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릿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릿매는 지중해 지역에서 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된 고대 무기로, 끈을 사용하여 돌이나 납 탄환을 던지는 데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사냥 도구로 사용되었으나, 농업의 발달과 함께 전쟁 무기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고대 슈메르, 아시리아, 그리스, 로마 등 다양한 문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발레아레스 제도의 투석병은 용병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성경과 고대 문헌에도 무릿매 사용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 무릿매는 활보다 탄환 조달이 용이하고, 한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투척 방향을 바꾸기 어렵고 마상에서의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도 있었다. 중세 시대에는 갑옷의 발달과 화약 무기의 등장으로 쇠퇴했지만, 17세기까지 유탄을 던지는 데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도 취미용 무기나 시위 도구로 사용되기도 한다. 무릿매는 구조와 제작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막대 무릿매, 케스트로스, 공성 무기 등 파생된 기술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릿매 | |
|---|---|
| 개요 | |
| 종류 | 원거리 무기 |
| 용도 | 투척 무기 |
| 구조 및 작동 원리 | |
| 형태 | 주머니 또는 그물 끈 (2개) |
| 발사 원리 | 끈을 회전시켜 원심력을 이용, 투사체를 던짐 |
| 역사 | |
| 기원 | 고대 |
| 용도 | 사냥 전쟁 |
| 활용 | |
| 재료 | 섬유 가죽 기타 유연한 재료 |
| 투사체 | 돌 점토 탄환 기타 적절한 물체 |
| 관련 용어 | |
| 다른 이름 | 투석기 (일반적인 오해) 투석포 |
| 관련 무기 | 슬링 아틀라틀 투창 |
| 문화적 의미 | |
| 신화 속 등장 | 다윗과 골리앗 기타 고대 신화 및 역사적 기록 |
2. 역사
무릿매는 지중해 주변의 신석기 시대 사람들에게 알려진 고대 무기이지만 훨씬 더 오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무릿매매는 창던지기, 활과 화살 등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기 시작한 후기 구석기 시대에 발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투석기는 활과 같은 시대인 석기 시대 말기(기원전 12000년경 ~ 기원전 8000년경)에 (아마도 처음에는 활과 마찬가지로 사냥용으로) 발명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윽고 인류가 농업을 영위하고, 국가를 만들고, 농지나 수리 시설, 수확물(부)과 노예(노동력)와 지배권을 놓고 다투게 되면서, 활과 마찬가지로 투석기도 전쟁의 도구로 전용되게 된다.
고대 슈메르인이나 아시리아인이 투석기를 사용했다는 것은 당시의 부조 등으로 알려져 있다. 아시리아 부조에 보이는 전투 묘사에서는 투석병은 궁병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었고, 투석기에 의한 돌탄의 사거리는 당시의 활에 의한 화살의 사거리보다 길었다고 추정된다.
과거, 그리고 현재에도 유목민은 해수로부터 가축을 지키기 위해, 또는 무리를 제어하기 위해 투석기를 사용하고 있다. 성경의 『사사기』에는 "한 가닥의 머리카락을 노리고" 던져도 빗나가지 않는다는 솜씨 좋은 투석병에 대한 묘사가 있으며, 또 『사무엘기』에는 후에 이스라엘의 왕이 되는 양치기 소년 다윗이 투석기로 블레셋 사람 골리앗이라는 거인을 쓰러뜨린 이야기가 적혀 있다.
고대 지중해 세계에서는 동쪽의 로도스인이나 서쪽의 발레아레스 제도 사람들이 특히 투석기 명수(발레아레스 투석병/Balearic slinger영어)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여러 나라의 용병대에 투석병을 제공했다.
고전 시대의 고대 그리스 세계에서는 중장 보병의 백병전만이 영예로운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투석기의 역사 기록은 빈약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전투 시작 시 적의 전열을 흐트러뜨리고 아군 중장 보병 전열의 돌파구를 만들거나, 공격이 실패하여 퇴각할 때, 경장 보병이 투석기, 활과 창에 의해 반격을 가하지 않으면 퇴각이 어려웠다.
