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키즈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키즈어는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마르키즈 제도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북마르키즈어와 남마르키즈어로 크게 나뉜다. 북마르키즈어는 누쿠히바, 우아포우, 우아후카에서 사용되며, 남마르키즈어는 히바오아, 타후아타, 파투히바에서 사용된다. 마르키즈어는 폴리네시아조어의 유음 *l, *r이 성문 파열음 /ʔ/으로 변하는 특징을 보이며, 음운론, 문법, 표기법 등에서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 문법적으로는 동사 부사, 명사구, 대명사, 소유 표현, 장소 표현 등이 존재하며, 단수, 이중, 복수를 구분하는 인칭 대명사와 소유를 나타내는 표현이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르키즈 제도 - 타이피
    타이피는 허먼 멜빌이 19세기 남태평양 마르키즈 제도 타이피 족과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소설로, 폴리네시아 문화 묘사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낭만적이라는 비판과 함께 일부 내용이 수정되어 출판되었다.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언어 - 타히티어
    타히티어는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서 널리 쓰이는 동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프랑스어와 함께 사용되며, 교육 및 언론 분야에서 위상 회복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폴리네시아어군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폴리네시아어군 - 마오리어
    마오리어는 뉴질랜드 원주민 마오리족의 언어로, 뉴질랜드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며,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고, 영어의 영향으로 쇠퇴했으나 부흥 운동을 통해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고, 뉴질랜드 문화적 정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르키즈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마르키즈어
토착어 이름'ʻEo ʻenana (북마르키즈어), ʻEo ʻenata (남마르키즈어)'
사용 국가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사용 지역마르키즈 제도, 타히티섬
사용자 수8,700명 (2007년)
언어학적 분류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오세아니아어군
어계폴리네시아어군
하위 분류동폴리네시아어군, 마르키즈어군
언어 코드
ISO 639-3mrq (북마르키즈어)
mqm (남마르키즈어)
Glottologmarq1246 (마르키즈어)
nort2845 (북마르키즈어)
sout2866 (남마르키즈어)

2. 방언

마르키즈어의 방언은 크게 북마르키즈어와 남마르키즈어로 나뉜다.[9]

북마르키즈어는 누쿠히바, 우아푸, 우아후카에서 사용되며, 다음 방언들을 포함한다.


  • '''누쿠히바 방언'''
  • * '''타이피 방언''' (Tai Pi): 누쿠히바 동쪽 3분의 1 영역에서 쓰였으며, 오늘날에는 사멸했다.[12]
  • * '''테이어'''(Te Iʻi): 누쿠히바 서쪽에서 사용된다.
  • '''우아포우 방언'''
  • * 동쪽 우아포우
  • * 서쪽 우아포우
  • '''우아후카 방언'''
  • '''하투투 방언'''


남마르키즈어는 히바오아, 타후아타, 파투히바에서 사용되며, 다음 방언들을 포함한다.

  • 페파네: 동쪽 히바오아와 우아후카
  • 파투히바 방언
  • 누쿠: 서쪽 히바오아와 타후아타


19세기에 인구가 크게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한 우아후카의 방언은 북마르키즈어와 남마르키즈어의 특징을 모두 공유한다.[9]

마르키즈어 방언 간 자음 대응[12]
폴리네시아조어
북마르키즈어colspan="12" |
누쿠히바
우아포우
우아후카
남마르키즈어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남마르키즈어에서 또는 (성문 폐쇄음)을 사용하는 일부 단어에서 북마르키즈어는 를 사용하고, 남마르키즈어에서 를 사용하는 모든 단어에서 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와 의 구별은 남부 방언에만 있고 북부 방언에서는 로 합쳐졌다. 폴리네시아조어 은 북부 방언에서 로, 남부 방언에서 으로 변했다. 누쿠히바섬 동쪽에서 쓰였던 타이피 방언에서는 로 발음되었다.

