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두번 예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 번 예외(2e)는 영재성과 장애라는 두 가지 예외적인 특성을 모두 가진 경우를 의미한다. 영재성과 장애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독특한 특성이 나타나며, 학습 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 ADHD 등이 2e와 함께 나타날 수 있다. 2e는 영재성과 장애의 특징이 얽혀 있어 판별이 어렵고, 학교와 사회에서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 2e 아동에게는 강점 중심의 교육과 개별화된 지원 체계가 중요하며, 퀘벡,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2e에 대한 연구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특수 교육 - 행동 수정
    행동 수정은 학습 원리를 활용하여 부적절한 행동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심리 치료 기법으로,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기반하여 발전했으며 인지 행동 치료를 거쳐 개인의 경험과 가치에 대한 수용을 강조하는 3세대 행동 치료로 발전하여 다양한 정신 건강 문제와 행동 장애 치료에 활용된다.
  • 특수 교육 - 루돌프 슈타이너
    오스트리아 철학자 루돌프 슈타이너는 괴테 연구로 이름을 알린 후 인지학을 창시하여 발도르프 교육, 생물역동 농업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주었으나, 유사과학적 요소와 인종 관련 논란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두번 예외
개요
용어두 번 예외성, 2E
정의뛰어난 재능과 함께 하나 이상의 장애를 가진 학생
상세 내용
특징뛰어난 인지 능력
특정 학습 영역에서의 어려움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
강한 호기심
높은 감수성
교육적 요구개별화된 교육 계획
강점과 약점을 모두 고려한 교육
자기 옹호 기술 교육
사회성 및 정서적 지원
관련 용어신경다양성
문제점재능과 잠재력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할 수 있음
학습 장애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
낮은 자존감 및 정서적 문제 발생 가능성
추가 정보
관련 기관2E 교육 포럼
참고 문헌Nancy Doyle, British Medical Bulletin, 2020
Baum, Reis, Corwin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2006
Ronksley-Pavia,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015

2. 정의 및 개념

2e는 '두 번 예외'라는 의미로, 영재성학습 장애 등 특정 장애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경우를 가리킨다.[39] 영어로는 'twice-exceptional'이라고 하며, 1990년대 중반 교육자들 사이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한국어 '두 번 예외'라는 용어는 2015년 최도원이 미국의 TEDx 강연 내용을 소개하고, 관련 전문가 인터뷰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처음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같은 연령대의 또래에 비해 뛰어난 재능(영재성)을 보이면서도, 동시에 하나 이상의 장애를 공식적으로 진단받은 아동이다.[41] 2e의 핵심은 병존하는 영재성과 장애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독특한 특성을 나타낸다는 점이다.[58] 때로는 영재성이 장애를 가려 발견하기 어렵게 만들거나, 반대로 장애 때문에 영재성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6] 이러한 복합적인 특성 때문에 Brody와 Mills는 2e 학생들을 "모든 특수성 중 가장 오해받는 집단"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5]

2e 개념을 정의하는 데에는 몇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우선 '영재'에 대한 통일된 정의가 없으며, 국가나 지역, 전문가에 따라 기준이 다르다.[107] 과거에는 높은 IQ 점수(예: 상위 2.3%에 해당하는 130 이상[51])를 주요 기준으로 삼았지만, 오늘날에는 IQ만으로는 측정할 수 없는 창의성이나 특정 분야의 뛰어난 재능 등도 영재성의 중요한 요소로 고려된다.[52] 중요한 것은 지능 지수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학업 성적이 우수한 것은 아니며, 반대로 학업 성취도가 낮다고 해서 영재가 아니라고 단정할 수도 없다는 점이다.

마찬가지로 2e에 동반되는 '장애'의 범위도 다양하다. 주로 학습 장애(난독증 등),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자폐 스펙트럼 장애, 정서 장애, 행동 장애 등이 해당될 수 있다.[41][42] 2e의 본질은 이처럼 영재성과 상반되는 것처럼 보이는 장애(특히 발달 장애)를 함께 가지고 있어 주변에서 이해받기 어려운 특성을 보인다는 점에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2e 아동을 판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영재성과 장애가 서로를 가릴 수 있기 때문이다.[100][101] 예를 들어, ADHD 성향으로 인해 주의 집중이 어려운 아동은 지능 검사에서 본래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수 있고, 뛰어난 아이디어를 가진 학생이라도 난독증이 있다면 글쓰기나 시간 제한이 있는 시험에서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2e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영재 판별과 장애 판별이 모두 필요하다.

2e 아동들은 종종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학업 성적이 과목별로 큰 차이를 보이거나, 같은 과목 내에서도 기복이 심할 수 있다.
  • 어휘력이 풍부하고 수준 높은 생각을 하지만, 이를 글이나 말로 조리 있게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 과제를 지저분하게 제출하거나, 다 해놓고도 제출하는 것을 잊어버리는 등의 행동을 보일 수 있다. 이는 종종 노력 부족으로 오해받기 쉽다.[6]
  • 다른 학생들에게는 쉬워 보이는 과제를 수행하는 데 큰 어려움을 느끼며, 이로 인해 좌절감, 불안, 우울감을 경험할 수 있다. 이는 학교 생활에 대한 흥미를 잃게 하고 자존감을 낮추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 때로는 뛰어난 능력이 오히려 오해를 사거나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니콜라 테슬라는 복잡한 수학 문제를 암산으로 풀었다는 이유로 부정행위자로 의심받기도 했다.
  • 자신의 재능이나 관심사를 자유롭게 표현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수도 있다.


다음은 2e 아동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강점과 약점의 예시이다.[103]

강점약점
수준 있는 생각과 의견충동성
어휘력쓰기 능력 부족
높은 수준의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사회성 떨어짐
강력한 호기심, 상상력과 꼬치꼬치 캐묻는 성향비판에 무척 예민하게 반응함
학교 정규 교육과는 상관없는 영역에 광범위한 흥미공부하는 방법이나 정리정돈 능력이 결여됨
복잡한 문제를 꿰뚫는 통찰력언어적 능력과 실제 수행 사이에 큰 차이가 남
좁고 특정한 분야에서 나타내는 능력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과목에서 저조함
세련된 유머감각고집이 세고 의견 및 자기주장이 강함



대한민국에서는 아직 2e 학생들을 위한 법적 보호 장치나 공교육 시스템 내의 체계적인 지원이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2e로 판별받는 것이 당장의 현실적인 도움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자신의 특성을 이해하고 잠재력을 발견하는 것은 아동의 자신감을 높이고, 교육의 방향을 긍정적으로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02]

2e는 보통 장애 명칭 앞에 '2e-'를 붙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ADHD를 함께 가진 영재는 '2e-ADHD'와 같이 표기한다.[50]

