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남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예남성은 사회에서 남성이 수행하는 역할과 특성을 받아들이고 내면화하는 여성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고대 이집트의 하트셉수트 여왕과 같이 역사적으로 여성 통치자가 파라오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남성적인 모습을 취한 사례가 있으며, 철기 시대 유럽에서는 전쟁으로 인한 남성 부족 현상으로 인해 여성들이 사회적, 군사적 권력을 행사하며 명예남성 역할을 수행했다. 현대 사회에서 명예남성은 특권을 유지하기 위해 여성성을 줄이고 남성적인 영역에 동화되려는 경향을 보이며, 정치, 군대, 학계,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난다. 여성은 종종 "이중 구속"에 직면하여 남성적 자질과 여성적 자질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야 하며, 이는 알바니아의 맹세 처녀와 같이 젠더 표현을 통해 극복하려는 시도로 이어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권제 - 총대주교
총대주교는 기독교 고위 성직자의 칭호로, 초대 교회의 5대 총대주교에서 시작되었으며, 동방 정교회, 가톨릭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등 다양한 교파에서 각기 다른 의미와 역할을 가진다. - 부권제 - 부계제
부계제는 아버지에서 아들로 이어지는 혈통을 중심으로 사회적 관계, 권리, 의무가 결정되는 사회 체계이며, 역사적으로 왕위 계승, 성씨, 재산 상속 등 다양한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 여성학 - 여성주의
여성주의는 성차별적 사회 구조 비판을 토대로 여성의 권리 및 사회적 평등을 지향하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성 평등을 추구하는 이론이자 사회 운동이다. - 여성학 - 백래시 (사회학)
백래시는 사회적 변화에 대한 반발 현상으로, 역사적으로 짐 크로 법, 평등권 수정 헌법안 반대, 젠더 백래시 운동 등이 있었으며, 현대에는 미투 운동, 성소수자 권리, 흑인 생명도 소중하다 운동, 자전거 이용 확대 등에 대한 반발이 나타나 사회적 갈등 심화, 논쟁, 소송 등을 야기한다. - 사회 특권 - 화이트리스트
화이트리스트는 특정 대상만 허용하고 나머지는 차단하는 접근 제어 목록으로, 정보보안, 무역,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목록 선정 기준의 불명확성, 사회적 문제점 등의 위험성으로 투명하고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 - 사회 특권 - 현상 유지 편향
현상 유지 편향은 손실 회피, 보유 효과, 인지적 제약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현재 상태를 선호하고 변화를 꺼리는 심리적 경향을 말하며, 개인의 의사 결정은 물론 사회, 경제, 정치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 명예남성 | |
|---|---|
| 명예 남성 | |
| 정의 | 여성에게 남성의 지위를 부여하지만, 기존의 가부장적 질서를 바꾸지는 않는 현상. |
| 특징 | |
| 가부장제 유지 | 명예 남성은 가부장제 사회의 틀 안에서 여성에게 제한적인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근본적인 성별 불평등 해소와는 거리가 멂. |