북마르키즈어는 몇 가지 독창적인 특징을 보인다. 일부 폴리네시아 언어가 후음 을 유지한 반면, 많은 언어들이 과 의 구분을 상실하고 둘 다 으로 병합했다. 뉴질랜드 남섬 마오리어 방언처럼 북마르키즈어는 를 선호한다. 또 다른 특징은 일부 폴리네시아 언어가 를 로 대체하는 반면, 북마르키즈어는 이것을 유지했다는 것이다. (타히티어와 형식적인 사모아어에는 가 전혀 없고, 현대 하와이어의 는 [k] 또는 [t]로 발음되며 폴리네시아어 에서 유래한다.)

우아후카의 방언들은 종종 잘못 분류되어 북마르키즈어로 여겨지지만, 사실은 이행적인 성격을 지닌다. 이 섬은 북쪽 마르키즈 제도에 속하지만, 그 방언들은 남마르키즈어와 더 많은 형태론적 및 음운론적 유사성을 보인다.

2. 1. 북마르키즈어

북마르키즈어는 마르키즈어의 한 갈래로,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북쪽 섬들(누쿠히바, 우아푸, 우아후카)에서 사용된다.[9] 19세기에 인구가 거의 완전히 감소했다가 북쪽과 남쪽 마르키즈 제도 사람들로 다시 인구가 증가한 우아후카에서는, 북마르키즈어와 남마르키즈어의 특징을 모두 공유하는 방언이 나타났다.[9]

폴리네시아조어의 은 북부 방언에서 로 변했다.[12] 또한, 남마르키즈어에서 를 사용하는 모든 단어에서 북마르키즈어는 를 사용한다.[10]

북마르키즈어는 다음과 같은 방언으로 나뉜다.

  • '''누쿠히바 방언'''
  • * '''타이피 방언''' (Tai Pi): 누쿠히바 동쪽 3분의 1 영역에서 쓰였으며, 오늘날에는 사멸했다.[12]
  • * '''테이어'''(Te Iʻi): 누쿠히바 서쪽에서 사용된다.
  • '''우아포우 방언'''
  • * 동쪽 우아포우
  • * 서쪽 우아포우
  • '''우아후카 방언'''
  • '''하투투 방언'''


마르키즈어 방언 간 자음 대응[12]
폴리네시아조어
북마르키즈어colspan="12" |
누쿠히바
우아포우
우아후카



북마르키즈어
누쿠히바우아푸우아후카
안녕하세요
사람
생명
머리
보다
말하다
어제
하늘
바람
바다
산호
물고기
문어
섬, 땅
타로
코코넛
남자
여자
할머니
(조부모 어머니)
/
(조부모 어머니)

(조부모 어머니)
족장, 왕
전통 사원
구역, 마라에
너 (단수)


2. 2. 남마르키즈어

남마르키즈어는 히바오아, 타후아타, 파투히바에서 사용된다.[9] 19세기에 거의 완전히 인구가 감소했다가 북쪽과 남쪽 마르키즈 제도 사람들로 다시 인구가 증가한 우아후카에서는, 그 언어가 북마르키즈어와 남마르키즈어의 특징을 모두 공유한다.[9]

폴리네시아조어 은 남부 방언에서 으로 변했다.[12] 와 의 구별은 남부 방언에만 있다.[12]

마르키즈어 방언 간 자음 대응[12]
폴리네시아조어
남마르키즈어



남마르키즈어에서 또는 (성문 폐쇄음)을 사용하는 일부 단어에서 북마르키즈어는 를 사용하고, 남마르키즈어에서 를 사용하는 모든 단어에서 를 사용한다.

아래 표는 "프랑스 폴리네시아 언어지도"[10]에 따른 마르키즈어의 다양한 방언의 단어들을 선택하여 비교한 것으로, IPA로 발음을 표기하였다. 비교를 위해 타히티어하와이어도 추가하였다.

