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프 비고츠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프 비고츠키는 20세기 초 소비에트 연방의 심리학자로서, 문화-역사적 심리학을 주창하며 발달 심리학, 교육학, 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혁신적인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인간의 심리적 발달이 사회 문화적 맥락과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았으며, 근접 발달 영역(ZPD) 개념을 통해 학습과 발달의 관계를 설명했다. 비고츠키는 '사고와 언어', '교육 심리학' 등 다수의 저서를 통해 심리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이론은 오늘날에도 협력 학습, 구성주의 교육 등 다양한 교육 방법론의 기반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르샤 출신 - 이고리 젤레좁스키
벨라루스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인 이고리 젤레좁스키는 세계 스프린트 선수권 대회 6회 우승, 올림픽 메달 2회 획득 등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은퇴 후에는 벨라루스 스케이팅 연맹 회장을 역임하며 스케이팅 발전에 기여했다. - 오르샤 출신 - 세르게이 코플랴코프
죄송합니다. 본문 내용이 제공되지 않아 세르게이 코플랴코프에 대한 한 문장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본문 내용을 제공해주시면 위키백과 스타일의 한 문장 요약을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레프 비고츠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명 | 레프 심호비치 비고츠키 |
출생일 | 1896년 11월 17일 (구 11월 5일) |
출생지 | 오르샤, 모길료프 현, 러시아 제국 (현재 벨라루스) |
사망일 | 1934년 6월 11일 |
사망지 | 모스크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
국적 | 러시아 및 벨라루스 |
거주지 | 불명 |
학문 | |
분야 | 심리학 |
모교 | 모스크바 제국 대학교 샤냐프스키 모스크바 시 인민 대학교 |
학위 논문 제목 | 예술의 심리학 |
학위 논문 발표 연도 | 1925년 |
직장 |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
박사 지도 교수 | 불명 |
지도 학생 | 알렉산드르 루리야 |
주요 업적 | 문화-역사 심리학, 근접 발달 영역, 내적 언어 |
기타 | |
배우자 | 로자 스메호바 (1924년 결혼) |
서명 | 서명 이미지 없음 |
2. 생애
레프 비고츠키는 1896년 11월 17일[3] 러시아 제국의 오르샤(현재 벨라루스)에서 유복한 유대인 가정의 8남매 중 둘째로 태어나,[4][5][6] 남부 도시 호멜에서 성장했다.[7] 초기에는 가정교사에게 교육을 받았고, 이후 사립 유대인 김나지움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다. 1913년 유대인 입학 정원 추첨을 통해 모스크바 대학교에 입학하여 처음에는 의학을 공부했으나 곧 법학으로 전과했다. 대학 시절 법학 외에도 샤냐브스키 모스크바 시립 인민 대학교에서 역사, 철학 등을 공부하며[8][40] 심리학, 언어학, 문학, 미술 등 다방면에 걸쳐 폭넓은 지식을 쌓았으며, 이는 훗날 그의 심리학 연구의 토대가 되었다. 재학 중 러시아 혁명을 경험했다.
1917년 대학 졸업 후 1918년 호멜로 돌아와 교직에 종사하며 문학, 심리학, 미학 등을 가르쳤고,[41] 1919년 볼셰비키가 호멜에 진입하자 사회 활동가로서 교육 변혁에 참여했으며 1920년에는 볼셰비키당에 입당했다. 이 시기 결핵을 앓기 시작했다.
1924년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콘스탄틴 코르닐로프가 이끄는 심리학 연구소에서 본격적인 연구 활동을 시작했다.[9][10][43] 그는 알렉산더 루리야, 알렉세이 레온티예프 등과 교류하며 고등 정신 기능의 발달, 특히 언어와 사고의 관계, 문화와 사회적 상호작용의 역할에 주목한 문화-역사 심리학 이론의 기초를 다졌다. 1925년 『예술 심리학』으로 학위를 받았고, 같은 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해외(런던) 학회에 참석했다.[13] 이후 결핵 악화로 요양하면서도[14][15] 『교육 심리학』(1926년)을 출판하고 심리학의 방법론적 위기를 다룬 저술을 시도했다.
