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베르토 알라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베르토 알라냐는 프랑스 출신의 테너 성악가이다. 1988년 루치아노 파바로티 국제 성악 콩쿠르 우승 후 글린데본 페스티벌 오페라에서 전문적으로 데뷔했으며, 라 스칼라, 로열 오페라 하우스,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등에서 공연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2006년 라 스칼라 극장 공연 중 야유를 받아 논란이 되기도 했다. 프랑스 오페라 부활에도 기여했으며, 다양한 음반을 발매했다. 2008년과 2021년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오페라 가수 - 아모리 바실리
프랑스 샹송 가수 아모리 바실리는 샹송 콩쿠르 우승을 통해 음악 경력을 시작, 더블 플래티넘 데뷔 앨범 발매,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프랑스 대표 참가, 프랑스 복면가왕 우승, 대한민국 성악가 KAI와 조인트 콘서트 개최 등 꾸준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 프랑스의 오페라 가수 - 세바스티앙 이장바르
프랑스 팝 음악가 세바스티앙 이장바르는 솔로 가수로서 프랑스 히트 차트 1위를 기록하고 작곡가, 피아니스트, 기타 연주자로도 활동했으며, 글로벌 음악 그룹 일 디보의 멤버로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며 꾸준히 음악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프랑스의 남자 가수 - 앙드레 부르빌
앙드레 부르빌은 프랑스의 배우, 가수, 작곡가로서, 다양한 직업을 거쳐 보드빌리언으로 활동하다 영화에 데뷔, 루이 드 퓨네스와 코미디 명콤비로 인기를 얻고,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남우주연상 수상과 더불어 다양한 장르의 영화 출연 및 300여 곡의 노래를 작곡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 프랑스의 남자 가수 - 앙리 살바도르
프랑스령 기아나 카옌 출신의 프랑스 가수이자 기타 연주자였던 앙리 살바도르는 프랑스 최초의 로큰롤 곡을 발표하고 "Zorro est arrivé", "Le lion est mort ce soir", "Syracuse" 등의 히트곡을 남겼으며, 그의 노래 "Dans mon île"은 브라질 보사노바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이탈리아계 프랑스인 - 쥘 비앙키
프랑스 자동차 경주 선수 쥘 비앙키는 다양한 주니어 포뮬러 시리즈에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고 2013년 마루시아 F1 팀에서 활동하며 2014년 모나코 그랑프리에서 팀 최초 포인트를 획득했으나, 같은 해 일본 그랑프리 사고로 사망했다. - 이탈리아계 프랑스인 - 마리 안 망시니
마리 안 망시니는 마자랭 추기경의 조카로서 프랑스 궁정에서 살롱을 운영하며 문인들을 후원하고 프랑스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남편 독살 혐의로 재판을 받았으나 루이 14세의 관대한 처분으로 사회에 복귀한 후 이탈리아 로마에서 사망한 17세기 프랑스의 문화 후원자이다.