전 세계적으로 2e 아동의 정확한 유병률을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미국의 경우 18세 미만 아동 인구의 약 0.5%(약 30만~36만 명) 정도로 추정된다.[44][45][46] 호주에서는 영재 아동의 약 10%에서 많게는 30%까지 2e에 해당할 것으로 추정한다.[48][49] 한 연구에서는 영재로 판별된 아동 중 약 1/6이 어떤 형태로든 학습상의 어려움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7]

2. 1. 분류

2e(두 번 예외)를 가진 사람들은 증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 학습 장애가 있는 천재 (기프티드)
  • 자폐증이 있는 천재
  • 정서 장애·행동 장애가 있는 천재
  • 지각 통합 이상 및 지각 조절 이상이 있는 천재
  • 시각·청각 처리 장애가 있는 천재
  • 지적 장애가 있는 이능 보유자

3. 역사적 배경

20세기 초 미국의 영재 교육 발전에 큰 업적을 남긴 레타 홀링워스(Leta Hollingworth)는 고도의 지능을 가진 아동을 연구하면서 이들에게 정서적 도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108][60] 1990년대 이후 미국 학계에서는 창의적이고 독립적인 성향의 아이들이 정서, 행동, 발달 관련 정신질환으로 잘못 진단받을 수 있다는 문제 제기가 심리학자[97][61]와 교육학자[98][62]들을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실제 교육 현장에서도 영재 판별과 장애 판별을 동시에 받는 아동들이 나타나면서, 이러한 '두번 예외' 현상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한편, 카지미에시 동브로프스키(Kazimierz Dąbrowski)와 그의 제자 M. Piechowski가 발전시킨 과흥분성 이론(Overexcitability)과 불균형적 발달(Asynchronous Development) 개념이 영재 교육 분야에 널리 받아들여지면서 영재의 개념이 더욱 확대되고 다양해졌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두번 예외 학생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더욱 확산되었다.[99][63]

4. 2e의 특성

2e 아동은 영재로서의 뛰어난 자질과 학습 장애 등의 어려움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39][41] 즉, 지능, 창의성 등 특정 영역에서 높은 잠재력을 보이면서도[55], 특정 학습 장애(난독증, 시각/청각 정보 처리 장애 등),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자폐 스펙트럼 장애, 강박 장애, 감각 처리 장애, 뚜렛 증후군, 불안, 우울증 등 학습이나 적응을 방해하는 하나 이상의 어려움을 함께 겪는다.[41][57][42] 이러한 영재성과 어려움의 조합은 2e 아동에게 매우 독특한 특성을 부여하며[58], 때로는 영재성이 어려움을 가리거나 어려움이 영재성을 가리는 상호작용이 발생하기도 한다.[59][6] 예를 들어, 뛰어난 언어 능력을 가진 학생이라도 처리 속도가 느리고 작업 기억에 제한이 있다면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57]

2e 아동의 특성은 매우 다양하여 명확한 단일 프로파일은 존재하지 않는다.[36]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이 관찰된다. 일반적인 영재 아동처럼 평균적인 또래보다 정신 연령과 실제 연령 사이의 격차가 큰 비동시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7], 감정적으로 강렬하고 주변 환경(정서적, 물리적)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7]

Brody와 Mills는 2e 학생 집단을 "모든 특수성 중 가장 오해받는 집단"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5][64] 2e 아동의 강점과 약점은 서로 영향을 미치는데, 강점이 약점을 보완하기도 하지만 약점이 강점을 가려 제대로 드러나지 않게 만들기도 한다.[6][65] 이러한 상호작용은 종종 학업 수행 능력의 불일치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뛰어난 어휘력과 아이디어를 가졌지만 이를 정리하여 글로 표현하지 못하거나[65], 숙련된 예술가나 건축가적 재능이 있지만 과제물을 지저분하거나 알아보기 어렵게 제출할 수 있다.[65] 과제를 완료하고도 분실하거나 제출을 잊는 경우도 있다.[65] 교육자 수잔 바움 박사는 2e 아동이 나타낼 수 있는 세 가지 프로파일을 제시했다.[6]


  • 똑똑하지만 노력이 부족해 보이는 경우
  • 학습 장애는 있지만 특별한 재능은 없어 보이는 경우
  • 전반적으로 평균적인 능력을 보이는 경우


다음 표는 2e 아동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강점과 약점을 요약한 것이다.

'''두 번 예외성을 가진 아동의 몇 가지 일반적인 특징'''[7]
강점약점
뛰어난 어휘력부족한 사회적 기술
진보적인 아이디어와 의견비판에 대한 높은 민감도
높은 수준의 창의력과 문제 해결 능력조직 및 학습 능력 부족
극도로 호기심 많고 탐구적임언어 및 수행 능력의 불일치
매우 상상력이 풍부하고 재치 있음조작적
학교와 관련 없는 광범위한 관심사하나 이상의 학업 분야에서 저조한 성적
복잡한 문제에 대한 통찰력글쓰기 표현의 어려움
특정 재능 또는 몰두하는 관심 분야고집스럽고 독선적인 태도
세련된 유머 감각높은 충동성



2e 아동의 어려움은 학교에 입학하면서 두드러지는 경우가 많다.[8] 초기에는 풍부한 어휘력과 다양한 관심사로 매우 똑똑해 보이지만, 친구 관계 등 사회적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학업적 어려움은 과제 요구 수준이 높아지면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8] 성적이 높고 낮음을 오가거나 같은 과목 내에서도 기복이 심할 수 있다.[65] 이런 모습은 주변 사람들에게 노력이 부족한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다른 학생들만큼 혹은 더 많이 노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결과로 잘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65]

다른 친구들에게는 쉬워 보이는 과제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2e 아동은 좌절감, 불안, 우울감을 느낄 수 있으며, 이는 학교생활에 대한 흥미를 잃게 하고 자존감을 손상시킬 수 있다.[65] 일부는 수업 참여를 꺼리며 위축되거나, 반대로 문제 행동을 보이거나 광대 역할을 하기도 한다.[8] 집중력 유지, 차분히 앉아 있기, 분노나 좌절감 조절 등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있다.[8]

