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우유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저우유광(周有光, 1906년 ~ 2017년)은 중국의 언어학자, 경제학자, 교육자이며,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인 한어 병음 개발에 기여한 인물이다. 상하이 성 요한 대학교, 광화 대학교에서 수학하고, 일본 유학 후 경제학 교수로 활동하다가 문자 개혁 위원회에 참여하여 1950년대 후반 한어 병음을 개발했다.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비판을 받아 노동 수용소에서 2년간 복역했으나, 이후에도 저작 활동을 이어갔다. 1980년대에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중국어 번역 위원, 중국대백과전서 사회과학 부문 총편집위원을 역임했으며, 100세 이후에도 저술 활동을 지속했다. 그는 중국 공산당을 비판하는 정치적 발언을 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은행가 - 쑹쯔원
쑹쯔원은 중화민국 시대 정치가이자 경제학자로, 국민정부 재정부장과 중앙은행 총재를 역임하며 중국 경제에 기여하고 중일전쟁 시 미국 지원을 확보했으나, 관료 자본주의 논란 속에 국공내전 후 미국으로 망명했다. - 중국의 은행가 - 쑹쯔안
쑹쯔안은 중국의 은행가이자 사업가로, 쑹자수 목사의 아들이자 쑹아이링, 쑹칭링, 쑹쯔원, 쑹메이링, 쑹쯔량의 남동생이며, 홍콩 광둥 은행 총재를 역임했다. - 창저우시 (장쑤성) 출신 - 취추바이
취추바이는 중국 공산당의 초기 지도자 중 한 명으로, 마르크스-레닌주의 전파와 좌익 문학 운동을 이끌었으나, 상하이 쿠데타 이후 실각, 이후 좌익 문화 운동에 참여하다 국민당에 의해 처형되었고 사후 복권되었다. - 창저우시 (장쑤성) 출신 - 운격
운격은 시, 서예, 그림에 모두 능한 삼절의 예술가로, 창저우 화파를 창시하고 화조화 부활에 기여했으며, 몰골법을 모방한 생생한 화풍으로 일본 화단에도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중국학자 - 마건충
마건충은 1845년 가톨릭 집안에서 태어나 이홍장의 막료로 활동하며 프랑스 유학 후 외교 활동을 펼치고, 중국 최초의 문법서인 《문통》을 저술한 청나라 말기의 외교관이자 학자이다. - 중국의 중국학자 - 린위탕
린위탕은 중국 문화와 철학을 서구에 소개하고 유머와 풍자가 담긴 수필로 인기를 얻은 작가이자 사상가, 언어학자로, 영어 저서와 중국어 타자기 개발을 통해 동서양 문화 교류에 기여했으며 노벨 문학상 후보에 지명되기도 했다.
저우유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저우야오핑 (周耀平) |
로마자 표기 | Zhou Yaoping (저우 야오핑) |
출생일 | 1906년 1월 13일 |
출생지 | 장쑤성 창저우 |
사망일 | 2017년 1월 14일 |
사망지 | 베이징 |
국적 | 중화인민공화국 |
학력 | |
모교 | 상하이 성 요한 대학교 광화 대학교 |
경력 | |
주요 업적 | 한어병음 개발; 슈퍼센티네리언 |
주요 저서 | 중국 언어와 문자 역사적 진화 |
소속 정당 | 중국민주건국회 |
개인 정보 | |
배우자 | 장윈허 (1933년 결혼, 2002년 사망) |
자녀 | 2명 |
2. 생애
저우유광은 1906년 장쑤성 창저우에서 태어났다.[19] 1923년 상하이 성 요한 대학에 입학했지만, 1925년 5·30 사건에 대한 학교 측의 조치에 분노하여 교사들과 함께 성 요한 대학을 떠나 광화 대학(光華大學)을 창립했고, 저우유광 또한 광화 대학으로 옮겨 1927년 졸업했다.
1933년 장윈허(張允和)와 결혼하고 같은 해 일본 유학을 떠났다.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 가와카미 하지메에게 경제학을 배우려 했으나, 가와카미 하지메가 검거되면서 무산되었다. 도쿄 대학과 교토 대학에서 공부했지만, 1935년 유학을 중단하고 귀국하여 광화 대학에서 경제학을 가르쳤다. 중일 전쟁 중에는 신화 은행(新華銀行)에서 근무했고, 종전 후 유럽과 홍콩에 체류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상하이 푸단 대학과 상하이 재경 학원(財經學院)에서 경제학 교수로 재직하며 중국어 문자 개혁 관련 저작물을 발표했다. 1954년 문자 개혁 위원회(文字改革委員會)에 초청되었고, 1955년 위원회 전념을 위해 대학 교수를 그만두고 베이징으로 이주하여 경제학을 포기하고 문자 개혁 전문가로 활동했다.