로베르토 알라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Roberto Alagna |
출생일 | 1963년 6월 7일 |
출생지 | 클리시수부아, 센생드니 주, 프랑스 |
국적 | 이탈리아 프랑스 |
활동 기간 | 1988년–현재 |
직업 | 오페라 가수 (테너) |
배우자 | Florence Lancien (1994년 결혼, 사별) 안젤라 게오르기우 (1996년 결혼, 2013년 이혼) 알렉산드라 쿠르자크 (2015년 결혼) |
웹사이트 | Roberto Alagna Site officiel |
음악 스타일 | |
장르 | 오페라 |
악기 | 테너 |
2. 어린 시절
알라냐는 1963년 파리 교외의 클리시수부아에서 시칠리아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났다.[3] 십 대 시절, 알라냐는 파리의 카바레에서 팁을 주로 받으며 버스킹과 팝송을 부르기 시작했다.[4] 그는 주로 마리오 란차의 영화에 영향을 받았고, 많은 역사적인 테너들의 녹음을 통해 배우면서 오페라로 전향했지만, 대부분 독학으로 배웠다.[5][6] 그는 엑상프로방스 페스티벌의 공동 설립자인 가브리엘 뒤쉬르게에게 발탁되었다.[7]
알라냐는 1988년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루치아노 파바로티 국제 성악 콩쿠르에서 우승했고, 같은 해 글린데본 페스티벌 오페라 투어단과 함께 라 트라비아타의 알프레도 역으로 데뷔했다. 프랑스와 이탈리아 소도시를 중심으로 알프레도 역을 150회 이상 공연하며 경력을 쌓았다. 1990년 라 스칼라, 1992년 로열 오페라 하우스(코벤트 가든), 1996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 데뷔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3. 경력
2006년 12월 라 스칼라에서 아이다 공연 도중 관객의 야유에 무대를 떠난 사건은 논란이 되었지만,[10] 이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성공적인 공연을 이어갔다. 특히 2007년 ''아이다'' 공연에서는 부상당한 동료 가수를 대신해 무대에 올라 기립 박수를 받았다.[12]
최근에는 프랑코 알파노의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 등 잊혀진 프랑스 오페라를 재조명하고, 블라디미르 코스마의 ''마리우스와 파니''와 같은 새로운 작품에도 참여하며 활동 범위를 넓혔다. 루이스 마리아노에게 헌정하는 앨범을 발표하는 등 가벼운 음악도 선보였다. 2018년 바이로이트 페스티벌 로엔그린 공연에서는 하차했지만,[14] 프랑스 오페라 부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8년과 2021년에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24]
3. 1. 초기 경력
루치아노 파바로티 국제 성악 콩쿠르에서 우승한 후, 1988년 모데나에서 글린데본 페스티벌 오페라 투어단과 함께 라 트라비아타의 알프레도 제르몽 역으로 전문적인 데뷔를 했다.[8] 이후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작은 도시에서 알프레도 역으로 150회 이상 공연했다. 1990년 라 스칼라, 1992년 로열 오페라 하우스(코벤트 가든), 1996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라 보엠의 로돌포 역으로 공연하며 명성을 높였다. 1994년 로열 오페라 하우스(코벤트 가든)에서 샤를 구노의 ''로미오와 줄리엣'' 공연으로 국제적인 스타덤에 올랐다.[9]
3. 2. 국제적 명성
루치아노 파바로티 국제 성악 콩쿠르에서 우승한 후, 1988년 모데나에서 글린데본 페스티벌 오페라 투어단과 함께 라 트라비아타의 알프레도 제르몽 역으로 전문 데뷔를 했다.[8] 이후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작은 도시에서 많은 공연을 했고, 알프레도 역을 150번 이상 불렀다. 명성이 높아지면서 1990년 라 스칼라, 1992년 로열 오페라 하우스(코벤트 가든), 1996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라 보엠의 로돌포 역으로 공연했다. 1994년 로열 오페라 하우스(코벤트 가든)에서 샤를 구노의 ''로미오와 줄리엣''을 공연하면서 국제적인 스타가 되었다.[9]
2006년 12월 7일 라 스칼라에서 프랑코 제피렐리의 새로운 ''아이다'' 프로덕션으로 2006/07 시즌을 시작했다. 12월 10일 두 번째 공연에서 알라냐는 야유와 휘파람을 받고 무대에서 퇴장했다. 라 스칼라 경영진과 제피렐리는 테너의 반응을 미성숙하고 전문적이지 않다고 비난했다.[10] 라다메스 역은 나머지 공연에서 그의 언더스터디인 안토넬로 팔롬비가 청바지와 검은 셔츠를 입고 무대에 올라 성공적으로 대신했다.[11]
2007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나비 부인''의 핑커톤 역을 맡았고, 9월과 12월에는 ''로미오와 줄리엣''의 로미오 역을 맡았다. 2007년 10월 16일 ''아이다'' 공연에서 부상당한 마르코 베르티를 대신해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로부터 급하게 섭외되었다. 공연 후 관객들은 그에게 기립 박수를 보냈다.[12] 알라냐가 출연한 12월 15일의 ''로미오와 줄리엣'' 공연은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 의해 전 세계 447개의 극장으로 고화질로 방송되었으며 약 97,000명이 시청했다.[13]
최근 몇 년 동안 알라냐는 프랑코 알파노의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 쥘 마스네의 ''노트르담의 광대'', 에두아르 라로의 ''피에스케''와 같은 소외된 프랑스 오페라를 부활시키는 데 앞장서 왔다. 블라디미르 코스마의 ''마리우스와 파니''와 그의 형제 데이비드 알라냐의 ''사형수의 마지막 날''과 같은 새로운 작품에도 참여했다. 루이스 마리아노에게 헌정하는 앨범 ''시실리''와 ''파시온''을 포함하여 가벼운 음악도 녹음했다.
