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르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르곤은 기원전 24세기경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아카드 제국을 건설한 인물이다. "왕이 세워졌다"는 의미의 아카드어 이름 'Šarru-ukīn'으로 불리며, 다양한 기록과 전설을 통해 알려져 있다. 사르곤은 키시의 왕 우르자바바의 술 따르는 자에서 권력을 잡고, 수메르를 통일하여 최초의 제국을 건설했다. 그의 통치 기간은 정확하지 않지만, 40년에서 56년 사이로 추정되며, 엘람, 마리, 에블라 등지를 정복하고, 34개의 도시를 통합했다. 사르곤은 자신의 출생에 대한 전설과 함께, 후대 왕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4세기 통치자 - 테티
    테티는 이집트 제6왕조의 파라오로, 내정 안정을 위해 결혼을 통해 세력을 억제하고 관료제 개혁을 시도했으며, 재위 13년 차에 암살당했다.
  • 기원전 24세기 통치자 - 페피 1세
    페피 1세는 이집트 제6왕조의 파라오로, 40년 이상 통치하며 지방 행정 개편, 건축 활동, 누비아와 가나안 지역으로의 군사적 확장을 추진했고 하렘 음모 사건을 겪었으며 사후 장례 숭배가 이루어졌다.
  • 기원전 23세기 통치자 - 루갈자게시
    루갈자게시는 기원전 24세기경 수메르 도시 국가들을 정복하고 통일하여 최초의 왕국을 건설한 움마 출신의 왕으로, "국토의 왕"을 자처하며 세력을 확장했으나 아카드 왕 사르곤에게 패배하여 왕국이 멸망했다.
  • 기원전 23세기 통치자 - 페피 2세
    페피 2세는 6세에 이집트 파라오로 즉위하여 약 94년간 통치하며 고왕국의 쇠퇴, 지방 세력 부상, 중앙 정부 통제력 약화 등의 특징을 보였고, 어린 시절 어머니와 재상의 보좌를 받았으며, 사카라에 피라미드 단지를 건설했다.
  • 아카드의 왕 - 나람신
    나람신은 기원전 23세기 아카드 제국의 왕으로, 정복 활동을 통해 제국 최대 영토를 건설하고 중앙 집권 정책과 신격화를 추진했으나 반란에 직면했으며, 그의 치세는 제국의 번영과 멸망에 대한 전설로 남았다.
  • 아카드의 왕 -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왕들이 사용한 칭호로, 수메르와 아카드 지역을 통합하거나 지배했음을 나타내며, 우르남무에 의해 처음 사용되어 다양한 통치자들이 사용했다.
사르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사르곤 (아카드)
원어 이름 (아카드어)(Šarrugi)
사르곤 전승비에 조각된 사르곤의 부조
사르곤 전승비에 조각된 사르곤의 부조, 앞에 "사르곤 왕" ( Šar-ru-gi lugal)이라고 세로로 새겨져 있음
통치
칭호아카드의 왕
수메르의 왕
우주의 왕
재위기원전 2334년 – 2279년 (MC, 중간 연대기)
이전 통치자없음 (추정)
후임 통치자리무시
가계
아버지라이붐
배우자타슐룰툼
자녀마니시투슈
리무시
엔헤두안나
이바룸
아바이시-타칼
왕조
왕조아카드 (사르곤)

2. 이름

아카드어로 된 사르곤의 이름은 'Šarru-ukīn' 또는 'Šarru-kēn'으로 표기되며, "왕이 (안정을) 세웠다" 또는 "왕이 세워졌다; 정당하다"라는 의미로 해석된다.[16] '사르곤'이라는 표기는 히브리어 성경의 이사야 20:1에 סַרְגוֹןhe으로 (사르곤 2세를 언급하며) 단 한 번 언급된 데에서 유래되었다.[12]

승전비에는 사르곤( ''Šar-ru-gi lugal'')이라고 표기되어 있다.[9][34][37] 고(古) 바빌로니아 왕조 시대의 사르곤 전설과 관련된 점토판에는 그의 이름이 ''Šar-ru-um-ki-in''으로 기록되어 있다.[11]

"사르곤 이전"과 "사르곤 이후"라는 용어는 아카드 출신 사르곤의 역사적 실존이 확인되기 전 나보니두스의 연대기에 기초하여 아시리아학에서 사용되었다.

