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물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물길은 한자 표기로 "물길(勿吉)"로 기록된 민족으로, 그 어원은 불분명하나 여러 설이 존재한다. 북위, 동위, 수나라 시기에 조공을 바쳤으며, 수나라의 고구려 원정 당시에는 돌지계가 이끄는 부대가 항복하여 공을 세웠다. 용맹함으로 주변국을 약탈했으며, 494년에는 부여를 멸망시키기도 했다. 수나라 이후에는 '말갈'로 표기되었으며, 7개의 부족으로 구성되어 흑룡강 하류에서 길림 지방까지 널리 분포했다. 물길의 언어는 독특했으며, 퉁구스어 계통으로 추정되지만, 고시베리아어족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2. 명칭

프랑스의 샤반(Ed. Chavannes)은 테오필락토스 시모카타의 기록에 있는 "Mukri(무크리)"를 "물길(Muki)"에 비정하고, 테오필락토스의 기록에 있는 "Mukri는 Taugas(탁발 왕조)에 인접한 매우 용맹한 민족"이라는 기술을, 『북사』 물길전에 있는 "물길국은 고구려의 북쪽에 있으며, 동이에서 최강이다"라는 기술과 결부시켰다[1]。중국의 고개군은 "읍루, 물길, 말갈은 부여인과 고구려인의 숙신에 대한 호칭이며, 그들의 자칭이 아니다"라고 하고 있다.[2]

3. 역사

5세기경 물길은 쑹화강 하류, 헤이룽강 하류에서 연해주 부근에 걸쳐 일대 세력을 가지고 있던 퉁구스계 국가였다. 494년 부여를 멸망시키는 등 주변 여러 나라를 빈번히 약탈하였으며, 『위서』와 『북사』에서 "동이에서 최강"으로 평가받았다.

6세기 중반 무렵까지 중화 왕조에 조공했으나 멸망했고, 이후 물길국의 자손은 말갈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물길과 말갈은 같은 음을 옮긴 것으로 생각된다. 수나라 이후부터는 "말갈(靺鞨)"로 표기되기 시작했으며, "물길"로는 표기되지 않았다.

3. 1. 5세기 ~ 7세기 초 (남북조 시대 ~ 수나라)

시기사건내용
471년 - 476년북위 조공견사(遣使) 을력지(乙力支)가 조공함.
477년 - 499년북위 조공을력지가 다시 조공하고 말 500필을 바침.
485년북위 조공견사 후니지(侯尼支)가 조공함.
486년북위 조공후니지가 다시 조공함.
488년북위 조공사신을 보내 고시(楛矢) 등의 방물을 바침.
493년북위 조공견사 파비(婆非) 등 500여 명이 조공함.
503년북위 조공견사 후력귀(侯力帰) 등이 조공함.
540년 - 550년동위 조공견사 석구운(石久雲) 등이 방물을 바침. 조공이 끊이지 않음.
581년 - 600년수나라 조공사신을 보내 조공함.
612년수나라 항복물길 거수(渠帥) 돌지계(突地稽)가 양제의 고구려 원정 때 부대를 이끌고 항복, 우광록대부(右光禄大夫) 제수받음.
613년고구려 원정 종군돌지계가 고구려 원정에 종군하여 전공을 세움.
494년주변국 약탈부여를 멸망시키는 등 주변 여러 나라를 빈번히 약탈. 『위서』와 『북사』에서 "동이에서 최강"으로 평가.
수나라 이후표기 변화"말갈(靺鞨)"로 표기되기 시작, "물길"로 표기되지 않음.


3. 2. 7세기 이후 (말갈)

쑹화강 하류, 헤이룽강 하류에서 연해주 부근에 걸쳐 일대 세력을 가지고 있던 퉁구스계 국가인 물길은 6세기 중반 무렵까지 중화 왕조에 조공했으나 멸망했다. 이후 물길국의 자손은 말갈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물길과 말갈은 같은 음을 옮긴 것으로 생각된다.[1]

4. 사회와 문화

물길의 후손인 말갈은 7개 부족으로 나뉘어 흑룡강 하류에서 길림 지방까지 넓게 분포했다. 이들은 쌀을 씹어 만든 구강주를 마시기도 했다.[1]

4. 1. 생활 방식

속말말갈은 조, 밀, 흑기장 등을 재배하고 돼지나 말 등의 가축을 키우며 생활했다. 북부의 흑수말갈은 추운 날씨 때문에 농업이 불가능하여 수렵을 생업으로 하는 전통적인 생활을 했다. 흑수말갈은 가장 강건하다고 여겨졌으며, 후에 여진족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4. 2. 의복과 주거

물길인의 의상은 읍루인과 마찬가지로 남성은 돼지(멧돼지)나 개()의 가죽을 착용했고, 여성은 천으로 만든 치마를 입었다. 돼지를 많이 길렀으며, 음식은 주로 그 돼지를 먹었다.

