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하바드 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하바드 공화국은 1946년 소련의 지원을 받아 이란 북서부 마하바드에서 수립된 쿠르드족의 자치 공화국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란을 점령한 소련은 쿠르드족 민족주의를 장려했고, 이에 쿠르드족 지도자 카지 무함마드는 쿠르디스탄 민주당을 결성하여 자치를 요구했다. 공화국은 쿠르드어 사용, 자치 의회 선거, 아제르바이잔 민족과의 연대 등을 목표로 했으나, 소련의 철수와 이란 정부의 압박으로 1946년 12월 붕괴되었고, 카지 무함마드는 이듬해 처형되었다. 공화국 붕괴 이후 무스타파 바르자니는 소련으로 탈출했으며, 쿠르드족의 저항은 계속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제르바이잔의 옛 나라 - 아제르바이잔 인민정부
    아제르바이잔 인민정부는 1945년 소련의 지원을 받아 이란 북서부 아제르바이잔 지역에 수립된 자치 정부로, 아제르바이잔 민주당을 중심으로 사회주의적 개혁을 추진했으나, 1946년 소련군 철수 후 붕괴되었다.
  • 이란의 공산주의 - 아제르바이잔 인민정부
    아제르바이잔 인민정부는 1945년 소련의 지원을 받아 이란 북서부 아제르바이잔 지역에 수립된 자치 정부로, 아제르바이잔 민주당을 중심으로 사회주의적 개혁을 추진했으나, 1946년 소련군 철수 후 붕괴되었다.
  • 아제르바이잔-이란 관계 - 1946년 이란 위기
    1946년 이란 위기는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소련이 이란에서 군대를 철수하지 않고 친소 정권을 지원하여 발생한 냉전 초기 분쟁으로, 미국의 외교적 압박과 이란 정부의 노력으로 해결되어 미국의 트루먼 독트린에 영향을 미쳤다.
  • 아제르바이잔-이란 관계 - 아제르바이잔 인민정부
    아제르바이잔 인민정부는 1945년 소련의 지원을 받아 이란 북서부 아제르바이잔 지역에 수립된 자치 정부로, 아제르바이잔 민주당을 중심으로 사회주의적 개혁을 추진했으나, 1946년 소련군 철수 후 붕괴되었다.
마하바드 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하바드 공화국 국기
국기
국호쿠르드어: , Komara Kurdistanê
페르시아어:
일반 명칭마하바드
지위미승인 국가
소비에트 연방의 괴뢰 국가
국가ئەی ڕەقیب
수도마하바드
마하바드 공화국의 경계
마하바드 공화국의 경계
정치
정치 체제사회주의 공화국
대통령카지 무함마드(KDPI)
총리하지 바바 셰이크(KDPI)
역사
존속 기간냉전 시대
자치 선언1946년 1월 22일
소련군 철수1946년 6월
이란, 통제권 회복1946년 12월 15일
지도자 처형1947년 3월 31일
선행 국가팔라비 왕조
후행 국가팔라비 왕조
언어
공용어쿠르드어
경제
통화소비에트 루블
현재 국가
현재이란

2. 역사적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 8월 말, 연합군이 이란을 침공하여 소련이 북부 지역을 장악했다. 중앙 정부의 영향력이 약화된 상황에서 소련은 이란 북서부를 자국에 병합하려 했으며, 쿠르드족 민족주의를 장려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쿠르드족은 이란 내 자치 또는 자결을 추구하게 되었다.[14] 쿠르드족이 주로 거주하는 마하바드에서는 부족 지도자들의 지원을 받은 중산층 위원회가 지역 행정을 장악했으며, 카지 무함마드를 의장으로 하는 쿠르드족 부흥 협회(Komeley Jiyanewey Kurdistan|코멜레이 지야네웨이 쿠르디스탄ku, JK)가 결성되었다. 이 위원회는 1945년 12월 공화국이 공식 선포되기 전까지 약 5년간 해당 지역을 관리했다.[15] 한편, 1946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결의안 2, 결의안 3, 결의안 5를 통과시켜 이란에 주둔 중인 소련군의 철수를 촉구하고 이를 지원했다.

2. 1. 1940년대 이란의 정세

1941년 6월, 나치 독일소련과 맺었던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을 파기하고 소련을 침공하자, 영국과 소련은 예방 조치 및 랜드리스 물자 보급로 확보를 위해 같은 해 8월 25일 이란을 침공했다.[22] 이 침공으로 인해 당시 이란의 군주였던 레자 샤 팔라비는 퇴위하여 모리셔스로 망명했고, 그의 아들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왕세자가 새로운 군주로 즉위했다. 1942년 1월, 영국, 소련, 이란은 "삼자 조약"을 체결하여 연합군의 이란 주둔이 점령 목적이 아니며, 이란은 연합국의 일원이고, 전쟁 종료 후 6개월 안에 모든 외국 군대가 이란 영토에서 철수할 것을 합의했다.[22]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영국과 미국은 이란을 소련에 군수 물자를 지원하는 중요한 통로로 활용했다. 약 3만 명의 미군 비전투 요원과 보급품이 이란을 거쳐 갔으며, 이 경로는 후에 "승리의 다리"라고 불리기도 했다. 1943년 테헤란 회담에서는 미국, 영국, 소련의 정상들이 이란의 미래 주권과 영토 보전을 보장하고, 전후 복구와 개발을 위한 자금 지원을 약속했다.[22]