2. 1. 어원

아카드어 이름은 ''Šarru-ukīn'' 또는 ''Šarru-kēn''으로 표기된다. 이름의 첫 번째 요소는 '왕'을 뜻하는 아카드어(동셈어) ''šarru''이다. 두 번째 요소는 '확정하다, 세우다'라는 의미의 동사 ''kīnum''에서 파생되었다.[13] ''Šarru-ukīn''은 "왕이 (안정을) 세웠다" 또는 "그[신]가 왕을 세웠다"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3. 연대기

아가데 제국 영토. 나람신 치세.


사르곤에 대한 주요 자료는 희소하다. 주요 근접 동시대 참고 자료는 다양한 버전의 ''수메르 왕 목록''이다. 여기서 사르곤은 정원사의 아들이자 키시의 우르자바바의 이전 술 따르는 자로 언급된다. 그는 우루크루갈자게시로부터 왕위를 찬탈하여 자신의 도시인 아카드로 가져갔다.[21]

사르곤의 통치 기간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중기 연대기에 따르면 그의 통치는 기원전 2334~2279년에 해당한다. 그러나, 저(低) 연대설이나 고(高) 연대설을 채택한 경우에는 수십 년 단위로 재위 연도가 달라진다. ''수메르 왕 목록''의 다양한 사본은 그의 통치 기간을 40년 또는 54~56년으로 기록한다.[22] 포스터(1982)는 사르곤의 통치 기간을 55년으로 읽는 것은 사실 37년이라는 원래 해석의 오류라고 주장했다. 왕 목록의 이전 버전은 사르곤의 통치 기간을 40년으로 기록하고 있다.[25]

사르곤의 재위 기간 중 확인된 연호는 단 네 개뿐이며, 엘람, 마리, 시무룸, 우루아/아라와(서부 엘람)에 대한 그의 원정을 묘사하고 있다.[31]

연호
시무룸 원정
우루아/아라와(엘람 서부) 파괴
엘람 파괴
마리 파괴



Šarru-kīnu|사르곤akk의 알려진 재위 연호.[32][33]

4. 사료

사르곤 통치 시대의 동시대 자료는 제한적이다. 라가시움마 등에서 출토된 설형 문자 문서가 있지만, 연대 결정이 어려워 정보가 부족하다.

니푸르엔릴 신전에 새겨진 비문을 바빌로니아 시대에 베껴 쓴 것이 현존하며, 사르곤의 업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사르곤은 고대 오리엔트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왕 중 한 명이었기 때문에, 그에 관한 수많은 전설이야기, 문학 작품이 남아 있지만, 그것들이 어느 정도 사실에 기반하고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이러한 조건 때문에, 그의 인지도나 업적에 비해 그의 치세에 대해 정확히 알 수 있는 것은 매우 제한적이다.[41][42][43]

5. 생애

사르곤의 출생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후대에 전해지는 전설에 따르면 그는 여사제의 사생아로 태어나 강에 버려졌다가 정원사에게 발견되어 자랐다고 한다.[48] 그는 아카드 시에서 왕위를 확립한 후, 수메르의 여러 도시를 통합하고 있던 우루크루갈자게시를 공격하여 포로로 잡고 수메르와 아카드를 통일하였다. 또한 엘람 지방에 원정하여 아완 왕조(현재 로레스탄 주) 왕을 중심으로 연합한 4명의 엘람 왕을 무찌르고, 그 북쪽 이웃인 시므룸도 제압했다.