때로는 2e 아동의 뛰어난 능력이 오히려 오해를 사기도 한다. 예를 들어, 니콜라 테슬라는 암산으로 대학 수준의 미적분 문제를 풀었을 때 부정행위로 의심받았다고 전해진다. 반대로, 창의성을 발휘할 기회가 없는 환경에서는 자신의 재능을 전혀 드러내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만으로 판단하기보다 그들의 잠재적 능력을 인정하고 지지해주는 '능력 추정'의 자세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2e 아동은 일반적인 영재 아동이 겪는 어려움, 예를 들어 자극 증폭 수용성(Overexcitability, OE)으로 인한 문제나 완벽주의 성향 등을 공유하며, 이러한 문제들이 장애와 결합하여 더욱 복잡하게 나타날 수 있다.[51] 카지미에시 돔브로프스키가 제시한 5가지 OE(정신운동성, 지성, 지각성, 상상력, 감정성 OE)는 2e 아동의 강점이 될 수도 있지만, 동시에 집중력 부족, 과민함, 사회성 문제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77][78] 예를 들어, 지각성 OE가 높은 아동은 특정 소리나 빛, 옷의 감촉 등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고, 감정성 OE가 높은 아동은 감정 기복이 크고 공감 능력이 지나치게 높아 쉽게 상처받거나 분노할 수 있다.[77][78]

이처럼 영재성과 장애가 복합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2e 아동을 정확히 판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영재성이 장애 특성에 가려지거나[100], 반대로 영재성의 일부 특징(예: 높은 호기심, 특정 분야 몰입)이 ADHD 등의 장애 특성으로 오인될 수 있다.[9][101] 특히 IQ 점수와 같은 단일 지표만으로는 2e 아동을 정확히 평가하기 어려우며[10], 이로 인해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5. 판별 및 진단

두번 예외(2e) 판별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이다. 영재성과 장애의 특성이 서로 얽혀 나타나기 때문에, 어느 한쪽 특성이 다른 쪽 특성을 가리거나 상쇄하여 오진의 가능성이 높다.[5][6] 예를 들어, 스티븐 파이퍼(Stephen Pfeiffer) 박사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를 가진 아동이 주의 집중력 부족으로 인해 지능 검사에서 본래의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영재성이 가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마찬가지로 뛰어난 아이디어를 가진 학생이라도 난독증이 있다면 시간 제한이 있는 시험에서는 불리할 수밖에 없다.[100][101][66][67] 또한 영재 아동의 일부 특징(예: 높은 호기심, 특정 분야 몰두, 비동시성)이 특정 장애의 특징과 유사하게 보일 수 있어, 영재 아동이 장애로 잘못 진단되기도 한다.[9][72]

따라서 2e를 정확히 판별하기 위해서는 영재성 판별과 장애 판별, 이 두 가지 과정이 모두 필요하다.[102][68] 공식적인 확인을 위해서는 최소 두 가지 이상의 근본적인 예외성(영재성 및 장애)에 대한 확인과 공식적인 임상 진단이 요구된다. 그러나 통계적 희소성, 다양한 발현 양상, 적절한 진단 평가 접근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실제 아동이나 성인이 2e로 정확하게 확인되거나 진단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의 경우, 2e 학생들을 위한 법적 보호 장치가 아직 미비하며, 공교육 시스템 내에서 이들을 위한 맞춤형 영재교육 프로그램 역시 부족한 실정이다.[102][68] 이 때문에 2e 판별이 현실적인 교육 지원으로 이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판별은 아동의 자신감을 높이고, 교육의 방향과 방법을 긍정적이고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102][68]

2e 진단 과정에서는 전문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많은 임상가들이 영재성이나 영재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훈련을 받지 못한 경우가 많으므로, 영재성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가진 전문가를 찾는 것이 권장된다.[102][68] 평가 과정에 참여하는 전문가는 반드시 영재성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하며[9][72], 평가 결과에는 아동의 강점과 약점 영역이 명확히 제시되고, 확인된 장애나 학습 어려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아동의 강점을 바탕으로 약점을 보완하고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지원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11][73] 학생의 장애보다는 능력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하는 것이 자아 개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1][73]

2e 아동은 다양한 특성을 보이며, 이는 판별 과정에서 참고될 수 있다. 다음은 2e 아동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강점과 약점의 예시이다.[103][7][69][70]

강점약점
수준 높은 생각과 의견충동성
뛰어난 어휘력쓰기 능력 부족 / 서기 표현의 어려움
높은 수준의 창의력과 문제 해결 능력사회성 부족
강력한 호기심, 상상력, 탐구적인 성향비판에 민감하게 반응함
학교 교육과 무관한 영역에 대한 광범위한 흥미학습 방법이나 정리정돈 능력 부족
복잡한 문제를 꿰뚫는 통찰력언어적 능력과 실제 수행 능력 간의 불일치
특정 분야에 대한 깊은 몰두와 재능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과목에서 저조한 성취
세련된 유머 감각고집이 세고 자기 주장이 강함



Brody와 Mills는 2e 학생 집단이 "모든 특수성 중 가장 오해받는 집단"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5][64] 이들의 강점은 약점을 가릴 수 있고, 반대로 약점은 강점을 드러내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6][65] 이러한 강점과 약점의 복잡한 상호작용은 종종 학업 수행의 불일치로 나타나며, 교육자 수잔 바움(Susan Baum) 박사는 2e 학생들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기도 했다.


  • 총명하지만 노력이 부족해 보이는 유형
  • 학습 장애가 두드러져 특별한 능력이 없어 보이는 유형
  • 강점과 약점이 상쇄되어 평균적인 학생으로 보이는 유형


이러한 복잡성으로 인해 2e 학생들은 종종 자신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좌절감, 불안, 우울감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는 학업에 대한 동기 저하와 자존감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6. 치료 및 교육 방법

2e 아동은 특정 질병으로 분류되지 않으며, 치료의 대상이라기보다는 지원의 대상으로 보아야 한다.[104][84] 즉, 이들이 가진 취약점이 삶의 질을 저해하지 않도록 약점을 보완하고 강점을 키우는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105][85]

대부분의 2e 연구자들은 학생의 강점에 초점을 맞춘 교육을 권장한다.[106][86] 약점을 개선하는 데 지나치게 집중하면 학생이 학습 자체에 흥미를 잃거나, 장애 진단으로 인해 이미 낮아진 자신감과 자기 개념이 더욱 훼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생이 흥미를 느끼고 재능을 보이는 분야를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약점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미국의 2e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에서도 강점 중심 교육 방법이 효과적이었음이 보고되었다.[106][86]

2e 아동은 영재성과 학습 장애 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학업 및 사회적 성공을 위해 특별한 지원이 필수적이다.[12] 이들의 강점은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13] 지적인 도전과 복잡한 사고를 할 기회가 주어지는 환경에서 능력을 발휘한다.[14] 필요한 지원으로는 격려,[15] 학습 전략 등 보상 전략,[16] 과제나 시험 시간 연장과 같은 적응 지원[17] 등이 있다. 효과적인 중재는 2e 아동의 지적 요구와 사회·정서적 요구를 모두 충족시켜야 하며,[18] 자신의 재능을 인정받고 있다고 느끼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시에, 환경적 어려움에 대처할 수 있도록 자기 옹호 기술[19]을 가르치고 사회적, 법적 보호 장치를 활용하도록 돕는 것도 필요하다.[20]