연구 활동을 재개한 후 여러 교육 및 연구 기관에서 활동하며 '도구적 심리학' 개념을 발전시켰고, 장애 아동 교육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44][45][46] 1930년대 초반에는 연구 영역을 정신 병리학 등으로 확장하고 우즈베키스탄에서 문화적 차이에 따른 인지 과정 연구를 수행하기도 했다.[50]
1934년 6월 11일, 모스크바에서 결핵 재발로 37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22] 사후 그의 대표작 『사고와 언어』가 출판되었다. 그의 선구적인 연구는 사후 소비에트 연방 내에서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며, 특히 스탈린 시대인 1936년 '아동학 일소' 정책으로 일부 저서가 금서 조치되는 탄압을 겪었다.[59] 그러나 탈스탈린화 이후 재평가받으며 그의 이론은 소련 및 동구권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고, 서구 심리학과 인지주의 발달에도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2. 1. 초기 생애 (1896-1917)
레프 심코비치 비고츠키[1][2]는 1896년 11월 17일[3] 러시아 제국 모길료프 현의 오르샤 (현재 벨라루스)에서 중산층 러시아계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4] 그의 아버지는 은행가였고,[5][6] 비고츠키는 8명의 형제자매 중 둘째였다.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으며, 종교적인 분위기는 아니었다.[4] 그는 어린 시절을 남부 도시 호멜에서 보냈다.[7]1911년까지는 가정교사에게 교육을 받았고, 이후 사립 유대인 김나지움(혹은 라트넬 중학교)을 우수한 성적(금메달)으로 졸업하여 대학 입학 자격을 얻었다. 1913년, 당시 모스크바 대학교와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 존재했던 3%의 유대인 입학 정원 추첨을 통해 모스크바 대학교에 입학했다. 처음에는 부모의 권유로 의학부에 지원했으나, 인문학과 사회과학에 더 큰 관심이 있었던 그는 첫 학기 만에 법학부로 전과했다.
대학 시절 비고츠키는 법학 공부와 병행하여 샤냐브스키 모스크바 시립 인민 대학교에서 역사와 철학 강의를 들으며 학문적 지평을 넓혔다.[8][40] 그는 철학, 사회과학, 심리학, 언어학, 문학, 미술 등 매우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백과사전적인 지식을 쌓았는데, 이는 훗날 그의 독창적인 심리학 이론을 구축하는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특히 초기에는 예술과 유대 민족의 역사, 문화, 정체성 문제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대학 재학 중 러시아 혁명이라는 격동의 시기를 직접 경험하기도 했다.
1917년, 그는 모스크바 대학교 법학과와 샤냐브스키 모스크바 시립 인민 대학교 역사-철학과를 동시에 졸업했다.[41]
2. 2. 호멜 시기 (1918-1923)
1918년, 모스크바 대학 졸업 후 비고츠키는 고향 호멜로 돌아왔다. 그는 이곳에서 문학과 심리학 교사로 일하는 한편, 연극 학교에서 미학과 미술사를 가르치는 등 교직에 종사하며 학문 연구를 이어갔다.[41] 그는 여러 중학교, 사범학교, 연극 학교에서 강의하며 학생들의 인기를 얻었다. 이 시기 호멜 국민 교육부 연극과 주임을 맡았고, 사범학교에 심리학 실험실을 직접 설치하기도 했다. 1918년부터 1920년까지 "세기와 나날"이라는 출판 사업을 시도했으나, 종이 부족으로 두 권의 책만 출간하고 중단해야 했다. 또한 이 무렵 결핵을 앓기 시작했다.1919년 호멜 지역에 볼셰비키가 진입하면서 그는 사회 활동가로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1920년에는 볼셰비키당에 입당했으며, 1919년부터 1923년까지 볼셰비키가 주도하는 교육 변혁 작업에 열정적으로 참여했다. 1921년부터 1923년까지 호멜 사범학교에서 진행한 강의는 훗날 그의 저서 『교육 심리학』(1926년)의 기초가 되었다. 1922년부터는 자신이 설립한 호멜 사범대학 심리학 실험실에서 연구와 실무를 병행했다.
2. 3. 모스크바 시기 (1924-1934)
1924년 1월, 비고츠키는 페트로그라드(곧 레닌그라드로 개명)에서 열린 제2차 전러시아 정신신경학회에 참여하여 "반사학 및 심리학 연구의 방법에 관하여"라는 제목의 발표를 했다.[42] 이 발표 직후, 그는 알렉산더 루리야를 만났고, 콘스탄틴 코르닐로프의 초청을 받아 모스크바 심리 연구소의 연구원으로 합류하게 되었다.[9][10][43] 비고츠키는 아내 로자 스메호바와 함께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연구 활동을 시작했다.[9][10] 그는 심리 연구소에서 "2급 과학자"로 경력을 시작했으며,[11] 동시에 중등학교 교사 및 교육 인민 위원부 장애아 교육과 주임을 겸임하며 학습 과정과 언어의 역할에 대한 관심을 키워나갔다.[12][44] 또한 사회 및 미성년자 법적 보호부서(SPON)에서 신체적, 지적 장애 아동 교육 부서 책임자로 근무를 시작했다.