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목골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골조는 수직 및 수평 부재로 구성된 목조 프레임으로, 신석기 시대부터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등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었다. 크럭 프레임, 박스 프레임, 통로식 프레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참나무, 소나무 등 다양한 목재와 엮어 바르기, 벽돌, 돌 등의 충전재를 사용한다. 현대에는 구조용 단열 패널(SIP)을 사용하거나, Huf Haus와 같은 조립식 건물로도 활용된다. 목골조는 빠른 시공, 조립식 건설 적합성, 에너지 효율성, 지진 생존성 등의 장점을 가지지만, 유지 보수 비용이 높고, 기울어짐 현상, 해충 침입 등의 단점도 있다. 한국에서는 전통 한옥과 서양식 목골조 기법을 결합한 건축이 시도되고 있으며,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건축 문화를 확산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세 건축 - 비잔틴 건축
    비잔틴 건축은 4세기부터 15세기까지 동로마 제국에서 발전한 건축 양식으로, 십자형 평면, 돔, 모자이크, 펜던티브, 스킨치 등을 활용하며, 성 소피아 대성당과 같은 대표 건축물들을 통해 서유럽, 이슬람, 동방 정교회 문화권에 영향을 미쳤다.
  • 중세 건축 - 아헨 대성당
    아헨 대성당은 독일 아헨에 있는 샤를마뉴가 건설한 팔각형 건물과 고딕 양식의 건축물로, 샤를마뉴의 묘소이자 30명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가 대관식을 치른 역사적 장소이며, 1978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목골조 - 토핑 아웃
    토핑 아웃은 건축 공사에서 건물의 최고 지점에 도달했을 때 기념하는 의식으로, 고대 종교 의식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건축 방식과 국가에서 마지막 보를 올리거나 지붕을 완성하는 것을 기념한다.
  • 목골조 - 상량식
    상량식은 건축물의 주요 구조 완공 후 마룻대를 올리는 것을 기념하며, 건물 안전과 번영을 기원하는 한국과 일본의 의식이다.
  • 목공 - 천공
    천공은 드릴 비트를 회전시켜 재료에 원형 구멍을 뚫는 가공 공정으로, 잔류 응력 및 균열 발생 방지를 위한 마무리 작업이 필요하며, 다양한 드릴 비트와 특수 목적의 드릴링 공법, 그리고 관련 공정들이 존재한다.
  • 목공 - 마키에
    마키에는 금속 가루를 옻칠로 표면에 입혀 장식하는 일본 전통 칠기 기법이며, 히라마키에, 도기다시마키에, 다카마키에 등의 기법으로 나뉘고, 헤이안 시대에 발전하여 일본 칠기 공예의 독창성을 보여준다.
목골조
개요
퀸들린부르크의 목골조 주택
퀸들린부르크의 목골조 주택
정의목재 프레임으로 뼈대를 구성하고, 그 사이에 다른 재료를 채워 넣어 벽을 만드는 건축 방식
다른 이름하프 팀버링 (Half-timbering)
프레임 하우스 (Framed house)
독일어de
특징
구조수직재, 수평재, 경사재로 구성된 목재 프레임
프레임 사이의 공간은 벽돌, 석재, 진흙, 짚 등으로 채움
장점내구성이 뛰어나고 수명이 김
비교적 짧은 시간에 건설 가능
다양한 디자인 가능
지역 재료 사용 가능
단점화재에 취약함
습기에 약함 (적절한 유지보수 필요)
분포
유럽특히 독일, 영국, 프랑스 등지에서 흔히 볼 수 있음
아시아일본 (木骨造)에서도 유사한 건축 방식이 존재함
역사
기원중세 시대부터 사용된 건축 기법
발전지역별로 다양한 스타일로 발전함
종류
독일식장식적인 목재 프레임이 특징
지역별로 다양한 스타일 존재 (예: 알레마넨식, 프랑켄식, 작센식)
영국식튜더 양식의 주택에서 흔히 볼 수 있음
수직 및 수평 목재 사용
일본식 (木骨造)전통적인 일본 건축 기법
나무 기둥과 보를 사용하여 뼈대를 만들고, 벽은 흙이나 종이 등으로 마감
유지 보수
중요성목재의 부패를 방지하고 건물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중요함
방법정기적인 검사 및 청소
손상된 목재 부품 교체
방수 처리
추가 정보
관련 용어팀버 프레임 (Timber frame): 목골조와 유사하지만, 더 크고 무거운 목재를 사용
코브 (Cob): 흙, 짚, 물 등을 혼합하여 만드는 건축 재료, 목골조 건물에 사용되기도 함

2. 역사

목골조 기법은 신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고대 일본, 유럽 대륙, 잉글랜드, 프랑스, 독일, 스페인, 로마 제국 등 다양한 시대와 지역에서 사용되었다.[20] 특히 참나무와 같은 경목이 풍부한 기후대에서 인기가 있었으며, 발트 국가와 스웨덴 남부가 그 북쪽 지역에 해당한다.[20] 통나무집이 선호되던 러시아, 핀란드, 스웨덴 북부, 노르웨이에서는 목골조가 드물었다.

