루어졌다.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를 비롯한 CIAM(국제 근대 건축 회의)은 1928년 설립되어 근대 건축의 원칙을 도시 계획에 적용하려 했다.

3. 현대 도시 설계의 동향과 새로운 접근

오늘날 도시 설계는 오래 지속되는 구조물, 건물 및 전반적인 생활 가능성을 갖춘 지속 가능한 도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보행 중심 도시 계획은 ''신도시 건설주의 헌장''에 정의된 또 다른 접근 방식이다. 이는 건설 환경을 변경하여 지속 가능한 교통을 지원하는 스마트 도시를 조성함으로써 환경 영향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소형 도시 지역은 주민들이 운전을 덜 하도록 장려하며, 이러한 지역은 확산형 교외 지역과 비교했을 때 환경 영향이 훨씬 적다.[26] 유럽에서는 도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순환 흐름 토지 이용 관리가 도입되어 지속 가능한 토지 이용 패턴을 촉진하고 있다.

최근의 신고전주의 건축 운동의 결과로, 지속 가능한 건축은 스마트 성장, 보행성, 건축 전통 및 고전적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7][28] 이는 모더니즘 및 세계적으로 획일적인 건축과 대조된다.

스웨덴의 야크리보르. 1990년대 후반 말뫼 근처에 친환경적인 신도시로 건설된 신도시 건설주의 지역이다.


도시화 과정을 문화적, 경제적, 환경적으로 완전히 지속 가능하게 만들고 도시 확산에 대한 가능한 해결책으로서, 프랭크 레알레는 [https://sites.google.com/view/managedurbanisation/ 확장형 결절 개발(E.N.D.)]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이 개념은 기존 대도시에 더 비싼 인프라를 추가하여 혼잡을 야기하는 대신, 많은 도시 설계 및 생태 원칙을 통합하여 고급 연결 고속도로를 갖춘 소규모 농촌 허브를 설계하고 건설하는 것이다.

1980년대 이후 도시 설계 분야에서는 다양한 이론과 접근 방식이 등장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확장형 결절 개발(E.N.D.): 기존 대도시에 인프라를 추가하는 대신, 소규모 농촌 허브를 설계하고 건설하여 도시화를 지속 가능하게 만드는 개념이다.

3. 1. 신도시 건설주의 (New Urbanism)

신도시주의는 1980년대에 시작된 장소 만들기(place-making) 운동으로, 교외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접근 방식이다. 목표는 조밀하고 완벽한 도시와 지역 사회를 조성하여 밀도를 높이는 것이다. 신도시주의의 10가지 원칙은 다음과 같다.

  • 보행성
  • 연결성
  • 혼합 용도 및 다양성
  • 혼합 주택
  • 양질의 건축 및 도시 설계
  • 전통적인 지역 사회 구조
  • 밀도 증가
  • 스마트 교통
  • 지속 가능성
  • 삶의 질


신도시주의와 이를 통해 만들어진 개발은 학문 내에서 논쟁의 원천이 되는데, 주로 경관 도시주의(landscape urbanist) 접근 방식과의 논쟁이지만, 맥락에 부합하지 않는 이상적인 건축적 관습을 재생산한다는 점에서도 논쟁이 발생한다. 앤드레스 두아니, 엘리자베스 플레이터-자이버크, 피터 칼소프, 제프 스펙은 모두 신도시주의와 그 발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29]

3. 2. 경관 도시주의 (Landscape Urbanism)

경관 도시주의는 1990년대에 처음 등장한 이론으로, 도시를 사물과 건물의 배열이 아닌 상호 연결되고 생태적으로 풍부한 수평적인 장(field)의 조건으로 구성한다고 주장한다.[30] 조경 계획에 따라 부지, 영토, 생태계, 네트워크 및 인프라를 이론화한다.[30] 찰스 월드하임에 따르면, 경관 도시주의는 도시를 성장, 축소 또는 발전 단계를 변화시키는 생태계로서 역동적인 개념을 적용한다.[31]

이 이론과 밀접하게 관련된 주요 인물로는 찰스 월드하임, 모센 모스타파비, 제임스 코너, 리처드 웰러 등이 있다.