[45][46] 이 시기 알렉산더 루리야, 알렉세이 레온티예프 등과 교류하며 훗날 문화-역사 심리학파를 형성하는 기초를 다졌다.1925년, 그는 고멜 시절의 연구와 강의를 바탕으로 『예술 심리학』 논문을 완성하여 학위를 취득했다. 당시 결핵이 심해져 공개 심사는 면제되었다.[14][15] 이 학위 취득으로 여러 대학에서 강의할 자격을 얻었다. 같은 해 여름, 청각 장애인 교육에 관한 회의 참석차 런던을 방문했는데, 이는 그의 생애 처음이자 마지막 해외 방문이었다.[13] 소련으로 돌아온 후 결핵으로 입원하여 1926년 말까지 요양했다.[14][15] 요양 중에도 연구를 계속하여 1926년에는 『교육 심리학』을 출판했으며, 변증법적 유물론 관점에서 심리학의 방법론적 위기를 다룬 『심리학의 위기』(원제: 심리학에 있어서 위기의 역사적 의의) 집필을 시작했으나 1927년에 중단하여 미완성으로 남았다.[16][17][18][19][20][47]
1926년부터 1930년까지 비고츠키는 알렉산더 루리야, 알렉세이 레온티예프, 레오니드 잔코프 등 동료들과 함께 고등 정신 기능(주의, 기억, 의사결정 등)의 발달 과정을 연구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했다.[21] 이들은 인간이 도구를 사용하여 정신 기능을 매개하는 방식(도구적 접근), 아동의 인지 기능 발달(발달적 접근), 사회문화적 상호작용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문화-역사적 접근) 등 세 가지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하며 문화-역사 심리학파의 기틀을 마련했다.[21]
1927년 연구 활동을 재개한 비고츠키는 여러 기관에서 활동하며 교수로 승인받았다. 12월에는 제1차 전러시아 페돌로지 회의에 참석하여 '도구적 심리학' 개념을 처음으로 공개 발표했다.[47] 1928년에는 『학동기의 아동학』을 출판하고 '도구적 심리학' 관련 논문들을 발표했으나, 실험 심리학 연구소 소장 콘스탄틴 코르닐로프와의 갈등으로 인해 해당 연구소에서의 활동은 중단되었다. 1929년에는 타슈켄트 제1 중앙아시아 주립대학교에서 강의 활동을 했고, 러시아 정신분석학 협회에 가입했다.
1930년대 초반, 비고츠키는 연구 영역을 더욱 확장했다. 1930년 루리야와 『행동의 역사에 관한 시론』을 공저했고, 『사춘기의 아동학』을 간행했다. 1931년에는 정신 병리학 연구의 필요성을 느껴 의학부에 등록했으며, 『장애 아동을 위한 발달 진단 및 육아 상담』, 『고차 정신 기능의 발달사』 등을 집필했다.[49] 또한 루리야 등과 함께 우즈베키스탄에서 인지 과정의 문화적 차이를 연구했으며,[50] 하르키우로 주요 활동 거점을 옮겼다.[51] 1932년에는 장 피아제의 『아동의 언어와 사고』 러시아어판 서문을 썼고,[52] 1933년부터 1934년까지는 "연령의 문제"를 집필했다.
1934년 6월 11일, 모스크바에서 결핵 재발로 인해 37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마지막 개인 노트 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이것이 내가 심리학에서 한 마지막 일이며, 나는 모세처럼 약속의 땅을 엿보고도 발을 딛지 못한 채 정상에서 죽을 것이다. 안녕, 나의 사랑스러운 창조물이여. 나머지는 침묵이다."[22]
사후 그의 대표작인 『사고와 언어』가 출판되었다.
2. 4. 사후 평가와 탄압
1934년 레프 비고츠키가 사망한 후, 그의 선구적인 연구는 소비에트 연방 내에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발달심리학 및 인지심리학 분야에서의 그의 업적은 일부 동료 심리학자들로부터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 M. G. 야로셰프스키에 따르면, 1934년부터 심리학자 보리스 아나니예프 등이 비고츠키의 연구를 비판하기 시작했으며,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비판이 스탈린 정권의 정치적 압력과 연관이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안톤 야스나츠키와 같은 연구자들은 비고츠키의 연구가 1930년대 후반에도 여전히 주요하게 다루어졌으며, 스탈린 시대에 공식적으로 금지된 적은 없다고 주장한다.[57][58] 야스나츠키는 당시 소련 학계에서 학파 간 상호 비판은 흔한 일이었다고 덧붙였다.비고츠키 연구에 대한 논란 중 하나는 1936년 그의 일부 저서가 금서 조치된 사건이다. 이는 1936년 7월 4일 전연방 공산당이 결의한 '아동학 일소' 방침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59] 이 결정으로 비고츠키를 포함한 당시 모든 아동학자들의 저서가 금지되었다. 당이 아동학을 문제 삼은 주된 이유는, 당시 많은 아동학 연구가 아동기의 특성만으로 성인기의 잠재력을 섣불리 판단하여 교육적 편견을 낳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60] 비록 비고츠키의 연구는 이러한 단순한 환원주의적 오류를 보이지 않았지만, 아동학 전반에 대한 일괄적인 조치 과정에서 그의 저서도 포함되었다.
이러한 제약에도 불구하고, 비고츠키의 심리학적 방법론, 인식 발달 이론, 역사심리학적 접근 등은 학계에서 계속 연구되고 논의되었다. 그러나 그의 제자들과 동료들로 구성된 비고츠키 학파는 1941년 독소전쟁의 발발과 함께 학문적 교류가 중단되면서 사실상 해체되었다.
