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르나 문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마르나 문서는 기원전 14세기 이집트 제18왕조 시대에 작성된 외교 서신들을 모아놓은 것이다. 이집트의 파라오 아멘호테프 3세와 아크나톤, 주변 강대국 및 가나안 도시 국가의 통치자들이 주고받은 서한 300여 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당시 근동 지역의 국제 정세와 이집트의 쇠퇴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이 문서들은 주로 아카드어로 기록되었으며, 히타이트, 미탄니, 아시리아 등과의 관계, 가나안 도시 국가들의 이집트에 대한 지원 요청 등을 담고 있다. 1887년 아마르나에서 발견되었으며, 베를린, 런던, 카이로 등 세계 각지의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이집트 관계 - 네페르티티 흉상
네페르티티 흉상은 기원전 14세기에 제작된 이집트 왕비 네페르티티의 흉상으로, 1912년 아마르나에서 발견되어 현재 독일 베를린의 노이에스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세계적인 미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아마르나 문서 | |
---|---|
개요 | |
![]() | |
종류 | 외교 서신 아카이브 |
발견 장소 | 이집트 아마르나 |
언어 | 고대 이집트어 아카드어 |
연대 | 기원전 14세기 중반 |
통치 기간 | 아멘호테프 3세 아크나톤 투탕카멘 |
내용 | 다른 왕국 통치자로부터의 서신 이집트 영토 내의 관리자로부터의 서신 |
세부 정보 | |
문자 매체 | 점토판 |
글쓰기 시스템 | 설형 문자 |
발견 | 1887년 |
발굴자 | 지역 주민 |
현재 위치 | 베를린 국립 박물관 대영 박물관 카이로 이집트 박물관 루브르 박물관 푸시킨 미술관 |
카탈로그 지정 | EA 번호 |
추가 정보 | |
연구 분야 | 고대 근동 고대 이집트 성서 고고학 |
2. 역사적 배경
윌리엄 L. 모란은 아마르나 문서의 연대기 연구에 대해, 오랜 연구에도 불구하고 상대적, 절대적 연대기에 많은 문제점이 남아있다고 지적한다. 합의는 명백하고 확실한 사실에 대해서만 이루어지며, 아마르나 문서에 반영된 사건의 전개 과정을 재구성하는 광범위한 틀을 제공할 뿐이다.[4]
내부 증거에 따르면, 이 서신들의 가장 이른 시기는 아멘호테프 3세 치세 마지막 10년, 아마도 그의 통치 30년 차(기원전 1388년에서 1351년, 또는 기원전 1391년에서 1353년)일 가능성이 있다. 가장 늦은 시기는 투탕카멘 통치 2년(기원전 1332년)에 아마르나 도시가 버려진 때이다. 모란은 일부 학자들이 EA 16번 문서가 투탕카멘의 후계자인 아이 또는 스멘크카레에게 보내졌을 수 있다고 믿는다고 언급한다.[22] 그러나 투탕카멘 2년에 기록 보관소가 닫혔고, 투탕카멘이 이집트의 수도를 아마르나에서 테베로 옮겼기 때문에 이러한 추측은 설득력이 없어 보인다.
