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아제르바이잔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아제르바이잔주는 이란 북서부에 위치한 주로, 페르시아어로 '서쪽'을 의미한다. 북쪽으로는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동쪽으로는 동아제르바이잔주, 서쪽으로는 튀르키예와 이라크, 남쪽으로는 코르데스탄주, 동남쪽으로는 잔잔주와 접한다. 면적은 43,660㎢이며, 우르미아호를 포함한다. 주요 도시로는 우르미아, 호이, 부칸, 마하바드 등이 있으며, 아제르바이잔인과 쿠르드족이 주로 거주한다. 이 지역은 우라르투와 만나 문명의 완충 지대였으며, 아르메니아 역사에서도 중요한 지역이었다. 19세기와 20세기에는 러시아, 오스만 제국, 소련의 지배를 받았으며, 1946년에는 마하바드 공화국이 수립되기도 했다. 현재는 14개의 군으로 행정 구역이 나뉘며,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인 타흐트-이 술레이만 단지와 같은 다양한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아제르바이잔주 - 우르미아호
    우르미아호는 이란 북서부의 염호로, 생태적 중요성으로 국제적인 보호를 받지만, 유입량 감소와 높은 증발률로 심각한 환경 문제에 직면하여 복원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이란의 주 - 테헤란주
    테헤란주는 이란 북부에 위치하며, 이란의 수도 테헤란을 포함하고, 오랜 역사를 지닌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 풍부한 자원과 많은 인구를 바탕으로 이란 국내총생산의 큰 부분을 차지하지만,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환경 및 사회 문제에 직면하고 있어 정치적 안정과 경제 개혁이 요구된다.
  • 이란의 주 - 후제스탄주
    후제스탄주는 고대 엘람 문명의 중심지이자 이란 남서부에 위치한 주로, 이란 원유 매장량의 57%를 차지하는 주요 석유 생산 지역이며, 고대 유적과 다양한 민족, 언어가 공존하지만, 물 부족, 환경 문제, 민족 갈등과 같은 사회 문제도 겪었다.
  • 분단된 지역 -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국가로, 삼국시대를 계승하여 1897년 대한제국 선포 이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으로 국호가 확정되었으며, 약 5천만 명의 인구와 약 10만 km²의 면적으로 대통령 중심의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다.
  • 분단된 지역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서아제르바이잔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기타 명칭, 로마자 표기: Parêzgeha Urmiyê
종류
지역지역 3구역
중심지우르미아
설립승인 1369년 3월 21일 (1990년 6월 21일)
행정
행정 구역군 20개
주지사레자 라흐마니
지리
면적37,437 km²
인구
총 인구 (2016년)3,265,219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통계페르시아어(공식 언어)
지역 언어: 아르메니아어, 아시리아 신아람어, 아제르바이잔어, 쿠르드어, 리샨 디단
인문 지표
HDI (2017년)0.758 (높음) / 26위
시간대
시간대IRST
협정 세계시+03:30
기타 정보
ISO 3166-2IR-02

2. 명칭

'아자르바이잔에가르비주'의 '에가르비'(페르시아어: غربی)는 페르시아어로 '서쪽'이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서(西) 아제르바이잔 주'라는 뜻이 된다.

3. 지리

서아제르바이잔 주는 북쪽으로 아제르바이잔의 고립 영토인 나히체반과 아르메니아, 동쪽으로 동아제르바이잔주, 서쪽으로 튀르키예이라크, 남쪽으로 코르데스탄주, 동남쪽으로 잔잔주와 접한다. 면적은 43660km2이며, 우르미아호를 포함하여 이란 북서부에 위치한다.

3. 1. 지형

서아제르바이잔 주는 북서쪽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있는 자그로스 산맥을 비롯해 산악 지형이 많은 지역이다. 주민들이 사용하는 물은 눈 녹은 물이다. 산지의 눈 녹은 물은 호이 대단층, 호이 계곡과 쿠루차이 강 등의 계곡을 거쳐 우르미아호로 흘러 들어간다. 이 계곡들이 주에서 가장 낮은 지역이다.

기후는 대서양의 습윤 기류의 영향을 받지만, 겨울에는 지중해 기류가 유입되어 기온이 떨어진다. 그러나 주 내의 기후는 다양하여, 여름에는 기온이 34°C까지 올라가고, 겨울에는 -16°C까지 내려가는 곳이 있다. 예를 들어 우르미아와 마쿠는 여름에는 건조하고 겨울에는 춥다. 마하바드는 길고 건조한 여름과 극도로 추운 겨울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나가데와 미얀도아브에서는 다소 습윤한 온화한 여름과 다소 추운 겨울이 찾아온다.