『아나바시스』[50]에서는, 중장 보병 중심이고 투석병과 기병을 결여한 그리스 용병이 기병, 궁병, 투석병으로 구성된 적의 소부대에 원거리에서 일방적으로 공격받아 방어에 전념할 수밖에 없게 되어 전의를 상실할 뻔했을 때, 크세노폰의 발상으로 진중에서 로도스인을 모아 투석병대를 편성하고, 속성 기병대와 함께 며칠 후에 나타난 같은 구성의 적의 대부대를 훌륭하게 격퇴한 것, 그 때 납탄이나 소형 돌탄을 사용하는 로도스인 투석병이 큰 돌을 사용하는 적 측의 투석병이나 궁병보다 사거리에서 우위에 있었던 것이 기록되어 있다.
구약성서의 다윗과 골리앗 이야기는 신화적인 측면이 있지만, 크세노폰의 『아나바시스』와 투키디데스의 『전사』 중 스파르타인 수비대가 항복한 스팍테리아 섬 전투 기술 등은 중장 보병에 대해서도 투석기에 의한 공격이 유효했음을 보여준다.
기원전 4세기의 고대 그리스에서는 원심력을 높여 사거리를 연장하기 위해 끈 대신 긴 막대 끝에 슬링을 묶은, "스태프 슬링"이라고 불리는 무기가 발명되었다.
5세기의 로마의 베게티우스의 저술에 따르면, 당시 활의 사거리는 180m 정도였던 데 반해, 아나바시스의 기록으로 미루어 볼 때, 투석기의 사거리는 400m를 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투석기에서 탄환이 튀어나올 때의 초속은 100km/h를 넘었다고 생각되며, 베게티우스에 따르면 전후를 원추형으로 가공한 탄환은 피혁제 갑옷을 입은 병사에 대해 활보다 치명적이고 내장을 손상시키는 상처를 입혔으며, 갑옷을 입지 않았다면 인체를 관통했다.
갑옷의 방어력과 기병의 운용 기술의 향상, 복합궁이나 쇠뇌 등 강력한 활의 등장 등으로 인해 4세기경에 투석병의 지위는 쇠퇴하기 시작했고, 중세에는 투석기는 점차 사용되지 않았지만, 17세기까지 유탄을 던지는 데 사용되는 경우가 있었다.
아스테카에서는 Tematlatl이라고 불렸다. 잉카에서는 와라카 (혹은 Onda)라고 불렸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장신구로 사용되었다[51]。
중국에서는 한대 무덤 벽에 가느다란 끈으로 탄환을 연결하여 활로 말의 무리를 향해 날리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
2. 1. 고대
무릿매는 신석기 시대 지중해 주변의 사람들에게 알려진 고대 무기이지만, 그 기원은 훨씬 오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오리냐크 문화 시대에 창 던지기와 활 같은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면서 무릿매도 함께 발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0] 무릿매 자체는 생분해성 물질로 만들어져 고고학적 기록에서 드물게 발견되지만, 무릿매 탄환으로 추정되는 돌이나 찰흙 물건은 유적에서 흔히 발견된다.
가장 오래된 무릿매는 남아메리카 페루 해안에서 발견된 것으로 기원전 2500년경으로 추정되며,[3] 북아메리카 네바다주 러브록 동굴에서 발견된 무릿매는 기원전 1200년경으로 추정된다.[4] 투탕카멘의 무덤에서도 정교하게 엮어진 무릿매가 발견되었다.[5][6]
고대 세계 전역의 유물에서 무릿매를 든 사람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는데, 아시리아와 이집트의 부조, 트라야누스[8]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원주, 동전, 바이에르 태피스트리 등이 있다.
성경의 판관기 20장 16절은 무릿매에 대한 가장 오래된 텍스트 언급으로 여겨지며, 사무엘기 상 17장에는 다윗이 무릿매로 골리앗을 물리친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21]
리비우스는 발레아레스 제도 사람들이 무릿매를 잘 다루는 것으로 유명하며, 용병으로 활약했다고 기록했다. 스트라본은 "그들의 무릿매 사용 훈련은 어릴 때부터 시작되어, 아이들이 무릿매로 빵을 맞히지 못하면 빵을 주지 않을 정도였다."라고 적었다.[13]
크세노폰은 그의 저서 《아나바시스》[50]에서 로도스인들이 무릿매를 잘 다루었으며, 그리스 용병대가 이들을 투석병으로 편성하여 페르시아 군대에 맞섰다고 기록했다.[16] 투키디데스는 아카르나니아인을, 리비우스는 펠로폰네소스 북부 해안에 있는 세 개의 그리스 도시의 주민들을 숙련된 투석병이라고 언급했다.
