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맨해튼 (칵테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맨해튼은 위스키, 스위트 베르무트, 비터스를 섞어 만든 칵테일이다. 1870년대 뉴욕의 맨해튼 클럽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1860년대 브로드웨이 근처 술집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1884년 찰리 폴의 '아메리칸 앤드 아더 드링크스' 등 초기 문헌에 기록되었으며, 금주법 시대에는 캐나다 위스키를 사용했다. 현재까지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며, 블랙 맨해튼, 드라이 맨해튼, 롭 로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스키 기반 칵테일 - 위스키 사워
    위스키 사워는 위스키, 레몬 주스, 설탕을 섞어 만든 칵테일이며, 탄산수, 계란 흰자 등을 첨가하거나 오렌지 슬라이스, 마라스키노 체리 등으로 장식하기도 한다.
  • 위스키 기반 칵테일 - 사제락
    사제락은 1850년대 뉴올리언스에서 시작된 칵테일로, 코냑에서 호밀 위스키로 대체되었으며, 페이쇼 비터스와 압생트를 사용하고 루이지애나 주의 공식 칵테일로 지정되었다.
  • 베르무트 기반 칵테일 - 마티니
    마티니는 진과 베르무트를 혼합하여 만드는 칵테일로, 기원은 불분명하나 마티니 & 로시社 마케팅 전략이나 마티네즈 칵테일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며, 금주법 시대를 거치며 인기를 얻고 다양한 종류와 변형이 생겨났고 대중문화, 특히 제임스 본드와 연관되어 있다.
  • 베르무트 기반 칵테일 - 네그로니
    네그로니는 진, 캄파리, 스위트 베르무트를 같은 비율로 섞어 오렌지로 장식하는 이탈리아 칵테일로, 1920년대 프랑스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다양한 변형이 있다.
맨해튼 (칵테일)
칵테일 정보
위스키, 스위트 베르무트, 비터스, 체리로 만든 클래식한 2:1 맨해튼
위스키, 스위트 베르무트, 비터스, 체리로 만든 클래식한 2:1 맨해튼
종류칵테일
IBA 공식 칵테일
위스키 기반
제공 방식스트레이트
장식마라스키노 체리
칵테일 글라스
음용 시기식전
재료
기본 재료라이 위스키 50ml
부재료스위트 레드 베르무트 20ml
향료앙고스투라 비터스 1대시
제조법
제조 방법모든 재료를 얼음과 함께 믹싱 글라스에 넣고 잘 젓는다. 차가운 칵테일 글라스에 걸러서 따른다.
참고 사항칵테일 체리로 장식한다.
이름 정보
영어 이름Manhattan
일본어 이름マンハッタン
기타 정보
알코올 도수25도 이상
색상호박색

2. 역사적 배경

맨해튼의 탄생에 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1850년대부터 1880년대 사이에 탄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 '''윈스턴 처칠의 어머니 재닛 제롬 고안설'''[4][5]: 1876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 재닛은 민주당 후보를 응원하기 위해 뉴욕의 맨해튼 클럽에서 응원 파티를 열었고, 이때 준비한 칵테일이 오늘날 맨해튼이라 불리는 칵테일이었다는 설이다. 미국 동부에서는 이 설이 많이 제기된다. 그러나 재닛은 이와 관련된 발언을 남기지 않았고, 처칠 자신도 자서전에서 어머니는 그 당시 프랑스에 있었고 임신 중이었기 때문에 파티에 참석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 '''메릴랜드주 발상설''': 메릴랜드주의 바텐더가 부상당한 총잡이의 기운을 북돋는 약으로 고안했다는 설이다. 미국 서부에서 주로 제기되며, "맨해튼"이 인디언의 언어로 "술 취한 사람"을 의미한다는 설명이 덧붙여지기도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언덕이 많은 섬"이라는 뜻이며, "우리 모두가 술 취하게 된 섬"이라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 '''롱아일랜드 발상설'''[5]: 맨해튼행 페리를 기다리는 롱아일랜드 주민들이 고안했다는 설이다.


맨해튼이 칵테일 책에 수록된 것은 오랫동안 제리 토마스의 『How To Mix Drinks』(1887년 개정판)이라고 알려졌지만, 1884년에 미국에서 출판된 O. H. Byron의 『The Modern Bartenders' guide』와 George Winter의 『How To Mix Drinks:Bar Keepers' Handbook』에도 수록된 것이 확인되었다.

