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힐료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힐료우는 1267년 역사 기록에 처음 등장한 벨라루스의 도시이다. 14세기부터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영토였으며, 1569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성립된 후 주요 무역 도시로 번성했다. 1772년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러시아 제국군 본부가 주둔했다. 러시아 혁명 이후 독일,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을 거쳐 소비에트 러시아에 점령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의 점령 하에 유대인 학살이 자행되었다. 1991년 벨라루스 독립 이후 주요 도시로 남아 있으며, 제철, 금속 가공업이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힐료우 - 마힐료우 공항
마힐료우 공항은 벨라루스 마힐료우에 위치한 공항이며, 2021년 12월 현재 정기적인 운항 노선이 없는 상황이다. - 마힐료우주 - 바브루이스크
바브루이스크는 벨라루스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슬라브족 정착지에서 시작되어 러시아 제국 시대를 거치며 요새 건설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다양한 민족이 거주했으나 20세기 초 화재와 전쟁으로 피해를 입었으며 현재는 산업 중심지로 자매 도시와 교류하고 있다. - 마힐료우주 - 슈클로우
슈클로우는 벨라루스의 도시로, 역사적으로 슈클로우 전투와 유대인 종교 중심지로서의 역할이 중요하며, 20세기에는 유대인 학살이 벌어졌고,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이 경력을 쌓은 곳이기도 하다. - 벨라루스의 주도 - 흐로드나
흐로드나는 벨라루스 북서부 네만 강 유역에 위치한 도시로, 다양한 정권의 지배를 거치며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을 지니고, 중세 시대부터 상업과 무역의 중심지이자 폴란드 국왕들의 거주지, 현재는 벨라루스의 주요 도시로서 관광 도시의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 - 벨라루스의 주도 - 비쳅스크
벨라루스 북동부 다우가바 강 연안에 위치한 비쳅스크는 974년 건설되어 무역 거점으로 발전했고, 역사적으로 비쳅스크 공국의 중심지였으며, 마르크 샤갈과 슬라브 바자르로 대표되는 문화 중심지이다.
마힐료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마힐료우 (벨라루스어: Магілёў) 모길료프 (러시아어: Могилёв) |
기타 명칭 | 마힐료우 (Mahilyow) |
로마자 표기 (BGN/PCGN) | 마힐료우 (Mahilyow) |
로마자 표기 (공식) | 마힐리우 (Mahiliow) |
로마자 표기 (학술) | 마힐료우 (Mahilëŭ) |
로마자 표기 (ALA-LC) | 마힐료우 (Mahili͡oŭ) |
로마자 표기 (영국 표준) | 마힐료우 (Mahilëw) |
로마자 표기 (Łacinka) | 마힐로우 (Mahiloŭ) |
도시 유형 | 도시 |
![]() | |
![]() | |
행정 구역 | |
국가 | 벨라루스 |
지역 | 마힐료우 주 |
정부 | |
시장 | 알략산드르 스투드네우 |
설립 | |
설립일 | 1267년 |
면적 | |
총 면적 | 118.50 제곱킬로미터 |
인구 | |
2024년 | 353,110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시간대 | |
시간대 | MSK |
UTC 오프셋 | +3 |
기타 정보 | |
고도 | 192 미터 |
우편 번호 | 212 001 |
지역 번호 | +375 222 |
자동차 번호판 | 6 |
공식 웹사이트 | 도시 집행위원회의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마힐료우는 1267년에 건설된 도시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4세기부터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영토였으며, 1569년 루블린 연합 이후에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속하게 되었다. 16~17세기에는 동서 및 남북 무역로의 주요 거점으로 번성하였다.