로마 군대에서도 무릿매는 중요한 무기 중 하나였으며, 베게티우스는 그의 저서 《군사론》에서 무릿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2. 1. 1. 한국사에서의 투석(投石) 관련 기록
한국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무릿매와 유사한 투석구가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려시대에는 최무선이 화약 무기 개발에 힘쓰기 이전 투석기를 활용하여 왜구를 격퇴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세종 때 함경도와 평안도 지역에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투석군을 양성하고 투석차를 설치했다는 기록이 있다.
2. 2. 중세
1070년대의 바이에 위 태피스트리는 사냥 장면에서 무릿매의 사용을 묘사하고 있다. 프리드리히 1세 (신성 로마 황제)는 1155년 토르토나 공방전에서 자신의 병사들이 공성 무기를 만드는 동안 수비대를 제압하기 위해 무릿매병을 고용했다.[35] 실제로 무릿매는 11세기와 12세기 이탈리아에서 비교적 흔한 무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무릿매는 또한 비잔틴 제국에서도 사용되었다.[36]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스페인과 포르투갈 보병이 가볍고 민첩한 무어인 병사들에 대항하여 무릿매를 선호했다. 막대 무릿매는 공성전에서 계속 사용되었고, 무릿매는 트레뷰셋과 같은 공성 무기의 일부로 사용되었다.잉카 제국과 같은 고대 안데스 문명에서 무릿매는 라마 양털로 만들어졌다. 이러한 무릿매는 일반적으로 길고 얇은 받침대와 비교적 긴 슬릿을 특징으로 한다. 안데스 무릿매는 대조적인 색상의 양털로 제작되었으며, 복잡한 땋기와 섬세한 솜씨는 아름다운 패턴을 만들어낼 수 있다. 오늘날까지도 의례용 무릿매는 안데스 지역에서 춤과 가상 전투의 액세서리로 사용된다. 또한 라마 목축업자들도 사용하는데, 동물들은 돌이 떨어지는 소리에서 멀어진다.
무릿매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사냥과 전쟁에도 사용되었다. 주목할 만한 사용 사례 중 하나는 정복자에 대항한 잉카의 저항이었다. 이 무릿매는 매우 강력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저자 찰스 C. 만은 저서 ''1491: 콜럼버스 이전 아메리카의 새로운 발견''에서 한 정복자가 잉카 무릿매에 대해 "칼을 두 조각으로 부러뜨릴 수" 있고 "말을 죽일 수 있다"고 말했다고 인용했다.[38]

갑옷의 방어력과 기병의 운용 기술의 향상, 복합궁이나 쇠뇌 등 강력한 활의 등장 등으로 인해 4세기경에 투석병의 지위는 쇠퇴하기 시작했고, 중세에는 투석기는 점차 사용되지 않았지만, 17세기까지 유탄을 던지는 데 사용되는 경우가 있었다.
아스테카에서는 Tematlatl이라고 불렸다. 잉카에서는 와라카 (혹은 Onda)라고 불렸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장신구로 사용되었다[51]。
2. 3. 현대
발레아레스 제도에서는 전통적인 무릿매가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대회와 리그도 자주 열린다.[43] 다른 지역에서는 무릿매가 주로 취미용 무기로 사용되며, 무릿매를 만들고 연습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와이오밍 주와 영국 스태퍼드셔 주에서 '슬링페스트(Slingfest)'가 개최되기도 했다.[43] 기네스 세계 기록에 따르면, 무릿매로 물체를 던져서 달성한 최장 거리 기록은 1992년 데이비드 엥발이 기록한 477.10m이다.[42]무릿매는 시위대들이 돌이나 화염병과 같은 소이 장치를 던지는 무기로 사용되기도 한다.[43][44] 중동의 아랍 유목민과 베두인족은 자칼과 하이에나를 쫓기 위해 여전히 무릿매를 사용한다.[43] 스페인 내전과 겨울 전쟁에서는 무릿매를 사용하여 수류탄이나 화염병을 던지기도 했다.[43] 최근에는 케냐와 팔레스타인 돌 던지기 등지에서 시위 도중 무릿매가 사용되기도 했다.[43][44]


무릿매의 원리는 미래에 더 큰 규모로 사용될 수 있다. 우주선을 추진하기 위한 테더 추진 방식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기능적으로 우주선을 추진하기 위한 대형 무릿매이다.