마리, 에블라, 아나톨리아 남동부 "은의 산"(토로스 산맥), "레바논 삼나무의 숲"(아마누스)을 정복했다는 서방 원정 이야기가 있으나, 그의 손자 나람신의 업적과 유사하여 나람신의 업적이 사르곤에게 투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업적을 통해 그는 "위의 바다(지중해)에서 아래의 바다(페르시아만)까지 정복한 왕"으로 기록되며, 그가 만든 영역은 역사상 최초의 제국으로 평가받는다.

엔헤두안나는 우르 시의 달의 신 난나의 신관이 되어 찬가 등 다양한 문학 작품을 남겼으며, 사르곤의 통치 이후 아들 림무쉬가 아카드 왕위를 계승했다.

5. 1. 권력 장악

사르곤은 키시의 왕 우르자바바를 섬기다가 독립하여 아카드를 건설했다. 그는 자신의 비문에 "아카드의 왕 사르곤, 이난나의 감독관, 키시의 왕, 아누의 도유자, 땅의 왕, 엔릴의 총독"이라고 스스로를 칭했다.[44][45][46]

이후 수메르의 여러 도시를 규합하고 있던 우루크의 왕 루갈자게시를 공격하여 전투에서 승리하고, 그를 포로로 잡아 "목에 칼라를 채워 엔릴의 문으로" 끌고 갔다.[44][45][46][47]

사르곤은 우르, 에-닌마르를 정복하고 라가시에서 바다에 이르는 영토를 "황폐화"시켰으며, 우마를 정복하고 파괴했다.[48] 그는 바다에서 자신의 무기를 씻는 의식을 행하였다.[48]

5. 2. 정복 활동

사르곤은 엘람 지방에 원정하여 아완 왕조를 중심으로 연합한 엘람 왕들을 정복하고, 그 북쪽 이웃인 시므룸도 제압했다.[48]

서쪽으로는 마리, 에블라, 아나톨리아 남동부의 "은의 산"(토로스 산맥), "레바논 삼나무의 숲"(아마누스)을 정복했다.[48] 다만, 이러한 서방 원정 설화는 그의 손자인 아카드 왕 나람신의 업적과 매우 유사하며, 나람신의 업적이 사르곤에게 투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업적을 통해 그는 "위의 바다(지중해)에서 아래의 바다(페르시아만)까지 정복한 왕"으로 기록되며,[48] 그가 만든 이 영역은 사상 최초의 제국이라고 한다.

5. 3. 니푸르 비문

1890년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원정대가 니푸르에서 발견한 고(古) 바빌로니아 왕조 시대 점토판(두 조각)에는 사르곤이 엔릴 신전에 세운 조각상의 받침대에 새겨진 비문의 사본이 기록되어 있다.[41][42][43] 이 비문에서 사르곤은 자신을 "아카드 왕, 이난나의 감독관(''mashkim''), 키시 왕, 아누의 도유자(''guda''), [메소포타미아] 땅의 왕, 엔릴의 총독(''ensi'')"이라고 칭한다.

비문에는 우루크 정복과 루갈자게시의 패배가 기록되어 있다. 사르곤은 루갈자게시를 "목에 칼라를 채워 엔릴의 문으로" 끌고 갔다.[44][45][46]

사르곤은 우르와 에-닌마르를 정복하고 라가시에서 바다에 이르는 영토를 "황폐화"시켰으며, 우마를 정복하고 파괴했다.[48]

사르곤은 (레반트 신) 다간에게 복종하며 상 메소포타미아와 레반트 지역을 정복했는데, 여기에는 마리, 야르무티(야르무스?) 및 이블라가 포함되었으며 "삼나무 숲(아마누스)까지, 은산(알라다그)까지" 정복하여 "상해"(지중해)에서 "하해"(페르시아만)까지 통치했다.[49][48]