2018년 7월 25일 개막하는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에서 리하르트 바그너의 ''로엔그린''의 새로운 프로덕션 타이틀 롤로 데뷔할 예정이었으나, 배역을 제때 익히지 못했다는 이유로 2018년 6월 29일 페스티벌에서 하차했다.[14]
3. 3. 라 스칼라 극장 사건
2006년 12월, 알라냐는 라 스칼라 극장에서 프랑코 제피렐리가 연출한 아이다의 새 프로덕션으로 2006/07 시즌을 시작했다. 12월 10일 두 번째 공연에서 알라냐는 첫 공연에서 불편한 모습을 보였는데, ''로지오네''(라 스칼라 극장의 가장 저렴한 좌석)에서 야유와 휘파람을 받자 무대에서 퇴장했다.[10] 이러한 대중의 비판에 대한 알라냐의 반응은 라 스칼라 극장 경영진과 제피렐리에 의해 미성숙하고 전문적이지 않다고 비난받았다. "전문가는 결코 이런 식으로 행동해서는 안 된다. 알라냐는 너무 민감해서 그의 감정을 상하게 하기가 너무 쉽다. 그는 진정한 스타처럼 행동하는 법을 모른다."라고 언급되었다.[10] 그의 언더스터디인 안토넬로 팔롬비가 청바지와 검은 셔츠 차림으로 무대에 올라 라다메스 역을 성공적으로 이어받았다.[11]
3. 4.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알라냐는 1996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라 보엠의 로돌포 역으로 데뷔했다.[9] 2007년에는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나비 부인''의 핑커톤 역을 맡았고, 같은 해 9월과 12월에는 안나 네트레브코와 함께 ''로미오와 줄리엣''의 로미오 역을 맡았다. 2007년 10월 16일 ''아이다'' 공연에서 부상당한 마르코 베르티를 대신하여 급하게 섭외되었고, 공연 후 관객들은 그에게 기립 박수를 보냈다.[12] 알라냐와 네트레브코가 출연한 2007년 12월 15일의 ''로미오와 줄리엣'' 공연은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 의해 전 세계 447개의 극장으로 고화질로 방송되었으며 약 97,000명이 시청했다.[13]
3. 5. 프랑스 오페라 부활
최근 몇 년 동안 알라냐는 프랑코 알파노의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 쥘 마스네의 ''노트르담의 광대'', 에두아르 라로의 ''피에스케''와 같은 소외된 프랑스 오페라를 부활시키는 데 앞장서 왔다. 블라디미르 코스마의 ''마리우스와 파니''와 그의 형제 데이비드 알라냐의 ''사형수의 마지막 날''과 같은 새로운 작품에도 참여했다. 그는 또한 루이스 마리아노에게 헌정하는 앨범 ''시실리''와 ''파시온''을 포함하여 가벼운 음악을 녹음했다.