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진단을 함께 받은 2e 아동의 경우, 각기 다른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21] 예를 들어, ASD 성향이 있는 아동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22][23] ADHD 성향이 있는 아동은 흥미 기반 학습과 충동 조절에 대한 지원, 그리고 체계적인 정리 및 시간 관리 지원이 필요할 수 있다.[24][25]

이러한 복잡성을 고려할 때, 상담가심리학자는 2e 학생 지원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담가는 2e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교사, 학교 직원, 지역사회 구성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지원 체계를 만드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79] 심리학자는 정확한 평가를 통해 학생의 인지 프로필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목표 지향적인 중재 전략을 개발한다. 이들 전문가는 2e 학생의 고유한 능력을 인식하고 육성하는 지원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데 필수적이며, 학생의 발달 수준에 맞춰 접근 방식을 조절해야 한다.[26][27][28][79] 또한, 상담가는 미국의 504 플랜이나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IEP)과 같은 법적 지원이 단순한 부가 서비스가 아닌 학생의 권리임을 교사들이 이해하도록 돕고, 학생 스스로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79][80]

2e 교육은 영재 교육과 특수 교육의 원칙을 결합한 형태로, 강점 기반의 차별화된 접근 방식을 통해 필요한 지원을 제공한다.[30] 재능 개발을 교육의 가장 중요한 측면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30] 2e 학생을 가르칠 때는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이나 지나치게 엄격한 규칙 적용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들은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하는 '큰 그림' 학습에 더 흥미를 느끼는 경향이 있으며, 유연한 환경에서 더 잘 기능한다.

현실적으로 2e 아동의 복합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는 학교를 찾기란 쉽지 않다. 적절한 수준의 도전과 지원을 모두 제공하는 공립 또는 사립 학교는 소수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많은 부모들이 홈스쿨링이나 가상 학교와 같은 대안 교육을 선택하기도 한다.[31]

7. 2e 아동 지원

두번 예외(2e) 아동은 영재성과 학습 장애 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학업 및 사회적으로 성공하기 위해 특별한 지원이 필요하다.[12] 이들의 성공에는 강점을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13] 지적 도전복잡한 사고를 할 기회가 주어지는 환경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는 경향이 있다.[14] 따라서 많은 전문가들은 2e 아동을 지원할 때 약점 보완보다는 강점에 중점을 둘 것을 조언한다. 약점을 고치려다 오히려 학습 자체에 대한 흥미를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106]

2e 아동에게 필요한 핵심 지원 요소로는 격려,[15] 약점 보완을 위한 보상 전략,[16] 충분한 시간 허용과 같은 적응 지원이 있다.[17] 예를 들어, 2e 학생은 시간 관리 기술과 정리 정돈 방법을 배우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시험이나 과제를 할 때 추가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효과적인 지원은 2e 아동의 지적 요구사회·정서적 요구를 모두 충족시켜야 하며,[18] 자신의 재능을 인정받고 있다고 느끼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자기 옹호 기술을 배우고[19] 사회적·법적 보호 장치를 활용하여[20] 환경적 어려움을 완화하는 것도 필요하다. 다양한 감각을 활용하는 체험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다.

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진단을 받은 2e 아동의 경우, 각 특성을 고려한 지원이 필요하다.[21] ASD가 있는 영재 아동은 높은 지능과 독특한 관심사를 보일 수 있지만, 상호 의사소통이나 사회적 신호 이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22][23] 반면, ADHD가 있는 영재 아동은 흥미를 느끼는 활동에 몰입하도록 돕고 충동성을 조절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며,[24] 체계적인 정리 지원, 시간 허용, 새로운 도전 기회 등이 필요할 수 있다.[25]
학교 상담 교사심리학자는 2e 학생 지원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담 교사는 2e에 대해 잘 모르는 다른 교사, 학교 관계자, 지역 사회 구성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79] 또한, 학생들이 개별화 교육 계획(IEP)이나 504 계획에 따른 편의 제공과 같은 법적 권리를 보장받도록 도울 수 있다.[79] 심리학자는 평가를 통해 학생의 인지 프로필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지원 계획 수립에 기여한다. 이들 전문가는 2e 학생의 발달 수준에 맞춰[26][27][28] 지원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하고, 학생들이 재능을 발휘할 기회를 갖도록 돕는다. 상담 교사와 교육자는 2e 학생의 능력통찰력 수준을 고려하여 소통하고, 정보를 처리할 충분한 시간을 주어야 하며, 학생의 재능 영역에서 심화 학습이나 활동 기회를 권장하거나 제공하는 것이 좋다.[79]

미국은 504 계획이나 개별화 교육 계획(IEP) 같은 공식 제도를 통해 2e 학생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공한다. 이러한 지원은 단순한 배려가 아닌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이다.[79] 하지만 대한민국은 아직 2e 아동을 보호·지원하기 위한 법적 장치가 미비하며, 공교육 시스템 내 체계적인 영재 교육 프로그램도 부족한 실정이다.[102][68] 따라서 2e 아동이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사회적 관심제도적 지원 마련이 시급하다.

8. 2e 교육

두 번 예외(2e) 교육은 1970년대 초 "영재-장애" 교육[29][87]에서 시작되었으며, 본질적으로 동일한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2e 교육 접근 방식은 영재 교육과 특수 교육을 결합한 것으로, 35년간의 연구와 최상의 실천 사례를 바탕으로 2e 학생의 고유한 요구에 맞춰 특수 교육 지원을 제공하는 강점 기반의 차별화된 접근 방식이다.[88] 많은 전문가들은 재능 개발이 2e 학생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이라고 주장한다.[30] 자폐 스펙트럼이나 영재는 특정 유형의 인간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상태를 의미하므로, 질병 치료 관점이 아닌[104] 약점을 보완하여 생활의 질 저하를 막는 능력 함양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105]

대부분의 2e 연구자들은 학생의 강점에 중점을 둘 것을 조언한다. 약점을 보완하려다 학습 자체에 대한 흥미를 잃게 하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장애 진단으로 인해 자신감 저하 및 자기 개념 훼손 가능성이 있으므로, 학생이 좋아하고 잘하는 재능을 발달시켜 약점을 보완하는 방향이 권장된다. 미국의 2e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에서도 강점 중심 교육의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106]

