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피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피지는 동물의 가죽으로 만든 고급 필기용 또는 인쇄용 재료를 의미한다. "벨럼"이라는 용어는 송아지 가죽을 의미하는 고대 프랑스어 'vélin'에서 유래되었으며, 양피지와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벨럼은 송아지, 양, 염소 등의 가죽을 가공하여 제작하며, 특히 사산된 동물의 가죽으로 만든 것을 최고급으로 여긴다. 제조 과정은 가죽을 세척하고 털을 제거한 후, 틀에 고정하여 건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과거에는 고급 필사본, 채색 필사본, 그림, 드로잉 등에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법률 문서, 고급 제본, 악기 등에 사용된다. 보존을 위해서는 온도와 습도 조절이 중요하며, 현대에는 수요 감소로 인해 제조 회사가 줄어들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죽 - 무두질
무두질은 동물의 가죽이 썩지 않도록 단백질 구조를 영구히 바꾸어 내구성을 높이는 기술로, 오래전부터 기름, 연기, 식물성 탄닌, 백반, 크롬 등을 이용하여 발전해 왔으며, 현재는 친환경적인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 기록 매체 - 종이
종이는 식물 섬유를 주원료로 하는 기록 및 인쇄 매체로, 중국에서 기원하여 채륜에 의해 개량 및 보급되었고, 세계 각지로 전파되어 발전을 거듭하며 현대에는 다양한 종류로 사용되지만 지속 가능한 생산과 환경 문제가 남아있다. - 기록 매체 - 양피지
양피지는 양, 염소, 소 등의 가죽을 가공하여 만든 기록 매체로, 페르가몬에서 유래하여 파피루스를 대체해 중세 시대에 널리 사용되었으나, 종이와 인쇄술 발달로 쇠퇴하여 현재는 의례용이나 예술 작품에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 책 디자인 - 제본
제본은 책을 제작하는 과정으로, 한국에서는 실로 묶는 방식에서 발전하여 금속활자 인쇄술과 함께 발달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종류의 제본 방식이 사용된다. - 책 디자인 - 서지학
서지학은 기록 및 인쇄된 문서를 조사, 분석, 비평, 연구하여 기술하는 학문으로, 도서의 원문 인식, 판본 비교, 간행 시기 추정 등을 연구하며 오디오 레코딩, 영화, 웹사이트 등 다양한 매체의 문헌을 대상으로 한다.
독피지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가죽, 특히 송아지 가죽 |
역사적 용도 | 필사본을 쓰거나 책을 제본하는 데 사용 |
다른 이름 | 벨럼지 |
설명 | |
재료 | 동물 가죽 |
제작 | 석회 처리, 긁어내기, 늘이기, 건조 |
용도 | 글쓰기, 인쇄, 제본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양피지 |
추가 정보 | |
기타 정보 | 벨럼은 고급 양피지의 한 종류 |
2. 용어
중세 필사본 전문가 크리스토퍼 드 하멜은 "대부분의 경우 양피지와 벨럼은 상호 교환 가능하다"라고 언급했지만,[7] 역사적으로나 현대적으로나 두 용어를 구분하려는 다양한 시도와 기준이 존재해왔다.
2. 1. 어원
"벨럼"(Vellum)이라는 단어는 라틴어로 "송아지 가죽으로 만든"이라는 뜻의 vitulinumlat에서 유래했으며, 이것이 고대 프랑스어에서 "송아지 가죽"을 의미하는 velinfro으로 변형되어 현재의 "벨럼"이라는 단어가 되었다.[8][31]2. 2. 전문 용어

중세 필사본 전문가인 크리스토퍼 드 하멜은 "대부분의 경우 양피지와 벨럼은 상호 교환 가능하다"라고 언급했지만,[7] 과거와 현재에 걸쳐 여러 구분이 이루어져 왔다.
