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드러그스토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러그스토어는 의약품, 일용품, 화장품 등을 판매하는 소매점의 일종으로, 국가별 의약품 판매 규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독일, 프랑스, 영국, 호주, 일본 등에서는 약사의 상주 여부 및 일반의약품 판매 규제가 다르다. 미국에서는 20세기 초 약품과 잡화를 취급하는 소매점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CVS 헬스, 월그린 등 대형 체인점이 존재하며, 일부 매장에서는 처방약 조제도 가능하다. 일본은 일반의약품, 일용품, 화장품 등을 판매하며, 조제 기능을 갖춘 곳도 늘어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CJ올리브영이 시초이며, 화장품, 건강식품을 중심으로 한 헬스&뷰티 스토어 형태로 운영된다. 드러그스토어는 녹십자, 약연과 약막자 등 다양한 상징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료 - 의료사회학
    의료사회학은 의료와 건강의 사회적 측면을 연구하는 사회학 분야로, 사회 개혁 운동과 연관되어 발전 후 학문적 체계가 확립되었으며, 다양한 이론적 관점을 통해 여러 연구 주제를 다루고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의료 - 맞춤의학
    맞춤의학은 환자의 유전적, 분자 생물학적, 세포적 특징을 고려하여 개인에게 최적화된 치료법을 제공하는 의료 모델로, 더 나은 진단과 효율적인 약물 개발, 표적화된 치료법을 제공하지만 데이터 관련 문제와 규제 및 윤리적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가게 - 이발소
    이발소는 머리카락 손질, 면도, 염색 등으로 용모를 단정하게 하는 곳으로, 주로 남성 고객을 대상으로 하며, 지역 사회의 만남의 장소이자 민족의식 고취의 공간으로 기능해 왔고, 최근 바버샵의 유행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 가게 - 면세점
    면세점은 관세, 부가가치세 등의 세금이 면제되어 여행객들이 출국 시나 특정 지역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판매점으로, 1947년 아일랜드 섀넌 공항에 세계 최초의 면세점이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 기업 - 동아일보
    동아일보는 1920년 창간되어 민주주의, 민족주의, 문화주의를 사시로 내걸고 민족운동 등을 전개했으며, 일제강점기 폐간 후 복간되어 방송 사업을 시작했고, 여러 논란을 겪으며 현재 주 6일제로 신문을 발행한다.
  • 기업 - 농협대학교
    농협대학교는 1962년 농업협동조합초급대학으로 시작하여 농협대학을 거쳐 2012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협동조합 관련 학과를 운영하고 졸업생 대부분이 농협중앙회에 취업하는 3년제 특수전문대학이다.
드러그스토어
드럭스토어 정보
일본의 드럭스토어
일본의 드럭스토어
유형소매업
산업약국
편의점
화장품
제품의약품
화장품
식품
잡화
일본 드럭스토어
주요 회사마츠모토 키요시
선드럭
츠루하 그룹
고쿠민 드럭
기린도 홀딩스
아인 홀딩스
고스모스 약품
스기 약국
다이코쿠 드럭
웰시아 약국
가와치 약품
한국 드럭스토어
주요 회사올리브영
랄라블라
롭스
부츠

2. 세계의 드럭스토어

의약품 판매 규제 법률과 의약품 분류법은 국가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독일에서는 처방전 의약품, 약국 판매 의약품, 자유 판매 의약품으로 분류하며, 이 중 처방전 의약품 및 약국 판매 의약품은 약사가 있어야 판매할 수 있다.[1]

처방전이 필요한 의약품을 판매할 때는 독일, 프랑스, 영국, 호주, 일본 등 어느 나라에서나 약사가 있어야 한다.[1] 구미에서는 기본적으로 약사가 상주하며 조제의약품 판매를 한다.[2]

일반의약품에 대한 규제는 국가마다 다르다. 모든 의약품에 대해 약사가 있어야 하는 국가(프랑스 등)도 있고, 약사는 아니더라도 의약품 판매 관리자가 상시 대응해야 하는 국가(독일 등)도 있으며, 특별한 규정이 없는 국가(호주)도 있다.[1]

일본일반의약품 중 부작용 등으로 특히 주의가 필요한 제1류 의약품(진통제 등)은 약사만 판매할 수 있으며, 판매 시 반드시 구입자에게 약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하지만 제2류 의약품(감기약, 위장약 등)과 제3류 의약품은 약사 또는 판매등록자 자격을 갖춘 사람이 상주하는 점포라면 판매할 수 있다.

홍콩에는 왓슨스가, 대만에는 캉스메이(康是美)(COSMED)가 대표적인 드러그스토어 체인으로 꼽힌다.