3. 3. 일상 도시주의 (Everyday Urbanism)

일상 도시주의(Everyday Urbanism영어)는 마가렛 크로포드가 제시하고 앙리 르페브르의 영향을 받은 개념으로, 통근, 일, 휴식, 도시 거리와 보도를 이동, 쇼핑, 구매, 음식 구매, 심부름 등 도시 거주자들이 공유하는 일상의 경험을 설명한다. 일상 도시주의는 미적 가치에 관심이 없다. 대신 전문가와 일반 사용자 간의 거리를 없애고 설계자와 계획자들이 '권력의 이동'을 고려하고 직접적이고 평범한 관점에서 사회 생활에 대처하도록 한다.[30]

3. 4. 전술적 도시주의 (Tactical Urbanism)

전술적 도시주의(DIY 도시주의, 행동에 의한 계획, 도시침술, 도시 프로토타이핑으로도 알려짐)는 단기간, 저비용, 확장 가능한 개입과 정책을 사용하여 장기적인 변화를 촉진하는 지역 사회 구축에 대한 도시, 조직 또는 시민 주도의 접근 방식이다.

3. 5. 탑업 도시주의 (Top-up Urbanism)

탑업 도시주의(Top-up Urbanism)는 도시 설계에서 상향식(top-down)과 하향식(bottom-up) 두 가지 기법을 이론적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상향식 도시주의는 일반적으로 정부 또는 계획 부서와 같이 계층 구조의 상위에서 설계가 구현되는 경우이다. 하향식 또는 풀뿌리 도시주의는 사람들 또는 계층 구조의 하위에서 시작된다. 탑업은 두 가지 방법을 함께 사용하여 더 참여적인 설계를 만들기 때문에 가능한 한 성공적이기 위해 포괄적이고 잘 고려되어야 한다.[31]

3. 6. 인프라 도시주의 (Infrastructural Urbanism)

인프라 도시주의는 인프라 시스템 구축에 투입되는 주요 투자가 지역사회를 더 지속 가능하게 만들도록 활용될 수 있는지 연구하는 것이다. 이 이론은 시스템이 비용과 생산성 측면에서 효율성에만 국한되지 않고, 이러한 투자를 활용하여 사회적, 환경적 문제에 대해 더욱 공정하게 만들고자 한다. 린다 새뮤얼스는 "차세대 인프라"라고 부르는 인프라 변화를 달성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디자이너이다. 그녀는 차세대 인프라를 "다기능적, 공공적, 가시적, 사회적으로 생산적, 지역 특화, 유연하고 적응력이 뛰어남, 생태 경제에 민감함, 설계 프로토타입 또는 시범 프로젝트로 구성됨, 공생적, 기술적으로 스마트함, 그리고 학제 간 및 기관 간에 공동으로 개발됨"으로 정의한다.[31]

3. 7. 지속 가능한 도시주의 (Sustainable Urbanism)

지속 가능한 도시주의는 1990년대부터 시작된 연구로, 공동체가 자신과 관련된 생태계, 사람들, 경제에 유익할 수 있는 방법을 다룬다. 스콧 캠벨의 계획자의 삼각형(planner's triangle)을 기반으로 하며, 경제, 형평성, 환경 간의 균형을 찾으려고 한다. 주요 개념은 주변 생태계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도시를 가능한 한 자급자족적으로 만들려는 것으로, 오늘날 기후 안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4] 지속 가능한 도시주의의 주요 인물은 더글러스 페어이다.

3. 8. 페미니스트 도시주의 (Feminist Urbanism)

페미니스트 도시주의는 건축 환경이 사회의 가부장적인 사회 및 정치 구조 때문에 성별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대한 연구 및 비판이다. 일반적으로 설계 결정을 내리는 자리에 있는 사람들은 남성이므로, 공공 공간과 건축 환경에 대한 그들의 개념은 그들의 삶의 관점과 경험과 관련이 있으며, 여성이나 어린이의 경험을 반영하지 않는다. 돌로레스 헤이든은 1980년부터 현재까지 이 주제를 연구해 온 학자이다. 헤이든은 “모든 계층과 인종의 여성, 남성, 어린이가 공공 영역을 시민으로서 가장 편안함을 느끼는 곳으로 인식할 때, 미국인들은 마침내 가정과 같은 도시 공간을 갖게 될 것이다.”라고 말한다.[4]

3. 9. 교육 도시주의 (Educational Urbanism)

교육 도시주의는 도시 계획, 교육 계획 및 교육학의 교차점에 있는 새로운 학문이다. 경제 활동, 직장에서 필요한 새로운 기술, 직장의 공간적 구성이 교육 공간 설계의 공간적 재배치와 교육 계획의 도시적 차원에 의존한다는 개념을 다루는 접근 방식이다.[4]

3. 10. 흑인 도시주의 (Black Urbanism)

흑인 도시주의는 흑인 공동체가 지난 반세기 동안 부흥을 돕는 데 크게 기여한 대도시 지역의 이웃과 공간을 설계하고 만드는 과정에서 적극적인 창조자, 혁신가, 저자 역할을 하는 접근 방식이다. 목표는 흑인을 위한 흑인 도시를 건설하는 것이 아니라, 소위 흑인 지역에 존재하는 창의적인 에너지를 탐구하고 개발하는 것이다. 이는 도시 전체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