2e 학생을 가르칠 때 교사가 피해야 할 방법들이 있다. 이들은 강의식 수업에 잘 반응하지 않으며, '큰 그림'을 파악하는 학습에 더 흥미를 느낀다. 불필요하게 엄격한 규칙을 따르는 데 어려움을 느끼므로, 규칙 적용에 유연성을 발휘하고 전체론적이며 큰 그림을 보여주는 학습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2e 아동이 성공하기 위한 핵심은 지원이다. 이들은 흥미와 능력이 있는 분야에서 지적 도전을 통해 성공하기 때문이다. 다수의 2e 아동은 여러 감각을 활용하는 실제적인 학습 기회가 주어졌을 때 가장 좋은 성과를 보인다. 성공을 위한 필수 요소는 공식적 지원(미국의 경우 504 플랜이나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IEP) 등) 또는 필요에 따른 비공식적 지원이다. 지원은 격려와 같은 본질적인 형태 외에도, 아동의 약점 영역에 대한 보상 전략과 적응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시간 관리 기술과 정리 정돈 능력 향상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시험이나 과제 수행에 추가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강점은 단순히 약점을 보완하는 수단이 아니라, 재능을 발휘하고 도전할 기회를 제공하는 적응 전략의 일부여야 한다. 2e 학생들은 자신의 약점뿐 아니라 재능도 인정받고 있다고 느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부정적인 행동 패턴에 빠질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개입은 2e 학습자의 학문적, 사회적, 정서적 요구를 모두 다루어야 한다.

학교 상담 교사는 2e 학생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e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지역 사회 구성원, 교사, 기타 학교 관계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가치 있는 자원이 될 수 있다. Foley-Nicpon과 Assouline(2015)의 연구[79]에 따르면, 상담 교사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교사들이 IEP나 편의 제공(accommodation)이 부가 서비스가 아닌 법적 의무임을 이해하도록 상담 교사가 도울 수 있다고 제안한다.[80][79]
  • 포괄적인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2010년 연구[81]), 각 학생의 기록을 검토하여 강점과 약점을 모두 고려한 치료 계획 수립을 지원하며, 필요한 경우 포괄적인 평가를 받도록 제안한다.[79]
  • 학생의 인지 및 학업 프로파일(예: WISC-IV를 이용한 2012년 연구[82] 결과 참고)을 바탕으로 능력, 통찰력, 발달 수준에 맞춰 상담 접근 방식을 조정하고, 정보를 처리할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재능 영역 내에서의 심화 학습 기회를 권장하거나 제공한다.[79]
  • 학생의 진단 과정(예: IDEA 기반 교육적 접근, 진단 기준 기반 심리적 접근[83])과 그에 따른 권리(IEP, 504 플랜 등)를 이해하고, 특히 학교 졸업 후 전환 시기에 학생의 자기 옹호 및 문제 해결 능력 발달을 촉진하는 목표를 설정한다.[79]


하지만 2e 아동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학교를 찾는 것은 많은 부모에게 어려운 일이다. 적절한 수준의 도전과 지원을 결합한 프로그램을 갖춘 공립 및 사립 학교는 소수에 불과하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부모가 홈스쿨링이나 가상 학교와 같은 대안 교육을 선택하기도 한다.[31][89] 미국에서도 2e 아동을 위해 특별히 맞춤화된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학교는 매우 적다. 일부 공립 학교에서는 2e 학생들을 위한 시간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특정 과목(예: 수학)에서 자신의 속도에 맞춰 학습하고 비슷한 동료들과 교류할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아직 2e 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이나 지원 체계가 부족한 실정이다. 영재성과 장애를 동시에 가진 학생들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어려움을 극복하도록 돕기 위한 사회적 관심과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

9. 논쟁

2e는 개념적으로 장애를 가진 영재로 정의되지만, 그 구체적인 정의는 유동적이다. 이는 영재장애라는 개념 자체가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기 때문이다.[107][53]

우선, 명확하게 합의된 영재의 개념은 없다. 미국의 경우 주마다 영재의 개념이 다르고, 학자마다 의견을 달리하기도 한다.[107][53] 고전적으로는 높은 IQ만을 기준으로 영재를 정의했지만, 오늘날에는 IQ 테스트만으로는 측정할 수 없는 능력이 뛰어난 경우도 영재로 간주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IQ가 130(표준편차 15 기준)을 넘으면 영재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상위 약 2.3%에 해당하는 수치이다.[51] 다만, 지능 검사만으로는 영재성을 모두 파악할 수 없으며, 실제 IQ가 130 이상임에도 검사 결과 낮게 나와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 그리고 지적 영역 외의 재능에도 주목해야 한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52] 또한, 일본에서는 영재 교육 시스템이 부재하여 공적인 진단 기준 자체가 없다.[76]

장애의 개념 역시 모호하다. 특히 정신질환은 상태를 지칭하는 범주 이름으로서 부정확하며, 그 정의와 분류는 계속해서 변하고 있다.[107][53] 더욱이 의학적인 장애 정의와 법적인 장애인 정의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도 존재한다. 일부 학자들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장애가 있다는 사실 자체가 이미 영재가 아님을 의미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108][54]

신체 장애의 경우, 영재성과 명확히 구분될 수 있어 2e 논의에서 핵심적인 쟁점은 아니다. 기분 장애(우울증 등)나 불안 장애 같은 정신 장애는 영재에게서 비교적 흔하게 나타날 수 있다. 2e 논쟁의 핵심은 영재성과 상반되는 것처럼 보이는 발달 장애와의 병존 가능성이다. 발달 장애의 특징과 영재의 특징 사이에는 공통점도 있어, 발달 장애가 없는 영재, 영재가 아닌 발달 장애인, 그리고 2e인 사람을 구별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를 가진 사람 중에는 지적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도 있지만, IQ가 130을 넘어 영재로 분류될 수 있는 경우(2e-ASD)도 존재한다. IQ만으로는 인간의 모든 능력을 측정할 수 없기에, 특정 능력은 뛰어나지만 다른 능력은 부족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지적 장애를 동반한 영재라는 2e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개념적 모호성 속에서, 2e에 관한 연구는 실용적인 개념화를 제안하기도 한다. 이 관점에서 2e는 재능과 신경 발달 장애의 조합으로 여겨진다.[55] 뛰어난 기술, 창의성 등 특정 분야에서의 잠재력만으로는 2e가 아니며, 반드시 하나 이상의 장애(특정 학습 장애, 언어 장애, 감정·행동 장애, 신체 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 기타 건강 장애 등)와 결합되어야 한다.[55][56][57] 재능과 장애의 결합은 2e 개인에게 매우 독특한 특성을 부여하며, 때로는 서로의 영향을 상쇄하거나 억제하기도 한다.[58][59] 예를 들어, 뛰어난 언어 능력을 가진 영재가 학습 장애를 함께 가질 경우, 처리 속도 저하나 작업 기억 제한으로 인해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57] 이러한 실용적인 개념화는 많은 영재 교육 전문가들에게 받아들여지고 있다.[55]

또한, 단일 장애가 아닌 여러 발달 장애나 정신 장애를 중복해서 가질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영재성과 장애 모두 그 정도가 연속적인 스펙트럼을 이룬다는 점 때문에 2e는 매우 높은 다양성을 가지며, 명확히 2e라고 분류하기 어려운 경계선상의 집단도 존재할 수 있다.