| 역할 | 사회의 특정 영역(정치, 경제, 문화 등)에서 여성의 참여를 장려하고 인정하는 척하지만, 실제로는 남성 중심의 권력 구조를 강화하는 데 기여. |
| 맥락 | 고대 이집트: 여성 파라오의 통치. 유럽의 군주: 여성 통치자의 권위 인정. |
| 한계 | 진정한 성 평등 실현에 기여 X. 여성의 사회적 진출을 제한하는 장벽으로 작용. |
2. 역사
'명예남성'은 자신이 속한 남성 중심 사회의 가치관과 관행을 받아들이고 내면화하여 따르는 여성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여성들은 때때로 기존의 가부장제적 질서를 유지하거나 강화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24] 역사적으로 남성 중심 사회에서 권력을 행사한 여성들의 사례가 존재하지만[21][23], 이 개념은 주로 근현대의 사회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작가이자 학자인 캐롤라인 하일브란은 1988년 저서 《"특권적인" 여성의 비자서전: 잉글랜드와 미국》에서 자신이 '특권적인'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일반적인 여성의 역할에서 벗어나야 했으며, 이 과정에서 가정이라는 속박 대신 남성 중심 영역이라는 또 다른 형태의 속박을 받아들였다고 술회했다.[26]
잠비아의 여성 운동가 사라 롱웨는 정치계의 남성 지배 속에서 성공한 일부 여성들이 "여성이 이미 평등하다고 믿도록 교육받은 퀸 비(Queen Bee)"와 같다고 지적하며, 이를 마거릿 대처의 이름을 빌려 '대처 증후군'이라고 명명했다. 롱웨는 이런 여성들이 다른 여성의 권익 신장보다는 남성들 사이에서 자신의 우월한 지위를 유지하는 데 더 관심이 있다고 비판했다.[27]
작가 마거릿 애트우드는 1972년 문학 비평계의 경향을 분석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남성의 책이 칭찬받을 경우, 과도한 남성성의 형용사가 사용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작가는 초남성적이었다. 중상모략을 할 때는 불쌍한 남자는 킬러 쿠치의 "여성적" 형용사를 할당받는다. 여성 작가가 작품을 잘 쓰지 못할 경우, 여성 작가는 여성보다 여성적이라고 자주 언급되고, 칭찬을 받을 경우, 그녀는 "성별을 초월하여" (인용), 비여성 또는 명예 남성의 지위로 격상된다. "그녀는 남자처럼 생각한다"는 칭찬이었다[28]。"
소설가 어슐러 K. 르 귄은 한 인터뷰에서 "나는 '여성에 의한 노턴 문학 앤솔로지'를 표지부터 뒷표지까지 읽었다. 그것은 나에게 성경과 같았다. 명예 남성처럼 쓸 필요가 없다는 것을 가르쳐주었다. 나는 여성처럼 쓸 수 있었고, 그렇게 함으로써 해방감을 느낄 수 있었다"고 말하며, 여성 작가로서의 정체성을 찾는 과정에서 '명예남성'의 압박을 인식했음을 보여주었다.[29]
이러한 현상은 학계나 군대와 같은 현대 사회의 여러 영역에서도 관찰된다. 영국 러프버러 대학교의 바바라 바기홀은 남성 중심 분야에서 성공한 여성들이 여성 동료들과 거리를 두어야 한다고 느끼는 경향이 있음을 연구를 통해 밝혔다.[30] 군대에서도 여성들은 남성 동료들에게 받아들여지고 성공했다고 여겨지기 위해서는 "남성 중 한 명"이 되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끼며, 그렇지 않을 경우 성별에 기반한 조롱에 직면하거나 심지어 군 경력이 단절되기도 한다.[31] 페미니스트 이론가 신시아 엔로는 본질적으로 폭력적이고 초남성적인 특징을 가진 군대 제도는 교육이나 비즈니스 제도와는 다르며, 이러한 환경은 여성에게 매우 해로울 수 있어 여성이 완전히 동화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32]
2. 1. 고대 이집트