아마르나 문서 보관소는 대략 30년, 짧게는 15년 정도에 걸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4]
2. 1. 이집트 신왕국 시대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였던 아멘호테프 4세 시대(재위: 기원전 1353년?경~기원전 1336년?경)의 외교 정책과 국제 관계를 보여주는 사료이다. 아마르나 문서는 기원전 14세기의 고대 오리엔트를 아는 데 중요한 정보원 중 하나로 여겨지며, 베를린 박물관, 대영 박물관, 카이로 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아마르나 문서는 대부분 당시 근동의 국제 공용어인 아카드어로 기록된 외교 서한으로, 이집트와 적대 관계에 있던 세력의 공격에 시달리던 약소 수장으로부터 온 것이 많으며, 황금이나 보급 물자의 지원을 호소하고 있다.[2] 피터 클레이턴(Peter A. Clayton)은 "당시 아크나톤(아멘호테프 4세)은 새로운 종교의 연마에 몰두하여 이러한 호소는 거의 무시되었다"라고 지적하였다.[2]
2. 2. 아멘호테프 3세와 아크나톤
아멘호테프 3세는 이집트 역사상 가장 풍요로운 시기를 다스렸지만,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국제 정세는 급변했다. 아크나톤은 미탄니의 왕 투쉬라타와 갈등을 겪었는데, 투쉬라타는 아크나톤이 금 조각상 대신 금박을 입힌 조각상을 보냈다고 불평했다. 이 조각상들은 투쉬라타의 딸 타두케파가 아멘호테프 3세와 결혼한 후 아크나톤과 결혼하면서 받은 신부값의 일부였다.[21]아마르나 문서에는 투쉬라타가 아크나톤에게 보낸 불평이 담겨 있다. 투쉬라타는 아멘호테프 3세가 순금 조각상을 약속했지만, 아크나톤은 나무에 금박을 입힌 조각상을 보냈고, 약속했던 다른 물품들도 크게 줄였다고 주장했다. 그는 "나의 형제의 나라에서는 금이 먼지처럼 풍부합니다."라며 아크나톤에게 더 많은 금을 보내줄 것을 요구했다.[4]
윌리엄 L. 모란에 따르면, 아마르나 문서의 연대는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지만, 대체로 30년, 짧게는 15년 정도에 걸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4] 내부 증거에 따르면, 가장 이른 시기는 아멘호테프 3세 치세의 마지막 10년이며, 가장 늦은 시기는 아마르나 도시가 버려진 투탕카멘 통치 2년(기원전 1332년)이다.
아마르나 문서의 대부분은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였던 아멘호테프 4세 시대의 외교 정책과 국제 관계를 보여주는 사료이다. 기원전 14세기의 고대 오리엔트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원 중 하나로, 베를린 박물관, 대영 박물관, 카이로 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이집트와 적대 관계에 있던 세력의 공격에 시달리던 약소 수장들은 황금이나 보급 물자의 지원을 호소하는 서한을 보냈지만, 피터 클레이턴이 지적했듯이 아크나톤은 새로운 종교에 몰두하여 이러한 호소를 거의 무시했다.
2. 3. 아마르나 문서의 발견

아마르나 문서는 1885년 아마르나에서 비료로 사용할 햇볕에 말린 벽돌의 재료를 찾던 현지 여성에 의해 우연히 발견되었다.[8] 이 문서는 원래 고고학자들이 파라오의 서신국이라고 부르는 고대 건물에 보관되어 있었다. 1891년 플린더스 페트리가 이집트 아텐 대신전 남쪽, 파라오 통신 문서 보관소 터에서 21개의 파편을 발굴하면서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9]
1903년 카이로의 프랑스 동양 고고학 연구소 소장이었던 에밀 샤시나는 두 개의 점토판을 추가로 획득했다. 크누츠존의 판본 이후, 이집트에서 발견되었거나 다양한 박물관의 소장품에서 확인된 약 24개의 점토판 또는 파편이 더 발견되었다.[10]