3. 구조 및 제작
무릿매는 중앙의 넓은 주머니 부분과 양쪽 끝의 가늘고 긴 끈 부분으로 구성된다. 한쪽 끈 끝에는 손가락 고리가 있고, 다른 쪽 끈 끝에는 매듭이나 탭이 있어 잡기 쉽고 발사 후 회수하기 용이하다.[25] 전통적인 재료는 아마, 삼, 양모, 골풀 등이다.[24] 현대에는 폴리에스터가 썩거나 늘어나지 않고 부드러워 자주 사용된다. 끈은 꼬인 밧줄보다 엮은 끈이 늘어짐에 강해 정확도를 높인다.[24]
주머니는 일반적으로 다이아몬드 모양이며, 투사체를 더 안전하게 잡기 위해 구멍이나 슬릿이 있는 경우도 있다. 무릿매의 길이는 다양할 수 있지만, 약 61cm에서 100cm 길이가 일반적이다.
90cm 정도 길이의 자루 끝에 끈을 묶어 사용하는 투석기(스태프 슬링)도 있는데, 사거리는 짧지만 더 무겁고 큰 탄환을 날릴 수 있었다.[47]
4. 투사체
무릿매의 투사체로 가장 단순한 것은 강가나 해변에서 구할 수 있는 둥근 돌이다.[30] 발사체의 크기는 50g 이하의 조약돌부터 500g 이상 나가는 주먹만 한 돌까지 매우 다양했다.[30] 점토로 특별히 제작된 탄환은 크기와 모양의 일관성을 높여 사거리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30] 고고학적 기록에서 많은 점토 탄환들이 발견되었다. 햄 힐 언덕 요새 철기 시대 언덕 요새에서 발견된 구운 점토와 돌로 만든 무릿매 탄환이 그 예시이다.
최고의 탄약은 주조된 납으로 만들어졌다.[30] 납으로 된 무릿매 탄환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었다.[30] 납은 밀도가 매우 높아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고, 집중된 충격은 갑옷 관통력이 더 우수하고 신체를 더 잘 관통할 수 있다.[30]
납 탄환은 여러 가지 모양으로 나타나는데, 타원체 형태는 도토리와 매우 유사하며, 이것이 납으로 된 무릿매 탄환을 뜻하는 라틴어 단어 ''glandes plumbeae'' (문자 그대로 '납 도토리')의 기원일 수 있다.[30] 다른 모양으로는 구형과 아몬드 견과류 껍질 또는 납작한 미식축구의 모양과 유사한 이원뿔형이 있다.[30] 아몬드 모양이 선호된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공기역학적 이점이 있거나 틀에서 쉽게 꺼낼 수 있는 모양이거나, 무릿매에 넣었을 때 굴러 떨어질 위험이 적은 것과 같은 이유가 있을 수 있다.[30]
납 무릿매 탄환에는 기호나 글씨가 새겨져 있는 경우가 많았다.[30] 페루시네 전쟁 (기원전 41년)에서 에트루리아의 페루시아 포위전에서 나온 약 80개의 무릿매 탄환에는 스타일화된 번개, 뱀, 전갈 등의 기호와, 소유한 군 부대나 지휘관의 이름, "이것을 가져가라", "아얏"과 같은 문구가 새겨져 있었다.[31] 야브네에서 발견된 무릿매 탄환에는 그리스어로 "헤라클레스와 하우로나스의 승리"라고 새겨져 있었다.[32]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갈리아 전기''에서 점토 탄환을 던지기 전에 가열하여 초가지붕에 불을 붙이는 데 사용했다고 기록했다.[33] 일부 탄환에는 구멍이 뚫려 있는데, 이는 비행 중에 소리를 내어 상대를 위협하거나,[34] 독을 넣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49] 번스워크 언덕에서 발굴된 구멍 뚫린 로마 시대 탄환이 그 예시이다.