일본에는 초기에 전래된 것으로 보이며, 1907년 고노 신타로가 쓴 『구미요리법전서(歐米料理法全書)』의 부록 소책자 "양주 조제법"에 "맨하탄 칵테일"로 게재된 것이 확인된다.

2. 1. 기원

맨해튼 클럽에서 1870년대 중반 제니 제롬(윈스턴 처칠의 어머니)이 새뮤얼 J. 틸든 대통령 후보를 기리기 위해 주최한 연회에서 이 칵테일이 유래되었다는 설이 널리 알려져 있다.[4][5] 이 연회의 성공으로 칵테일이 유행했고, 이후 사람들은 이 칵테일을 만든 클럽 이름을 따서 "맨해튼 칵테일"이라고 불렀다.[4][5] 그러나 제니 제롬은 당시 프랑스에 있었고 임신 중이었기 때문에 이 이야기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6]

이보다 앞서 "맨해튼"이라는 이름으로 맨해튼 지역에서 제공된 비슷한 칵테일 레시피에 대한 기록들이 있다.[5] 1860년대 브로드웨이와 휴스턴 스트리트 근처 술집에서 '블랙'이라는 바텐더가 발명했다는 이야기도 있다.[7][8]

이 칵테일에 대한 초기 기록은 1884년 찰리 폴의 ''아메리칸 앤드 아더 드링크스''와 O.H. 바이런의 ''더 모던 바텐더스 가이드''에서 찾을 수 있다.[9][10] 1891년 윌리엄 슈미트의 ''더 플로잉 볼''에도 이 칵테일에 대한 설명이 있다.[11]

2. 2. 초기 문헌 기록

인기 있는 설에 따르면 이 칵테일은 1870년대 중반 뉴욕의 맨해튼 클럽에서 유래했으며, 제니 제롬(윈스턴 처칠의 어머니)이 새뮤얼 J. 틸든 대통령 후보를 기리기 위해 주최한 연회를 위해 아이언 마샬이 발명했다고 한다. 이 연회의 성공으로 인해 이 칵테일이 유행하게 되었고, 이후 여러 사람들이 이 칵테일을 가리켜 칵테일이 유래된 클럽의 이름을 언급하며 "''맨해튼'' 칵테일"이라고 부르게 되었다.[4][5] 하지만 레이디 랜돌프는 당시 프랑스에 있었고 임신 중이었기 때문에 이 이야기는 허구일 가능성이 높다.[6]

그러나 "맨해튼"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맨해튼 지역에서 제공된 다양한 유사한 칵테일 레시피에 대한 이전 언급이 존재한다.[5] 한 설명에 따르면, 이 칵테일은 1860년대 브로드웨이와 휴스턴 스트리트 근처의 한 술집에서 블랙이라는 바텐더에 의해 발명되었다고 한다.[7][8]

이 칵테일에 대한 가장 초창기 기록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1884년 찰리 폴의 ''아메리칸 앤드 아더 드링크스''와 O.H. 바이런의 ''더 모던 바텐더스 가이드''에서 찾아볼 수 있다. 폴은 "앙고스투라 비터 3~4 방울, 일반 시럽도 같은 양; 베르무트 반 잔, 스카치 위스키 반 잔"을 넣고 레몬으로 장식한다고 설명했다.[9] 바이런은 프랑스 베르무트와 이탈리아 베르무트를 사용한 두 가지 버전을 설명했다.[10]
  • 1891년에 출판된 윌리엄 슈미트의 ''더 플로잉 볼''에는 검 시럽 2 대시, 비터 2 대시, 압생트 1 대시, 위스키 2/3 부분, 베르무트 1/3 부분이 포함된 음료에 대한 설명이 있다.[11]
  • V. 엘리엇과 P. 스트롱의 ''셰이크 '엠 업!''에서 "테네시 칵테일"로 나열되어 있다: "위스키 2 부분, 이탈리아 베르무트 1 부분, 비터 1 대시를 얼음 위에 붓고 힘차게 젓는다."[12]