남마르키즈어하와이어타히티어
히바오아파투히바하와이타히티
안녕하세요
( 사랑, 연민)
사람
생명
머리
보다
말하다
( 이야기하다)
어제
하늘
바람
바다
( 바다, 소금)
산호
( 회반죽, 모르타르)
물고기
문어
섬, 땅
타로
코코넛
남자
여자
할머니
(조부모 여자)

(조부모 여자)

(조부모 여자)

(엄마 늙은 사람)
족장, 왕
전통 사원
구역, 마라에
너 (단수)



남쪽 방언들은 대략 세 그룹으로 나뉜다.


  • 페파네: 동쪽 히바 ʻ오아와 우아후카
  • 파투히바
  • 누쿠: 서쪽 히바 ʻ오아와 타후아타


우아후카의 방언들은 종종 잘못 분류되어 북마르키즈어로 여겨지지만, 사실은 이행적인 성격을 지닌다. 이 섬은 북쪽 마르키즈 제도에 속하지만, 그 방언들은 남마르키즈어와 더 많은 형태론적 및 음운론적 유사성을 보인다.

2. 3. 방언 간 자음 대응

마르키즈어의 방언은 크게 북마르키즈어와 남마르키즈어로 나뉜다.[9] 북마르키즈어는 누쿠히바, 우아푸, 우아후카에서 사용되며, 남마르키즈어는 히바오아, 타후아타, 파투히바에서 사용된다.[9] 19세기에 인구가 크게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한 우아후카섬의 방언은 북마르키즈어와 남마르키즈어의 특징을 모두 공유한다.[9]

마르키즈어 방언 간 자음 대응[12]
폴리네시아조어
북마르키즈어colspan="12" |
누쿠히바
우아포우
우아후카
남마르키즈어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남마르키즈어에서 또는 (성문 폐쇄음)을 사용하는 일부 단어에서 북마르키즈어는 를 사용하고, 남마르키즈어에서 를 사용하는 모든 단어에서 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f/와 /h/의 구별은 남부 방언에만 있고 북부 방언에서는 /h/로 합쳐졌다. 폴리네시아조어 *ŋ은 북부 방언에서 /k/로, 남부 방언에서 /n/으로 변했다. 누쿠히바섬 동쪽에서 쓰였던 타이피 방언에서는 로 발음되었다.

북마르키즈어는 몇 가지 독창적인 특징을 보인다. 일부 폴리네시아 언어가 후음 /ŋ/을 유지한 반면, 많은 언어들이 /ŋ/과 /n/의 구분을 상실하고 둘 다 /n/으로 병합했다. 뉴질랜드 남섬 마오리어 방언처럼 북마르키즈어는 /k/를 선호한다. 또 다른 특징은 일부 폴리네시아 언어가 *k를 /ʔ/로 대체하는 반면, 북마르키즈어는 이것을 유지했다는 것이다. (타히티어와 형식적인 사모아어에는 /k/가 전혀 없고, 현대 하와이어의 /k/는 [k] 또는 [t]로 발음되며 폴리네시아어 *t에서 유래한다.)

우아후카의 방언들은 종종 잘못 분류되어 북마르키즈어로 여겨지지만, 사실은 이행적인 성격을 지닌다. 이 섬은 북쪽 마르키즈 제도에 속하지만, 그 방언들은 남마르키즈어와 더 많은 형태론적 및 음운론적 유사성을 보인다.

3. 음운론

아래 설명은 북부의 우아포우 방언을 기준으로 한다.



마르키즈어의 두드러진 특징은 폴리네시아조어유음 /ʔ//*l, *r}}이 대부분 성문 파열음 은 드물며, 주로 탄음 으로 발음되고 전동음 로 발음되기도 한다. 은 로 교체 가능한 경우가 많다. 우아포우 방언에 이 남아 있는 이유는 타히티어프랑스어의 영향이거나, /f//*l, *r > /ʔ/}}의 음운변화가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

남부 방언의 에서 왔다. 북부 방언에서는 는 남부 방언, 프랑스어, 영어 차용어에서만 나타난다.

누쿠히바 방언에서 은 외래어에만 나타난다.