3. 11. 도시 설계의 논쟁

도시 설계의 기저에는 도시를 최적으로 설계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이 깔려 있다. 각 이론은 번영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 환경을 효과적으로 설계하는 방법에 대해 고유한 주장을 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의 효과에 대한 논쟁은 도시 설계 담론을 가득 채운다. 경관 도시주의와 신도시주의는 교외 확산 문제를 해결하는 서로 다른 접근 방식으로서 흔히 논쟁의 대상이 된다. 경관 도시주의는 도시의 기본 구성 요소로서 경관을 제시하고 수평성, 유연성, 적응성을 포용하는 반면, 신도시주의는 도시의 기본 구성 요소로서 이웃을 제시하고 밀도 증가, 복합 용도, 보행성을 주장한다. 경관 도시주의 반대자들은 그 프로젝트의 대부분이 도시 공원이며 따라서 그 적용이 제한적이라고 지적한다. 신도시주의 반대자들은 전통적인 이웃 구조에 대한 집착이 향수적이고 상상력이 부족하며 문화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주장한다. 일상 도시주의는 마스터플랜에 의한 상향식 개입이 아닌, 풀뿌리 이웃 개선을 주장한다. 각 이론은 도시 설계 과정에서 특정 직업의 역할을 높여 논쟁에 더욱 불을 지핀다. 실제로 도시 설계자들은 종종 여러 도시 설계 이론의 원리를 적용한다. 이러한 논의에서 도출되는 것은 현대 도시 설계에서 학제 간 협력의 중요성에 대한 보편적인 인식이다.[32]

4. 도시 설계 이론

도시설계 이론은 주로 공공 공간(즉, '공공 환경', '공공 영역' 또는 '공공 도메인')의 설계 및 관리와 공공 장소가 사용되고 경험되는 방식을 다룬다. 공공 공간에는 거리, 광장, 공원 및 공공 기반 시설과 같이 일반 대중이 매일 자유롭게 사용하는 모든 공간이 포함된다. 건물 외관이나 주택 정원과 같은 사적으로 소유된 공간의 일부도 공공 공간에 기여하므로 도시 설계 이론에서 고려된다. 도시 설계 이론에 대한 중요한 저술가는 다음과 같다.[2][3][4]

5. 도시 설계의 패러다임 전환

도시설계 분야는 짧은 역사 동안 이론과 실무에 영향을 미친 여러 패러다임 전환을 경험했다. 이러한 패러다임 전환은 전통적인 설계 분야를 넘어 여러 주제 영역을 다룬다.


  • 팀 10: 최초의 주요 패러다임 전환은 국제 근대 건축 회의(CIAM)에서 팀 10의 결성이었다. 이들은 도시설계가 '인간의 연합'이라는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고 믿었으며, 이는 설계의 초점을 개별 후원자에서 집단적인 도시 인구에 집중하는 것으로 전환시켰다.[1]
  • 브룬트란트 보고서와 침묵의 봄: 레이첼 카슨의 브룬트란트 보고서와 저서 침묵의 봄 출판은 또 다른 패러다임 전환이었다. 이러한 저술은 인간 정주가 생태 과정뿐만 아니라 인간의 건강에도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개념을 제시하여 이 분야에서 새로운 환경 인식의 시대를 불러일으켰다.[1]
  • 계획자의 삼각형: 스콧 캠벨이 만든 계획자의 삼각형은 계획 과정의 세 가지 주요 갈등을 강조했다. 이 다이어그램은 경제 개발, 환경 보호, 형평성 및 사회 정의 간의 복잡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처음으로 형평성과 사회 정의의 개념이 설계 과정에서 경제 개발과 환경 보호만큼 중요하게 고려되었다.[1]
  • 근대주의의 종말 (프루이트-아이고의 철거): 프루이트-아이고는 사회 주택에 관한 근대주의 이론의 공간적 상징과 표현이었다. 그 실패와 철거로 이러한 이론들이 의문시되었고, 설계 분야의 많은 사람들은 근대주의 시대가 끝났다고 생각했다.[1]
  • 신자유주의 & 레이건의 당선: 레이건 대통령의 당선과 신자유주의의 부상은 자본주의적 이익과 공간적 사유화를 강조하는 것으로 계획 과정을 전환시켰기 때문에 도시설계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레이거노믹스의 낙수 효과에 영감을 받아 설계 내에서 자본주의적 강조의 이점이 모든 사람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믿었다. 반대로 이는 배타적인 설계 관행과 많은 사람들이 "공공 공간의 죽음"으로 여기는 것으로 이어졌다.[1]
  • 도시에 대한 권리: 시민의 도시에 대한 권리에 대한 공간적, 정치적 싸움은 계속되고 있다. 데이비드 하비는 댄 미첼과 에드워드 소자와 함께 도시에 대한 권리를 공간적 문제가 중요한 형태로 결정되는 방식에 대한 역사적 사고를 전환하는 문제로 논의했다. 이러한 사고방식의 변화는 존재론적, 사회학적, 그리고 이러한 사회 공간적 방언의 결합이라는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함께 목표는 사회 공간적 맥락에서 중요한 것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전환되었다.[1]
  • 블랙 라이브즈 매터 (퍼거슨): 흑인 생명도 소중하다 운동은 도시 공간에서 유색 인종이 겪는 불의와 불평등을 강조하고 차별과 폭력 없이 공공 공간에 대한 그들의 권리를 강조했기 때문에 설계 사고에 도전했다. 소수 민족 집단은 특정 공간적 특권이 부족하며 이러한 결핍은 생사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공평한 도시주의 상태에 도달하려면 도시 경관 내에서 사회경제적 삶을 동등하게 식별해야 한다.[1]