2. 3. 레시피의 변천

이 칵테일은 1870년대 중반 뉴욕의 맨해튼 클럽에서 제니 제롬(윈스턴 처칠의 어머니)이 새뮤얼 J. 틸든 대통령 후보를 위해 연 연회에서 아이언 마샬이 만들었다는 설이 널리 알려져 있다.[4][5] 이 연회의 성공으로 칵테일이 유행했고, 사람들은 이 칵테일이 유래된 클럽 이름을 따서 "''맨해튼'' 칵테일"이라고 부르게 되었다.[4][5] 그러나 레이디 랜돌프는 당시 프랑스에 있었고 임신 중이었기 때문에 이 이야기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6]

하지만 "맨해튼"이라는 이름으로 맨해튼 지역에서 제공된 비슷한 칵테일 레시피에 대한 이전 기록들이 있다.[5] 1860년대 브로드웨이와 휴스턴 스트리트 근처 술집에서 블랙이라는 바텐더가 발명했다는 설도 있다.[7][8]

초창기 기록 중 일부는 1884년 찰리 폴의 ''아메리칸 앤드 아더 드링크스''와 O.H. 바이런의 ''더 모던 바텐더스 가이드''에서 찾을 수 있다. 폴은 "앙고스투라 비터 3~4 방울, 일반 시럽도 같은 양; 베르무트 반 잔, 스카치 위스키 반 잔"을 넣고 레몬으로 장식한다고 설명했다.[9] 바이런은 프랑스 베르무트와 이탈리아 베르무트를 사용한 두 가지 버전을 설명했다.[10] 1891년 윌리엄 슈미트의 ''더 플로잉 볼''에는 검 시럽 2 대시, 비터 2 대시, 압생트 1 대시, 위스키 2/3 부분, 베르무트 1/3 부분이 들어간 음료가 설명되어 있다.[11]

V. 엘리엇과 P. 스트롱의 ''셰이크 '엠 업!''에는 "테네시 칵테일"이라는 이름으로 "위스키 2 부분, 이탈리아 베르무트 1 부분, 비터 1 대시를 얼음 위에 붓고 힘차게 젓는다"라는 레시피가 있다.[12]

금주법 시대(1920–1933)에는 캐나다 위스키가 주로 사용되었는데, 구하기 쉬웠기 때문이다.[13]

Winter의 저서에서는 베르무트 종류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Byron의 저작에는 스위트 베르무트를 사용하는 레시피가 "맨해튼 No.2", 드라이 베르무트를 사용하는 레시피가 "맨해튼 No.1"으로 기재되어 있고, 위스키와 베르무트 비율은 같다. 토마스의 저서에는 스위트 베르무트를 사용하고, 위스키와 베르무트 비율은 1:2로 베르무트가 더 많다.

「양주 조제법」에는 위스키와 스위트 베르무트 비율이 같고, 오렌지 비터스를 사용하며, 압생트나 검 시럽도 첨가한다.

위스키 비율이 베르무트보다 많아지는 레시피는 1919년 『ABC of Mixing Cocktails』(Harry MacElhone|해리 맥켈혼영어 저)에서 처음 등장하며, 라이 위스키와 스위트 베르무트 비율은 2:1이다.

1930년대 이후, 점차 위스키 비율이 높아지는 "드라이화"가 진행되었다.

1957년 일본 칵테일 북 『양주 스트레이트에서 칵테일까지』(사토 코우카 저, 다비드사)에는 "맨해튼 칵테일"로 드라이 베르무트를 지정하고, 아몬드 풍미의 리큐어인 Crème de Noyaux|크렘 드 노와요영어를 더하는 레시피가 있다. 스위트 베르무트를 사용하는 레시피는 "스위트 맨해튼"으로 따로 있어, 1950년대 일본에서는 "맨해튼" 레시피 정의가 확고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국제 바텐더 협회(IBA)의 레시피는 다음과 같다.

재료만드는 법



드라이 마티니처럼 재료 비율 차이 등 다양한 변형이 있으며, 특히 미국에서는 자신만의 레시피를 가진 사람도 많다.

3. 종류 및 변형

샴페인 잔에 담긴 맨해튼


맨해튼은 매우 다양한 종류와 변형이 있다. IBA 공식 레시피는 호밀 위스키 50ml, 스위트 베르무트 20ml, 앙고스투라 비터스 1dash를 얼음과 함께 믹싱 글라스에 섞어 칵테일 글라스에 따른 후, 마라스키노 체리로 장식하는 것이다.