'목골조'라는 용어는 독일어 Fachwerkde나 프랑스어 colombage프랑스어만큼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이 양식의 표준 영어 이름이다. 메리 마사 셔우드 (1775–1851)는 1823년부터 1829년까지 출판된 ''The Lady of the Manor''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다.[10] 1842년에는 조셉 귈트 (1784–1863)의 ''The Encyclopedia of Architecture''에 목골조가 실렸다.

가장 오래된 목골조 건물은 '오푸스 크라티쿰'(opus craticum)이라고 불리며, 서기 79년 베수비오 산 폭발로 이탈리아 헤르쿨라네움에 매몰되었다. 비트루비우스는 그의 건축 저서에서 '오푸스 크라티쿰'을 엮은 세공으로 채워진 목재 틀로 언급했다.[11]

목골조의 변형: 1층은 통나무, 2층은 골조. 클루지 하우스(Kluge House), 몬태나, 미국


안네 휘데스 가르드, 스벤보르, 덴마크, 1560년


앤 해서웨이의 코티지 in 워릭셔, 잉글랜드: 전형적인 토착 튜더 건축 양식

2. 1. 유럽

유럽의 목골조 건축은 중세 및 초기 근대 시대에 걸쳐 덴마크, 잉글랜드, 독일, 프랑스, 스위스 등 목재가 풍부하고 석재 관련 기술이 부족했던 지역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났다.[20] 반으로 쪼갠 목재를 사용하여 건물의 골조를 만들었으며, 이는 신석기 시대부터 로마 제국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20]

유럽에는 수백 년 된 목골조 구조물, 저택, 성, 집, 여관 등이 많이 남아 있으며, 건축 양식과 건설 기술은 수 세기에 걸쳐 발전해 왔다. 특히 독일의 퀘들린부르크와 첼레와 같이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아름다운 목골조 가옥 도시들이 있다.

2. 1. 1. 영국

영국에서는 이스트 앵글리아[24], 워릭셔[25][26], 우스터셔[27], 헤리퍼드셔[28][29], 슈롭셔[30][31], 체셔[32] 등에서 목골조 건축을 볼 수 있다. 특히 리틀 모턴 홀은 가장 정교한 잉글랜드 목골조 건축물로 손꼽힌다.[33] 켄트와 서섹스[34] 지역의 웨일덴 홀 하우스는 목골조 구조의 대표적인 예시로, 양쪽에 베이가 있고 종종 돌출된 상층이 있는 개방된 로 구성되어 있다.[35]

사우스 요크셔의 셰필드에 있는 가장 오래된 목조 주택인 비숍스 하우스(약 1500년)는 전통적인 목골조 구조를 보여준다.

17세기 초 아메리카 식민지화를 통해 영국 식민지 개척자들과 함께 목골조 건설이 북아메리카로 건너갔다. 플리머스 (매사추세츠)와 제임스타운 (버지니아)와 같은 최초의 잉글랜드 식민지 정착지에는 목조 건물이 있었다.

거의 맞닿아 있는 주택이 늘어선 요크의 더 섐블스 거리는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다.

영국의 역사적인 목조 건축은 지역적인 변이를 보였으며,[36] "동부 학파", "서부 학파", "북부 학파"로 나뉘었다. 동부 학파의 특징은 스터드를 스터드 너비만큼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close studding이다. 서부 학파는 대략 같은 크기의 사각형 패널을 사용하고 마름모 등 다양한 모양을 활용한 장식적 프레이밍을 사용하는 것이다.[37] 북부 학파는 때때로 밑창 빔이 아닌 기초에 닿는 기둥을 사용했다.

2. 1. 2. 프랑스

프랑스에서는 부르주, 투르, 트루아, 루앙, 티에르, 디낭, 등 많은 도시에서 13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지어진 정교한 목골조 주택들을 볼 수 있다.[41] 프로방스코르시카를 제외한 프랑스 전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프랑스에서 목골조는 ''pan de bois프랑스어''로, 반목골조는 ''colombage프랑스어''로 알려져 있다. 알자스는 프랑스에서 목골조 주택이 가장 많은 지역이다.[41]

노르망디 전통은 두 가지 기술을 특징으로 하는데, 골조는 땅에 박거나(''poteau en terre프랑스어'') 연속된 나무 문턱(''poteau de sole프랑스어'')에 고정된, 균등하게 간격을 둔 네 개의 규칙적으로 다듬어진 목재로 만들어졌으며, 상단은 플레이트에 장부 맞춤되었다. 빈 공간은 진흙과 짚, 엮은 울타리와 흙손 바르기, 또는 말총과 석고 등 다양한 재료로 채워졌다.[41]

프랑스 내 목골조 건축물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위치설명
투르프랑스 중부 투르의 반목골조 주택
트루아프랑스 샹파뉴 트루아의 오래된 주택
샬롱엉샹파뉴프랑스 샹파뉴 샬롱엉샹파뉴의 반목골조 주택
드로스네프랑스 샹파뉴 드로스네의 교회
프랑스 브르타뉴 렌의 오래된 주택
루앙프랑스 노르망디 루앙의 14세기 초 내민집
생쉴피스드그랑부빌프랑스 노르망디 생쉴피스드그랑부빌의 15세기 저택
알비프랑스 옥시타니 알비의 16세기 주택
노트르담 대성당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지붕의 골조 (외젠 비올레르 뒤크의 삽화)
랑고네프랑스 브르타뉴 랑고네의 삼위일체 교회


2. 1. 3. 독일

독일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반 목골조 건물을 보유한 국가 중 하나이다. 특히 독일과 알자스(프랑스)에는 전쟁 피해와 현대화를 피하고, 주로 또는 완전히 반 목골조 주택으로 이루어진 작은 마을들이 많다.