하트셉수트 여왕은 소베크네페루 이후 고대 이집트의 첫 번째 여성 통치자로서 완전한 파라오의 역할을 수행했다. 신왕국 시대에 통치한 하트셉수트는 자신을 남성 통치자로 묘사하고 주장했다. 그녀의 미술 작품과 조각상에서 그녀는 전통적인 파라오 머리 장식, 킬트, 그리고 왕권의 상징인 가짜 수염을 착용한 모습으로 그려졌다. 그녀의 가슴은 작고 눈에 띄지 않게 처리되었으며, 어깨는 넓고 남성적으로 표현되었다.[2] 하트셉수트는 여러 건축 프로젝트와 군사 원정을 수행했으며, 이집트를 평화와 번영의 시대로 이끌었다.하트셉수트의 통치가 당시 여성의 지위를 향상시켰는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고대 이집트의 여성들은 자신의 직업을 결정하고, 원하는 사람과 결혼하며, 자신에게 유리한 혼전 계약을 맺고, 남편과 이혼할 수 있었다. 또한 부동산을 소유하고, 성직자가 될 수 있었으며, 피임과 낙태에 대한 접근성도 가지고 있었다. 이 시대 이집트 여성은 다른 국가의 여성들보다 더 높은 지위를 누렸으며, 이는 4세기 기독교의 부상과 7세기 이슬람교의 부상 이후 수 세기 동안의 이집트 여성들보다도 높은 수준이었다.[3]
2. 2. 철기 시대 유럽
기원전 450년에서 기원전 380년 사이 서유럽의 라텐 문화 시기 여성 매장지에서는 일부 여성들이 엘리트 지위를 가졌음을 보여준다. 이 시기 중부 독일과 남부 독일의 엘리트 지위를 나타내는 부장품들은 이전 시대에서 발견된 권력의 상징들과 유사했다. 이전 할슈타트 문화(기원전 750년~기원전 450년)의 상류층 무덤에서는 금 목걸이, 청동 단검, 청동 술잔, 네 바퀴 마차 등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주로 남성 엘리트의 소유물이었다. 예를 들어 1970년에 발굴된 호흐도르프 (비베라흐) 지역의 무덤 유적지에서는 할슈타트 시대 이전과 할슈타트 시대 동안 엘리트 남성의 매장품만 발견되었다.그러나 기원전 480년경부터 엘리트 남성 무덤의 수가 줄어들기 시작했고, 그 자리를 엘리트 여성 무덤이 차지하게 되었다. 이 시기 높은 지위의 매장 형태가 남성 중심에서 여성 중심으로 전환된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으로는 전쟁으로 인한 남성들의 대규모 이주가 거론되며, 이로 인해 여성들이 기존에 남성들이 주로 수행하던 사회적 역할을 맡게 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유럽의 켈트 지역에서도 비슷한 인구 구조의 변화가 나타났다. 철기 시대 대부분의 켈트 사회는 농업을 기반으로 했으며, 토지를 소유한 지배 계급이 사회를 주도했다. 이 지배 계급은 동시에 군사 엘리트 역할도 수행했다. 중세 스코틀랜드의 전쟁과 같이 전쟁이 빈번해지면서 여성들이 토지 소유와 권력의 역할을 맡는 경우가 늘어났다. 토지를 소유한 여성들은 많은 양의 술과 음식을 동원하여 경쟁적인 대규모 연회를 열었는데, 연회의 수준은 주최자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보여주는 척도였다. 연회에 사용된 도구, 복장, 진행 방식 등은 당시의 법과 가치관에도 영향을 미쳤다. 성공적인 연회 주최자의 높은 지위를 상징하는 금 목걸이가 여성의 무덤에서 발견되는 것은, 여성들이 전통적으로 남성들이 주도했던 사회적 관행을 이어받았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이 권력의 자리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은 단순히 남성의 부재 때문만이 아니라, 남성 인구 자체가 감소했기 때문일 수 있다. 《"명예 남성" 또는 실체적인 여성? 철기 시대 유럽에서의 젠더, 지위, 권력》의 저자 베티나 아놀드(Bettina Arnold)는 무덤에 대한 고고학적 분석을 통해 일부 여성들이 사회경제적 권력과 군사적 권력의 상징물 모두와 함께 매장되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들이 '명예 남성'으로 간주되었음을 시사한다[23].