1577년 폴란드 왕 스테판 바토리에 의해 마그데부르크법에 따른 도시 권리를 부여받았다. 1654년 러시아-폴란드 전쟁 (1654–1667) 당시 주민들은 유대인 추방 및 재산 분배를 조건으로 러시아에 항복하였으나, 러시아군은 약속을 어기고 유대인들을 학살하였다.[8] 이후 리투아니아 군대에 의해 두 차례 포위되었으며, 1661년에는 주민들이 러시아 통치에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1708년 대북방 전쟁 중에는 표트르 대제의 군대에 의해 도시가 불타는 피해를 입었다.[9] 1772년 제1차 폴란드 분할로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어 모길료우 현의 중심지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러시아 제국군 본부(스타프카)가 주둔했으며,[10] 황제 니콜라이 2세가 이곳에서 지휘하기도 했다.[11][12] 러시아 혁명 이후 잠시 독일에 점령되었다가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에 편입되었으나, 1919년 소비에트 러시아 군대에 점령되어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속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마힐료우에는 많은 유대인 디아스포라 인구가 살고 있었으며, 189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이 유대인이었다.[13] 1938년에는 벨라루스의 수도를 민스크에서 마힐료우로 옮기려는 결정이 내려지기도 했다.
바르바로사 작전으로 1941년 7월 26일부터 1944년 6월 28일까지 나치 독일의 점령 하에 있었으며,[14] 이 기간 동안 마힐료우의 유대인들은 게토화되어 질서경찰과 SS에 의해 학살되었다.[15] 하인리히 힘러는 유대인 처형을 직접 목격하기도 했으며, 배기 가스를 이용한 살해 실험도 자행되었다.
1944년 모길료우 공세로 붉은 군대에 의해 해방되어 소련으로 반환되었으며, 이후 독일 전쟁 포로들을 위한 노동 수용소가 설치되었다. 1991년 벨라루스 독립 이후 마힐료우는 주요 도시 중 하나로 남아있다.
2. 1. 초기 역사
이 도시는 1267년에 역사 기록에 처음 언급되었다.[7] 14세기부터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일부였으며, 루블린 연합(1569년) 이후에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일부가 되었고, 그곳에서 ''Mohylew''로 알려지게 되었다. 16-17세기에 이 도시는 동서 및 남북 무역로의 주요 거점 중 하나로 번성했다.[8]2. 2. 근세 시대
1577년, 폴란드 왕 스테판 바토리는 마그데부르크법에 따른 도시 권리를 부여했다.[8] 1654년 러시아-폴란드 전쟁 (1654–1667) 동안, 마을 사람들은 유대인을 추방하고 그들의 재산을 모길료우 주민들에게 분배하는 조건으로 러시아에 평화적으로 항복하는 조약을 협상했고, 차르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는 동의했다. 그러나 러시아군은 유대인을 추방하는 대신, 그들을 도시 외곽으로 이끈 후 학살했다.[8] 이 전쟁 동안 도시는 리투아니아 군대에 의해 1655년과 1660년 두 번 포위되었다. 1661년, Могилёвское восстание (1661)|모길료우 봉기ru가 발생하여 지역 주민들은 러시아 제국 통치에 반란을 일으켰다. 대북방 전쟁 중이던 1708년에는 표트르 대제의 군대에 의해 도시가 방화되었다.[9] 1772년 제1차 폴란드 분할 이후, 모길료우는 러시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고 모길료우 현의 중심지가 되었다.2. 3. 근대
제1차 세계 대전 기간인 1915년부터 1917년까지 러시아 제국군 본부 (스타프카)가 이 도시에 주둔했고,[10] 황제 니콜라이 2세는 최고 사령관으로서 그곳에서 오랜 기간을 보냈다.[11][12]러시아 혁명 이후 1918년, 도시는 잠시 독일에 의해 점령되었고, 단명한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1919년, 마힐료우는 소비에트 러시아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고,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과 홀로코스트 이전까지 마힐료우는 유럽의 다른 많은 도시들처럼 상당한 유대인 디아스포라 인구를 가지고 있었다. 1897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총 인구 41,100명 중 21,500명이 유대인이었다(50% 이상).[13] 1938년, 소비에트 벨라루스 지도부는 수도를 민스크에서 마힐료우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바르바로사 작전 동안, 이 도시는 1941년 7월 26일에 베르마흐트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1944년 6월 28일까지 독일 점령 하에 있었다.[14] 마힐료우는 고위 SS 및 경찰 지도자(HSSPF) 에리히 폰 뎀 바흐의 공식 거주지가 되었다. 그 기간 동안, 마힐료우의 유대인들은 게토화되었고, ''질서경찰''과 SS 요원에 의해 체계적으로 살해되었다.[15] 하인리히 힘러는 1941년 10월 23일에 279명의 유대인 처형을 직접 목격했다. 그 달 말, 정신 장애가 있는 환자 여러 명이 배기 가스로 중독되어 실험되었다. 이 살해 방법은 이후 여러 나치 절멸 수용소에서 적용되었다.