독일 목골조 가도(Deutsche Fachwerkstraße|독일 목골조 가도de)는 뛰어난 ''파흐베르크'' 건축물을 가진 마을들을 연결하는 관광 도로이다. 이 길이는 2,000 km 이상이며, 니더작센 주, 작센안할트 주, 헤센 주, 튀링겐 주, 바이에른 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를 거쳐 독일을 통과한다.[14][42]

이 가도에 있는 주요 도시들은 다음과 같다.

도시설명
퀘들린부르크유네스코에 등재된 도시로, 5세기에 걸쳐 1200개 이상의 반 목골조 주택을 보유하고 있다.
고슬라유네스코 등재 도시이다.
하나우-슈타인하임그림 형제의 고향이다.
바트 우라흐
에핑겐1320년에 지어진 반 목골조 교회가 있는 "로맨스 도시"이다.
모스바흐
파이힝겐 안 데어 엔츠인근 유네스코 등재 마울브론 수도원이 있다.
쇼른도르프고틀리프 다임러의 출생지이다.
칼프
첼레
비베라흐 안 데어 리스중세 최대 규모의 단지인 성령 병원과 남부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 중 하나인 브라이트-말리-박물관(1318년 건축)이 있다.



독일 ''파흐베르크'' 건축 양식은 매우 다양하며, 지역별로 특화된 수많은 목공 기술이 존재한다. 건물의 보존과 지역 건축 보존에 관한 독일의 계획 법률은 반 목골조 주택이 인정되기 전에 지역 또는 심지어 도시 특정 디자인에 따라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43][44]

독일의 목골조 건축 양식은 크게 세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 서부 중앙 독일과 프랑코니아: 서부 중앙 독일과 프랑코니아 목골조 주택(특히 중앙 라인과 모젤)의 경우, 창문은 가장 일반적으로 턱받이와 상인방 사이에 위치한다.
  • 북부 독일, 중앙 독일 및 동부 독일:
  • 작센 주와 하르츠 산맥 기슭 주변에서는, 각도 버팀대가 종종 완전히 확장된 삼각형을 형성한다.
  • 니더작센 주 가옥에는 각 기둥마다 장선이 있다.
  • 홀슈타인 파흐베르크 주택은 30cm의 거대한 들보로 유명하다.
  • 슈바벤, 뷔르템베르크, 알자스, 스위스를 포함한 남부 독일과 보헤미안 숲: 슈바벤, 뷔르템베르크, 알자스, 스위스에서는 겹이음의 사용이 벽판과 띠보를 연결하는 가장 초기의 방법으로 여겨지며, 특히 슈바벤과 관련이 있다. 나중에 슈바벤에서 개척된 혁신은 장부맞춤의 사용이었다.


기둥 사이의 간격과 창문의 높은 배치가 특징적이다. 패널은 턱받이, 기둥, 판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창문이 배치된 두 개의 레일이 교차하여 "두 개의 눈이 내다보는" 것과 같다.[43][44]

헤센의 이드슈타인, 독일 목골조 가도에 위치


1417년에 지어진, 모젤 강변에 있는 베른카스텔의 좁은 목골조 주택인 ''Spitzhäuschen''


로스토크 근처에 1887년에 지어진 사냥 별장인 겔벤잔데 성

2. 2. 아시아

일본 목골조는 중국의 목골조(고대 중국 목조 건축)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아시아식 목골조는 서양식 목골조와 상당히 다르며, 기둥-인방 구조를 주로 사용하고 대각선 가새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공사 중인 일본 주택의 벽 프레임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에 서양 건축을 모방한 건축물에 많이 사용되었다. 벽체에는 벽돌이나 오야이시가 사용되었다. 또한 창고 등에는 전통적인 흙 창고 구조에 조적조 벽을 도입한 화양절충 목골조도 사용되었다.[60]

현재 일본에서는 문화재 건축물로 보존·수리되는 한편, 목골조 (목조 축조 공법과 조적조의 조합)가 신축되는 경우는 적다. 목조 축조 공법만으로의 목골조 (팀버 프레임)도 건축 기준법 규정에 따라 가새와 내력벽 설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목조 축조 공법을 재래 축조 공법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극한 내력 계산 등으로 구조 계산을 한 목조 축조 공법에서 구조 내력을 가새나 내력벽으로 부담하지 않는 경우, 전통 공법이라고 불리는 목조 축조 공법으로 건축이 가능하다.