3. 6. 바이로이트 페스티벌 하차
알라냐는 2018년 7월 25일 개막하는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에서 리하르트 바그너의 로엔그린의 새로운 프로덕션 타이틀 롤을 맡을 예정이었다. 그러나 배역을 제때 익히지 못했다는 이유로 2018년 6월 29일 페스티벌에서 하차했다.[14]
4. 사생활
알라냐의 첫 번째 부인인 플로랑스 랑시엔은 1994년 뇌종양으로 사망했다.[15] 그들 사이에는 1992년에 태어난 딸 오르넬라가 있었다. 1996년, 그는 루마니아 출신 소프라노 안젤라 게오르규와 결혼했다.[15] 이 부부는 2009년에 이혼을 발표했지만 2011년까지 재결합했다. 그러나 2013년 1월, 부부는 공식적인 이혼에 상호 합의했다.[16] 알라냐와 폴란드 소프라노 알렉산드라 쿠르자크는 관계를 시작했고, 그들의 딸 말레나가 2014년 1월 29일에 태어났다.[17] 알라냐와 쿠르자크는 2015년에 결혼했다.[18]
알라냐는 그의 형제인 프레데리코 알라냐, 그리고 연출가이자 작곡가인 다비드 알라냐와 여러 프로젝트에서 함께 작업했다. 세 형제는 경음악 앨범인 《세레나데》를 녹음했고, 막내 동생 다비드의 빅토르 위고의 《사형수 최후의 날》을 기반으로 한 오페라를 함께 작업했다. 알라냐는 종종 그의 처제 나탈리 만프리노와 함께 알파노의 시라노를 불렀다.
프랑스 정부는 2008년에 알라냐를 레지옹 도뇌르 기사 작위로 임명했다.[19]
5. 수상
주어진 원본 소스는 로베르토 알라냐의 레퍼토리를 나타내는 표이며, '수상' 섹션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출력할 내용이 없다. (이전 출력과 동일하며, 수정할 내용 없음)
6. 레퍼토리
로베르토 알라냐는 이탈리아어와 프랑스어 오페라를 주로 불렀다. 특히 프랑스어 발음(딕션)이 명료하고 자연스러우며, 혀를 굴리지 않는 R 발음을 구사하는 드문 가수 중 한 명이다.
20~30대에는 밝은 음색으로 로미오와 줄리엣의 로미오, 라 보엠의 로돌포 등 가벼운 리릭 테너 역을 주로 맡았다. 점차 음색이 굵어지면서 카르멘의 돈 호세, 일 트로바토레의 만리코 등 스핀토 배역을 소화했고, 현재는 아이다의 라다메스나 투란도트의 칼라프처럼 드라마틱한 역할도 레퍼토리에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그의 본질은 낭만적이고 정열적인 가창이 특징인 리릭 테너이다.
알라냐는 상연 기회가 적은 프랑스 작품을 부활시키는 데 큰 공헌을 했다. 알파노의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 마스네의 '노트르담의 곡예사', '르 시드', '나바라의 딸', 라로의 '피에스크', 베를리오즈의 '레리오', 드뷔시의 '탕아', 베르디의 돈 카를로 (프랑스어 원전판), 도니체티의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프랑스어판) 등을 녹음하고 공연했다. 또한 블라디미르 코스마의 '마리우스와 파니'를 초연하기도 했다. 그는 트로이 사람들, 마이에르베어의 '아프리카의 여인', 알레비의 유대 여인, 쇼송의 아르튀스 왕 등 최근 재평가받고 있는 그랜드 오페라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알라냐는 오페라 외에도 팝 가수로 활동하며, 루이스 마리아노에 대한 오마주를 담은 CD는 40만 장, 부모의 고향 시칠리아의 곡을 담은 CD는 35만 장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프랑스 국내에서는 대중 콘서트 전국 투어를 여러 차례 진행했으며, 대중음악에서는 오페라와는 다른 발성으로 노래한다.