"벨럼(vellum)"이라는 단어는 고대 프랑스어 vélin|벨랭fro('송아지 가죽')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라틴어 단어 vitulinum|비툴리눔lat('송아지에서 만들어짐')에서 파생되었다.[8] 그러나 유럽에서는 고대 로마 시대부터 동물의 가죽 종류와 관계없이 최고 품질로 가공된 가죽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송아지 가죽, 양가죽, 염소 가죽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고, 때로는 돼지, 사슴, 당나귀, 말, 낙타, 다람쥐, 토끼 등 다른 동물의 가죽도 사용되었다.[2] 최고 품질로 여겨지는 "자궁 벨럼(uterine vellum)"[9][32]은 사산되었거나 아직 태어나지 않은 동물의 가죽으로 만들어진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어린 동물의 가죽으로 만든 고급 가죽에도 이 용어가 적용되었다.[2][27]
이러한 용어들 사이의 경계는 오랫동안 모호했다. 1519년, 윌리엄 호먼은 그의 저서 ''Vulgaria''에서 "우리가 글을 쓰는 그 물건, 즉 짐승의 가죽으로 만들어진 것은 때로는 양피지, 때로는 벨럼, 때로는 abortive|어보티브eng, 때로는 membrane|멤브레인eng이라고 불린다."라고 썼다.[10] 1936년에 글을 쓴 리 유스틱(Lee Ustick)은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오늘날 필사본 수집가들 사이의 구분은 ''벨럼''은 매우 정제된 형태의 가죽이고, ''양피지''는 더 조잡한 형태이며, 일반적으로 벨럼보다 두껍고 거칠며 덜 광택이 나지만, 송아지, 양 또는 염소 가죽의 구분이 없다.[11]
현대에 와서는 다음과 같은 여러 기준에 따라 벨럼과 양피지를 구분하기도 한다.
- 프랑스어 자료에서는 어원에 따라 velin|벨랭fro을 송아지 가죽으로만 정의하는 경향이 있다.
- 영국 표준 협회는 양피지를 여러 종류의 동물의 가죽을 분할하여 만든 것으로, 벨럼을 분할하지 않은 가죽으로 정의한다.[12]
- 필사, 채색, 서예, 제본과 같은 예술 분야의 현대 실무자들은 일반적으로 "벨럼"을 송아지 가죽에 한정하여 사용하고, 다른 모든 동물의 가죽은 "양피지"라고 부른다.[13]
2. 3. 양피지와의 구별
중세 필사본 전문가인 크리스토퍼 드 하멜은 "대부분의 경우 양피지와 벨럼은 상호 교환 가능하다"라고 언급했지만,[7] 과거와 현재에 걸쳐 여러 구분이 이루어져 왔다.
"벨럼(vellum|벨럼eng)"이라는 단어는 고대 프랑스어 vélin|벨랭fro('송아지 가죽')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라틴어 단어 vitulinum|비툴리눔lat('송아지에서 만들어짐')에서 파생되었다.[8] 그러나 유럽에서는 로마 시대부터 동물의 가죽 종류와 관계없이 최고 품질로 가공된 가죽을 벨럼이라고 불렀다. 송아지 가죽, 양가죽, 염소 가죽이 주로 사용되었고, 때로는 돼지, 사슴, 당나귀, 말, 낙타 가죽도 사용되었다. 최고 품질로 여겨지는 "자궁 벨럼(uterine vellum|유터린 벨럼eng)"[9]은 사산되었거나 아직 태어나지 않은 동물의 가죽으로 만들었다고 전해지며, 어린 동물의 가죽으로 만든 고급 가죽에도 이 용어가 쓰였다.[2]