2. 3. 아메리카

1970년대 초, 미국캐나다에서 팀버 프레임 (목골조) 건축이 다시 활발하게 지어지기 시작했다.[60] 이는 Steve Chappell, Jack Sobon, 그리고 Tedd Benson의 연구 성과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미주리, 펜실베이니아, 텍사스에는 독일 정착민들이 지은 목골조 주택들이 남아있다.[41]

3. 구조 및 특징

목골조는 수직 및 수평 부재로 만들어진 단순한 목조 프레임으로, 일반적으로 도리 없이 서까래 지붕을 가진다. 지붕 하중은 외부 벽에 의해 지지된다.[4] 전통적인 목골조는 다양한 접합부를 사용하여 무거운 목재로 프레임을 만드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나무못으로 고정된 장부맞춤 접합부를 사용한다. 대각 가새는 구조적 수직 빔 또는 기둥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14]

세 가지 종류의 충전재가 있는 목골조 벽: 엮어 바르기, 벽돌, 돌. 원래 충전재와 목재를 덮었던 석고 코팅은 대부분 사라졌습니다. 이 건물은 독일 중부 도시인 바트랑겐잘차에 있습니다.


목조 주택
년부터 지어진 목골조 건물이 있는 독일 에르푸르트의 크레머 다리


고대 프랑스 지붕의 접합부; 나무 못은 장부맞춤 접합부를 함께 유지한다.


영국 반목조 마을 연립 주택의 튀어나온 (「돌출된」) 상층부, 돌출부가 명확하게 보인다


이것은 나무못을 넣기 전의 목골조의 일부이다.


현대 목골조 주택의 완성된 프레임


용마루 기둥 프레이밍(왼쪽) 및 층 프레이밍(오른쪽, 돌출부 포함)


영국 런던 홀본에 있는 목조 건물인 스테이플 인


깎거나 켠 목재와 제재된 목재의 가변적인 크기와 모양에 대처하기 위해 두 가지 주요 목공 방법이 사용되었다.

  • 필기 목공술: 12세기부터 19세기까지 유럽 전역에서 사용되었으며, 이후 북아메리카로 수입되어 19세기 초까지 흔하게 사용되었다. 각 목재 조각에 번호(또는 "필기")가 매겨져야 한다.
  • 직각 규칙 목공술: 18세기에 뉴잉글랜드에서 개발되었다. 상호 교환 가능한 가새와 장선을 허용하기 위해 주요 목재에 하우징 조인트를 사용했다.


오늘날 표준화된 목재 크기는 특히 목재가 정밀 컴퓨터 수치 제어 기계로 절단되는 경우 목골조가 결구 산업과 같이 대량 생산 방법에 통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목재는 벌목 도끼를 사용하여 정방형으로 다듬고 광도끼로 표면을 마감했다. 오늘날에는 목재는 더 흔하게 띠톱으로 켜지며, 때로는 4면 모두 기계 대패질을 할 수도 있다.

목골조의 구조 부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목골조 구조 부재
구분부재설명
수직 부재기둥모서리 및 기타 주요 수직재의 주요 지지대
수직 부재벽 스터드프레임 벽의 보조 수직재 (예: 밀집 스터드)
수평 부재썰대 빔지면 썰대 또는 밑창 조각이라고도 하며, 기둥과 스터드가 장부촉을 사용하여 장착되는 벽 바닥
수평 부재노긴 조각채움 패널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을 형성하는 수평 목재
수평 부재벽판목골조 벽 상단에 위치하여 지붕의 트러스장선을 지지
수평 부재 (돌출부)돌출 브레서머위로 돌출된 벽이 놓이는 주요 썰대판 (수평 조각)이 돌출 벽의 전체 너비에 걸쳐 있음
드래곤 빔한 모서리에서 다른 모서리로 대각선으로 뻗어 있고, 위쪽 모서리 기둥을 지지하며 아래쪽 모서리 기둥에 의해 지지
돌출 빔 (장선)위의 바닥 치수를 준수하지만 아래 바닥의 더 짧은 치수를 준수하는 돌출판과 직각을 이룸
돌출판돌출 빔을 지지하도록 설계. 아래 움푹 들어간 바닥의 모서리 기둥에 의해 지지
경사 부재트러스박공지붕의 삼각형 프레임을 형성하는 경사진 목재
버팀대목골조의 수평 또는 수직 부재 사이에 추가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는 경사진 빔
청어뼈 버팀대일반적으로 프레임의 수직 및 수평 방향에 대해 45°로 배치되는 장식적이고 지지적인 프레임 스타일



돌출부(제티)는 이전 층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층부를 말한다. 영국 요크 시의 더 섐블스로 알려진 유명한 거리는 이를 잘 보여주는데, 이곳의 돌출된 집들은 거리 위에서 거의 맞닿을 듯 보인다.

3. 1. 종류

크럭(cruck)은 굽거나 곡선 모양의 목재 한 쌍[3]으로, 벤트(U.S.) 또는 크로스프레임(UK)을 형성하며, 각 목재를 블레이드라고 한다. 영국에서 4,000개 이상의 크럭 프레임 건물이 기록되었다.

크럭 프레임(cruck frame) 건물, 영국, Herefordshire, Weobley: 크럭 블레이드는 지면에서 용마루까지 뻗어 있는 키가 크고 곡선 모양의 목재이다.