독일이 항복한 후 열린 포츠담 회담에서는 이란 점령의 종료가 논의되었으나, 소련의 이오시프 스탈린은 테헤란 회담에서 합의된 연합군 철수 안에 반대 의사를 표했다.[23] 결국 소련군은 철수 합의 기한인 1946년 3월 2일을 넘겨서도 철수하지 않고 오히려 군대를 남쪽으로 이동시켰다. 1945년 12월 말, 소련은 군대와 비밀경찰을 동원하여 이란 영토 내에 친소련적인 "인민 공화국"들을 수립했는데, 대표적으로 자파르 피셰바리가 이끄는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와 카지 무함마드가 이끄는 마하바드 공화국이 있었다.[22] 이러한 소련의 점령과 중앙 정부 부재 상황은 이란 북서부 지역에서 쿠르드족 민족주의를 장려하는 배경이 되었고, 쿠르드족의 자치 요구가 커지는 계기가 되었다.[14]

2. 2. 쿠르드족 민족주의의 대두

1941년 8월 말, 연합군이 이란을 침공하면서 소련은 이란 북부 지역을 장악했다. 중앙 정부의 통제력이 약화된 상황에서 소련은 이란 북서부 지역을 자국에 병합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쿠르드족 민족주의를 장려했다. 이러한 외부적 요인과 쿠르드족 내부의 열망이 결합되어, 이란 내에서 쿠르드족의 자치와 자결권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기 시작했다.[14]

쿠르드족이 다수 거주하는 마하바드에서는 부족 지도자들의 지지를 받은 중산층 중심의 위원회가 지역 행정을 맡게 되었다. 이 시기에 '쿠르드족 부흥 협회'(Komeley Jiyanewey Kurdistan|코멜레이 지야네웨이 쿠르디스탄ku, 약칭 JK)라는 정치 조직이 결성되었다. 종교적인 법학자 가문의 지도자인 카지 무함마드가 이 협회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1945년 12월 마하바드 공화국이 공식적으로 선포되기 이전부터, 카지 무함마드가 이끄는 위원회는 약 5년 동안 해당 지역을 실질적으로 관리했다.[15]

1945년 8월에는 이란 쿠르디스탄 민주당이 창당되었다. 이 정당은 마하바드에서 결성된 쿠르드족 부흥 협회(JK)를 모체로 하며, 쿠르디스탄 민주당의 전신이기도 하다. 이란 쿠르디스탄 민주당은 이란 국가 체제 내에서 쿠르드족의 자치권을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3. 마하바드 공화국의 성립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란 북부에 주둔한 소련군의 영향력 아래, 쿠르드족의 자치 운동이 가시화되었다. 소련은 이란 내 소수 민족 분리주의를 지원하는 정책을 펼쳤으며[20], 쿠르드 지도자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했다.[16] 이는 정부의 탈부족화 정책에 반대하며 민족 정체성 유지를 원했던 쿠르드족의 요구와도 맞물렸다.[16]

1945년 12월 10일,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가 수립되자, 카지 무함마드는 12월 15일 마하바드에서 쿠르드 인민 정부 수립을 발표했다. 그리고 1946년 1월 22일, 카지 무함마드는 마하바드 공화국의 수립을 공식 선포했다. 공화국의 공식 명칭은 '''쿠르디스탄 공화국'''이었으나, 수도 마하바드의 이름을 따 통칭 마하바드 공화국으로 불렸다. 선언문에서 밝힌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란쿠르드족의 자치.
  • 쿠르드어의 교육 및 행정 언어로서의 사용.
  • 쿠르디스탄 주 의회 선거를 통한 국가 및 사회 문제 감독.
  • 모든 공무원의 현지 출신 임명.
  • 아제르바이잔 민족과의 단결과 우애.
  • 농민과 유력자 모두에게 적용되는 단일 법률 제정.


마하바드 공화국은 소련의 남하 정책에 따른 지원[20]과 쿠르드족 종교인 및 지식인들의 민족 자결 의지가 결합되어 탄생한[20] 복합적인 성격을 지녔다. 그러나 소련이 이란과의 석유 이권 협상 후 1946년 군대를 철수시키자[20], 공화국은 빠르게 약화되었다. 결국 같은 해 12월 15일, 이란 정부군에 의해 붕괴되었고[20], 이듬해 1947년 3월 31일 카지 무함마드는 마하바드의 차하르 체라 광장에서 교수형에 처해졌다.