사르곤은 또한 자신을 "세계의 왕, 엘람과 파라쉬움의 정복자"라고 칭하고 있는데, 이는 수메르 동쪽에 위치한 두 개의 주요 정치체였다.[48] 그는 "엘람의 왕, 히시브라시니의 아들 루흐-uh-ish-an"이나 "파라쉬움의 장군 시드가'우"와 같이 정복한 통치자들의 이름을 언급한다.[48]

5. 4. 제국 건설

사르곤은 아카드 시에서 왕위를 확립한 후, 수메르의 여러 도시를 규합하고 있던 우루크루갈자게시를 공격하여 포로로 잡았다. 이로써 수메르와 아카드를 통일했다. 또한 엘람 지방에 원정하여 아완 왕조영어 왕(현재 로레스탄 주)을 중심으로 연합한 4명의 엘람 왕을 타도하여 정복하고, 그 북쪽 이웃인 시므룸도 제압했다.[37][52]

아카드 제국 사르곤의 수행원 중 도끼를 든 아카드 관리


그 후 서방 원정에 나서 마리를 시작으로 에블라, 아나톨리아 남동부의 "은의 산"(토로스 산맥), "레바논 삼나무의 숲"(아마누스)을 정복했다. 다만, 이러한 서방 원정 설화는 그의 손자인 아카드 왕 나람신의 업적과 매우 유사하며, 나람신의 업적이 사르곤에게 투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업적을 통해 그는 "위의 바다(지중해)에서 아래의 바다(페르시아만)까지 정복한 왕"으로 기록된다. 그리고 그가 만든 이 영역은 사상 최초의 제국이라고 한다. 이러한 기술은 루갈자게시의 그것을 답습한 것으로 보인다.

''전투의 왕''의 이야기는 상인들을 보호하기 위해 사르곤이 아나톨리아 도시 푸루산다를 상대로 벌인 원정을 이야기한다. 이 이야기의 히타이트어와 아카드어 버전이 모두 발견되었다. 히타이트어 버전은 6개의 단편으로 존재하며, 아카드어 버전은 아르마나, 아수르, 니네베에서 발견된 여러 필사본으로 알려져 있다.[53][54][55][56][57][58]

5. 5. 말년

Šarru-kīnuakk의 통치 말년에는 제국이 기근과 전쟁으로 위협받았고,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초기 왕들의 연대기'에는 Šarru-kīnuakk이 반란을 진압했지만, 그의 악행 때문에 마르두크 신이 분노하여 백성을 기근으로 파괴했다는 기록이 있다.[60] and [61]

6. 가족

아카드 사르곤 가계도


사르곤의 주요 아내는 타쉴룰툼 왕비였다.[74][75] 그의 딸 엔헤두안나우르의 달 신의 최고 여사제로, 의례적인 찬가를 작곡했다.[76] 그녀의 작품 중 다수는, 특히 그녀의 ''이난나 찬가''는 수 세기 동안 사용되었다.[77][78] 사르곤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 리무쉬가 왕이 되었고, 리무쉬가 죽은 후에는 또 다른 아들 마니슈투슈가 왕이 되었다. 마니슈투슈는 그의 아들 나람-신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슈-엔릴(이바룸)과 일라바이스-타칼(아바이스-타칼)이라는 두 아들이 더 알려져 있다.[79]

7. 유산

사르곤은 아카드 시에서 왕위를 확립한 후, 수메르의 여러 도시를 규합하고 있던 우루크루갈자게시를 공격하여 포로로 잡았다. 이로써 수메르와 아카드를 통일했다. 또한 엘람 지방에 원정하여 아완 왕조|아완 왕조영어 왕(현재 로레스탄 주)을 중심으로 연합한 4명의 엘람 왕을 타도하여 정복하고, 그 북쪽 이웃인 시므룸도 제압했다.[38][39][40]

그 후 서방 원정에 나서 마리를 시작으로 에블라, 아나톨리아 남동부의 "은의 산"(토로스 산맥), "레바논 삼나무의 숲"(아마누스)을 정복했다. 다만, 이러한 서방 원정 설화는 그의 손자인 아카드 왕 나람신의 업적과 매우 유사하며, 나람신의 업적이 사르곤에게 투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업적을 통해 그는 "위의 바다(지중해)에서 아래의 바다(페르시아만)까지 정복한 왕"으로 기록된다. 그리고 그가 만든 이 영역은 사상 최초의 제국이라고 한다. 이러한 기술은 루갈자게시의 그것을 답습한 것으로 보인다.