2. 3. 1900년대 이전

앨리슨 하이쉬는 저서 《엘리자베스 1세 여왕과 가부장제의 지속》(Queen Elizabeth I and the Persistence of Patriarchy)에서 '명예남성'을 자신이 활동하는 남성 중심 사회의 가치와 관행을 받아들이고 내면화하여 따르는 여성으로 설명한다. 하이쉬에 따르면, 명예남성은 가부장제적 질서를 바꾸기보다는 오히려 지지하는 경향이 있다.[5]
하이쉬는 이러한 명예남성의 대표적인 예로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을 든다. 엘리자베스 1세는 강력한 군주였지만, 그의 통치가 당시 잉글랜드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키는 데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것이다. 또한, 작가 거트루드 스타인이 살롱에 앉아 시가를 피우며 남성들과 어울렸던 사례도 언급한다. 스타인의 행동은 남성들이 저녁 식사 후 시가를 피우며 대화하는 기존의 관행에 일시적인 변화를 주었을 뿐, 그 관행 자체를 영구적으로 바꾸지는 못했다.[5] 스타인은 다른 여성들과는 다른 '예외적인 존재'로 여겨졌으며, 이는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편지에서 "거트루드 스타인과 나는 마치 형제와 같다"고 언급한 데서도 드러난다.[6]
3. 현대 사회의 명예 남성
현대 사회에서 여성이 남성 중심의 사회 구조에 편입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명예남성' 현상은 여러 학자에 의해 분석되었다. 캐롤린 하일브룬은 명예남성이 자신의 특권적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다른 여성들과 거리를 두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7][26] 또한 Sara Hlupekile Longwe|사라 흘루페킬레 롱웨영어는 이러한 여성을 여왕벌에 비유하며, 이들이 다른 여성의 권익 신장보다는 남성 사회 내에서 자신의 예외적 지위를 유지하려 한다고 분석하고 이를 '마거릿 대처 증후군'이라 명명했다.[8][27] 명예남성 현상은 정치, 학계, 군대, 문학 등 현대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관찰되며, 각 영역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양상과 문제점들이 논의되고 있다.[11][30][12][31][9][28]
3. 1. 특징
캐롤린 하일브룬은 1988년 저서 "특권 여성의 비자서전: 잉글랜드와 미국"에서, 명예남성은 자신의 "특권" 지위를 지키기 위해 일반 여성들과 거리를 두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들은 가정이라는 영역에서의 구속을 남성 중심 영역에서의 또 다른 형태의 구속으로 바꾸는 셈이다.[7][26]1998년, 잠비아와 미국의 정치 영역에서 나타나는 남성 지배를 비교하며 Sara Hlupekile Longwe|사라 흘루페킬레 롱웨eng는 명예남성을 종종 "여성들이 이미 평등을 누리고 있다고 믿도록 교육받은" 여왕벌에 비유하고, 이를 마거릿 대처 증후군이라고 명명했다. 롱웨는 이런 여성들이 다른 여성들의 권익 신장보다는 남성들 사이에서 자신의 특별한 지위를 유지하는 데 더 관심을 갖는다고 주장했다.[8][27]
마거릿 애트우드는 1972년에 진행된 서평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경향을 지적했다.
: 남성의 책이 칭찬받을 때는 과장된 남성적 형용사가 사용되고 작가는 초남성으로 묘사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비판받을 때는 여성적인 형용사가 사용된다. 여성 작가의 작품이 만족스럽지 못하면 더욱 여성적이라고 평가받고, 칭찬받을 때는 "성별을 초월했다"며 비여성, 즉 명예남성의 지위로 격상된다. "그녀는 남자처럼 생각한다"는 말이 칭찬으로 여겨졌다.[9][28]
어슐러 K. 르 귄은 한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나는 ''Norton Anthology of Literature by Women|노턴 여성 문학 선집eng''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었다. 그것은 내게 성경과 같았다. 더 이상 명예남성처럼 글을 쓸 필요가 없다는 것, 여성으로서 자유롭게 글을 쓸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10][29]
이러한 현상은 학계에서도 관찰된다. 러프버러 대학교 여성학 석사 과정 연구 책임자인 바바라 바기홀은 남성 중심적인 분야에서 성공하기 위해 여성 연구자들이 여성 동료들과 거리를 둘 필요성을 느낀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11][30]