6. 1. 주요 오페라 배역
배역 | 작품명 | 작곡가 |
---|---|---|
알프레도 | 춘희 | 베르디 |
돈 카를로 | 돈 카를로 (프랑스어 버전) | 베르디 |
돈 카를로 | 돈 카를로 | 베르디 |
만리코 | 일 트로바토레 | 베르디 |
만토바 공작 | 리골레토 | 베르디 |
맥더프 | 맥베스 | 베르디 |
라다메스 | 아이다 | 베르디 |
리카르도 | 가면 무도회 | 베르디 |
오텔로 | 오텔로 | 베르디 |
로돌포 | 루이자 밀러 | 베르디 |
로메오 | 로미오와 줄리엣 | 구노 |
파우스트 | 파우스트 | 구노 |
돈 호세 | 카르멘 | 비제 |
나디르 | 진주 조개잡이 | 비제 |
베르테르 | 베르테르 | 마스네 |
데 그리외 | 마농 | 마스네 |
장 | 노트르담의 곡예사 | 마스네 |
로드Rodrigue | 르 시드 | 마스네 |
호프만 | 호프만의 이야기 | 오펜바흐 |
시라노 |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 | 알파노 |
로돌포 | 라 보엠 | 푸치니 |
마리오 카바라도시 | 토스카 | 푸치니 |
루지에로 | 제비 | 푸치니 |
핑커턴 | 나비 부인 | 푸치니 |
칼라프 | 투란도트 | 푸치니 |
데 그리외 | 마농 레스코 | 푸치니 |
네모리노 | 사랑의 묘약 | 도니체티 |
에드가르도 |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 도니체티 |
에드거 |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프랑스어 버전) | 도니체티 |
로베르토 | 로베르토 데브뢰 | 도니체티 |
프리츠 | 친구 프리츠 | 마스카니 |
투리두 |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 마스카니 |
카니오 | 광대 | 레온카발로 |
파올로 | 프란체스카 다 리미니 | 잔도나이 |
오르페오 |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 글루크 |
피에스크 | 피에스크 | 라로 |
에네 | 트로이 사람들 | 베를리오즈 |
울리세 | 페넬로페 | 포레 |
삼손 | 삼손과 데릴라 | 생상스 |
7. 음반 및 영상
로베르토 알라냐는 다양한 음반과 영상물을 발매했다. 특히 프랑스와 벨기에에서 인기가 높았다.
연도 | 싱글 | 차트 |
---|---|---|
프랑스 | ||
2003 | "쁘띠 파파 노엘" (Petit Papa Noël) | 91 |
그는 클래식 음악 차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제임스 레바인의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25주년 기념 갈라(1996) 등의 영상물도 출시했다.
7. 1. 주요 음반
연도 | 앨범 | 크레딧 | 차트 | ||||
---|---|---|---|---|---|---|---|
벨 (와)[20] | FRA | SPA | SWI | MEX | |||
1996 | Chants sacrés | — | 19 | — | — | — | |
2001 | 푸치니: 토스카 | 안젤라 게오르규, 로베르토 알라냐, 루제로 라이몬디 | — | 89 | — | — | — |
2002 | 도니체티: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 나탈리 데세, 로베르토 알라냐, 뤼도빅 테지에, 에벨리노 피도 | — | 150 | — | — | — |
2003 | 비제: 카르멘 | 게오르규 & 알라냐 | — | 59 | — | — | — |
2005 | 샹트 루이스 마리아노 | 14 | 4 | — | 89 | — | |
2006 | 테너 | 86 | 40 | — | — | — | |
비바 오페라! | 29 | 43 | — | — | — | ||
2007 | 크레도 – 에어 사크레 | 56 | 18 | — | — | — | |
2008 | 시실리엔 | 4 | 2 | — | 71 | — | |
2009 | 노트르담의 곡예사 | — | 198 | — | — | 94 | |
시실리엔 – 라이브 | 72 | 56 | — | — | — | ||
2010 | 오마주 아 루이스 마리아노 – 세 마니피크! | 53 | 27 | — | — | — | |
레 스타 드 클라시크 | — | 191 | — | — | — | ||
2011 | 파시온 | 5 | 4 | 34 | 100 | — | |
2012 | 파시온 라이브 | — | 80 | — | — | — | |
2013 | 로베르티시모 | 24 | 11 | — | — | — | |
2014 | 리틀 이탈리아 | — | 71 | — | — | — | |
마 비 에스 엉 오페라 | 50 | 33 | — | — | — | ||
2016 | 말레나 | 이반 카사르, 런던 오케스트라 & 로베르토 알라냐 | — | 47 | — | — | — |