스탈린 사후인 1956년 탈스탈린화가 진행되면서 비고츠키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고, 그의 연구는 다시 활발하게 논의되기 시작했다. 1950년대 후반부터 후학들의 노력으로 비고츠키 학파는 재건되었으며, 이후 파블로프 학파와 함께 소련 및 공산권 심리학계를 이끄는 양대 학파로 자리 잡았다. 그의 이론은 소련과 동구권의 학교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서구 사회의 교육 및 심리학 연구에도 영향을 주었다. 소련 붕괴 이후 그의 저작들은 전 세계적으로 더욱 널리 알려졌으며, 특히 현대 뇌과학과 결합하여 인지주의 심리학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3. 주요 연구 및 이론
레프 비고츠키는 인간 심리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기원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하며, 특히 아동의 행동, 언어 습득, 개념 발달, 문화 전달 방식 등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61][62][63] 그의 이론은 발달심리학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 심리 전반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을 담고 있어 높은 평가를 받는다.
비고츠키는 인간 발달이 유기체의 자연적 성장 과정과 더불어 사회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문화적 발달 과정이라는 이중적 측면을 강조했다.[64] 그의 연구는 예술 심리학, 고등 정신 기능의 발달, 과학 철학 및 심리학 연구 방법론, 학습과 발달 심리학의 관계, 개념 형성, 언어와 사고의 상호작용, 놀이의 역할, 학습 장애, 그리고 그가 '결함학'이라 명명한 비정상적 인간 발달 등 매우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한다. 이러한 연구들은 인간의 고등 정신 기능이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화적 도구(특히 언어)의 내면화를 통해 발달한다는 핵심 사상을 공유한다. 그는 아동의 잠재적 발달 가능성을 설명하는 근접 발달 영역(ZPD) 개념을 도입하기도 했다.
동시대 심리학자인 장 피아제와는 직접적인 교류는 없었으나, 그의 저서를 통해 학습과 발달, 특히 내적 언어에 대한 이해에서 차이를 보이며 독자적인 이론을 구축했다.[23][24] 비고츠키의 이론적 구성 요소들은 때때로 스키마와 연관되어 해석되기도 한다.[61][62][63] 그의 연구는 심리학뿐 아니라 교육학, 언어학 등 인접 학문 분야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3. 1. 문화-역사적 심리학
레프 비고츠키는 인간의 고등 정신 기능이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발달한다는 문화-역사적 심리학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인간의 마음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기원을 밝혀야 한다고 보았으며, 이를 위해 아동의 행동, 언어 습득, 개념 발달, 문화 전달 방식 등을 연구했다.[61][62][63] 그의 이론은 인간 심리 전반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을 담고 있어 심리학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닌다.비고츠키는 심리학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발달 과정에서 아동은 문화 경험의 항목뿐만 아니라 문화적 행동의 습관과 형태, 문화적 추론 방법을 숙달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아동의 행동 발달에 있어 주요 선을 구별해야합니다. 첫째로는 일반적인 유기적 성장 과정과 그리고 아동의 성숙 과정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있는 행동의 자연적 발달 선이 있습니다. 둘째로는 심리적 기능의 문화적 개선, 새로운 추론 방법의 작동, 문화적 행동 방법의 숙달 등이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나이가 다른 두 자녀 중 나이가 어린 자녀보다 나이가 많은 아이가 더 잘 기억할 수 있다는점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완전히 다른 두 가지 이유로 사실입니다. 나이가 많은 어린이가 암기하는 과정은 추가 성장 기간 동안 특정 진화를 겪었으며 더 높은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그러나 심리 분석을 통해서만 진화가 첫 번째 또는 두 번째로 진행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는것입니다.[64]
이처럼 비고츠키는 아동의 행동 발달 과정을 두 가지 주요 경로, 즉 유기체의 성장과 관련된 자연적 발달과 문화적 도구 및 상호작용을 통한 문화적 발달로 구분했다. 그는 문화적 경험과 학습이 아동의 고등 정신 기능 발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았으며, 사회 제도와 문화가 아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며 심리학적 배려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그의 연구는 예술 심리학, 고등 정신 기능 발달, 과학 철학, 심리학 연구 방법론, 학습과 발달 심리학의 관계, 개념 형성, 언어와 사고 발달, 놀이, 학습 장애, 비정상적 발달(그는 이를 '결함학'이라 칭함) 등 매우 폭넓은 주제를 다루었다.
비고츠키 이론의 핵심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화적 도구(언어, 기호 등)의 사용을 통해 고등 정신 기능이 발달한다는 것이다. 그는 이러한 기능들이 처음에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고(대인 관계적 차원), 이후 개인의 내면으로 들어와 정신 기능(개인 내적 차원)이 된다고 설명했다.