최초의 서한들은 독일, 영국, 이집트, 프랑스, 러시아, 그리고 미국에 있는 박물관에 흩어져 있다. 현재 아마르나 문서는 베를린의 전방아시아 박물관 (202개 또는 203개),[11] 런던의 대영 박물관 (99개),[12][13] 카이로의 이집트 박물관 (49개 또는 50개),[14]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 (7개),[15] 모스크바의 푸시킨 박물관 (3개), 시카고의 시카고 동양 연구소 (1개) 등 여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4] 몇 개의 점토판은 옥스퍼드의 애쉬몰린 박물관과 브뤼셀의 왕립 예술 및 역사 박물관에 있다.[16]
3. 주요 내용
아마르나 문서는 주로 외교 서한으로, 당시 국제 공용어였던 아카드어 설형 문자 점토판으로 작성되었다.[8] 1887년경 현지 이집트인들이 아마르나의 폐허가 된 도시에서 대부분을 비밀리에 발굴하여 골동품 시장에 판매하면서 처음 발견되었으며,[8] 1891년 이집트 고고학자인 플린더스 페트리에 의해 파라오 통신 문서 보관소 터에서 출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9]
이 기록 보관소에는 아크나톤 통치 기간과 그의 전임자 아멘호테프 3세 통치 기간 동안의 서신을 포함하여 기록 자료가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시대의 문화, 왕국, 사건, 개인에 대한 풍부한 정보가 담겨 있다. 이 점토판은 300통 이상의 외교 서한과 기타 문학 및 교육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17]
이 점토판들은 이집트와 바빌로니아, 아시리아, 시리아, 가나안, 알라시아 (키프로스)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미탄니, 히타이트 간의 관계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며, 당시의 역사와 연대기를 정립하는 데 중요하다. 바빌로니아 왕 카다쉬만-엔릴 1세의 서한은 아크나톤의 통치 시기를 기원전 14세기 중반으로 고정한다.[17]
윌리엄 L. 모란은 이 문서들의 연대기에 대한 연구를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내부 증거에 따르면, 이 서신들의 가장 이른 시기는 아멘호테프 3세 치세의 마지막 10년이며, 가장 늦은 시기는 투탕카멘 통치 2년, 아마르나 도시가 버려질 때이다.[22]
아마르나 문서는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였던 아크나톤 시대의 외교 정책과 국제 관계를 보여주는 사료로, 기원전 14세기의 고대 오리엔트를 아는 데 중요한 정보원 중 하나이다.
아마르나 문서는 1885년 아마르나에서 발견되었으며, 출토된 총수는 382점에 달한다. 대부분이 당시 근동의 국제 공용어인 아카드어로 기록되어 있다. 이집트와 적대 관계에 있던 세력의 공격에 시달리던 약소국 수장들로부터 온 것이 많으며, 황금이나 보급 물자의 지원을 호소하고 있다. 피터 클레이턴은 "당시 아크나톤(아멘호테프 4세)은 새로운 종교에 몰두하여 이러한 호소는 거의 무시되었다"라고 지적했다.[21]
아마르나 문서는 350개의 서신과 서기 양성 학교에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32개의 사전 및 문학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다.[25]
3. 1. 서한의 종류
아마르나 문서는 350개의 서신과 서기 양성 학교에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32개의 사전 및 문학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다.[25] EA1부터 EA382까지의 번호로 관리되며, 발신인으로는 바빌로니아, 아시리아, 미탄니, 아르자와, 키프로스, 히타이트, 시리아, 팔레스타인 등의 여러 국가의 지배자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아마르나 서신은 대략 시계 반대 방향으로 정치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시리아/레바논/가나안에서 온 아마르나 서신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포한다.