군대에 속한 여성들 역시 비슷한 문제에 직면한다. 이라크 전쟁과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여성에게 전투 역할이 허용되었지만, 군대 내에서 여성들이 인정받고 성공적인 구성원으로 여겨지기 위해서는 종종 "남자들 중 하나"처럼 행동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낀다. 그렇지 않으면 성적인 조롱이나 성차별적 발언에 시달리게 되며, 심한 경우 군 경력을 포기하게 만들기도 한다.[12][31] 페미니스트 이론가 신시아 엔로는 군대라는 조직 자체가 본질적으로 폭력적이며 과잉 남성성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교육이나 비즈니스 분야와는 비교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엔로는 이러한 환경이 여성에게 매우 해로워 완전한 동화가 어렵다고 지적했다.[13][32]
3. 2. 정치
캐롤린 하일브룬은 1988년 저서에서 명예남성은 자신의 "특권" 지위를 지키기 위해 일반 여성들과 거리를 두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여성이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가정 영역)에서 벗어나 남성 중심의 영역에 속하게 되지만, 결국 다른 형태의 제약에 놓이는 것을 의미한다.[7][26]사라 흘루페킬레 롱웨는 1998년 잠비아와 미국의 정치 영역에서 나타나는 남성 지배 구조를 비교하며 명예남성을 분석했다. 그는 명예남성이 종종 "여성들이 이미 평등을 누리고 있다"고 믿도록 길들여진 여왕벌과 같다고 보았으며, 이를 마거릿 대처의 이름을 따 '대처 증후군'이라고 명명했다. 롱웨는 이러한 여성들이 다른 여성의 권익 신장보다는 남성 사회 내에서 자신의 예외적 지위를 유지하는 데 더 관심을 갖는다고 비판했다.[8][27]
정치 영역에서 여성 후보자나 지도자는 종종 '이중 구속'이라는 이중 잣대에 직면한다. 이들은 남성적인 특성과 여성적인 특성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야 하는 어려움을 겪는다. 즉, 직무에 적합하다는 인정을 받기 위해 남성성을 강조하면서도, 동시에 지나치게 남성적이어서 "강해 보인다"거나 지나치게 여성적이어서 "약해 보인다"는 평가를 피해야 한다. 이 이중 구속을 성공적으로 극복하는 과정에서 여성이 명예남성의 지위를 얻게 되기도 한다.[33]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이러한 이중 구속의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당시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였던 힐러리 클린턴과 공화당 부통령 후보였던 새라 페일린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이중 구속 상황에 대처해야 했다.
힐러리 클린턴은 자신을 강하고 경험 많은 정치인(남성적 특성)이면서 동시에 자상하고 호감 가는 인물(여성적 특성)로 자리매김하려 했다. 클린턴 캠프는 그녀의 워싱턴 D.C.에서의 경력과 정책 전문성을 강조하는 한편, 미국민을 진심으로 아끼는 모습을 보여주려 노력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반 대중과 친근하게 소통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는 한계를 보였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34]
새라 페일린은 스스로를 강인한 정치 아웃사이더이자 평범한 '아이스하키 맘'으로 내세우며 이중 구속을 돌파하려 했다. 그는 기성 정치권을 비판하며 정치 신인으로서의 신선함을 강조했고, 이는 일부 유권자들에게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후보라는 기대를 심어주며 신뢰를 얻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정치 경험 부족과 직무 수행 능력에 대한 의구심을 낳으며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35]
3. 3. 군대