문화 대혁명 기간에는 "학술에 관한 반동주의적인 권위"라는 비판을 받고 닝샤 후이족 자치구의 우치(五七) 간부 학교로 이송되었으나, 1971년 석방되었다. 이후 문자 개혁 저작 활동을 재개했고, 1979년 바르샤바에서 열린 국제 표준화 기구(ISO) 회의에서 한어 병음을 국제 표준으로 제안하여 1982년 ISO 7098로 표준화되었다.
1980년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중국어 번역 위원, 중국대백과전서 사회과학 부문 총편집위원을 역임했다. 1985년 문자 개혁 위원회가 국가 언어 문자 공작 위원회(國家言語文字工作委員會)로 변경된 후에도 위원으로 활동하다 1989년 퇴직했다. 2006년 100세 생일 이후에도 저술 활동을 계속했으며, 2017년 1월 14일 111세로 별세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06년 1월 13일 청나라 장쑤성 창저우에서 관리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본명은 '''저우 야오핑'''(周耀平)이다.[4][5] 10세 때 가족과 함께 쑤저우로 이사했다.[6] 1918년 창저우 고급 중학교에 입학하여 언어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1923년 우등생으로 졸업했다.[6]같은 해 상하이 세인트존스 대학교에 입학하여 경제학을 전공하고 언어학을 부전공했다.[5] 가난 때문에 학업을 이어가기 어려웠지만, 친구와 친척들이 모금한 200위안으로 입학금을 마련하고 등록금을 지원받았다.[6] 1925년 5·30 사건에 대한 학교 측의 미흡한 조치에 분노하여 학교를 떠나 광화 대학교로 옮겼고, 1927년에 졸업했다.[5]
1933년 4월 30일, 장윈허와 결혼했다.[5] 같은 해 부부는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고, 저우유광은 도쿄 대학에 교환 학생으로 입학했다. 이후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 가와카미 하지메를 존경하여 교토 대학으로 옮겼다. 그러나 1933년 1월 가와카미 하지메가 일본 공산당 가입 혐의로 체포되면서 그의 제자가 되려는 계획은 무산되었다. 1934년 아들 저우 샤오핑(周晓平)이 태어났고, 샤오허(周小禾)라는 딸도 있었다.[6]
1937년 중일 전쟁 발발로 저우유광과 가족은 전시 수도였던 충칭으로 피난을 갔고, 그곳에서 딸 샤오허를 잃었다.[2]
2. 2. 결혼과 일본 유학
1933년 장윈허(張允和, 1909년 ~ 2002년)와 결혼했으며 같은 해에 일본 유학 생활을 시작했다.[5]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였던 가와카미 하지메에게 경제학을 배우려고 했지만, 가와카미 하지메가 검거되면서 성사되지 않았다.[6] 처음에는 도쿄 대학에 재학했다가 나중에 교토 대학으로 옮겼지만, 1935년 유학 생활을 중단하고 귀국했다.
2. 3. 중일 전쟁과 경제학자 활동
1933년 장윈허(張允和, 1909년 ~ 2002년)와 결혼했으며 같은 해에 일본 유학 생활을 시작했다.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였던 가와카미 하지메에게 경제학을 배우려고 했지만 가와카미 하지메가 검거되면서 성사되지 않았다. 처음에는 도쿄 대학에 재학했다가 나중에 교토 대학으로 옮겼지만 1935년 유학 생활을 중단하고 귀국했으며 광화 대학에서 경제학을 가르쳤다.[5] 중일 전쟁 시기에는 산간 오지로 피신해서 신화 은행(新華銀行)에서 근무했다. 전쟁 이후에는 유럽의 여러 나라와 홍콩에 체류했다.[7]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는 상하이 푸단 대학과 상하이 재경 학원(財經學院)에서 경제학 교수로 근무했으며 중국어 문자 개혁에 관한 저작물을 발표했다. 이러한 경력으로 인해 1954년 문자 개혁 위원회(文字改革委員會)에 초청되었다.