3. 2. 주요 국가 및 인물
국가/지역 | 인물 | 직위 및 설명 |
---|---|---|
이집트 | 아멘호테프 3세 | 파라오 |
이집트 | 아크나톤 | 파라오 |
바빌로니아 | 카다쉬만-엔릴 1세 | 왕 |
바빌로니아 | 부르나-부리아쉬 2세 | 왕 |
아시리아 | 아슈르-우발리트 1세 | 왕 |
미탄니 | 투쉬라타 | 왕 |
히타이트 | 수필룰리우마 1세 | 왕 |
가나안 비블로스 | 립-하다 | 왕, 이집트에 군사적 도움을 요청 |
가나안 예루살렘 | 압디-헤바 | 왕 |
가나안 티레 | 아비밀쿠 | 왕 |
가나안 세겜 | 라바유 | 왕 |
3. 3. 주요 사건 및 갈등
아멘호테프 4세 시대(재위: 기원전 1353년?경~기원전 1336년?경)에 작성된 아마르나 문서는 이집트 제18왕조의 외교 정책과 국제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이다. 이 문서들은 당시 근동 지역의 국제 공용어였던 아카드어로 기록되어 있으며, 기원전 14세기 고대 오리엔트 지역의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4]아마르나 문서에는 이집트와 적대 관계에 있던 세력의 공격에 시달리던 약소국 수장들이 파라오에게 황금이나 보급 물자 지원을 호소하는 내용이 많다. 그러나 피터 클레이턴이 지적했듯이, 아크나톤은 새로운 종교에 몰두하여 이러한 호소를 거의 무시했다.[21]
아크나톤은 통치 초기 히타이트에 대항하여 아버지 아멘호테프 3세와 관계를 맺었던 미탄니의 왕 투쉬라타와 갈등을 겪었다. 투쉬라타는 아크나톤이 금 조각상 대신 금박을 입힌 조각상을 보냈다고 불평하며, 많은 금을 보내줄 것을 요구하는 편지를 보냈다.
4. 가나안 도시 국가들의 상황
아마르나 문서의 상당수는 가나안 도시 국가들의 왕들이 이집트 왕에게 보낸 서한으로, 이들은 이집트의 지원을 절실히 요청하고 있다. 1993년 발굴된 작고 손상된 점토 원통에는 "아마르나 설형 문자"가 새겨져 있었고, 아마르나 문서의 일부로 보이는 편지가 담겨 있었다.[18]
rabâjaakk에게. Tagiakk가 말한다. 나의 주 왕(파라오)께: 당신이 내게 보낸 서신을 주의 깊게 들었습니다...(판독 불가)[19][20]
4. 1. 비블로스의 립-하다
리브-하다 서신에는 ''우리 안의 새 (함정)''이라는 표현이 있다. 리브-하다는 구블라(비블로스)에 갇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었다.[18]lā a-ra-ku|라 아라쿠akk(아카드어)
:''"경작자가 없으니, 내 밭은 남편 없는 여자와 같소."'' — 리브-하다 서신 EA 75
"그리고 국왕(파라오)은 태양처럼 하늘에서 건강하다는 것을 알아두시오. 그의 군대와 많은 전차들은 모두 잘 되어가고 있습니다…" — 엔다루타의 '약식 형태', 밀키루의 '장식 형태'에서 참조. EA 99 (제목: ''"파라오가 신하에게"''(수신자 손상))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4. 2. 예루살렘의 압디-헤바
1993년 발굴 당시 작고 손상된 점토 원통(처음에는 원통형 인장으로 생각됨)이 발견되었다. 이 원통에는 "아마르나 설형 문자"가 새겨져 있었고, 아마르나 문서의 일부로 보이는 편지가 담겨 있었다.[18]rabâjaakk에게. Tagiakk가 말한다. 나의 주 왕(파라오)께: 당신이 내게 보낸 서신을 주의 깊게 들었습니다...(판독 불가)[19][20]
:"나는 이쪽을 보았고, 저쪽을 보았지만 빛이 없었다. 그러다 나의 주군이신 왕을 바라보니 빛이 비추었다."—타기 (긴티 시장)의 EA 266; 야티루의 EA 296.
4. 3. 티레의 아비밀쿠
아비밀쿠는 히타이트와 하비루의 위협 속에서 이집트에 군사적 도움을 요청했다.[18]4. 4. 세겜의 라바유
1993년 발굴된 작고 손상된 점토 원통(처음에는 원통형 인장으로 생각됨)에는 "아마르나 설형 문자"가 새겨져 있었고, 아마르나 서신의 일부로 보이는 편지가 담겨 있었다.[18]Ta-gi|타기akk가 La-ba-ya|라바야akk에게 보낸 편지에는 "나의 주 왕(파라오)께: 당신이 내게 보낸 서신을 주의 깊게 들었습니다...(판독 불가)"라는 내용이 적혀있다.[19][20]
5. 하비루(아피루)
아마르나 문서에는 하비루(아피루)라는 집단이 자주 등장하는데, 이들은 도시를 약탈하고 농촌을 파괴하는 등 가나안 지역의 혼란을 가중시켰다.