드라이 마티니처럼, 맨해튼은 각 재료의 비율을 변경하거나, 재료가 되는 술을 바꾸거나 추가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할 수 있다.

3. 1. 기본 변형

전통적으로 맨해튼은 미국 호밀 위스키로 만들어졌지만, 버번이나 캐나디안 위스키로 만들 수도 있다. 맨해튼은 많은 변형과 혁신을 거쳐왔으며, 최고의 바텐더들이 자신의 창의성을 뽐내는 방식이 되기도 한다.[7] 어떤 사람들은 젓는 대신 칵테일 셰이커에 얼음과 함께 재료를 흔들어 음료 표면에 거품을 만든다. 앙고스투라는 클래식 비터스이지만, 오렌지 비터스나 페이쇼 비터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어떤 사람들은 자체적으로 비터스와 시럽을 만들거나, 소화제를 베르무트 대신 사용하거나, 현지산 또는 희귀한 위스키를 전문적으로 사용하거나, 다른 이국적인 재료를 사용하기도 한다.[7] 레몬 껍질이 고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단맛과 색상을 더하기 위해 체리 병에서 나온 주스나 마라스키노 리큐어를 칵테일에 첨가한다.

원래 비터스는 칵테일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간주되었으며, 칵테일과 슬링을 구별하는 재료였다.[16]

다음은 클래식 맨해튼의 다른 변형이다.

  • 블랙 맨해튼 – 베르무트를 아베르나 아마로로 대체하고, 오렌지 비터스 한 방울을 (앙고스투라 비터스 한 방울 외에) 추가한다. 2005년 샌프란시스코 바 Bourbon & Branch의 바텐더 Todd Smith가 만들었다.[17][18]
  • 블론드 맨해튼 – 문샤인 2온스, 스위트 베르무트 1온스, 오렌지 리큐어 0.5온스, 오렌지 비터스 3방울로 만든다.[19]
  • 브랜디 맨해튼 – 위스키 대신 브랜디로 만들며, 위스콘신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20]
  • 쿠반 맨해튼 – 주 재료로 다크 럼을 사용하는 퍼펙트 맨해튼(아래 참조).[21]
  • 딘 리더 – 퍼펙트 맨해튼을 변형한 것으로, 오렌지 비터스와 제스트를 사용하여 '크고 대담한 특징'을 부여한다. UCLA 간호대학 학장인 Courtney Lyder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2]
  • 드라이 맨해튼 – 스위트 베르무트 대신 드라이 베르무트로 만들며, 일반적으로 칵테일의 단맛을 줄이는 전체적인 원칙에 따라 마라스키노 체리를 트위스트로 대체한다. 드라이 베르무트로 만들지만 트위스트 대신 체리를 유지하는 맨해튼은 때때로 "하프 드라이 맨해튼"으로 알려지지만, 이 이름은 스위트 베르무트와 드라이 베르무트가 같은 양으로 구성된 베르무트 양을 가진 퍼펙트 맨해튼과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7]
  • 판치울리 – 페르넷-브란카의 쓴맛을 더한다.[23]
  • 제4연대위스키베르무트를 1:1 비율로 사용하고, 오렌지 비터스, 셀러리 비터스, 페이쇼 비터스의 세 가지 다른 비터스를 각각 세 방울씩 사용하는 클래식(약 1889년) 칵테일.[24]
  • 메트로폴리탄 – 브랜디 맨해튼과 유사하지만, 브랜디베르무트의 비율이 3:1이고 단순 시럽 한 방울이 들어간다.[25]
  • 퍼펙트 맨해튼 – 스위트와 드라이 베르무트를 같은 비율로 만든다.[7]
  • 롭 로이 – 스코틀랜드 위스키로 만든다.[26]
  • 맨해튼 프로젝트 - 표준 맨해튼에 체리 브랜디 1/2온스를 추가한다.


다음은 기타 맨해튼의 변형이다.