유네스코우르미아호를 생태 보호 구역으로 지정했다.

3. 2. 기후

겨울에는 차가운 북풍이 불어와 많은 눈이 내린다.[43] 기상 데이터에 따르면, 지역별 기온은 주 내에서 차이가 있다. 평균 기온은 피란샤르(9.4°C)부터 마하바드(11.6°C)까지 다양하며, 호이는 10.8°C이다. 주의 최고 기온은 7월에 34°C이고, 최저 기온은 1월에 -16°C이다. 여름철 최고 온도 변화는 4°C이고 겨울철에는 15°C이다.[44]

기후는 대서양의 습윤 기류의 영향을 받지만, 겨울에는 지중해 기류가 유입되어 기온이 떨어진다. 주 내 기후는 다양하여, 마하바드는 길고 건조한 여름과 매우 추운 겨울을, 나가데와 미얀도아브는 다소 습윤한 온화한 여름과 다소 추운 겨울을 보인다.

3. 2. 1. 우르미아 기후

겨울에는 차가운 북풍이 불어와 많은 눈이 내린다.[43] 기상 데이터에 따르면, 지역별 기온은 차이가 있다. 우르미아의 평균 기온은 9.8 °C이다. 주의 최고 기온은 7월에 34 °C이고, 최저 기온은 1월에 –16 °C이다. 여름철 최고 온도 변화는 4 °C이고 겨울철에는 15 °C이다.[44]

기후는 대서양의 습윤 기류의 영향을 받지만, 겨울에는 지중해 기류가 유입되어 기온이 떨어진다. 우르미아는 여름에는 건조하고 겨울에는 춥다.

우르미아의 기후는 다음과 같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2.6°C4.8°C10.4°C16.8°C22.2°C27.5°C31.2°C31°C27.1°C20.1°C12.2°C5.7°C17.6°C
평균 최저 기온 (°C)-6.1°C-4.8°C-0.1°C5.2°C9.1°C12.9°C16.6°C15.9°C11.5°C6.6°C1.4°C-3.2°C5.4°C
평균 강수량 (mm)30.2mm33.2mm52.3mm62.2mm45.6mm14.2mm5.5mm2.1mm4.4mm21.8mm40mm29.7mm341.2mm


4. 역사

이 지역의 주요 고대 문명은 우라르투와 신 아시리아 제국 사이의 완충 지대였던 만나였다. 만나인들은 우라르투어와 관련된 언어를 사용했다. 아시리아 멸망 후, 이 지역은 그리스 자료에서 마티에네(또는 마티네)로 알려졌으며, 우르미아호 동쪽의 아트로파테네와 접해 있었다.

아르메니아 역사에서 바스푸라칸과 노르 시라칸으로 알려진 이 지역은 아르메니아인 문명의 요람 중 하나로서 역사적 아르메니아의 중요한 부분이었다.[10] 451년 5월 26일, 추르스의 아바라일 평원에서 바르단 마미코니안 휘하의 아르메니아 군대가 사산 왕조와 격돌했다. 페르시아인들이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아바라일 전투는 아르메니아의 기독교 자유를 확인한 느르사크 조약(484년)의 길을 열었다.[11][12]

4세기 후반 사산 왕조는 이 지역을 동쪽의 아두르바다간에 편입했다.[13] 아제르바이잔으로 아랍화된 아두르바다간의 이름은 아트로파테스에서 유래되었으며,[14][15] 그는 아케메네스 왕조 치하 메디아의 이란 민족 사트라프였고, 알렉산드로스 대왕 치하에서 다시 메디아의 사트라프가 되었다.[16]