: 이전에는 기능이 개인에게 준비된, 반쯤 준비된, 또는 초보적인 형태로 존재하고, 집단 내에서 전개되고 복잡해지고 발전하고 풍부해지거나, 반대로 억제되고 억압되는 것으로 가정했다. 현재, 우리는 고등 정신 기능과 관련하여 그 문제가 정반대로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가정할 근거를 가지고 있다. 기능은 처음에 아동의 관계 형태로 집단 내에서 형성된 다음 개인의 정신 기능이 된다. 구체적으로, 이전에는 모든 어린이가 결론에 도달하고, 증명하고, 어떤 입장의 근거를 찾는 반성을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한 반성의 충돌로부터 논쟁이 발생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다른 것이다. 연구에 따르면 반성은 논쟁으로부터 생성된다. 다른 모든 정신 기능을 연구하면 동일한 결론에 도달한다.[25]
그는 기본적인 하위 정신 기능(예: 반사적 주의)과 사회적 기원을 가지며 문화적 도구에 의해 매개되는 고등 정신 기능(예: 자발적 주의, 논리적 기억)을 구분했다. 의식은 이러한 고등 정신 기능의 매개적 특성 때문에 가능해진다. 인간은 자극과 반응 사이에 기호와 같은 문화적 도구를 사용하여 자신의 행동과 생각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단어는 주의를 집중시키고, 의미를 만들고, 개념을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그는 부리당의 당나귀 역설(선택 상황에서 동전 던지기 같은 외부 도구를 사용하는 것), 기억을 위해 손수건에 매듭을 짓는 행위, 손가락으로 수를 세는 것 등을 문화적 도구를 통해 자신의 정신 기능을 통제하는 예시로 들었다. 또한 "사자의 발톱만 보고도 사자임을 안다"는 의미의 라틴어 원칙(ex ungue leonem)을 언급하며, 작은 현상을 통해 고등 정신 기능의 작동 원리를 분석하고자 했다.
아동은 문화적 매개와 대인 간 의사소통을 통해 문화의 지식을 습득하는데, 이 과정을 내면화(Internalization)라고 한다. 내면화는 외부 활동(예: 어른의 도움을 받아 자전거 타기)이 개인의 내적 능력으로 전환되는 과정이다. 또한 전유(Appropriation)는 아이들이 문화적 도구를 가져와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연필 사용법을 내면화한 아이는 단순히 다른 사람을 따라 그리는 것을 넘어, 개인적인 목적을 위해 연필을 사용하여 자신만의 독창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된다.
: 아이는 동시에 행동하고 말하며, 이 둘은 아이에게 하나의 지속적인 활동으로 얽혀 있다. 이런 방식으로, 말과 행동이 혼합되어 나타나는데, 어른의 관점에서는 기묘하지만, 아이에게는 매우 자연스러운 상태이다. 아이는 무력함 때문에, 삶의 첫날부터 자신에게서 사물로, 사물에서 자신으로 가는 길이 다른 사람을 거쳐야 하는 환경에 놓여 있다.[26]
비고츠키는 인간 인지 발달의 잠재력을 설명하기 위해 근접 발달 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 개념을 도입했다. 이는 아동이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지만 성인이나 더 능력 있는 또래의 도움을 받으면 해결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하며, 학습과 발달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틀을 제공한다.
비고츠키는 장 피아제를 직접 만난 적은 없으나 그의 저서를 읽고 일부 관점에 동의했다.[23] 그러나 1929-30년경부터 학습과 발달에 대한 피아제의 이해에 동의하지 않게 되었고, 특히 내적 언어에 대해 다른 입장을 취했다. 피아제는 자기중심적 언어가 미성숙함의 표시이며 성숙하면서 사라진다고 본 반면, 비고츠키는 자기중심적 언어가 내적 언어, 즉 사고의 기초가 된다고 주장했다.[24] 피아제는 비고츠키 사후 그의 연구를 읽고, 아동 사고의 사회적 기원을 밝힌 점을 공개적으로 칭찬했다.
비고츠키의 문화-역사적 심리학은 개인의 정신 기능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문화적 도구의 내면화를 통해 역사적으로 발달한다는 혁신적인 관점을 제시하며 심리학의 패러다임 전환에 기여했다. 그의 이론은 교육, 발달 심리학, 특수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약 10년이라는 짧은 연구 활동 기간에도 불구하고 알렉산드르 루리야, 알렉세이 레온티예프와 같은 우수한 후학들을 양성했으며, "심리학의 모차르트"[39]로 불리며 21세기에도 그의 사상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또한 20세기 소비에트 장애학의 기초를 다지는 데 기여했다.