2. 4. 현대
1991년 벨라루스 독립 이후, 마힐료우는 주요 도시 중 하나로 남아있다.[14]3. 인구
Население Могилёваru (마힐료우의 인구)는 1897년 총 41,100명이었으며, 그 중 유대인은 21,500명으로 50% 이상을 차지했다.[13]
1897년부터 2019년까지 마힐료우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인구 |
---|---|
1897년 | 43,119명 |
1926년 | 46,562명 |
1939년 | 99,428명 |
1959년 | 121,712명 |
1970년 | 202,314명 |
1979년 | 290,361명 |
1989년 | 359,188명 |
1999년 | 356,500명 |
2009년 | 358,279명 |
2019년 | 356,821명 |
4. 경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마힐료우에는 여러 개의 주요 제철소가 있는 거대한 야금 중심지가 건설되었다. 또한, 여러 개의 주요 크레인 공장, 자동차 공장, 트랙터 공장 및 화학 공장이 설립되었다. 1950년대까지 마힐료우는 무두질을 주요 산업으로 했으며, 곡물, 가죽, 소금, 설탕, 생선, 목재 및 부싯돌의 주요 무역 중심지였다. 이 도시는 드네프르강에 주요 내륙 항구가 있었고, 마힐료우 공항이 있었다. 소련 붕괴와 벨라루스가 독립 국가로 수립된 이후, 마힐료우는 벨라루스의 주요 경제 및 산업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16]
5. 도시 경관
마힐료우에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건축물들이 많이 있다.
5. 1. 주요 랜드마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시대에 건축된 라투샤(Ratuša, 라트하우스)라고 불리는 시청은 17세기 후반에 지어졌다. 대북방 전쟁과 독일-소련 전쟁 동안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나, 1957년에 철거되었다가 2008년에 전쟁 전 형태로 재건되었다.[17]1738년에서 1752년 사이에 바로크 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6개의 기둥이 있는 성 스타니슬라프 대성당은 프레스코화로 유명하다.
성 니콜라스 수녀원은 1668년에 지어진 웅장한 대성당과 원래의 이코노스타시스, 종탑, 벽, 문을 보존하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를 고려하고 있다.[17]
이 외에도 1780년대에 지어진 대주교 궁전과 기념 아치, 신르네상스와 러시아 부흥 양식이 혼합된 극장이 있다.
마힐료우의 도시 지역인 폴리코비치에는 350m 높이의 TV 송신탑이 있는데, 이는 벨라루스에서 가장 높은 구조물 중 하나이다.
6. 지리
마힐료우는 쾨펜 기후 구분상 온난 습윤 기후(Dfb)에 속하며, 따뜻한 여름과 추운 겨울을 보인다.[25]
6. 1. 기후
마힐료우는 따뜻한 여름과 추운 겨울을 보이는 온난 습윤 기후(쾨펜 기후 구분 Dfb)이다.[25]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9.8°C | 12.9°C | 19.3°C | 29.1°C | 30.8°C | 32.6°C | 34.3°C | 36.8°C | 30.6°C | 25.5°C | 14.5°C | 10.9°C | 36.8°C |
평균 최고 기온 (°C) | -3°C | -2.5°C | 3°C | 12°C | 18.6°C | 21.5°C | 23.6°C | 22.7°C | 16.7°C | 9.9°C | 2.3°C | -2°C | 10.2°C |
평균 기온 (°C) | -5.3°C | -5.5°C | -0.8°C | 6.7°C | 12.9°C | 16.1°C | 18.1°C | 17°C | 11.6°C | 6°C | -0.1°C | -4.2°C | 6°C |
평균 최저 기온 (°C) | -7.8°C | -8.5°C | -4.2°C | 2°C | 7.3°C | 10.8°C | 12.7°C | 11.6°C | 7.1°C | 2.6°C | -2.3°C | -6.6°C | 2.1°C |