3. 1. 소련의 역할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1년 8월, 나치 독일의 침공에 대응하고 연합국 물자 보급로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소련영국과 함께 이란을 침공했다.[22] 이 침공으로 레자 샤 팔라비가 퇴위하고 그의 아들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가 왕위를 계승했으며, 이란 북부 지역에는 소련군이 주둔하게 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열린 포츠담 회담에서 소련의 이오시프 스탈린테헤란 회담에서 연합국이 합의했던 이란에서의 즉각적인 철군 안에 반대했다.[23] 소련군은 합의된 철수 기한인 1946년 3월 2일을 넘겨서도 철수하지 않았고, 오히려 군대를 남쪽으로 이동시키며 이란 내정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려 했다.[22][23]

소련은 이란 내 소수 민족의 분리주의 운동을 지원하며 영향력 확대를 꾀했다. 1945년 12월 말, 소련은 군대와 비밀경찰을 동원하여 이란 북서부 영토 내에 친소련적인 자파르 피셰바리의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와 카지 무함마드의 마하바드 공화국 수립을 지원했다.[22] 이 과정에서 소련은 쿠르드족 지도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란 서아제르바이잔주 미안두압에 주둔하던 소련 사령관은 쿠르드족 족장들을 소환하여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 바쿠로 보냈다.[16] 1945년 9월 말, 아제르바이잔 SSR 총리는 쿠르드 지도자들에게 기존 민족주의 정당 대신 소련의 입장을 따르는 새로운 정당을 창설하라고 지시했으며, 이는 이란 쿠르디스탄 민주당(KDP-I) 창당으로 이어졌다.[16] KDP-I는 이란 내 쿠르드족 자치를 목표로 내세웠으나, 창당 배경에는 소련의 영향력이 강하게 작용했다.

마하바드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 카지 무함마드


마하바드 공화국은 선포 초기부터 소련의 지원에 크게 의존했다. 카지 무함마드가 공화국의 정치적 지도자 역할을 수행했고, 소련군 장교 살라후딘 카지모프가 군사 고문으로 파견되어 공화국 군대인 페쉬메르가의 조직과 훈련을 도왔다.[24] 소련은 최소 60명의 쿠르드인을 소련령 아제르바이잔으로 보내 군사 훈련을 제공했으며,[24] 모터 운송 수단 제공, 이란군의 진격 저지, 지역 담배 작물 전량 구매 등 군사적, 경제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15] 당시 미국의 외교관이었던 아치볼드 불록 루스벨트 주니어는 마하바드 공화국의 생존이 소련의 지원에 달려 있으며, 오직 붉은 군대만이 그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18]

하지만 소련의 지원은 일관되지 않았고 양면적인 모습을 보였다. 소련은 마하바드 공화국이 완전한 독립 국가로 발전하는 것을 경계했으며, 초기에는 공화국이 더 큰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에 흡수되기를 바랐다.[15] 또한 마하바드 근처에 직접적인 수비대를 주둔시키거나 큰 영향력을 행사할 만한 민간 요원을 파견하지도 않았다.[15] 이러한 소련의 모호한 태도는 국제 사회의 압력과 이란과의 석유 이권 협상 때문으로 분석된다. 결국 소련은 1946년 4월, 이란 북부 석유 개발 독점권을 갖는 합작 회사 설립을 조건으로 이란 영토에서 군대를 철수하기로 이란 정부와 합의했다.[20]

소련군의 철수는 마하바드 공화국의 운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소련의 지원이 중단되자 공화국은 빠르게 고립되었고, 이란군의 공세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었다.[24] 결국 1946년 12월 15일, 이란군이 마하바드를 장악하면서 공화국은 수립된 지 약 1년 만에 붕괴했다.[20][24]

마하바드 공화국에 대한 소련의 역할은 다양한 시각으로 평가된다. 쿠르드 민족주의 지도자 압둘 라흐만 가세멜루와 잘랄 탈라바니 등은 소련과의 우호 관계와 지원을 강조했지만,[15] 미국의 외교관 로버트 로소 주니어나 역사가 윌리엄 린 웨스터만과 같은 서방 측 인사들과 일부 쿠르드 부족 지도자들은 마하바드 공화국을 소련의 괴뢰 국가로 간주했다.[15] 카지 무함마드 자신은 소련의 지원 사실을 부인하지 않으면서도, 공화국이 공산주의 이념을 따르거나 소련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는다는 주장은 이란 군 당국의 날조된 거짓말이라고 반박했다.[18]

공화국 붕괴 이후, 소련은 무스타파 바르자니와 그를 따르는 페쉬메르가 병력 약 500명이 아라스강을 건너 소련 영토로 안전하게 망명하는 것을 허용했다.[15][24] 이는 소련이 쿠르드 문제에서 완전히 손을 뗀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쿠르드 민족주의 세력을 지정학적 카드로 활용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3. 2. 카지 무함마드와 공화국 선포