5. 1. 하비루의 정체
하비루는 특정 민족을 지칭하는 용어가 아니라, 사회에서 소외된 계층이나 도적 집단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 학자들은 하비루와 히브리인을 연결시키기도 하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다.6. 이집트의 쇠퇴와 국제 정세 변화
아마르나 문서는 이집트 제18왕조 아멘호테프 4세 (재위: 기원전 1353년?경~기원전 1336년?경) 시대의 외교 정책과 국제 관계를 보여주는 사료이다. 기원전 14세기 고대 오리엔트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원 중 하나로, 베를린 박물관, 대영 박물관, 카이로 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1885년 아마르나에서 발견되었으며, 1891년 플린더스 페트리에 의해 파라오 통신 문서 보관소 터에서 출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총 382점의 문서가 발견되었으며, 대부분 당시 근동의 국제 공용어인 아카드어로 기록된 외교 서한이다. 이집트와 적대 관계에 있던 세력의 공격에 시달리던 약소 수장들이 황금이나 보급 물자 지원을 호소하는 내용이 많다. 그러나 아크나톤은 새로운 종교에 몰두하여 이러한 호소를 거의 무시했다.[1]
6. 1. 히타이트의 부상




히타이트는 수필룰리우마 1세 때 시리아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며 이집트와 충돌했다. 아마르나 문서 EA 15, 아슈르-우발리트 1세의 문서, 아마르나 문서 EA 153 참조.[1]
6. 2. 미탄니의 쇠퇴
이집트의 파라오 아크나톤은 초기 통치 시절, 히타이트에 대항하기 위해 아버지 아멘호테프 3세와 관계를 맺었던 미탄니의 왕 투쉬라타와 갈등을 겪었다. 투쉬라타는 아크나톤이 금으로 된 조각상 대신 금박을 입힌 조각상을 보냈다고 여러 편지에서 불만을 토로했다. 이 조각상들은 투쉬라타가 그의 딸 타두케파를 아멘호테프 3세와 결혼시킨 후 아크나톤과 결혼하도록 허락하면서 받은 신부값의 일부였다.[21]아마르나 문서에는 투쉬라타가 아크나톤에게 이 상황에 대해 불평하는 내용이 보존되어 있다.[4]
>나는... 당신의 아버지 미무레야[즉, 아멘호테프 3세]에게 순금으로 된 조각상을 요청했습니다. ... 그리고 당신의 아버지는 '순금으로만 된 조각상에 대해 말하지 마시오. 청금석으로 만든 조각상도 줄 것이오. 조각상과 함께 측정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금과 [다른] 물품도 줄 것이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집트에 머물고 있던 나의 모든 사신들은 조각상에 사용될 금을 직접 보았습니다. ... 그러나 나의 형제[즉, 아크나톤]는 당신의 아버지가 보내려고 했던 순금 조각상을 보내지 않았습니다. 당신은 나무에 금박을 입힌 조각상을 보냈습니다. 또한 당신의 아버지가 보내려고 했던 물품도 보내지 않았고, 그것들을 크게 줄였습니다. 그러나 내가 나의 형제에게 잘못한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 나의 형제가 나에게 많은 금을 보내주기를 바랍니다. ... 나의 형제의 나라에서는 금이 먼지처럼 풍부합니다. 나의 형제가 나를 괴롭히지 않기를 바랍니다. 나의 형제가 금과 많은 [좋은] 물품으로 나를 존경할 수 있도록 많은 금을 보내주기를 바랍니다.[4]