군대에 복무하는 여성들도 비슷한 문제에 직면한다. 이라크 전쟁과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여성에게 전투 역할이 허용되었지만, 군대 내 여성들이 받아들여지고 성공적인 존재로 여겨지기 위해서는 "그들 중 하나(one of the boys)"가 되어야 한다고 느낀다. 그렇지 않으면 성별에 기반한 조롱에 직면하게 되고, 어떤 경우에는 군 경력을 포기하게 된다.[12][31] 페미니스트 이론가 신시아 엔로는 군대라는 제도가 본질적으로 폭력적이고 과잉 남성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교육이나 비즈니스와 비교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녀는 이러한 환경이 여성에게 너무 해로워서 완전히 동화될 수 없다고 말한다.[13][32]3. 4. 학계
이 현상은 학계에서도 나타난다. 영국의 러프버러 대학교에서 여성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바바라 바기홀은 인터뷰한 여성들이 남성 우위 분야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여성 동료들과의 관계를 단절해야 한다고 느끼고 있다는 것을 조사 결과를 통해 밝혔다.[30]3. 5. 문학
마거릿 애트우드는 1972년에 수행된 서평 연구 결과를 통해 문학계의 성차별적 시각을 지적했다. 남성 작가의 책이 칭찬받을 때는 과도한 남성적 형용사가 사용되며 작가는 '초남성'으로 묘사되는 반면, 비판받을 때는 '여성적'이라는 수식어가 붙는 경향이 있었다. 반대로 여성 작가가 좋은 평가를 받으면 "성별을 초월"하여 비여성, 즉 명예남성의 지위로 승격되었으며, "그녀는 남자처럼 생각한다"는 표현이 칭찬으로 사용되었다.[9][28]어슐러 K. 르 귄은 한 인터뷰에서 ''여성 작가의 노턴 선집''을 읽은 경험을 통해 더 이상 명예남성처럼 글을 쓸 필요가 없음을 깨달았다고 밝혔다. 그는 "여성처럼 글을 쓰면서 자유롭게 느낄 수 있다"고 말하며, 여성 작가로서의 정체성을 찾는 과정에서 명예남성이라는 틀에서 벗어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했다.[10][29]
작가이자 명예남성으로 언급되기도 하는 캐롤린 하일브룬은 1988년 저서 『"특권적인" 여성의 비자서전: 잉글랜드와 미국』에서 명예남성은 '특권적'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일반 여성들과 거리를 두어야 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러한 방식으로 여성들이 한 형태의 구속(가정 영역)을 다른 형태의 구속(남성 영역)으로 바꾸는 것이라고 설명했다.[7][26]
앙드레 브링크스는 저서 『세르반테스에서 칼비노까지의 소설, 언어, 그리고 내러티브』[19]에서 문학 작품 속 등장인물의 발화 능력이 권력과의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 그는 『클레브 공작부인』을 예로 들며, "자신의 생각을 때때로 말하는 유일한 여성은 권력의 위치에 있는 사람들(여왕, 왕대비...)인데, 이는 그들이 이러한 위치에서 명예 남성으로 기능하기 때문" (브링크스, 59)이라고 분석했다. 즉, 권력과의 근접성이 명예남성이라는 지위를 부여하고 발언권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탐정 소설 장르에서도 명예남성 현상이 나타난다. 캐슬린 그레고리 클라인은 1988년 저서 『여성 탐정: 성과 장르』에서 전통적으로 남성적인 덕목(신체적 강인함, 논리적 사고 등)을 요구하는 탐정 역할에 여성 캐릭터를 성공적으로 창조하는 어려움을 탐구했다. 글렌우드 아이언스의 『여성 탐정 소설의 페미니즘』을 인용하며, 과거 여성 탐정은 직관과 같은 '여성적 재능'을 발휘하는 아마추어 수준에 머물렀으며 전문적인 탐정 경력은 사실상 금지되었다고 지적했다. 안나 캐서린 그린의 『아멜리아 버터워스 미스터리』에 등장하는 주인공 아멜리아 버터워스는 남성적인 세상에서 활동하는 '명예 남성' 캐릭터의 예시로 언급된다. (아이언스, 3쪽)
앨리슨 하이시는 저서 『여왕 엘리자베스 1세와 가부장제의 영속성』에서 명예남성을 자신이 속한 남성 사회의 가치관과 관행을 내면화하고 따르는 여성으로 정의했다. 그는 이러한 여성들이 가부장제를 전복하기보다는 오히려 지지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하며,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의 통치가 영국 여성의 지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점을 예로 들었다. 또한 작가 거트루드 스타인이 살롱에 앉아 시가를 피우며 남자들과 대화했던 에피소드를 예로 들었다. 스타인의 참여는 남성이 시가를 피우며 그들끼리 이야기하는 저녁 식사 후의 관행을 일시적으로 변경했지만, 그것을 영구적으로 변경하지는 못했다[24]。어니스트 헤밍웨이는 한때 서신에 "거트루드 스타인과 나는 형제와 같다"라고 썼는데, 이는 그녀가 다른 여성과는 다른 예외적인 존재, 즉 명예남성으로 여겨졌음을 보여준다[25]。
4. 이중 구속 (Double Bind)