이란 서아제르바이잔주의 미안두압에 주둔하던 소련 사령관은 쿠르드족 지도자들을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 바쿠로 소환했다.[16] 1945년 9월 말, 아제르바이잔 SSR의 총리는 쿠르드 지도자들에게 기존의 민족주의 정당인 코말라예 지안에 코르데스탄이 소련이나 이란 공산당(투데 당) 모두에게 호의적으로 보이지 않으니, 아제르바이잔 자치 운동 내에서 목표를 추구하고, 스스로를 쿠르디스탄 민주당이라고 부르라고 말했다.[16] 소련의 이러한 압박이 아제르바이잔 운동을 전적으로 시작하게 한 것은 아니었다. 쿠르드족은 무엇보다 정부의 탈부족화 노력에 반대하고 있었으며, 1941년 소련 점령 이후 수년간 쿠르드족과 아제르바이잔인 모두 각 공동체 내에서 정체성을 유지하는 데 관심을 갖는 것이 자연스러웠다.[16]

1945년 12월 10일, 아제르바이잔 민주당이 이란 정부군으로부터 동아제르바이잔주를 장악하고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 수립을 선언하자, 카지 무함마드 역시 12월 15일 마하바드에서 쿠르드 인민 정부 수립을 발표했다. 이후 1946년 1월 22일, 카지 무함마드는 마하바드 공화국의 수립을 공식적으로 선포했다. 선언문에 언급된 공화국의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란쿠르드족의 자치 확보.
  • 쿠르드어를 교육 및 행정 언어로 사용.
  • 주 및 사회 문제를 감독하기 위한 쿠르디스탄 주 의회 선거.
  • 모든 공무원을 현지 출신으로 임명.
  • 아제르바이잔 민족과의 단결과 우애 추구.
  • 농민과 유력자 모두에게 적용되는 단일 법률 제정.


마하바드 공화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하 정책을 펴던 소련의 지원을 받아 세워진 측면이 강하지만[20], 동시에 쿠르드족 종교 지도자와 지식인들이 참여하여 민족 자결을 추구한 운동이라는 성격도 가지고 있었다.[20]

4. 마하바드 공화국의 통치

(내용 없음)

4. 1. 쿠르드어 교육

마하바드 공화국은 교육을 무상으로 쿠르드어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17] 하지만 공화국 초기에는 교사들이 페르시아어로 된 교과서를 쿠르드어로 번역하여 사용해야 했다.[17] 공화국이 멸망할 시점에 이르러서야 쿠르드어로 된 교과서가 학교에 배포될 수 있었다.[17] 같은 날 여자 고등학교 설립 계획도 발표되었다.[17]

4. 2. 소련과의 관계

마하바드 공화국은 소련의 지원에 크게 의존했다. 전 미국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손자인 아치볼드 불록 루스벨트 주니어는 1947년 저술을 통해 마하바드 공화국의 주요 문제가 쿠르드족이 소련의 지원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며, 오직 붉은 군대만이 그들에게 기회를 제공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공화국이 소련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대부분의 서방 세력과는 거리를 두게 되었고, 이는 서방 국가들이 이란 중앙 정부를 지지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카지 무하마드는 소련이 공화국에 자금을 지원하고 물자를 공급했다는 사실을 부인하지 않았지만, 이란 쿠르디스탄 민주당(KDPI)이 공산당이라는 주장은 부인했다. 그는 이러한 주장을 이란 군 당국이 날조한 거짓말이라고 일축하며 자신의 이상이 소련의 이상과는 매우 다르다고 강조했다.[18]

당시 마하바드 공화국을 지켜본 사람들, 즉 친구와 적 모두 소련의 역할을 실제보다 과장하는 경향이 있었다. 쿠르드 민족주의 지도자인 압둘 라흐만 가세멜루와 잘랄 탈라바니는 소련과의 우호 관계와 지원을 강조했다. 반면, 인접한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에 파견되었던 미국의 임시 대리 대사 로버트 로소 주니어나 역사가 윌리엄 린 웨스터만 같은 인물들은 마하바드 공화국을 소련의 괴뢰 국가로 규정했다. 이러한 인식은 카지 무하마드의 지도력에 동의하지 않았던 일부 쿠르드 부족 지도자들 사이에서도 퍼져 있었다.

하지만 실제 소련의 태도는 쿠르드 행정부에 대해 다소 양면적이었다. 소련은 마하바드 근처에 수비대를 두지 않았고, 큰 영향력을 행사할 만한 지위를 가진 민간 요원도 파견하지 않았다. 그들은 차량 운송을 지원하고, 이란군의 진입을 막아주며, 공화국에서 생산된 담배 작물 전체를 구매하는 등 실질적인 지원을 통해 카지 행정부를 도왔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소련은 쿠르드 행정부가 더 큰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에 흡수되는 것을 거부하자 처음에는 이를 탐탁지 않게 여겼으며, 독립적인 쿠르드 국가의 수립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지는 않았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하바드 공화국이 붕괴한 후, 소련은 무스타파 바르자니와 그의 추종자들이 소련 영토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5. 마하바드 공화국의 멸망

1946년 소련이 서방의 압력으로 이란 북서부에서 철수하기로 약속하고, 같은 해 이란 정부가 이란령 아제르바이잔 지역의 통제권을 회복하면서 마하바드 공화국은 외부 지원을 잃고 고립되었다. 이는 공화국 멸망의 결정적인 외부 요인으로 작용했다.