7. 아마르나 문서의 의의
아마르나 문서는 기원전 14세기 고대 오리엔트의 외교 정책과 국제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이다. 이 문서는 당시 파라오였던 아멘호테프 4세 시대의 외교 정책과 국제 관계를 보여주는 자료로, 기원전 14세기의 고대 오리엔트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원 중 하나로 여겨진다.[4]
이 문서들은 주로 이 시대의 지역 외교 언어인 아카드어로 쓰인 설형 문자 점토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1885년 아마르나에서 비료로 사용할 햇볕에 말린 벽돌의 재료를 찾던 현지 여성에 의해 우연히 발견되었으며, 1891년 이집트 고고학자인 플린더스 페트리에 의해 아텐 대신전 남쪽, 파라오 통신 문서 보관소 터에서 출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8][9]
아마르나 문서는 300통 이상의 외교 서한과 기타 문학 및 교육 자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집트와 바빌로니아, 아시리아, 시리아, 가나안, 알라시아 (키프로스)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미탄니, 히타이트 간의 관계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이 서한들은 당시의 역사와 연대기를 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예를 들어, 바빌로니아 왕 카다쉬만-엔릴 1세의 서한은 아크나톤의 통치 시기를 기원전 14세기 중반으로 고정한다.[17]
또한, 이 서한에는 ''하비루''로 알려진 근동 집단이 처음 언급되어 있는데, 이들의 단어 유사성과 지리적 위치 때문에 히브리인과의 연관성에 대한 논쟁이 여전히 진행 중이다. 이 서한과 관련된 다른 통치자로는 미탄니의 투쉬라타, 세겜의 리바유, 예루살렘의 압디-헤바, 그리고 비블로스의 왕 립-하다 등이 있다.[17]
윌리엄 L. 모란은 아마르나 문서의 연대기에 대한 연구를 요약하며, 이 문서 보관소가 대략 30년, 어쩌면 15년에 불과하다고 언급했다.[4] 내부 증거에 따르면, 이 서신들의 가장 이른 시기는 아멘호테프 3세 치세의 마지막 10년이며, 가장 늦은 시기는 투탕카멘 통치 2년, 아마르나 도시가 버려진 시기이다.[22]
현재 아마르나 문서는 베를린 박물관, 대영 박물관, 카이로 박물관 등 세계 각국의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집트와 적대 관계에 있던 세력의 공격에 시달리던 약소 수장으로부터 온 것이 많으며, 황금이나 보급 물자의 지원을 호소하고 있다. 피터 클레이턴이 "당시 아크나톤(아멘호테프 4세)은 새로운 종교의 연마에 몰두하여 이러한 호소는 거의 무시되었다"라고 지적했듯이 그 대부분이 수신 기록이었다.