주거 형태는 여름에는 나무 위에 간소한 집을 짓고, 그 외의 계절에는 둔덕 모양의 굴식 주거에 여러 가족이나 일족이 함께 거주했다. 굴식 주거는 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이 많으며, 상부에 입구가 있어 사다리를 사용하여 아래로 내려갔다. 또한, 흩어져 살지 않고 2m~3m 정도의 생울타리를 갖춘 원형의 작은 성(둘레 200m~300m) 안쪽에 주거지를 짓는 경우도 많았으며, 이러한 성은 대부분 하천 근처의 언덕 정상에서 발견된다.

4. 3. 풍습

읍루인과 마찬가지로 "사람의 오줌으로 손과 얼굴을 씻는" 풍습이 있어, 중국의 역사서에서는 "여러 오랑캐 중 가장 불결하다"라고 평했다.[1] 초혼의 밤, 남자는 여자의 친가에서 여자의 유방을 만지고 멈춘다. 이 행위로 약혼이 성립되어 부부가 된다.[1]

사람이 봄, 여름에 죽으면 시체를 매장하고, 그 무덤 위에 집을 지어 비를 맞지 않도록 한다.[1] 그러나 가을, 겨울에 사람이 죽으면 그 시체를 족제비 사냥의 먹이로 사용하기 위해, 들에 시체를 버려 족제비에게 먹이고, 그 틈을 타 족제비를 잡는다.[1] 이 족제비는 물길의 특산품이며, 품질이 좋아서 중국에서 귀하게 여겨졌으며, 과거에는 "읍루의 족제비"라고 칭송받았다.[1]

4. 4. 무기

그들이 사용하는 독화살은 살상 능력이 뛰어나, 명중하면 반드시 죽음에 이르며, 독약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에도 죽음에 이른다고 한다.[1] 독약 제조는 매년 7월과 8월에 이루어진다.[1] 활의 길이는 3척이며, 화살의 길이는 1.2촌이고, 석재(플린트질)를 사용하여 화살촉을 만들었다.[1]

5. 언어

중국의 사서는 물길의 언어에 대해 "독특하다"라고 기록하고 있으며[3], 당시 동북아시아에서도 독특한 언어를 사용했던 것을 알 수 있다.


  • 퉁구스계 설: 물길이 후의 여진족(퉁구스계)이라는 점, 비교 언어학적 연구에 의해 숙신계의 어휘가 퉁구스계에 가깝다는 점[4]에서, 오래전부터 지지받아 온 설이며, 현재 발굴 조사에 의한 출토품에서 일용품이나 주거 형태, 식생활의 연속성이 확인되었기 때문에[2], 물길은 여진의 조상이며, 언어 계통도 퉁구스계로 여겨진다.
  • 고시베리아어족계 설: 그 독특한 언어, 습속에서, 물길 등의 숙신계 언어는 퉁구스계가 아니라, 니브흐어(길랴크어) 등의 고시베리아계가 아닐까 하는 설을 S. M. Shirokogoroff영어[5]와 미카미 다카오[6] 등이 제창하고 있다.

6. 구성 부족

물길 7부(말갈 7부)의 민족 계통. 물길 7부(말갈 7부)의 속말말갈 계통이 발해로 발전하고, 물길 7부(말갈 7부)의 흑수말갈 계통이 금나라로 발전하고 있다.

  • 속말부: 고구려와 접한다. 강한 병사는 수천 명으로, 매번 고구려를 침략한다.
  • 백돌부: 속말부의 북쪽에 위치한다. 강한 병사는 7천 명이다.
  • 안거골부: 백돌부의 동북쪽에 위치한다.
  • 불녈부: 백돌부의 동쪽에 위치한다.
  • 호실부: 불녈부의 동쪽에 위치한다.
  • 흑수부: 안거골부의 서북쪽에 위치한다.
  • 백산부: 속말부의 동남쪽에 위치한다.

참조

[1] 서적 北アジア史研究 鮮卑柔然突厥篇 図書印刷同朋舎 1988-01-01
[2] 서적 通古斯族系的興起 中華書局 2006
[3] 서적 『魏書』列伝第八十八「言語獨異」、『北史』列伝第八十二「言語獨異」
[4] 서적 塞外民族史研究 岩波書店 1970-01-01
[5] 서적 北方ツングースの社会構成 岩波書店 1941
[6] 서적 古代東北アジア史研究 吉川弘文館 1977
[7] 서적 中國東北古民族發達史 中国社会科学出版社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