딸인 엔헤두안나는 우르 시의 달의 신 난나의 신관이 되어 찬가 등 다양한 문학 작품을 남겼다. 사르곤의 긴 치세 이후, 아들인 림무쉬가 아카드 왕위를 계승했다.

8. 사르곤 전설

사르곤은 미천한 출신에서 메소포타미아를 정복하기까지의 과정을 묘사하는 여러 전설의 주인공이다. 후대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 문헌에 이러한 전설들이 기록되어 있다. 사르곤 자신이 남긴 많은 비문도 존재하지만, 대부분은 후대의 사본을 통해서만 알려져 있다.[63] 루브르 박물관에는 수사(Susa)에서 발견된 사르곤 승전비 조각 두 점이 보관되어 있는데, 이는 기원전 12세기에 슈트루크 나훈테(Shutruk-Nakhunte) 시대에 메소포타미아에서 옮겨진 것으로 추정된다.[64]

사르곤 시대의 동시대 자료는 제한적이다. 라가시움마 같은 도시에서 동시대의 설형 문자 문서가 발견되었지만, 연대 측정이 어려워 얻을 수 있는 정보는 매우 적다. 니푸르의 엔릴 신전에 새겨진 비문을 바빌로니아 시대에 베껴 쓴 것이 현존하여, 그의 업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사르곤은 고대 오리엔트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왕 중 한 명이었기에, 그에 관한 수많은 전설이야기, 문학 작품이 남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록들이 어느 정도 사실에 기반하고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이러한 이유로, 사르곤의 명성과 업적에도 불구하고 그의 통치에 대해 정확히 알 수 있는 것은 매우 제한적이다.

8. 1. 수메르 전설

사르곤의 수메르어 전설은 사르곤이 어떻게 권력을 얻게 되었는지를 이야기하는 전설이다. 이 전설은 이전에 알려진 아시리아 전설보다 더 오래된 버전으로, 1974년 니푸르에서 발견되었다.[11]

현존하는 버전은 완전하지 않지만, 남아있는 부분을 통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 수 있다. 사르곤의 아버지는 라'이붐이었다. 키시의 왕 우르-자바바는 꿈을 꾸고 깨어나는데, 꿈의 내용은 전해지지 않는다. 알 수 없는 이유로 우르-자바바는 사르곤을 자신의 술잔을 받드는 자로 임명한다. 얼마 후 우르-자바바는 사르곤을 불러 그의 꿈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그 꿈에는 여신 이난나가 사르곤을 총애하고 피의 강에서 우르-자바바를 익사시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66]

몹시 두려워진 우르-자바바는 대장장이에게 사르곤을 죽이라고 명령하지만, 이난나가 사르곤이 "피로 오염되었다"는 이유로 성문에서 멈추게 하여 이를 막는다. 사르곤이 우르-자바바에게 돌아오자 왕은 다시 두려워져 사르곤을 우루크의 왕 루갈-자게-시에게 보내기로 결정하고, 점토판에 사르곤을 죽이라는 명령을 적어 보낸다.[67] 전설은 이 부분에서 끊어지지만, 아마도 누락된 부분에서는 사르곤이 왕이 된 과정을 설명했을 것으로 추정된다.[68]

왕의 꿈에 대한 해석은 요셉의 성경 이야기와 비슷하며, 사자를 죽이라는 편지에 대한 부분은 벨레로폰의 그리스 이야기, 히타이트인 우리아의 성경 이야기와 유사하다.[69]


8. 2. 출생 전설 (신아시리아 전설)