7세기에는 이슬람 통치하에 있었다. 바바크 호람딘의 반란 이후 아바스 칼리프 왕조의 지배력이 약화되면서 토착 왕조들이 부상했다. 11세기 전반 비잔틴 제국은 동부 영토 확보를 위해 아르메니아 왕조를 흡수하려 했다. 1021-1022년 바실 2세는 드빈(고대 도시)에서 175km 떨어진 호이까지 군대를 이끌고 반, 튀르키예의 아르주니 왕조 왕족에게 항복을 받았다.[17] 현지 하다바니 쿠르드족이 저항했지만, 셀주크 투르크 부족이 11세기와 12세기 초에 이 지역을 정복했다. 14세기 티무르 제국 통치 기간 동안 호이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다바니 이후, 남부의 무크리안, 중부의 브라도스티, 북부의 돈볼리 등 세 쿠르드족 군주국이 수세기 동안 이 지역을 지배했으며, 잠시 오스만 제국 또는 사파비 왕조와 손을 잡았다. 사파비 왕조와 브라도스티 쿠르드족 간의 딤딤 전투가 이 지역에서 벌어졌다. 1609년 11월부터 1610년 여름까지 하템 베그 우르두바디가 이끈 포위 공격 끝에 딤딤 성이 함락되었다. 아바스 1세는 브라도스트와 무크리안에서 대량 학살을 명령하고(사파비 역사가 에스칸다르 베그의 ''알람 아라이-에 아바시''에 보고됨), 아프샤르 부족을 이 지역에 재정착시키는 한편 많은 쿠르드족 부족을 대 호라산 지역으로 추방했다.

사파비 왕조아바스 1세에 의해 확고히 통제되었지만, 1세기 이상 후 아프가니스탄 침공(1722–1728) 동안 오스만 제국은 이란 북서부 지역을 점령했으며, 나디르 샤가 이란의 종주권을 다시 주장했다.

러시아 (차르) 군대는 1909년, 1912–1914년, 1915–1918년에 이 지역을 점령했고, 오스만 제국은 1914–1915년과 1918–1919년에 점령했다. 소련군은 1941년에 이 지역을 점령하여 1945년 11월부터 1946년 11월까지 마하바드 공화국이라는 단명한 소련 지원 괴뢰 국가를 수립했다.

19세기 행정 구역에 따르면, 마쿠, 호이, 살마스, 아라스바란 지역과 우르미아 지역은 이란 북서부의 아제르바이잔주에 속했다.[18] 1937년 ''샤말-에 가르브''(북서부 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아제르바이잔주는 서부와 동부로 나뉘어 ''차하롬''(제4주)과 ''세욤''(제3주)으로 변경되었다. 1961년 이란 당국은 제4주를 ''서아제르바이잔''으로 개명했다.

19세기와 20세기의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 1880년 셰이크 우베이둘라의 우르미아 호수 서쪽과 남쪽 공격;[19]
  • 1918년부터 1922년까지 우르미아 호수 서쪽에서 일어난 심코 봉기;[20]
  • 1944년 소련의 점령;
  • 1945–1946년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의 설립 및 파괴;
  • 1946년 마하바드 군에서 마하바드 공화국의 설립 및 파괴;
  • 1979년부터 1990년대까지 이라크-이란 국경 근처에서 쿠르드 정치 단체와 이란 정부 간의 주기적인 전투.[21] 1980년대 초, 일부 지역은 중앙 정부의 통제 밖에 있었다.

4. 1. 고대

서아제르바이잔주에는 기원전 6천년기 초부터 영구적인 정착지가 세워졌으며, 이는 테페 하산루와 같은 유적지 발굴을 통해 밝혀졌다. 하산루에서는 1958년에 유명한 황금 꽃병이 발견되었다. 이 주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와인 생산 증거가 발견된 테페 하지 피루즈 유적지가 위치한 곳이다.[45][46][47] 구이 테페는 또 다른 중요한 유적지로, 기원전 800년경의 금속 판이 발견되었는데, 이 판에는 길가메시 서사시의 한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이러한 유적들과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인 사산 제국의 타흐트-이 술레이만 단지는 수천 년에 걸친 이 주의 전략적 중요성과 격동의 역사를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이 주는 풍부한 역사적 유물을 자랑하며, 이란 문화 유산 기구에 의해 169개의 유적지가 등록되어 있다.

4. 2. 중세

아자르바이잔이라는 이름은 중세 페르시아어의 "아토르 파트칸 Ator Patkan"에서 유래했다. 테페 하산루와 같은 유적 발굴을 통해 이 지역의 역사가 기원전 제6천년기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이 밝혀졌다. 테페 하산루에서는 1956년에 유명한 황금 항아리가 발굴되었고, 하지 피루즈 테페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와인이 발굴되었다. 구이 테페는 기원전 800년경부터의 유적으로, 『길가메시 서사시』의 장면을 묘사한 금속판이 발굴되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타흐트-이 술레이만을 비롯한 유적은, 이 지역의 전략적 중요성과 격동의 역사를 보여준다.