3. 2. 근접 발달 영역 (ZPD)
근접 발달 영역(ZPD)은 비고츠키가 개인의 정신 발달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용어이다. 그는 ZPD를 "독립적인 문제 해결을 통해 결정되는 실제 발달 수준과 성인의 지도 또는 더 유능한 또래와의 협력을 통해 결정되는 잠재적 발달 수준 사이의 거리"라고 정의했다.[27]비고츠키는 이를 설명하기 위해 학교에 다니는 두 아이의 예를 들었다. 두 아이 모두 처음에는 8세 수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어른의 도움을 받자 한 아이는 9세 수준까지, 다른 아이는 12세 수준까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비고츠키는 "12와 8 사이, 또는 9와 8 사이의 이 차이를 우리는 '근접 발달 영역'이라고 부른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ZPD가 "아직 성숙하지 않았지만 성숙 과정에 있는 기능, 즉 내일 성숙할 것이지만 현재는 배아 상태에 있는 기능"을 나타낸다고 덧붙였다. 즉, ZPD는 학습자가 현재 혼자서 할 수 있는 것과, 능숙한 지도자의 도움을 받아 해낼 수 있는 잠재적 능력 사이의 영역을 의미한다.[27] ZPD 개념은 성격 발달과 같은 삶의 다른 영역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다차원 모델도 제시되었다.[28]
비고츠키에 따르면, 아동은 자신보다 더 지식이 풍부한 타인(More Knowledgeable Other, MKO)의 도움을 통해 자신의 실제 발달 수준을 넘어서는 기술을 배울 수 있다. 이러한 도움 과정을 '비계 설정(scaffolding)'이라고 한다. ZPD의 하한선은 아동이 혼자서 도달할 수 있는 기술 수준(실제 발달 수준)이며, 상한선은 유능한 지도자의 도움으로 도달 가능한 잠재적 기술 수준이다. 이런 점에서 ZPD는 아동의 현재 능력만을 보는 회고적 관점과 달리, 인지 발달을 미래지향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을 제공한다. ZPD 상한선 도달은 MKO의 교수 능력과 비계 설정의 질에 영향을 받는다. MKO는 주로 나이가 많고 경험이 풍부한 교사나 부모를 생각하기 쉽지만, 학습자의 동료나 더 어린 사람일 수도 있다. 심지어 MKO는 사람이 아닌 기계, 책, 또는 다른 시청각 자료일 수도 있다.[29] ZPD와 비계 설정의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상호 교수법'이다. 이는 아동과 지도자가 열린 대화를 통해 새로운 정보와 아이디어를 습득할 기회를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이다.[30]
'''놀이의 중요성'''
놀이는 아동의 사회 인지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고츠키는 놀이가 '근접 발달 영역'이 가장 효과적으로 발현되는 활동이라고 보았다. 그는 놀이의 특징을 이해하면 발달 과정에서 놀이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다고 생각했다. 비고츠키는 놀이가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놀이의 상징성에 주목했다.
그가 강조한 두 가지 중요한 측면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상징 놀이(표상 놀이)는 아동이 비합리적인 욕구를 다루는 법을 배우는 가상 상황을 만들어낸다. 이를 통해 아동은 만족 지연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둘째, 모든 상징 놀이에는 아동이 놀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따라야 하는 행동 규칙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통해 아동은 사회적 규칙에 대한 이해를 발달시킨다. 가장 단순한 놀이조차 규칙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아동의 규칙 이해 능력을 보여준다. 특히 상상 놀이는 아동이 외부 및 내부 자극을 처리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 도움을 준다. 상상력은 아동이 실제 사물과 가상 사물을 구별하도록 돕는데, 이는 연습이 필요한 능력이다. 결론적으로, 놀이는 아동이 따라야 할 사회적 규칙을 배우게 하므로 발달에 매우 중요하다.[31]
3. 3. 언어와 사고
비고츠키는 언어와 사고 발달 간의 상호 관계[61][62][63], 특히 의식 구조 안에서 사고와 언어가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이러한 탐구는 그의 사후 1934년에 출판된 저서 ''사고와 언어''[32]에 집약되어 있으며, 이 책은 언어, 정신적 개념, 그리고 인식 발달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비고츠키는 소리 내어 말하는 외적 언어와 침묵하는 내적 언어가 질적으로는 다르지만, 인간의 정신 활동에서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그는 내적 언어가 외부 세계의 언어를 점진적으로 내면화하는 과정을 통해 발달한다고 보았다. 초기 아동이 마치 '소리 내어 생각하는' 것처럼 보이는 자기중심적 언어 단계를 거쳐, 점차 내면화된 사고 과정으로 발전한다는 것이다. 비고츠키는 성숙한 형태의 내적 언어는 우리가 사용하는 구어(口語)와는 상당히 다르며, 특히 매우 압축된 형태를 띨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고의 발달은 본질적으로 사회적인 과정으로 이해된다.
장 피아제와는 내적 언어의 발달 경로에 대해 다른 견해를 가졌다. 피아제는 아동의 자기중심적 언어가 발달과 함께 점차 사라진다고 본 반면[23], 비고츠키는 이 자기중심적 언어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내적 언어로 전환되며, 이것이 바로 우리가 '사고'라고 부르는 것의 기초가 된다고 주장했다.[24] 피아제는 비고츠키의 사후에 그의 연구를 읽고, 아이들의 생각, 추론, 도덕적 판단의 사회적 기원을 발견한 그를 공개적으로 칭찬했다.
비고츠키에 따르면 내적 언어는 외부 언어에서 분화되어 사회적 기능과 자기중심적 기능을 거치며 발달하고, 궁극적으로 인간 사고의 핵심적인 도구가 된다. 그는 사고와 언어의 관계가 고정불변한 것이 아니라 발달 과정 속에서 역동적으로 변화한다고 강조했다.