마르키즈어의 모음은 가 있으며, 각각 장모음과 단모음이 존재한다.

rowspan=2|전설모음중설모음후설모음
장모음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단모음
고모음iu
중모음eo
저모음a



음절 구조는 (C)V(V)이며, 음운론적 단어는 보통 1~3개 음절로 이루어진다. 단어 강세는 다음 규칙을 따른다.


  • 마지막 장모음 또는 3음절 단어의 경우 첫 장모음에 오거나,
  • 장모음이 없는 경우: 마지막 이중모음에 오거나,
  • 이중모음이 없는 경우: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온다.


마르키즈어는 음운론적 절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모음이 장음화되는 현상이 있는데, 이 모음은 장모음보다도 훨씬 길게 발음된다. 이 현상은 마지막 모음이 장모음이 아닌 경우에만 일어난다.

3. 1. 자음

아래 설명은 북부의 우아포우 방언을 기준으로 한다.



마르키즈어의 두드러진 특징은 폴리네시아조어유음 *l, *r이 대부분 성문 파열음 /ʔ/으로 변한 점이다. 우아포우 방언에서 유음 /r/은 드물며, 주로 탄음 [ɾ]으로 발음되고 전동음 [r]로 발음되기도 한다. /r/은 /ʔ/로 교체 가능한 경우가 많다. 우아포우 방언에 /r/이 남아 있는 이유는 타히티어프랑스어의 영향이거나, *l, *r > /ʔ/의 음운변화가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

남부 방언의 /f/ 음소는 폴리네시아조어 *ɸ에서 왔다. 북부 방언에서는 /h/로 합쳐졌다. 우아포우 방언에서 /f/는 남부 방언, 프랑스어, 영어 차용어에서만 나타난다.

누쿠히바 방언에서 /f s r/은 외래어에만 나타난다.

3. 2. 모음

마르키즈어의 모음은 /a/, /e/, /i/, /o/, /u/가 있으며, 각각 장모음과 단모음이 존재한다.

rowspan=2|전설모음중설모음후설모음
장모음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단모음
고모음iu
중모음eo
저모음a



음절 구조는 (C)V(V)이며, 단어 강세는 마지막 장모음이나 3음절 단어의 첫 장모음에 온다. 장모음이 없는 경우 마지막 이중모음에, 이중모음도 없는 경우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온다. 마르키즈어는 음운론적 절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모음이 장모음보다 더 길게 발음되는 현상이 있는데, 이는 마지막 모음이 장모음이 아닐 때만 나타난다.

3. 3. 음절 구조 및 강세

마르키즈어의 음절 구조는 (C)V(V)이다. 음운론적 단어는 보통 1~3개 음절로 이루어진다. 단어 강세는 다음 규칙을 따른다.

  • 마지막 장모음 또는 3음절 단어의 경우 첫 장모음에 온다.
  • 장모음이 없는 경우, 마지막 이중모음에 온다.
  • 이중모음이 없는 경우,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온다.


마르키즈어는 음운론적 절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모음이 장음화되는 현상이 있는데, 이 모음은 장모음보다도 훨씬 길게 발음된다. 이 현상은 마지막 모음이 장모음이 아닌 경우에만 일어난다.

마르키즈어는 폴리네시아조어유음 /ʔ//*l, *r}}이 대부분 성문 파열음 은 드물며, 주로 탄음 으로 발음되고 전동음 로 발음되기도 한다. 은 로 교체 가능한 경우가 많다.

누쿠히바 방언에서 은 외래어에만 나타난다.

모음은 가 있다.

3. 4. 표기법

모투 하카 협회(l'Association Motu Haka o Te Henua Ènana)에서 제정한 표기법은 다음과 같다.[2]

  • 장모음은 장음 부호로 표기한다. (ā ē ī ō ū)
  • 성문 파열음은 뒤따르는 모음에 억음 부호로 표시한다. (à è ì ò ù)
  • 성문 파열음 뒤에 장모음이 오면 곡절 부호로 표시한다. (â ê î ô û)
  • 동일한 모음 사이에 성문 파열음이 오면 모음 글자를 중복한다. (aa ee ii oo uu)

4. 문법

동사 부사는 수식하는 동사 앞에 놓인다.[3]