6. 통합적 전문 분야로서의 도시 설계

도시설계는 학제 간 분야로서 건축가, 조경 건축가, 교통 공학자, 도시 계획가, 산업 디자이너와 협력하여 도시를 재편한다.[5][6] 공공 공간을 관리하려면 공공 기관, 당국 및 인근 토지 소유주 등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의 협력이 필요하다. 사용자들은 종종 공간을 놓고 경쟁하며 다양한 영역에서 협상한다.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해야 하며, 이는 아른스타인의 시민 참여 사다리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다양한 수준의 참여로 이어질 수 있다.[33]

스스로를 도시 설계자로 규정하는 전문가도 있지만, 대다수는 도시 계획, 건축 또는 조경 건축 분야의 배경을 가지고 있다. 많은 대학 프로그램에서 도시 설계 이론과 디자인 과목을 커리큘럼에 통합하고 있으며, 대학원 과정에서 도시 설계 학위를 제공하는 대학 프로그램 수도 증가하고 있다.

7. 도시 설계 교육

리버풀 대학교의 시민 설계학과는 1909년에 설립된 세계 최초의 도시 설계 학교이다.[34] 1956년 도시 설계 회의 이후 하버드 대학교는 도시 설계를 명칭에 포함한 최초의 대학원 과정인 도시 설계 건축학 석사 과정을 설립했지만, 대학에서 가르치는 과목으로서 유럽에서는 그 역사가 훨씬 더 오래되었다. 도시 설계 프로그램은 다양한 학문적 배경과 관점에서 건축 환경을 탐구한다. 교육적으로 혁신적인 학제 간 스튜디오, 강의, 세미나 및 독립 연구의 결합은 학생들이 발전하고 배우는 친밀하고 매력적인 교육 분위기를 조성한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1961년에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가 도시 설계 석사 과정을 설립했다. 현재 미국에는 20개의 도시 설계 프로그램이 있다.

학교위치
앤드루스 대학교베리언 스프링스, 미시간주
클렘슨 대학교찰스턴,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컬럼비아 건축, 계획 및 보존 대학원뉴욕, 뉴욕주
뉴욕 시립대학교뉴욕, 뉴욕주
볼 주립 대학교 에스토피날 건축 및 계획 대학먼시, 인디애나주
조지아 공과대학교 디자인 대학애틀랜타, 조지아주
하버드 대학교 디자인 대학원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주
아이오와 주립 대학교에임스, 아이오와주
뉴욕 기술 대학교뉴욕, 뉴욕주
노틀담 건축 대학노틀담, 인디애나주
프랫 인스티튜트브루클린, 뉴욕주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 샘 폭스 디자인 및 시각 예술 대학세인트루이스, 미주리주
사바나 예술 디자인 대학사바나, 조지아주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스튜어트 와이츠먼 디자인 대학필라델피아, 펜실베이니아주
미시간 대학교 토브먼 건축 및 도시 계획 대학앤아버, 미시간주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버클리, 캘리포니아주
콜로라도 대학교 덴버덴버, 콜로라도주
메릴랜드 대학교칼리지파크, 메릴랜드주
마이애미 대학교마이애미, 플로리다주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건축 대학오스틴, 텍사스주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샬럿샬럿, 노스캐롤라이나주



영국에서는 맨체스터 대학교, 셰필드 대학교, 카디프 대학교, 런던 사우스뱅크 대학교의 도시 설계 석사 과정과 왕립 예술 대학, 벨파스트 퀸즈 대학교의 도시 설계 과정이 제공된다.

