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고(獨孤)는 북위 선비족 성씨로, 관롱집단의 중요한 존재였다. 독고씨는 흉노 도각종의 지파인 독고부에 기원을 두며, 북위 효문제의 한화 정책에 따라 유씨로 성을 바꾸기도 했다. 수나라 문제의 황후 독고가라를 배출하며 북조에서 명문 귀족으로 번성했다. 한국의 독고씨는 남원, 광릉, 나주, 황주, 의주를 본관으로 하며, 2015년 기준 502명이 존재한다. 남원 독고씨의 시조는 당나라 팔학사 중 한 명으로 신라에 귀화한 독고공순이다. 주요 인물로는 서위의 독고신, 수나라의 독고가라, 고려의 독고충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고 | |
|---|---|
| 성씨 정보 | |
| 로마자 표기 | Dugu (표준) Dokgo (대중적) |
| 한자 | 獨孤 |
| 한국어 | 독고 |
| 기원 | |
| 유래 | 흉노족 또는 선비족의 성씨에서 유래 |
| 창성 과정 | 북위 효문제의 한화 정책에 따라 劉씨로 변경되었다가, 수나라 멸망 후 다시 독고씨로 복성 |
| 역사적 인물 | |
| 주요 인물 | 독고신 독고황후 독고가라 |
| 현대의 분포 및 인구 | |
| 대한민국 통계 | 2015년 기준 634명 |
| 기타 정보 | |
| 관련 성씨 | 유(劉) |
| 혼동 가능한 지명 |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의 지명 |
2. 기원
독고(獨孤)는 오호 십육국 시대 흉노 도각종의 지파 중 하나인 '''독고부'''에서 기원한다. 북위 시대에 황실인 선비 탁발부와 혼인 관계를 맺었고, 효문제의 한화 정책에 따라 유씨로 성을 바꾸었다. 이후 무천진군벌에 연루되었고, 우문부의 북주 시대에 다시 독고씨로 성을 회복했다.
2. 1. 중국의 독고씨
독고는 북위 선비족 성씨로 관롱집단의 중요한 일원이었다. 서위 선비족 대도독 대사마(大司馬) 독고신(獨孤信)의 딸 독고가라(獨孤伽羅)는 수 문제(隋文帝)의 정실부인 문헌황후(文獻皇后)였다. 북위는 중국 한족식 성씨를 장려하여 대부분 류(劉)씨로 성을 바꾸었지만, 일부는 독고씨를 유지하였다. 구별 가능한 대부분의 흉노계 성씨는 사라졌으나, 현재 북위 독고씨가 중국과 한국에 소수 남아 있다. 북위가 멸망한 후 몽골과 만주의 선비족은 중국과 한반도로 남하하였다.독고는 오호 십육국 시대 흉노 도각종의 지파 중 하나인 '''독고부'''에서 기원한다. 북위 시대에 황실인 선비 탁발부와 혼인 관계를 맺었고, 효문제의 한화 정책에 따라 유씨로 성을 바꾸었다. 이후 무천진군벌에 연루되었고, 선비 우문부의 북주 시대에 다시 독고씨로 성을 회복했다. 수나라의 초대 황제 문제 양견의 황후(독고가라) 등을 배출하는 등, 북조에서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를 거치면서 명문 귀족으로 번성했다.[1]
그 외에 사성된 경조독고씨(선비계 이씨)와 하남독고씨 등도 있으며, 이는 독고신으로부터 독고씨 성을 하사받은 데서 유래한다.[1]
3. 한국의 독고씨
'''독고'''는 한국의 성씨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 따르면 2000년 807명에서 2015년 502명으로 감소했다.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는 남원(南原), 광릉(廣陵), 나주(羅州), 황주(黃州), 의주(義州) 등 다섯 본관이 기록되어 있다.