2. 1. 미국

미국은 20세기 초부터 약품과 일용잡화, 식료품을 취급하는 소매점으로 출발해 20세기 후반 기존 약국을 대체하는 새로운 형태의 드러그스토어가 나왔다. 미국의 드러그스토어는 체인점 형태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으며, CVS 헬스월그린은 미국 전역에 각각 1만 개 가까운 점포를 가지고 있다. 매장에는 약사가 있어 처방전을 가져가면 약을 받을 수 있다. 그 외의 상품은 대형마트보다 비싼 경우가 많다.

미국의 주요 드럭스토어 체인은 다음과 같다.

미국 드럭스토어 대기업 CVS의 외관 예시

2. 1. 1. 미국의 역사

찰스 R. 월그린 시니어(Charles R. Walgreen Sr.)가 1901년에 시카고의 드럭스토어를 인수하여 월그린으로 영업을 시작했다[3]. 월그린은 고품질의 저렴한 의약품 라인업을 자체적으로 제조하는 등 다양한 신규 서비스를 도입했다[3]. 1909년에는 두 번째 점포를 개점했으며, 1916년에는 9개의 점포를 산하에 두었다[3]. 1922년에는 맥아 밀크셰이크를 발명하여 소다 분수에서 판매했는데, 손님들이 '더블 리치 초콜릿 몰트 밀크'를 마시는 광경이 펼쳐졌다[3].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미국의 드럭스토어는 현재에도 푸드 코트를 갖춘 경우가 있다.

코카콜라도 원래 1886년에 애틀랜타의 약사 존 펨버턴이 코카콜라 시럽의 레시피를 발명하여 지역 소다 분수에 판매한 것으로, 소다 분수 측에서는 "건강에 좋은 토닉" 등으로 선전하여 판매되었다.

2. 2. 유럽

독일의 주요 드럭스토어 체인은 다음과 같다.[1]

업체명설명
로스만EU에 4000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으며, 종업원 수는 5만 6000명 이상이다.
dm (드로그리에 마르크트)
뮐러로스만, dm과 상당한 차이가 있지만 3위 업체이다.



2. 3. 영국

영국의 주요 드럭스토어는 화장품 'No7' 등 PB 상품을 보유한 부츠이다. 이후 월그린 부츠 얼라이언스 산하가 되었다.

2. 4. 아시아

홍콩에는 왓슨스가, 대만에는 캉스메이(康是美)(COSMED)가 대표적인 드러그스토어 체인으로 꼽힌다.

2. 4. 1. 일본

일본은 일반의약품, 일용품, 화장품, 식료품 등을 판매하는 드러그스토어 체인점이 많이 있으며 경쟁이 치열하다. 24시간 영업하는 드러그스토어도 있다. 드러그스토어라는 형태가 일본에 퍼졌을 때는 조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가게를 '약국', 약사가 없고 조제 기능이 없는 가게를 '드러그스토어'라고 구분하고 있었다.

조제약국 (아인약국 나카유베쓰점)


조제 기능을 가진 단독 점포는 드래그스토어가 아닌 조제약국, 보험약국, 문전약국으로 불리며 문전약국은 병원이나 진료소 근처에 있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이 소형 점포다. 조제약국에서 일반의약품이 판매되는 경우도 있지만 드래그스토어만큼 종류가 많지 않다. 그래서 처방전이 필요 없는 일반의약품은 조제약국보다 드래그스토어에서 구입하는 경우가 많다.

법률상 조제시설이 없는 경우 약국을 자칭할 수 없기 때문에 그러한 드러그스토어는 '○○드러그, 약의○○, ○○약품' 등의 명칭이 많다. 그러나 의약분업의 진전으로 최근에는 조제 기능을 겸비한 드러그스토어도 증가하고 있다. 조제 기능을 가지고 있는 드러그스토어에는 '조제약국'이나 '처방전 접수'라고 적혀 있다. 그런 드러그스토어에서는 처방전이 있으면 원칙적으로 어디서든 약을 받을 수 있다.

약국을 병설한 드러그스토어는 조제약국과 드러그스토어의 허가를 따로 받는 경우가 많다. 이는 모두 약국으로 허가를 받으면 영업시간 내에는 조제공간을 영업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동일 매장 내에서 조제 공간과 드러그스토어 공간으로 영업시간이 달라 조제약국 부분이 일찍 문을 닫거나 일요일이나 공휴일에 휴업하는 일이 많다.

휴지, 화장지 등 종이류, 세제, 식료품, 아기용품, 드링크제, 건강보조식품 등을 편의점이나 대형 할인점보다 싸게 판매해 집객하고 의약품과 화장품, 잡화를 판매해 이익을 얻고 있다.