> "그러나 우리는 이 모든 것을 하나의 짧은 공식, 한 문장으로 표현하고 싶었기에,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발달의 시작에 언어와 독립적인 행위가 있다면, 그 끝에는 행위가 되는 언어, 인간의 행동을 자유롭게 만드는 언어가 있다."[33]
3. 4. 놀이 이론
그는 이 시기에 어린아이들의 놀이를 그들의 "주요 활동"으로 규정했는데, 이는 유아의 심리적 발달의 주요 원천이며, 정서, 의지, 인지적 발달의 불가분리의 표현으로 보았다.3. 5. 결함학
레프 비고츠키는 10년 정도의 짧은 연구 활동 기간 동안 발달 심리학을 비롯한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수많은 실험적·이론적 연구를 수행했으며, 이는 20세기의 소비에트 장애학의 기초를 다지는 데 영향을 미쳤다.4. 주요 저서
그의 저술은 대부분 사후(1934년 하반기)에 출판되었으며, 1958년이 되어서야 서방 세계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비고츠키의 저술들은 꾸준히 발굴되어 활자화되고 있으며, 영문판과 한국어판으로도 번역 출간되었다. 다만, 영문판과 한국어판은 구성 면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발표 또는 집필 연도 순)
- https://www.marxists.org/archive/vygotsky/works/1925/consciousness.htm 행동 심리학에서의 문제로서의 의식 (Consciousness as a problem in the Psychology of Behavior), 1925년
- 예술 심리학 (Психология искусства|프시홀로기야 이스쿠스트바ru, The Psychology of Art), 1925년~1926년 집필, 1965년 초판 발행
- https://www.marxists.org/archive/vygotsky/works/1926/educational-psychology/index.htm 교육 심리학 (Педагогическая психология|페다고기체스카야 프시홀로기야ru, Educational Psychology), 1926년
- https://www.marxists.org/archive/vygotsky/works/crisis/index.htm 심리학 위기의 역사적 의미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Crisis in Psychology), 1927년 미완성
- https://www.marxists.org/archive/vygotsky/works/1929/cultural_development.htm 아동의 문화적 발달 문제 (The Problem of the Cultural Development of the Child), 1929년[73][74][75][76]
- https://www.marxists.org/archive/vygotsky/works/1929/defectology/index.htm#:~:text=Defectology%20is%20now%20contending%20for,child%20who%20has%20developed%20differently. 결함학의 근본 문제(The Fundamental Problems of Defectology), 1929년
- 청소년의 페돌로지 (The Pedology of the Adolescent), 1929년~1931년
- https://www.marxists.org/archive/vygotsky/works/1930/socialism.htm 인간의 사회주의적 변형 (The Socialist Alteration of Man), 1930년
- https://www.marxists.org/archive/vygotsky/works/1930/man/index.htm 유인원, 원시인, 아동: 행동의 역사에 대한 에세이 (Ape, Primitive Man, and Child: Essays in the History of Behaviour), A. R. 루리야와 공저, 1930년
- https://www.marxists.org/archive/vygotsky/works/1934/tool-symbol.htm 아동 발달에서의 도구와 상징 (Tool and symbol in child development), 대략 1930년[67][68]
- 고등 심리 기능 발달사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Functions), 1931년
- 심리학 강의 (Lectures on Psychology), 1932년 (1. 지각; 2. 기억; 3. 사고; 4. 감정; 5. 상상력; 6. 의지의 문제)
- https://www.marxists.org/archive/vygotsky/works/1933/play.htm 놀이와 아동의 정신 발달에서의 역할 (Play and its role in the Mental development of the Child), 1933년 구두 발표[69][70][71][72]
- 사고와 언어 (Мышление и речь|미실레니예 이 레치ru, Thought and Language), 1934년[65][66]
- 정신 신경학의 파시즘 (Fascism in psychoneurology), 1934년
- 고등 심리 기능의 발달과 붕괴 문제 (The Problem of Development and Decay of Higher Psychological Functions), 1934년 보고서
- https://www.hup.harvard.edu/catalog.php?isbn=9780674576292 사회 속의 마음: 고등 심리 과정의 발달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1978년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영어 편집본)
- https://www.marxists.org/archive/vygotsky/collected-works.htm L. S. 비고츠키의 전집 (The Collected Works of L. S. Vygotsky), 1987년 시작
참조
[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Culture and Psych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12-15
[2]
서적
Portraits of Pioneers in Developmental Psycholog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2
[3]
서적
The Essential Vygotsk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03-20
[4]
서적
How Children Learn
Andrews UK Limited
2019
[5]
서적
Fifty Key Thinkers on Language and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04-27
[6]
서적
Vygotsky: An Intellectual Biograph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06-14
[7]
서적
A Dialectical Pedagogy of Revolt: Gramsci, Vygotsky, and the Egypti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BRILL
2015-01-27
[8]
서적
Parallel Paths to Constructivism: Jean Piaget and Lev Vygotsky
https://books.google[...]