《고려사》에는 합문지후(閤門祗候) 독고충(獨孤忠)[4]이 기록되어 있고, 《조선왕조실록》에는 장교(將校) 독고맹(獨孤孟)[5], 《승정원일기》에는 독고의(獨孤義)[6] 등이 기록되어 있다. 1930년 국세조사 당시 독고씨는 90% 이상이 북한에 살았으며, 평안북도 의주군과 룡성군에 집성촌을 형성하였다.
| 씨족(지역) | 창시자 | 인원수 (2015년)[3] |
|---|---|---|
| 광릉 독고씨 | 6 | |
| 남원 독고씨 | 독고공순 | 457 |
| 의주 독고씨 | 5 | |
| 춘곡 독고씨 | 14 |
3. 1. [[남원 독고씨]]
남원 독고씨의 시조 '''독고공순'''(獨孤公舜)은 당나라 8학사로 신라에 들어왔다고 《남원독고씨 세보》에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이후 계대(繼代)가 실전되어 고려시대 남원군(南原郡)에 봉해진 '''독고신'''(獨孤信)을 1세조로 한다. 그의 후손 독고향(獨孤香)은 고려 충숙왕 때 원나라의 공주를 배종한 공으로 남원군(南原君)에 봉해졌다.[3]본관은 남원 독고씨가 대다수이다. 남원은 현재 중국 허난성에 있다. 시조는 중국 당나라의 팔학사 중 한 명으로 신라로 귀화한 독고공순이다.[3]
| 씨족(지역) | 창시자 | 인원수 (2015년) |
|---|---|---|
| 광릉 독고씨 | 6 | |
| 남원 독고씨 | 독고공순 | 457 |
| 의주 독고씨 | 5 | |
| 춘곡 독고씨 | 14 |
3. 2. 인구 통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 따르면 독고(獨孤)씨는 2000년 807명에서 2015년 502명으로 감소했다.[3]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는 남원(南原), 광릉(廣陵), 나주(羅州), 황주(黃州), 의주(義州) 등 다섯 본관이 기록되어 있다.《고려사》에는 합문지후(閤門祗候) 독고충(獨孤忠)이 기록되어 있고,[4] 《조선왕조실록》에는 장교(將校) 독고맹(獨孤孟),[5] 《승정원일기》에는 독고의(獨孤義)[6] 등이 기록되어 있다. 1930년 국세조사 당시 독고씨의 90% 이상이 북한에 거주했으며, 평안북도 의주군과 룡성군에 집성촌을 이루었다. 당시 481가구 중 453세대가 의주·용천을 중심으로 평안북도에 집중 분포했다.
4. 주요 인물
- 독고신(獨孤信) : 서위 선비족 대도독 대사마(大司馬)였다.
- 문헌황후 독고가라(獨孤伽羅) : 수나라 황후였다.
- 독고충(獨孤忠) : 고려 명종 때 합문지후(閤門祗候)를 지냈다.[7]
- 독고립(獨孤立) : 조선 중기 군자감판관을 지냈다.
- 독고중훈(獨孤重勳) : 前 선린상사 회장이었다.
- 독고영창(獨孤英昌) : 前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였다.
- 독고윤(獨孤潤) : 아주대학교 경영대학 교수이다.
- 독고석(獨孤晳) :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교수이다.
- 독고창석: 북한 기상수문국 실장이다.
- 독고창국: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이다.
- 독고독: 대한민국 틱톡커이다.
- 독고 자매
- * 독고황후 (북주)
- * 독고가라
- 독고귀비
- 독고손
- 독고구패
- 명경독고황후
- 원정독고황후
- 정의독고황후
배우 독고성(독고성), 독고영재(독고영재), 독고준 부자 3대는 본명이 전씨이며, 독고성은 예명이다.