기원전 7세기 신아시리아 문헌에 따르면, 사르곤은 여사제의 사생아였다. 그의 출생과 어린 시절은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

이러한 사르곤 출생 전설은 모세, 카르나, 오이디푸스 등 고대 문학의 다른 유아 출생 노출 이야기와 유사성을 보인다. 정신분석학자 오토 랭크는 1909년 저서 ''영웅의 탄생 신화''에서 이러한 유사성을 언급했다.[70] 조지프 캠벨도 비슷한 비교를 했다.[71]

아시리아 사르곤 전설 삽화(1913): 정원사로 일하던 어린 사르곤은 "비둘기 떼에 둘러싸인" 이슈타르의 방문을 받는다.

8. 3. 기타 전설

사르곤이 오리엔트 각지를 정복했다는 전설이 존재하지만, 그중에는 실제로는 사르곤이 정복하지 않은 도시 이름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63] 또한, '전투의 왕'이라는 전설에서는 실제로는 나람신이 수행한 원정이 사르곤의 원정으로 묘사되고 있다.[53]

아카드 시대에 관한 전설은 주로 건국자 사르곤과 파괴자 나람신이라는 대비를 통해 전해지는 경우가 많다.

9. 대중문화

수메르인(왼쪽)과 사르곤이 이끄는 셈족의 전투, 활과 화살로 무장 (20세기 묘사).

  • 영화 ''스콜피온 킹 2''(2008)에서 아카드의 사르곤은 흑마법을 사용하는 군대 사령관으로 묘사된다. 그는 영화의 주요 악당으로, 랜디 커투어가 연기했다.[88]
  • 스타 트렉: 오리지널 시리즈 시즌 2의 20번째 에피소드인 "내일로의 귀환"에는 한때 강력한 제국을 다스렸던 고대 텔레파시 외계인 사르곤이 등장한다.
  • 미국의 록 그룹 데이 마이트 비 자이언츠는 2007년 앨범 디 엘스의 트랙 "The Mesopotamians"에서 함무라비, 아슈르바니팔, 길가메시와 함께 아카드의 사르곤을 언급한다.
  • 영국의 우익 유튜버이자 정치 평론가인 칼 벤자민은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아카드의 사르곤"이라는 온라인 가명을 사용한다.
  • 비디오 게임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II: 데피니티브 에디션''의 확장팩 ''로마의 귀환''에는 "아카드의 사르곤"이라는 캠페인이 등장하며, 수메르 정복과 아카드 제국의 부상을 묘사한다.