고대 시인들은 무릿매 탄환이 갑옷을 뚫을 수 있으며, 공기를 통과하면서 열을 받아 녹아내린 납 탄환에 대해 썼다.[26][27] 프로코피우스는 유스티니아누스 전쟁에서 무릿매 사수가 훈족 전사를 쓰러뜨린 것을 기록했다.
일본에서는, 당고·열쇠 유적의 야요이 시대 지층에서 석탄과 토탄이 발견되었지만, 투석기는 발견되지 않았다[45]。
5. 사용법
무릿매는 전체를 반으로 접어 한쪽 끝을 고리에 손목에 걸거나 손에 감아 고정하고, 다른 쪽 끝과 함께 쥐고 넓은 부분에 돌을 감는다. 머리 위로 휘두르거나(오버스로), 몸 옆에서 휘두르는(언더스로) 방식으로 투사체를 던진다.[22] 끈의 한쪽을 놓는 타이밍이 방향이나 사거리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투척 무기 중에서 가장 습득하기 어려웠다고 한다. 오버스로와 언더스로 모두 장단점이 있으며, 상황에 맞게 사용해야 한다. 또한 각 사거리에 적합한 투석 끈의 길이가 있으며, 표적까지의 거리에 따라 선택하는 능력도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근거리 표적을 맞힐 때는 짧은 끈을 사용하고 돌도 비교적 크고 무거운 돌을 사용하며, 반대로 원거리의 경우에는 긴 끈으로 작고 가벼운 돌을 사용했다.[29]
활과 비교했을 때 무릿매의 장점은 탄환 조달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쇠촉을 가진 강력한 화살의 대량 생산은 때때로 매우 어려운 작업이었지만, 무릿매는 대규모로 운용되는 경우에도 특수한 보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적당한 경도·크기·형태의 돌을 가까운 강가나 암반 등에서 주워오면 된다. 단, 집단으로 일제히 동일 사거리의 표적을 노리는 경우에는 사소한 돌의 질량이나 밀도·형태의 차이로 그 공격 효과가 크게 좌우될 수 있으므로, 보다 조직적인 공격을 하기 위해서는 규격화된 균일한 품질을 가진 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결과 기복이 심한 천연석이 아닌 인공적으로 생산된 탄이 요구되기에 이르렀다.[22]
또 다른 장점으로는 조준하는 동안 활이나 화살은 양손으로 자세를 잡고 있어야 하는 데 반해 무릿매는 한 손으로 휘두르고 있으므로 다른 한 손이 자유롭다는 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활과 화살을 사용하는 적과 싸울 때, 이 남는 한 손으로 방패를 들고 있으면 적보다 상대의 공격을 피할 수 있었다. 그 때문에 고대 유럽 등에서는 활과 화살을 사용하는 상대에게 무릿매나 투창을 우선적으로 사용하여 대항하기도 했다.[22]
이에 대한 단점으로는 활과 화살과 달리 한 번 투석 동작을 시작하면, 그 도중에 표적을 변경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 마상에서의 사용이 어렵다는 점 등이 있다.[22]
5. 1. 막대 무릿매 (Staff sling)
막대 무릿매는 막대기 쇠뇌, fustibalus(라틴어), fustibale(프랑스어)라고도 불리며, 한쪽 끝에 짧은 끈이 달린 막대(길이의 나무)로 구성된다. 끈의 한쪽 끈은 막대기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고 다른 쪽 끝에는 발사체를 놓을 수 있도록 미끄러져 나가는 고리가 있다. 막대기 쇠뇌는 막대를 2미터까지 길게 만들 수 있어 강력한 지레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강력하다. 고대 미술에서는 끈잡이가 막대기 쇠뇌를 한쪽 끝으로 잡고 주머니를 뒤에 둔 채 양손으로 막대기를 머리 위로 앞으로 던지는 모습을 보여준다.막대 무릿매는 양치기 쇠뇌와 유사하거나 더 나은 사거리를 가지며 숙련된 손에서는 정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더 무거운 투사체와 포위 상황에 적합한데, 막대기 쇠뇌는 성벽과 같은 장애물을 넘기 위해 매우 가파른 궤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막대기 자체는 근접 전투에서 근접 무기가 될 수 있다. 막대 무릿매는 손 쇠뇌보다 무거운 투사체를 훨씬 더 먼 거리와 더 높은 아치로 던질 수 있다. 막대 무릿매는 화약 시대까지 수류탄 발사기로 사용되었으며, 선박 대 선박 전투에서 소이탄을 던지는 데 사용되었다.