2018 | 푸치니 인 러브 | 로베르토 알라냐 / 알렉산드라 쿠르작 | 160 | — | — | — | — |
2019 | 카루소 1873 | 로베르토 알라냐 | — | 40[21] | — | — | — |
2020 | 로베르토 알라냐: 에센셜스 | 로베르토 알라냐 | — | — | — | — | |
2020 | 르 샹퇴르 | 로베르토 알라냐 | — | — | — | — |
7. 2. 주요 영상
- 제임스 레바인의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25주년 기념 갈라(1996), 도이치 그라모폰 DVD, B0004602-09
참조
[1]
웹사이트
Roberto Alagna
https://www.britanni[...]
[2]
서적
Je ne suis pas le fruit du hasard
Grasset
[3]
뉴스
Roberto Alagna: I want to sing everything but there is no time
http://www.express.c[...]
2012-11-11
[4]
간행물
Current Biography {{ndash}} Roberto Alagna
H.W. Wilson Company
[5]
웹사이트
Matinee Idol
http://www.metoperaf[...]
The Metropolitan Opera News
2008-07-03
[6]
잡지
So Happy Together
http://www.time.com/[...]
1996-04-29
[7]
웹사이트
Aix-en-Provence Historical Society: Gabriel Dussurget
http://ruesdaix.ag13[...]
[8]
서적
International Who's Who In Classical Music 2003
https://books.google[...]
Europa Publications
[9]
잡지
Alagna Slated For Tenor Stardom
http://www.ebscohost[...]
1995-11-18
[10]
뉴스
Tenor who stormed off La Scala stage vows he will return
http://www.timesonli[...]
2006-12-12
[11]
뉴스
Booed tenor quits La Scala's ''Aida''
http://news.bbc.co.u[...]
2006-12-11
[12]
뉴스
Once-booed tenor wows the Met
Associated Press
2007-10-21
[13]
뉴스
Metropolitan Opera's broadcast is a digital gift
http://www.dailypres[...]
2007-12-23
[14]
뉴스
Star-Tenor sagt "Lohengrin" ab – Text nicht gelernt
https://www.welt.de/[...]
2018-06-30
[15]
백과사전
Alagna, Roberto, and Gheorghiu, Angela
http://www.britannic[...]
[16]
뉴스
Opera's most famous couple divorce: Angela Gheorghiu accuses Roberto Alagna of violence
https://www.telegrap[...]
2013-07-02
[17]
뉴스
Roberto Alagna: "Es ist schlecht, über jemanden zu urteilen"
http://diepresse.com[...]
2014-09-20
[18]
블로그
A Powerful Elixir
https://www.wqxr.org[...]
2018-02-14
[19]
보도자료
Décret du 21 mars 2008 portant promotion et nomination
https://www.legifran[...]
2008-03-23
[20]
웹사이트
Robert Alagna Discographie
https://www.ultratop[...]
[21]
웹사이트
Top Albums (Week 47, 2019)
http://snepmusique.c[...]
Syndicat National de l'Édition Phonographique
2019-11-25
[22]
웹사이트
OLIVIER WINNERS 1995
https://officiallond[...]
[23]
웹사이트
TEATRO ALLA SCALA 2021-2020 Season – A RIVEDER LE STELLE
https://www.teatroal[...]
[24]
웹사이트
Les nouvelles promotions de la Légion d’honneur Communiqué de presse – 1 er janvier 2021
https://www.legiond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