4. 3. 근현대

아자르바이잔이라는 이름은 중세 페르시아어의 "아토르 파트칸(Ator Patkan)"에서 유래했다. 테페 하산루와 같은 유적 발굴을 통해 이 지역의 역사가 기원전 제6천년기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이 밝혀졌다. 테페 하산루에서는 1956년에 유명한 황금 항아리가 발굴되었고, 하지 피루즈 테페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와인이 발굴되었다. 구이 테페는 기원전 800년경부터의 유적으로, 『길가메시 서사시』의 장면을 묘사한 금속판이 발굴되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타흐트-이 술레이만을 비롯한 유적은 이 지역의 전략적 중요성과 격동의 역사를 보여준다. 가장 최근에는 1946년 5월 소련의 침공을 시작으로 러시아 제국 등이 여러 차례 침공했다. 1946년 1월에는 소련의 지원으로 쿠르드족 국가인 마하바드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이란 정부의 군사적 압력으로 같은 해에 붕괴되었다.

5. 행정 구역



다음 표는 서아제르바이잔주의 행정 구역의 인구 변동 및 구조적 변화를 3번의 연속적인 인구 조사를 통해 보여준다.

서아제르바이잔 주
2006[37]2011[38]2016[39]
바루크
부칸202,637224,628251,409
차하르보르지
찰도란44,57246,39845,060
차이파레43,20647,292
호이365,573354,309348,664
마하바드197,441215,529236,849
마쿠174,57888,86394,751
미안두아브245,153260,628273,949
미라바드
나게데117,831121,602127,671
오슈나비예63,79870,03073,886
피란샤르107,677123,639138,864
폴다슈트42,07142,170
살마스180,708192,591196,546
사르다슈트104,146111,590118,849
샤힌데즈89,35691,11392,456
쇼트52,51955,682
타카브81,39578,12280,556
우르미아856,914963,7381,040,565
총계2,831,7793,080,5763,265,219


6. 인구

2006년 전국 인구 조사에서 서아제르바이잔 주의 인구는 655,260가구에 2,831,779명이었다.[37] 2011년에는 822,152가구에 3,080,576명,[38] 2016년에는 935,956가구에 3,265,219명으로 인구가 증가했다.[39]

2016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서아제르바이잔 주 인구의 65% 이상인 2,136,203명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39] 주요 도시와 인구는 다음과 같다.

순위도시인구 (2016년)[39]
1우르미아736,224
2호이198,845
3부칸193,501
4마하바드168,393
5미안도아브134,425
6살마스92,811
7피란샤르91,515
8나게데81,598
9타카브49,677
10마쿠46,581
11사르다슈트46,412
12샤힌 데즈43,131
13오슈나비예39,801
14가라 지아 오드 딘26,767
15쇼트25,381


6. 1. 민족 구성

서아제르바이잔주의 민족 구성이나 언어 구성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는 없다. 이 주의 인구 대부분은 아제르바이잔인과 쿠르드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르메니아인, 아시리아인, 유대인의 소수 인구가 있다. 2019년 언어학자 아논비는 이 주의 언어적 다수성에 대한 질문에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24]

: 이란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서아제르바이잔주의 언어 분포에 대한 신뢰할 수 있거나 자세한 데이터는 없다. 이 주에는 수도인 우르미아를 포함하여 아제르바이잔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다수인 여러 지역이 있다. 이 때문에, 아마도 주의 이름 때문일 수도 있지만, 아제르바이잔어가 주 전체의 주요 언어라고 흔히 추정된다. 그러나 이 주제에 대한 우리의 예비 조사, 즉 지역별 계산에 따르면... 실제로 쿠르드어가 주의 인구 과반수의 모국어일 수 있다.

부칸,[25] 마하바드,[26] 오슈나비예,[27] 피란샤르,[28] 및 사르다슈트[29]는 쿠르드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찰도란,[30] 마쿠,[31] 미안두아브,[32] 나게데,[33] 살마스[34][35] 및 타카브[36]는 아제르바이잔인과 쿠르드족이 혼합되어 거주하고 있다. 또한 살마스에는 기독교 소수 민족이 거주한다.[34]

주민의 대부분은 민족적으로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아제리인이다. 아제리인은 현재 구 소련의 아제르바이잔에서 이란의 잔잔주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그 외에 많은 쿠르드인이 남서부에 거주하고 있다.