10. 한국의 2e 현황

한국에서 '두번 예외'(2e)라는 용어는 2015년 최도원이 미국 Tedx 강연을 통해 소개하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는 아스퍼거 증후군(DSM-5에서 자폐 스펙트럼으로 변경됨) 진단을 받은 학생의 가능성을 이야기하며, 당시 한국에는 생소했던 2e 개념과 관련된 부모, 교육자들을 위해 조셉 렌줄리 박사 및 스콧 배리 카우프만 박사와의 인터뷰를 한국어로 번역했다. 한국어로 2e를 지칭할 용어가 없어 '두 번 예외'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이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2e 학습자를 보호하기 위한 법적 장치가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들을 위한 공교육 시스템 내의 영재교육 프로그램 역시 부재한 실정이다.[102] 이러한 현실 때문에 2e 학습자로 판별받는 것이 직접적인 교육 지원으로 이어지기는 어려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e 판별은 아이의 자신감을 높여주고, 교육의 방향과 방법을 긍정적이고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02]

하지만 2e 아동을 정확히 판별하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가 있는 아동은 집중력 부족으로 지능검사 수행에 영향을 받아 숨겨진 재능이 가려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뛰어난 아이디어를 가졌더라도 난독증이 있다면 시간 제한이 있는 시험에서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렵다.[100][101] 2e 판별을 위해서는 영재성과 장애 판별 두 가지가 모두 필요하지만, 많은 임상가들이 영재나 영재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가 많아 정확한 진단과 지원에 어려움이 따른다. 일부 전문가들은 적어도 영재교육이나 영재에 관심이 있는 임상가를 찾을 것을 권장하기도 한다.[102]

이처럼 한국 사회에서는 아직 2e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부족하며,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이 미비하여 많은 2e 아동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11. 일본의 2e 현황

일본에서는 영재를 특정 분야에 특이한 재능이 있는 아동이나 학생으로 보지만[76], 영재 교육 제도가 없어 공적인 진단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IQ 테스트에서 IQ 130 이상(표준편차 15 기준)이면 영재로 간주될 수 있으나[51], IQ만으로는 영재성을 온전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이 지적된다. 지능 검사만으로는 재능을 발견하지 못해 지원에서 누락되는 경우가 많고, 지적 영역 외의 재능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52]. 또한, 지능(선천적 능력)과 지식(후천적 학습)은 구분되어야 하며, 학업 성취도가 낮다고 해서 영재가 아니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2e의 본질적인 어려움은 영재성과 발달 장애와 같이 상반되어 보이는 특성이 공존하여 주변에서 이해받기 어려운 데 있다. 영재의 특성과 발달 장애의 특성에는 공통점이 있어, 일반적인 영재, 영재가 아닌 발달 장애인, 2e 학생을 구별하는 데 혼란이 발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를 가진 사람 중에도 IQ가 평균 범위인 경우, 지적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 그리고 IQ 130을 넘어 영재성을 함께 보이는 경우(2e-ASD)가 모두 존재할 수 있다.

영재는 일반인보다 빠르고 깊이 있게 배우며 독창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지만, 이러한 특성 때문에 때로 과소평가받거나 논리적 비약으로 오해받기도 한다. 또한, 과도 흥분성(Overexcitability, OE)이라 불리는 특성이 두드러져 집단 행동에 어려움을 겪거나, 높은 윤리관과 정의감이 오히려 해가 되는 경우도 있다. 이로 인해 소외감을 느끼거나, 반대로 자신의 특성을 숨기고 평범하게 행동하려 애쓰며 내적 갈등을 겪기도 한다.

카지미에시 돔브로프스키는 영재에게 특징적인 과도 흥분성(OE)을 5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이는 재능의 발현인 동시에 어려움을 유발하기도 하며, 고감성인(HSP)이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와 유사해 보일 수 있다.[77][78] 또한 이 능력 때문에 뇌의 처리량이 많아져 일반인보다 쉽게 피로해지는 경향이 있다.


  • 정신 운동성 OE: 생각이 너무 많아 잠들기 어렵거나, 심리적 긴장이 신체적 움직임으로 나타나 가만히 있지 못하고, 말이 빠르며 대화가 비약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
  • 지성 OE: 호기심과 탐구심이 강해 질문을 반복하거나 문제 해결에 몰두하며, 납득할 때까지 파고든다.
  • 지각성 OE: 오감(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이 예민하여 빛, 소리, 촉감, 맛, 냄새 등에 과민 반응을 보인다. 특정 옷의 재질이나 태그를 견디지 못하거나 음식에 대한 호불호가 심할 수 있다.
  • 상상력 OE: 상상력이 풍부하여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내지만, 공상에 빠지기 쉬워 수업 등에 집중하지 못하고 주의 산만으로 보일 수 있다.
  • 감정성 OE: 감정의 폭이 넓고 강렬하며, 기쁨이나 분노 같은 감정을 격렬하게 표현한다. 공감 능력이 뛰어나 타인의 고통에 깊이 공감하거나, 불의나 불공평함에 강한 분노를 느껴 힘들어할 수 있다.


또한, 2e 학생은 완벽주의 성향을 보이기 쉬우며, 이로 인해 자신의 높은 기준에 미치지 못해 정신적 어려움을 겪거나, 완벽을 기하느라 오히려 수행 능력이 저하되기도 한다.[51]

12. 퀘벡의 2e

퀘벡 주 교육고등교육부는 자체 간행물 Agir pour favoriser la réussite éducative des élèves doués|재능 있는 학생들의 교육적 성공을 장려하기 위한 행동fra에서 재능이 장애와 공존할 수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90] 2019년부터 2020년에 걸쳐, 교육고등교육부는 모든 학생의 교육적 성공을 촉진하기 위해 재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프로젝트를 승인했다.[90] Première Seigneuries 교육위원회가 주도하는 이 프로젝트는 두번 예외(2e) 초등학생에 대한 개입을 개선하기 위한 해결책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90]

퀘벡에는 두번 예외(2e) 학생이 2만 명에서 3만 명[91] 정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들 모두가 공식적으로 식별된 것은 아니다.