크럭 프레임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진정한 크럭 (풀 크럭): 블레이드는 직선 또는 곡선으로 지면 또는 기초에서 용마루까지 뻗어 있으며 주요 서까래 역할을 한다. 띠보가 필요하지 않다.
  • 베이스 크럭: 블레이드의 상단은 띠보와 같은 첫 번째 가로 부재에 의해 잘린다.
  • 레이즈드 크럭: 블레이드는 조적 벽에 닿아 용마루까지 뻗어 있다.
  • 미들 크럭: 블레이드는 조적 벽에 닿아 칼라에 의해 잘린다.
  • 어퍼 크럭: 블레이드는 무릎 서까래(knee rafter)와 유사하게 띠보에 닿는다.
  • 조인트 크럭: 블레이드는 처마 근처에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조립된 조각으로 만들어진다. 해머빔 지붕(hammerbeam roof)도 참고.
  • 엔드 크럭: 건물의 박공면 끝에 있다.

박스 프레임은 수직 및 수평 부재로 만들어진 단순한 목조 프레임으로 도리 없이 일반적인 서까래 지붕을 가지고 있다. 지붕 하중이 외부 벽에 의해 지지된다.
통로식 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내부 기둥 열을 가진 구조이다. 이 내부 기둥들은 일반적으로 외부 벽의 기둥보다 더 많은 구조 하중을 받는다. 교회 건물에서 통로와 같은 개념이며, 때로는 홀 교회라고 불린다. 중앙 통로는 기술적으로 본당이라고 불리나, 종종 통로라고 불린다. 3개의 통로가 있는 헛간은 미국, 네덜란드, 그리고 독일에서 흔하다. 통로가 있는 건물은 더 단순한 상자형 또는 크럭형 건물보다 넓으며, 일반적으로 서까래를 지지하는 동자를 가지고 있다.

두 개의 통로가 있는 시장 홀 내부, 치핑 캠던, 글로스터셔, 잉글랜드

3. 2. 재료

Timber framing영어에서 목재는 전통적으로 참나무와 같은 활엽수가 주로 사용되었지만, 지역에 따라 소나무, 가문비나무 등 다양한 목재가 사용되었다.[4]

충전재로는 엮어 바르기(Wattle and daub) 방식이 로마 시대부터 가장 흔하게 사용되었다.[5] 막대기는 프레임의 구멍이나 홈에 수직, 수평, 또는 비스듬하게 설치되었고, 다우브(daub)는 흙과 백악을 풀이나 짚, 물, 소변과 같은 바인더와 혼합하여 만들었다.[6]

벽돌 제조가 증가하면서 벽돌이 덜 내구성이 있는 충전재를 대체하여 더 흔해졌다.[6] 돌 부스러기와 모르타르를 사용할 수 있는 지역에서는 돌을 쌓아 충전재로 사용하기도 했다. 그 외에도 '부사유', 소성 벽돌, 어도비나 흙벽돌과 같은 비소성 벽돌, 때로는 '피에로타주'라고 불리는 돌, 판재, 목재, 코브 등이 사용되었다.[7]

내부 벽면은 벽판으로 마감하고 단열과 외관을 위해 석고를 덧바르기도 했다. 벽돌 인필은 석고, 날씨 널판지, 타일 또는 슬레이트 싱글과 같은 재료로 덮거나,[8] 노출시키기도 했다. 노출된 경우 프레임과 인필 모두 장식적인 방식으로 처리되기도 했다.

다음은 다양한 충전재의 예시이다.

  • --
  • --
  • --
  • --
  • --
  • --
  • --
  • --

4. 현대의 목골조

현대에는 목재 구조를 구조용 단열 패널 (SIP)로 둘러싸는 것이 일반적이다.[18] SIP는 "일반적으로 배향 스트랜드 보드인 두 개의 구조용 페이싱 사이에 끼워진 단열 폼 코어"로,[18] 패널이 상당한 거리를 가로지르고 기본 목재 골조에 강성을 추가하기 때문에 버팀대와 보조 부재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준다.

현대식 목골조 주택의 현관


다른 건설 방법으로는 유리를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콘크리트 바닥을 사용하는 것이 있다. 이를 통해 개방형 건축과 결합된 견고한 구조를 만들 수 있다. Huf Haus와 같은 일부 회사들은 주거 및 경공업 구조의 산업적 사전 제작을 저에너지 주택 또는 위치에 따라 제로에너지 건물로 전문적으로 취급해 왔다.

스코틀랜드 웨스트 린턴 인근에 위치한 Huf Haus가 제작한 현대식 조립식 건물, 종종 "파흐베르크"로 판매됨


짚단 건축은 짚단을 비내력 내부에 쌓아 스터코와 석고와 같은 다양한 마감을 내부 및 외부에 적용하는 또 다른 대안이다. 이는 "발견된" 재료를 사용하여 건설하기 때문에 전통주의자와 환경주의자에게 매력적이다.

흙벽돌(어도비라고도 함)은 때때로 목골조 구조를 채우는 데 사용된다. 현장에서 제작할 수 있으며 뛰어난 내화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건물은 흙벽돌의 열 절연성이 낮다는 점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날씨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4면에 깊은 처마 또는 베란다가 있다.