최저 기온 기록 (°C) | -37.3°C | -34.7°C | -35°C | -17.7°C | -4.4°C | -0.7°C | 3°C | 0.9°C | -4.8°C | -14.8°C | -23.5°C | -33.4°C | -37.3°C |
강수량 (mm) | 39mm | 34mm | 39mm | 41mm | 53mm | 75mm | 81mm | 65mm | 55mm | 54mm | 45mm | 41mm | 622mm |
비 오는 날 | 8 | 7 | 9 | 12 | 15 | 17 | 15 | 13 | 14 | 15 | 14 | 10 | 149 |
눈 오는 날 | 21 | 20 | 13 | 4 | 0.2 | 0 | 0 | 0 | 0.1 | 3 | 12 | 20 | 93 |
상대 습도 (%) | 87 | 85 | 80 | 72 | 69 | 74 | 74 | 75 | 80 | 84 | 89 | 89 | 80 |
7. 종교
로마 가톨릭 민스크-모길료프 대교구는 1991년 통합 이전까지 로마 가톨릭 모길료프 대교구의 주교좌였다. 현재는 벨라루스 정교회 관할구 내 모길료프 및 므스티슬라울 교구 (동방 교구)의 주교좌이기도 하다.[7]
8. 스포츠
마힐료우의 스포츠 팀은 다음과 같다.
9. 자매 도시
국가 | 도시 |
---|---|
-- 아제르바이잔 | 숨가이트 |
-- 러시아 | 예카테린부르크 |
-- 러시아 | 브랸스크 |
-- 프랑스 | 빌뢰르반 (1979) |
-- 불가리아 | 가브로보 (1988) |
-- 폴란드 | 브워츠와베크 (1995) |
-- 독일 | 아이제나흐 (1996) |
-- 슬로바키아 | 바르데요우 (1996) |
-- 리투아니아 | 클라이페다 (1997) |
-- 러시아 | 툴라 (1998) |
-- 우크라이나 | 케르치 (1998) |
-- 카자흐스탄 | 쉼켄트 (2000) |
-- 세르비아 | 크라구예바츠 (2006) |
-- 러시아 | 즈베니고로드 (2006) |
-- 우크라이나 | 미콜라이우 (2009) |
-- 카타르 | 알라얀 |
-- 터키 | 부르사 |
-- 중국 | 창사[22] |
-- 중국 | 난징 |
-- 러시아 | 펜자 |
-- 러시아 | 소콜리나야 고라 (모스크바) |
-- 이란 | 타브리즈 |
-- 독일 | 비텐베르크 |
-- 우크라이나 | 피우데네 |
-- 중국 | 정저우 |
10. 저명한 출신 인물
- 리타 아치키나: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
- 마테스트 M. 아그레스트: 민족학자이자 수학자
- 모데스트 알트슐러: 오케스트라 지휘자
- 에이프 아넬리스: 미생물학자
- 올가 보그다노바: 화학자
- 칸스탄친 지우바일라(가명 "드라닉")(1988–2022): 벨라루스 자원 봉사자,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우크라이나 방어 중 전사[19]
- 표트르 엘피모프: 음악가
- 스베틀라나 바이토바: 체조 선수
- 이하르 헤르샨코우: 연쇄 살인범
- 알료나 란스카야: 가수
- 예브게니야 로그비노브나 라슈뉴코바: 수녀
- 조셉 룩스타인: 랍비이자 바르-일란 대학교 총장
- 레오니트 이사아코비치 만델슈탐: 물리학자
- 안드레이 멜니코프: 군인이자 소련 영웅 훈장 수훈자
- 안드레이 머리: 풍자 작가, 언론인, 번역가이자 스탈린의 대숙청의 희생자
- 이반 나소비치: 최초 벨라루스어 사전 저자
- 스타니스와프 율리안 오스트로로크: 폴란드 백작, 크림 전쟁 참전 용사, 유명한 빅토리아 시대 사진 초상화가, 귀화 영국 시민
- 데이비드 핀스키: 이디시 극작가

- 시메온 피슈체비치: 소장 및 모길료프 주지사(1777)
- 레프 폴루가예프스키: 국제 체스 그랜드마스터
- 레오 로긴: 경제학자이자 작가
- 오토 슈미트: 과학자, 수학자, 천문학자, 지구물리학자, 정치가, 학자
- 이사히 쉬르: 수학자
- 스피리돈 소볼: 벨라루스 계몽가이자 인쇄업자, 1631년 벨라루스에서 최초의 ABC 책 출판
- 미카라 수지질로우스키: 혁명가이자 과학자
- 세르게이 예브투호프 (1953년 출생): 화가
- 이사 샤아: 유대인 수학자
- 어빙 벌린: 유대인 음악가
- 카리나 코발리오바: 패션 모델
이스라엘의 전 총리였던 이츠하크 라빈과 아리엘 샤론은 모두 어머니가 이 도시 출신이다.