8. 아마르나 문서 목록
아마르나 문서는 아카드어로 쓰인 설형 문자 점토판으로, 1887년 이집트 현지인들이 처음 발견하였다. 플린더스 페트리가 1891년과 1892년에 21개의 파편을 발굴하였고, 에밀 샤시나는 1903년에 두 개의 점토판을 추가로 획득했다.[9][10] 이 문서들은 독일, 영국, 이집트, 프랑스, 러시아, 미국 등 여러 나라 박물관에 흩어져 있다.[4]
이 기록 보관소에는 아크나톤과 아멘호테프 3세 통치 기간 동안의 서신이 포함되어 있으며, 300통 이상의 외교 서한과 기타 문학 및 교육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17] 이 점토판들은 이집트와 바빌로니아, 아시리아, 시리아, 가나안, 알라시야 (키프로스), 미탄니, 히타이트 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17]
아마르나 문서는 대략 시계 반대 방향으로 정치적으로 배열되어 있다.[4]
시리아, 레바논, 가나안에서 온 아마르나 서신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포한다.[4]
EA# | 수신자에게 보낸 편지 작성자 |
---|---|
EA# 1 | 아멘호테프 3세가 바빌론의 왕 카다쉬만-엔릴에게 |
EA# 2 | 바빌론의 왕 카다쉬만-엔릴이 아멘호테프 3세에게 |
EA# 3 | 바빌론의 왕 카다쉬만-엔릴이 아멘호테프 3세에게 |
EA# 4 | 바빌론의 왕 카다쉬만-엔릴이 아멘호테프 3세에게 |
EA# 5 | 아멘호테프 3세가 바빌론의 왕 카다쉬만-엔릴에게 |
EA# 6 | 바빌론의 왕 부르나-부리아쉬 2세가 아멘호테프 3세에게 |
EA# 7 | 바빌론의 왕 부르나-부리아쉬 2세가 아멘호테프 4세에게 |
EA# 8 | 바빌론의 왕 부르나-부리아쉬 2세가 아멘호테프 4세에게 |
EA# 9 | 바빌론의 왕 부르나-부리아쉬 2세가 아멘호테프 4세에게 |
EA# 10 | 바빌론의 왕 부르나-부리아쉬 2세가 아멘호테프 4세에게 |
EA# 11 | 바빌론의 왕 부르나-부리아쉬 2세가 아멘호테프 4세에게 |
EA# 14 | 아멘호테프 4세가 바빌론의 왕 부르나-부리아쉬 2세에게 |
EA# 15 | 아시리아 왕 아슈르-우발리트 1세가 아멘호테프 4세에게 |
EA# 16 | 아시리아 왕 아슈르-우발리트 1세가 아멘호테프 4세에게 |
EA# 17 | 미탄니 왕 투쉬라타가 아멘호테프 3세에게 |
EA# 18 | 미탄니 왕 투쉬라타가 아멘호테프 3세에게 |
EA# 19 | 미탄니 왕 투쉬라타가 아멘호테프 3세에게 |
EA# 20 | 미탄니 왕 투쉬라타가 아멘호테프 3세에게 |
EA# 21 | 미탄니 왕 투쉬라타가 아멘호테프 3세에게 |
EA# 22 | 미탄니 왕 투쉬라타가 아멘호테프 3세에게 |
EA# 23 | 미탄니 왕 투쉬라타가 아멘호테프 3세에게 |
EA# 24 | 미탄니 왕 투쉬라타가 아멘호테프 3세에게 |
EA# 25 | 미탄니 왕 투쉬라타가 아멘호테프 3세에게 |
EA# 26 | 미탄니 왕 투쉬라타가 티이에게 |
EA# 27 | 미탄니 왕 투쉬라타가 아멘호테프 4세에게 |
EA# 28 | 미탄니 왕 투쉬라타가 아멘호테프 4세에게 |
EA# 29 | 미탄니 왕 투쉬라타가 아멘호테프 4세에게 |
EA# 31 | 아멘호테프 3세가 아르자와 왕 타르훈다라바에게 |
EA# 32 | 아르자와 왕 타르훈다라바가 아멘호테프 3세에게 |
EA# 35 | 알라시야 왕이 이집트 왕에게 |
EA# 53 | 카트나 왕 아키지가 아멘호테프 3세에게 |
EA# 59 | 투니프 사람들이 파라오에게 |
EA# 75 | 비블로스 왕 립-아디가 이집트 왕에게 |
EA# 86 | 비블로스 왕 립-아디가 이집트 관리 아마나파에게 |
EA#100 | 이르카타시가 이집트 왕에게 |
EA#144 | 시돈의 통치자 짐레다다가 이집트 왕에게 |
EA#147 | 티레 왕 아비밀키가 이집트 왕에게 |
EA#149 | 티레 왕 아비밀키가 이집트 왕에게 |
EA#153 | 티레 왕 아비밀키가 이집트 왕에게 |
EA#156 | 아무르 왕국 왕 아지루가 파라오에게 |
EA#157 | 아무르 왕국 왕 아지루가 파라오에게 |
EA#158 | 아무르 왕국 왕 아지루가 두두에게 |
EA#161 | 아무르 왕국 왕 아지루가 파라오에게 |
EA#170 | 바-알루이아 & 바티일루가 왕에게 |
EA#205 | 구부 왕자가 왕에게 |
EA#223 | 엔구타가 왕에게 |
EA#245 | 메기도 왕 비리디야가 파라오에게 |
EA#248 | 메기도 왕 비리디야가 파라오에게 |
EA#252 | 라바야가 왕에게 |
EA#254 | 라바야가 왕에게 |
EA#256 | 무트-발루가 이아함무에게 |
EA#270 | 게젤 시장 밀킬루가 파라오에게 |
참조
[1]
웹사이트
The Amarna Tablets
https://humanities.t[...]