1970년대 초, 미국캐나다에서 충실하게 재현된 팀버 프레임 (목골조)이 활발하게 지어지기 시작했다. 이 부흥에는 Steve Chappell, Jack Sobon, 그리고 Tedd Benson의 연구 성과가 크게 관여했다.

현재 일본에서는 문화재 건축물로 보존·수리되는 한편, 목골조 (목조 축조 공법과 조적조의 조합)가 신축되는 경우는 적다. 또한, 목조 축조 공법만으로의 목골조 (팀버 프레임)도 건축 기준법 규정에 따라 가새와 내력벽 설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목조 축조 공법을 재래 축조 공법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극한 내력 계산 등으로 구조 계산을 한 목조 축조 공법에서 구조 내력을 가새나 내력벽으로 부담하지 않는 경우, 전통 공법이라고 불리는 목조 축조 공법으로 건축이 가능하다.

5. 장점 및 단점

목골조 구조는 기존의 목조 골조 건물과 여러 면에서 다르다. 목골조는 더 적고 더 큰 목재 부재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15~30cm 범위의 목재를 사용하는 반면, 일반적인 목조 골조는 5~25cm 범위의 치수를 가진 더 많은 목재를 사용한다. 골조 부재를 고정하는 방법도 다르다. 기존 골조에서는 부재를 못이나 다른 기계적 고정구를 사용하여 접합하는 반면, 목골조는 전통적인 장부 맞춤 또는 일반적으로 나무못만 사용하여 고정하는 더 복잡한 접합부를 사용한다. 현대의 복잡한 구조와 목재 트러스는 구조적 및 건축적 목적으로 거싯 플레이트와 같은 강철 접합부를 통합하는 경우가 많다.

목골조를 이용한 건물은 다양한 미적 및 구조적 이점을 제공하며, 개방형 평면 설계를 가능하게 하고 에너지 효율을 위한 효과적인 단열을 통해 완벽한 밀폐를 가능하게 한다. 현대 건축에서 목골조 구조는 다음과 같은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 빠르게 시공할 수 있다. 중간 규모의 목골조 주택은 2~3일 안에 시공할 수 있다.
  • 조립식, 모듈식 건설 및 대량 생산에 매우 적합하다. 목재는 벤트 또는 벽 섹션 내에서 사전 조립될 수 있으며, 기계나 수작업 생산 라인 없이 작업장에서 지그를 사용하여 정렬할 수 있다. 이는 현장에서 더 빠른 시공과 더 정확한 정렬을 가능하게 한다. 밸리 및 힙 목재는 일반적으로 사전 조립되지 않는다.
  • 전통적인 채움 방식의 대안으로, 프레임을 SIP로 감쌀 수 있다. 조립된 프레임을 창문, 기계 시스템 및 지붕 설치에 맞게 준비하는 이 단계를 "건조"라고 한다.
  • 조각으로 맞춤 제작하거나 창고 등 가보 구조물을 통합할 수 있다.
  • 재활용되거나 폐기된 목재를 사용할 수 있다.
  • 제대로 설계된 경우 목골조는 더 나은 "지진 생존성"[55]을 제공한다. 수세기 동안 기초가 부분적으로 무너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서 있는 많은 반목조 주택이 이를 증명한다.
  • 프레임 사이의 일반적으로 더 넓은 공간은 구조적 무결성을 약화시키지 않고 무거운 인방이 필요하지 않으면서, 건설 시 또는 그 이후 창문과 문을 배치하는 데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한다.


북미에서는 중목 구조가 건축 법규 유형 IV로 분류되는데, 이는 대형 목재의 고유한 내화성 및 화재 상황에서 구조적 용량을 유지하는 능력을 인정하는 목골조를 위해 예약된 특수 클래스이다. 많은 경우 이 분류를 통해 공공 건물에 소화 스프링클러를 설치해야 하는 필요성과 비용을 없앨 수 있다.[56]

전통적인 목골조 또는 ''파흐베르크하우스''(fachwerkhaus, 독일식 목골조 건축)의 경우, 오늘날 장점보다 단점이 더 많을 수 있다. 이러한 집들은 개조나 복원은 말할 것도 없고 유지보수 비용이 매우 비싸다. 이는 대부분 원래의 모습에서 벗어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현대적인 재료의 수정이나 통합을 금지하는 지역 규정 때문이다.

게다가, 독일과 같이 에너지 효율성이 엄격하게 규제되는 국가에서는 주거용 또는 상업용 구조물로 사용될 경우(박물관 및 중요한 역사적 건물은 예외), 개조된 건물은 현대적인 에너지 효율성을 충족해야 할 수 있다. 중요한 목골조 주택의 많은 부분은 거주 가능하게 만들기보다는 보존만을 위해 처리된다. 특히 필요한 강력한 살충 훈증 처리가 매우 유독하기 때문이다.