동사구[4]
동사 부사예시문장에서의 예시
과거imrqi uimrq (물었다)te mehai i iumrq (청년이 물었다)
현재te...neimrqte maakau neimrq (생각하다)te maakau nei au i tuu kuimrq (나는 어머니를 생각한다)
완료u/uamrqu hanaumrq (태어났다)u hanau au i Hakehataumrq (나는 하케하타우에서 태어났다)
미완료emrqe heemrq (가다)e hee koe i heamrq (어디로 가십니까?)
개시atahi amrqatahi a kaimrq (그들이 먹다)iu pao taia, atahi a kaimrq (...그것을 끝낸 후, 그들은 먹는다)
명령amrqa hee!mrq (가라!)a hee io te tantemrq (의사에게 가라!)



마르키즈어에서 명사구는 조격 접미사나 관사로 시작하는 구문이다. 조격 접미사 또는 전치사는 항상 관사 앞에 오고, 관사는 수사 앞에 온다. 따라서 이들은 모두 수식하는 명사 앞에 온다.[5]

명사구 접미사[5]
관사지시사기타
단수 정관사te/t-mrq이것teneimrq특정한titahimrq
부정관사e/hemrq저것tenamrq다른tahipitomrq
이중/소수 정관사namrq저것teamrq
재귀대명사huamrq



명사 수사[4]수사
이중moumrq
이중/소수maumrq
복수taumrq



단수, 이중, 복수로 구분되는 11개의 인칭 대명사가 있다. 그 외에도 소유를 구분하는 두 개의 인칭 대명사가 있다.

대명사
colspan=2|단수이중/소수복수소유
1인칭
배타적au/-ʻumrqmauamrqmatoumrqtuʻumrq
포괄적tauamrqtatoumrq
2인칭koemrqkoʻuamrqkotoumrqtomrq
3인칭iamrqʻauamrqʻatoumrq



복문은 종속절에 동명사를 사용한다.

:''Hanaiapa, o Tua-i-kaie, ua noho me te vehine pootu oko''[6]

4. 1. 대명사

마르키즈어에는 단수, 쌍수, 복수로 구분되는 11개의 인칭대명사가 있으며, 소유를 구분하는 두 개의 인칭대명사가 있다. 누쿠히바 방언의 인칭대명사 체계는 다음과 같다.

인칭대명사
포함1인칭배제1인칭2인칭3인칭
단수au/ʻuʻoe코에mrqia이아mrq
쌍수taua타우아mrqmaua마우아mrqʻoua오우아mrqʻaua아우아mrq
복수tatou타토우mrqmatou마토우mrqʻotou오토우mrqʻatou아토우mrq



일부 방언에서는 2인칭 대명사가 성문 파열음이 아닌 k로 시작한다.

4. 2. 관사와 지시사

일반명사 앞에는 정관사 te가 붙어 한정성을 나타낸다. te는 수와 상관없이 쓰일 수 있지만 쌍수 정관사 na도 존재한다. 관사가 없으면 부정명사이지만, 부정 특정명사 앞에는 관사 titahi가 붙을 수 있다. (정관사 te와 수사 tahi가 합쳐진 형태)

“A는 하나의 B이다.”를 뜻하는 동일성 구문에서는 B 앞에 부정관사 he가 붙는다.

:He potu te-nā.

:“저것은 고양이다.”

지시사는 다음이 있다.

  • nei: 근칭, 화자에게 가까움
  • nā: 중칭, 청자에게 가까움
  • ʻā, aʻa: 원칭, 화자와 청자에게 멂
  • hua: 대용, 기존에 언급됨


첫 세 개의 지시사는 명사 뒤나 명사 앞에 올 수 있다. 명사 앞에 오는 경우 관사와 한덩어리가 되며, 이처럼 관사와 융합한 지시사는 명사 없이 독립적인 지시대명사로 쓰일 수도 있다. 대용지시사인 hua는 명사 앞에 오며 관사와 함께 쓰이지 않는다.