Tel Aviv University
2019-01-13
[2]
서적
Die El-Amarna-Tafeln
https://archive.org/[...]
Hinrichs
[3]
서적
Die El-Amarna-Tafeln
https://archive.org/[...]
Hinrichs
[4]
서적
The Amarna Letters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
간행물
Cuneiform in Egypt: The el-Amarna Letters
https://orbi.uliege.[...]
Stéphane Polis (ed.) Guide to the Writing Systems of Ancient Egypt
2023
[6]
간행물
Die Sprache der Amarnabriefe, mit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r Kanaanismen
https://archive.org/[...]
Leipzig
1909
[7]
간행물
Canaanite in Cuneiform
http://img2.timg.co.[...]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2004
[8]
간행물
The Tell Amarna tablets
https://archive.org/[...]
Macmillan, London; New York
1893
[9]
간행물
Tell el Amarna
https://archive.org/[...]
Methuen & co, London
1894
[10]
서적
The El-Amarna Correspondence: A New Edition of the Cuneiform Letters From the Site of El-Amarna Based On Collations of All Extant Tablets
Brill, Boston
2014
[11]
간행물
Der Thontafelfund von el-Amarna
https://archive.org/[...]
W. Spemann, Berlin
1889
[12]
간행물
The Tell el-Amarna tablets in the British Museum with autotype facsimiles
https://archive.org/[...]
British Museum
1892
[13]
웹사이트
Collection
https://www.britishm[...]
[14]
간행물
The cuneiform tablets of Tel el-Amarna, now preserved in the Boulaq Museum
Proceedings of the Society of Biblical Archaeology
1888-89
[15]
서적
El Amarna Tablets 359–379
Kevelaer: Butzon & Bercker; Neukirchen-Vluyn, Neukirchener Verlag des Erziehungsvereins
1970
[16]
서적
The Verb in the Amarna Letters from Canaan
Penn State University Press, University Park, US
2021
[17]
웹사이트
El-Amarna Tablets
http://wsrp.usc.edu/[...]
[18]
간행물
Handbook of Amarna Cuneiform Palaeography: A Project Update
https://journals.uai[...]
Journal of Ancient Egyptian Interconnections
2016
[19]
간행물
An Inscribed Clay Cylinder From Amarna Age Beth Shean
Israel Exploration Journal
1996
[20]
간행물
The Amarna Age Inscribed Clay Cylinder from Beth-Shean
The Biblical Archaeologist
1997
[21]
간행물
Tushratta’S Requests to the Pharaohs
https://repository.b[...]
Springer Netherlands, Dordrecht, How People Negotiate: Resolving Disputes in Different Cultures
2003
[22]
서적
The coregency of Akhenaten and Smenkhkar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Toronto, History and Chronology of the Eighteenth Dynasty of Egypt: Seven Studies
1967
[23]
문서
미탄니어, 히타이트어 관련 내용
[24]
문서
"#クレイトン2006, p.163"
[25]
문서
"#地中海学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