하지만 이 용어들 사이의 구분은 오랫동안 명확하지 않았다. 1519년, 윌리엄 호먼은 그의 저서 ''Vulgaria''에서 "우리가 글을 쓰는 재료, 즉 짐승의 가죽으로 만든 것은 때로는 양피지(parchment|파치먼트eng), 때로는 벨럼(vellum|벨럼eng), 때로는 유산(abortive|어보티브eng), 때로는 멤브레인(membrane|멤브레인eng)이라고 불린다."라고 기록했다.[10] 1936년에 글을 쓴 리 유스틱은 현대 필사본 수집가들 사이의 구분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벨럼(vellum|벨럼eng)''은 매우 정제된 형태의 가죽이고, ''양피지(parchment|파치먼트eng)''는 더 조잡한 형태이며, 일반적으로 벨럼보다 두껍고 거칠며 덜 광택이 나지만, 송아지, 양 또는 염소 가죽의 구분이 없다."[11]
용어의 정의는 출처와 기준에 따라 다르다. 어원에 가까운 프랑스에서는 velin|벨랭fro을 송아지 가죽으로만 만든 것으로 정의하는 경향이 있다.[33] 반면, 영국 표준 협회는 양피지(parchment|파치먼트eng)를 여러 종류 동물의 분할된(split, 찢어진) 가죽으로, 벨럼(vellum|벨럼eng)을 분할되지 않은(unsplit, 찢어지지 않은) 가죽으로 정의한다.[12][33] 필사, 채색, 서예, 제본 등 관련 분야의 현대 실무자들은 일반적으로 "벨럼"을 송아지 가죽으로 만든 것에 한정하여 사용하고, 다른 동물의 가죽으로 만든 것은 "양피지"라고 부른다.[13][34]
3. 제조
독피지는 어린 동물의 가죽으로 만들며, 빛을 어느 정도 투과시킨다. 생가죽을 수산화 칼슘(석회)이나 물로 씻은 뒤, 털을 부드럽게 하고 제거하기 위해 석회수에 1일에서 며칠 동안 담가둔다.[14][35]
깨끗해진 가죽은 몸체 면(안쪽 면)과 털 면(바깥쪽 면)으로 뚜렷하게 구분된다. 보통 몸체 면이 더 밝고 깨끗하며, 털 면에서는 털구멍이나 동물이 살아있을 때 생긴 상처 자국 등이 보일 수 있다. 또한, 가죽에는 정맥(veining)이라고 불리는 혈관 무늬가 나타나기도 한다.[15][36]
남아있는 털을 문질러 제거하고('스커딩', scudding), '허스(herse)'라고 불리는 틀에 가죽을 고정시켜 건조한다.[3][37] 건조 과정에서 가죽이 찢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가장자리에 조약돌('피핀', pippin)을 감싸고 끈으로 여러 지점을 잡아당겨 팽팽하게 편다.[3] 일부 제작자는 가죽이 아직 젖어있을 때 경석 가루를 안쪽 면에 문지르기도 했다. 가죽은 콜라겐으로 이루어져 있어, 일단 건조되면 그 형태가 유지된다.
가죽이 완전히 마르면 초승달 모양의 칼인 '루나리움(lunarium)' 또는 '루넬룸(lunellum)'을 사용하여 마지막으로 남은 털을 긁어낸다. 고대에는 부싯돌이 이 도구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후 가죽을 철저히 청소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크기의 시트로 가공한다. 가죽의 크기와 요구되는 시트의 규격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시트의 수는 달라진다. 예를 들어, 보통 크기의 송아지 가죽 한 장에서는 중간 크기의 필사 재료를 대략 3장 반 정도 얻을 수 있다.[16] 잉크가 표면에 잘 스며들도록 둥글고 평평한 도구로 표면을 문지르는 작업('파운싱', pouncing)을 한다.[15][36] 표면을 더 매끄럽고 하얗게 만들기 위해 석회나 밀가루 등을 문지르기도 했으며, 때로는 다른 색으로 염색하기도 했다.
독피지에 쓰인 잉크는 시간이 지나면서 표면에서 점차 벗겨지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자주 말고 펴는 두루마리에 사용된 경우 더욱 그러했다.
4. 용도
독피지는 오랜 역사 동안 중요한 기록 매체, 미술 재료, 제본 재료, 악기 부품 등 다방면에 걸쳐 활용되어 왔다.