내부적으로는 소련의 지원 중단과 고립으로 인한 경제난이 심화되면서 카지 무함마드에 대한 쿠르드족 부족들의 지지가 약화되었다. 부족한 자원을 둘러싼 부족 간 갈등, 특히 바르자니 쿠르드족과의 자원 공유 문제도 내부 분열을 심화시켰다. 일부 부족 지도자들은 초기에는 소련의 지원을 기대하고 카지 무함마드를 지지했으나, 지원이 끊기자 등을 돌렸고, 마하바드는 경제적으로 파탄 상태에 이르렀다.

결국 1946년 12월, 이란군이 마하바드로 진입했다. 내부 분열과 지지 기반 약화로 인해 카지 무함마드는 쿠르드족 민간인 학살을 우려하여 적극적인 저항을 피했다. 이란군은 손쉽게 마하바드를 장악하고 쿠르드어 사용 금지 및 서적 소각 등 문화 탄압 정책을 시행했다. 1947년 3월 31일, 공화국 수장 카지 무함마드는 반역 혐의로 마하바드에서 교수형에 처해졌다.[19]

5. 1. 이란의 압력과 소련의 철수

1946년 3월 26일, 미국을 포함한 서방 열강의 압력으로 소련은 이란 정부에 이란 북서부에서 철수하겠다고 약속했다. 이후 1946년 4월, 이란 정부는 북부 석유 개발 독점권을 갖는 공동 출자 회사(소련 51%, 이란 49%) 설립을 조건으로 소련군의 철수를 허용했다.[20]

소련의 철수 약속과 실제 철수는 마하바드 공화국의 운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946년 6월, 이란은 이란령 아제르바이잔에 대한 통제권을 다시 주장했고, 이는 마하바드 공화국을 외부 세계로부터 고립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소련의 지원 중단은 공화국 내부의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카지 무함마드에 대한 내부 지지, 특히 초기 지지 기반이었던 쿠르드족 부족들 사이에서 점차 약화되었다. 농작물과 보급품 부족, 외부 고립으로 인한 생활고가 심화되었고, 소련으로부터의 경제 및 군사 지원이 중단되면서 부족들은 더 이상 마하바드 정부를 지지할 명분을 찾기 어려워졌다. 도시 주민과 부족 간의 간극이 벌어졌고, 부족 지도자들은 처음에는 소련의 지원을 기대하고 카지 무함마드를 지지했지만 지원이 끊기자 등을 돌렸다. 일부 부족은 이미 부족한 자원을 바르자니 세력과 나누는 것에 반감을 가졌으며, 아미르 칸과 같은 일부 쿠르드족은 마하바드를 떠나기도 했다. 마하바드는 경제적으로 파탄 상태였으며, 이란과의 관계 개선 없이는 경제적 자립이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1946년 12월 5일, 전쟁 평의회는 이란군 진입 시 저항하겠다는 의사를 카지 무함마드에게 전달했다. 그러나 카지 무함마드는 부족들의 지지가 약화된 상황에서 저항이 쿠르드족 민간인 학살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여 전쟁을 피하고자 했다.

결국 소련군이 완전히 철수한 후, 이란 정부는 1946년 12월 정부군을 투입했다. 열흘 뒤인 12월 15일, 이란군은 마하바드에 진입하여 도시를 장악했고, 이로써 마하바드 공화국은 수립 1년 만에 붕괴했다.[20] 이란군은 쿠르드어 인쇄소를 폐쇄하고 쿠르드어 교육을 금지했으며, 발견되는 모든 쿠르드어 서적을 불태웠다.

마침내 1947년 3월 31일, 카지 무함마드는 반역죄로 마하바드의 Chahar Cheragh Squareeng에서 교수형에 처해졌다.[20] 소련과 협력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한 아치볼드 불로치 루즈벨트 주니어의 요청에 따라, 당시 이란 주재 미국 대사였던 조지 V. 앨런은 에게 카지와 그의 형제를 처형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 그러나 샤는 "내가 그들을 총살할까 봐 두려운가? 그렇다면 마음을 놓으라. 나는 그러지 않을 것이다."라고 답하며 안심시키는 척했을 뿐이었다. 루즈벨트는 나중에 카지 형제에 대한 처형 명령이 "우리 대사가 문을 닫자마자" 내려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회상하며, 샤에 대해 "나는 그의 팬 중 한 명이 아니었다"고 덧붙였다.[19]

5. 2. 내부 갈등과 쇠퇴

1946년 3월 소련이란 북서부에서 철수하기로 약속하고, 6월에 이란 정부가 이란 아제르바이잔 지역의 통제권을 되찾으면서 마하바드 공화국은 외부로부터 고립되었다. 이러한 고립은 공화국의 쇠퇴와 멸망으로 이어지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20]