4. 1. 중국
독고(獨孤)는 북위 선비족 성씨로 관롱집단의 중요한 존재였다. 서위 선비족 대도독 대사마(大司馬) 독고신의 딸 독고가라가 수 문제의 정실부인 문헌황후였다. 북위가 중국 한족식 성씨를 장려하여 대부분 류(劉)씨로 변성되었지만, 일부는 독고씨를 유지하였다. 구별 가능한 대부분의 흉노계 성씨는 사라졌으나, 현재 북위 독고씨가 중국에 소수 남아 있다.[1] 북위가 망한 후 몽골과 만주의 선비족이 중국으로 남하하였다.[1]'''독고'''는 중국인의 성씨 중 하나로, 오호 십육국 시대 흉노 도각종의 지파 중 하나인 '''독고부'''에 기원을 둔다. 북위 시대에 황실인 선비 탁발부와 혼인 관계를 맺었고, 효문제의 한화 정책에 따라 류씨로 성을 바꾸었다. 이후 무천진군벌에 연루되었고, 선비 우문부의 북주 시대에 다시 독고씨로 성을 회복했다. 수의 초대 황제 문제 양견의 황후(독고가라) 등을 배출하는 등, 북조에서 수와 당 시대를 거치면서 명문 귀족으로 번성했다.
그 외에 사성된 경조독고씨(선비계 이씨)와 하남독고씨 등도 있으며, 이는 위의 독고신으로부터 독고씨 성을 하사받은 데서 유래한다.
4. 2. 한국
'''독고'''는 한국의 성씨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2000년 807명으로 조사되었으나, 2015년에는 502명으로 조사되었다.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는 남원(南原), 광릉(廣陵), 나주(羅州), 황주(黃州), 의주(義州) 등 다섯 본이 기록되어 있다.《고려사》에 합문지후(閤門祗候) 독고충(獨孤忠)이 기록되어 있고,[4] 《조선왕조실록》에 장교(將校) 독고맹(獨孤孟)[5], 《승정원일기》에 독고의(獨孤義)[6] 등이 기록되어 있다. 1930년 국세조사 당시 독고씨는 90% 이상이 북한에 살았으며, 평안북도 의주군과 룡성군에 집성촌을 형성하였다.
- 독고충(獨孤忠) : 고려 명종 때 합문지후(閤門祗候)[7]
- 독고립(獨孤立) : 조선 중기 군자감판관을 지냈으며,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의주성의 남문을 지키다가 아버지 독고행(行), 아우 독고성(獨孤成), 아들 독고수(睟)와 함께 전사하였다. 호조참의에 추증되었으며, 평안도 의주 구암사(龜巖祠)에 제향되었다.
- 독고성: 조선의 장군. 독고립의 동생.
- 독고중훈(獨孤重勳) : 前 선린상사 회장
- 독고영창(獨孤英昌) : 前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독고윤(獨孤潤) : 아주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 독고석(獨孤晳) :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교수
- 독고창석: 북한 기상수문국 실장
- 독고창국: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 독고독: 대한민국 틱톡커
독고성을 칭하며 활동하는 인물로는 배우 독고성(독고성), 독고영재(독고영재), 독고준 부자 3대가 있으나, 그들의 본명은 전씨이며, 독고성은 예명이다.
참조
[1]
서적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Key Concept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06-27
[2]
서적
Languages of Ancient Southern Mongolia and North China: a Historical-Comparative Study of the Serbi or Xianbei Branch of the Serbi-Mongolic Language Family, with an Analysis of Northeastern Frontier Chinese and Old Tibetan Phonology
Harrassowitz Verlag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8
[4]
서적
《고려사》 권20, 〈세가〉20, 명종 16년(1186년) 7월 9일(갑신)
[5]
서적
《순조실록》 권15, 순조 12년(1812년) 4월 1일(계묘) 2번째 기사
[6]
서적
《승정원일기》 96책, 인조 25년(1647년) 1월 12일(갑인) 5번째 기사
[7]
서적
《고려사》卷二十 世家 卷第二十 明宗 16年 7월
http://db.history.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