이중 구속(en: Double Bind)은 주로 여성 후보나 정치 지도자에게 적용되는 이중 잣대를 의미한다. 여성이 이러한 이중 구속을 성공적으로 극복하는 능력은 때때로 명예남성의 지위를 얻는 것과 연결되기도 한다. 여성 정치 지도자는 직무에 적합하다는 인정을 받기 위해 남성적인 자질을 강조하면서도 동시에 여성적인 특성은 줄여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즉, 너무 남성적으로 보여 '강하다'는 평가를 받으면서도, 너무 여성적으로 보여 '약하다'는 평가를 받지 않도록 균형을 잡아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한다. 돌란, 덱먼, 스워스는 저서 《여성과 정치》에서 여성 후보가 남성 중심적인 정치 영역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이중 구속을 성공적으로 헤쳐나가야 한다고 주장한다.[14][33]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힐러리 클린턴과 세라 페일린은 각각 대통령 후보와 부통령 후보로서 독특한 이중 구속 상황에 놓였다. 두 사람 모두 남성적 이미지와 여성적 이미지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야 했으며, 여론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해야 했다. 클린턴은 자신을 강하고 경험 많은(남성적) 인물로 내세우는 동시에, 자비롭고 호감 가는(여성적) 모습을 보여주려 노력했다. 클린턴 캠프는 그녀의 워싱턴 D.C. 경력과 정책 전문성을 강조하는 한편, 미국 국민을 진심으로 걱정하는 따뜻한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했다. 그러나 클린턴은 일반 대중과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었다는 평가를 받는다.[15][34]
반면, 세라 페일린은 자신을 강인한 정치적 아웃사이더이자 동시에 평범한 '하키 맘'으로 포지셔닝하며 이중 구속을 헤쳐나가려 했다. 그녀는 기성 정치인들과 자신을 차별화하며 오바마를 비판했고, 이를 통해 정치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인물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려 했다. 이러한 전략은 일부 유권자들의 신뢰를 얻는 데 도움이 되었다. 하지만 정치 아웃사이더라는 이미지는 오히려 그녀의 실제적인 직무 수행 능력과 자격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키는 역효과를 낳기도 했다.[16][35]
4. 1. 이중 구속의 회피
명예남성과 관련된 이중 구속은 생물학적 성(sex)보다는 사회문화적 젠더와 더 깊은 관련이 있다. 이 때문에 특정 문화권에서는 젠더 표현을 달리하여 이러한 이중 구속 상황을 피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기도 한다.[17][36]대표적인 예로 알바니아의 '부르네샤'(맹세 처녀)를 들 수 있다. 이들은 가부장제 사회에서 남성이 누리는 특권을 얻기 위해 남성으로서의 삶을 선택한다. 즉, 태어날 때는 여성으로 지정되었지만 자신의 이익과 필요에 따라 남성 젠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사진작가 알린 스미스슨(Aline Smithson)은 맹세 처녀와 직접 교류한 인류학자 및 사진가들을 소개하는 기사에서, '맹세 처녀'란 평생 남성의 사회적 정체성을 선택한 발칸 반도의 생물학적 여성을 지칭하는 용어라고 설명했다.[17][36] 수백 년간 이어진 이 전통은 고대 법전인 카눈을 따르며 여성에 대한 억압이 강했던 사회에서 때때로 필요한 선택이었다. 당시 어린 소녀들은 먼 마을의 나이 많은 남성에게 정략결혼을 강요당하는 경우가 흔했다.[17]
맹세 처녀가 됨으로써 이들은 남성에게만 주어졌던 여러 자유를 누릴 수 있게 된다. 자동차 운전, 투표권 행사, 금전 관리, 재산권 소유 등 전통적으로 남성에게만 허용되었던 활동들이 가능해진다.[18][37] 또한, 알바니아와 같은 가부장적 사회에서는 가장인 남성이 갑자기 사라질 경우 가족 전체가 "모든 것을 잃을 위험"[18][37]에 처할 수 있었기에, 맹세 처녀의 존재는 가족의 안정을 유지하는 역할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Women in Ancient Egypt
https://www.worldhis[...]
World History Encyclopedia
2016-11-04
[2]
웹사이트
Mortuary Temple and Large Kneeling Statue of Hatshepsut
http://smarthistory.[...]