{| class="wikitable"

|-

|

tevehinenei
이 여자



|

te-neivehine
이 여자



|-

|

te-ʻā
저것



|

huavehine
(아까 말한) 그 여자



|}

4. 3. 소유 표현

마르키즈어에서 소유는 수식하는 명사구에 접사되는 전치사를 통해 표시된다. 이러한 전치사는 구 전체를 문장이나 담화의 다른 부분과 관련짓기 때문에 원심적 입자로 간주될 수 있다.[7] 소유는 동사구와 명사구 사이가 아닌 두 개의 명사구 사이의 관계를 표시하기 때문에 다른 유형의 전치사 수식과 본질적으로 다르다.

마르키즈어에는 네 가지 소유 표시가 있다. 그것은 전치사 amrq, omrq, namrq, nomrq이다. 소유격 전치사 amrq와 omrq는 '~의'로 번역되며, namrq와 nomrq는 '~의', '~에게' 또는 '~을 위한'으로 번역되는 속성 소유격 전치사이다.[8]

다음은 소유격 전치사 amrq와 omrq를 사용하여 두 명사구의 관계를 보여주는 예시이다. 전치사는 소유하는 명사구에 붙는데, 이 명사구는 다시 소유되는 구를 지배한다.

  • "이 여성들의 남편이 도착했습니다." (Úa tihe mai te vahana a tenei tau vehine)
  • "그것은 집 위에 착륙했습니다." (Úa tau ma ùka o te haè)


다음 예시는 속성 소유격, 가분 소유의 예시이다.

  • '(그녀가) Pekapeka의 아들인 Tainaivao에게 데려가졌다.' (…ùa ìò i -a Tainaivao è tama na Pekapeka…)
  • '너 자신을 위해 이 카누를 가져가라.' (À too tēnei vaka no koe)


마르키즈어는 두 가지 대조적인 소유 유형을 구분한다.[7] Amrq와 namrq는 소유자가 소유물에 대해 우월하고, 능동적이며, 상위에 있거나 통제력을 가지는 소유 관계를 표시한다.

  • "당신은 그를 위해 아내를 얻을 것입니다." (E ìò koe he mea vehine na ia)


반면에 omrq와 nomrq는 소유자가 소유물에 대해 종속적이고, 수동적이며, 열등하거나 통제력이 부족한 소유 관계를 나타낸다.

  • "당신은 그녀를 위해 (입도록) 그 옷을 가져왔습니다." (Ù kave mai koe i tēnā kahu no ia)


마가렛 무투(Margaret Mutu)와 벤 테이키투투아(Ben Teìkitutoua)는 2002년 우아푸어(Ùa Pou, 북쪽 마르키즈어 방언)에서 소유 표현에 대한 설명과 예시를 제시했다.[7]

4. 4. 장소 표현

마르키즈어의 장소 표현 구문은 다음과 같은 패턴을 따른다. 괄호 안의 요소는 선택적이다.

: 전치사 - (수식어) - 중심어 - (방향) - (지시어) - (수식어) - 소유격/관형어 구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그것의 바닥은 바다쪽으로 향해 있다."

이러한 장소 표현 구문의 통사론적 패턴은 폴리네시아 언어들 사이에서 흔히 볼 수 있다.

4. 5. 동사 부사

참조

[1] 서적 Charpentier & François (2015)
[2] 웹사이트 Marquesan Pronunciation Guide http://emilydonaldso[...]
[3] 서적
[4] 서적
[5] 서적 Ùa Pou: Aspects of a Marquesan dialect
[6] 논문 Syntax of Verbal Nouns in Marquesan 2005-00-00
[7] 서적
[8] 서적 Ùa Pou: Aspects of a Marquesan dialect
[9] 서적 Charpentier & François (2015)
[10] 문서 The authors of the Linguistic Atlas of French Polynesia judged the variety spoken on Tahuata to be too similar to Hiva Oa's to form a separate survey point.
[11] 웹사이트 North Marquesan at Ethnologue (18th ed., 2015) 2015-00-00
[12]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