8. 도시 설계의 과제

도시설계는 인구 증가, 대규모 도시화, 심화되는 불평등, 기후 변화 등 현대 사회의 주요 과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기후 변화와 관련하여, 도시설계는 지속 가능성과 회복력이라는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4][35][36][37]


  • 기후 변화 완화: 홍수, 온도 변화, 심해지는 폭풍 등의 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도시를 설계한다.
  • 지속 가능한 도시: 제로-카본 도시처럼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원 소비, 폐기물 발생, 오염을 최소화하는 도시를 만든다.
  • 회복력 있는 도시: 기후 재난으로부터 회복할 뿐만 아니라 더 나은 상태로 도약할 수 있는 도시를 설계한다.


2007년 런던 히드로 공항에서 열린 기후변화 캠프 시위 현수막


또한, 도시 계획 및 설계 과정에서 소외된 집단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정의와 형평성을 확보하는 것 역시 중요한 과제이다.

  • 여성: 과거 도시 계획 및 설계에서 여성의 참여와 기여가 간과되어 왔지만, Mary Kingsbury Simkhovitch, Florence Kelley, Lillian Wald 등 많은 여성들이 도시 사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경제적, 사회적 평등 문제 해결에 기여했다.[38]
  • 장애인: 1970년대까지 도시 설계는 장애인의 요구를 거의 고려하지 않았으나, 장애인들의 권리 요구 운동을 통해 '사회적 모델'이 제시되었다. 이는 건축 환경과 비장애인의 태도가 장애인에게 장벽을 만든다는 관점이다. 이후 '접근성 그룹'과 '접근성 담당자'가 생겨나고, 관련 법률(예: 장애 차별 금지법 1995)이 제정되면서 장애 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 유색 인종: 흑인 생명도 소중하다 운동은 도시 공간에서 유색 인종이 겪는 불의와 불평등을 강조하며, 차별과 폭력 없이 공공 공간을 이용할 권리를 주장한다.
  • 정의로운 도시: 과거의 도시 전략은 불평등을 야기했으므로, 도시 설계자들은 인종, 장소, 사회경제적 지위를 고려하여 정의 문제를 다루어야 한다.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의 분열된 도시 이니셔티브와 하버드 대학교의 정의로운 도시 연구소 등은 도시설계에서 정의를 증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불어 보행성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보행성 증진은 기후 변화 대응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건강과도 관련이 있다. 자동차 중심의 도시 설계는 대기 오염을 유발하여 주민들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차, 자전거와 같은 대체 교통 수단을 장려하고, 단거리 이동에는 보행을 우선시하는 도시 설계가 필요하다.

9. 일본의 도시 설계

일본의 도시 설계는 도시계획에서 다루듯이 다양하며,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도 개발 조례 및 요강, 최근에는 가로 경관에 관한 지자체 조례 외에 소위 경관녹지법( 경관법 등)에 의한 경관 정비, 건축물 및 옥외 광고물 디자인 규제, 도시 내 녹화 등을 추진하는 법률이 제정되었다. 전선 지중화에 의한 전선 제거 및 가로 디자인 추진 사업은 일본 도시 현황을 잘 보여준다.

토지구획정리사업 운영 지침은 2000년 4월 지방분권일괄법(지방분권의 추진을 위한 관계 법률의 정비 등에 관한 법률 “平成11年法律第87号”) 시행에 따라 기존의 구 도시국 관련 통지는 기술적 자문으로 취급하고, 법령의 근거에 기반하지 않는 사무의 의무 부과는 구속력을 갖지 않게 되었다. 과거의 토지구획정리 설계 기준도 사회경제적 상황 변화에 따라 예전부터 사용되지 않아 폐지가 명확해졌다.

교통 관련으로는 예전부터 도로법, 도로교통법 등이 있지만, 최근에는 교통 배리어프리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고령자·장애인 등의 공공교통기관 이용 편의 증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도로 및 역사 등 공공 공간의 디자인을 규정하고 있다.

항만의 경우, 도시계획과는 별도로 임항지역의 토지 이용 규제가 있다.

역사적 경관에 관해서는 문화재보호법에 따른 전통적 건조물군 보존지구 등이 있다.

국토교통성(구 건설성 관할)의 시가지 마을 만들기 활성화 사업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업을 통해 도시 설계를 실시하고 있다.