2. 4. 언어학자로의 전향과 한어 병음 개발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되자, 저우유광은 상하이로 돌아와 푸단 대학과 상하이 재경학원의 경제학 교수를 맡는 한편, 문자 개혁에 관한 저작을 발표했다. 이러한 경력이 높게 평가되어 1954년 문자 개혁 위원회에 초청되었다. 1955년 위원회 일을 계속하라는 요청을 받아 대학을 사직하고 베이징으로 이사했으며, 이후 경제학을 그만두고 문자 개혁 전문가로 활동하게 되었다.[19]1955년, 저우유광의 오랜 친구였던 저우언라이 총리는 그를 베이징으로 소환하여 중국을 위한 알파벳 개발을 그의 팀에 맡겼다.[8] 저우언라이는 이 시점까지 저우유광이 경제학자로 일해 왔지만, 언어학 및 에스페란토에 대한 그의 관심을 알고 있었다. 중국 정부는 인구의 문맹 퇴치를 목표로 중국어 표기 체계 개혁을 위해 저우유광을 위원회의 수장으로 임명했다.[9]
다른 위원회가 표준 중국어를 국어로 보급하고, 중국어 글자 형태를 간략화하는 작업을 하는 동안, 저우유광의 위원회는 궁극적으로는 글자를 완전히 대체할 알파벳 개발을 담당했다.[4] 저우유광은 나중에 이 임무가 전업이었으며, 약 3년의 작업이 필요했다고 회고했다.[4] 저우유광의 팀은 기존 체계를 기반으로 핀인을 만들었다. 핀인의 음소는 국어 로마자와 라틴화 신문자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성조를 나타내기 위한 성조 부호 체계는 주음 부호에서 영감을 받았다.[10] 1958년, 중국 정부는 핀인 (공식 명칭: 한어 병음)을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채택했지만, 이 시점에는 중국어를 대체하기보다는 보조하는 역할을 했다.[11]
1979년 4월, 중국 정부를 대표하여 저우유광은 바르샤바에서 열린 국제 표준화 기구 (ISO) 회의에 참석하여 핀인을 국제 표준으로 채택할 것을 제안했다. 1982년 투표를 거쳐 이 체계는 ISO 7098이 되었다. 핀인은 처음 보급된 이후 국어 로마자 및 웨이드-자일스와 같은 기존 체계를 대부분 대체했다.[2]
2. 5. 문화 대혁명과 이후 활동
문화 대혁명 시기 저우유광은 "학술에 관한 반동주의적인 권위"라는 비판을 받고 닝샤 후이족 자치구의 우치(五七) 간부 학교로 이송되었지만, 1971년에 석방되었다.[4] 하방 운동 기간 동안 노동 수용소에서 2년을 보냈다.[13][1]문화 대혁명 이후 문자 개혁에 관한 저작 활동을 재개했다. 1979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국제 표준화 기구(ISO) 회의에서 한어 병음을 국제 표준으로 제안했고, 1982년 ISO 7098로 표준화되었다.
1980년대에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중국어 번역 위원, 중국대백과전서 사회과학 부문 총편집위원을 역임했다.[5] 1985년 문자 개혁 위원회가 국가 언어 문자 공작 위원회로 개명된 후에도 위원으로 남아 있었지만, 1989년에 퇴직했다.
1988년 샤프로부터 핀인 입력 방식의 중국어 워드프로세서를 증정받은 이후, 입력 문제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2006년 100세 생일을 맞은 뒤에도 저작 활동을 계속했으며, 100세가 넘어서도 10권의 책을 출판했다. 그 중 일부는 중국에서 금지되었다.[13] 2011년 NPR과의 인터뷰에서 저우유광은 중국이 1989년 톈안먼 사건에 대한 입장을 바꾸는 날을 보기를 희망한다고 말했으며, 이 사건이 개혁가로서 덩샤오핑의 명성을 망쳤다고 말했다.[13] 그는 정치 개혁과 중국의 민주주의를 옹호했으며, 중국 공산당이 권력을 잡았을 때 전통적인 중국 문화를 공격하는 것에 대해 비판했다.[13]
2. 6. 만년과 죽음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학술에 관한 반동주의적인 권위"라는 비판을 받고 닝샤 후이족 자치구의 우치(五七) 간부 학교로 이송되었지만 1971년에 석방되었다.[4],[13],[1] 문화 대혁명 이후에 문자 개혁에 관한 저작 활동을 재개했다. 1979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국제 표준화 기구(ISO) 회의에서 한어 병음에 관한 국제 표준을 제안했으며 1982년에는 한어 병음에 관한 국제 표준인 ISO 7098이 채택되었다.[20]1980년대에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중국어 번역 위원, 중국대백과전서 사회과학 부문 총편집위원을 역임했다.[5],[20] 1985년 문자 개혁 위원회가 국가 언어 문자 공작 위원회(國家言語文字工作委員會)라는 이름으로 변경된 이후에도 위원으로 남아 있었지만 1989년에 퇴직했다. 1988년 샤프로부터 핀인 입력의 중국어 워드프로세서를 증정받은 이후, 입력 문제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20]