IAP
2004-11-01
[9]
서적
Theories in Educational Psychology: Concise Guide to Meaning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3
[10]
서적
Theories of Human Development: A Comparative Approach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5-07-14
[11]
간행물
Understanding Vygotsky. A quest for synthesis
https://openaccess.l[...]
Oxford: Basil Blackwell
1991
[12]
서적
Early Childhood Education: History, Philosophy and Experience
SAGE
2008
[13]
간행물
To Moscow with Love: Partial Reconstruction of Vygotsky's Trip to London
https://doi.org/10.1[...]
2011
[14]
간행물
"Ключ к психологии человека": комментарии к блокноту Л.С. Выготского из больницы «Захарьино» (1926 г.)
2009
[15]
간행물
"The Key to Human Psychology". Commentary on L.S. Vygotsky's Notebook from the Zakharino Hospital (1926)
2012-07
[16]
간행물
Issledovanie rukopisi L.S. Vygotskogo "Istoricheskii smysl psikhologicheskogo krizisa" [Investigation of the original of Vygotsky's manuscript "Historical meaning of crisis in psychology"]
2009
[17]
간행물
Исследование рукописи Л.С. Выготского "Исторический смысл психологического кризиса"
2009
[18]
간행물
Investigating the Manuscript of L.S. Vygotsky's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Crisis in Psychology"
2012-07
[19]
간행물
Основные поправки к тексту «Исторический смысл психологического кризиса», опубликованному в 1982 г. в собрании сочинений Л.С. Выготского
2010
[20]
간행물
Primary Changes to the Version of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Crisis in Psychology" Published in the Collected Works of L. S. Vygotsky
2012-07
[21]
간행물
"Vygotsky in Context" in Vygotsky L. "Thought and Language"
MIT Press
1986
[22]
서적
Vygotsky's Notebooks
Springer
2018
[23]
서적
The Art of Teaching Science: Inquiry and Innovation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Routledge
2013
[24]
웹사이트
Tool and symbol in child development
https://www.marxists[...]
1930
[25]
웹사이트
Genesis of Higher Mental Functions
https://www.marxists[...]
[26]
웹사이트
About connection between labor activity and child's intellectual development
https://psychlib.ru/[...]
1930
[27]
웹사이트
Vygotsky's Theories and How to Incorporate Vygotsky's Theories in The Classroom
https://educationlib[...]
2022-10-22
[28]
간행물
One More Time on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https://psyjournals.[...]
2021
[29]
웹사이트
Vygotsky | Simply Psychology
https://www.simplyps[...]
2019-08-05
[30]
간행물
Piagetian and Vygotskian Concepts of Cognitive Development: A Review
https://indianmental[...]
2022-08-01
[31]
간행물
Vygotsky's Theory: The Importance of Make-Believe Play
https://www.jstor.or[...]
1994
[32]
웹사이트
Thinking and Speech
https://www.marxists[...]
marxists.org
2024-01-09
[33]
웹사이트
Tool and symbol in child development
https://www.marxists[...]
[34]
간행물
The concept of activity in Soviet psychology: Vygotsky, his disciples and critics
[35]
간행물
Russian psychology at the turn of the 21st century and post-Soviet reforms in the humanities disciplines
[36]
논문
Vygotsky's sociocultural theory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https://doi.org/10.1[...]
Marginson S. and all
[37]
문서
Reading Vygotsky
https://lchc.ucsd.ed[...]
Cole, M.
[38]
간행물
Vygotsky's Theory: The Importance of Make-Believe Play
https://www.jstor.or[...]
1994
[39]
기타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문서
ヴィゴツキーの思い出
明治図書出版『ソビエト教育科学』
1962
[49]
기타
[50]
기타
[51]
기타
[52]
기타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Vygotsky Circle during the decade of 1931-1941
University of Toronto
2009
[58]
기타
[59]
기타
[60]
기타
[61]
서적
Chapter 6: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Concepts in Childhood
https://www.marxists[...]
[62]
웹사이트
Vygotsky blocks
http://www.oxfordref[...]
Oxford Reference
[63]
Youtube
Paula Towsey on the Blocks Experiment (2008)
https://vimeo.com/10[...]
Vimeo.com
[64]
웹사이트
The Problem of the Cultural Development of the Child
https://www.marxists[...]
[65]
웹사이트
Thinking and Speaking
https://www.marxists[...]
1934
[66]
서적
생각과 말-심리학적 탐구
서울:살림터
2011
[67]
서적
서울:살림터
2012
[68]
웹사이트
Tool and symbol in child development
https://www.marxists[...]
1930
[69]
서적
어린이의 상상과 창조
서울:살림터
2014
[70]
서적
어린이 자기행동 숙달의 역사와 발달
서울:살림터
2013
[71]
서적
살림터
2014
[72]
웹사이트
Play and its role in the Mental Development of the Child
https://www.marxists[...]
1933
[73]
웹사이트
The Problem of the Cultural Development of the Child
https://www.marxists[...]
[74]
서적
어린이의 상상력과 창작성
살림터
2014
[75]
서적
어린이 자기행동 숙달의 역사와 발달
살림터
2013
[76]
서적
살림터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