주요 용도로는 중세 시대의 필사본이나 성경, 유대교의 토라와 같은 종교 경전 기록이 있다. 종이보다 내구성이 뛰어나 졸업장과 같이 오래 보존해야 하는 중요한 문서를 작성하는 데에도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전통은 '양피(sheepskin)'라는 단어에 남아있다.
미술 분야에서는 캔버스가 보편화되기 전까지 그림의 바탕 재료로 쓰였으며, 이후에도 드로잉, 수채화, 판화 등에 활용되었다. 또한 책을 묶는 제본 과정에서 표지나 특정 장정 방식(린프 벨럼 등)에 사용되기도 했다. 반투명한 특성을 이용해 현대의 트레이싱 페이퍼처럼 필사나 청사진 제작에 쓰이기도 했으며, 밴조나 바우론과 같은 일부 악기의 부품으로도 사용된다.[38]
4. 1. 역사적 용도
중세 시대의 고급 필사본은 채색 여부에 관계없이 대부분 양피지에 쓰였다. 일부 간다라 불교 경전도 양피지에 쓰였으며, 모든 토라 (ספר תורה|Sefer Torahheb; 복수: ספרי תורה|Sifrei Torahheb)는 코셔 클라프 또는 양피지에 기록되어 있다. 12세기 윈체스터 성경은 약 250마리 송아지의 가죽으로 만들어졌다.요하네스 구텐베르크가 활판 인쇄를 이용하여 1455년에 인쇄한 최초의 구텐베르크 성경 180부 중 4분의 1 가량도 양피지에 인쇄되었다. 이는 당시 시장에서 고품질 서적에 대한 기대가 있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종이는 인쇄기를 통해 처리하고 제본하기가 더 저렴하고 쉬웠기 때문에, 이후 대부분의 도서 인쇄에는 종이가 주로 사용되었다.
미술 분야에서는 약 1500년경 캔버스가 널리 사용되기 전까지 양피지가 그림의 재료로 사용되었는데, 특히 장거리 운송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했다. 이후에도 드로잉이나 수채화 용도로 계속 사용되었으나, 수채화 기법이 확산되면서 번짐 효과가 좋지 않아 점차 다른 종이로 대체되기도 했다. 거장 판화의 경우, 적어도 17세기까지는 특별 증정본을 양피지에 인쇄하기도 했다.
16세기와 17세기에는 '린프 벨럼' 또는 '린프 파치먼트'라고 불리는 방식의 제본이 자주 사용되었다. 때로는 금박을 입히기도 했지만, 장식 없이 단순하게 제작되는 경우도 많았다. 후대에는 양피지가 가죽처럼 단단한 보드 제본의 표지로 더 흔하게 사용되었다. 양피지는 거의 모든 색상으로 염색이 가능하지만, 희미하게 남는 털 자국이나 자연스러운 질감 자체가 지닌 아름다움 때문에 염색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동물 가죽으로 만든 양피지는 내구성이 매우 뛰어나 1,000년 이상 보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00년경에 제작된 '목회 서신'은 현재까지도 훌륭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내구성 덕분에 졸업장과 같은 중요한 문서는 오랫동안 양피지에 작성되었다. 오늘날 졸업장을 '양피지(sheepskin)'라고 부르는 것은 이러한 역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양피지는 반투명한 특성 때문에 과거에는 필사나 청사진 등 오늘날의 트레이싱 페이퍼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기도 했다. 또한, 영국 의회와 같은 정부 기관에서는 격식을 갖춘 공식 문서를 작성하는 데 양피지를 사용해왔으나, 비용 절감을 위해 2016년에 사용을 중단했다. 당시 연간 약 8만파운드의 비용이 소요되었다고 한다.[38]
그 외에도 양피지는 제본 시 책 표지나 '린프 벨럼' 또는 '린프 파치먼트' 방식의 장정, 유대교의 경전 제작에 사용되며, 밴조나 바우론과 같은 일부 악기의 제작에도 활용된다.[38]
4. 2. 현대적 용도