사업 종류관할 부서사업 내용
주택단지정비사업도시국 도시재개발과대도시 지역의 주택 및 주택 공급 촉진을 위해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준하는 사업
신도시기반정비사업건설경제국 택지개발과대도시 주변의 신도시 기반을 정비하여 대도시 인구 집중, 택지 수요 완화 및 대도시권의 질서 있는 발전 도모
도시재개발 관련 공공시설 정비 촉진 사업도시국 도시재개발과
유통업무단지 조성 사업도시국 도시재개발과유통업무시가지 정비
전원주거지 정비 사업도시국 구획정리과
가로 고도 이용 추진 사업도시국 구획정리과
입체환지 촉진 사업도시국 구획정리과
신시가지 토지 이용 전환 촉진 사업도시국 구획정리과
도시경관 형성 모델 도시 제도도시국 도시계획과
쾌적·녹지·경관 모델 마을 만들기 제도도시국 도시계획과
다기능 교류 거점 정비 사업도시국 도시계획과활기 교류 거점 정비 사업
상업지역 진흥 정비 사업주택국 시가지 건축과중심 상가의 침체는 중요한 도시 문제이므로 매력과 활기가 넘치는 상업 지역의 정비를 종합적, 일체적으로 추진
상업 시가지 진흥 시설 정비 사업
도시·건축 경관 정비 사업주택국 시가지 건축과
지역 냉난방 시설 정비 사업주택국 주택생산과
민간 도시 개발 사업도시국 도시정책과
지방 도시 개발 정비 사업도시국 도시정책과대도시에서의 인구, 산업 분산 및 지역 개발 발전을 위해 지역 사회의 경제, 문화의 중심이 되는 도시의 개발 정비
지방 도시 중심 시가지 활성화 지원 제도도시국 도시정책과지방 도시 중심 시가지 활성화 계획(셰이프업・마이타운 계획) - 활기찬 지방 도시 만들기를 위해 도시의 얼굴인 중심 시가지를 대상으로 도시의 개성과 독자성을 살리고 민간 활력을 활용하면서 공공 시설 등의 정비를 종합적·일체적으로 실시하여 도시의 총체적 매력과 활력을 높이는 계획을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모집하여 전국의 모범이 될 만한 우수한 계획을 선정하여 소관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
지방 도시 중심 시가지 활성화 사업/도시 중심 시가지 활성화 사업지역 전체의 산업 활동이 침체된 지역 등 지방 도시의 중심 시가지에서 활성화 센터 등 지역 활성화 시설을 정비함으로써 지방 도시 중심 시가지의 활성화를 촉진



도로법(昭和27年法律第180号) 제24조는 도로 관리자 이외의 자가 도로 관련 공사를 할 경우 도로 관리자의 승인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토지구획정리사업에서 도로 관련 공사를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사무취급요강 등에서 사업 시행자는 설계협의 도서를 작성하여 도로 관리자와 설계협의를 하고 그 승인을 얻어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간선도로는 지방자치단체가 정비하는 것과 사업자가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정비하는 것이 있으며, 사업자가 정비하는 간선도로는 일반적으로 조성공사의 협의 등에 관한 협정의 사무취급상 필요한 기준을 정한 사무취급요령에 명시되어 있다.

택지개발지구 내 등의 구획도로 설계협의는 택지조성촉진법(昭和36年法律第191号)에 따라 지역 전체적으로 협의가 이루어지지만, 간선도로 정비는 기본적으로 도로 관리자가 사업자로서 추진하는 것이며, 설계협의는 「토지구획정리사업 등의 시행구역 내 도로에 관한 사무취급요강」등에서 정하는 토지구획정리사업에서 하는 것이 있다. 지역 내 도시계획도로의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지방자치단체가 사업 인가를 받아 국고보조사업으로 사업자에게 공사를 위탁하여 정비하고 있다. 도로는 사업시행자에 의한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정비된 것은 사업시행자가 도로의 사용 개시 등을 결정한다. 도로의 사용 개시는 토지구획정리사업의 진척에 맞춰 사업시행자의 판단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며, 지방자치단체로의 이관 절차가 완료될 때까지 사업시행자가 관리하게 된다. 도로 사용 개시 시 사업시행자로부터 지방자치단체로의 협의, 통지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지역이 광역인 경우 택지조성공사가 완료된 지역부터 단계적으로 택지의 사용 수익 개시를 해 나간다. 따라서 택지조성공사 중이더라도 사업구역의 일부에는 사람들이 살기 시작하는 상황이나, 사업 개시 시점부터 기존 주민이 사업구역 내에서 생활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한 주민의 교통편의를 확보하기 위해 공사의 진척 상황 및 범위와 주민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도로의 사용 개시 및 일시적인 사용 중지를 일상적으로 실시하거나, 공사 중인 도로라도 필요에 따라 일부분의 사용 개시를 한다. 시행기관은 지역 내 구획도로의 설계협의는 택지조성촉진법에 따라 지역 전체적으로 협의가 이루어진다.