2006년 100세 생일을 맞이한 뒤에도 저작 활동을 계속했으며, 100세가 넘어서도 10권의 책을 출판했는데 그 중 일부는 중국에서 금지되었다.[13] 2011년 NPR과의 인터뷰에서 저우는 중국이 1989년 톈안먼 사건에 대한 입장을 바꾸는 날을 보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 사건이 개혁가로서 덩샤오핑의 명성을 망쳤다고 말했다.[13] 그는 정치 개혁과 중국의 민주주의를 옹호했으며, 중국 공산당이 권력을 잡았을 때 전통적인 중국 문화를 공격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이었다.[13]
2017년 1월 14일 향년 111세를 일기로 별세하였다.[2],[21],[22] 사망 원인은 공개되지 않았다. 그의 아내는 2002년에 사망했고, 그의 아들은 2015년에 사망했다.[2] 다음 해, 중국어로 된 애니메이션 로고를 특징으로 하는 구글 두들이 저우의 112번째 생일을 기념했다.[16]
3. 주요 저서
저우유광은 40권이 넘는 책을 저술했는데, 그 중 일부는 중국에서 금지되었으며, 2006년 100세가 넘은 후 10권 이상이 출판되었다.[2]
- 『한자 개혁 개론』(문자개혁출판사, 1961): 문자 개혁에 관한 주저로, 베이징 대학에서 진행한 강의를 묶은 것이다. 귤전광국에 의한 일본어 번역본(제목 동일, 일본 로마자사, 1985)이 있다.
- 『병음화 문제』(문자개혁출판사, 1980): 1950년대 후반에 기록한 19편의 논문을 모은 것이다.
- 『한자와 문화 문제』(랴오닝 인민 출판사, 1999)
- 『저우유광 어문 논집』(상하이 문화 출판사, 2002, 전 4권)
- 『저우유광 언어학 논문집』(상무인서관, 2004)
- 『저우유광 문집』(중앙 번역 출판사, 2013, 전 15권)
4. 정치적 입장 및 비판
하방 운동 기간 동안 저우유광은 다른 많은 지식인들과 마찬가지로[4] 문화 대혁명으로 노동 수용소에서 2년을 보냈다.[13][1]
2011년 NPR과의 인터뷰에서 저우는 1989년 톈안먼 사건에 대한 중국의 입장이 바뀌는 날을 보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 사건이 개혁가로서 덩샤오핑의 명성을 망쳤다고 말했다.[13] 그는 정치 개혁과 중국의 민주주의를 옹호했으며, 중국 공산당이 권력을 잡았을 때 전통적인 중국 문화를 공격하는 것에 대해 비판했다.[13]
저우유광은 퇴직 후 정치적 발언이 늘었고, 특히 국외 인터뷰에서 공산당을 정면으로 비판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홍콩의 『개방잡지』 인터뷰에서는 "공산당은 민주주의가 중국의 국정에 맞지 않는다고 말하지만, 중국의 국정에 맞지 않는 것은 공산당 쪽이다"라고 발언했다[23]。 뉴욕 타임스 기사에서는 민주주의를 현대 사회의 자연스러운 형태로 보고, "마오쩌둥은 아무런 좋은 일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24]。
정보화와 세계화를 지지하며, 최근 중국의 민족주의에 대해서는 우려를 나타냈다. 중국에서 세계를 보는 것이 아니라, 세계에서 중국을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25]。
5. 평가 및 영향
다른 많은 지식인들과 마찬가지로[4] 저우유광은 하방 운동 기간 동안 문화 대혁명으로 노동 수용소에서 2년을 보냈다.[13][1]
1980년 이후, 저우유광은 류준치, 첸 웨이장과 함께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을 중국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했으며, 이로 인해 "백과사전 저우"라는 별명을 얻었다.[5] 한어병음이 만들어진 후에도 저술과 출판을 계속했다. 예를 들어, 그의 저서 《중국어 문자의 시대적 진화》(中國語文的時代演進|Zhōngguó yǔwén de shídài yǎnjìn중국어)는 장리칭이 영어로 번역했으며, 2003년에 출판되었다.[12] 100세가 넘어서도 10권의 책을 출판했으며, 그 중 일부는 중국에서 금지되었다.[13]
2011년 NPR과의 인터뷰에서 저우유광은 중국이 1989년 톈안먼 사건에 대한 입장을 바꾸는 날을 보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 사건이 개혁가로서 덩샤오핑의 명성을 망쳤다고 말했다.[13] 그는 정치 개혁과 중국의 민주주의를 옹호했으며, 중국 공산당이 권력을 잡았을 때 전통적인 중국 문화를 공격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이었다.[13]
2013년 초, 저우유광과 그의 아들은 베이징 자택에서 아델린 옌 마와 인터뷰를 가졌다. 아델린 옌 마는 이 방문을 영상으로 기록했으며, 그 과정에서 저우유광에게 자신이 만든 아이패드용 한어병음 게임을 선물했다.[14] 2016년 1월 13일 110세가 되면서 100세 이상이 되었다.[15]
2017년 1월 14일, 111번째 생일 다음 날 베이징 자택에서 사망했다. 사망 원인은 공개되지 않았다.[2] 그의 아내는 2002년에 사망했고, 그의 아들은 2015년에 사망했다.[2] 다음 해, 중국어로 된 애니메이션 로고를 특징으로 하는 구글 두들이 저우유광의 112번째 생일을 기념했다.[16]