어떤 경우에는 복원하는 것보다 진정한 기술과 올바른 시대적 재료를 사용하여 새로 짓는 것이 더 경제적이다. 오래된 구조물의 주요 문제점 중 하나는 ''기계-흡착 크리프''(mechano-sorptive creep) 또는 기울어짐 현상이다. 이는 나무 기둥이 압축 또는 인장 응력 하에서 습기를 흡수하여 변형, 위치 이동 또는 둘 다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는 주택이 기초에 대해 수직에서 여러 각도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에(x축, y축, 심지어 z축에서도) 심각한 구조적 문제이며, 따라서 안전하지 않고 불안정하거나 너무 틀어져 수정하는 데 엄청난 비용이 들 수 있다.[57]

''파흐베르크하우스'' 또는 목골조 주택의 문제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하지만 많은 문제는 신중한 설계, 적절한 페인트 및 표면 처리 적용, 그리고 일상적인 유지 관리를 통해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수백 년 이상 된 구조물을 다룰 때는 너무 늦은 경우가 많다.[47]

  • "기울어짐"- ''열-기계적''(날씨-계절적 유발) 및 기계-흡착성(수분 유발) 나무의 크리프 현상, 인장 및 압축
  • 노출된 목재 내에서 모세관 현상으로 인한 물의 이동을 제대로 방지하지 못해 위에서 설명한 크리프 현상 또는 부패 발생
  • 처마가 너무 좁거나 아예 없어 비와 눈에 완전히 노출됨
  • 외부 디테일이 너무 많아 빗물이 제대로 흘러내리지 못함
  • 코팅, 형태 또는 위치로 인해 나무 끝, 연결부 및 모서리가 제대로 보호되지 않음
  • 비스듬하지 않은 수직 기둥(기둥 및 외벽판)은 모세관 작용을 통해 물을 흡수하고 유지함.
  • 표면 포인트 또는 코팅의 열화 허용
  • 유기 물질(동물 털, 짚, 거름)을 포함한 전통적인 석고 또는 래티스 앤 도브(wattle and daub, 싸리나무 엮어 흙 바르기)가 분해됨.
  • ''포토-앙-테르''와 ''포토-쉬르-솔'' 모두에서 곤충, 곰팡이 또는 박테리아에 의한 분해.
  • 부패, 건조 부패 포함
  • ''Ptinidae''과(특히 가구좀벌레), 흰개미, 바퀴벌레, 가루좀벌레, 생쥐, (많은 어린이 이야기에서 아주 유명함)와 같은 목재를 먹는 해충 생물의 침입.
  • 이러한 건물에서 위, 아래, 같은 층의 인접한 방에서 발소리가 매우 크게 들릴 수 있다. 이는 종종 정교한 방음 및 흡음 기술을 포함하는 빌트업 바닥 시스템으로 해결되며, 동시에 배관, 배선, 심지어 냉난방 장비의 통과 공간을 제공한다.
  • 나무에 파괴적이지는 않지만 인간에게 해로운 다른 곰팡이 (예: 검은 곰팡이). 이러한 곰팡이는 많은 "현대적인" 건축 재료에서도 번식할 수 있다.
  • 목재는 다른 재료보다 더 쉽게 연소하므로 목골조 건물은 화재 피해에 다소 더 취약하지만, 이 생각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많은 구조 부재의 단면 치수가 15cm × 15cm (6" × 6")를 초과하므로, 목골조 구조는 큰 목재의 고유한 특성, 즉 외부에서 탄화되어 빔의 나머지 부분을 연소로부터 보호하는 단열층을 형성하는 특성으로 이점을 얻는다.[58][59]
  • 이전의 홍수 또는 지반 침강 피해