점포 면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메가 드러그스토어: 600m2 이상의 거대 점포로 신선식품, 술, 냉장·냉동식품 등 마트 수준의 식품을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 슈퍼 드러그스토어: 300m2 이상의 대형 점포로 교외형 점포의 대부분은 이 형태이다.
  • 컨비니언스 드러그스토어: 100m2~300m2의 중형 점포로 주택지에서 인근 주민들이 일상적인 쇼핑을 하기에 적합하다.
  • 미니 드러그스토어: 100m2 미만의 소형 점포로 주로 노면점, 상가, 지하가, 빌딩 등의 세입자에게 출점하고 있다. 뷰티 상품에 특화되어 있는 가게도 많다.


일본의 드러그스토어 시장 규모는 8조엔을 넘고, 점포수는 2만 5,000개 정도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효과가 좋은 일반의약품이나 화장품, 과자등의 식품이 저렴하고 간편하게 살 수 있기 때문에 외국인 관광객에게도 인기이며, 특히 도쿄나 오사카 등 관광지에 있는 면세점에서는 중국어 등 외국어가 가능한 점원을 배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주요 체인점은 다음과 같다.

일본의 주요 드러그스토어 체인점과 매장 수
체인점명매장 수
웰시아 (ウエルシア/Welcia)2809개
츠루하 드럭 (ツルハドラッグ)2589개
마쓰모토키요시 (マツモトキヨシ)1878개
스기약국 (スギ薬局) / 스기드럭 (スギドラッグ)1675개
코코카라파인 (ココカラファイン)1553개
드럭 코스모스 (ドラッグコスモス)1436개
드럭 세이무스 (ドラッグセイムス/SEIMS)1126개
선 드럭 (サンドラッグ)1073개
약의 아오키 (クスリのアオキ)919개
크리에이트SD (クリエイトSD)736개
카와치약품 (カワチ薬品)323개
코쿠민 드럭 (コクミンドラッグ)192개
다이코크 드럭 (ダイコクドラッグ)130개



2009년 약사법 개정으로 등록판매자 제도가 창설되어 시험에 합격하면 약사가 아니더라도 제2류 의약품과 제3류 의약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의약품 판매에 신규로 참가하는 드러그스토어 이외의 소매업자도 나왔다.

돈키호테에서도 일반의약품을 판매하는 점포가 많이 있지만 모든 점포가 의약품을 판매하는 것은 아니어서 드러그스토어가 아닌 할인점으로 분류된다. 점포 내 한 구획에 의약품 판매 코너를 두고 있는 경우가 있으며, 제1류 의약품은 약사, 제2류 의약품과 제3류 의약품은 약사이거나 등록판매자 자격이 있는 사람이 있을 때만 구입할 수 있다.

빅카메라, 요도바시카메라 등 전자제품 전문점에서도 점포에 따라 일반의약품을 판매하는 경우가 있다. 그 외, 드러그스토어와 제휴하여 일반 의약품을 판매하거나 조제약국 병설형 편의점도 있다. 또한 일본은 인터넷을 통한 일반의약품 판매도 조건부로 허용하고 있다.

3. 대한민국의 드럭스토어

1999년 CJ올리브영신사역 앞에서 첫 점포를 연 것이 대한민국 드러그스토어의 시초이며, 더블유스토어는 약국에 가까운 형태다.[1] 2004년에는 홍콩 기업인 왓슨스GS리테일과 합작으로 한국에 진출하였지만, 2018년 3월 28일에 철수했다.[1] 현재 오프라인 매장은 CJ그룹이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1]

한국도 해외처럼 드러그스토어 진출 소식이 나왔지만, 복잡한 의약품 취급 규정 등으로 인해 큰 발전은 없다.[1] 일반의약품을 취급하지 않기 때문에 드러그스토어라기보다 화장품, 건강식품을 중심으로 한 헬스&뷰티 스토어 형태가 대부분이다.[1]

국내 주요 드럭스토어 체인은 다음과 같다.

4. 드럭스토어의 상징

약연과 약막자


처방전 마크


가퍼(:en:Gaper). 네덜란드.

참조

[1] 웹사이트 諸外国における医薬品販売制度等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科学審議会医薬品販売制度改正検討部会
[2] 뉴스 アメリカ ワクチン接種拡大へ薬局やスーパーなどに直接供給 https://www3.nhk.or.[...] NHK 2021-02-12
[3] 웹사이트 Walgreens Historical Highlights https://www.walgreen[...]
[4] 서적 ドラッグストア名鑑 2023 日本ホームセンター研究所 2024-12-15
[5] 간행물 「薬局における薬剤師不在時の一般用医薬品の取扱いの見直し」 ~「薬局」「店舗販売業」の二重申請の解消について~ https://www8.cao.go.[...] 日本チェーンドラッグストア協会 2015-11-09
[6] 간행물 2010年7月26日付クオール株式会社・ローソン株式会社プレスリリース http://www.qol-net.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