동물 가죽으로 만든 양피지는 종이보다 내구성이 뛰어나 훨씬 오랫동안 보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00년경에 제작된 ''목회 서신''은 오늘날까지 훌륭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졸업장 등 많은 중요한 문서가 동물성 양피지에 작성된다. 졸업장을 영어권에서 '양피(sheepskin)'라고 부르는 것은 이러한 전통에서 유래했다.영국의 의회법은 보존 목적으로 여전히 양피지에 인쇄되며,[17] 아일랜드 공화국의 법률도 마찬가지이다.[18] 2016년 2월, 영국 상원은 비용 절감을 위해 2016년 4월부터 법안 인쇄 용지를 보존용지로 변경할 계획을 발표했으나,[19] 당시 내각부 장관이었던 매튜 앤콕이 내각부 예산을 사용하여 양피지 사용을 계속 지원하기로 결정하면서 이 계획은 보류되었다.[20] 2017년에는 하원 위원회에서 법률 기록 사본의 앞면과 뒷면 표지를 양피지로 제공하기로 합의했다.[21]
종교적인 용도로도 양피지는 꾸준히 사용된다. 유대교에서는 모든 토라(
양피지는 고급 제본(특히 16-17세기에 유행했던 린프 벨럼 제본 포함), 기념 서적 제작, 서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또한 반조나 보드란(바우론)과 같은 악기의 울림판에도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합성 가죽이 더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다.[38]
오늘날 동물성 양피지는 수요 감소와 복잡한 제조 과정 때문에 가격이 비싸고 구하기 어렵다.[22] 전통적인 방식으로 양피지를 생산하는 유일한 영국 회사는 버킹엄셔 뉴포트 파넬에 위치한 William Cowley (1870년 설립)이다.
한편, 현대에는 동물성 양피지를 모방한 모조 양피지(종이 벨럼)가 널리 사용된다. 이는 면이나 나무 껍질에서 추출한 섬유로 만들어지며,[6][5] 동물성 양피지보다 훨씬 저렴하고 미술용품점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일부 필기구나 종이 브랜드에서는 품질을 강조하기 위해 "양피지"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종이 양피지는 대개 반투명하며, 이러한 특성 덕분에 트레이싱 페이퍼처럼 도면을 트레이싱하거나 청사진을 만드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6][5] 특히 린넨이나 일반 종이보다 치수 안정성이 뛰어나 대규모 건축 도면 제작에 적합하며,[23] 도면 복제 및 배포 기술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23] 빛을 비추면 거의 투명해지기 때문에 원본 도면 위에 놓고 직접 복사하는 작업도 가능하다.[23]
5. 보존
벨럼은 이상적으로 일정한 온도와 30% (± 5%)의 상대 습도를 유지하는 안정적인 환경에서 보관해야 한다. 벨럼을 상대 습도 11% 미만의 환경에 보관하면 취약해지고 기계적 응력에 약해진다. 반대로 40% 이상의 상대 습도 환경에 보관하면 젤라틴화되거나 곰팡이 또는 균류가 자라기 쉬워진다.[24] 벨럼 보관에 이상적인 온도는 약 20°C이다.[26] 그러나 벨럼의 적절한 보관을 위한 최적의 상대 습도는 종이의 보관 조건과 달라 도서관 등에서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25]
6. 현대의 제조 회사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대체품도 있어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영국 버킹엄셔를 본거지로 하는 William Cowley(1870년 창립 - 현재)가 유일한 회사이다.[38]
참조
[1]
웹사이트
Differences between Parchment, Vellum and Paper
http://www.archives.[...]
archives.gov
2016-06-16
[2]
서적
Esdaile's manual of bibliography
Scarecrow Press
2001
[3]
서적
Introduction to Manuscript Studies
Cornell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Book of Kells: proceedings of a conference at Trinity College Dublin, 6–9 September 1992
Scolar Press
[5]
웹사이트
Japanese vellum – Cameo
http://cameo.mfa.org[...]