참조

[1] 웹사이트 Немецкий фахверк {{!}} DW {{!}} 14 July 2021 https://www.dw.com/r[...] Deutsche Welle 2021-07-15
[2] 웹사이트 Timber framing – A rediscovered technique for building a home https://www.wallswit[...] 2021-07-15
[3]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4] 서적 Dictionary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Construction Architectural Press 2008
[5] Youtube Vitruvious On Architecture (translated in 1931 from the eighth century Latin), Book II, Chapter 8, paragraph 20 https://archive.org/[...]
[6] 서적 Wattle and Daub Shire Publications 2006
[7] 서적 Medieval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An Encyclopedia Routledge 2005
[8] 서적 The Buildings of England: Lancashire: Liverpool and the South-West Yal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The Look of Medieval Half-Timbered Construction https://www.thoughtc[...] 2022-04-20
[10] 서적 The lady of the manor being a series of conversations on the subject of confirmation. Intended for the use of the middle and higher ranks of young females https://books.google[...] F. Houlston and Son 2022-04-20
[11] 웹사이트 LacusCurtius • Vitruvius de Architectura – Liber Secundus https://penelope.uch[...] 2018-05-01
[12]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Routledge 2006
[13] 서적 Classic Dictionary of Architecture New Orchard Editions
[14] 서적 Fachwerk im Westerwald: Landschaftsmuseum Westerwald, Hachenburg, Ausstellung vom 11. September 1987 bis 30 April 1988 Landschaftsmuseum Westerwald 1987
[15] 간행물 Airplane [[hangar]] Construction National Lumber Manufacturer's Association 1941
[16] 간행물 Specify Timber with the TECO System for Industrial and Commercial Structures TECO Timber Engineering Company 1950
[17] 서적 Modern Timber Connectors for Modern Timber Structures https://ir.library.o[...] School of Forestry, Oregon State College 2022-04-20
[18] 웹사이트 What Are SIPs? http://www.sips.org/[...] Structural Insulated Panel Association 2013-02-01
[19] 웹사이트 National Design Specification for Wood Construction https://awc.org/code[...] American Wood Council 2018-12-13
[20] 논문 Roman Building-Materials in South-East England https://www.jstor.or[...]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Roman Studies 2022-04-20
[21] 서적 Why Do Clocks Run Clockwise? And Other Imponderables Perennial Library/Harper & Row 1988
[22] 웹사이트 History of "topping out" during building construction http://www.tnaqua.or[...] Tennessee Aquarium 2018-05-01
[23] 웹사이트 Pargetting on the White Horse, Pleshey (C) Colin Smith https://www.geograph[...] 2018-05-01
[24] 웹사이트 Half-timbered house in Laxfield (C) Toby Speight https://www.geograph[...] 2018-05-01
[25] 웹사이트 Shakespeare's Birthplace in Stratford... (C) Frederick Blake https://www.geograph[...] 2018-05-01
[26] 웹사이트 The Shakespeare Hotel- Stratford Upon Avon:: OS grid SP2054: Geograph Britain and Ireland – photograph every grid square! https://www.geograph[...] Geograph.org.uk 2012-04-29
[27] 웹사이트 Huddington Court (C) Richard Dunn https://www.geograph[...] 2018-05-01
[28] 웹사이트 West End Farm, Pembridge, Herefordshire (C) Doug Elliot https://www.geograph[...] 2018-05-01
[29] 웹사이트 Pembridge, Market Hall and New Inn:: OS grid SO3958: Geograph Britain and Ireland – photograph every grid square! https://www.geograph[...] Geograph.org.uk 2012-04-29
[30] 웹사이트 The Feathers Hotel, Ludlow (C) Humphrey Bolton https://www.geograph[...] 2018-05-01
[31] 웹사이트 Historic buildings in Ludlow:: OS grid SO5174: Geograph Britain and Ireland – photograph every grid square! https://www.geograph[...] Geograph.org.uk 2012-04-29
[32] 웹사이트 Half timbered building (C) Andy and Hilary https://www.geograph[...] 2018-05-01
[33] 웹사이트 Little Moreton Hall: Cheshire (C) Pam Brophy https://www.geograph[...] 2018-05-01
[34] 웹사이트 Spreadeagle Hotel 1430: Midhurst (C) Pam Brophy https://www.geograph[...] 2018-05-01
[35] 웹사이트 Wealden house https://www.geograph[...] Geograph.org.uk 2012-04-29
[36] 간행물 Cruck Construction: an introduction and catalogue CBA Research Report 42
[37] 서적 Timber-framed buildings of England R. Hale Ltd 1997
[38] 서적 The Timbered House Sorbus 1994
[39] 서적 The Buildings of England: Essex Yale University Press 2007
[40] 서적 Timber Framed Buildings in Cheshire Cheshire County Council 1994
[41] 서적 The arts and architecture of German settlements in Missouri: a survey of a vanishing culture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2006
[42] 서적 Die Fachwerkhäuser der Stadt Braunschweig: ein kunst und kulturhistorisches Bild Druckerei Appelhaus 1928
[43] 서적 Torbögen und Inschriften lippischer Fachwerkhäuser Lippischer Heimatbund 1971
[44] 서적 Fachwerkhäuser in Deutschland: Konstruktion, Gestalt und Nutzung vom Mittelalter bis heute Primus Verlag 2007
[45] 웹사이트 Domy z szachulca, czyli co łączy Sudety i Pomorze Gdańskie? https://www.foveotec[...]
[46] 웹사이트 Pałac Jugowice https://www.palacjug[...]
[47] 서적 1st International RILEM Symposium on Timber Engineering: Stockholm, Sweden, 13–14 September 1999 RILEM Publications 1999
[48] 서적 Houten kappen in Nederland 1000–1940 Delftse Universitaire Pers, Delft / Rijksdienst voor de Monumentenzorg, Zeist 1989
[49] 서적 Wood, brick, and stone: the North American settlement landscap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984
[50] 서적 A Creole Lexicon: Architecture, Landscape, People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2004
[51] 서적 Common places: Readings in American Vernacular Architecture, referencing V. Gordon Childe, The Bronze Age Macmillan 1930
[52] 웹사이트 Corner-Post Log Construction: Description, Analysis, and Sources – A Report to Early American Industries Association http://www.huntingdo[...] 2023-03-04
[53] 웹사이트 Saitta House – Report Part 1 http://www.dykerheig[...] Dyker Heights Civic Association 2007
[54] 웹사이트 About us – Palangos Vėtra https://www.oldmillh[...] 2023-11-29
[55] 서적 Timber Design & Construction Sourcebook McGraw-Hall
[56] 웹사이트 IBC Building Type http://www.tsib.org/[...] Technical Services Information Bureau 2009-07-15
[57] 서적 1st International RILEM Symposium on Timber Engineering, Stockholm, Sweden, 13–14 September 1999 RILEM Publications 1999
[58] 웹사이트 Fire Safety http://www.cwc.ca/NR[...] Canadian Wood Council
[59] 웹사이트 Timber http://www.mace.manc[...] University of Manchester 2008-05-04
[60] 서적 Deutschland Karl Baedeker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