''표석''(飃石, 문자 그대로 '회오리 돌')은 송나라 시대에는 ''수포''(手砲, 문자 그대로 손 대포)라고도 불리며, 중국식 명칭으로, 스태프 슬링을 가리킨다. 5척 길이의 대나무 장대 한쪽 끝에 짧은 끈을 묶어 만든 것으로, 주로 공성 방어에 사용되며, 더 큰 돌 투석기와 함께 사용되었다. 이는 ''기효신서''(紀效新書)에 묘사되고 설명되어 있다.
5. 2. 케스트로스 (Kestros)
'''케스트로스'''(케스트로스) (케스트로스펜도네, 케스트루스 또는 케스트로스펜도네라고도 함)는 리비우스와 폴리비우스가 언급한 투석 무기이다. 가죽 끈으로 던지는 무거운 다트였던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168년에 발명되었으며,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에서 마케도니아 왕 페르세우스의 일부 마케도니아 군대에 의해 사용되었다.5. 3. 공성 무기 (Siege engines)

트랙션식 투석기는 밧줄을 당기는 사람들의 힘이나 들어 올려진 추에 저장된 에너지를 사용하여 막대 슬링을 회전시키는 공성 무기였다. 투석기의 투사 팔이 충분히 앞으로 회전했을 때, 슬링의 한쪽 끝이 자동으로 분리되어 투사체를 방출하도록 설계되었다. 일부 투석기는 작았고 소규모 인원이 작동했지만, 오나거와는 달리 투석기를 거대한 규모로 건설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러한 거대 투석기는 엄청난 거리에 거대한 바위를 던질 수 있었다. 투석기는 본질적으로 기계화된 슬링이다.
5. 3. 1. 핸드 트레뷰셋 (Hand-trebuchet)
핸드 트레뷰셋(케이로망가논/χειρομάγγανονel)은 지렛대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발사체를 추진하는 막대 슬링을 막대 위에 장착한 것이다.6. 기타
원리가 같은 망고넬이나 트레뷰셋의 팔 끝에도 무릿매가 사용되었다.[52] 무릿매로 물체를 던져서 달성한 최장 거리 기록은 1992년 9월 13일 데이비드 엥발이 캘리포니아주 볼드윈 호에서 50cm의 무릿매를 사용하여 62g의 탄환을 477.10m까지 날린 것이다.[52] 우주선을 추진하기 위한 테더 추진 방식은 기능적으로 대형 무릿매와 유사하다.
참조
[1]
웹사이트
Slingshot definition and meaning
https://www.collinsd[...]
2022-05-05
[2]
서적
The Sling for Sport and Survival
Paladin Press
[3]
웹사이트
A History of Sling Braiding in the Andes
https://braidershand[...]
[4]
서적
Slings & Slingstones
Kent State U. Press
[5]
웹사이트
Image of sling from the Tomb of Tutankhamen
http://www.ashmolean[...]
[6]
웹사이트
Griffith Institute: Carter Archives - p1324
http://www.griffith.[...]
2020-10-27
[7]
웹사이트
Other uses of textile in ancient Egypt
https://www.ucl.ac.u[...]
[8]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John Murray
[9]
웹사이트
Project Goliath | Main / UpperPaleolithicNeolithic
http://slinging.org/[...]
[10]
웹사이트
Lead sling bullet; almond shape; a winged thunderbolt on one side and on the other, in high relief, the inscription DEXAI "Catch!"
https://www.britishm[...]
2012-04-30
[11]
서적
The Greek State at War: Part V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4
[12]
간행물
Attitudes Towards and Use of the Sling in Late Iron Age Britain
https://warwick.ac.u[...]