참조

[1] 서적 Lugal – šarru – βασιλεύς: Formen der Monarchie im Alten Vorderasien von der Uruk-Zeik bis zum Hellenismus https://books.google[...] 2008
[1] 서적 Urnamma of Ur in Sumerian Literary Tradition https://books.google[...] 1999
[2] 웹사이트 Sargon inscriptions https://cdli.ucla.ed[...]
[3] 서적 History of Egypt, Chaldea, Syria, Babylonia and Assyria https://archive.org/[...] 1906
[5] 서적 A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ca. 3000–323 BC Blackwell 2006
[6] 서적 The History of the Ancient World: From the Earliest Accounts to the Fall of Rome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007
[7] 간행물 Review of The Sargon Legend: A Study of the Akkadian Text and the Tale of the Hero Who Was Exposed at Birth. By Brian Lewis 1984-01
[8] 서적 Chronicles concerning early Babylonian kings https://archive.org/[...] London, Luzac and co. 1907
[9] 웹사이트 Victory stele of Sargon https://cdli.ucla.ed[...]
[10] 웹사이트 ETCSLsearch http://etcsl.orinst.[...]
[11] 간행물 "The Sumerian Sargon Legend" 1983-01
[12] 문서 "Observations on the Name and Age of Sargon II and on Some Patterns of Assyrian Royal Onomastics" http://www.ucl.ac.uk[...] NABU 2005
[13] 웹사이트 H3559 https://www.bluelett[...] Strong's Concordance
[16] 서적 Lugal - šarru - βασιλεύς https://books.google[...] 2008
[17] 문서 Catalogue méthodique et raisonné. Antiquités assyriennes, cylindres orientaux, cachets, briques, bronzes, bas-reliefs, etc. E. Leroux, Paris 1888
[18] 서적 A History of Sumer and Akkad https://archive.org/[...] 1910
[19] 간행물 Review of: The Civilization of Babylonia and Assyria by Morris Jastrow, Jr. 1917-04
[21] 간행물 Sargon, Cyrus and Mesopotamian Folk History 1974
[22] 웹사이트 Electronic Text Corpus of the Sumerian Language http://etcsl.orinst.[...]
[23] 웹사이트 CDLI-Found Texts https://cdli.ucla.ed[...]
[24] 문서 Historical Perception in the Sargonic Literary Tradition: the Implications of Copied Texts http://www.rosetta.b[...] 2006
[25] 서적 Sargonic Akkadian: A Historical and Comparative Study of the Syllabic Texts https://books.google[...] 2005
[27] 서적 Cuneiform Texts and the Writing of History https://ia601404.us.[...] Routledge 1999
[30] 문서 Babylon as a Name for Other Cities Including Nineveh http://oi.uchicago.e[...] Oriental Institute SAOC 62 2005
[31] 웹사이트 Year Names of Sargon of Akkad https://cdli.ucla.ed[...]
[32] 웹사이트 Year Names of Sargon http://cdli.ox.ac.uk[...]
[33] 서적 The Archaeology of Elam: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an Ancient Iranian Stat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34] 서적 The Age of Agade: Inventing Empire in Ancient Mesopotam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35] 간행물 The Two Steles of Sargon: Iconology and Visual Propaganda at the Beginning of Royal Akkadian Relief British Institute for the Study of Iraq 1998
[36] 웹사이트 Victory stele of Sargon https://cdli.ucla.ed[...]
[37] 논문 The Two Steles of Sargon: Iconology and Visual Propaganda at the Beginning of Royal Akkadian Relief British Institute for the Study of Iraq 1998
[38] 서적 The Archaeology of Elam: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an Ancient Iranian Stat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39] 논문 An Akkadian Victory Stele 1970
[40] 논문 The Two Steles of Sargon: Iconology and Visual Propaganda at the Beginning of Royal Akkadian Relief British Institute for the Study of Iraq 1998
[41] 문서 Royal Inscriptions and Fragments from Nippur and Babylon Philadelphia 1926
[42] 웹사이트 Historical Texts https://archive.org/[...] Philadelphia 1914
[43] 웹사이트 Historical and Grammatical Texts https://archive.org/[...] Philadelphia 1914
[44]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45] 서적 https://books.google[...] 1963
[46]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c. 3000–330 B.C.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6
[47]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History, Society and Econom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48] 웹사이트 Akka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3
[49] 간행물
[50] 서적 The Amorite Dynasty of Ugarit: Historical Implications of Linguistic and Archaeological Parallels https://books.google[...] Brill 2019
[51] 웹사이트 MS 2814 – The Schoyen Collection https://www.schoyenc[...]
[52] 웹사이트 CDLI-Archival View https://cdli.ucla.ed[...]