공화국 수립 초기 카지 무함마드를 지지했던 쿠르드족 부족들 사이에서 점차 내부 지지가 약화되었다. 고립으로 인해 물자 수급이 어려워지고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서 부족들의 생활은 궁핍해졌다. 과거 소련으로부터 받던 경제적, 군사적 지원이 끊기자 많은 부족들은 더 이상 카지 무함마드를 지지할 이유를 찾지 못했다. 특히, 제한된 자원을 바르자니 쿠르드족과 나누어야 하는 상황에 놓이자 다른 부족들의 불만이 커졌고, 일부 부족은 마하바드를 떠나기도 했다. 마을 주민들과 부족 간의 연대도 약해지면서 공화국의 기반은 흔들렸다. 결국 마하바드 공화국은 경제적으로 파산 상태에 이르렀으며, 이란과의 관계 개선 없이는 경제적 자립이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1946년 12월 5일, 전쟁 평의회는 이란군이 진입할 경우 무력으로 저항할 것을 결의했다. 하지만 카지 무함마드는 부족들의 지지가 부족한 상황에서 저항할 경우, 승산 없는 전투로 인해 쿠르드 민간인들의 대규모 학살만 초래할 것을 우려했다. 따라서 그는 무력 충돌을 피하고자 했다.

열흘 뒤인 1946년 12월 15일, 이란군은 별다른 저항 없이 마하바드에 진입하여 도시를 장악했다. 이란군은 즉시 쿠르드어 인쇄소를 폐쇄하고, 학교에서 쿠르드어 교육을 금지했으며, 발견되는 모든 쿠르드어 서적을 불태우는 등 쿠르드 민족 문화 말살 정책을 펼쳤다.

결국 1947년 3월 31일, 카지 무함마드는 반역 혐의로 마하바드의 Chahar Cheragh Square|차하르 체라 광장eng에서 교수형에 처해졌다.[20] 처형 전, 이란 주재 미국 대사 조지 V. 앨런은 아치볼드 불로치 루즈벨트 주니어의 요청에 따라 에게 카지 무함마드와 그의 형제를 처형하지 말 것을 촉구했으나, 샤는 "내가 그들을 총살할까 봐 두려운가? 그렇다면 마음을 놓으라. 나는 그러지 않을 것"이라고 답하며 사실상 요청을 묵살했다. 루즈벨트는 이후 샤가 미국 대사가 돌아선 직후 처형 명령을 내렸을 것이라고 회상하며 샤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남겼다.[19]

5. 3. 이란군의 진입과 카지 무함마드의 처형

1946년 3월 소련이란 북서부에서 철수하기로 약속하고, 같은 해 6월 이란 정부가 이란 아제르바이잔에 대한 통제권을 다시 주장하면서 마하바드 공화국은 고립되었다.

공화국 수장 카지 무함마드에 대한 내부 지지, 특히 초기 그를 지지했던 쿠르드족 부족들 사이에서 지지가 점차 약화되었다. 물자 부족과 고립 심화, 소련으로부터의 경제 및 군사 원조 중단으로 인해 부족들은 더 이상 그를 지지할 이유를 찾지 못했다. 일부 부족은 부족한 자원을 바르자니 쿠르드족과 나누는 것에 반감을 가지기도 했다. 경제적으로 파탄에 이른 마하바드 공화국은 이란과의 관계 개선 없이는 자립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1946년 12월 5일, 전쟁 평의회는 이란군이 진입할 경우 저항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으나, 카지 무함마드는 부족들의 지지가 부족한 상황에서 무력 충돌이 쿠르드족 민간인 학살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여 전쟁을 피하고자 했다.

결국 열흘 뒤인 1946년 12월 15일, 이란군은 마하바드에 진입하여 도시를 장악했다. 이란군은 쿠르드어 인쇄소를 폐쇄하고, 학교에서 쿠르드어 사용을 금지했으며, 발견되는 모든 쿠르드어 서적을 불태우는 등 쿠르드 문화 탄압 정책을 시행했다.

1947년 3월 31일, 카지 무함마드는 반역 혐의로 마하바드의 Chahar Cheragh Square|차하르 체라 광장영어에서 교수형에 처해졌다. 처형 전, 이란 주재 미국 대사 조지 V. 앨런은 아치볼드 불로치 루즈벨트 주니어의 요청에 따라 에게 카지와 그의 형제를 처형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 샤는 처형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지만, 루즈벨트는 대사가 떠나자마자 처형 명령이 내려졌을 것이라고 회고하며 샤의 기만적인 태도를 비판했다.[19]

6. 마하바드 공화국 이후

마하바드 공화국이 붕괴된 후, 공화국 군대의 주축이었던 이라크 쿠르디스탄 출신 병사들의 운명은 갈렸다. 이라크로 돌아가기로 결정한 장교 4명은 귀국 후 사형을 선고받았고, 오늘날 가지 무함마드와 함께 쿠르디스탄을 위해 순교한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한편, 무스타파 바르자니와 함께 남기로 한 수백 명의 병사들은 이란군의 저지 시도를 격퇴하며 5주간의 행군 끝에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향했다.