  • 로브 로이 : 라이 위스키를 스코치 위스키로 변경한다.
  • 진 앤드 잇 : 라이 위스키를 으로 변경한다. 맨해튼 쪽을 진 앤드 잇의 바리에이션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 스위트 맨해튼: 오렌지 큐라소를 추가한다.
  • 드라이 맨해튼[27]: 스위트 베르무트를 드라이 베르무트로 변경한다. 장식은 녹색 민트 체리 또는 올리브를 사용한다.
  • 퍼펙트 맨해튼: 미디엄 맨해튼이라고도 한다. 스위트 베르무트와 드라이 베르무트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한다. 앙고스투라 비터스를 사용하지 않고 레몬 껍질을 짜 넣기도 한다.
  • 브루클린 : 스위트 베르무트를 드라이 베르무트로 변경하고, 비터스의 일종인 피콩(Picon)을 추가한다.
  • 리멤버 더 메인: 체리 브랜디와 압생트를 추가한다.
  • 럼 맨해튼: 라이 위스키를 럼주로 변경한다.
  • 캐롤[28]: 라이 위스키를 브랜디로 변경하고, 스위트 베르무트를 뺀다.
  • 티퍼레리: 라이 위스키를 아이리시 위스키로 변경한다.

3. 2. 기타 변형

맨해튼은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며, 바텐더들은 자신만의 창의성을 발휘하여 새로운 맨해튼을 만들어내기도 한다.[7] 기본적인 맨해튼의 제조법에서 재료의 비율을 바꾸거나, 특정 재료를 다른 종류의 술로 대체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이 이루어진다.

클래식 맨해튼의 주요 변형
이름설명
블랙 맨해튼 (Black Manhattan)베르무트 대신 아베르나 아마로를 사용하고, 앙고스투라 비터스 외에 오렌지 비터스 한 방울을 추가한다. 2005년 샌프란시스코의 바 Bourbon & Branch의 바텐더 Todd Smith가 개발했다.[17][18]
블론드 맨해튼 (Blonde Manhattan)문샤인 2온스, 스위트 베르무트 1온스, 오렌지 리큐어 0.5온스, 오렌지 비터스 3방울을 사용한다.[19]
브랜디 맨해튼 (Brandy Manhattan)위스키 대신 브랜디를 사용하며, 위스콘신에서 특히 인기가 많다.[20]
쿠반 맨해튼 (Cuban Manhattan)다크 럼을 주재료로 사용하는 퍼펙트 맨해튼이다.[21]
딘 리더 (Dean Lyder)퍼펙트 맨해튼의 변형으로, 오렌지 비터스와 제스트를 사용하여 크고 대담한 특징을 부여한다. UCLA 간호대학 학장인 Courtney Lyder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22]
드라이 맨해튼 (Dry Manhattan)스위트 베르무트 대신 드라이 베르무트를 사용하며, 마라스키노 체리 대신 트위스트를 사용하여 단맛을 줄인다. 드라이 베르무트를 사용하지만 트위스트 대신 체리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하프 드라이 맨해튼"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스위트 베르무트와 드라이 베르무트를 같은 양으로 사용하는 퍼펙트 맨해튼과 혼동될 수 있다.[7]
판치울리 (Panchouli)페르넷-브란카의 쓴맛을 더한다.[23]
제4연대 (Fourth Regiment)위스키베르무트를 1:1 비율로 섞고, 오렌지 비터스, 셀러리 비터스, 페이쇼 비터스 세 가지 비터스를 각각 세 방울씩 넣는 클래식 (약 1889년) 칵테일이다.[24]
메트로폴리탄 (Metropolitan)브랜디 맨해튼과 유사하지만, 브랜디베르무트의 비율이 3:1이며, 단순 시럽 한 방울을 추가한다.[25]
퍼펙트 맨해튼 (Perfect Manhattan)스위트 베르무트와 드라이 베르무트를 같은 비율로 사용한다.[7]
롭 로이 (Rob Roy)스코치 위스키를 사용한다.[7]
맨해튼 프로젝트 (Manhattan Project)표준 맨해튼에 체리 브랜디 1/2온스를 첨가한다.[26]