2017-09-03
[6]
뉴스
How Modern Day Vellum Stationery Is Produced
http://www.americans[...]
2017-09-03
[7]
서적
Meetings with Remarkable Manuscripts: Twelve Journeys into the Medieval World
https://books.google[...]
Allen Lane
[8]
간행물
vellum
http://www.etymonlin[...]
2014-08-09
[9]
서적
The Book: A Cover-to-Cover Exploration of the Most Powerful Object of Our Time
https://blog.longrea[...]
W.W. Norton & Company
2016-12-02
[10]
문서
Vulgaria
[11]
문서
[12]
서적
Bookbinding & conservation by hand: a working guide
https://books.google[...]
Oak Knoll Press
2017-01-18
[13]
문서
Writing, Illuminating, and Lettering
[14]
웹사이트
The Making of a Medieval Book
http://www.getty.edu[...]
The J. Paul Getty Trust
2010-11-19
[15]
웹사이트
'Recording the physical features of Codex Sinaiticus'. Codex Sinaiticus, in partnership with the British Library
http://codexsinaitic[...]
2012-04-02
[16]
논문
Medieval Parchment-Making
[17]
뉴스
Goat skin tradition wins the day
http://news.bbc.co.u[...]
2016-02-11
[18]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the Houses of the Oireachtas – Tithe an Oireachtais
http://www.oireachta[...]
2016-02-11
[19]
뉴스
Thousand year old tradition of printing Britain's laws on vellum has been scrapped to save just £80,000
https://www.telegrap[...]
2016-02-11
[20]
뉴스
Vellum should be saved in a bid to 'safeguard our great traditions', says minister
https://www.telegrap[...]
2016-02-15
[21]
웹사이트
Vellum: printing record copies of public Acts
https://commonslibra[...]
House of Commons Library
2021-03-12
[22]
웹사이트
Nowhere to hide: the value of vellum
https://www.iclr.co.[...]
2023-11-08
[23]
서적
Architectural Drawing: A Visual Compendium of Types and Method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4]
논문
"The Effects of Relative Humidity on Some Physical Properties of Modern Vellum: Implications for the Optimum Relative Humidity for the Display and Storage of Parchment"
[25]
웹사이트
Parchment/Vellum: Cold Storage – Research Projects – Preservation Science (Preservation,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2022-03-19
[26]
웹사이트
Tips on Caring for Works on Parchment
https://www.iowacons[...]
2023-04-01
[27]
문서
[28]
문서
Drafting
[29]
웹사이트
Japanese vellum - CAMEO
http://cameo.mfa.org[...]
2017-09-03
[30]
뉴스
How Modern Day Vellum Stationery is Produced
http://www.americans[...]
2017-09-03
[31]
웹사이트
vellum
http://www.etymonlin[...]
Online Etymological Dictionary
2014-08-09
[32]
서적
The Book: A Cover-to-Cover Exploration of the Most Powerful Object of Our Time
https://blog.longrea[...]
W.W. Norton & Company
2016-12-02
[33]
서적
Bookbinding & conservation by hand: a working guide
https://books.google[...]
Oak Knoll Press
2017-01-18
[34]
문서
Writing, Illuminating, and Lettering
[35]
웹사이트
The Making of a Medieval Book
http://www.getty.edu[...]
The J. Paul Getty Trust
2010-11-19
[36]
웹사이트
"Recording the physical features of Codex Sinaiticus". Codex Sinaiticus, in partnership with the British Library
http://codexsinaitic[...]
2012-04-02
[37]
서적
Clemens and Graham 2007
[38]
뉴스
Vellum: UK's last producer of calf-skin parchment fights on after losing Parliament's business
https://www.independ[...]
インデペンデント
2019-05-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