참조
[1]
웹사이트
Sound Principles
https://www.theguard[...]
2009-07-12
[2]
뉴스
Zhou Youguang, Who Made Writing Chinese as Simple as ABC, Dies at 111
https://www.nytimes.[...]
2017-01-14
[3]
뉴스
The man who helped 'simplify' Chinese
https://www.bbc.com/[...]
2017-01-20
[4]
웹사이트
Father of pinyin
http://www.china.org[...]
2009-07-12
[5]
웹사이트
Zhou Youguang: A lifetime of unstable situations and being laughed at
http://www.southcn.c[...]
2017-01-15
[6]
웹사이트
Zhou Youguang's Time as a Student
http://www.szm.com.c[...]
2016-03-04
[7]
뉴스
China's Zhou Youguang, linguist turned dissident, dies at 111
https://hongkongfp.c[...]
Hong Kong Free Press
2017-01-16
[8]
뉴스
Zhou Youguang, whose Pinyin writing system helped modernize China, dies at 111
The Washington Post
2017-01-01
[9]
서적
The Man Who Made China A Literate Nation - Zhou Youguang, Father of the Pinyin Writing System
https://books.google[...]
三聯書店(香港)有限公司
2024-05-13
[10]
간행물
Fifty years of script and written language reform in the PRC: the genesis of the language law of 2001
Zhou Minglang and Sun Hongkai
[11]
서적
The Languages of China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Historical Evolution of Chinese Languages and Scripts
National East Asian Languages Resource Center, Ohio State University
[13]
뉴스
At 105, Chinese Linguist Now A Government Critic
https://www.npr.org/[...]
NPR
2011-10-19
[14]
웹사이트
Dr. Adeline Yen Mah meets the founder of Pin Yin Youguang Zhou
http://chinesecharac[...]
chinesecharacteraday.com
2013-03-14
[15]
웹사이트
Zhu ni shengri kuaile! Father of Pinyin turns 110 years old, celebrates with a strawberry-topped cake
http://shanghaiist.c[...]
2016-01-16
[16]
웹사이트
Zhou Youguang: Why Google honors him today
http://www.aljazeera[...]
Al Jazeera Media Network
2018-01-13
[17]
서적
The Chinese Language: Fact and Fantasy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4
[18]
웹사이트
Zhou Youguang
https://gerontology.[...]
2021-11-02
[19]
웹사이트
周有光先生简介
http://www.moe.gov.c[...]
中華人民共和国教育部
2023-03-23
[20]
웹사이트
语言学家周有光迎110岁大寿 主导建立汉语拼音系统
http://www.chinanews[...]
中国新闻网
2015-01-20
[21]
웹사이트
中国語ピンインの父、周有光氏死去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20-11-04
[22]
뉴스
「漢語ピンインの父」、周有光氏が死去 111歳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7-01-14
[23]
웹사이트
百歲學者周有光談政治
http://www.open.com.[...]
開放網
2015-01-19
[24]
웹사이트
A Chinese Voice of Dissent That Took Its Time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2015-01-19
[25]
웹사이트
109歲周有光:要從世界看國家
http://hk.crntt.com/[...]
中國評論新聞網
2015-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