협정에서 도로, 옹벽 및 방재 조치 등의 설계는 설계 지침이나 표준 구조도에 따르도록 하지만, 이것이 어려운 경우 지방자치단체 관련 부서와 협의하거나, 다른 규정이 있는 경우 그 규정에 따르는 등의 규정을 두는 외에, 사무취급요령 등에서 조성협정을 실시할 때의 사무취급상 필요한 기준을 정한다. 그러한 시설의 설계 지침 및 표준 구조도는 택지조성촉진법 제11조 규정에 따른 협의에서 사업자와 지방자치단체 간에 협의되고, 도로 등의 시설 정비는 협정 등에 의해 협의가 완료된 설계 지침 및 표준 구조도에 따르도록 정해진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설계협의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설계협의가 필요한 경우는 협의에서 협의가 완료된 설계 지침 및 표준 구조도에 따르지 않는 경우이지만, 사무취급요령 등에서 구체적인 설계협의 대상이 제시되어 있는 경우나 구획도로 정비에 대해서는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 등 다양하다. 따라서, 사무취급요령 등에서는 전체 협의를 신청할 때 도로 설계 지침 및 도로 표준 구조도를 첨부 서류로 하도록 정하고, 설계 지침 및 표준 구조도가 첨부된다. 요령에 따라서는 더욱 지역계 도로의 정비, 부속 도로의 정비, 도로 조명 시설, 점유 물건, 도로 구조물로서의 옹벽 및 보행자 전용 도로의 정비 등이 규정된다. 국고보조사업으로 축조 또는 정비하는 도로 구조물이나 옹벽에 대해서도 설계협의의 대상으로 규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게슈탈트 심리학상의 개념에 '도와 지'라는 것이 있는데, 지도를 볼 때에는 많은 경우 건축물을 '도', 기타의 가로 등을 '지'라고 인식하며, 좋은 도시에서는 가로 등을 '도'로서 인식할 수 있다고 한다. 통상 건물 내에서 생활을 하고 있을 때에는 건축물이 '도'가 되지만, 일요일이나 축제 때 등, 가로에 사람이 모일 때, 가로가 '도'가 되었다고 인식된다.

또한 사람이 그 땅을 걸을 때 등에 기준으로 하는 것을 '랜드마크'라고 하며, 실제로 보이지 않아도 항상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 땅을 나타내는데 이용해야 할 표현의 수를 '다양성'이라고 하며, 다양성이 있는 편이 활기가 있는 경우가 많아, 조닝 등에 의해 단순화되어 다양성을 잃은 땅은 활기가 부족한 것이 지적되고 있다. 닫힌 공공 공간을 '엔클로저'라고 하며, 광장 등에서 삼방 또는 사방이 건물로 둘러싸여 있는 공간을 말한다. 또한, 거기에 이르는 길이 적고 또 공간의 모서리가 많을수록 닫힌 감각이 커진다고 여겨진다.

일본에서도 예로부터 이어지는 독특한 설계 기법이 있어, 도시의 촌락을 나눌 때, 주요 가로의 비스타를 근방의 눈에 띄는 산에 맞추는 산아테라고 하는, 도시의 여기저기에서 산이 보여 표지가 되도록 도로나 수로를 설치해 가는 수법이 알려져 있다. 유사한 것으로, 해양 개발에서는 어부가 산이나 바위, 소나무 등의 위치로부터 좋은 갯바위의 장소를 결정하는 '야마시메'라고 하는 방법이 있다. 그 밖에 기반눈으로 구획된 조방(じょうぼう)도로망의 설계 수법, 성시의 방어적 디자인으로서의 열쇠형 가로, 천수각을 전망하는 가로 배치, 도시와 줄의 배치에 의한 세로형・가로형 배치, 동심원 배치, 모듈상 도로 배치나 다각형 등 기하학 형태의 사용, 성곽・사원이라고 하는 시설 배치 수법 등을 들 수 있다.