참조
[1]
간행물
British Standard 2979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1958
[2]
웹사이트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на 1 января 2024 г. и среднегодовая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за 2023 год по Республике Беларусь в разрезе областей, районов, городов, поселков городского типа
https://www.belstat.[...]
2024-04-13
[3]
웹사이트
Definition of MOGILEV
https://www.merriam-[...]
[4]
서적
Назвы населеных пунктаў Рэспублікі Беларусь: Магілёўская вобласць: нарматыўны даведнік
http://files.knihi.c[...]
Тэхналогія
2007
[5]
논문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на 1 января 2011 года и среднегодовая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за 2010 год по Республике Беларусь в разрезе областей, районов, городов, поселков городского типа
https://web.archive.[...]
Национальный статистический комитет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2012-01-13
[6]
웹사이트
Cities & Towns of Belarus
http://pop-stat.mash[...]
2024-04-15
[7]
서적
Official Secrets: What the Nazis Planned, What the British and Americans Knew
https://books.google[...]
Hill and Wang/Farrar Straus & Giroux
1998
[8]
서적
Russia's First Modern Jews
NYU Press
1995
[9]
서적
Швэды ў гісторыі й культуры беларусаў
http://www.diva-port[...]
Ėntsyklapedyks
2007
[10]
서적
Masaryk a legie
Paris Karviná
2019
[11]
웹사이트
Mogilev invites tourists to take a stroll with Emperor Nicholas II
https://www.belarus.[...]
Official website of Belarus
[12]
서적
Nicholas and Alexandria
Ballantine Books
1967
[13]
서적
Poles, Jews, and the politics of nationality
https://books.google[...]
Univ of Wisconsin Press
2004
[14]
웹사이트
Mogilev The fate of the Jews under the German Invasion & Occupation
http://www.holocaust[...]
Holocaustresearchproject.org
2014-08-09
[15]
웹사이트
Jewish Heritage Research Group in Belarus
https://web.archive.[...]
Jhrgbelarus.org
2014-08-09
[16]
웹사이트
Mogilev Region
https://www.belarus.[...]
Govt of Belarus
[17]
웹사이트
St. Nicholas Monastery Complex in the city of Mahilyou –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https://whc.unesco.o[...]
Whc.unesco.org
2004-01-30
[18]
웹사이트
КЛИМАТ МОГИЛЕВА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15-11-28
[19]
웹사이트
"Самыя блізкія пабрацімы называлі яго "Дранік"". У Данецкай вобласьці загінуў яшчэ адзін беларус, які бараніў Украіну ("The closest brothers called him" Dranik "." Another Belarusian defending Ukraine died in Donetsk region) Радыё Свабода (Radio Liberty) (in Belarusian)
https://www.svaboda.[...]
2022-05-14
[20]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FC Torpedo Mogilev
https://web.archive.[...]
torpedomogilev.by
2015-01-30
[21]
웹사이트
Города-побратимы
http://mogilev.gov.b[...]
Mogilev
2020-01-13
[22]
웹사이트
白俄罗斯莫吉廖夫市
http://www.changsha.[...]
Changsha
2020-07-11
[23]
웹사이트
Оперативные данные статистики БелСтат
http://belstat.gov.b[...]
[24]
웹인용
Cities & Towns of Belarus
http://pop-stat.mash[...]
2024-04-15
[25]
웹인용
КЛИМАТ МОГИЛЕВА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15-1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