[53] 웹사이트 Legends of the Kings of Akkade: The Texts https://archive.org/[...] Eisenbrauns 1997
[54]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historical sources in translation Wiley-Blackwell
[55] 논문 Asiatic Keftiu 1952-10
[56] 논문 Keftiu: A Cautionary Note 2003
[57] 문서 1912
[58]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9
[59] 논문 The Two Steles of Sargon: Iconology and Visual Propaganda at the Beginning of Royal Akkadian Relief British Institute for the Study of Iraq 1998
[60] 문서 1975
[61] 문서 2004
[6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63] 서적 Who's Who in the Ancient Near Eas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
[64] 논문 The Two Steles of Sargon: Iconology and Visual Propaganda at the Beginning of Royal Akkadian Relief 1998
[65] 논문 A Note on the Uriah Letter in the Sumerian Sargon Legend 1987
[66] 웹사이트 Sargon and Ur-Zababa https://etcsl.orinst[...]
[67] 웹사이트 The Sargon Legend http://etcsl.orinst.[...] Oxford University 2006
[68] 문서 1983
[69] 간행물
[70] 서적 The myth of the birth of the hero: a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mythology https://archive.org/[...] New York :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publishing company
[71] 서적 The Masks of God, Vol. 3: Occidental Mythology
[72] 서적 The Temple Dictionary of the Bible https://archive.org/[...] London, J.M. Dent & sons; New York, E.P. Dutton
[73] 논문 Nimrod the Mighty, King of Kish, King of Sumer and Akkad
[74] 서적 Women, Crime, and Punishment in Ancient Law and Society: The ancient Near East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11-07-29
[75] 서적 Mesopotamia and the ancient Near East Stonehenge Press
[76] 문서 Schomp 2005: 81
[77] 문서 Kramer 1981: 351
[78] 문서 Hallo, W. and J. J. A. Van Dijk, "The Exaltation of Inanna", Yale University Press, 1968
[79] 웹사이트 CDLI-Archival View https://cdli.ucla.ed[...]
[80] 뉴스 Meet the world's first emperor https://www.national[...]
[81] 뉴스 How Did the World's First Empire Collapse? https://www.realclea[...] RealClearScience 2019-01-07
[82] 논문 Sargon Unseated 1976-09
[83] 논문 In Search of the First Empires 1994-02
[84] 문서 Sargon is the earliest known ruler with a Semitic name for whom anything approaching a historical context is recorded. There are, however, older references to rulers bearing Semitic names, notably the pre-Sargonic king Meskiang-nunna of Ur by his queen Gan-saman, mentioned in an inscription on a bowl found at Ur. In addition, the names of some pre-Sargonic rulers of Kish in the Sumerian king list have been interpreted as having Semitic etymologies, which might extend the Semitic presence in the Near East to the 29th or 30th century. See J. N. Postgate, ''Languages of Iraq, Ancient and Modern. British School of Archaeology in Iraq'' (2007).
[85] 문서 '"The black-headed peoples I ruled, I governed; mighty mountains with axes of bronze I destroyed. I ascended the upper mountains; I burst through the lower mountains. The country of the sea I besieged three times; Dilmun I captured. Unto the great Dur-ilu I went up, I ... I altered ... Whatsoever king shall be exalted after me, ... Let him rule, let him govern the black-headed peoples; mighty mountains with axes of bronze let him destroy; let him ascend the upper mountains, let him break through the lower mountains; the country of the sea let him besiege three times; Dilmun let him capture; To great Dur-ilu let him go up." Barton 310, as modernized by [http://www.fordham.edu/halsall/ancient/2300sargon1.html J. S. Arkenberg]'
[86] 문서 Bachvarova (2016:[https://books.google.com/books?id=wxd-CwAAQBAJ&pg=PA182 182]).
[87] 문서 Oates, John. ''Babylon''. London: Thames and Hudson, 1979, p. 162.
[88] 웹사이트 The Scorpion King 2: Rise of a Warrior synopsis http://www.the-scorp[...] The Scorpion King 2009-07-27
[89] 논문 An Akkadian Victory Stele 1970
[90] 웹인용 Sargon inscriptions https://cdli.ucla.ed[...]
[91] 문서 also "Sargon the Elder", and in older literature ''Shargani-shar-ali'' and ''Shargina-Sharrukin''. [[Gaston Maspero]] (ed. [[Archibald Sayce|A. H. Sayce]], trans. M. L. McClure), ''History of Egypt, Chaldea, Syria, Babylonia and Assyria'' (1906?), [https://archive.org/stream/historyofegyptch03rappuoft#page/90/mode/2up p. 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