6. 1. 무스타파 바르자니와 페쉬메르가

가지 무함마드가 마하바드 공화국을 건립하고 있다


소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라크 쿠르디스탄 출신의 무스타파 바르자니는 그의 병사들과 함께 마하바드 공화국의 군대인 페쉬메르가의 총지휘관으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24] 바르자니의 군사적 지원과 60명의 쿠르드 부족 지도자들의 참여로 KDP-I이 창당되었고, 1946년 1월 22일 카지 무함마드가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공식 취임했다.[24]

마하바드 공화국의 군대는 소련 군사 장교 살라후딘 카지모프의 자문을 받으며 많은 지원을 받았다.[24] 소련은 추가 군사 훈련 지원을 위하여 쿠르드인 최소 60여명을 소련령 아제르바이잔으로 데려다 훈련을 시켜줘 영향력을 확장했다. 그 결과 마하바드 공화국군은 총 전투 장교 70명, 비전투 장교 40명, 사병 1,200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24]

마하바드 공화국이 이웃의 아제르바이잔과 군사 협력 조약을 체결한지 5일 후인 1946년 4월 29일, 공화국 남서쪽 끄트머리 카흐라와에서 첫 쿠르드인 연대가 포병, 기병의 지원을 받는 이란군 600명과 마주했다.[24] 이에 바르자니가 이끄는 쿠르드군은 카흐라와 마을 근처에서 매복하여 이란군을 기습해 21명을 죽이고 17명을 부상입히고, 40명을 포로로 잡으며 마하바드 공화국의 첫 승리를 이끌었다.[24]

마하바드 공화국의 페쉬메르가는 1946년 5월 내내 이 지역에서 이란군 정찰군과 계속 충돌했다.[24] 이 한달 동안 쿠르드군의 공세는 소련의 영향력이 적은 지역에서 약간의 전초전과 충돌을 제외하면 거의 없었다. 이는 당시 소련과 이란이 맺고 있었던 석유 계약 때문으로 추정된다.[24] 1946년 5월 3일 쿠르드군과 이란 장군 알리 라즈마라와 맺은 휴전 협정으로 대규모 공격이 중단되고 각 군이 후퇴하면서 자신의 지역 내에서 군을 정비하며 후일을 도모하고자 했다.[24]

1946년 6월 15일, 준비 기간이 끝나고 마마샤흐의 밀 카라니가 이끄는 두번째 쿠르드인 연대가 포병, 전차, 항공 지원을 받는 2개 이란군 대대와 충돌하며 마마샤흐 전투가 일어났다.[24] 이 전투로 쿠르드족이 패배해 이란군이 고지대를 차지하고 망루를 건설하여 이 지역에 대한 군사적 주도권을 잡게 되었다.[24] 부족 내의 담합력이 부족하여 마하바드 공화국이 약해진 상태에서 마마샤흐 전투의 여파까지 덮치게 되었다.

카지 무함마드 정부에 대한 부족 측 지원이 약화되면서 바르자니의 페쉬메르가가 마하바드 공화국의 유일한 군사 세력으로 남게 되었다.[24] 이 결과 마하바드 공화국은 1946년 말에는 고립무원 상태에 빠졌으며 소련군의 지원도 받지 못했다.[24] 마하바드 공화국은 이란군의 공격에 직면하였으며 1946년 12월에는 이란령 아제르바이잔 지역이 이란군에게 넘어가게 된다.[24] 반대측이 남아 있기는 했으나 양측은 협상을 하기로 결정했다. 페쉬메르가와 바르자니의 가족을 포함한 바르자니 세력은 1946년 12월 15일 나카다로 후퇴하였으며, 이란군은 공식적으로 마하바드를 장악하면서 마하바드 공화국은 1년의 단명한 공화국으로 멸망했다.[24]

마하바드의 페쉬메르가에 대한 무장 해제를 시도했으나 페쉬메르가는 무기 대부분을 밀수하여 빼돌렸다. 1947년 3월 페쉬메르가는 다시 이란군과 충돌하였다. 3월 중순에는 여러 전투를 치루며 이란군의 여러 축출 작전에 대항해 페쉬메르가가 방어하는 모양새로 진행되었으며 바르자니를 축출하기 위한 경쟁 쿠르드족 부족군 자원군도 이란군과 함께 싸우기도 했다.[24] 페쉬메르가는 날로스 전투와 같이 포병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곳에서 이란군에게 연대 지휘관 칼라시 대령을 포함한 많은 사상자를 입히고 포로를 다수 얻기도 하였다. 이란 군사대열에 대한 매복공격을 통하여 이란군 50명이 사망하고 자한바니 장군의 아들 중위 자한바니를 포로로 붙잡기도 했다.[24] 그러나 결국에는 이란군의 계속된 공격으로 쫓기고 있었으며 바르자니는 이란을 떠나 이라크령 쿠르디스탄으로 후퇴하겠다고 마음먹었다.[24]