Smarthistory
2015-08-09
[3]
웹사이트
Women in Ancient Egypt
https://www.worldhis[...]
World History Encyclopedia
2016-11-04
[4]
간행물
'Honorary males' or women of substance? Gender, status, and power in Iron-Age Europe.
https://www.cambridg[...]
[5]
간행물
Queen Elizabeth I and the Persistence of Patriarchy
[6]
서적
Ernest Hemingway Selected Letters 1917-1961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03
[7]
서적
Public History, Private Stories: Italian Women's Autobiography
https://books.google[...]
U of Minnesota Press
1996
[8]
서적
Gender, Education, and Training
Oxfam
1998
[9]
간행물
Not Just a Pretty Face
1994
[10]
서적
Conversations with Ursula K. Le Guin
https://books.google[...]
Univ. Press of Mississippi
2008
[11]
간행물
Survivors in a male preserve: A study of British women academic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discrimination in a UK university
[12]
간행물
The female combat soldier.
[13]
간행물
Regendering the military: Theorizing women's military participation
https://www.research[...]
[14]
문서
Women And Politics
Rowman & Littlefield
2016
[15]
서적
Women and Politics
Rowman & Littlefield
2016
[16]
서적
Women and Politics
Rowman & Littlefield
2016
[17]
웹사이트
JILL PETERS: SWORN VIRGINS OF ALBANIA AND THE THIRD GENDER
http://lenscratch.co[...]
2013-09-12
[18]
뉴스
Jill Peters: Sworn Virgins of Albania and The Third Gender
http://lenscratch.co[...]
2013-09-12
[19]
서적
The Novel: Language and Narrative from Cervantes to Calvino
https://books.google[...]
Juta and Company Ltd
1998-04-30
[20]
웹사이트
Women in Ancient Egypt
https://www.worldhis[...]
World History Encyclopedia
2016-11-04
[21]
웹사이트
Mortuary Temple and Large Kneeling Statue of Hatshepsut
http://smarthistory.[...]
Smarthistory
2015-08-09
[22]
웹사이트
Women in Ancient Egypt
https://www.worldhis[...]
World History Encyclopedia
2016-11-04
[23]
간행물
'Honorary males' or women of substance? Gender, status, and power in Iron-Age Europe.
https://www.cambridg[...]
[24]
간행물
Queen Elizabeth I and the Persistence of Patriarchy
[25]
서적
Ernest Hemingway Selected Letters 1917-1961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03
[26]
서적
Public History, Private Stories: Italian Women's Autobiography
https://books.google[...]
U of Minnesota Press
1996
[27]
서적
Gender, Education, and Training
Oxfam
1998
[28]
간행물
Not Just a Pretty Face
1994
[29]
서적
Conversations with Ursula K. Le Guin
https://books.google[...]
Univ. Press of Mississippi
2008
[30]
간행물
Survivors in a male preserve: A study of British women academic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discrimination in a UK university
[31]
간행물
The female combat soldier.
[32]
간행물
Regendering the military: Theorizing women's military participation
https://www.research[...]
[33]
문서
Women And Politics
Rowman & Littlefield
2016
[34]
서적
Women and Politics
Rowman & Littlefield
2016
[35]
서적
Women and Politics
Rowman & Littlefield
2016
[36]
웹사이트
JILL PETERS: SWORN VIRGINS OF ALBANIA AND THE THIRD GENDER
http://lenscratch.co[...]
2013-09-12
[37]
뉴스
Jill Peters: Sworn Virgins of Albania and The Third Gender
http://lenscratch.co[...]
2018-12-03
[38]
웹인용
Women in Ancient Egypt
https://www.worldhis[...]
World History Encyclopedia
2016-11-04
[39]
저널
Queen Elizabeth I and the Persistence of Patriarchy
http://www.jstor.org[...]
1980
[40]
서적
Ernest Hemingway Selected Letters 1917-1961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03
[41]
서적
Public History, Private Stories: Italian Women's Autobiography
https://books.google[...]
U of Minnesota Press
1996
[42]
서적
Gender, Education, and Training
https://books.google[...]
Oxfam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