주택지 개발에서는 20세기 초에 구미에서 전원도시 운동이 개시되면 종래의 건축 조례에 근거하는 단조로운 부지 분할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구미의 뉴타운, 교외 주택지의 설계에는 다양한 궁리가 응축되게 되지만, 그 중요한 수법이 곡선상 가로, 자동차의 전회가 가능한 막다른 골목 쿨드삭(cul-de-sac), 도로변의 녹지 로드베이(road-bay), 소녹지(오픈 스페이스)의 형성이다. 쿨드삭이나 로드베이를 채용하면 주택지에 초록의 오픈 스페이스가 증가해, 통과 교통이 들어가지 않는 한적하고 세미퍼블릭한 공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만 일본에 있어서는 구적이나 환지 설계의 귀찮음으로부터 곡선상의 가로나 쿨드삭에 대해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고, 오히려 공공 감보의 감소가 요구되어 온 경위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Urban Design? https://www.udg.org.[...] 2019-09-23
[2] 서적 Climate Change and Cities: Second Assessment Report of the Urban Climate Change Research Network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3-29
[3] 서적 Planning for Sustainability: Creating Livable, Equitable and Ecological Commun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7-18
[4] 학술지 How cities can fight climate change https://knowablemaga[...] 2022-06-09
[5] 학술지 Co-evolutions of planning and design: Risks and benefits of design perspectives in planning systems http://plt.sagepub.c[...]
[6] 학술지 A Catholic Approach to Organizing What Urban Designers Should Know 1992
[7] 서적 Encyclopedia of the City Routledge
[8] 서적 Triumph of the city : how our greatest invention makes us richer, smarter, greener, healthier, and happier https://www.worldcat[...] Penguin Press 2011
[9] 서적 Florentine new towns : urban design in the late Middle Ages http://worldcat.org/[...] Architectural History Foundation 1988
[10] 문서 Introduction http://dx.doi.org/10[...] Oxbow Books 2015-11-30
[11] 서적 The Making of urban Europe : 1000-1994 : with a new preface and a new chapter http://worldcat.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12] 서적 Proceedings of IFoU 2018: Reframing Urban Resilience Implementation: Aligning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2018-12-17
[13] 학술지 Gothic Architecture and Scholasticism http://dx.doi.org/10[...] 1953-12
[14] 학술지 Urban planning in the founding of Cartesian thought http://dx.doi.org/10[...] 2001-08
[15] 서적 Lines of Thought http://dx.doi.org/10[...] Duke University Press 1996-04-22
[16] 서적 Russian architecture and the West http://worldcat.org/[...] Yale University Press 2007
[17] 서적 Cruelty & utopia : cities and landscapes of Latin America http://worldcat.org/[...]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2005
[18] 서적 Lessons in tropical design: Erich Meffert and beyond Ebenergy Enterprises Limited
[19] 학술지 Frederick Law Olmsted, Green Infrastructure, and the Evolving City http://dx.doi.org/10[...] 2013-03-27
[20] 서적 Urban and Regional Planni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21] 웹사이트 To-morrow: A Peaceful Path to Real Reform http://www.rudi.net/[...]
[22] 서적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Penguin
[23] 웹사이트 History 1899–1999 http://www.tcpa.org.[...] TCPA
[24] 서적 Urban Planning in a Changing World http://dx.doi.org/10[...] 2000-06-22
[25] 웹사이트 The birth of town planning http://www.parliamen[...]
[26] 웹사이트 Growing Cooler - the Evidence on Urban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http://www.smartgrow[...] 2009-03-16
[27] 웹사이트 Charter of the New Urbanism http://www.cnu.org/c[...]
[28] 웹사이트 Beauty, Humanism, Continuity between Past and Future http://www.tradition[...] Traditional Architecture Group
[29] 웹사이트 Issue Brief: Smart-Growth: Building Livable Communities http://www.aia.org/S[...]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2014-03-23
[30] 서적 Landscape Urbanism Reader, Terra Fluxus https://cdland4.file[...]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31]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Charles Waldheim: Landscape Urbanism Now https://scenariojour[...] Scenario Journal
[32] 학술지 The Environmental Paradox of the City, Landscape Urbanism, and New Urbanism 2015
[33] 학술지 A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https://www.particip[...] 1969
[34] 웹사이트 Event celebrates oldest planning school in the UK - University of Liverpool News https://news.liverpo[...] 2013-05-22
[35] 학술지 From Low- to Net-Zero Carbon Cities: The Next Global Agenda 2021-10-18
[36] 논문 Advances Toward a Net-Zero Global Building Sector 2020-10-17
[37] 논문 Advancements in and Integration of Water, Sanitation, and Solid Waste for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2021-10-18
[38] 서적 Planning the Twentieth-century American City https://books.google[...] JHU Press 1996
[39] 웹사이트 授業科目名 : 都市設計学 https://www.t.kyoto-[...] 京都大学工学部建築学科 > 都市設計学 2018-09
[39] 웹사이트 都市設計 http://www.ues.tmu.a[...] 首都大学東京建築都市コース 2018-09
[39] 웹사이트 シラバス https://syllabus.mie[...] 三重大学工学部建築学科 2018-09
[39] 웹사이트 講義資料 http://ud.t.u-tokyo.[...] 東京大学都市デザイン研究室 201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