페쉬메르가와 바르자니 지도부는 2차례 이라크로 넘어가 이라크 경찰과 자쉬 군은 압도하며 손쉽게 바르잔까지 가는 데에는 성공했으나, 결국 아흐마드 바르자니는 이라크 정부에게 체포되었고 무스타파 바르자니는 항복할 것을 요구받았다.[24] 무스타파 바르자니의 군대를 패퇴시키기 위해 이라크군이 동원을 시작하자 바르자니는 소련으로 탈출하기로 결심했다. 1947년 5월 소련으로 가기 시작했으며 가던 도중 이란군과 치열한 교전을 벌였다.[24]

1947년 6월 9일, 페쉬메르가는 군 대열의 측면을 공격했다.[24] 무스타파 바르자니와 아사드 코샤비가 각각 양갈래로 공격하여 페쉬메르가는 이란군 수백명을 죽이고 전차 수 대를 파괴했으며 포병을 무력화시키고 전투기를 격추시키기도 했다.[24] 이후에는 이란군을 피하거나 전투하면서 계속 진격하며 소련으로 향했으며 1947년 6월 18일 페쉬메르가 500명과 바르자니가 아라스강을 건너며 소련으로 입국하였다.[24]

공화국 붕괴 이후, 이라크군 출신 병사 대부분과 장교 4명이 이라크로 귀환하기로 결정했다. 이 장교들은 이라크로 돌아가자 사형을 선고받았으며, 오늘날 카지와 함께 쿠르디스탄을 위해 순교한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수백 명의 병사들은 바르자니와 함께 남기로 했다. 그들은 이란군의 저지 시도를 격퇴하고 5주간의 행군 끝에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향했다.

6. 2. 쿠르드족의 저항과 탄압



이라크 쿠르디스탄 출신의 무스타파 바르자니와 그가 이끄는 병사들은 마하바드 공화국 군대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공화국이 무너지자, 이라크 출신 병사 대부분과 장교 4명은 고향인 이라크로 돌아가기로 결정했다. 이라크로 돌아간 장교들은 결국 사형을 선고받았으며, 오늘날 이들은 가지 무함마드와 더불어 쿠르디스탄을 위해 목숨을 바친 영웅으로 기억되고 있다.

한편, 수백 명의 병사들은 바르자니와 함께 남는 길을 택했다. 그들은 이란군의 추격을 뿌리치며 5주간의 험난한 행군 끝에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넘어가는 데 성공했다. 이는 공화국 붕괴 이후에도 이어진 쿠르드족 저항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참조

[1] 서적 Unrecognized State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Routledge 2012
[2] 서적 The Caucasus – An Introduction Routledge 2009
[3] 서적 Iran, Past and Present: From Monarchy to Islamic Republic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4] 학위논문 The Republic of Kurdistan, 1946 https://openaccess.l[...] University of Leiden 2012
[5] 학위논문 The Republic of Kurdistan, 1946 https://openaccess.l[...] University of Leiden 2012
[6] 학술지 The unravelling of the post-First World War state system? The Kurdistan Region of Iraq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Middle East http://dx.doi.org/10[...] 2013-03
[7] 학술지 پێگه‌هێ سیاسى یێ ئیرانێ پشتى رێكه‌فتنا پێنج كو ئێك (5+1) 2017-03-30
[8] 학술지 Women of a Non-State Nation: The Kurds, Shahrzad Mojab, ed., Kurdish Studies Series, No. 3, Costa Mesa and California: Mazda Publishers, 2001, ISBN: 1-56859-093-8, 263 pp. http://dx.doi.org/10[...] 2006-03
[9] 서적 The Kurdish Nationalist Movement: Opportunity, Mobilization and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Ideology and Power in the Middle East: Studies in Honor of George Lenczowski https://archive.org/[...] Duke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Caucasus – An Introduction Routledge 2009
[12] 서적 Iran, Past and Present: From Monarchy to Islamic Republic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13] 서적 Kurds and the State in Iran: The Making of Kurdish Identity Bloomsbury Publishing
[14] 서적 International Law in the Middle East: Closer to Power than Justice Ashgate Publishing Ltd
[15] 간행물 Kurdish Nationalism 1971
[16] 백과사전 Azerbaijan v. History from 1941 to 1947 http://www.iranicaon[...]
[17] 서적 The Kurdish National Movement: Its Origins and Development Syracuse University Press
[18] 서적 Kurdistan In the Shadow of History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19] 서적 America's Great Game: The CIA's Secret Arabists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Middle East https://archive.org/[...] Basic Books
[20] 문서 石井 2003
[21] 학위논문 The Republic of Kurdistan, 1946 https://openaccess.l[...] University of Leiden 2012
[22] 서적 American Presidents and the Middle East 1990
[23] 서적 Memoirs, Vol. 1: Years of Decision 1955
[24] 웹사이트 The Kurdish Warrior Tradition and the Importance of the Peshmerga http://etd.lib.fsu.e[...] 2013-10-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