2020-12-31
[13]
웹사이트
LacusCurtius • Strabo's Geography — Book III Chapter 5
https://penelope.uch[...]
Penelope.uchicago.edu
2010-09-12
[14]
웹사이트
The Iliad of Homer, translated by Cowper
http://www.gutenberg[...]
Gutenberg.org
2010-09-12
[15]
서적
The Carthaginians
Bloomsbury USA
2014-04-22
[16]
웹사이트
Xenophon, Anabasis, chapter III
http://www.gutenberg[...]
Gutenberg.org
2010-09-12
[17]
문서
Thomas Dudley Fosbroke, A Treatise on the Arts, Manufactures, Manners, and Institutions of the Greek and Romans, Volumen 2, 1835
[18]
웹사이트
DBM - Tullian Roman
http://lukeuedasarso[...]
[19]
웹사이트
Digital | Attic – Warfare: De Re Militari Book I: The Selection and Training of New Levies
http://www.pvv.ntnu.[...]
Pvv.ntnu.no
2010-09-12
[20]
문서
Knoppers, Gary, "Is There a Future for the Deuteronomistic History?", In Thomas Romer, The Future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Leuven University Press, 2000
[21]
문서
Yigael Yadin, The Art of Warfare in Biblical Lands (Jerusalem: International Publishing Company, 1963), 34–35
[22]
간행물
The Sling in Medieval Europe
http://chrisharrison[...]
2006-Spring
[23]
서적
Iron Age Communities in Britain: An Account of England, Scotland and Wales from the Seventh Century BC until the Roman Conquest
Routledge
2005
[24]
서적
Sling Braiding of the Andes (Weaver's Journal Monograph IV)
Dos Tejadores
1980
[25]
서적
Tools of War: History of Weapons in Medieval Times
https://books.google[...]
Alpha Editions
2019-07-08
[26]
문서
Lucretius, On the Nature of Things
[27]
문서
Virgil, The Aeneid
[28]
서적
The Greek State at War: Part V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9]
문서
Procopius, Persian war
[30]
서적
Reassessing Slingstones. Artefact Services Research Papers 3
http://archive.org/d[...]
Artefact Services
[31]
서적
Syracuse 415-413 BC
Bloomsbury USA
2008-05-20
[32]
웹사이트
i24NEWS
https://www.i24news.[...]
2022-12-08
[33]
문서
Caesar Bell. Gall. 5,43,1.
[34]
웹사이트
Bullets, ballistas, and Burnswark – A Roman assault on a hillfort in Scotland
http://www.archaeolo[...]
2016-06-01
[35]
서적
Norman Warfare in the Eleventh and Twelfth-Century Mediterranean
[36]
서적
Warfare, State and Society in the Byzantine World, 565-1204
1999
[37]
웹사이트
The Chumash Sling
http://www.abotech.c[...]
2007-05-16
[38]
문서
Mann
[39]
웹사이트
Slings from Peru and Bolivia
http://www.flight-to[...]
Flight-toys.com
2010-02-18
[40]
서적
Slings in the Iron Ag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USA
2005-10-10
[41]
웹사이트
"» Slingstones"
https://www.guampedi[...]
2009-09-29
[42]
뉴스
Longest sling shot
https://www.guinness[...]
2023-10-25
[43]
뉴스
Ethnic Clashes in Kenya
https://www.nytimes.[...]
2008-02-03
[44]
뉴스
Second Lawmaker Is Killed as Kenya's Riots Intensify
https://www.nytimes.[...]
2008-02-01
[45]
문서
唐古・鍵考古学ミュージアムコレクション40
https://www.town.taw[...]
[46]
Kotobank
투탄
[47]
서적
The Art of the Catapult: Build Greek Ballistae, Roman Onagers, English Trebuchets, And More Ancient Artillery
Chicago Review Press
2018
[48]
웹사이트
sling-shot
https://www.britishm[...]
[49]
웹사이트
Whistling Sling Bullets Were Roman Troops' Secret Weapon
https://www.scientif[...]
2024-03-26
[50]
문서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51]
웹사이트
A History of Sling Braiding in the Andes
https://braidershand[...]
2024-03-26
[52]
뉴스
Longest sling shot
https://www.guinness[...]
2024-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