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건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건충은 1845년 가톨릭 집안에서 태어난 청나라 말기의 외교관이자 학자이다. 그는 이홍장의 막료로 활동하며 국제법을 배우기 위해 프랑스로 유학, 파리 정치 대학에서 법학 학위를 취득했다. 톈진으로 돌아와 양무운동을 추진하고, 조선에 파견되어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을 추진하는 등 외교 활동을 펼쳤다. 또한, 중국 최초의 문법서인 《문통》을 저술했으며, 리금 폐지, 관세 자주권 회복, 무역 확대 등을 주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건충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마건충 |
| 원어 이름 | 馬建忠 |
| 다른 이름 | 마미숙 (馬眉叔) |
| 출생일 | 1845년 2월 9일 |
| 사망일 | 1900년 8월 14일 |
| 출생지 | 청나라 장쑤성 전장 |
| 사망지 | 청나라 직례성 베이징 |
| 국적 | 청나라 |
| 직업 | 학자, 외교관, 정치가 |
| 종교 | 천주교 |
| 친척 | 마건훈(둘째 형), 마상백(넷째 형) |
| 장르 | 언어학 저술 |
| 활동 기간 | 1870년 ~ 1900년 |
| 로마자 표기 | Ma Geonchung |
| 학문적 관심사 | |
| 주요 관심사 | 중국 사상, 언어학 |
| 추가 정보 | |
| 기타 | 단투 출신 |
2. 생애
마건충은 1845년 가톨릭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형제들 역시 청나라의 관리, 교육자로 활동했는데, 둘째 형 마건훈은 이홍장의 막료로 회군의 병량대를 맡았고, 넷째 형 마상백은 전단 대학(震旦大學)과 푸단 대학의 설립자이다.
마건충은 청나라 말기의 관리이자 외교관, 학자였다. 임오군란 당시 흥선대원군을 청나라로 납치하는데 관여했고, 청나라의 국기(청룡기)를 모방한 황룡기 도안을 조선의 국기로 사용할 것을 고종에게 요구했으나 거절당했다.[6] 이후 상하이 기기직포국 총재에 임명되기도 했지만, 경영난으로 사직하였다. 1895년에는 청일전쟁의 강화 조약을 위해 일본으로 향한 이홍장을 보좌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가톨릭 집안에서 태어난 마건충은 어려서부터 과거를 목표로 사서오경을 공부했다. 1853년 함풍제 3년에 태평천국 군이 난징에 입성하면서 가족은 상하이로 피난했고, 마건충과 형제들은 예수회가 설립한 서회공학(徐匯公学)에 입학하여 프랑스어와 라틴어를 배웠다. 제2차 아편 전쟁을 겪으며 서양 학문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라틴어, 프랑스어, 영어, 그리스어를 계속 공부했다.[6]2. 2. 관료 생활과 외교 활동
1870년 형 마건훈의 추천으로 이홍장의 막료가 되어 문화 지식과 어학 능력을 인정받았다.[6] 1878년 이홍장에 의해 국제법을 배우기 위해 프랑스에 파견되었다. 파리에서 중국인 최초로 학사 학위를 받고, 파리 정치 대학에서 법학 학위를 취득했다.[6]1880년 톈진으로 돌아와 이홍장 휘하에서 양무운동을 추진했다.[6] 1881년 영국령 인도 제국에 파견되어 아편 전매와 세수 문제를 협상했다.[6] 1882년 이홍장의 명으로 조선에 파견되어 조미수호통상조약 등 조선과 서구 열강 간의 통상 조약 체결을 주도했다.[6] 임오군란이 발생하자 흥선대원군의 납치 및 연행에 관여하였다.[6]
1884년 당정추가 관리하는 윤선상초국(輪船商招局)에 들어가 해운 사업에 참여했다.[6] 1890년 대외 무역 발전과 민간 산업 진흥을 주장하는 《부민설》(富民說)을 저술하여 이홍장에게 제출했다.[6] 1895년 청일전쟁 강화 조약 체결을 위해 일본으로 향하는 이홍장을 보좌했다.[6] 1896년 상하이에서 량치차오를 만나 《적가재기언기행》(適可斎記言記行)을 저술했다.[6]
2. 3. 학문적 업적과 사망
1898년 중국 최초의 문법서인 《마씨문통(문통)》을 저술했다.[7][8] 오늘날 대부분의 학자들은 그의 형인 마상백이 이 저서 저술에 관여했다고 믿고 있다.[9] 1900년 이홍장에게 다시 불려왔으나, 같은 해에 사망했다.3. 사상
마건충은 부국강병을 위한 개혁 사상을 제시했다. 그는 리금(통행세) 폐지, 관세 자주권 회복, 무역 확대, 민간 산업 진흥, 의회 제도 채택을 주장했으며, 외국 과학 및 문화 지식 흡수를 위한 번역 서원 개설을 제안했다.[1]
3. 1. 주요 주장
마건충은 리금(통행세) 폐지, 관세 자주권 회복, 무역 확대, 민간 산업 진흥, 의회 제도 채택을 주장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외국의 과학과 문화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번역 서원의 개설을 제안했다.4. 가족 및 친족
- 형: 마건훈, 마상백
5. 저서
- 《적가재기언기행》
- 《문통》
- 《감여순기》
참조
[1]
논문
Ma Jianzhong and the Invention of Chinese Grammar
[2]
서적
Contrastive Linguistics: History, Philosophy and Methodology
Continuum
[3]
웹사이트
Who's the author of ''Mashi Wentong''?
https://web.archive.[...]
2007-09-29
[4]
웹사이트
Ma Jianzhong
https://www.cuhk.edu[...]
[5]
서적
Chinese Encyclopaedias of New Global Knowledge (1870-1930): Changing Ways of Thought
https://books.google[...]
2013-08-04
[6]
웹사이트
태극기
http://encykorea.aks[...]
[7]
논문
Ma Jianzhong and the Invention of Chinese Grammar
[8]
서적
Contrastive Linguistics: History, Philosophy and Methodology
Continuum
[9]
웹사이트
Who's the author of ''Mashi Wentong''?
http://www.yaoxiaopi[...]
2007-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