그 외 맨해튼 변형
이름설명
로브 로이라이 위스키를 스코치 위스키로 변경한다.
진 앤드 잇라이 위스키를 으로 변경한다. 맨해튼을 진 앤드 잇의 변형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스위트 맨해튼오렌지 큐라소를 추가한다.
드라이 맨해튼스위트 베르무트를 드라이 베르무트로 변경하고, 녹색 민트 체리 또는 올리브로 장식한다.[27]
퍼펙트 맨해튼미디엄 맨해튼이라고도 불리며, 스위트 베르무트와 드라이 베르무트를 모두 사용한다. 앙고스투라 비터스를 사용하지 않고 레몬 껍질을 짜 넣기도 한다.
브루클린스위트 베르무트를 드라이 베르무트로 변경하고, 비터스를 추가한다.
리멤버 더 메인체리 브랜디와 압생트를 추가한다.
럼 맨해튼라이 위스키를 럼주로 변경한다.
캐롤라이 위스키를 브랜디로 변경하고, 스위트 베르무트를 뺀다.[28]
티퍼레리라이 위스키를 아이리시 위스키로 변경한다.


4. 전통

북프리지아 제도의 작은 섬인 푀르 섬에서는 맨해튼 칵테일이 거의 모든 카페, 레스토랑 및 현지인들의 "모임"에서 표준 음료이다. 푀르 섬의 많은 사람들이 원양 어업 여행 중에 맨해튼으로 이주하여 이 음료를 좋아하게 되었고 다시 푀르 섬으로 가져왔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 음료는 일반적으로 베르무트 1 부분과 위스키 2 부분을 섞고 비터를 약간 넣어서 얼음처럼 차갑게 얼음이 든 차가운 잔에 담거나 얼음과 체리 장식으로 제공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Recipe for a Manhattan Cocktail http://entertaining.[...] 2016-03-03
[2] 웹사이트 Recipe for a classic Manhattan Cocktail http://mybestcocktai[...]
[3] 웹사이트 The Brooklyn Cocktail Recipe https://www.seriouse[...] 2020-05-26
[4] 웹사이트 Holiday Cocktail Party http://www.cocktailt[...]
[5] 뉴스 Patrick Murphy's The Barman's Corner http://listserv.ling[...] American Dialect Society 2000-10-28
[6] 서적 My Early Life
[7] 뉴스 The Manhattan project: A bartender spills his secrets on the king of cocktails http://www.sfgate.co[...] San Francisco Chronicle 2007-09-21
[8] 서적 The joy of mixology Clarkson Potter 2003
[9] 서적 American and other Drinks 1884
[10] 서적 The Modern Bartender's Guide: or Fancy Drinks and How to Mix Them 1884
[11] 서적 The Flowing Bowl: When and What to Drink 1891
[12] 서적 Shake 'em Up! 1930
[13] 웹사이트 Manhattan http://www.barmixmas[...] 2020-05-26
[14] 뉴스 "Nachhilfe-Unterricht in Sachen Biike-Grünkohl" Insel Bote 2010-02-23
[15] 뉴스 Föhr: The German island obsessed with Manhattan https://www.bbc.com/[...] BBC 2020-02-26
[16] 뉴스 The Origin of Cocktails http://www.post-gaze[...] 2006-05-12
[17] 웹사이트 Black Manhattan https://www.liquor.c[...] 2021-05-10
[18] 웹사이트 Black Manhattan Recipe https://imbibemagazi[...] 2016-05-31
[19] Youtube Between the Sheets: Taliesin Jaffe https://www.youtube.[...] 2020-05-26
[20] 웹사이트 Cheers! Wisconsinites are the top consumers of brandy in the U.S. http://onmilwaukee.c[...] 2020-03-06
[21] 웹사이트 Manhattan http://greatcocktail[...] Great Cocktails 2007-10-22
[22] 뉴스 The Lyder Side of Westwood http://magazine.ucla[...] UCLA Magazine 2013-04-01
[23] 웹사이트 Fanciulli Manhattan Recipe https://cooking.nyti[...] 2020-05-06
[24] 웹사이트 How to make the Fourth Regiment Cocktail – The Cocktail Spirit with Robert Hess http://www.smallscre[...]
[25] 뉴스 In a League of Their Own: The Ivy League, That Is https://www.wsj.com/[...] 2007-09-08
[26] 서적 The IPCRESS File 1962
[27] 웹사이트 ドライ・マンハッタン レシピ https://cocktailreci[...] 2022-11-13
[28] 웹사이트 キャロル レシピ https://cocktailreci[...] 2022-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