6. 2. 종교

주민의 대부분은 시아파 무슬림이다. 그러나 다양한 기독교도 소수파가 존재한다. 옛날부터 오루미예호 서안에 사는 아시리아인과, 주 전체에 분포하는 아르메니아인 등이다. 특히 북서부 마쿠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이란에서 기독교도가 다수를 차지한 유일한 도시이다.

이슬람에서도 시아파는 오루미예와 북부 도시 주민이 대다수이며, 남부에서는 수니파가 일반적이다. 아시리아인과 아르메니아인은 각 교회의 주변에 산다. 또한 각각 아제리인과 쿠르드족을 포함하며, 독자적인 문화와 전통을 구축하고 있다.

성 타대오 성당은 찰도란 교외의 카라 킬리사 마을 근처에 있다. 이란의 기독교도, 특히 아르메니아인에게 중요한 교회이지만, 이 교회 및 수도원은 건축, 예술적으로도 높은 가치를 지닌다.

성 타대오는 유다의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성 타대오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 중 한 명으로, 아르메니아를 여행한 후 살해되었다고 한다. 301년, 이 지역 주민들이 작은 성당을 세웠고, 이것이 "카라 킬리사"(터키어로 "검은 교회")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는 서쪽 외관에 기인한다.

이란 문화유산협회에는, 주 내에 31곳의 교회가 등록되어 있다.

조로아스터교성지, 타흐트-이 술레이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의 카라 킬리사(Qara Kelisa, '검은 교회'의 의미)

7. 문화

서아제르바이잔주에는 기원전 6천 년기 초부터 테페 하산루와 같은 유적지에 영구적인 정착지가 세워졌다. 하산루에서는 1958년에 유명한 황금 꽃병이 발견되었다. 이 주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와인 생산 증거가 발견된 테페 하지 피루즈 유적지가 있는 곳이며,[45][46][47] ''구이 테페''에서는 길가메시 서사시의 한 장면이 묘사된 기원전 800년경의 금속 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유적들과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인 사산 제국의 타흐트-이 술레이만 단지는 이 주의 전략적 중요성과 격동의 역사를 보여준다.

7. 1. 문화유산

서아제르바이잔주에는 기원전 6천 년기 초부터 영구적인 정착지가 세워졌으며, 이는 테페 하산루와 같은 유적지 발굴을 통해 밝혀졌다. 하산루에서는 1958년에 유명한 황금 꽃병이 발견되었다. 이 주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와인 생산 증거가 발견된 테페 하지 피루즈 유적지가 위치한 곳이다.[45][46][47] ''구이 테페''는 또 다른 중요한 유적지로, 기원전 800년경의 금속 판이 발견되었는데, 이 판에는 ''길가메시 서사시''의 한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이러한 유적들과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인 사산 제국의 타흐트-이 술레이만 단지는 수천 년에 걸친 이 주의 전략적 중요성과 격동의 역사를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이 주는 풍부한 역사적 유물을 자랑하며, 이란 문화 유산 기구에 의해 169개의 유적지가 등록되어 있다.

8. 교육

우르미아 대학교는 1878년 미국의 장로교 선교사에 의해 처음 설립되었으며, 의학부가 설치되어 조셉 코크란과 미국 의료진이 이끌었다. 이들은 우르미아 근처 묘지에 안장되었다.[4]

8. 1. 고등 교육 기관

우르미아 대학교는 1878년 미국의 장로교 선교사에 의해 처음 설립되었다. 또한 의학부가 설립되었으며, 조셉 코크란과 미국 의료진이 이끌었다. 코크란과 그의 동료들은 우르미아 근처의 오래된 묘지에 묻혔다.[4] 우르미아 대학교 웹사이트는 그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4]

:"그들은 고국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평화롭게 잠들어 있으며, 그들의 묘비명은 그들의 노력과 인류에 대한 헌신을 나타낸다."

오늘날 이 주는 다음과 같은 주요 고등 교육 기관을 보유하고 있다.[4]