[https://ciddt.ca/double-exceptionnalite/ 통합 재능 개발 센터](CIDDT)는 재능 개발을 위한 서비스와 자원을 제공하며[92], 여러 영재 전문가가 영재와 2e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또한 [https://www.aqdouance.org/ 퀘벡 영재 협회]는 재능 있는 개인의 육성에 기여하고, 그들이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사명으로 한다. 특히 재능과 관련된 과학적 지식을 정확하게 알림으로써 퀘벡 주민들의 인식을 높이고, 재능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93]

참조

[1] 논문 Neurodiversity at work: a biopsychosocial model and the impact on working adults 2020-10-14
[2] 논문 National Agenda for Educating Gifted Students: Statement of Priorities https://doi.org/10.1[...] 1988
[3] 논문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Twice-Exceptional Learners: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https://doi.org/10.1[...] 2014
[4] 간행물 Intentionally opening the world of twice exceptionality for culturally diverse learners Teaching for High Potential 2024
[5] 논문 Gifted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review of the issues 1997
[6] 서적 To Be Gifted & Learning Disabled: Strategies for Helping Bright Students with LD, ADHD, and More Creative Learning Press 2004
[7] 문서 Responding to the Needs of Twice-Exceptional Learners: A School District and University's Collaborative Approach Avocus Publishing 2000
[8] 논문 Twice-Exceptionality: Parents' Perspectives on 2e Identification 2015-10-02
[9] 서적 The Misdiagnosis and Dual Diagnoses of Gifted Children and Adults: ADHD, Bipolar, OCD, Asperger's, Depression, and Other Disorders Great Potential Press 2005
[10] 논문 The Two Sides of Cognitive Masking: A Three-Level Bayesian Meta-Analysis on Twice-Exceptionality http://journals.sage[...] 2022-10
[11] 논문 The effects of special education service on the self-concept and school attitude of learning disabled/gifted students 1989
[12] 논문 Counseling Considerations for the Twice-Exceptional Client https://onlinelibrar[...] 2015-04
[13] 서적 To be gifted & learning disabled: strength-based strategies for helping twice-exceptional students with LD, ADHD, ASD, and more Prufrock Press, Inc 2017
[14] 서적 Teaching twice-exceptional learners in today's classroom Free Spirit Publishing Inc 2021
[15] 논문 Strength-Based Strategies for Twice-Exceptional High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s://journals.sag[...] 2024-09
[16] 서적 Twice-Exceptional Gifted Children: Understanding, Teaching, and Counseling Gifted Students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22-02-02
[17] 서적 Handbook on assessments for gifted learners: identification, learning progress, and evaluation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2022
[18] 논문 Cognitive and Achievement Characteristics of Students From a National Sample Identified as Potentially Twice Exceptional (Gifted With a Learning Disability) https://journals.sag[...] 2020-01
[19] 서적 The power of self-advocacy for gifted learners: teaching the 4 essential steps to success Free Spirit Publishing Inc 2018
[20] 논문 Critical Issues in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With Co-Existing Disabilities: The Twice-Exceptional 2013-07-01
[21] 논문 Is camouflaging unique for autism? A comparison of camouflaging between adults with autism and ADHD https://onlinelibrar[...] 2024
[22] 서적 Correction to: Clinical Guide to Early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utism https://link.spring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4-11-30
[23] 논문 Beyond Stereotypes: Understanding, Recognizing, and Working With Twice-Exceptional Learners https://journals.sag[...] 2015-03-01
[24] 논문 Pay Attention to Inattention: Exploring ADHD Symptoms in a Sample of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https://journals.sag[...] 2020-04-01
[25] 서적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gifted students. https://content.ap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4-11-30
[26] 논문 Counseling Considerations for the Twice-Exceptional Client https://onlinelibrar[...] 2015
[27] 논문 Leadership Roles for School Counselors in Identifying and Supporting Twice-Exceptional (2E) Students https://journals.sag[...] 2019-01-01
[28] 서적 Handbook for counselors serving students with gifts & talents: development, relationships, school issues, and counseling needs/interventions Prufrock Press 2021
[29] 서적 Providing programs for the gifted handicapped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30] 서적 To be gifted and learning disabled: Meeting the needs of gifted students with LD, ADHD and more Creative Learning Press 2004
[31] 문서 No One Said It was Easy – Challenges of Parenting Twice-Exceptional Children Free Spirit Publishing 2008
[32] 서적 Twice-Exceptional and Special Populations of Gifted Students (Essential Readings in Gifted Education Series) Corwin
[33] 웹사이트 2E教育とは https://2e-education[...] 2E教育フォーラム 2022-07-06
[34] 논문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Twice-Exceptional Learners
[35] 서적 The Twice-Exceptional Dilemma Washington D.C.:NEA 2006
[36] 논문 A Model of Twice-Exceptionality 2015-07-01
[37] 문서 Montgomery, 2007
[38] 문서 Yewchuk, C. R., & Lupark, J. L. (1993), Gifted handicapped: A desultory duality, In K. A. Heller, F. J. Monks, & A. H. 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pp. 709-725, Oxford: Pergamon
[39] 웹사이트 Gifted and Learning Disabled: Twice Exceptional Students http://nrcgt.uconn.e[...] 2017-07-23
[40] 서적 Serving the Gifted: Evidence-Based Clinical and Psychoeducational Practice Routledge 2013
[41] 간행물 The Twice-Exceptional Dilemma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2006
[42] 논문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wice Exceptionality in the Classroom" 2015-06
[43] 문서 Berninger, V. W., & Abbott, R. D. (2013).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dyslexia who are and are not gifted in verbal reasoning. Gifted Child Quarterly, 57(4), 223–233.
[44] 서적 To be gifted and learning disabled: Strategies for helping bright students with LD, ADHD and more Creative Learning Press 2004
[45] 서적 State of the states in gifted education: National policy and practical data 2011
[46] 웹사이트 In 2013, there were nearly 74 million children younger than 18 in the United States. http://www.childtren[...] ChildTrends 2015-05-11
[47] 웹사이트 What We Have Learned About Gifted Children www.gifteddevelopmen[...] 2012
[48] 논문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wice-exceptional research in Australia: Prevalence estimates for gifted children with disability (PDF Download Available) https://www.research[...] Unpublished 2017-10-13
[49] 논문 Gifted learning disabled students 2002-06-01
[50] 웹사이트 Qu'est-ce que la double exceptionnalité? https://ciddt.ca/dou[...] 2021-05-03
[51] 웹사이트 知能検査とギフティッドの判定 https://www.blog.crn[...] 2022-05-31
[52] 웹사이트 知能検査とギフティッドの判定 https://www.blog.crn[...] 2022-05-31
[53] 서적 Conceptions of Gifted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54] 서적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Pearson 2010
[55] 웹사이트 Profil doublement exceptionnel (« twice exceptional ») DOUANCE + Trouble d’apprentissage (TA) https://dev.ciddt.ca[...] 2018-02-11
[56] 웹사이트 Gifted and Learning Disabled: Twice https://nrcgt.uconn.[...] 1998
[57] 논문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Twice-Exceptional Learners: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http://journals.sage[...] 2021-05-03
[58] 서적 The Paradox of Twice-Exceptionality- Packet of Information for Professionals – 2nd Edition (PIP-2) https://belinblank.e[...] 2008
[59] 웹사이트 Twice-Exceptional Kids: Both Gifted and Challenged https://childmind.or[...] 2021-05-03
[60] 서적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Pearson 2010
[61] 서적 Misdiagnosis and Dual Diagnoses of Gifted Children and Adults: ADHD, Bipolar, Ocd, Asperger's, Depression, and Other Disorders Great Potential Press 2004
[62] 서적 To Be Gifted and Learning Disabled: Strategies for Helping Bright Students with LD, ADHD and More Prufrock Press 2004
[63] 서적 Living With Intensity: Understanding the Sensitivity, Excitability, and the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Great Potential Press 2008
[64] 논문 Gifted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review of the issues 1997
[65] 문서 Baum, S. & Owen, S. (2004). To Be Gifted & Learning Disabled: Strategies for Helping Bright Students with LD, ADHD, and More.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66] 서적 Serving the Gifted: Evidence-Based Clinical and Psychoeducational Practice Routledge 2013
[67] 논문 Beyond the Mask: Analysis of Error Patterns on the KTEA-3 for Students With Giftedness and Learning Disabilities 2016
[68] 논문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Creativity — What is the connection? 1994
[69] 문서 Higgins, L. D. & Nielsen, M. E. (2000). Responding to the Needs of Twice-Exceptional Learners: A School District and University’s Collaborative Approach. In K. Kay, (Ed.), Uniquely Gifted: Identifying and Meeting the Needs of the Twice-Exceptional Student (pp. 287-303). Gilsum, NH: Avocus Publishing.
[70] 문서 Higgins, L. D. & Nielsen, M. E. (2000). Responding to the Needs of Twice-Exceptional Learners: A School District and University's Collaborative Approach. In K. Kay, (Ed.), Uniquely Gifted: Identifying and Meeting the Needs of the Twice-Exceptional Student (pp. 287-303). Gilsum, NH: Avocus Publishing.
[71] 논문 Twice-Exceptionality: Parents' Perspectives on 2e Identification 2015-10-02
[72] 서적 The Misdiagnosis and Dual Diagnoses of Gifted Children and Adults: ADHD, Bipolar, OCD, Asperger's, Depression, and Other Disorders Great Potential Press 2005
[73] 논문 The effects of special education service on the self-concept and school attitude of learning disabled/gifted students 1989
[74] 문서 Leroux & Levitt-Perlman,2000;引自花敬凱,民93,8頁
[75] 문서 Hallowell & Ratey,1995;引自花敬凱,民93,12頁
[76] 웹사이트 特定分野に特異な才能のある児童生徒に対する学校における指導・支援の在り方等に関する有識者会議 論点整理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21-12-17
[77] 웹사이트 過度激動(OE)とギフテッド。HSPやADHDに見られる特徴も https://miraii.jp/ot[...] 2022-05-29
[78] 웹사이트 過度激動とはギフテッド・HSPの人などに見られる特徴。事例紹介 ( 2 ) https://cocoiro.me/a[...] 2022-06-05
[79] 논문 Counseling considerations for the twice-exceptional client 2015
[80] 논문 Twice-exceptional students enrolled in advanced placement classes https://sdsu-primo.h[...] 2019-08-14
[81] 논문 Parent, teacher, and self perceptions of psychosocial functioning in intellectually gifted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2010
[82] 논문 Cognitive and academic distinctions between gifted students with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https://sdsu-primo.h[...] 2019-08-14
[83] 논문 Twice-exceptionality: Implications for school psychologists in the post–IDEA 2004 era https://sdsu-primo.h[...] 2019-08-14
[84] 논문 Is autism curable? 2014
[85] 뉴스 The genius in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mental health disorders https://edition.cnn.[...] CNN 2017-03-23
[86] 논문 Twice-exceptional learners' perspectives on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2013
[87] 서적 Providing programs for the gifted handicapped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1977
[88] 서적 To be gifted and learning disabled: Meeting the needs of gifted students with LD, ADHD and more Creative Learning Press 2004
[89] 서적 No One Said It was Easy – Challenges of Parenting Twice-Exceptional Children Free Spirit Publishing 2008
[90] 서적 Agir pour favoriser la réussite éducative des élèves doués http://www.education[...] 2020
[91] 웹사이트 Qu'est-ce que la double exceptionnalité? https://ciddt.ca/dou[...] 2021-05-03
[92] 웹사이트 CIDDT : Centre intégré de développement de la douance et du talent https://ciddt.ca/ 2021-05-03
[93] 웹사이트 Comprendre. Sensibiliser. Former. https://www.aqdouanc[...] 2021-05-03
[94] 서적 Twice-Exceptional and Special Populations of Gifted Students (Essential Readings in Gifted Education Series)
[95] 저널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Twice-Exceptional Learners
[96] 서적 The Twice-Exceptional Dilemma 2006
[97] 서적 Misdiagnosis and Dual Diagnoses of Gifted Children and Adults: ADHD, Bipolar, Ocd, Asperger's, Depression, and Other Disorders 2004
[98] 서적 To Be Gifted and Learning Disabled: Strategies for Helping Bright Students with LD, ADHD and More 2004
[99] 서적 Living With Intensity: Understanding the Sensitivity, Excitability, and the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2008
[100] 서적 Serving the Gifted: Evidence-Based Clinical and Psychoeducational Practice 2013
[101] 저널 Beyond the Mask: Analysis of Error Patterns on the KTEA-3 for Students With Giftedness and Learning Disabilities 2016
[102] 저널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Creativity — What is the connection? 1994
[103] 서적 Responding to the Needs of Twice-Exceptional Learners: A School District and University’s Collaborative Approach Avocus Publishing
[104] 저널 Is autism curable? 2014
[105] 뉴스 The genius in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mental health disorders http://edition.cnn.c[...] 2017-03-23
[106] 논문 Twice-exceptional learners' perspectives on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2013
[107] 서적 Conceptions of Gifted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08] 서적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Pearson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