참조

[1] map West Azerbaijan Province https://www.openstre[...] 2024-09-29
[2] journal ARMENIANS OF MODERN IRAN https://www.iranicao[...] 2021-07-25
[3] journal ASSYRIANS IN IRAN i. The Assyrian community (Āšūrīān) in Iran https://iranicaonlin[...] 2021-07-25
[4] journal IRAN vii. NON-IRANIAN LANGUAGES (10). Aramaic https://iranicaonlin[...] 2021-07-25
[5]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6] 뉴스 کوردستان میدیا: دۆخی ئاسەوارە مێژووییەکانی پارێزگای ئورمیە بە هۆی دابین نەکردنی بوودجە و کەمتەرخەمی بەرپرسانی رێژیم زۆر نالەبارە و ئەگەری لە ناو چوونیان و فەوتانیان هەیە. https://kurdistanmed[...] 2020-03-21
[7] 뉴스 Erdhejê parêzgeha Urmiyê hejand https://kurdistanmed[...] 2020-03-21
[8] 보고서 Approval of the organization and chain of citizenship of the elements and units of the national divisions of West Azerbaijan province, centered in the city of Urmia https://lamtakam.com[...] Ministry of the Interior, Defense Political Commission of the Government Council 2023
[9] 뉴스 همشهری آنلاین-استان‌های کشور به ۵ منطقه تقسیم شدند (Provinces were divided into 5 regions) http://www.hamshahri[...] 2014-06-22
[10] 서적 Armenian Van/Vaspurakan https://archive.org/[...] Mazda Publishers 2011-01-22
[11] 웹사이트 AVARAYR http://www.iranicaon[...] 2011-08-17
[12] 서적 Faith in History: Armenians Rebuilding Community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13] 서적 The Armenian People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Palgrave Macmillan
[14] 백과사전 Ādharbaydjān (Azerbāydjān) http://www.encislam.[...] Brill 2007
[15] 백과사전 Azerbaijan: Pre-Islamic History
[1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zerbaijan The Scarecrow Press, Inc. 2006-06-07
[17] 서적 Studies in Caucasian History I. New Light on the Shaddadids of Ganja II. The Shaddadids of Ani III. Prehistory of Saladin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8] 서적 Encyclopaedia Iranica Routledge & Kegan Paul, University of California
[19] 간행물 The Kurdish Question Roy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20] 간행물 The Kurdish Question Roy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21] 웹사이트 Iran - Kurds https://countrystudi[...] 2023-12-27
[22] 문서 Balādâorī and Ebn Kordādâbeh
[23] 서적 Dānishmandān-i Āzarbayjān
[24] 웹사이트 Current issues in Kurdish linguistics: Kordestan Province in the Atlas of the Languages of Iran: Research process, language distribution, and language classification https://halshs.archi[...] 2021-07-15
[25] journal BŪKĀN https://referencewor[...] 1989
[26] journal Mahābād 2012
[27] journal Us̲h̲nū
[28] 웹사이트 درباره شهرستان پیرانشهر http://piran.az.pnu.[...] 2021-07-15
[29] 서적 Ottoman-Iranian Borderlands: Making a Boundary, 1843–1914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journal چالدران https://www.cgie.org[...]
[31] journal Mākū
[32] 웹사이트 تاریخچه شهرستان میاندوآب https://miandoabma.i[...] 2021-03-21
[33] journal Suldūz
[34] journal Salmās
[35] journal ČAHRĪQ https://iranicaonlin[...] 1990
[36] 학술지 تخت سلیمان https://www.cgie.org[...]
[37] 보고서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85 (2006): West Azerbaijan Province http://www.amar.org.[...]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09-25
[38] 보고서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90 (2011): West Azerbaijan Province https://irandataport[...]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12-19
[39] 보고서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95 (2016): West Azerbaijan Province https://www.amar.org[...]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12-19
[40] 뉴스 Approval letter regarding national divisions in Miandoab County of West Azerbaijan province https://dotic.ir/new[...] Ministry of the Interior, Council of Ministers 2021-07-31
[41] 보고서 Approval letter regarding reforms of national divisions in West Azerbaijan province https://rc.majlis.ir[...] Ministry of the Interior, Political-Defense Commission of the Government Board 1393-01-24
[42] 보고서 The city of Nalas was separated from Vazineh District and annexed to Sardasht County in West Azerbaijan province https://qavanin.ir/L[...] Ministry of the Interior, Council of Ministers 2023
[43] 백과사전 Azerbaijan http://www.britannic[...] 2023-06-29
[44]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a-gharbi.rmto[...]
[45] 웹사이트 Penn Museum - University of Pennsylvania Museum of Archaeology and Anthropology http://www.museum.up[...]
[46] 서적 Hajji Firuz Tepe, Iran: the neolithic settlement University Museum,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83
[47] 서적 Soviet Nationalism I. B. Tauris & Company, Limited 2001
[48] 웹사이트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95 (2016) https://www.amar.org[...]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12-19
[49] 웹사이트 Iran: Provinces and Cities population statistics http://www.citypopu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